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3522B1 -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 Google Patents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3522B1
KR100243522B1 KR1019970705413A KR19970705413A KR100243522B1 KR 100243522 B1 KR100243522 B1 KR 100243522B1 KR 1019970705413 A KR1019970705413 A KR 1019970705413A KR 19970705413 A KR19970705413 A KR 19970705413A KR 100243522 B1 KR100243522 B1 KR 100243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plotter
fuel
inlet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2018A (ko
Inventor
알. 바이카 카렌
씨. 게이노어 스콧트
에이. 허본 죠셉
라미올르 프레데릭
에이. 마이핼 에릭
Original Assignee
미콜라니스 마크 에이.
솔베이 오토모티브, 인코포레이티드
콘듀로스 샘 제이.
앨프마이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콜라니스 마크 에이., 솔베이 오토모티브, 인코포레이티드, 콘듀로스 샘 제이., 앨프마이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미콜라니스 마크 에이.
Publication of KR19980702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3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3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19Valve arrangements in the vent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61Venting means working at specific times
    • B60K2015/03576Venting during filling the reservo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753Control by change of position or inertia of system
    • Y10T137/0874Vent opening or closing on tipping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003Fluid separating traps or vents
    • Y10T137/3084Discriminating outlet for gas
    • Y10T137/309Fluid sensing valve
    • Y10T137/3099Float respon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292System with plural openings, one a gas vent or access opening
    • Y10T137/86324Tank with gas vent and inlet or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Abstract

적어도 한 개의 배기수(24)가 자체에 형성된 연료탱크(12) ; 연료탱크(12)의 증발가스를 수용하기 위하여 배기구(24)와 연결된 증기트랩(14) ; 및 배기구(24)에 구비된 주유 콘트롤밸브(22)로 이루어지되, 콘트롤밸브(22)는 증기트랩(14)과 연결된 제1인입구(30)와 배출구(34)를 가지고, 이 콘트롤밸브(22)는 연료탱크(12)내의 공간으로 뻗어있고 변화가능한 불력을 갖으며 연료탱크(12)내로 연료가 주입되어 연료레벨이 증가됨에 따라 소정의 이동범위를 갖는 제1플로터(36)와, 이 제1플로터(36)에 대하여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고 이 제1플로터(36)에 결합되어 이동범위내에 위치한 제2플로터(38)를 포함하며, 제1플로터(36)는 부력을 갖어 연료를 주입하는 동안 연료레벨의 증가에 따라 부상되어 제2플로터(38)와 결합되어 이를 밀폐위치까지 이동시켜 연료탱크(12)내의 연료가 소정레벨이 될 경우 인입구(30)를 배출구(34)로부터 밀폐시키고, 제1플로터(36)는 주유 후 자동적으로 부력을 감소시켜 연료탱크(12)의 하부로 하강하여 제2플로터(38)를 하강시키므로써 인입구(30)를 개방시키는 부력경감장치(4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액체연료를 연료탱크에 주유하는 동안, 특히 자동차 연료시스템하고 연료탱크 내부에서의 앤체연료상의 탄화수소가스나 증발가스는 연료가 연료탱크에 채워짐으로써 대기중으로 방출되어진다.
환경보호국과 같은 규제당국은 주입시 탄화수소가스에 배칠에 대해서 더욱더 엄격한 규제조항을 공포하고 있다. 결국, 연료시스템은 주유시 연료탱크의 증발가스 유출을 통제하고 조절하기 위한 노력으로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상기한 규제조항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의 탑재형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들이 지난 수년간에 걸쳐 개발되었다. 이러한 통재 시스템들은 연료탱크로부터 증발가스가 유출되도록 하는 장치나 밸브작동과 연관된 탱크에서의 배출구 또는 배기구가 연료탱크 증발가스로부터 탄화수소가스를 흡수하기 위한 증발가스트랩(예 : 챠콜캐니스터)장치를 포함하는 내용으로 하고 있다.
공지된 것들은 전복되거나 연료탱크가 기울어지는 자동차 사고에서 배기구를 통하여 연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롤-오버 밸브에 의해 논쟁이 되었다.
롤-오버/주입밸브 조합으로 주입밸브를 가지는 롤-오버 밸브의 형상은 이미 알려져 있다.
종래의 탑재형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의 일례를 미국 특허 No. 5,183,087 ; 4,809,863 ; 5,054,058 ; 5,318,069와 No. 5,234,022에서 찾아볼 수 있다. 탑재형 증발 연료탱크시스템(ON BOARD VAPER RECOVERY SYSTEM ; ORVR)은 또한 제한된 시스템과 제한되지 않은 시스템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한되지 않은 시스템에서는 비교적 큰 밸브가 주유를 하거나 자동차가 정상적인 작동을 하는 동안 증발가스트랩안으로 또는 배기구를 통하여 연료탱크 밖으로 계속해서 증발가스를 배출하곤 한다. 제한된 시스템에서는 콘트롤밸브가 정상적이거나 주유를 하지 않는 동안 주입밸브의 배출구의 개방을 닫거나 감소시키곤 한다.
이 두가지 시스템에서 작동장치는 연료의 과도한 주입상태에서 증발가스트랩이나 캐니스터를 보호하도록 제공되어진다.
종래의 탑재형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ORVR)은 또한 주입관내에서 두가지 다른 밀폐시스템의 형태로 작동한다. 기계적인 시스템에서 금속씰은 일반적으로 주입관 내에서 주입노즐에 씰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진다. 그래서 증발가스는 주유시 대기중으로 주입관을 통하여 배출될 수 없게 된다.
액체밀폐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더 작은 직경을 가진 주입관은 증발가스가 채워진 연료탱크와 대기사이에서 연료에 의한 밀폐를 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곤 하였다.
다이아프램으로 조절하는 주입밸브 또한 잘 알려져 있는데, 일례로 미국특허 No, 5,504,508호에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를 가짖는 밸브내에 다이아프램 조절장치는 주입하는 동안 캐니스터와 연료탱크사이에서 벤트를 닫기 위하여 주입관 캡을 제거할 때 시트 반대방향으로 내부밸브판을 잡아 당긴다.
