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058B1 - 곤돌라용과부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곤돌라용과부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058B1
KR100246058B1 KR1019970062140A KR19970062140A KR100246058B1 KR 100246058 B1 KR100246058 B1 KR 100246058B1 KR 1019970062140 A KR1019970062140 A KR 1019970062140A KR 19970062140 A KR19970062140 A KR 19970062140A KR 100246058 B1 KR100246058 B1 KR 100246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ndola
overload
coupled
limit switch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2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1536A (ko
Inventor
이강태
Original Assignee
이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태 filed Critical 이강태
Priority to KR1019970062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6058B1/ko
Publication of KR19990041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8Safety gear responsive to excess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6Adaptations of limit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곤돌라(GONDOLA)에 적재된 화물의 중량이 최대 적재량을 초과하여 과부하가 걸릴 경우 이를 감지하여 곤돌라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곤돌라용 과부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 내측으로부터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육면체형상의 몸체부와 덮게, 경보 신호발생부 및 리밋 스위치로 이루어진 과부하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양측면 상부에 와이아 입·출구가 형성되고, 상부 양측에는 제 1,2가이드 로울러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단은 압축 스프링이 탄설된 지지브라켓에 거치되고 타단은 몸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하중 감지로울러가 결합되고, 상기 리밋스위치는 위치 조절부재에 의해 상·하 구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됨에 따라, 곤돌라를 이용한 화물의 이송시 과적에 의한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과부로 인한 와이어 및 구동 모우터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곤돌라용 과부하 방지장치
본 발명은 곤돌라용 과부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곤돌라에 적재된 화물의 중량이 최대 적재량을 초과하여 과부하가 걸릴 경우 이를 감지하여 곤돌라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곤돌라용 과부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장(선박용)에서 중량이 큰 부품의 운반 또는, 아파트(고층 건물등)의 이삿짐(장농등과 같이 중량이 큰것) 운반시에는 수작업에 의한 운반이 불가능하므로 와이어 및 로우프를 이용한 곤돌라(Gondola)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곤돌라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와이어가 감긴 드럼을 전동모우터로 회동시켜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짐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되, 와이어에는 짐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함이 결합된 기계식 곤돌라와, 이에 적재된 화물의 중량을 감지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설치하여 적재된 화물의 중량을 인식하도록 하므로써, 화물의 과적에 의한 곤돌라의 과부하로 인해 운반작업중 와이어 및 구동 모우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식 곤돌라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계식 곤돌라는 적재된 화물의 중량감지가 불가능하므로 화물의 과적시 곤돌라에 과부하가 발생되어 구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거나 와이어가 파손되어 화물이 낙하되는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며, 전자식 곤돌라는 과적에 의한 과부하 발생방지와 와이어의 파손으로 인한 화물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는 예방할 수 있으나, 그에 사용되는 전자부품이 고가이므로 제작 비용의 부담과 고장발생시 수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곤돌라의 기계작동없이 초기 과부하를 감지할 수 있으며, 구성을 간단하게하여 설치 및 제작비용을 줄임과 동시에 고장률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곤돌라용 과부하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 