KR100247607B1 - 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7607B1
KR100247607B1 KR1019930701588A KR930701588A KR100247607B1 KR 100247607 B1 KR100247607 B1 KR 100247607B1 KR 1019930701588 A KR1019930701588 A KR 1019930701588A KR 930701588 A KR930701588 A KR 930701588A KR 100247607 B1 KR100247607 B1 KR 100247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ester
methyl
reaction
hydrogen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1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타르 루엡
칼 아이켄
베른트 샤에퍼
게르노트 라이쎈베버
페터 샤에페
Original Assignee
스타르크, 카르크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르크, 카르크,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스타르크, 카르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7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76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one carbocyclic ring
    • C07D209/44Iso-indoles; Hydrogenated iso-indoles
    • C07D209/48Iso-indoles; Hydrogenated iso-indoles with oxygen atoms in positions 1 and 3, e.g. phthalim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Indole Compound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일반식 Ⅰ의 3-(3,4,5,6-테트라 히드로 프탈이미도)신남산 에스테르는 하기 일반식 Ⅱ의 3-니트로신남산 에스테르를 촉매 존재하에서 수소로 환원시키고 생성된 하기 일반식 Ⅲ의 3-아미노신남산 에스테르를 하기 일반식 Ⅳ의 3,4,5,6-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과 축합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되며, 작물 보호에 있어서 가치있는 유효 성분이다.
상기 식 중, R1=H, 할로겐; R2, R3= 할로겐; R4= 탄소 유기기, R5= H, CH3이다.

Description

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Ⅰ의 3-(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도)-신남산 에스테르의 개선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 중, R1은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2및 R3는 할로겐이며, R4는 탄소수가 1~6인 탄소 유기기이고, R5는 수소 또는 메틸이다.)
α-할로겐이 없는 니트로신남산 에스테르가 아세트산 중의 철(일본국 특허 공개 제155 358/84호) 또는 팔라듐, 백금 또는 라니 니켈 촉매하에서의 수소(유럽 특허 공개 제345 637호 및 독일 특허 공개 제39 31 615호)에 의해 아미노신남산 에스테르로 환원되고, 아미노신남산 에스테르가 화합물 Ⅰ형태의 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도신남산 에스테르로 전환된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문헌[Bull. Chem. Soc. Jap. 49, (1976)2284, 벨기에 특허 공개 제855-464호와 유럽 특허 공개 제240 659호]에 의하면, 수소가 환원제로 사용될 때 방향족 화합물의 불포화 측쇄까지 수소화된다. 또한 문헌 (유럽 특허 공개 제240 659호)은 촉매로 산화 백금을 사용하거나 환원제로 철과 같은 금속을 사용했을 시는 상기의 부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그외에 문헌 [유럽 특허 공개 제369 212호 및 Chimia 41,(1987) 73]에는 팔라듐, 백금 및 라니 니켈과 같은 촉매 존재하의 수소를 사용할 경우 촉매적 탈할로겐화 반응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들 문헌에서는 위의 반응이 사실 예비 반응으로 사용됨을 보여준다.
따라서, 상기의 경쟁 반응을 피하기 위하여, 독일 특허 공개 제39 31 615호에는 알파(α) 위치에 염소 또는 브롬이 있는 3-니트로신남산 에스테르 Ⅱ를 주석(Ⅱ) 염 또는 철과 같은 온건한 환원제를 사용하여 3-아미노 에스테르 Ⅲ으로 환원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의 결점은 환원 반응의 부산물인 주석 및 철 염을 제거하고 폐기하는 것이 공업적 규모에는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합물 Ⅰ을 제조하는 더 좋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목적이 하기 일반식 Ⅱ의 3-니트로신남산 에스테르를 촉매 존재하의 수소로 환원시키고, 생성된 하기 일반식 Ⅲ의 3-아미노신남산 에스테르를 하기 일반식 Ⅳ의 3,4,5,6-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과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축합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Ⅰ의 3-(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도)-신남산 에스테르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됨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중간체로서 신규한 하기 일반식 Ⅱ'의 3-니트로신남산 에스테르 및 신규한 하기 일반식 Ⅲ'의 3-아미노신남산 에스테르를 발견하였다.
