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3960B1 - 중복 네트워크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그널링 방법 - Google Patents

중복 네트워크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그널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3960B1
KR100243960B1 KR1019920005424A KR920005424A KR100243960B1 KR 100243960 B1 KR100243960 B1 KR 100243960B1 KR 1019920005424 A KR1019920005424 A KR 1019920005424A KR 920005424 A KR920005424 A KR 920005424A KR 100243960 B1 KR100243960 B1 KR 100243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ignaling link
elements
function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5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0879A (ko
Inventor
듀안오.보우커
Original Assignee
죤 제이.키세인
아메리칸 텔리폰 앤드 텔레그라프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472056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4396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죤 제이.키세인, 아메리칸 텔리폰 앤드 텔레그라프 캄파니 filed Critical 죤 제이.키세인
Publication of KR920020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0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3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39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0Applications of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수의 네트워크 스위치로 형성된 통신 네트워크 연결상에 신호 링크에 신호 링크를 설치하는 설비가 제공되어져, 상기 연결상에서 한 스위치가 또다른 스위치와 연락할 수 있다. 상기 설비는 상기 연결상에서 이동하는 신호가 특별한 기능하게 놓여있는 횟수를 제어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Description

중복 네트워크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그널링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실행하는 전기 통신 네트워크의 개략적 블록도.
제2도는 제1도 네트워크의 톨 스위치(toll switches) 또는 노드(nodes)에 의해 확립될 수 있는 다중 경로 접속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다중 경로 접속내의 많은 점들(points)에 배치되는 신호 처리기의 개략도 블럭도.
제4도는 제2도의 다중 경로의 한 점에서 본 발명에 따라 부여될 수 있는 시그널링 링크(signaling link)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50 : 지역 중앙 교환국 100 : 네트워크
101, 102, 103, 104, 106, 107 : 경로(path)
105, 110, 115 및 120 : 톨 스위치
본 발명은 전기 통신 네트워크, 특히, 네트워크 접속의 확립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요소(element)(노드(nodes))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것처럼, 전기 통신 네트워크의 기능은 발호국(calling station)과 피 발호국(called station) 사이에 접속을 확립하는 것이다. 그러한 접속이 일단 확립되면, 발호국과 피발호국은 음성 신호와 같은 신호를 서로 교환하기 시작할 수 있게 된다. 통상, 상기 접속(connection) 또는 경로(path)에서의 요소(element)들은 그러한 신호들의 전송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예컨대, 주로 네트워크 접속내에 통상 포함되는 에코 제거기(echo canceler)는, 수신되는 음성 신호로부터 소위 에코 신호를 제거하여 에코 신호가 음성 신호의 진원지(the source of the speech signals), 즉 전화 스테이션 세트로 반송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하나의 예로서, 접속에 포함된 다른 네트워크 요소는, 네트워크를 통과하는 신호에 대해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예컨대 어떤 네트워크 요소는, 기저 대역, 예컨대 100Hz와 300Hz 사이에 존재하는 음성 신호의 레벨을 선택적으로 상승시키도록 기능할 수도 있다.
즉, 네트워크 접속(network connection)을 통한 음성 신호의 전송은, 그러한 신호를 다수의 다른 신호 처리 기능에 의해 처리시킴으로써 강화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상황하에서, 신호들이 동일한 신호 처리 기능에 의해 여러 번에 걸쳐 처리된다면 상기 신호들의 품질이 실제로 떨어질 수 있다. 예컨대, 기저대역 음성신호의 레벨을 선택적으로 상승시키는 상기 기능이 그러한 신호에 여러 번에 걸쳐 적용된다면, 대역(band)의 다른 부분에 비해 기저대역 음성 신호의 레벨이 극도로 높아지며, 그로 인해 상기 음성 신호는 아마도 수신 전화 스테이션 세트에 전송되기 전에 왜곡될 것이다. 또 하나의 예로서, 전술된 것처럼, 음성 신호에 에코 제거 처리를 행하여 에코 신호를 제거하는 것이 유리하다. 하지만 네트워크 접속(network connection)에 존재하는 추가의 에코 제거기에 음성 신호를 통과시키는 것은 음성 신호의 품질을 개선시키지 않는다. 실제로, 그렇게 한다면, 에코 제거처리의 부산물인 소위 양자화 왜곡(quantization distortion)의 레벨이 증가하기 때문에 음성 신호의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신호 등이 특징 네트워크 기능에 의해 처리되는 횟수를 제어하는 필요성이 있다.
