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5145B1 - 자기헤드의 위치 검출방법 및 자기 디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헤드의 위치 검출방법 및 자기 디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5145B1
KR100245145B1 KR1019960039943A KR19960039943A KR100245145B1 KR 100245145 B1 KR100245145 B1 KR 100245145B1 KR 1019960039943 A KR1019960039943 A KR 1019960039943A KR 19960039943 A KR19960039943 A KR 19960039943A KR 100245145 B1 KR100245145 B1 KR 100245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head
burst pattern
predetermined direction
along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3260A (ko
Inventor
가가미 나오유키
아키라 도키조노
유조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포만 제프리 엘
Publication of KR970023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3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1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11B21/10Track finding or aligning by moving the head ; Provisions for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track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i.e.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5/59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disks

Landscapes

  • Moving Of The Head To Find And Align With The Track (AREA)

Abstract

자기 헤드의 위치를 광범위에 걸쳐 간단한 처리로 검출한다.
특정의 데이터 트랙에 있어서 데이터 트랙의 중심에 대해서 +1/4 트랙폭 만큼 벗어난 위치를 목표위치로서 트랙 추적(track following)하는 경우에서의 물리적 위치와 위치 검출 신호의 대응은 최적 이득[H]이 설정 되지 않았으면, 메인 위치 선정(positioning) 신호 mp 및 슬레이브 위치선정 신호 np로 되고 점 X1에 대응하는 출력과 점 X2에 대응하는 출력 사이에서 전이하여 안정하지 않다. 그래서 이들의 메인 위치선정 신호 mp, 및 슬레이브 위치선정 신호 np의 이득을 미리 구하고, 자기 헤드의 출력 신호로 곱하므로써 이상적인 직선 th에 접근하고, 위치 검출 신호로서 사용하므로써 목표 위치에 근접하여 안정적으로 트랙 추적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자기헤드의 위치 검출방법 및 자기 디스크 장치
본 발명은 자기 헤드의 위치 검출 방법 및 자기 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기 디스크에 버스트 패턴을 기록하여 자기 헤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자기 헤드의 위치 검출 방법 및 자기 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드 디스크 및 플렉시블디스크 등의 자기 디스크에는 동심원 형태로 복수의 데이터 트랙이 형성되어 있다. 자기 디스크에 대하여 정보의 판독 또는 기록을 행하는 경우에는 자기 헤드를 자기 디스크의 반경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 특정의 데이터 트랙에 대응시킨 후에(소위 탐색 동작) 상기 특정 데이터 트랙에 대해서 정보의 판독 또는 정보의 기록이 행해진다. 자기헤드를 특정의 데이터 트랙에 대응시키기(소위 트랙 추적) 위한 자기 헤드의 위치 결정은 주지한 바와 같이 자기 디스크에 반경 방향을 따라 기록된 버스트 패턴을 판독하므로써 행해진다.
상기 헤드를 특정의 데이터 트랙에 용이하게 대응시키기 위한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평성 6-243617호 공보에는 4 종류의 버스트 패턴으로 이루어진 버스트 패턴을 자기 피스크에 기록하여 두고 상기 버스트 패턴으로부터 얻은 4종류의 신호를 이용하여 연산하므로써 얻은 위치 검출 신호로부터 자기헤드를 위치 결정하는 자기 디스크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제8(1)도에는 이 버스트 패턴의 예로서 N-1번째부터 N+2번째의 데이터 트랙 주변을 도시하였다.
제8(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 장치에서는 버스트 패턴은 영역 A, B로 이루어진 메인 버스트 패턴과 영역 C, D로 이루어진 슬레이브 버스트 패턴으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 버스트 패턴은 자기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트랙폭 만큼 벗어난 위치의 영역 A, B에 기록되어 있다. 즉, 데이터 트랙폭과 대략 일치하는 폭의 영역 A를 자기 피스크의 원주 방향(제8도의 화살표 D방향)을 따라 배치함과 더불어 영역 A와 동일 영역 B를 반경 방향(제8도의 화살표 C방향)으로 트랙폭 만큼 벗어나게 자기 디스크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배치하므로써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한 메인 버스트가 형성된다. 또한 영역 B로부터 1/2트랙폭 만큼 벗어난 영역 C 및 영역 C와 동일한 영역 D를 반경 방향으로 트랙폭 만큼 벗어나게 자기 디스크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배치하므로써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슬레이브 버스트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자기 헤드를 자기 디스크의 반경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버스트 패턴의 판독을 행하면 메인 버스트 패턴에 있어서는 제8(2)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화하는 위치 검출신호 MP가 얻어진다. 이 위치 검출 신호 MP는 영역 A에 관한 버스트 패턴을 판독하므로써 얻어진 신호(이하 신호 SA라함)에서 영역 B에 관한 버스트 패턴을 판독하므로써 얻어진 신호(이하, 신호 SB라함)를 뺀 신호를 신호 SA에 신호 SB를 더한 신호로 나눈 신호(SA-SB)/(SA+SB)이다. 또한 제8(2)도에서 횡축은 자기 헤드의 위치(물리적 위치), 보다 상세하게는 자기 헤드에 형성된 갭의 길이 방향 중심 위치(센터)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슬레이브 버스트 패턴에 있어서는 제8(3)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위상이 벗어난 특정의 위치 검출 신호 NP가 얻어진다. 즉, 위치 검출 신호 NP는 영역 C에 관한 버스트 패턴을 판독하므로써 얻어진 신호(이하, 신호SC라고 함)에서 영역 D에 관한 버스트 패턴을 판독하므로써 얻어진 신호(이하, 신호SD라고 함)를 뺀 신호를 신호 SC에 신호 SD를 더한 신호로 나눈 신호(SC-SD)/(SC+SD)이다.