(상기 식 중, R1'는 수소 또는 불소이고, R2및 R3는 할로겐이며, R4'는 탄소수 1~4의 알킬이다.)
출발 물질로 사용되는 3-니트로신남산 에스테르 Ⅱ는 여러가지 방법, 바람직하게는 하기의 방법 중 어느 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a) m-니트로 알데히드 Ⅳ와 포스포러스 일리드 V의 반응
Ar기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탄소 유기기, 특히 페닐이다.
일반적으로 이 반응은 통상적인 방법(유럽 특허 공개 제345 637호 참조)에 의해 비활성 용매 또는 희석제, 예를 들면, 알코올류, 바람직하게는 R4-OH, 또는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클로로히드로카본 중에서 수행된다.
모든 출발 물질들은 화학양론적 비율에 근사하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몇몇 경우에는 한 성분을 10 mol%까지 과량 사용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이 반응을 0 ℃ 내지 용매의 비점 사이의 온도에서 진행시킨다.
압력과 관련된 특별한 조건은 필요하지 않다. 그러므로 이 반응을 대기압하에서 적절하게 진행시킨다.
출발 물질 Ⅳ는 공지되어 있다. 포스포러스 일리드 Ⅴ는 통상적인 방법 [예. Chem. Ber. 95, (1962) 3003]으로 제조될 수 있다.
(b) 신남산 에스테르 Ⅵ의 니트로화
이 반응은 필요하다면 비활성 용매 또는 희석제 중에서 -10 ℃ 내지 50 ℃에서 통상적인 방법(일본국 특허 공개 제155 358/84호 참조)에 의해 수행된다.
니트로화제의 양은 중요하지 않다. 황산 중의 과량의 니트로화제를 사용하거나 또는 질산 중에서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법(a)에 기술된 압력에 관한 조건이 적용된다.
출발 물질은 방법(a)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c) m-니트로신남산 에스테르 Ⅶ의 할로겐화
이 반응은 비활성 용매 또는 희석제, 예를 들면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테트라클로로메탄, 1,1,1-트리클로로에탄 및 클로로벤젠과 같은 할로히드로카본 중에서 통상적인 방법(유럽 특허 공개 제240 659호 참조)에 의해 수행된다.
화합물 Ⅶ의 양을 기준으로 해서 약 10 mol% 이하의 과량의 할로겐(R3)2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이 반응은 0 ℃ 내지 용매의 비점, 특히 15 내지 40 ℃에서 수행된다.
한편, 대기압이 권할만 하다.
m-니트로신남산 에스테르 Ⅶ의 염소화의 경우에, 방법(c)의 특히 유리한 실시 태양은 루이스산 존재하에서 m-니트로신남산 에스테르 Ⅶ를 염소화시키고, 생성된 α, β-디클로로-β-(2-니트로페닐)프로피온산 에스테르(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의 염화 수소를 제거하는 것이다.
특히 적당한 루이스 산은 염화 아연, 염화 제이철, 및 염화 알루미늄과 같은 전이 금속 할라이드이다.
적당하고 바람직한 용매는 디클로로메탄 및 1,2-디클로로벤젠과 같은 클로로히드로카본이다.
루이스 산의 양은 중요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m-니트로신남산 에스테르 Ⅶ 양을 기준으로 루이스 산을 2 내지 200 mol%,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40 mol% 사용한다.
긴 반응 시간을 피하기 위해서, 20 ℃ 내지 반응 혼합물의 비점에서 특히 50 ℃ 내지 90 ℃에서 반응을 수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화수소의 순차적인 제거 반응이 보조 염기의 존재하에서 에너지의 도입이나 소실없이 바람직하게 일어난다.