전기 통신의 스위칭 및 시그널링의 기술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특정 네트워크 요소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발전되고 있는데,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그러한 요소들의 첫번째 임무는 다른 요소들에게 그 기능을 수행하지 말 것을 통지하는 것이다. 특히,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요소는, 본 발명에 따라서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간단한 시그널링 링크(signaling link)를 확립함으로써 다른 요소들에게 그런 사실을 통지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접속내의 유사한 요소들이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배제시킨다. 따라서 접속내에 배치된 네트워크 요소는 시그널링 링크가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근거하여 특정 네트워크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20Hz인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가 상기 시그널링 링크를 구현하는 데에 이용되는데, 여기서,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가 역시 20Hz의 신호를 발생시켜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그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그 신호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는 다른 요소들은 그 기능이 수행되었음을 통지 받는다. 따라서, 통지 받은 요소들은 그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것이다.
제1도에 따르면, 종래의 전기 통신 네트워크(100)의 단순화된 블록도가 도시된다. 공지된 것처럼, 네트워크(100)는 특히 다수의 톨 오피스(toll offices)(노드)를 구비하는데, 이들은 도면에서 예컨대 톨 오피스(105,110,115 및 120)로 도시된다. 그러한 톨 오피스(toll offices)는 서로 접속되어, 스테이션 S1과 S2에 관련된 전화 사용자들과 같은 네트워크(100) 가입자들에 대해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접속을 제공한다. 사용자들 예컨대 스테이션 S1과 S2에 관련된 사용자들간에 네트워크(100) 전화 접속을 확립하는 방법은 잘 알려져 있으며 여기에서는 논의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전화 사용자, 예컨대 S1의 사용자가 스테이션 S1을 "오프-훅"("off-hook")하여, 피발호측, 예컨대 스테이션 S2의 사용자와 관련된 전화번호를 거는 것에 의해 그러한 접속이 확립될 수도 있다. 스테이션 S1을 지원하는 지역 중앙 교환국(Local Central Office(C0))(25)은 걸려진 번호의 숫자들을 수집하여 네트워크(100) 톨 오피스, 예컨대 톨 오피스(105)(여기에서 톨 스위치(TS)로도 언급된다)에 접속(101)을 확립한다.
다음에, 톨 오피스 또는 스위치(105)는, 지역 중앙 교환국으로부터 수신된 걸려진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톨 스위치(120)와 같은 소위 목적지 톨 스위치에 접속(102)을 확립한다. 다음에, 목적지 톨 스위치(120)는 경로(106)를 통해, 스테이션(S2)을 지원하는 CO(50)까지 접속을 연장하여, 걸려진 전화번호를 상기 CO에 전달한다. 이 CO(50)는 상기 전화번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스테이션 S2까지 접속을 연장시킨다. 이로써, 스테이션 S1과 S2에 관련된 각각의 사용자들은 톨 스위치(105)와 톨 스위치(120) 사이에 직통의 경로(102)를 포함하는 확립된 접속을 통해 서로간에 대화를 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그러한 톨 스위치간의 직통의 경로가 항상 확립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그러한 상황은 직통 경로에 의해 전달되는 통화 레벨이 임계 레벨에 도달될 때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있어서 직통 경로는 "봉쇄된(blocked)" 것으로 표시될 것이다. 따라서, 봉쇄된 경로의 양단에 접속된 톨 스위치간의 이후의 통화는, 하나 이상의 다른 톨 스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는 대체 경로(alternate path)를 통해 이루어질 것이다. 예컨대, 상기 예에서 경로(102)가 봉쇄된 것으로 표시될 경우, 톨 스위치(110 또는 115)와 같은 하나 이상의 중간 톨 스위치를 통해 톨 스위치(105 및 120) 사이의 대체 접속이 확립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종점에서 종점까지의 접속은, 예컨대, 톨 스위치(105 및 115)간의 경로(103)와 톨 스위치(115 및 120)간의 경로(104)와 같은 다중 경로를 포함할 것이다.
