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658B1 - 시일드케이스 - Google Patents

시일드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658B1
KR100246658B1 KR1019960044550A KR19960044550A KR100246658B1 KR 100246658 B1 KR100246658 B1 KR 100246658B1 KR 1019960044550 A KR1019960044550 A KR 1019960044550A KR 19960044550 A KR19960044550 A KR 19960044550A KR 100246658 B1 KR100246658 B1 KR 100246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pening
contact
main body
inner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4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3226A (ko
Inventor
사또루 마쯔자끼
가즈또시 오가모또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7261714A external-priority patent/JP311979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729372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115258A/ja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970023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3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6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05K9/002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of component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05K9/0024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 H05K9/0026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integrally formed from metal shee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Abstract

케이스와 커버의 접촉위치를 일정하게 하여 시일드효과가 높은 시일드케이스를 제공한다.
측벽의 적어도 대향하는 2면에 개구(2)를 설치한 금속제의 본체(1)에 대하여 그 개방면을 덮도록 금속제의 상커버(3) 및 하커버(4)가 설치되고, 이들 커버에는 개구(2)에 끼워맞추는 절곡부(7,8)가 형성된 탄성접촉편(5,6)을 구비한 시일드케이스에 있어서, 탄성접촉편(5,6)의 선단부가 개구(2)를 넘지않는 길이로 한다. 이로써 탄성접촉편(5,6)의 선단에 설치된 절곡부(7,8)는 항상 후단부근의 경사면만이 개구(2)의 한쪽내연에 접촉하고, 접촉상태가 안정하게 되어 충분한 시일드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일드케이스
본 발명은 전자회로기판의 주요부 또는 전체를 덮개로 덮도록 장착되는 시일드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자회로기판에 있어서는 외부에 대한 불필요한 복사(輻射)를 저감하고, 또는 외부나 다른 회로로부터의 노이즈 등의 영향을 방지하기 위한 주석도금강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일드케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시일드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금속제 프레임체속에 프린트기판을 배치하고, 상기 프레임체의 상면 및 하면을 금속판으로 덮는 밀폐형 시일드케이스가 이용된다.
이와같은 기술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일본국 실개소 59-33277호 공보가 있다.
여기에 나타내는 기술은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바닥부와 측벽부를 가지는 금속제의 본체(11)와, 이 본체(11)의 상면을 덮는 금속제의 커버(12)를 주체로 구성하고, 내부에는 고주파회로부품(14)을 실장한 프린트기판(13)이 수납되어 있다. 본체(11)의 측벽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11a)가 설치되고, 프린트기판(13)은 이 돌기(11a)에 태우는 형으로 내장되어 있다. 또 본체(11)의 측벽의 상부에는 복수의 끼워맞춤구멍(11b)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커버(12)는 판형상을 이루고, 그 주변에는 복수의 탄성접촉편(12a)이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 각각의 선단부근에는 내측으로 “ㄱ”자형으로 팽출시켜 절곡부(12b)가 형성되고, 본체(11)의 끼워맞춤구멍(11b)에 끼워맞춘다.
본체(11)에 커버(12)를 장착할 때는 커버(12)를 본체(11)에 위치맞춤한 후, 그대로 주변부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그 과정에서 탄성접촉편(12a)이 끼워맞춤구멍(11b)에 끼워넣어져 본체(11)와 커버(12)가 고정되어, 양자는 기계적으로 결합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탄성접촉편(12a)의 굽힘치수에 불균형이 생기기 쉽다. 예를 들어 탄성접촉편(12a)의 굽힘치수가 긴 경우,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끼워맞춤구멍(11b)의 하측부근① 및 상측부근②에 절곡부(12b)의 경사면이 접촉하고, 본체(11)의 상단③과 커버(12)의 천정면이 접촉하지 않는다. 즉 탄성접촉편(12a)의 길이(l20)에 대하여 끼워맞춤구멍(11b)의 하측단에서 커버(12)의 천정면까지의 길이(l10)가 120>l10의 관계에 있다. 이것과는 반대로 탄성접촉편(12a)의 굽힘치수가 짧은 경우, 끼워맞춤구멍(11b)의 하측부근①이 접촉하지 않고, 상측부근② 및 본체(11)의 상단③과 커버(12)의 천정면이 접촉한다.
이와같이 탄성접촉편(12a)의 굽힘치수가 너무 길거나 너무 짧아도 접촉상태가 불안정하게 되어 본체(11)와 커버(12)간에 접촉하지 않는 부위가 생긴다. 특히 커버(12)의 내면과 본체(11)의 개구단이 접촉하고 있지 않을 경우, 시일드효과가 불충분하게 된다. 또 접촉상태가 불안정한 부분이 있으면, 본체(11)에 진동이 가해졌을 때 접촉상태와 비접촉상태를 반복함으로써 잡음전압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기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케이스와 커버의 접촉위치를 일정하게 할 수 있는 시일드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시일드케이스의 사시도.
제2도는 상기 시일드케이스의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시일드케이스의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구성에 있어서의 탄성접촉편의 치수 및 개구와 커버면간의 치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5도는 종래의 시일드케이스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구성에 있어서의 탄성접촉편의 치수 및 개구와 커버면간의 치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개구