제거 반응의 입체화학은 염기의 선택에 의해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3-니트로신남산 에스테르 Ⅱ의 E 또는 Z 이성질체를 우세하게 얻을 수 있다.
적당한 보조 염기의 예로는 유기산의 알칼리토금속 염 또는 유기 아민이 있다. 아주 특별히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은 빙초산 중의 나트륨 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의 트리에틸아민이며, 이 경우에 3-니트로신남산 에스테르 Ⅱ의 Z 이성질체가 주 생성물이다.
α, β-디클로로-β-(2-니트로페닐)프로피온산 에스테르 및 염기는 바람직하게는 화학양론적 비로 사용되거나, 또는 염기를 10 mol% 까지 좀더 과량 사용한다.
출발 물질 Ⅶ는 방법 (a) 또는 방법 (b)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d) 니트로신나모일 클로라이드 Ⅷ과 알코올 Ⅸ의 반응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 비활성 용매 또는 희석제 중에서 유리하게는 염기 존재하에 통상적인 방법(Houben-Weyl,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Volume X/2, 747 참조)에 의해 수행된다.
적합한 용매 또는 희석제는 특히, o-, m- 또는 p-크실렌 및 톨루엔과 같은 고비점 탄화수소, 에틸아세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 및 디옥산 및 테트라히드로푸란과 같은 에테르이다.
적합하고 바람직한 염기는 트리에틸아민 및 피리딘과 같은 3차 아민, 및 무기염, 예를 들면, 수산화 나트륨 및 수산화 칼륨과 같은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및 탄산 나트륨과 같은 알칼리 금속 탄산염이다.
이 반응은 통상적으로 -10 ℃ 내지 200 ℃, 특히 0 ℃ 내지 150 ℃에서 수행된다.
방법 (a)에 기재된 화합물의 비율 및 압력에 관한 설명이 이 반응에도 적용된다.
신나모일 클로라이드 Ⅷ은 통상적인 방법(유럽 특허 공개 제240 659호, 실시예 8 참조)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니트로신남산 유도체 Ⅱ은 금속 촉매, 예를 들면, 팔라듐, 백금 및 니켈 존재하에서 수소를 사용하여 대응하는 아미노신남산 유도체 Ⅱ로 환원된다.
환원 반응은 편의상 비활성 극성 용매 또는 희석제, 예를 들면, 테트라히드로푸란과 같은 에테르, 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아미드, 아세트산 또는 프로피온산과 같은 단쇄 카르복실산,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단쇄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또는 알콜 HO-R4, 특히 메탄올 또는 에탄올 중에서 수행된다.
촉매의 양은 중요하지 않다. 통상적으로 니트로신남산 유도체 Ⅱ의 양을 기준으로 촉매를 1 내지 50 mol% 사용한다.
수소화는 편의상 1 내지 100 bar,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bar의 압력하에서 수소에 의해 수행된다.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 0 ℃ 내지 용매의 비점에서 수행된다.
이 제조 방법은 배취식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수소로 포화된 용액 중의 니트로신남산 유도체를 촉매를 코팅한 고정상 위로 통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더 이상의 수소의 소비가 인지되지 않을 때까지 수소를 니트로신남산 유도체 Ⅱ, 희석제 및 촉매의 혼합물에 계량하여 공급한다.
혼합물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처리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불필요하다.
생성된 3-아미노신남산 유도체 Ⅲ을 계속해서 일반식 Ⅳ의 3,4,5,6-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과 축합하여 3-(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도)신남산 에스테르 Ⅰ로 전환시킨다.
이 반응은 통상적으로 비활성 비양성자성 용매 중에서 20 ℃ 내지 용매의 비점, 특히 40 ℃ 내지 140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적합한 용매는 빙초산, 프로피온산 및 이소부티르산과 같은 저급 알칸산,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상기 산의 에스테르, 톨루엔 및 o-, m-, 및 p-크실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및 디 메틸- 및 디에틸포름아미드와 같은 비 양성자성 용매이다. 비 양성자성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생성된 물을 계속 제거해야 한다.