네트워크(100)와 같은 어떤 네트워크에 있어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예컨대 음성 또는 다른 유형의 신호들을 필터링하도록 동작하는 신호 처리장치가, 톨 스위치와 톨간 네트워크(intertoll network)의 인터페이스에 통상 사용된다. 예컨대, 그러한 톨 스위치(105)와 네트워크(톨간) 경로(102,103 및 106) 각각의 인터페이스에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톨간 경로의 다른 종점들도 상기 장치를 사용하여 노드(120,115 및 110)와 각각 인터페이스할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인터페이스의 결과로서, 다중 경로를 구비하는 네트워크(100) 접속은 음성 또는 다른 신호들을 여러 가지 신호 처리 기능에 의해 처리할 수 있으며, 이것은 그런 신호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예컨대, 스위치(105(120))와 경로(103(104))의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신호처리 장치는, 스테이션 S1(S2)에 의해 송신된 신호에 대해, 에코를 제거하거나, 기저대역 내의 신호의 레벨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등의 특정 처리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할 것이다. 유사하게, 경로(103(104))와 스위치(115)의 인터페이스에 사용하는 신호 처리 장치도 또한 상기 스테이션 S1(S2) 신호에 대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
공지된 것처럼, 에코 제거 처리의 부산물로서 소위 양자화 잡음(quantization noise)이 발생될 수 있다. 통상, 그러한 양자화 잡음의 레벨은 처리되고 있는 신호의 전반적 품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그러한 신호가 여러번 에코 제거 처리될 경우에는 양자화 잡음의 레벨이 상당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처리 기능이 11dB와 같은 어떤 계수만큼 기저대 신호의 레벨을 증가시키는 쪽으로 제공되면, 그러한 신호를 여러 번 증가시키는 것은 음성 대역의 다른 신호에 비해 과도하게 높은 레벨을 갖는 기저대 신호를 초래할 것이다.
이런 문제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적응화된 신호 처리 장치(요소)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처리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 간단한 시그널링 링크(simple signaling link)가 설치된다. 상기 시그널링 링크는 상기 접속에 존재할 수 있는 다른 장치에 소정의 기능이 수행되었음을 통지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런식으로, 네트워크 다중 경로 소정의 제1경로와 관련된 신호 처리 장치는, 접속에 존재할 수 있는 후속 중간 경로에 관련되는 신호 처리 장치가 상기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시그널링 링크의 존재 또는 부재는 상기 접속내의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 처리 장치 사이의 그러한 시그널링 링크는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켜 음성 경로 접속을 통해 그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달성되며, 여기서 상기 소정의 신호는 예컨대 20Hz의 주파수를 갖는 음속이하 신호(subsonic signal)일 수도 있다.
이제 제2도를 참조하면, 스테이션 S1과 S2(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확립될 수 있는 하나의 다중 경로 접속의 상세한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접속은 톨 스위치(105,115 및 120)를 포함한다(여기서 톨 스위치(115)는 중간 스위치로도 언급될 것이다).
네트워크(100)를 형성하는 톨 스위치 각각은 특히 전화 스위치(200)를 포함한다. 에코 제거기 등의 신호 처리기(300)는 톨 스위치(105)의 스위치 (200)와 네트워크간(톨간) 경로(103)의 인터페이스에 사용된다. 통신 경로(101,103,104 및 106) 각각은 도면에서, 스테이션 세트(S1 및 S2)의 각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두개의 반대 방향 송신 경로로서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경로(103)는 경로(103-1 및 103-2)로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경로(74) 및 2선/4선 하이브리드(75)를 통해 스테이션(S1)으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는, 네트워크(100)를 통해 좌측에서 우측으로 전송되며, 경로(77) 및 2선/4선 하이브리드(76)를 통해 스테이션(S2)으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는 네트워크(100)를 통해 반대 방향으로 전송된다).