제8(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버스트 패턴에 있어서의 위치 검출 신호는 N번째의 데이터 트랙의 횡방향(제8도의 화살표 D방향) 중심 부근을 통과하는 경우에 직선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것은 다른 데이터 트랙의 폭방향 중심부를 통과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위치 검출 신호의 레벨에 의거하여 자기 헤드의 위치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고, 위치 신호의 레벨에 의거하여 자기 헤드의 중심 부위(상세하게는 자기 헤드의 판독부의 중심부, 소위 갭의 길이 방향의 중심부)가 데이터 트랙의 폭방향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자기 헤드를 위치 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제8(2)도에 도시한 위치 검출 신호는 자기 헤드가 데이터 트랙의 경계 부근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레벨이 대략 일정한 기간이 있다. 이것은 자기 헤드의 판독 부분(갭)의 길이 방향 치수가 데이터 트랙의 폭 치수 보다도 작기 때문에 발생한다. 상기 기간에서는 자기 헤드의 위치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으므로 불감대라고 부르고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의 경계 부근에서는 제8(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레이브 버스트 패턴에 있어서의 위치 검출 신호가 직선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데이터 트랙의 경계 부근에서는 슬레이브 버스트 패턴에 있어서의 위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자기 헤드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데이터 트랙상의 자기 헤드의 위치에 응답하여 메인 버스트 패턴 또는 슬레이브 버스트 패턴에 관한 위치 검출 신호를 전환하므로써 자기 헤드의 이동에 대하여 광범위에 걸쳐서 직선적으로 변화하는 위치 검출 신호를 얻을 수가 있고, 그 신호의 레벨에 의거하여 자기 헤드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고 위치 신호의 레벨에 의거하여 자기 헤드를 위치 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근년 자기 저항소자(이하, MR소자라고 함)를 이용하여 정보의 판독을 행하는 자기 헤드가 제안되고 있다. 자기 저항 소자는 반도체를 자계내에 배치하면 반도체중의 전자나 전공의 진행방향이 자계에 의해 변화하여 주행 경로가 길게 되고, 저항치가 증가한다고 하는 자기 저항 효과를 이용한 소자이다. 이 MR 소자를 이용하여 정보의 판독을 행하는 코일에 의해 정보의 기록을 행하는 자기 헤드에서는 판독용의 갭과 기록용의 갭이 별도로 제공되며, 에러 레이트를 향상시키기 위해 판독용 갭의 길이 방향 치수가 짧게 되어 있다. 물리적 배치의 이유로 판독용의 갭의 길이 방향 중심 위치(센터)와 기록용의 갭의 센터가 벗어나 있다.
따라서, 정보의 기록을 행하는 경우에는 기록용의 갭의 센터가 데이터 트랙의 폭방향 중심부에 일치한 위치, 즉 판독용 갭의 센터가 데이터 트랙의 폭방향 중심부에서 벗어난 위치에 자기 헤드를 위치 정할 필요가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판독용 갭의 길이 방향 치수가 짧으므로 상기 불감대로 되어 있는 기간이 길게 되고, 자기 헤드의 이동에 대해서 위치 검출 신호가 직선적으로 변화하는 선형 영역이 부족하다. 따라서 자기 헤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범위가 대단히 좁아지므로 보다 정확하게 자기 헤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자기 디스크 장치에서는 자기 헤드의 상태 예를 들면, 자기 헤드에 공급되는 전압이나 주위 온도의 변동, 버스트 패턴에 포함된 전기적 오프셋, 자기 기록 시점에서 발생한 오프셋 등에 의해 위치 검출 신호로서 얻어지는 크기가 자기 헤드 마다 변동하거나 자기 디스크의 반경 방향의 위치에 의해 변동하는 일이 있다.
즉, 자기 헤드의 상태나 전기 또는 자기 오프셋 등에 의해 제8(2)도에 점선으로 도시한 위치 검출 신호 mp, 및 제8(3)도에 도시한 위치 검출 신호 np와 같은 기준으로된 위치 검출 신호(실선)으로부터 변동하는 일이 있고, 위치 검출 신호의 크기(예를 들면, 진폭)가 전체 데이터 트랙에 관해서 안정적으로 얻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이 경우 제8(4)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적으로 변화하는 이상적인 위치 검출 신호를 얻는 것이 가능하지 않고, 제8(4)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벗어난 특성으로 된다. 제8(4)도에 잇어서 종축은 위치 검출 신호에서 구한 자기 헤드의 위치를 표시하고, 횡축은 자기 헤드의 물리적 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자기 헤드의 상태나 전기 또는 오프셋 등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트랙 추적을 하기 위한 서보 루프의 이득을 보정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지만 서보 회로 자체의 이득이나 자기 헤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액튜에이터(예를 들면, 자기 헤드를 선회하기 위한 보이스 코일 모터)의 이득 차이 등을 파라미터로서 부가하지 않으면 않되고 위치 검출 신호 자체를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이 때문에 위치 검출 신호는 불안정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과 같이 광범위에 걸쳐 직선적으로 변화하는 위치검출 신호를 얻기 위해서는 최적 위치에서 위치 검출 신호를 전환 하지 않으면 않되지만 자기 헤드의 상태나 전기 및 자기 오프셋 등에 의해 직선적으로 변화하는 위치 검출 신호를 얻을 수가 없으므로, 직선적인 부분에서 벗어난 위치 검출 신호 mp, np(제8(4)도의 점선 부분)에서의 위치 검출로 되고, 정확하게 자기헤드의 위치를 검출할 수가 없다. 따라서 자기 헤드의 동작이 불안전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자기 헤드의 위치를 광범위에 걸쳐 간단한 처리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자기 헤드의 위치 검출 방법 및 자기 디스크 장치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제1도는 본 실시예의 형태에 따른 하드 디스크 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버스트 패턴 기록 영역을 도시하는 디스크의 평면도.