내측으로부터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육면체형상의 몸체부와 덮개, 경보 신호발생부 및 리밋 스위치로 이루어진 과부하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양측면 상부에 와이아 입·출구가 형성되고, 상부 양측에는 제1,2가이드 로울러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단은 압축 스프링이 탄설된 지지브라켓에 거치되고 타단은 몸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하중 감지 로울러가 결합되고, 상기 리밋 스위치는 위치 조절부재에 의해 상·하 구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곤돌라용 과부하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곤돌라용 과부하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곤돌라용 과부하 방지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곤돌라용 과부하 방지장치의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곤돌라용 과부하 방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곤돌라용 과부하 방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곤돌라, 10:과부하 방지장치,
11:고정수단, 12:와이어 입구,
13:와이어 출구, 20:몸체부,
21:장공부, 40:제 1가이드 로울러,
40':제 2가이드 로울러, 41:하중감지 로울러,
42:압축 스프링, 43:지지브라켓,
50:경보 신호발생부, 51:제 1램프,
52:제 2램프, 53:타이머,
60:리밋 스위치, 62:가이드 축,
63:위치조절부재.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곤돌라(1)의 과부하 방지장치(10)의 몸체부(20)는 고정수단(11)이 상면에 내측으로부터 관통되어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양측면 상부에는 와이어 입·출구(12, 13)가 형성되며 내부는 격판(14)에 의해 제 1, 2격실(15, 16)이 형성되고, 덮개(30)는 중앙으로부터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장공부(21)가 형성되며, 제 1, 2가이드 로울러(40, 40')는 상기 몸체부(20)의 상부 양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중감지 로울러(41)는 일단이 압축 스프링(42)이 탄설된 지지브라켓(43)에 거치되고 타단은 몸체부(2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데, 상기 제 1, 2가이드 로울러(40, 40')의 중심보다 일정간격 G가 유지되도록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경보 신호발생부(50)는 제 1, 2램프(51, 52)와 타이머(53)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20)의 제 1격실(15)에 설치되고, 리밋 스위치(60)는 작동편(61)이 상기 지지브라켓(43)의 하방에 위치되고 일측은 제 2격실(16)에 설치된 가이드축(62)에 끼워지며 타측은 위치조절부재(63)에 의해 상·하 구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곤도라용 과부하 방지장치의 회로도 및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로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곤돌라용 과부하 방지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로서, 과부하 방지장치를 이용한 곤돌라의 초기 과부하 측정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곤돌라용 과부하 방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로서, 과부하 방지를 위한 리밋 스위치(60)의 위치 설정을 위한 측정방법으로 중량 P을 갖는 화물을 적재한 후, 곤돌라(1)를 작동시켜 지면에서 10cm 상승 시켜 정지시킨 다음, 렌찌를 이용하여 위치조절부재(6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경보 신호발생부(50)가 작동되면, 곤돌라(1)의 작동이 멈추게 되며, 이상태에서 곤돌라(1)를 다시 작동시켜 화물을 하강시킨 후, 화물에서 중량 r 만큼 제거하여 중량 P - r이 되도록 한 후, 다시 상승시켰을 때, 경보 신호발생부(50)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는 위치조절부재(63)를 봉인하고, 경보 신호발생부(50)가 다시 작동하게 되면, 화물의 중량 P - r 상태에서 또 다시 중량 r 만큼을 추가로 제거한 후, 다시 곤돌라(1)를 작동시켜 경보 신호발생부(50)가 작동되지 않게 되면 위치조절부재(63)를 봉인하면 되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는 프렘임부, 4는 와이어, 6은 적재함, 54는 전선 캡, 64는 고정너트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11)에 의해 곤돌라(1)상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격판(14)에 의해 형성된 제 1격실(15)에 경보 신호발생부(50)가 설치되고 제 2격실(16)에는 위치조절부재(63)에 의해 상·하 구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리밋 스위치(60)이 설치되며 제 1, 2가이드 로울러(40, 40')과 압축 스프링(42)이 탄설된 지지브라켓(43)에 거치되는 하중감지 로울러(41)가 결합된 몸체부(20)와, 장공부(21)가 결합된 덮개(30)로 이루어진 과부하 방지장치(10)를 구비한 상태에서, 과부하 방지장치(10)를 곤돌라(1)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곤돌라(1)의 프레임(2)상에 고정수단(11)을 이용하여 몸체부(20)를 고정시킨다.