특히, 공지된 것처럼, 신호 처리기(300)는 음성 신호에 존재할 수 있는 에코신호의 제거를 포함하는 다수의 기능을 수행한다. 에코 신호는 송신된 신호의 반사이며, 송신 매체, 예컨대, 전화 통신 경로와 2선/4선 하이브리드(예컨대, 하이브리드(74 및 76) 중 하나) 사이의 임피던스 부정합의 결과로 통상 발생한다. (통상, 하이브리드는 제1도에 도시된 CO(25 및 50)와 같은 CO에 관련되며, CO의 라인측 또는 트렁크(trunk) 측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어떤 경우에, 하이브리드는 톨 스위치와 관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톨 스위치(120)의 신호 처리기(300)는, 경로(104-1)를 통해 수신되는 송신된 음성 신호와 경로(104-2)를 통해 반대 방향으로 전달되는 신호를 비교하여, 만일 반대 방향으로 전달되는 신호가 송신된 음성 신호의 에코임이 밝혀지면 반대 방향으로 전달되는 신호를 제거하도록, 공지된 방식으로 동작한다. 톨 스위치(105)에 포함되는 신호 처리기(300)는 경로(103-2)를 통해 수신되는 송신된 음성 신호와 경로(101-1)를 통해 반대 방향으로 전달되는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톨 스위치(105 및 120)에 포함된 신호 처리기(300)에 의해 수행된 에코 제거 기능은 톨 스위치(115)에 포함된 신호 처리기(300-1 및 300-2)에 의해서도 수행된다. 어떤 상황에서는, 처리기(300-1 및 300-2)가 에코 제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신호 처리기(300)가 수행할 수 있는 또다른 기능은, 전술된 것처럼 음성 신호의 강화(enhancement)이다. 역시 전술된 것처럼, 톨 스위치(115)가 다중 경로 접속의 중간 스위치로 배치될 경우, 처리기(300-1 및 300-2)가 음성 신호 강화 기능 또는 에코 제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어지는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시그널링 링크가 상기 음성 신호 강화 기능의 중복을 방지하도록 동작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예컨대 소위 저 비트율 음성 코딩(low bit-rate voice cdding)과 같은 완전히 다른 기능의 수행을 금지하도록 쉽게 적응화될 수 있으므로, 그런 가정이 한정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지는 안 된다.
제3도를 참조하면, 각각 1, 2, 3 및 4로 표시된 네개의 포트를 갖는 신호 처리기(300)의 상세한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포트(1)를 통해 수신되는 송신된 음성 신호는 코드 변환기(301)에 제공된다. 종래의 코드 변환기(301)는, 공지된 mu-225 법칙 포맷(또는 어떤 경우에는 소위 A-법칙 포맷)으로 인코딩된 음성 신호를, 시그널링 검출기(302)로의 제공을 위한 선형 포맷으로 변환하도록 동작한다. 시그널링 검출기(302)는, 본 발명에 따라, 후속의 톨 스위치들이 전술된 음성 신호 강화와 같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접속내의 또다른 톨 스위치에 의해 발생되었을 수도 있는 시그널링 링크의 가능한 존재를 검출하도록 동작한다.
특히, 시그널링 검출기(302)는, 예컨대 소정의 주파수(예컨대 20Hz)를 중심으로 하는 노치 필터로 구성된 종래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일 수도 있으며, 시그널링 링크(예컨대 20Hz 신호)의 존재를 소정의 시간 간격(예컨대 1초) 동안 계속해서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코드 변환기(301)로부터 수신되는 코딩된 신호를 스위치(304)의 단자(1 및 2)를 통해 필터(305)로 전달하도록 동작한다.
제4도를 간단히 참조하면, 시그널링 링크는, 20Hz를 중심으로 하고 약 30데시벨의 에너지 레벨을 갖는 신호 "a"와 같은 소정의 신호를 음성 경로 접속을 통해 연속적으로 송신함으로써 확립된다. 이렇게, 신호 "a"의 연속적인 존재는, 한 스위치로부터 또다른 "다운스트림" 스위치로의 시그널링 링크가 확립되었음을 확인시킨다. 또한, 검출된 20Hz 신호가 적어도 1초 동안(전술된 것처럼) 계속되고 적어도 20 데시벨의 에너지 레벨을 가질 경우에만 검출기(302)가 신호 링크의 존재를 승인하도록 검출기(302)를 추가 조정함으로써, 상기 20Hz 시그널링 링크는, 예컨대 잡음에 기인하여 제공될 수 있는 외부에서 발생된 20Hz 신호와 구별된다.