제3도는 데이터 트랙 및 버스트 패턴 기록 영역에 기록된 버스트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4도는 자기 헤드에 형성된 판독갭 및 기록갭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5도는 하드 디스크 장치의 MPU, 자기 헤드 및 그의 주변의 접속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
제6도는 위치 검출 신호와 물리적 위치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
제7도는 자기 헤드를 위치 결정하는 하드 디스크 장치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제8도는 위치 검출 신호와 물리적 위치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드 디스크 장치 18 : 디스크
20 : 자기 헤드 26 : 보이스 코일 모터
32 : MPU 36 : 메모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정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데이터 트랙이 형성되고, 버스트 패턴이 기록된 자기 디스크와 자기 헤드의 소정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상대 위치 각각에 대해서 자기 디스크와 자기 헤드를 상기 소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상대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자기 헤드로부터는 버스트 패턴에 대응하여 신호가 출력된다. 즉 제 1의 변 및 제2의 변이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서 데이터 트랙의 중심부 부근에 각각 대응하고 있으므로 상기 상대 이동에 의해 자기 헤드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자기 헤드가 데이터 트랙의 중심부나 그 부근을 통과하는 경우에 상기 상대 이동에 대해서 변화한다. 이 버스트 패턴은 기록부를 소정 방향을 따라 복수 배열하여 형성한 제 1버스트 패턴군과, 상기 제 1 버스트 패턴군과 소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인접함과 더불어 각각의 기록부가 소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형성되도록 기록부를 소정 방향을 따라서 복수 배열하여 형성한 제 2버스트 패턴군으로 구성할 수가 있다. 이 때 자기 디스크와 자기 헤드와의 상대 위치에 의해 출력 신호의 크기는 변동한다. 즉, 상대 위치와 상대 위치에서의 자기 헤드로부터와 출력 신호의 관계가 변동한다. 예를 들면, 상대 위치에 의해 변하하는 특서의경우에는 그의 구배가 변화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대 위치와 상기 상대 위치에서 상기 버스트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자기 헤드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의 관계를 구하고, 구한 관계가 미리 정해진 관계로 되도록 설정하기 위한 보정치를 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설정에서는 예를 들면 구한 관계가 변화하는 특성의 경우에는 그 구배를 미리 정한 기준으로된 구배로 설정하면 좋다. 이 보정치는 실제로 자기 헤드로부터 출력된 출력 신호를 이상적인 상기의 관계로 되도록 설정, 즉 보정하기 위한 값이므로, 버스트 패턴에 대응하여 자기 헤드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에 보정치를 곱한 값을 이용하여 자기 디스크와 자기 헤드와의 상대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며, 즉 광범위에 걸쳐 자기 헤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소정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데이터 트랙이 형성되고 상기 버스트 패턴과 같이 형성된 메인 버스트 패턴과 상기 메인 버스트 패턴의 기록부에 대해서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서 소정량 위치가 벗어난 기록부를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서 복수 배열하여 형성한 슬레이브 버스트 패턴이 기록된 자기 디스크와 자기 헤드의 소정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상대 위치의 각각에 대해서 자기 디스크와 자기 헤드를 상기 소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서 상대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자기헤드로부터는 각 버스트 패턴에 대응하여 신호가 출력된다. 이 상대 위치와 상기 상대 위치에서 상기 메인 버스트 패턴 또는 슬레이브 버스트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자기 헤드로부터 출력된 출력 신호와의 관계를 구하고,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구한 관계가 미리 정한 관계로 되도록 설정하기 위한 보정치를 구하고 있다. 따라서 위치 결정한 자기 디스크와 자기 헤드와의 상대 위치가 미리 정한 범위내의 경우에는 상기 메인 버스트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자기 헤드로부터 출력된 출력 신호에 보정치를 곱한 값을 이용함과 더불어 미리 정한 범위외의 겅우에는 슬레이브 버스트 패턴에 대응하여 자기 헤드로부터 출력된 출력 신호에 보정치를 곱한 값을 이용하여 자기 디스크와 자기 헤드와의 상대 위치를 검출하면 자기 디스크와 자기 헤드와의 상대 위치 를 광범위에 걸쳐 검출할 수가 있다.
상기 메인 버스트 패턴 및 슬레이브 버스트 패턴의 각각은 상기 기록부를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서 복수 배열하여 형성한 제 1버스트 패턴군과, 상기 제 1버스트 패턴군과 상기 소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인접함과 더불어 각각의 기록부가 상기 소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형성되지 않도록 기록부를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서 복수 배열하여 형성한 제 2버스트 패턴군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자기 헤드의 위치 검출 방법은 소정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데이터 트랙이 형성되고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서 데이터 트랙의 중심 부위 부근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제 1의 변과 상기 제 1의 변과 대향하고 상기 데이터 트랙에 인접하는 데이터 트랙의 중심 부위 부근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제 2의 변에 의해 구획된 영역에 신호가 기록되어 형성된 기록부를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서 복수 배열하여 형성한 메인 버스트 패턴과, 상기 메인 버스트 패턴의 기록부에 대하여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서 소정량 위치가 벗어난 기록부를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서 복수 배열하여 형성한 슬레이브 버스트 패턴이 기록된 자기 디스크와 상기 자기 디스크로부터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자기 헤드와, 상기 자기 디스크와 상기 자기 헤드를 상기 소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상대 이동시키는 경우의 상기 자기 디스크와 상기 자기 헤드의 상기 소정 방향을 따르는 상대 위치와, 상기 상대 위치에서 상기 메인 버스트 패턴 또는 슬레이브 버스트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자기 헤드로부터 출력된 출력 신호와의 관계가 미리 정한 관계로 되도록 설정하기 위한 보정치를 상대 위치에 대응하여 기억한 기억 수단과, 상기 자기 디스크상에 상기 자기헤드를 위치정할 때 상기 자기 디스크와 상기 자기 헤드와의 상대 위치가 미리 정한 범위내의 경우에는 상기 메인 버스트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자기로부터 출력된 출력 신호에 상기 위치 정할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보정치를 곱한 값을 이용함과 더불어 미리 정한 범위외의 경우에는 상기 슬레이브 버스트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자기 헤드에서 출력된 출력 신호에 상기 위치 결정할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보정치를 곱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자기 디스크와 상기 자기 헤드와의 상대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한 디스크 장치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형태의 일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에서는 본 실시예의 형태에 따른 자기 디스크 장치로서의 하드 디스크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하드 디스크 장치(10)는 샤프트(12)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14)를 구비하고 있다. 샤프트(12)에는 서로의 축선이 일치하도록 원통형상의 지지체(16)가 부착되어 있고 지지체(16)의 외주면에는 복수매(제1도에서는 4매)의 자기 디스크로서의 디스크(18A, 18B, 18C, 18D)가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어 부착되어 있다.
디스크(18A 내지 18D)는 소정 두께 치수의 원반 형태로 되어 있으며, 각각 경질의 재료로 제작되고 양면에 자성 재료가 도포되어 있으며, 양면이 기록면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18A 내지 18D)의 중심부에는 지지체(16)의 외경 치수와 거의 동일 직경의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구멍에는 지지체(16)가 삽입되며, 디스크(18A 내지 18D)는 지지체(16)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장치(14)에 의해 샤프트(12)가 회전되면, 디스크(18A 내지 18D)는 지지체(16)와 일체적으로 회전된다.
디스크(18A 내지 18D)의 각각의 기록면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8)의 반경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버스트 패턴 기록 영역(50)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나머지 영역이 데이터 트랙 영역(52)으로 되어 있다. 버스트 패턴 기록 영역(50)에는 신호가 소정의 패턴으로 기록되므로써 버스트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제3도에는 버스트 패턴 기록 영역(50)에 형성된 버스트 패턴 및 데이터 트랙 영역(52)의 일부를 도시한다. 데이터 트랙 영역(52)에는 복수의 데이터 트랙이 반경 향을 따라 동심원상으로 피치 P로 형성되어 있고, 제3도에는 그의 일부인 데이터 트랙(54A, 54B, 54C, 54D)를 도시한다. 각 데이터 트랙은 후술하는 자기 헤드에 의해 디스크(18)의 회전 방향(제3도 화살표 A방향)을 따라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버스트 패턴 기록 영역(50)에 형성되어 있는 버스트 패턴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신호가 기록된 영역(제3도에 해칭으로 도시한 부분)이 데이터 트랙의 배열 방향, 즉 디스크(18)의 반경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4개의 버스트 패턴열(버스트 패턴열 A 내지 D)로 구성되어 있다. 각 버스트 패턴열을 구성하는 각 신호 기록 영역은 디스크(18)의 반경 방향에 따른 치수 및 인접 영역과의 간격이 각각 데이터 트랙(54)의 피치 P와 같은 길이로 되어 있다.