출발 물질 Ⅲ 및 Ⅳ는 편의상 화학양론적 비율로 사용하나, 어떤 경우에는 두 성분중 하나를 10 mol%까지 과량 사용할 수 있다.
이 반응은 대기압 또는 용매의 자생 압력 하에서 바람직하게 수행된다. 보다 낮은 또는 보다 높은 압력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실익이 없다.
본 발명에 의한 제조 방법의 특히 유리한 변형 방법은 3-니트로신남산 유도체 Ⅱ의 환원에 의해 얻어진 생성물 Ⅲ을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 3,4,5,6-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Ⅳ와 반응시키는 것이다. 이 제조 방법에서는 3,4,5,6-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Ⅳ를 수소화 전 또는 후에 반응 혼합물 속에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반응은 저급 알칸산, 특히 프로피온산, 또는 비 양성자성 용매, 특히 테트라히드로푸란과 같은 에테르 또는 디메틸 포름아미드와 같은 아미드 중에서 바람직하게 수행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조 방법은 α-염소 또는 브롬을 갖는 정의된 모든 3-(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도)신남산 유도체 Ⅰ, 특히 치환체가 아래의 의미를 갖는 화합물을 합성하는데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R1- 수소 또는 할로겐, 예를 들면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 특히 수소 또는 불소;
R2- 상기 언급된 할로겐, 특히 염소;
R3- 염소 또는 브롬;
R4- 수소;
- C1-4알킬, 예를 들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및 tert-부틸. 이 알킬은 또한 1 또는 2개의 C1-C4알콕시기, 예를 들면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및 tert-부톡시, 특히 메톡시 및 에톡시, 및/또는 C1-C4알킬 티오기, 예를 들면 메틸티오, 에틸티오, n-프로필티오, 이소프로필티오, n-부틸티오 및 tert-부틸티오, 특히 메틸티오를 가질 수 있다;
- C3-C7시클로알킬, 예를 들면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및 시클로헥실;
- C3-C6알케닐, 예를 들면 2-프로페닐, 2-부테닐, 3-부테닐, 1-메틸-2-프로페닐, 2-메틸-2-프로페닐, 2-펜테닐, 3-펜테닐, 4-펜테닐, 1-메틸-2-부테닐, 2-메틸-2-부테닐, 3-메틸-2-부테닐, 1-메틸-3-부테닐, 2-메틸-3-부테닐, 3-메틸-3-부테닐, 1,1-디메틸-2-프로페닐, 1,2-디메틸-2-프로페닐, 1-에틸-2-프로페닐, 2-헥세닐, 3-헥세닐, 4-헥세닐, 5-헥세닐, 1-메틸-2-펜테닐, 2-메틸-2-펜테닐, 3-메틸-2-펜테닐, 4-메틸-2-펜테닐, 1-메틸-3-펜테닐, 2-메틸-3-펜테닐, 3-메틸-3-펜테닐, 4-메틸-3-펜테닐, 1-메틸-4-펜테닐, 2-메틸-4-펜테닐, 3-메틸-4-펜테닐, 4-메틸-4-펜테닐, 1,1-디메틸-2-부테닐, 1,1-디메틸-3-부테닐, 1,2-디메틸-2-부테닐, 1,2-디메틸-3-부테닐, 1,3-디메틸-2-부테닐, 1,3-디메틸-3-부테닐, 2,2-디메틸-3-부테닐, 2,3-디메틸-2-부테닐, 2,3-디메틸-3-부테닐, 3,3-디메틸-2-부테닐, 1-에틸-2-부테닐, 1-에틸-3-부테닐, 2-에틸-2-부테닐, 2-에틸-3-부테닐, 1,1,2-트리메틸-2-프로페닐, 1-에틸-1-메틸-2-프로페닐 및 1-에틸-2-메틸-2-프로페닐;