제3도를 참조하면, 검출기(302)가 시그널링 링크를 검출하지 않을 경우, 검출기(302)는 코딩된 신호를 스위치(304)의 단자(1 및 3)를 통해 기능 처리기로 보낸다. 한편, 검출기(302)가 상기 시그널링 링크의 존재를 검출한다면, 검출기(302)는 코딩된 신호를 필터(305)로 보낸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스위치(304)는 디지털 다중화기가 될수도 있으며, 도면에서는 간단 명료성을 위해 스위치(304)로서 기능적으로 도시되어 있음에 유의한다.)
예컨대 DSP가 될 수도 있는 필터(305)는, 코딩된 신호로부터 전술된 시그널링 링크를 필터링하고, 다음에 결과적으로 획득된 코딩된 음성 신호를 에코 제거기(707)에 전달하는 종래의 대역통과 필터로서 구성된다. 종랭의 에코 제거기(307)는 전술된 방식으로 동작한다. 즉, 제거기(307)는 필터(305)로부터 수신되는 코딩된 음성 신호와 포트(4)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비교하여 포트(4)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음성 신호의 에코일 경우 포트(4)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제거한다. 다음에, 제거기(304)는 코딩된 음성 신호를 시그널링 발생기(308)에 제공한다. 포트(4)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에코가 아닌 것으로 밝혀질 경우, 그 신호는 포트(3)를 통해 네트워크 접속의 그 다음 요소로 출력된다.
예컨대 DSP가 될 수도 있는 종래의 시그널링 발생기(308)는, 시그널링 링크(예컨대 20Hz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것을 제거기로부터 수신된 코딩된 음성 신호와 결합시켜 결합된 신호를 코드 변환기(309)로 보낸다. (발생기(308)는 검출기(302)의 입력에 시그널링 링크가 존재하든 안든 상관없이 상기 시그널링 링크를 발생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종래의 방식으로, 코드 변환기(309)는 자신의 입력에서 수신된 선형 인코딩한 신호를 mu-255 법칙 포맷(또는 A-법칙 포맷)으로 변환하여 변환된 신호를 포트(2)로 보낸다.
전술된 것처럼, 시그널링 링크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코딩된 음성 신호는 기능 처리기(306)에 보내진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기능 처리기(306)는 예컨대 디지털 필터가 될 수도 있으며, 기저대의 주파수를 갖는 음성의 레벨을 강화시키도록 소정의 응답 곡선에 의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의 응답을 증배시키며, 여기서 상기 응답 곡선은 필터(306)의 계수에 의해 특징지워 진다. 따라서, 예컨대 300Hz 미만의 주파수를 갖는 그러한 음성 신호는 그러한 신호의 에너지 레벨을 증가시키는 필터(306)의 응답에 의해 예컨대 10 내지 15 데시벨의 값만큼 증배된다. 예컨대 300Hz를 초과하는 주파수를 갖는 음성 신호는 상기 필터 응답의 나머지 부분에 의해 증배되는데, 이것은 신호의 레벨을 소정의 값, 예컨대 0 데시벨의 값만큼 상승시킨다.
다음에, 기능 처리기(306)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에 의해 처리된 음성 신호는 전술된 것처럼 후속 처리를 위해 에코 제거기로 보내진다.
도면으로부터, 신호 처리기(300)는 코드 변환기(310 및 311)를 또한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변환기(301)와 동일한 변환기(310)는, 포트(4)를 통해 수신된 mu-255 법칙 인코딩된 음성 신호를 제거기(307)로의 이송을 위해 선형 포맷으로 변환한다. 변환기(309)와 동일한 변환기(311)는 선형 인코딩된 음성 신호를 포트(3)로의 이송을 위해 mu-255 법칙 포맷으로 변환한다.
이상의 설명을 유념하면서, 제2도 및 3도를 참조한다. 경로(74)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만을 생각하면, 그러한 신호는 하이브리드(75) 및 경로(101-1)를 통해 톨 스위치(105)의 스위치(200)에 전달된다. 다음에, 그러한 음성 신호는, 스위치에 의해 확립된 접속을 통해, 톨 스위치(105)와 관련된 처리기(300)의 단자(4)에 접속된 톨 트렁크로 이동된다. 상기 음성 신호가 에코를 나타내지 않는다면, 톨 스위치(105)와 관련된 처리기(300)는 그 음성 신호를 톨간 네트워크의 경로(103-1)로 보내는데, 이 경로(103-1)는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 처리기(300-1)의 포트(1)에 접속된다.