버스트 패턴열 A 및 B는 본 발명의 메인 버스트 패턴을 구성하고 있다. 버스트 패턴열 A의 신호 기록 영역(50a) 및 버스트 패턴열 B의 신호 기록 영역(50b)은 디스크(18)의 반경 방향을 따라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고 각 영역의 디스크의 반경 방향을 따라서 양단부의 변(본 발명의 제 1의 변 및 제 2의 변)이 데이터 트랙(54)의 폭 방향 중심부에 대응하고, 각 영역에 신호가 기록되므로써 버스트 패턴열 A 및 B 가 형성되어 있다.
버스트 패턴열 C 및 D는 본 발명의 슬레이브 버스트 패턴에 대응하고 있다. 버스트 패턴 C의 신호 기록 영역(50c) 및 버스트 패턴열 D의 신호 기록 영역(50d)은 디스크(18)의 반경 방향을 따라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고 각 영역의 디스크의 반경 방향을 따라서 양단부의 변이 인접하는 데이터 트랙 사이의 경계에 대응하고 각 영역에 신호가 기록되므로써 버스트 패턴열 C 및 D가 형성되어 있다. 버스트 패턴 기록 영역(50)에 포함된 영역(50A)에는 패턴 개시를 나타내는 특수 코드(1μsec 정도의 무신호 영역 등) 및 각 데이터 트랙의 어드레스 등을 나타내는 그레이 코드 C순회 2진 부호가 데이터 트랙에 대응하여 기록되어 있다.
하드 디스크 장치(10)는 디스크(18A-18D) 각각의 기록면에 대응하여 설치된 자기 헤드(20A-20H)를 구비하고 있다. 자기헤드(20A-2OH)의 각각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데이터 트랙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 되고, 정보 판독용의 판독 갭(20R)과 정보 기록용의 기록 갭(20W)이 형성되어 있다. 판독 갭(20R)은 기록 갭(20W)과 비교하여 길이 방향 치수가 짧고, 길이 방향 중심 위치(센터)가 판독 갭(20W)의 센터에 대하여 벗어나 있다(벗어난 양을 제4도에서 「a」로 표시).
각 자기 헤드(20)는 판독갭(20R)에 대응하여 설치된 MR소자를 이용하여 정보의 판독을 행하는 도시하지 않은 판독 소자와 기록 갭(20W)에 대응하여 설치된 코일에 의해 정보의 기록을 행하는 도시하지 않은 기록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자기 헤드(20A-20H)는 각각 엑세스 암(22A-22H)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있고, 디스크(18A-18D)의 대응하는 기록면에서 약간(예를 들면 0.1-0.2미크론 정도) 벗어난 위치로 유지되고 있다. 엑세스 암(22A-22H)의 자기 헤드(20)가 부착된 측과 반대측의 단부는 구동 장치(24)에 부착되어 있다.
구동장치는 엑세스 암(22A-22H)에 대응하여 설치된 각 엑세스 암을 이동시켜 보이스 코일 모터(26)(제5도 참조)를 구비하고 있고, 후술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싱 유니트에 의해 보이스 코일 모터(26)가 구동되면, 자기 헤드(20A-20H)가 디스크(18A-18D)의 반경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엑세스 암을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자기 헤드(20A-2OH)는 디스크(18A-18D)의 기록면상의 소정 부위에 대응된다.
각 자기 헤드(20A-20H)는 각각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자기 헤드(20A-20H)의 각각은 거의 동일의 구성이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총칭하여 자기 헤드(20)라고 한다. 자기 헤드(20)의 신호 출력단은 증폭기(28)의 입력단에 접속되며, 자기 헤드(20)의 판독 소자로 부터 출력된 신호는 증폭기(28)에서 증폭된다. 증폭기(28)의 출력단에는 자동 이득 제어기 회로(30)가 접속되어 있다. 자동 이득 제어기 회로(30)는 스위칭 회로(30A, 30B, 30C, 30D)를 구비하고 있고, 증폭기(28)의 출력단에 스위칭 회로(30A, 30B, 30C, 30D)의 일단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증폭기(28)의 출력단은 하드 디스크 제어기(이하 HDC라고 함)(42)에 접속되어 있다.
HDC(42)는 위치 검출 신호로서 메인 위치선정 신호를 연산하기 위한 MPES연산기(62), 슬레이브 위치선정 신호를 연산하기 위한 SPES연산기(60), 패턴 검출회로(46) 및 게이트 펄스 발생기(4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HDC(42)에서는 증폭기(28)의 출력단이 패턴 검출 회로(46)를 거쳐서 게이트 펄스 발생기(48)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게이트 펄스 발생기(48)는 자동 이득 제어기 회로(30)의 스위칭 회로(30A-30D) 및 마이크로 프로세싱 유니트(이하, MPU라 함)(32)에 접속되어 있다.
제5도에서는 스위칭 회로(30A-30D)를 모식적으로 스위치로서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노이즈 제거 필터등으로서도 가능한다. 패턴 검출 회로(46)에 의해 패턴의 개시를 나타내는 코드가 검출된 후, 게이트 펄스 발생기(48)는 자기 헤드(20)가 버스트 패턴열A에 대응할 때에 스위칭 회로(30A)만을 온시키고, 스위칭 회로(30A)로부터 버스트 패턴열A에 대응하는신호(이하, 신호A라고 함)를 출력 시킨다. 자기 헤드(20)가 버스트 패턴열B에 대응할 때에 스위칭 회로(30B)만을 온시키고, 스위칭 회로(30B)에서 버스트 패턴열 B에 대응하는 신호(이하, 신호B라 함)를 출력시킨다.
마찬가지로 자기 헤드(20)가 벗트 패턴열C에 대응한 경우에 스위칭 회로(30C)만을 온 시켜 스위칭 회로(30C)에서 버스트 패턴열C에 대응하는 신호(이하, 신호C라 함)를 출력시킴과 더불어 자기 헤드(20)가 버스트 패턴열D에 대응한 경우에 스위칭 회로(30D)만을 온시켜 스위칭 회로(30D)에서 버스트 패턴열D에 대응하는 신호(이하 신호D라 함)를 출력시킨다.