- C3-C6알키닐, 예를 들면 1-프로피닐, 2-프로피닐, 1-부티닐, 2-부티닐, 3-부티닐, 1-메틸-2-프로피닐, 1-펜티닐, 2-펜티닐, 3-펜티닐, 4-펜티닐, 1-메틸-2-부티닐, 1-메틸-3-부티닐, 2-메틸-3-부티닐, 3-메틸-1-부티닐, 1,1-디메틸-2-프로피닐, 1-에틸-2-프로피닐, 1-헥시닐, 2-헥시닐, 3-헥시닐, 4-헥시닐, 5-헥시닐, 1-메틸-2-펜티닐, 1-메틸-3-펜티닐, 1-메틸-4-펜티닐, 2-메틸-3-펜티닐, 2-메틸-4-펜티닐, 3-메틸-1-펜티닐, 3-메틸-4-펜티닐, 4-메틸-1-펜티닐, 4-메틸-2-펜티닐, 1,1-디메틸-2-부티닐, 1,1-디메틸-3-부티닐, 1,2-디메틸-3-부티닐, 2,2-디메틸-3-부티닐, 3,3-디메틸-1-부티닐, 1-에틸-2-부티닐, 1-에틸-3-부티닐, 2-에틸-3-부티닐 및 1-에틸-1-메틸-2-프로피닐;
- 벤질;
R5- 수소 또는 메틸.
상기에 언급된 R1'가 수소 또는 불소이고, R2및 R3가 할로겐이며, R4'가 C1-C4알킬인 3-니트로신남산 유도체 Ⅱ' 및 3-아미노신남산 유도체 Ⅲ'는 신규하다. 특히 바람직한 유도체 Ⅱ' 및 Ⅲ'는 R2가 염소이고, R3가 염소 또는 브롬인 것이다.
3-(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도)신남산 에스테르 Ⅰ는 제초제 (특히 곡류에) 및 부분 절단제(목화에)로서 농작물 보호에 사용된다.
[제조예]
(E/Z)-N-[3-(2-클로로-2-에톡시카르보닐비닐)-4-클로로페닐]-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
3,4,5,6-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456 g(3 mol)을 20 내지 25 ℃에서 프로피온 산 7 ℓ 중의 에틸 (E/Z)-2, α-디클로로-5-아미노신나메이트 780 g(3 mol)의 용액에 한번에 조금씩 첨가하였다. 첨가된 맑은 용액을 60 ℃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으며, 그 동안에 생성물이 결정화되기 시작하였다. 혼합물을 약 25 ℃ 정도까지 냉각시키고, 물 4ℓ로 희석한 다음, 적어도 1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물을 분리해 내고, 물 4.5ℓ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수율 : 80 %(HPLC에 의한 순도 약 98 %); 융점 : 111-112 ℃.
[전구체 1α]
에틸 (E/Z)-2,α-디클로로-5-니트로신나메이트
방법(a)에 의하여:
에톡시카보닐(클로로)-메틸렌트리페닐포스포란 84.1 g(0.22 mol)을 에탄올 350 ml 중의 2-클로로-5-니트로벤즈알데히드 37 g(0.2 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 ℃에서 한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생성물을 여과하여 페트롤륨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수율 : 70 %; 융점 97-98 ℃
방법(c)에 의해:
무수 염화 제이철 0.64 g(4 mmol)을 1,2-디클로로벤젠 150 ml 중의 에틸 2-클로로-5-니트로신나메이트 10 g(39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100 ℃에서 3 시간 동안 염소를 통과시켜 주었다. 반응 혼합물을 이어서 포화된 탄산 수소 나트륨 용액 및 물로 세척하고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수율 : 에틸 α,β-디클로로-β-(2-클로로-5-니트로-페닐)프로피오네이트(3:1 부분입체 이성질체 혼합물) 75 %; 융점 63~65 ℃
상기에서 얻은 에틸 α,β-디클로로-β-(2-클로로-5-니트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 g(3 mmol)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30 ml 중에 용해시킨 후, 트리에틸아민 0.31 g(3 mmol)을 그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25 ℃에서 약 15 시간 교반하고, 물로 두번 세척하고,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켰다.