다른 다이아프램 조절시스템에서의 다이아프램은 연료탱크내의 증발가스와 주입관의 최고지점에서의 증발가스사이의 입력차이에 따라 1개 내지 여러개의 포트를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콘트롤밸블르 개방시키거나 닫게 된다.
그러나 다아이프램 콘트롤밸브는 신뢰성이 없으며 불안정하고 압력차이를 예측할 수가 없기 때문에 정확하게 조절할 수가 없으며, 그러한 장치는 압력차이를 감지하기 위하여 연료탱크와 주입구 사이의 통로에 일반적으로 사용하지만, 그와 같은 것은 때때로 차단되거나 막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시스템들은 거의 기계적으로 복잡하고 비교적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출입구, 통로, 복잡한 기계적인 밸브 및 그와 같은 것의 연결들을 필요로 한다. 또한 종래의 주입 콘트롤밸브는 다른 시스템의 구조로 대체하거나 바꾸기가 적합하지 않다. 예를 들면 제한된 시스템에서 사용되어지는 주입밸브를 조절하는 종래의 다이아프램이나 플로터는 간단히 제한되지 않는 시스템으로 대체할 수가 없다. 게다가 많은 종래의 주입밸브들은 노즐과 주입관 사이에서 사용되는 밀폐장치의 형태로 의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연료탱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탑재형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발가스회수연료탱크시스템의 전체구성도,
도 2는 도 1의 2-2선 단면도,
도 3은 콘트롤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4는 플로터의 이동변위를 보이는 콘트롤밸브의 부분적인 개략도,
도 5는 제1플로터의 가장자리 단면을 나타내는 주입콘트롤밸브의 부분절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2의 6-6선 단면도,
도 7은 도 2의 7-7선 단면도,
도 8은 도 2의 8-8선 단면도,
도 9는 도 2의 9-9선 단면도,
도 10은 도 2의 10-10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력에 의해 조절되는 주유밸브의 상부 절개 사시도,
도 12는 자력에 의해 조절되는 활개장치의 동작위치를 나타내는 자력에 의해 조절되는 주유밸브의 측면 절개사시도,
도 13은 작동장치를 나타내는 자력에 의해 조절되는 주유밸브의 부분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주요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탑재형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ORVR)에 쉽게 적용시킬 수 있는 개선된 주유 콘트롤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계적으로 간단하고 다양한 ORVR형태들에 적용할 수 있고 비교적 제작단가가 싼 탑재형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폐쇄시스템이나 개방시스템에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주유콘트롤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유를 하거나 자동차가 정상적인 구동을 하는 동안 통제된 방법으로 탄화수소증발가스가 연료필터캐니트서로 공급되도록 하는 연료탱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개선된 ORVR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인데, 그것은 주유노즐의 차단 및 연료의 넘침이 없이 연료를 채울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과 잇점에 대해서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될 것이며, 이를 통해서 보다 명백해질 것이고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나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하여,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은 자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기구를 가지는 연료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챠콜캐스터필터와 같은 증발가스 트랩은 연료탱크로부터 증발가스를 받기 위하여 배기구와 통하도록 되어 있으며, 주유 콘트롤밸브에 배출구가 구성되어진다. 콘트롤밸브는 제1인입구 또는 오리피스를 가지며, 증발가스 트랩과 통하는 하나의 배출구를 가진다. 콘트롤밸브는 연료탱크의 몸체내부로 뻗어있는 변화가능한 부력을 갖는 제1플러토를 포함한다. 이 제1플로터는 주유시 연료탱크의 연료레벨의 변화에 따라 소정의 이동 변위에 따라 올라가거나 내려온다.
또 콘트롤밸브는 제2플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는 제1플터와 맞물려 있으며, 제1플로터와 이동 변위량의 비와 같거나 그 이상이다.
제1플로터는 주유시 연료레벨이 증가함으로써 상승할 수 있도록 부력을 가지며, 연료탱크내의 소정의 연료레벨에서 배출구로부터 인입구를 밀폐하기 위한 밀폐위치로 제2플로터가 이동하도록 맞물려 있다.
제1플로터는 주입후 자동적으로 몸체의 부력을 감소하기 위한 부력경감장치를 가지며, 제2플로터는 주입후 인입구를 개방하고 낮게 위치하도록 함으로 인해 연료탱크에서 몸체의 위치는 더 낮다.
제2플로터는 인입구를 막귀 위한 표면이나 밀폐장치를 가지고 있다.
밀폐장치는 또한 자동차가 전복되거나 그런 상태로 오랜동안 방치된 것과 같은 연료탱크내의 과압조건에서 밀폐장치를 통하여 증발가스 압력이 새어나가도록 구성된 니이들밸브와 같은 배기밸브기구로 이루어진다.
일단 자동차가 정상적으로 세워진 상태라면 연료탱크에 축적된 증발가스 압력이 제2플로터가 밀폐되는 위치로 떨어지기 전에 밀폐장치를 통하여 통제된 형태로 새어나갔음에 틀림없을 것이다. 그 시스템은 콘트롤밸브가 아주 경사진 각도로 기울어지거나 자동차가 전복되어 있는 경우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될 때 제2플로터가 그것의 밀폐위치로 자동으로 움직이도록 제2플로터를 가지는 롤-오버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제1플로터가 제2플로터와 결합되는 발명의 구성은 그 시스템이 주유시 이용자에게 아주 중요한 이익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그 시스템은 소비자가 일반적으로 그들의 연료계산서를 50센트나 1달러와 같은 가장 편리한 형태로 달러로 자투리가 없도록 하고 싶은 곳에서 주입할 때 자투리가 없도록 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연료탱크에서 최로로 설정된 연료레벨에 도달했을 때 제1플로터는 제2플로터로 이동할 하고, 그래서 밀폐장치는 최초로 제1인입구를 폐쇄한다. 이런 경우에 연료탱크로부터 증발가스가 빠져나가는 것이 멈추게 되고, 연료탱크에 순간적인 과압이 생겨서 주입관 안으로 삽입되어진 압력에 민감한 주유노즐을 차단시킨다. 그러나 밀폐장치는 실제적으로 이 지점에서 확실히 밀폐되지 않는다.