스위칭 회로(30A)의 다른 단은 MPU(32)에 포함되어 있는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이하, A/D변환기라 함)(34A)의 신호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 회로(30B)의 다른단은 A/D변환기(34B)의 신호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만찬가지로 스위칭 회로(30C, 30D)의 다른단은 A/D변환기(34C, 34D)의 신호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A/D변환기(34A)는 스위칭 회로(30A)에서 출력된 신호A를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A/D변환기(34B)는 스위칭 회로(30B)에서 출력된 신호B를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A/D변환기(34C)는 B를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A/D 변환기는 스위칭 회로(30C)에서 출력된 신호 C를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A/D변환기(34D)는 스위칭 회로(30D)에서 출력된 신호 D를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MPU(32)의 A/D변환기(34A)의 출력단은 MPES연산기(62)의 제1입력단에 접속되고, A/D변환기(34B)의 출력단은 MPES연산기(62)의 제 2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MPU(32)의 A/D변환기(34C)의 출력단은 SPES연산기(60)의 제1입력단에 접속되고, A/D변환기(34D)의 출력단은 SPES연산기(60)의 제 2입력단에 접속되고 있다.
MPU(32)는 후술하는 이득〔H〕이 기억된 메모리(36)를 구비하고 있고, 메모리(36)의 출력단은 MPES연산기(62)의 제3입력단에 접속됨과 더불어 SPES연산기(60)의 제 3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이 메모리(38)는 자기 헤드(20)를 소정의 데이터 트랙으로 이동된 후의 자기 헤드(20)의 벗어난 량(오프셋량)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세트 메모리(38)에 접속되어 있다. 이 세트 메모리(38)에는 도시를 생략한 호스트 컴퓨터측에서 소정의 위치의 데이터 트랙에 응답한 데이터가 입력된다. 즉 존(zone)을 식별하기 위한 소정 위치를 표시하는 값, 및 자기 디스크 장치의 제조시점에서 결정된 소정 위치의 데이터 트랙으로 자기 헤드를 이동(소위 탐색) 시킨후에 자기 헤드를 벗어난 량(오프셋량)등이 입력된다.
MPES연산기(62)의 출력단은 섹터(64)의 한쪽의 입력단에 접속되고, SPES연산기(60)의 출력단은 셀렉터(64)의 다른쪽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MPES연산기(62)에서는 제 1입력단 내지 제 3입력단에 입력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인 위치선정 신호를 연산하여 출력한다. SPES연산기(60)에서는 제 1입력 내지 제 3입력단에 입력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레이브 위치선정 신호를 연산하여 출력한다.
상술의 MPES연산기(62) 및 SPES연산기(60)의 출력단의 각각은 비교기(63)의 입력단에도 접속되어 있다. 이 비교기(63)는 MPES연산기(62) 및 SPES연산기(60)의 각각에서 출력된 신호(메인 위치선정 신호 및 슬레이브 위치선정 신호)를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출력한다. 즉, 이 비교기(63)는 각 입력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므로써 자기 헤드(20)의 위치가 데이터 트랙의 중앙부에서 소정치(예를 들면 ±1/4트랙폭) 이내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기 위한 것으로, 비교 결과의 데이터가 자기 헤드(20)가 소정치 이내의 값에 대응하는 경우에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 비교기(63)의 출력단은 셀렉터(64)의 제어단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비교 결과에 의해 예를 들면, 자기 헤드(20)의 위치가 ±1/4트랙폭 이내라고 판별되면, 셀렉터(64)로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셀렉터(64)에서는 제어단에 하이 레벨의 신호가 입력되면, MPES연산기(62)에서의 데이터를 출력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SPES연산기(60)에서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전환한다.
셀렉터의 출력단은 서보 제어기(40) 및 드라이버(44)를 거쳐서 보이스 코일 모터(이하 VCM이라 함)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소정치(예를 들면, ±1/4트랙폭) 이내의 오프셋량의 경우에는 MPES연산기(62)에서의 데이터, 그 이외의 경우는 SPES연산기(60)에서의 데이터가 셀렉터(64)에서 출력되며, 이 값에 의거하여 서보 제어기(40)에서 서보 제어기용으로 신호가 출력되고, 드라이버(44)에서 VCM(26)의 드라이브 신호로 되어 VCM(26)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VCM(26)이 구동되며, 자기 헤드(20)가 소정 위치에서 트랙 추적된다.
MPU(32)에 있어서 A/D변환기(34A-34D)에서 출력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자기 헤드(20)의 위치를 판별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MPES연산기(62) 및 SPES연산기(60)에 따른 연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1데이터 트랙의 위치는 0에서 255(0hex-FFhex)까지의 디지탈값으로 나타낸 것으로 한다. 따라서 데이터 트랙의 중심 위치는 80hex로 된다. 본 실시의 형태의 MPES연산기(62)에서는 다음식(1)에서 구한 값을 메인 위치 선정 신호(위치 검출 신호 MPES)로서 출력하고 SPES연산기(60)에서는 다음 수학식(2)에서 구한 값을 슬레이브 위치선정 신호(위치 검출 신호 SPES)로서 출력한다.
단, Ad : 신호 A의 디지탈값
Bd : 신호 B의 디지탈값
Cd : 신호 C의 디지탈값
Dd : 신호 D의 디지탈값
〔H〕: 이득(임의의 값)
상기 수학식(1) 및 수학식(2)에서 구한 위치선정 신호는 이득〔H〕이 최적치로 되지 않는 경우에는 종래의 기술란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자기 헤드(20)의 동작이 불안정하게 된다.(제8도 참조)
이 최적 이득〔H〕으로 설정하기 위한 교정(캘리브레이션)은 다음과 같이 한다.
순서1 : 이득〔H〕의 초기치〔H0〕로서 임의의 값(예를 들면, 〔H0〕=40hex)을 설정함과 더불어 교정하고자 하는 자기 헤드(20), 디스크, 및 데이터 트랙(실린더)을 설정한다, 이 교정하고자 하는 자기 헤드(20), 디스크 및 데이터 트랙에 있어서 데이터 트랙의 중심(80hex)에 대하여 +1/4트랙폭 만큼 벗어난 위치(예를 들면 제8도의 N번째의 데이터 트랙에 있어서의 목표위치C0hex에 강제적으로 트랙 추적을 행한다.
순서2 : 순서1에 있어서의 상태에서 상기 수학식(1)에 따라서 메인 위치선정 신호의 값을 소정수 추출하고 그 평균치를 구한다. 그 평균치를 MPES_0으로 한다.
순서3 : 다음 수학식(3)을 이용하여 최적 이득〔H〕를 구한다.
이와 같이 1/4트랙폭 만큼 벗어난 위치에서는 메인 위치선정 신호와 슬레이브 위치선정 신호와의 관계에서 자기 헤드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하는 위치 검출 신호(PES신호)가 전이하면서 트랙 추적을 행하고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의 메인 위치 선정 신호(MPES신호)의 평균치는 그 자기 헤드의 상태에 있어서의 목표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되고, 이 평균치를 목표 위치를 표시하는 값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이득〔H〕의 값이 최적치라고 상정된다.