3 : 상커버 4 : 하커버
5,6 : 탄성접촉편 7,8 : 절곡부
9 : 프린트기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4면의 측면을 가짐과 동시에 적어도 대향하는 2면에 사각형의 개구를 가지는 금속제의 본체와, 이 본체의 개방면을 덮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개구에 걸어멈추는 탄성접촉편을 가지는 금속제의 커버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전자회로기판을 구비한 시일드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촉편을 상기 개구의 한 쪽 내연에 걸어멈춤과 동시에 이 탄성접촉편의 선단을 상기 개구내에 위치시킨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촉편의 선단에 “ㄱ”자형의 절곡부를 형성하고, 이 절곡부의 후단부근의 경사면만을 상기 개구의 내연에 압접시킨다. 또한 상기 본체가 상하양면을 개방하고, 이들 개방면을 덮도록 상커버와 하커버가 설치되는 구성의 경우, 상커버와 하커버의 각각의 탄성접촉편의 선단을 공통의 개구내에서 대향시켰다.
상기한 수단에 의하면, 커버를 본체에 장착하였을 때, 커버에 설치된 탄성접촉편의 선단은 본체에 설치된 개구내의 도중에 있고, 이 탄성접촉편의 일부가 개구의 바로 앞측이 내연에 접촉하기 때문에 접촉상태가 안정되어 충분한 시일드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탄성접촉편의 선단에 형성된 “ㄱ”자형의 절곡부는 두 개의 경사면을 가지나, 그 후단부근의 경사면만을 개구의 한 쪽 내연에 압접시킴으로서 항상 같은 부위가 접촉하여 안정된 접촉상태가 얻어지며, 안정된 시일드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체는 상면과 하면중 어느 한 쪽이 개방되는 구성외에 상하양면이 개방된 구성이 있고, 후자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커버와 하커버가 필요하게 되나, 양커버에 설치되는 탄성접촉편을 대향위치에 형성하면, 한 개의 개구를 상커버와 하커버에 공용할 수 있다. 이로써 상하방향으로 두 개의 개구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케이스전체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시일드케이스의 사시도, 제2도는 그 측면도이다. 이들 도에 나타내는 시일드케이스는 주석도금강판 등을 사각프레임형으로 프레스가공(또는 복수의 판형상 부품의 조합)하여 만들어진 본체(1)를 주체로 구성하고, 이 본체(1)의 4개의 측벽중 적어도 대향하는 두 개에는 복수의 가로길이의 개구(2)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1)에는 황동이나 동 등의 금속제로 판형상의 상커버(3)와 하커버(4)가 착탈자유롭게 장착되고, 이들 커버(3,4)의 측부에는 개부(2)의 높이방향의 연장선상에 탄성접촉편(5,6)이 설치되어 있고, 그 각각의 선단에는 내측에 “ㄱ”자형으로 팽출시킨 절곡부(7,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곡부(7,8)는 상커버(3) 및 하커버(4)를 본체(1)에 장착하였을 때 상하방향으로 대향배치된 상태로 개구(2)에 끼워넣어, 잠금기구로서 기능한다. 이때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같이 개구(2)의 일변에만 절곡부(7,8)의 경사면의 한 개가 압접한다. 이로써 확실한 시일드가 행하여져, 시일드케이스 본래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상하의 커버(3,4)의 절곡부(7,8)를 동일한 개구(2)에 끼워넣고 있기 때문에 상하방향으로 두 개의 개구를 인접하여 설치한 종래구성에 비하여 시일드케이스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제1도 및 제2도에서는 상커버(3) 및 하커버(4)가 개구(2)를 공용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공용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개구(2)를 본체(1)의 가로일직선상에 설치하고, 이들을 상커버(3)와 하커버(4)에 한개걸러 한개씩 할당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절곡부(7)는 개구(2)의 상커버(3)부근에서 내연에 접촉하고, 절곡부(8)는 개구(2)의 하커버(4)부근의 내연에 접촉한다. 즉 절곡부의 경사면은 종래의 시일드케이스와 같이 개구(끼워맞춤구멍(11b))가 대향하는 두변에 접촉하는 것은 아니고, 한 변에만 접촉한다.
여기에서 제3도의 구성에 있어서 탄성접촉편(5,6)의 치수 및 개구(2)와 커버면간의 치수관계를 나타내면, 제4도와 같다. 제4도에 있어서, l1은 탄성접촉편(6)의 길이, l2는 개구(2)의 상측내연으로부터 하커버(4)의 바닥면까지의 길이이며, 9는 프린트기판이다. 또한 제4도에서는 하커버(4)측에 관해서만 나타내고 있으나, 상커버(3)측에 관해서도 아주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는 l2와 l1의 관계를 l2>l1로 설정하고 있다. 이와같이 설정함으로서 탄성접촉편(6)의 굽힘치수가 긴 경우이더라도 탄성접촉편(6)의 절곡부(8)는 항상 제4도와 같이 개구(2)의 a위치(개구(2)의 하측 내연)에만 접촉하고, 반대측의 내연(b위치)에는 접촉하지 않는다(또한 탄성접촉편(5)의 경우는 개구(2)의 상측내연에 접촉하다). 이와같은 접촉형태는 제1도 및 제2도의 실시예에서도 동일하며, 개구(2)의 자기커버측의 내연에 절곡부(7,8)의 경사면이 접촉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커버와 하커버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본체의 상면 또는 하면이 최초부터 막힌 구성이어도 좋으며, 이 경우의 커버는 1개만으로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4면의 측벽을 가짐과 동시에 적어도 대향하는 2면에 사각형의 개구를 가지는 금속제의 본체와, 이 본체의 개방면을 덮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개구에 걸어멈추는 탄성접촉편을 가지는 금속제의 커버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전자회로기판을 구비한 시일드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촉편을 상기 개구의 한쪽의 내연에 걸어멈춤과 동시에 이 탄성접촉편의 선단을 상기 개구내에 위치시켰기 때문에 탄성접촉편은 항상 개구의 바로앞측 내연에만 접촉하고, 접촉상태가 안정되어 충분하 시일드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탄성접촉편의 선단에 “ㄱ”자형의 절곡부를 형성하고, 이 절곡부의 두 개의 경사면중 후단부근의 경사면만을 개구의 한쪽내연에 압접시킨 경우, 항상 같은 부위가 접촉하고, 안정된 접촉상태가 얻어져, 안정된 시일드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하양면이 개방되고, 이들 개방면에 상커버와 하커버가 설치된 경우에 양커버에 설치되는 탄성접촉편을 동일한 개구내에서 대향시키기 때문에 상하방향으로 두 개의 개구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케이스전체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Claims (1)