지금까지 음성 신호는 기능 처리기(306)에 의해 수행되는 강화 기능에 의해 처리되지 않았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음성 신호는 시그널링 링크를 동반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음성 신호는 처리기(300-1)의 시그널링 검출기(302)의 포트(1)를 통해 전달되므로, 그런 사실은 처리기(300-1)에 포함된 시그널링 검출기(302)에 의해 검출될 것이다. 따라서, 처리기(300-1)의 시그널링 검출기(302)에 의해 음성 신호는 관련된 기능 처리기(306)를 통해 전달된다. 또한, 신호 처리기(300-1)에 포함된 시그널링 발생기(308)는, 예컨대 음성 신호를 20Hz 신호와 결합시켜 시그널링 링크를 발생시켜며, 그 결과를 관련된 코드 변환기(309)를 통해 처리기(300-1)의 포트(2)로 보낸다. 다음에, 음성 신호는 톨 스위치(115)의 스위치(200)로, 그리고 신호 처리기(300-2)의 포트(4)로 전달된다.
그러한 음성 신호는 에코 신호를 나타내지 않으므로, 처리기(300-2)는 음성신호를 톨 스위치(120)에 포함된 신호 처리기(300)의 포트(1)에 접속되는 톨간 네트워트의 경로(104-1)로 보낸다. 그러나 이 예에서, 관련된 시그널링 검출기(302)는 업스트림 톨 스위치(115)에 포함된 신호 처리기(300-1)에 의해 부여된 시그널링 링크의 존재를 검출한다. 따라서, 톨 스위치(120)와 관련된 처리기(300)의 시그널링 검출기(302)는 수신된 음성 신호를 관련된 기능 처리기(306)가 아니라 관련된 필터(305)로 보내게 되며, 이로써 음성 신호는 관련된 기능 처리기(30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신호 처리 기능에 의해 처리되지 않게 된다.
유사하게,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음성 신호는 신호 처리기(300-2)에 포함된 기능 처리기(306)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에 의해 처리될 것이다. 그런 음성 신호가 톨 스위치(105)에 포함된 신호 처리기(300)의 포트(1)에 도착할 때, 그 신호 처리기(300)에 포함된 시그널링 검출기(302)는, 동반되는 시그널링 링크의 존재를 검출하며, 따라서 음성 신호를 관련된 기능 처리기(306)가 아니라 관련된 필터(305)로 전달된다.
상기 경로가 예컨대 톨 스위치(115)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중간 톨 스위치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그 경우 경우(74)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는 톨 스위치(120)와 관련된 신호 처리기(300)에 포함된 상기 기능 처리기(306)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에 의해 처리된다. 그 이유는 음성 신호가 톨 스위치(120)와 관련된 신호 처리기(300)의 단자(1)에 도착할 때, 음성 신호가 시그널링 링크를 동반하지 않기 때문이다. 유사한 이유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음성 신호는 톨 스위치(105)와 관련된 상기 신호 처리기(300)에 포함된 상기 기능 처리기(306)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에 의해 처리된다.