수율 : 디클로로 화합물 5 내지 10 % 함유하고 있는 조생성물 100 %.
[전구체 1 β]
에틸 (E/Z)-2,α-디클로로-5-아미노신나메이트
라니 니켈 3 g(51 mmol)을 에탄올 150 ml 중의 에틸 (E/Z)-2,α-디클로로-5-니트로신나메이트 5.8 g(20 mmol)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수소 1.05 bar를 주입한 후에, 수소의 유입이 중지될 때까지 약 7 시간 동안 혼합물을 30 ℃에서 교반하였다. 그 다음 촉매를 분리해내고,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페트로륨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수율 : 77 %; 융점 110-111 ℃
[실시예 2] (1 단계 방법)
에틸 2,α-디클로로-5-니트로신나메이트 29 g(100 mmol), 라니 니켈 3 g(51 mmol) 3,4,5,6-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15.2 g(100 mmol) 및 프로피온산 100 ml의 혼합물을 수소 1.05 bar를 주입하여 수소의 유입이 멈출때 까지 약 18 시간 정도 50 내지 60 ℃에서 수소화시켰다. 여전히 뜨거운 반응 혼합물에서 촉매를 제거하고, 생성된 용액에 물 100 ml를 첨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한 후에 결정화된 생성물을 분리하고 중성이 될 때까지 물로 세척하였다.
수율 : 85 %; 융점 108-110 ℃

Claims (5)

  1. 하기 일반식 Ⅱ의 3-니트로신남산 에스테르를 백금, 팔라듐 및 니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촉매하에서 수소로 환원시켜 하기 일반식 Ⅲ의 3-아미노신남산 에스테르를 생성시키고, 생성된 일반식 Ⅲ의 3-아미노신남산 에스테르를 하기 일반식 Ⅳ의 3,4,5,6-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과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축합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 Ⅰ의 3-(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도)신남산 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상기 식 중, R1은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2및 R3는 할로겐이며, R4는 탄소수 1~6의 탄소 유기기이고, R5는 수소 또는 메틸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환원 반응이 극성 용매 중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반응이 하기 일반식 Ⅶ의 m-니트로신남산 에스테르를 할로겐화시킴으로써 제조된 일반식 Ⅱ의 3-니트로신남산 에스테르로부터 출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반응이 하기 일반식 X의 m-니트로 알데히드와 하기 일반식 V의 포스포러스 일리드의 반응에서 제조된 일반식 Ⅱ의 3-니트로신남산 에스테르로부터 출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 Ⅲ의 2-아미노 신남산 에스테르를 따로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로 일반식 Ⅳ의 3,4,5,6-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과 축합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30701588A 1990-11-28 1991-11-16 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02476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037840.3 1990-11-28
DE4037840A DE4037840A1 (de) 1990-11-28 1990-11-28 2-amino-zimtsaeureester
PCT/EP1991/002166 WO1992009575A2 (de) 1990-11-28 1991-11-16 2-amino-zimtsäurees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7607B1 true KR100247607B1 (ko) 2000-04-01

Family

ID=6419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1588A KR100247607B1 (ko) 1990-11-28 1991-11-16 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324843A (ko)
EP (1) EP0559687B1 (ko)
JP (1) JP3449714B2 (ko)
KR (1) KR100247607B1 (ko)
AT (1) ATE198882T1 (ko)
CA (1) CA2097184C (ko)
DE (2) DE4037840A1 (ko)
ES (1) ES2153822T3 (ko)
HU (1) HU212870B (ko)
IL (1) IL100129A (ko)
WO (1) WO199200957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274795A (en) * 1994-04-08 1995-10-30 Degussa A.G. Herbicidal bicyclic and tricyclic imides
MXPA02006931A (es) 2000-01-25 2002-11-29 Syngenta Participations Ag Composicion herbicida.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03789A1 (de) * 1986-02-07 1987-08-13 Basf Ag N-substituierte 3,4,5,6-tetrahydrophthalimide