  1. 4면의 측벽을 가지고 상하 양면이 개방된 금속제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하 양면을 덮도록 설치된 2개의 금속제의 커버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전자회로기판을 구비한 시일드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적어도 대향하는 2면의 상기 측벽에 사각형의 개구를 갖고, 상기 각 커버는 상기 개구에 걸어맞추는 탄성접촉편을 갖고, 상기 각 탄성접촉편은 그 선단에 “ㄱ”자 형으로 접어 구부려 형성된 절곡부를 갖고, 한 쪽의 상기 커버의 탄성편은 상기 절곡부의 기부(基部)측의 경사면이 상기 본체의 1개의 개구의 제1안쪽 가장자리에 밀어 접촉되고, 다른 쪽의 상기 커버의 탄성편은 상기 절곡부의 기부측의 경사면이 상기 1개의 개구의 제1안쪽 가장자리에 평행한 제2안쪽 가장자리에 밀어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드케이스.
KR1019960044550A 1995-10-09 1996-10-08 시일드케이스 KR1002466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261714 1995-10-09
JP07261714A JP3119797B2 (ja) 1995-10-09 1995-10-09 シールドケース
JP7293723A JPH09115258A (ja) 1995-10-16 1995-10-16 浮上型ヘッドスライダ
JP95-293723 1995-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226A KR970023226A (ko) 1997-05-30
KR100246658B1 true KR100246658B1 (ko) 2000-03-15

Family

ID=66329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4550A KR100246658B1 (ko) 1995-10-09 1996-10-08 시일드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665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226A (ko) 199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7283B1 (ko) 인쇄회로기판상에장착하는2부품전자기방사차폐장치
US5204496A (en) EMI shielding gasket
US4697044A (en) Casing for electronic devices
US20080139057A1 (en) Electrical connector
US7147510B2 (en) Socket for installing electronic parts
EP0632686A1 (en) A device for shielding and/or cooling electronic components
US6711032B2 (en) Shield and method for shielding an electronic device
KR100246658B1 (ko) 시일드케이스
EP0957665B1 (en) Electronic device
GB2301944A (en) Shield case having protrusions supporting a circuit board
JP3119797B2 (ja) シールドケース
JPS6164088A (ja) コネクタ
KR19980079965A (ko) 전자기기의 시일드 케이스
JP2809211B2 (ja) 電子機器のシールド構造
JP3628832B2 (ja) 電子機器のシールドケース
JP2718189B2 (ja) シールド装置
KR100228070B1 (ko) 전기적 접속구조
JP4159488B2 (ja) 通信機器
KR970004660Y1 (ko) 쉴드케이스
JP3235989B2 (ja) 電子機器の筐体構造
JP2958693B2 (ja) 半導体光学装置のシールド器具
JPH01274497A (ja) プリント板装置
KR100191748B1 (ko) 차폐 덮개 및 이를 사용한 차폐 방법
JPH10322076A (ja) 高周波用シールドケース構造
JP3022379B2 (ja) ノイズシールド構造を備える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