이상태에서, 와이어(4)의 선단을 와이어 입구(12)로 진입시켜 와이어 출구(13)로 빠져 나가도록 하되, 와이어(4)가 제 1가이드 로울러(40)의 내측 외주면 일부분에 접촉되면서 소정의 곡선을 그리며 하중 감지 로울러(41)의 외측 외주면을 감싼 후, 제 2가이드 로울러(40')의 내측 외주면 일부분과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와이어 출구(13)로 빠져 나오도록 한 다음, 덮개(30)를 이용하여 몸체부(20)의 내부를 외부와 차폐시고, 와이어(4)의 선단에 적재함(6)을 결합하면, 곤돌라(1)에 과부하 방지장치(10)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곤돌라(1)에 과부하 방지장치(10)의 설치가 완료된 후, 적재함(6)에 화물을 적재하게 되면, 화물의 중량에 의해 와이어(4)가 팽팽하게 당겨지게 되므로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을 그리며 과부하 방지장치(10) 내에 위치한 와이어(4)의 곡선이 초기상태의 곡률보다 완만한 곡률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4)가 당겨짐에 따라 하중감지 로울러(41)에 하중이 전달되어 장공부(21)를 따라 내측방으로 이동되데, 압축 스프링(42)이 탄설된 지지브라켓(43)과 함께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브라켓(43)의 하방에는 리밋 스위치(60)의 작동편(61)이 위치한 상태이므로 지지브라켓(43)이 이동되면서 이를 터치하게 되어 리밋 스위치(60)가 ' OFF ' 상태에서 'ON ' 상태로 변환된다.
따라서, 리밋 스위치(60)가 ' ON ' 상태가 되면, 경보 신호발생부(50)가 작동되어 제 1, 2램프(51, 52)가 점등되고 부져(55)가 울리게 되며 동시에 곤돌라(1)의 작동이 멈추게 된다. 이때, 리밋 스위치(60)와 경보 신호발생부(50)와 곤돌라(1)의 구동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리밋 스위치(60)의 동작에 따라 연계 동작되는 것이다.
이상태에서, 곤돌라(1)를 다시 작동시켜 화물을 이송하려면, 적재함(6)에 적재된 화물을 일부 제거하여 중량을 감소시키게 되면, 와이어(4)에 전달되는 하중이 작게되어 와이어(4)의 당김이 다소 약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과부하 방지장치(10)의 하중 감지 로울러(41)가 위에서 이동할 때의 역방향으로 일정거리 만큼 이동되는데, 이는 압축 스프링(42)의 복원력에 의해 복귀되는 것이며 지지브라켓(43)도 함께 이동되어 리밋 스위치(60)의 작동편(61)이 해제된다.
따라서, 리밋 스위치(60)가 해제되고 ' ON '상태에서 다시 ' OFF ' 상태가 되므로 경보 신호발생부(50)의 작동이 멈추게 되는 것이다.
이때, 리밋 스위치(60)는 위치조절부재(63)에 의해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그 위치에 따라 곤돌라(1)의 최대 적재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과부하 방지장치를 이용하여 곤돌라의 사용시 과적에 의한 과부하를 감지 및 방지 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1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6)에 중량 A(1ton)를 갖는 화물을 적재한 후, 곤돌라(1)를 작동시켜 적재함(6)을 일정한 높이 S(10㎝)만큼 들어 올리게 되면, 리밋 스위치(60)의 ' ON ', ' OFF ' 또는 곤돌라(1)의 정지 및 작동에 따라 다음 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리밋 스위치(60)가 ' ON ' 상태가 되면, 곤돌라(1)는 정지되고 경보 신호발생부(50)에서 경보음 및 램프가 점등된다. 이는 적재함(6)에 적재된 화물이 최대적재량을 초과하여 과적된 것이므로 곤돌라(1)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곤돌라의 작동이 멈추도록 한 것이다.
이상태에서, 적재된 화물의 중량 A를 중량 α(0.5ton) 만큼 줄이게 되면, 화물에 의해 와이어(4)에 전달되는 하중이 감소된다. 이에, 리밋 스위치(60)가 ' OFF '가 되면, 경보 신호발생부(50)의 작동이 멈추게 되고 곤돌라(1)를 다시 작동시켜 화물을 이송시키면 되는 것이다.