지금까지의 설명은 단순히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명확하게 설명되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원리를 구현하는 다양한 장치를 착상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네트워크 접속에서 수행될 수 있는 다수의 다른 기능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네트워크 접속내에는 다수의 시그널링 링크가 확립될 수 있다. 그럴 경우, 시그널링 링크는 예컨대 20Hz, 30Hz, 40Hz 등의 각자의 주파수를 가지는 각각의 음속 이하 신호(subsonic signal)의 존재 부재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또다른 예로서, 증가된 용량을 달성하기 위해 음성 신호의 저비율 인코딩(low-rate encoding)을 채택하는 네트워크는, 본 발명에 따라, 접속에 의해 송신된 음성 신호가 그러한 저비율 인코딩 기능에 의해 처리되는 횟수를 제한하는 것에 의해 전반적인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13)

  1. 통신 네트워크 접속에 포함되는 하나의 요소가 특정 네트워크 기능이 수행되었음을 상기 접속내의 후속 요소에 통지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 네트워크 접속에 포함된 요소들 사이에 시그널링 링크(signaling link)를 확립(establish)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요소들 중 한 요소에서 음성 신호들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 신호들을 소정의 네트워크 기능에 의해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신호들이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 기능에 의해 처리된 후 상기 음성 신호들을 상기 시그널링 링크와 결합시키고, 결합된 신호를 상기 접속내의 상기 요소들 중 그 다음 한 요소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요소들 중 상기 한 요소와 상기 요소들 중 상기 그 다음 한 요소 사이에 상기 시그널링 링크를 확립되는 단계를 구비하는 시그널링 링크 확립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들은 각각의 네트워크 톨 스위치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그널링 링크 확립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들 중 상기 그 다음 한 요소에서 상기 시그널링 링크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 신호들을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 기능에 의해 처리하지 않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그널링 링크 확립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립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신호들이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 기능에의해 처리되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시그널링 링크를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그널링 링크 확립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링크는 음속이하 신호(subsonic signal)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그널링 링크 확립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링크는 20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그널링 링크 확립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시그널링 링크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여, 상기 시그널링 링크가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음성 신호들을 관련된 신호 처리 장치에 직접 전달하고, 상기 시그널링 링크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음성 신호들을 상기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처리기에 전달한 후에 상기 신호 처리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그널링 링크 확립 방법.
  8. 전기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다수의 요소들의 개별 요소들에 의해 확립된 전기통신 네트워크 접속에서, 상기 요소들 중 어떤 개별 요소들이 상기 접속을 통해 수신된 특정 신호들을 소정의 기능에 의해 처리하는 지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요소들 중 특정한 한 요소에서, (i) 상기 신호들에 대해 상기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와, (ii) 상기 수행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상기 요소들 중 그 다음에 이어지는 한 요소에 대해, 상기 조성의 기능이 수행되었음을 나타내는 시그널링 링크를 확립하는 단계 및, (iii) 상기 요소들 중 상기 그 다음에 이어지는 한 요소에 상기 신호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요소들 중 상기 그 다음에 이어지는 한 요소에서, 상기 시그널링 링크의 존재에 응답하여 상기 신호들에 대해 상기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구비하는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들은 각각의 톨 스위치들인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는 상기 특정 신호들에 대해 상기 소정의 기능이 수행되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시그널링 링크를 확립하는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링크는 음속이하 신호(subsonic signal)인 제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링크는 20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인 제어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시그널링 링크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여, 상기 시그널링 링크가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신호들을 관련된 신호 처리 장치에 직접 전달하고, 상기 시그널링 링크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특정 신호들을 상기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처리기에 전달한 후에 상기 신호 처리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19920005424A 1991-04-01 1992-04-01 중복 네트워크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그널링 방법 KR1002439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77,903 1991-04-01
US07/677,903 US5206902A (en) 1991-04-01 1991-04-01 Network signaling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andem network func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879A KR920020879A (ko) 1992-11-21
KR100243960B1 true KR100243960B1 (ko) 2000-02-01

Family

ID=24720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5424A KR100243960B1 (ko) 1991-04-01 1992-04-01 중복 네트워크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그널링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206902A (ko)
EP (1) EP0507505B1 (ko)
JP (1) JP2904637B2 (ko)
KR (1) KR100243960B1 (ko)
AU (1) AU641090B2 (ko)
CA (1) CA2060356C (ko)
DE (1) DE6921966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1527A (en) 1993-12-02 1995-11-28 Dsc Communications Corporation Voice enhancement system and method
US5802164A (en) * 1995-12-22 1998-09-01 At&T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elephone sound enhancement on a per call basis
JP3437706B2 (ja) * 1996-03-19 2003-08-18 富士通株式会社 交換機および交換システム
US5859908A (en) * 1996-03-28 1999-01-12 At&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multiple speech processing features to a telephone call
US6021194A (en) * 1996-03-28 2000-02-01 At&T Corp. Flash-cut of speech processing features in a telephone call
EP0814621A3 (en) * 1996-06-17 1998-11-11 Ericsson Invention Ireland Limited A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system
EP0816877A1 (en) * 1996-07-01 1998-01-07 Corning Incorporated Multiplexer/demultiplexer with flattened spectral response
US6453043B1 (en) 1996-12-18 2002-09-17 At&T Corp. Flash-cut of speech processing features in a telephone call
US6128369A (en) * 1997-05-14 2000-10-03 A.T.&T. Corp. Employing customer premises equipment in communications network maintenan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50951A (en) * 1941-10-31 1944-06-06 Bell Telephone Labor Inc Electric wave system
US3114005A (en) * 1959-04-24 1963-12-10 Lenkurt Electric Co Inc Inband signaling system
US3183313A (en) * 1960-12-16 1965-05-11 Bell Telephone Labor Inc Echo suppressor operable by a pilot tone
BE630382A (ko) * 1962-03-30
DE1250496B (ko) * 1964-02-12
NL154378B (nl) * 1965-01-08 1977-08-15 Frederik Adolf Nauta En Freder Stelsel en inrichting voor het registreren van luister- en/of kijkgegevens.