DE3724399A1 (de) * 1987-07-23 1989-02-02 Basf Ag Phenylalkenylcarbonsaeuren und deren ester
DE3819464A1 (de) * 1988-06-08 1989-12-14 Basf Ag Substituierte n-(heterocylylidenmethyl)-pentyl-3,4,5,6-tetrahydrophthalimid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sie enthaltende herbizide
DE3904082A1 (de) * 1989-02-11 1990-08-16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substituierten 3,4,5,6-tetrahydrophthalimid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53822T3 (es) 2001-03-16
CA2097184C (en) 2002-12-31
HU9301556D0 (en) 1993-09-28
WO1992009575A2 (de) 1992-06-11
HU212870B (en) 1996-12-30
DE4037840A1 (de) 1992-06-11
US5324843A (en) 1994-06-28
EP0559687B1 (de) 2001-01-24
IL100129A (en) 1997-04-15
HUT64308A (en) 1993-12-28
EP0559687A1 (de) 1993-09-15
WO1992009575A3 (de) 1992-07-09
CA2097184A1 (en) 1992-05-29
DE59109206D1 (de) 2001-03-01
ATE198882T1 (de) 2001-02-15
JP3449714B2 (ja) 2003-09-22
IL100129A0 (en) 1992-08-18
JPH06502852A (ja) 199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ragoe et al. Pyrazine diuretics. II. N-amidino-3-amino-5-substituted 6-halopyrazinecarboxamides
HUT68913A (en) Novel derivatives of perhydroisoindole and preparation thereof
KR940006764B1 (ko) (z)-1-페닐-1-디에틸아미노카르보닐-2-아미노메틸싸이클로프로판 염산염의 제조방법
JP2024009896A (ja) 一酸化窒素を供与するプロスタグランジン類似体の製造方法
US3660486A (en) Diphenyl amine urea derivatives
KR100247607B1 (ko) 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Kuritani et al. Optically Active Triptycenes, V. Synthesis, Optical Resolution and Absolute Configuration of 2, 7-Disubstituted Triptycenes.
CN114105984A (zh) 吲哚嗪类抗蚀剂的制备方法
CH637373A5 (en) Process for preparing novel 2-aminotetralins
WO2010018067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iperazindion-derivaten
JP4022070B2 (ja) 新規チアゾール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159991A (en) Acyloxy-N,N'-diacylmalonamide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DD261598A5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hinazolin-dionen und pyrido-pyrimidin-dionen
DE2728870C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Penicillamin und dessen Salzen
JPH04210984A (ja) 環生成されたイミノチアゾールの製法及び中間体
JPH05194380A (ja) 置換されたピロリジン
SU745368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пиридотиенопиразол)-амидов или их солей
US3455919A (en) 5-dechlorination of 3-amino-5,6-dichloropyrazinoyl compounds
CN118420530A (zh) 一种立他司特中间体的合成方法
KR910006126B1 (ko) N-[3-[3-(1-피페리디닐메틸)페녹시]프로필]아세톡시아세트아미드의 제조방법
FI72317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farmaceutiskt anvaendbar 2-etyl-4-hydroxi-2h-1,2-benzotiazin-1,1-dioxid-3-(n-2-pyrid yl-karboxamid och i foerfarandet anvaendbar mellanprodukt
JPH029842A (ja) 2−ニトロトルエン誘導体の製造法
US4581177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3-cyano-4-aminoacetophenones
KR860000037B1 (ko) 시놀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EP0376103B1 (en) A 2-acylamino-5-halogenated-cinnamic acid derivative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