이런 조건의 연료의 추가적인 양으로 하여금 주유노즐이 최초로 닫히 후에 연료탱크안으로 주입되게 한다. 그 구성요소들은 장치를 확실히 밀폐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특정한 힘으로 설계되었다. 이 힘은 연료의 비중과 제1플로터와 제2플로터의 부력과 제1플로터의 중량에 관계가 있다. 예를 들면, 그 구성요소들은 최초의 주유차단후 연료탱크안으로 연료의 부가적인 양이 공급되도록 설계되었으며, 그것은 장치를 완전히 밀폐하고 더 이상 차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제2플로터는 제1플로터가 닫힌 후에 연료탱크안으로 공급되어지는 연료의 부가적인 양이 정확하게 결정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런 형태에서 연료탱크내의 연료의 정확한 높이는 주유하는 동안 유지되어진다.
다음으로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대해서 언급을 하면, 그 시스템은 적어도 연료탱크에 한정된 하나의 제2배출구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주유 콘트롤밸브는 제2인입구를 가지며 통로를 지니는 제2배출구와 통한다.
그래서 증발가스는 주유 콘트롤밸브를 통과해서 제2배출구로부터 여과장치로 간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제2배출구가 연료레벨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벤트가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배기밸브는 연료가 지나치게 충만되는 상황에서 여과장치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료탱크내에서 소정의 연료레벨에서 닫힌다. 특히, 배기밸브는 콘트롤밸브가 주유하기 전에 자동적으로 닫히도록 하기 위하여 주유 콘트롤밸브보다 아래의 높이에 설치된다. 배리밸브는 또한 자동차의 전복된 상태에서 배기밸브를 자동적으로 닫히도록 하는 롤-오버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제한되지 않은 시스템에서 주유 콘트롤밸브는 주유시나 정상적인 작동을 하는 동안 제2인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통제되지 않는 통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밸브는 콘트롤밸브의 배출구로부터 제2인입구를 차단하기 위하여 밸브내의 자동적인 차단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제한된 시스템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주유가 시작될 때 이 차단장치는 자동적으로 제2인입구를 차단하고 오로지 증발가스가 콘트롤밸브의 제1인입구를 통하여 주유가 지나가는 동안 여과장치로 배출된다. 일단 주유가 완료되면 자동차단장치는 제2인입구를 개방하고 제1인입구를 차단하여서 정상적인 작동을 하는 동안 여과장치로 배출된 증발가스가 제2배출구로부터 콘트롤밸브의 제2인입구를 통과한다. 바람직한 구성으로 자동차단장치는 콘트롤밸브 내에서 형성된 활개장치를 자력으로 작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활개장치는 이동가능한 자석으로 이루어지며 활개장치에 의해 금속체는 끌어 당겨져 이동한다. 이동가능한 자석은 주유를 시작할 때 케이블과 같은 작동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동한다. 이 케이블은 주입관으로의 접근을 위하여 개방되는 자동차의 주유도어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더 나은 목적과 잇점으로 주유 콘트롤밸브가 주유시 연료탱크로부터 증발가스트랩으로 연료탱크시스템의 증발가스가 통제된 상태로 배출을 하도록 한다.
콘트롤밸브는 밸브로부터 간단히 차단장치를 제거함으로써 시스템이나 제한 되지 않는 시스템에 쉽게 설치되어진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트롤밸브는 기본적인 작동을 한다.
발명의 목적에 따른 더 나은 구성에서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이 연료탱크에 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배기구를 가지는 연료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료여과캐니스터와 같은 증발가스 트랩은 연료탱크로 부터 증발가스를 받기 위하여 배출구와 통한다. 그 시스템은 배출구로 이루어진 자석의 힘으로 조절되는 주유밸브를 구성하고 있다. 주유밸브는 배출구와 통하는 하나의 인입구와 증발가스 트랩과 통하는 배출구를 가지고 있다. 더 나아가 주유밸브는 주유를 하지않는 동안에는 배출구로부터 자동적으로 인입구를 밀폐하도록 하고, 주유하는 동안에 상기 배출구로 부터 인입구를 자동적으로 개방하도록 이루어진 자력에 의하여 제어되는 밀폐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밀폐장치는 자석요소인 회전하는 활개장치를 포함하고, 이동가능한 자석부재는 자석요소에 의해 이동되며, 활개장치로 하여금 배출구와 통하는 흡입오리피스가 있는 개방위치와 배출구로부터 흡입오리피스가 밀폐되는 폐쇄위치사이에서 회전하게 된다.
자석요소는 이동가능한 자석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동가능한 자석부재는 이동하는 자석을 따르는 볼이나 금속체로 이루어져 있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가능한 자석은 주입관으로부터 접근을 위하여 개방되는 자동차의 개방장치와 연결되어 있다. 그 시스템은 또한 소정의 연료레벨에서 주입하는 동안 배출구로부터 인입구를 자동적으로 밀폐하기 위한 자석콘트롤밸브를 구성하는 플로트밸브를 가지고 있어서 연료탱크에 연료가 지나치게 채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플로트밸브는 또한 콘트롤밸브가 소정의 각도로 이루어질 때 배출구로부터 흡입오리피스를 자동적으로 밀폐하도록 구성하는 롤-오버장치를 가지고 있다. 플로트밸브는 또한 침수플로터를 이루고 있으며 그것은 주유후에는 상기한 흡입오리피스를 자동적으로 개방하고 부력을 변경하기 위하여 주유후에 부분적으로 연료를 채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실시예들은 발명의 설며을 위한 것이지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실제로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모방과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하나의 실시예로써 도시된 도면들을 다른 실시예에 사용함으로써 또다른 실시예를 만들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청구범위들에 기재된 내용과 사상내의 다양한 모방과 변형까지도 범위가 미치는 것이다.