US3706862A (en) * 1971-06-28 1972-12-19 Lorain Prod Corp Amplifier circuit for transmission lines
CA1112385A (en) * 1977-04-13 1981-11-10 Bloomfield J. Warman Compensation of transmission losses in a telephone system
US4665383A (en) * 1985-04-22 1987-05-12 Firecom, Inc. Security system with monitoring and warning circuits
US4638298A (en) * 1985-07-16 1987-01-20 Telautograph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message repeating terminals
US4882749A (en) * 1986-01-09 1989-11-21 Harris Semiconductor (Patents) Inc. Control of signal transmission
NL8601712A (nl) * 1986-07-01 1988-02-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mmunicatienetwerk, in het bijzonder een telefoonnetwerk en datacommunicatienetwerk dat is samengesteld uit een verzameling van knooppuntseenheden, waarbij specifieke faciliteiten binnen naar keuze vastgestelde domeinen, volledig geintegreerd kunnen worden geboden.
US5195132B1 (en) * 1990-12-03 1996-03-19 At & T Bell Lab Telephone network speech signal enhanc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07505A2 (en) 1992-10-07
CA2060356C (en) 1996-09-03
JPH05103105A (ja) 1993-04-23
AU1393492A (en) 1992-10-08
US5206902A (en) 1993-04-27
EP0507505B1 (en) 1997-05-14
EP0507505A3 (en) 1993-08-25
DE69219667D1 (de) 1997-06-19
DE69219667T2 (de) 1997-09-04
CA2060356A1 (en) 1992-10-02
KR920020879A (ko) 1992-11-21
JP2904637B2 (ja) 1999-06-14
AU641090B2 (en) 1993-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99180C2 (ru) Многовходовый беспроводный телефон с подавлением эхо-сигнала
US5029204A (en) Operational status controller for echo canceling
US3783194A (en) Data modem having a fast turn-around time over direct distance dialed networks
US6516062B1 (en) Echo canceling method and apparatus in a communication device
KR100243960B1 (ko) 중복 네트워크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그널링 방법
US6721409B1 (en) Network based call mute
JPH11196178A (ja) レベル自動調整装置
US7180869B2 (en) Comprehensive echo control system
JP3136277B2 (ja) 反響除去システム
KR100540943B1 (ko) 서비스신호를검파하기위해에코제거기를구비한전화장치및서비스신호검파방법
WO1997004577A1 (en) Loudspeaking telephone systems
CA2241163A1 (en) Digital signal processor-based telephone test set
JPS6364104B2 (ko)
Techo et al. The Carrier Telephone Plant
JPH05207164A (ja) 帯域内信号装置
JPS63187857A (ja) デイジタル交換網
Recommendation REDUCTION OF THE RISK OF INSTABILITY BY SWITCHING MEANS
JPH04165825A (ja) エコーキャンセラ装置
JPH05316552A (ja) 公専接続における構内交換機の音声品質保証方式
Miller et al. A 4-wire crossbar conferencing system
Welch The signalling problems associated with register-controlled automatic telephone exchanges
JPS6154740A (ja) デ−タ呼接続制御方式
JP2001086536A (ja) ナルデータ抑圧・挿入機能を有する電話システム
JPH0252558A (ja) 打合せ用分岐装置
JPS6046695A (ja) デ−タ呼の接続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