순서4 : 이상의 순서 1 내지 순서 3의 순서를 자기 디스크 장치의 교정하고 싶은 자기 헤드(20), 디스크, 및 데이터 트랙 전체의 조합에 대하여 행하고, 각 이득〔H〕을 구한다.
이상과 같이하여 이득〔H〕가 구해지면 자기 헤드(20), 및 데이터 트랙 전체의 조합에 대해서 최적 이득이 정해지고, HDC에서는 최적 위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8도의 N번째의 데이터 트랙에 있어서 데이터 트랙의 중심에 대하여 +1/4트랙폭 만큼 벗어난 위치(C0hex)를 목표 위치로서 트랙 추적하는 경우에 있어서 물리적 위치와 위치 검출 신호와의 대응은 최적 이득〔H〕가 설정되지 않으면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위치선정 신호 mp, 및 슬레이브 위치선정 신호 np로 되고, 점 X1에 대응하는 출력과, 점 X2에 대응하는 출력과의 사이에서 전이하여 안정하지 않다. 즉, 메인 위치선정 신호 mp 및 슬레이브 위치선정 신호 np의 접선의 구배가 이상적인 직선 th에서 변화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이들의 메인 위치선정 신호 mp 및 슬레이브 위치선정 신호 np의 이득을 미리 구하고, 상기 수학식(1) 및 (2)와 같이 곱하므로써 이상적인 직선 th에 근접하고 있다. 따라서 얻어진 신호는 메인 위치선정 신호 MP 및 슬레이브 위치 선정 신호 NP로 되고 목표위치로서 +1/4트랙폭 만큼 벗어난 위치 근방에서 안정적으로 트랙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인 위치선정 신호 MP와 슬레이브 위치선정 신호 NP간의 전환도 원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자기 디스크 장치의 제조시에 각 이득〔H〕를 미리 구해 놓고 구한 이득〔H〕를 메모리(36)에 미리 기억하고 있다.
또한 이득〔H〕는 자기 헤드(20), 디스크, 및 데이터 트랙의 전체 조합에 대해서 최적치를 갖는지 데이터 트랙은 트랙폭이 협폭화가 진행되고 있으므로,인접하는 데이터 트랙 사이에서는 큰 변동이 작아지지 않은 것이 예상된다. 이 때문에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매의 디스크를 반경방향으로 복수의 존(제2도의 예에서는 4개의 존Zone-0∼Zone-3)으로 분할하고, 이하의 표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존마다 이득〔H〕을 테이블화하여 기억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테이블화에 의해 이득〔H〕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 용량을 작게 할 수가 있고, 최적치를 구하는 처리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이들 이득〔H〕은 디스크에 기록하여 두고 전원 투입시점 등의 미리 정한 경우에 판독하도록 하여도 좋다.
단, 20A∼20H : 자기 헤드
Zone-i : 존을 표시하는 식별자
HDij : 이득〔H〕의 값
(i=0, 1, 2, 3, j=1, 2, …,8)
다음에 본 실시예의 형태의 하드 디스크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특정의 데이터 트랙에 소정의 오프셋량으로 트랙 추적하도록 요구되면 세트 메모리에 그 내용이 세트된다. 이 경우 미리 탐색 동작이 이루어지고, 자기 헤드(2)로부터는 메인 버스트 패턴 및 슬레이브 버스트 패턴에 대응하는 신호가 출력되며, 신호 A 내지 신호 D가 스위칭 회로(30A 내지 30D)에서 출력된다. 이들 신호 A 내지 신호 D의 진폭에 대응하는 디지탈값이 A/D변환기(34A 내지 34D)에서 출력되고 MPES연산기(62) 및 SPES연산기(60)에서 판독된다. 이때 셋트 메모리(38)에 셋트된 데이터 트랙의 위치(존) 및 오프셋량에 대응하여 최적 이득〔H〕가 메모리(36)에서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MPES연산기(62) 및 SPES연산기(60)에서는 상기 수학식(1) 및 (2)를 이용하여 각 위치 선정 신호가 출력된다. 셀렉터(64)에는 위치 검출 신호 PES로서 MPES연산기(62) 및 SPES연산기(60)의 어느것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는지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세트 메모리에서 입력되는데, 자기헤드(2)의 위치에 대응하여 MPES연산기(62) 및 SPES연산기(60)의 어느것의 출력 신호가 서보 제어기(40)로 출력된다. 이 셀렉터(64)에서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서보제어기(4)에서 서보제어용의 신호가 출력되고, 드라이버(44)에서 VCM(26)의 드라이브 신호로되어 VCM(26)에 공급되므로써 VCM(26)이 구동되며, 자기 헤드(20)가 최적 소정 위치로 트랙 추적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디스크의 부위에 의해 오ㅍ셋 량이 다른 경우 또는 판독 소자와 기록 소자가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MR효과를 갖는 자기 헤드에 의해 트랙 추적하는 경우에 소정 오프셋량을 갖는 자기 헤드를 서보 제어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자기 헤드의 출력 신호에서 얻어진 위치 검출신호를 보정하기 위한 이득을 미리 기억한 데이터 또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구하고 있는데, 재생된 자기 헤드의 출력 신호에서 확실하게 자기 헤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최적 위치에서 충실하게 헤드를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기 헤드 개개마다 차이가 생긴 경우에 있어서도 최적 이득을 설정하므로써 그 개개의 차이를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광범위에 걸쳐 선형적인 위치 검출 신호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장착 오차나 디스크의 형태 등에 의해 디스크의 부위 마다 차이가 생긴 경우에 있어서도 최적 이득을 설정하므로써 그 부위에서의 차이를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디스크 전체 범위에 걸쳐 선형적인 위치 검출 신호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이득을 미리 구하여 구한 이득을 메모리나 테이블에 기억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축차연산에 의해 구해도 좋다. 정기적으로 이득을 연산하고 기억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정기적으로 여산 기억하므로써 기계적인 경시적 변화나 전기적인 경시 변화가 수반한 이득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하드웨어블럭적으로 자기 헤드의 서보 제어를 행하는 설명을 하였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의 일례를 제7도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7도의 스텝(100)에서는 디스크에 대한 자기 헤드(20)의 탐색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 탐색 처리는 도시하지 않은 호스트 컴퓨터등에서의 지시(유저의 코맨트등)에 의해 데이터 기록 처리, 데이터 재생처리 및 포맷 처리 등의 설정에 따라 정해지는 데이터 트랙으로 자기 헤드를 이동하는 처리이다. 이 경우에는 자기 헤드의 목적 위치 및 자기 헤드의 오프셋량등이 설정된다. 다음의 스텝(102)에서는 디스크로부터 버스트 패턴을 판독한다. 즉,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버스트 패턴에 대응하는 각 신호(신호 A, B)의 각 진폭의 크기인 아날로그 신호가 A/D변환기(34A, 34B)에서 디지탈 부호화된다. 마찬가지로 슬레이브 버스트 패턴에 대응하는 각 신호(신호 C, D)의 각 진폭의 크기인 아날로그 신호가 A/D변환기(34C, 34D)에서 디지탈 부호화된다. 다음의 스텝(104)에서는 스텝(100)에서 정해지는 데이터 트랙의 위치 및 오프셋량에 대응한 이득〔H〕가 설정된다. 이 이득〔H〕의 설정은 상기와 같이 미리 정한 메모리나 디스크에 기억한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하여도 좋고, 상기 순서로 기재된 바와 같이 하여 구하여도 좋다. 다음의 스텝(106)에서는 각 버스트 패턴에서의 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탈값 Ad 내지 Dd 및 이득〔H〕을 이용하고, 상기 수학식(1) 및 (2)를 참조하여 메인 위치선정 신호 및 슬레이브 위치선정 신호를 구한다. 다음에 스텝(108)에서 목적으로하는 자기 헤드의 위치가 ±1/4트랙폭 이내의 오프셋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긍정 판단의 경우에는 스텝(110)에서 메인 위치선정 신호를 출력하고, 부정 판단의 경우에는 스텝(112)에서 슬레이브 위치선정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스텝(110) 또는 스텝(112)에서 출력된 신호가 위치 검출 신호(PES값)로 된다. 