한편, 리밋 스위치(60)가 ' OFF '상태이면, 적재함(6)을 하강시켜 중량 β(1ton) 만큼 추가하여 다시 적재함(6)을 높이 S 만큼 들어 올렸을 때 경보 신호발생부(50)가 작동하게 되면 과적상태이므로 적재된 화물의 중량 A + β에서 중량 α 만큼 줄인 후, 또 다시 곤돌라(1)를 작동시켰을 때 경보 신호발생부(50)가 작동되지 않게 되면, 그 때의 중량이 곤돌라(1)의 최대 적재량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과부하 방지장치(10)를 이용하여 곤돌라(1)의 사용시 초기 과부하를 측정할 수 있으며, 곤돌라(1)의 최대 적재량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곤돌라에 설치가 용이함과 동시에 제작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며, 화물의 이송시 과적에 의한 곤돌라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과부로 인한 와이어 및 구동 모우터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면에 내측으로부터 고정수단(11)에 결합되는 육면체형상의 몸체부(20)와 덮게(30), 정보 신호발생부(50) 및 리밋 스위치(60)로 이루어진 과부하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 양측면 상부에 와이아 입·출구(12, 13)가 형성되고, 상부 양측에는 제1, 2가이드 로울러(40, 40')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단은 압축 스프링(42)이 탄설된 지지브라켓(43)에 거치되고 타단은 몸체부(2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하중 감지로울러(41)가 결합되고, 상기 리밋 스위치(60)는 위치 조절부재(63)에 의해 상·하 구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돌라용 과부하 방지장치.
KR1019970062140A 1997-11-22 1997-11-22 곤돌라용과부하방지장치 KR100246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140A KR100246058B1 (ko) 1997-11-22 1997-11-22 곤돌라용과부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140A KR100246058B1 (ko) 1997-11-22 1997-11-22 곤돌라용과부하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536A KR19990041536A (ko) 1999-06-15
KR100246058B1 true KR100246058B1 (ko) 2000-04-01

Family

ID=19525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2140A KR100246058B1 (ko) 1997-11-22 1997-11-22 곤돌라용과부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60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298B1 (ko) * 2010-11-24 2013-02-18 주식회사 경인기술공사 리프트 과부하 방지장치
KR102374627B1 (ko) * 2020-02-06 2022-03-16 (주)정우프랜트 중량물 주행장치
CN117623130B (zh) * 2024-01-24 2024-04-09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建筑吊篮用警报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536A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6058B1 (ko) 곤돌라용과부하방지장치
JP6662796B2 (ja) 懸吊転回装置
CN109484943B (zh) 一种轿厢下坠减速装置
FR2795060A1 (fr) Dispositif de securite pour technicien ascensoriste permettant d'eviter l'ecrasement de celui-ci entre la cabine et le plafond de la cage
CN209835459U (zh) 一种房屋建筑施工用起吊设备
GB2476704A (en) An elevator safety system
JP2003171089A (ja) 電動巻上機
CN209740542U (zh) 一种起重机
KR102179553B1 (ko) 로프형 승강장치
KR940008468Y1 (ko) 곤도라의 과적방지장치
JP4248660B2 (ja) エレベータの保守装置
JP5612865B2 (ja) 電動昇降式収納庫ユニット
KR930002024Y1 (ko) 호이스트의 로프 이중 감김 방지장치
JP3033362U (ja) 懸垂物落下防止装置
JP2619997B2 (ja) 電動昇降装置
CN219706724U (zh) 充电桩
JPH0755785B2 (ja) 巻胴式エレベーターの巻上装置
JPH0543522Y2 (ko)
CN114436139B (zh) 一种安全型悬臂吊机
CN211257977U (zh) 一种机械防坠落装置
CN215666844U (zh) 一种用于单绳缠绕式矿井提升机的机械防叠绳保护装置
CN219078798U (zh) 一种电梯轿厢过载保护装置
KR950008053Y1 (ko) 기계식 과부하 안전장치를 장착한 곤돌라
JPS6328315Y2 (ko)
CN213894821U (zh) 一种电梯故障开门自动拦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