도면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부호는 명세서 전반에 걸쳐 일관되며, 도면 중 동일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연료탱크시스템은 승용차, 트럭 등의 각종 차량에 사용가능하며, 나아가 선박이나 항공기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시스템(10)은 액상의 연료를 저장하기 위한 연료탱크(12)와, 이 연료탱크(12)에 연료를 주입하기 위하여 주입구(20)가 구비된 주입관(18)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중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대로, 통상적인 연료탱크시스템에서는 연료탱크내에서 탄화소수가스와 같은 증발가스가 증발되어지고, 연료의 재주유시 연료탱크(12)내에서 증발된 가스는 주유되는 액상의 연료로 대치되면서 대기로 배출되지 않고 여과되어야 한다.
또한, 증발가스는 차량의 구동시 계속적으로 발생되어지며, 이 증발가스는 연료의 재주유시 뿐만 아니라 차량의 정상적인 운전시에도 배출될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정상적인 운전시 및 연료의 재주유시에 증발가스를 적절한 방식에 의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탑재형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을 참고로 하면, 시스템(10)은 적어도 제1배기구(24)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연료탱크(12)에서 연료탱크(12)내의 내부공간(28)으로 접근하는 배기구(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구(24, 26)는 상호 연통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배기통로(16)의 증발가스는 증발가스트랩 또는 여과장치(14)로 통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여하한 방식에 의한 여과장치(14)의 사용이 가능한데, 특히 챠콜캐니스터나 이와 같은 것들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한 여과장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기밸브(76)은 추가로 설치된 배기구(26)에 설치되어 증발가스를 여과장치(14)로 보내게 된다. 이 배기밸브(76)는 기존의 여하된 방식에 의한 것이 사용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롤-오버장치(77)를 사용하여 차량의 전복시 또는 급격하게 기울어질 때 자동적으로 배기밸브(76)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롤-오버장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설명에 불필요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배기밸브(76)는 플로트형 밸브가 바람직하며, 이느 연료탱크(12)내의 연료레벨이 배기밸브(76)의 높이꺄지 상승하면 자동적으로 닫혀지도록 함으로써 액상의 연료가 배기통로(16)을 통하여 여과장치(14)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여하된 종류의 부상차단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은 이 부분에 있어서 어떤 특정한 종류의 배기밸브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시스탬(10)은 도 1에서와 같은 주유 콘트롤밸브(22)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콘트롤밸브(22)가 추가적인 배기밸브(76)의 수에 따라서 여러개 설치되어 증발가스가 밸브(76)를 거쳐 여과장치(14)로 가기전에 콘트롤밸브(22)를 경유하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콘트롤밸브(22)는 통상적인 운행시 및 주유시 여과장치(14)로 가는 증발가스이 양을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것과 같이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추가적인 배기밸브의 설치상태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여하한 형태로도 설치가능한 것이 자명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것은 본 발명의 단순한 설명을 위한 것에 지 나지 않는다.
주유시에 연료는 주입구(20)와 주입관(18)을 통하여 주입되는 것이며, 연료레벨이 연료탱크(12)내에서 올라가게 되면 액상연료상부의 증발가스들은 반드시 배기되어야 한다. 배기밸브(76)들은 연료탱크(12)내의 콘트롤밸브(22)하부높이의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며, 제한이 없는 시스템에서는 배기밸브(76)가 자동적으로 닫히는 높이까지 연료가 충만할 때까지 증발가스가 콘트롤밸브(22)를 통하여 여과장치(14)로 배출될 것이고, 제한이 있는 시스템에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주유시 즉각적으로 배기밸브(76)가 여과장치(14)와 차단될 것이다.
현재의 연료탱크시스템은 증발가스돔(43)이 연료탱크(12)내에 존재하는 한도에서 최대의 연료레벨을 가질 수 있도록 제작되고 있으므로 연료량 또는 연료레벨이 보장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주유자가 연료를 과도하게 주입하지 않을 수 있도록 보장하게 되는 것이다.
증발가스돔(43) 또는 연료탱크(12)내의 연료레벨은 제작자에 의하여 설정되고 연료탱크(12)의 디자인과 형태에 의하여 좌우되는 것이다.
콘트롤밸브(22)는 주유시 연료탱크(12) 내의 증발가스가 배기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연료가 연료탱크(12) 내로 주입가능하고 넘치기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로 하면, 콘트롤밸브(22)는 제1인입구(30)와 배출구(34)를 밸브몸체(100)에 구비하고 있으며, 배출구(34)는 배기통로(16)에 의하여 증발가스트랩이나 여과장치(14)와 연통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제1인입구(30)가 밸브몸체(100)의 저면으로 통해있다.
상기 제1인입구(30)에 인접되어 이 오리피스(30)의 둘레를 감싸고 있는 링부배(109)에는 오리피스 슬롯(110)들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롯(100)은 링부재(109)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제1인입구(30)는 배출구(34)와 직통되어 있으며, 오리피스 슬롯(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탱크(12)내의 증발가스돔(43)높이에 위치한다.
이에 의하여 주유시 증발가스는 연료에 의하여 대체되면서 오리피스(30)로 인입되어 오리피스 슬롯(110)과 콘트롤밸브(22)를 거쳐 배출구(34)로 배출된다.
상기 콘트롤밸브(22)는 도 2내지 도 4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플로터(36)와 제2플로터(38)를 포함하며, 제1플로터(36)는 오리프스(50)가 형성된 바닥면(52)을 갖는 것이 빈 관체(64)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제1플로터(36)는 연료의 중비시 연료레벨의 점차적인 상승에 의하여 제2플로터(38)가 이동되어 오리피스(30)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맨 먼저 부력이 가해지므로 가변적인 부력성을 갖는다.