다음에 스텝(114)에서는 위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자기 헤드(20)가 트랙 추적하도록 엑세스 암을 구동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 위치와, 상기 상대 위치에서 버스트 패턴에 대응하여 자기 헤드로부터 출력된 출력 신호와의 관계를 구하고, 구한 관계가 미리 정한 관계로 되도록 설정하기 위한 보정치, 예를 들면,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특성의 경우에는 그의 구배를 미리 정한 구배로 설정하도록 보정치를 구하고 있는데, 보정치는 실제로 자기 헤드로부터 출력된 출력 신호를 이상적인 상기 관계로 보정하기 위한 값이며, 버스트 패턴에 대응하여 자기 헤드로부터 출력된 출력 신호에 보정치를 곱한 값을 이용하여 광범위에 걸쳐 자기 헤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기 디스크와 자기 헤드와의 상대 위치가 미리 정한 범위내의 경우에는 메인 버스트 패턴에 대응하여 자기 헤드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에 보정치를 곱한 값을 이용함과 더불어 미리 정한 범위외의 경우에는 슬레이브 버스트 패턴에 대응하여 자기헤드로부터 출력된 출력 신호에 보정치를 곱한 값을 이용하여 자기 디스크와 상기 자기 헤드와의 상대 위치를 검출하고 있는데, 위치 검출 신호를 전환하여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각각의 출력 신호는 최적값으로 되며, 오차가 발생하는 일이 없고 보다 광범위로 안정하게 자기 헤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소정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데이터 트랙이 형성되고,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 데이터 트랙의 중심 부위 부근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제 1의 변과 상기 제 1의 변과 대향하고 상기 데이터 트랙에 인접하는 데이터 트랙의 줌심 부위 근방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제 2의 변에 의해 구획된 영역에 신호가 기록되어 형성된 기록부를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서 복수 배열하여 형성한 버스트 패턴이 기록된 자기 디스크와, 상기 자기 디스크로부터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자기 헤드와,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 복수의 상대 위치의 각각에서 상기 자기 디스크와 상기 자기 헤드를 상기 소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상대 이동시키고, 상기 상대 위치와, 상기 상대 위치에서 상기 버스트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자기 헤드에서 출력된 출력 신호와의 관계를 구하며, 구한 관계가 미리 정한 관계로 되도록 설정하기 위한 보정치를 구하며, 상기 버스트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자기 헤드에서 출력된 출력 신호에 상기 보정치를 곱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자기 지스크와 상기 자기 헤드와의 상대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헤드의 위치 검출 방법.
  2. 소정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데이터 트랙이 형성되고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서 데이터 트랙의 중심 부위 부근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제 1의 변과 상기 제 1의 변과 대향하고 상기 데이터 트랙에 인접하는 데이터 트랙의 중심 부위 근방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제 2의 변에 의해 구획된 영역에 신호가 기록되어 형성된 기록부를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서 복수 배열하여 형성한 버스트 패턴이 기록된 자기 디스크와, 상기 자기 디스크로부터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자기 헤드와,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 복수의 상대 위치의 각각에서 상기 자기 디스크와 상기 자기 헤드를 상기 소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상대 이동시키고, 상기 상대 위치와 상기 상대 위치에서 상기 버스트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자기 헤드에서 출력된 출력 신호와의 관계를 구하며, 구한 관계가 변화하는 경우의 특성의 구배를 미리 정한 구배로 설 정하기 위한 보정치를 구하며, 상기 버스트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자기 헤드에서 출력된 출력 신호에 상기 보정치를 곱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자기 디스크와 상기 자기 헤드와의 상대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헤드의 위치 검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패턴은 상기 기록부를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 복수배열하며 형성한 제 1버스트 패턴군과, 상기 제 1버스트 패턴군과 상기 소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인접함과 더불어 각각의 기록부가 상기 소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형성되지 않도록 기록부를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서 복수 배열하여 형성한 제 2버스트 패턴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헤드의 위치 검출 방법.
  4. 소정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데이터 트랙이 형성되고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서 데이터 트랙의 중심 부위 부근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제 1의 변과 상기 제 1의 변과 대향하고 상기 데이터 트랙에 인접하는 데이터 트랙의 중심 부위 근방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제 2의 변에 의해 구획된 영역에 신호가 기록되어 형성된 기록부를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서 복수 배열하여 형성한 메인 버스트 패턴과 상기 메인 버스트 패턴의 기록부에 대하여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서 소정량 위치가 벗어난 기록부를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서 복수 배열하여 형성한 슬레이브 버스트 패턴이 기록된 자기 디스크와 상기 자기 디스크에서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자기 헤드와,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 복수의 상대 위치의 각각에서 상기 자기 디스크와 상기 자기 헤드를 상기 소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상대 이동시키고, 상기 상대 위치와, 상기 상대 위치에서 상기 메인 버스트 패턴 또는 슬레이브 버스트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자기 헤드에서 출력된 출력 신호와의 관계를 구하며, 구한 관계가 미리 정한 관계로 되도록 설정하기 위한 보정치를 구하며, 위치 결정할 자기 디스크와 상기 자기 헤드와의 상대 위치가 미리 정한 범위내의 경우에는 상기 메인 버스트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자기 헤드에서 출력된 출력 신호에 상기 보정치를 곱한 값을 이용함과 더불어 미리 정한 범위외의 경우에는 상기 슬레이브 버스트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자기 헤드에서 출력된 출력 신호에 상기 보정치를 곱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자기 디스크와 상기 자기 헤드와의 상대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헤드의 위치 검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버스트 패턴 및 슬레이브 버스트 패턴의 각각은 상기 기록부를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서 복수 배열하여 형성한 제 1버스트 패턴군과, 상기 제 1버스트 패턴군과 상기 소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인접함과 더불어 각각의 기록부가 상기 소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형성되지 않도록 기록부를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서 복수 배열하여 형성한 제 2버스트 패턴군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헤드의 위치 검출 방법.