주유후, 제1플로터(36)는 자체의 부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연료아래로 가라앉아 제2플로터(38)가 오리피스(30)를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밸브(22)는 밸브몸채(100)의 바닥에 결합되도록 리테이너 탭(106)이 결합되는 결합슬롯(107)이 형성된 체대구조 또는 체대부재(62)를 포함한다.
상기 체대부재(62)는 제2플로터(38)를 감싸게 되며, 이 체대부재(62)는 또 다른 결합슬롯(124)이 자체에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플로터(36)는 내주면을 따라 종방향으로 결합리브(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리브(130)는 상기 결합리브(124)를 따라 뻗어 있으므로 제2플로터(38)에 물리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체대부재(62)는 또한 자체에 여려개의 종방향슬롯(126)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1플로터(36)에는 상기 종방향슬롯(126)이 결합되도록 동일한 갯수의 탭(128)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제1플로터(36)의 체대부재(62)에 대한 작동범위는 종방향슬롯(126)의 길이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제1플로터(36)는 연료레벨이 낮아짐에 따라 탭(128)이 종방향슬롯(126)의 하단위치에 올 때까지 내려가게 되는 것이다. 이런식으로 연료탱크(12)내의 연료레벨이 상승하면 제1플로터(36)는 자체의 부력에 의하여 탭(128)이 종방향슬롯(126)의 상단위치에 올 때까지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
제1플로터(36)가 연료레벨의 상승에 의하여 올라가게 되므로 결합슬롯(124)을 따라 뻗어 있는 결합리브(130)가 제2플로터(38)의 하부캡(120)에 접촉하게 되어 제2플로터(38)를 오리피스(30)쪽으로 밀어 올리게 되는 것이다.
제2플로터(38)는 체대부재(62)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소정의 높이 또는 연료탱크(12)내의 소정의 연료레벨에 위치하여 오리피스(30)를 막기 위한 실링장치(44)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실링장치(44)는 오리피스(30)에 대향하는 압력을 받는 실링 플랜지(108)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실링 플랜지(108)는 여하한 종류의 탄성체 또는 실링물질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실링 플랜지(108)는 실링대(112)에 의하여 작동되는데, 이 실링대(112)는 하방으로 후크(118)가 구비된 가이드 암(114)들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 암(114)은 제2플로터(38)의 상부에 위치한 가이드 슬롯(116)과 결합된다.
밸브(22)의 정상적인 작동시 실링대(112)는 제2플러터(38)의 상면(117)위에서 휴지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실링 플랜지(108)는 실링대(112)의 상부에 결합링(113)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제2플로터(38)는 연료탱크(12)내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질 경우, 밀폐위치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장치를 통하여 압력을 배출시키는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예를 들어서 차량의 전복상태가 소정의 시간동안 계속될 경우, 배기밸브의 롤-오버장치가 차단되고 증발가스가 연료탱크내에서 계속적으로 발생하게 될 경우도 감안하여야 하는 것이며, 전복된 차량이 바로 세워질 경우에 연료탱크내의 증발가스돔 내에 있는 초과증발가스압은 제2플로터(38)가 밀폐위치에서 분리되기 전에 배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제2플러터(38)는 배출밸브(46)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배출밸브(46)는 니들밸브조립체(48)로 이루어진다.
상기 니들밸브조립체(48)는 실링대(112)에 형성되는 핀홀과 실랭플랜지(108)를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차량이 바로 세워지면 제2플로터(38)는 자중에 의하여 최소한 가이드 암(114)의 길이만큼 실링대(112)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는 니들밸브조립체(48)가 실링대(112)로부터 분리되어 증발가스압이 니들밸브조립체(48)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해주게 되는 것이다.
증발가스돔(43)내의 압력이 니들밸브조립체(48)에 의하여 조정되면, 실링대(112)는 밀폐위치로부터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밸브(22)는 자체에 설치된 롤-오버장치(56)를 구비하고 있다.
도 2 및 도 3과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롤-오버장치(56)는 강구와 같은 회전가능한 중량체(58)를 포함하며, 이 중량체(58)는 바닥면에 경사진 롤링면(60)을 갖는 체대부재(62)에 의하여 작동되어진다.
차량이 전복된 경우에서와 같이 밸브가 소정의 각으로 기울어진 경우, 중량체(58)는 중력에 의하여 오리피스(30)쪽으로 구르게 되어 제2플로터(38)와 실링장치(44)에 힘을 가하므로써 오리피스(30)를 막게 되는 것이다.
차량에 바로 세워지거나 밸브의 기울어진 각도가 줄어들게 될 경우, 중량체(58)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면서 제2플로터(38)가 실링위치로부터 이탈되도록 해주게 된다.
경사진 롤링면(60)의 경사각은 롤-오버장치가 작동되는 각도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형식의 롤-오버장치는 위에서 언급한 배기밸브(76)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제1플로터(36)는 부력경감장치(42)를 포함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부력경감장치(42)는 도 2 내지 도 5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또 다른 강구와 같은 관체(64)내에서 자유로이 이동가능한 중량체(54)를 포함한다.
중량체(54)는 관체(64)의 바닥경사면(52)에 위치하게 되며, 바닥경사면(52)은 기본적으로 중량체(54)를 위하여 원추형 면으로 형성되고, 오리피스(50)는 바닥경사면(52)의 기저부에 형성된다.
차량이 연료의 재주입이 필요한 연료레벨이 된 경우,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상면(52)에 위치한 자유로이 이동가능한 중량체(54)는 오리피스(50)를 밀폐시키게 된다.
오리피스(50)는 중량체(54)에 의하여 밀폐되어 있으므로 연료레벨이 올라가더라도 관쳬(64)내로 연료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제1플로터(36)는 제1플로터(36)자체, 중량체(54) 및 제2플로터(38)를 들어올릴 수 있는 정도의 특정한 부력을 갖고 있을 것을 필요로 한다.
연료의 주입이 완료되고 차량이 움직이게 되면, 자유로이 이동가능한 중량체(54)는 바닥경사면(52)상에서 구르게 되므로써 오리피스(50)의 밀폐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이때, 액상의 연료는 오리피스(50)를 통하여 관체(64)내로 서서히 유입되므로 제1플로터(36)의 부력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충분한 연료가 관체(64)내로 유입되면서 제1플러터(36)는 하강하게 되고, 제2플로터(38)는 밀폐위치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때, 콘트롤밸브(22)는 차량의 정상적인 구동시 제한이 없는 시스템에서 종전의 배기밸브와 롤-오버장치처럼 작동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서, 제1플로터(36)는 바닥면(52)에 의하여 제한된 제1단면(66)과, 측면이나 테두리면(70)으로 된 바닥이 없는 제2단면(68)을 포함하고, 이 제2단면(68)에는 제2오리피스(72)가 관통형성되는데, 이에 대한 작동관계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밸브의 구조 및 결합관계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여러개의 단면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6은 제한이 없는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본 시스템에서 콘트롤밸브(2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통로(16)에 의하여 추가설치된 배기밸브(76)에 연결된 제2인입구(3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인입구(32)는 배출구(34)와 직통되어 있으며, 이에 의하여 배기밸브(76)는 정상적인 차량의 구동시 및 주유시 증발가스를 배출하게 된다.
또, 오리피스(30)는 배출구(34)와 직통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정상구동시 콘트롤밸브(22)는 기본적으로 추가적인 배기밸브로써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연료탱크(12)내의 연료레벨이 상대적으로 낮을 때, 제1플로터(36)는 최하단위치에 있고, 증발가스는 자유롭게 오리피스(30)로 유입되어 오리피스 슬롯(110)을 통하여 배출구(34)를 거쳐 여과장치(14)로 배출되는 것이며, 시스템(10)은 주유를 필요로 하게 된다.
연료가 연료탱크(12)로 주유되면 연료레벨이 상승하면서 점차로 추가적인 배기밸브(76)를 닫게 되는 것이며, 이때, 증발가스는 시스템으로부터 콘트롤밸브(22)만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연료레벨이 높아짐에 따라, 제1플로터(36)는 도 4에 점선으로 도시한 초기위치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실링장치(44)가 오리피스(30)를 밀폐시키게 되는 밀폐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중량체(54)는 오리피스(50)를 막고 있으므로, 제1플로터(36)는 자체의 부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연료가 시스템내부로 동시에 유입되므로 증발가스가 배출되는 경로가 차단되어 실링장치(44)가 먼저 오리피스(30)를 밀폐시키게 됨에 따라 연료탱크(12)내부가 과압상태로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주입구의 주유노즐은 과압상태를 감지하여 닫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주유자는 연료의 추가적인 주입, 예를 들면 도2에 도시된 연료레벨(41)로부터 다른 연료레벨(41)까지의 양만큼을 더 주입할 수 있는데, 이는 실링장치(44)가 최초의 밀폐위치에 완전히 머물거나 안착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제1플로터(36)와 제2플로터(38) 및 실링장치(44)의 중량과 특성으로부터 오리피스(30)를 밀폐시키는 제2플로터(38)의 밀폐력이나 밀폐압을 게산해 낼 수 있다.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링장치(44)를 잉요하여 오리피스(30)를 완전히 밀폐시키기 위하여는 약 8밀리그램정도를 필요로 하였다. 필요로 하는 8그램의 밀폐력은 최초로 주유노즐이 딛힌 후 추가적으로 주입된 연료에 의하여 발생하게 된다.
제1, 2플로터(36, 38)와 중량체(54)의 중량과 연료의 비중을 알 수 있으므로 최종의 밀폐압이 가해지기 저가지 시스템내로 추가 주입되는 연료의 양을 용이하게 산출해 낼 수 있는 것이다.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최로의 주유노즐차단시로부터 밀폐압이 0그램에서부터 8그램에 이르기까지 연료레벨을 8미리미터까지 추가적으로 주입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콘트롤밸브의 각 구성요소의 디자인과 크기에 의하여 주입노즐의 첫 번째 차단후 추가적으로 주입되는 연료량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실링장치가 요구되는 밀폐압까지 도달하게 되면 증발가스의 추가적인 배기 및 연료의 추가적인 주유가 불가능한 것이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테두리면(74)과 제2오리피스(72)에 의하여 추가적인 연료를 주입할 수 있다.
연료가 주입되어 레벨이 상승하면서 테두리면(74)에 접촉하게 되면 증발가스가 테두리면(74)내로 유입되어 제1플로터(36)의 부력을 증가시키게 되는 것이며, 밸브(22)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첫 번째로 차단되는 것이다.
한편, 테두리면(74)내에 갇힌 증발가스는 제2오리피스(72)를 통하여 배출되려 하므로 연료가 테두리면으로 유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제1플로터(36)의 부력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추가적인 연료가 탱크(12)내로 주입되어 부력이 감소된 제1플로터(36)를 올려주고, 제2플로터(38)를 밀폐압이 0이 되는 다음의 주입차단이 발생하게 되는 원래의 실링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료탱크(12)로는 필요로 하는 8그램정도의 밀폐압이 될 때까지 추가적인 주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바로 이 시점에서는 연료의 추가적인 주입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연료의 주입후 차량이 운행되면 중량체(54)는 관체(64)내에서 구르거나 이동되어 연료가 오리피스(50)를 통하여 관체(64)내로 유입되므로 제1플로터(36)는 부력을 잃게 되어 하강하게 되는 것이며, 제2플로터(38)는 오리피스(30)로부터 개방되는 것이다.
이때, 콘트롤밸브(22)는 제한이 없는 시스템에서 추가적인 배기밸브로써의 기능을 발휘하게 되느 것이다.
상기 콘트롤밸브(22)는 제하된 시스템에서는 밸브몸체(100)내에서 자동격리장치(80)로 자력에 의하여 제어되는 주유 콘트롤밸브로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자동격리장치(80)는 각부재에 의하여 형성된 이동가능한 활개장치(8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 활개장치(80)는 밸브몸체(100)내의 금속체(86)를 작동시킨다.