  6. 소정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데이터 트랙이 형성되고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서 데이터 트랙의 중심 부위 부근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제 1의 변과 상기 제 1의 변과 대향하고 상기 데이터 트랙에 인접하는 데이터 트랙의 중심 부위 근방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제 2의 변에 의해 구획된 영역에 신호가 기록되어 형성된 기록부를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서 복수 배열하여 형성한 메인 버스트 패턴과, 상기 메인 버스트 패턴의 기록부에 대하여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서 소정량 위치가 벗어난 기록부를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서 복수 배열하여 형성한 슬레이브 버스트 패턴이 기록된 자기 디스크와, 상기 자기 디스크에서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자기 헤드와, 상기 자기 디스크와 상기 자기 헤드를 상기 소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상대 이동될 때의 상기 자기 디스크와 상기 자기 헤드의 상기 소정 방향을 따르는 상대 위치와, 상기 상대 위치에서 상기 메인 버스트 패턴 또는 슬레이브 버스트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자기 헤드로부터 출력된 출력 신호와의 관계가 미리 정한 관계로 되도록 설정하기 위한 보정치를 상대 위치에 대응하여 기억한 기억 수단과, 상기 자기 디스크상에 상기 헤드를 위치정할 때 상기 자기 디스크와 상기 자기 헤드와의 상대 위치가 미리 정한 범위내의 경우에는 상기 메인 버스트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자기 헤드로부터 출력된 출력 신호에 상기 위치 정할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보정치를 곱한 값을 이용함과 더불어 미리 정한 범위외의 경우에는 상기 슬레이브 버스트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자기 헤드에서 출력된 출력 신호에 상기 위치 결정할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보정치를 곱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자기 디스크와 상기 자기 헤드와의 상대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디스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버스트 패턴 및 슬레이브 버스트 패턴의 각각은 상기 기록부를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서 복수 배열하여 형성한 제 1버스트 패턴군과, 상기 제 1버스트 패턴군과 상기 버스트 패턴군과 상기 소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인접함과 더불어 각각의 기록부가 상기 소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형성되지 않도록 기록부를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서 복수 배열하여 형성한 제 2버스트 패턴군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디스크 장치.
KR1019960039943A 1995-10-24 1996-09-14 자기헤드의 위치 검출방법 및 자기 디스크 장치 KR1002451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595995 1995-10-24
JP95-275959 1995-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260A KR970023260A (ko) 1997-05-30
KR100245145B1 true KR100245145B1 (ko) 2000-02-15

Family

ID=1756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943A KR100245145B1 (ko) 1995-10-24 1996-09-14 자기헤드의 위치 검출방법 및 자기 디스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872677A (ko)
KR (1) KR1002451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0364B2 (ja) * 1997-12-25 2000-08-28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ション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シーク制御装置
JP2000132932A (ja) 1998-10-26 2000-05-12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ヘッド位置サーボの補正方法およびディスク装置
JP2002260355A (ja) * 2001-02-27 2002-09-13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回転記録装置の検査方法および回転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0468A (en) * 1982-05-10 1993-06-15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Disk drive with constant bandwidth automatic gain control
EP0141499A1 (en) * 1983-08-31 1985-05-15 Memorex Corporation Disk drive servo techniques
US4816941A (en) * 1987-09-16 1989-03-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k file digital servo control system with optimized sampling rate
US5189571A (en) * 1990-04-30 1993-02-23 Seagate Technology, Inc. Adaptive settle time minimization for a hard disk drive
JP2608220B2 (ja) * 1992-01-31 1997-05-07 富士通株式会社 磁気ディスク装置のポジション感度調整方法
US5510939A (en) * 1992-07-16 1996-04-23 Micropolis Corporation Disk drive with adaptive positioning
JPH06243617A (ja) * 1993-02-19 1994-09-02 Toshiba Corp 磁気ディスク装置及びリード再生用集積回路
US5566034A (en) * 1994-06-03 1996-10-15 Quantum Corporation Off-track detection with charge redistribution A/D circu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260A (ko) 1997-05-30
US5872677A (en) 1999-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9107B1 (en) Hard disk drive having self-written servo burst patterns
US4969059A (en) Offset nulling system for computer disk drives
US8559125B2 (en) Seamless and untrimmed primary servo burst with multiple secondary servo bursts
US5867353A (en) Off-track PES calibration for a magneto-resistive element
US5196970A (en) Magnetic disc apparatus
US7265936B1 (en) Algorithm for DSA/microactuator total loop gain calibration
US62595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rd disk drive with self-servowriting capability
US5659438A (en) Head positioning control system using stored voice coil motor correction data
US645645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k drive seek control
US5615063A (en) Magnetoresistive head bias current switching based on skew angle
KR100245145B1 (ko) 자기헤드의 위치 검출방법 및 자기 디스크 장치
JP3078224B2 (ja) 磁気ディスク装置及びそれに適用するヘッド位置決め制御システム
US6867943B2 (en) Efficient feedforward compensation for repeatable runout in a disc drive
US6646824B1 (en) Head-position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a disk device
JP3282973B2 (ja) ヘッドの位置検出方法及び磁気ディスク装置
US5687038A (en) Servo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head position for a hard disk drive
US5773948A (en) Servo control gain correction method of disk recording system
JP2635912B2 (ja) 磁気ヘッドの位置検出方法及び磁気ディスク装置
US6091566A (en) Magnetoresistive head and hard drive system having offsets from center of the servo area to minimize microjogging
US5805373A (en) Head position error compensation in disk drives
US6700730B1 (en) Method of using an integral parameter for correct placement of a read/write head
JPS62204476A (ja) デイスク装置
JP2633479B2 (ja) Mrヘッドのサーボ方法及びハードディスクシステム
JP2603988B2 (ja) ディスク装置
JPS60193177A (ja) 磁気ヘツド位置設定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