밸브몸체(100)내의 인입구(32)쪽에는 경사면(103)이 형성되며, 활개장치(80)는 경사면(103)에 대하여 기울어져 앉혀지면서 그 방향으로 금속체(86)을 이동시키고, 탭(83)이 형성되어 금속체(86)가 배출구(34)를 밀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분리장치(80)는 밸브몸체(100)의 브라켓조립체(104)내에 위치한 이동가능한 자석(84)을 포함하며, 이 자석(84)은 케이블(90)과 같은 작동장치(88)에 의하여 이동되거나 제어되며, 자석(84)을 비주유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장치(132)가 구비된다.
도 13을 참고하면, 작동장치(88)는 주입구(20)로 접근하기 위하여 개방되는 주유도어(92)를 포함하며, 이 주유도어(92)에는 케이블(90)이 연결되어 주유도어(92)가 개방되면 자석(84)이 인입구(32)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금속체(86)는 자석(84)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게 되며, 이에 따라 활개장치(82)가 경사면(103)으로 기울어져 앉게 되므로 안입구(32)를 닫게 되고, 활개장치(82)의 반대쪽은 세워지면서 오리피스(30)를 개방시키게 된다.
주유도어(92)가 개방된 위치에서 연료를 재주입시키는 동안, 인입구(32)는 활개장치(82)에 의하여 밀폐되어 연료탱크(12)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는 오리피스(30)를 통하여만 배출된다.
밸브의 플로터와 나머지 구성요소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연료의 재주입이 끝나고 주유도어(92)가 닫히면, 제12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석(84)이 스프링장치(134)에 의하여 금속체(86)를 비주입위치로 복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 위치에서 활개장치(82)는 오리피스(30)를 밀폐시키고 인입구(32)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비주입시에는 탱크(12)내의 증발가스가 추가적인 배기밸브(76)와 제2인입구(32)를 통하여서만 배출되는 것이다.
도 11내지 도 13에 도시된 자력분리장치는 단순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어떠한 형태의 자석요소도 적용가능하게, 전기에 의하여 자력을 발생시키는 것도 사용할 수 있고, 스프링이 부착된 방식의 분리장치도 가능하며, 다른 어떠한 기계적인 분리장치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하간 종류의 적절한 분리장치의 사용은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밸브는 제조면에나 비용면에서 유용하므로 제한이 없는 시스템 및 제한된 시스템에 즉각 사용되어질 수 있으며, 다만, 밸브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면 자동격리장치(80)라는 점 뿐이다.
활개장치(82)와 금속볼(86)은 제한된 시스템에 사용되어진다면 밸브몸체(100)내에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고 비용면에서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구성요소이다.
제한이 없는 시스템에서 밸브몸체(100)내에 설치된 브라켓조립체(104)는 밸브의 동작에 지장을 주지 않으며, 이동가능한 자석(84)과 함께 배치된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와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모방과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분리된 구성요소를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고, 또 콘트롤밸브가 사용되는 특정한 연료탱크시스템에서 구성요소의 상대적인 크기와 중량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것의 모방 및 다양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내에 포함된다.
내용 없음.

Claims (43)

  1. 적어도 한 개의 배기구가 자체에 형성된 연료탱크 ;
    상기 연료탱크의 증발가스를 수용하기 우하여 상기 배기구와 연결된 증발가스트랩 ;
    상기 콘트롤밸브는 상기 증발가스트랩과 연결된 제1인입구와 배출구를 가지고, 이 콘트롤밸브는 연료탱크내의 공간으로 뻗어있고 변화가능한 부력을 갖으며 연료탱크 내로 연료가 주입되어 연료레벨이 증가됨에 따라 소정의 범위내에서 이동되는 제1플로터와, 이 제1플로터로 결합되고 적어도 상기 이동범위에 위치한 제2플로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플로터는 부력을 갖고 있어 연료를 주입하는 동안 연료레벨의 증가에 따라 부상되어 상기 제2플로터와 결합되어 이를 밀폐위치까지 이동시켜 연료탱크내의 연료가 소정레벨이 될 경우 상기 인입구를 배출구로부터 밀폐시키고, 상기 제1플로터는 주유후 자동적으로 부력을 감소시켜 연료탱크의 하부로 하강하여 상기 제2플로터를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인입구를 개방시키는 부력경감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로터에는 상기 인입구를 밀폐시키기 위한 실링장치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장치에는 연료탱크내부가 과압상태인 경우 밀폐장치를 통하여 증발가스를 배출하므로써 제2플로터가 밀폐위치로부터 떨어지도록 하는 배기밸브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밸브장치는 밀폐장치내에 니들밸브조립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부력경감장치는 제1플로터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오리피스와 제1플로터내에서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중량체를 포함하며, 이 중량체는 주유시 상기 오리피스를 밀폐시키는 휴지위치로부터 주유후 상기 오리피스를 통하여 연료가 제1플로터내로 유입되는 위치까지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가스회수연료탱크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는 경사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로터에는 콘트롤밸브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때 제2플로터를 자동적으로 상기 밀폐위치로 이동시키는 롤-오버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롤-오바장치는 상기 제2플로터의 경사진 구름면위에 위치하는 중량체를 포함하며, 이 중량체는 소정의 각도에서 중력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상기 제2플로터를 밀폐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경사면은 롤-오버장치가 작동되는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로터를 감싸는 체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오버장치는 체대부재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1플로터는 상기 체대부재에 의하여 제2플로터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로터는 주입시 오리피스 밀폐장치에 의하여 밀폐되는 오리피스를 갖는 바닥으로 제한된 제1단면과, 주입시 증발가스가 유입되는 제2오리피스가 구비되어 주입시 제1플로터의 부력을 변화시키는 바닥이 없는 둘레로 된 제2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로터의 제1단면은 실린더를 포함하고, 제2단면은 상기 실린더에 근접한 테두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주유 콘트롤밸브는 상기 배출구와 연결된 제2인입구가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로부터 증발가스가 유입되어 콘트롤밸브를 통해 여과장치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발가스회스 연료탱크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된 배출구에는 연료레벨의 감지에 의하여 작동되는 배기밸브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배기밸브는 연료탱크내에서 연료탱크내에서 연료레벨이 소정의 높이인 경우 자동적으로 닫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밸브는 콘트롤밸브의 하부높이보다 낮게 설치되어 콘트롤밸브에 주유되기 전에 자동적으로 닫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밸브에는 배기밸브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때 배기밸브가 자동적으로 닫히는 롤-오버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밸브에는 주입시 여과장치로부터 추가된 배출구가 자동적으로 격리되도록 자체에 자동격리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격리장치는 콘트롤밸브내에 설치되어 주입시 제2인입구를 밀폐시키는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되도록 자력에 의하여 작동되어 증발가스가 제1인입구를 통하여만 여과장치로 배출되도록 한 활개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활개장치는 금속체를 당기는 이동가능한 자석을 포함하며, 이 자석은 주입시 작동되는 작동장치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활개장치는 주입완료후 상기 제1인입구를 밀폐시키는 위치로 이동되어 비주입상태에서 증발가스가 제2인입구만을 통하여 여과장치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20. 연료탱크시스템에서 연료탱크로부터 여과장치로 배기되는 증발가스를 제어하여 주입시 넘치거나 여과장치가 포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주유 콘트롤벨브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밸브는 증발가스를 받기 위한 제1인입구와 증발가스를 여과장치로 바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갖고, 이 콘트롤밸브는 연료탱크내의 공간으로 설치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변화가능한 부력을 갖는 제1플로터를 가지며, 이 제1플로터는 주입시 연료탱크내로 연료가 주입되어 연료레벨이 증가됨에 따라 소정의 범위내에서 이동될 수 있는 초기부력을 갖고, 상기 콘트롤벨브는 상기 제1플로터에 결합되고 적어도 상기 소정의 이동범위에 위치한 제2플로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플로터는 상기 제2플로터와 결합되어 이를 밀폐위치까지 연료탱크내의 연료가 소정레벨이 될 경우 상기 인입구를 배출구로부터 밀폐시키고, 상기 제1플로터는 주유후 2차의 부력으로 감소시켜 상기 제2플로터를 연료탱크의 하부로 하강시키므로써 상기 인입구를 개방시키는 부력경감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 콘트롤밸브.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구를 밀폐시키기 위한 실링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 콘트롤밸브.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장치는 연료탱크내부가 과압상태인 경우 밀폐장치를 통하여 증발가스를 배출하므로써 제2플로터가 밀폐위치로부터 떨어지도록 하는 배기밸브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 콘트롤밸브.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밸브장치는 밀폐장치내에 니들밸브조립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주유 콘트롤밸브.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경감장치는 제1플로터와 바닥면에 형성되는 오리피스와 제1플로터내에서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중량체를 포함하며, 이 중량체는 주유시 상기 오리피스를 밀폐시키는 휴지위치로부터 주유후 상기 오리피스를 통하여 연료가 제1플로터내로 유입되는 위치까지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주유 콘트롤밸브.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로터에는 콘트롤밸브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때 제2플로터를 자동적으로 상기 밀폐위치로 이동시키는 롤-오버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 콘트롤밸브.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장치는 상기 제2플로터의 경사진 구름면위에 위치하는 중량체를 포함하며, 이 중량체는 소정의 각도에서 중력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상기 제2플로터를 밀폐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경사면은 롤-오버장치가 작동되는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 콘트롤밸브.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로터를 감싸는 체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오버장치는 체대부재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 콘트롤밸브.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로터는 주입시 오리피스 밀폐장치에 의하여 밀폐되는 오리피스를 갖는 바닥으로 제한된 제1단면과, 주입시 증발가스가 유입되는 제2오리피스가 구비되어 주입시 제1플로터의 부력을 변화시키는 바닥이 없는 둘레로 된 제2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주유 콘트롤밸브.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로터의 제1단면은 실린더를 포함하고, 제2단면은 상기 실린더에 근접한 테두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주유 콘트롤밸브.
  30.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 콘트롤밸브에는 상기연료탱크에 형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출구와 연결된 제2인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2인입구는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제2플로터에 의하여 밀폐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한느 주유콘트롤밸브.
  31. 제30항에 있어서, 주입시 적절한 시기에 제2인입구를 상기 배출구로부터 자동적으로 격리시키는 격리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주유 콘트롤밸브.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상자는 콘트롤밸브내에 설치되어 주입시 제2인입구를 밀폐시키는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되도록 자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활개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주유 콘트롤밸브.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활개장치는 금속체를 당기는 이동가능한 자석을 포함하며, 이 자석은 주입시 작동되는 작동장치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 콘트롤밸브.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상태는 연료탱크내에서 소정의 연료레벨일 때 추가적인 배출구로부터 제2인입구를 격리시키는 자동밀폐밸브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주유 콘트롤밸브.
  35. 적어도 한 개의 배기구가 자체에 형성된 연료탱크 ;
    상기 연료탱크의 증발가스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배기구와 연결된 증발가스트랩 ;
    상기 배기구에 구비되어 자기적으로 제어되는 주유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주유밸브는 상기 여과장치와 연결된 제1인입구와 배출구를 가지고, 이 주유밸브는 비주입시 상기 배출구로부터 인입구를 자동적으로 밀폐시키는 주입시에는 인입구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자력에 의하여 제어되는 밀폐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장치는 회전하는 활개장치, 자석요소, 상기 자석요소에 의하여 이동되어 상기 활개장치가 상기 인입구가 배출구과 연결되는 개방위치와 인입구와 배출구가 차단되는 차단위치사이에서 회전시키는 자석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요소는 주유개시시 자석부재를 자동적으로 한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자속요소는 이동가능한 자석을 포함하고, 이동가능한 자석부재는 상기 자석에 의하여 이동되는 금속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39. 제38항에 있어서, 연료탱크로 연로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 연료탱크와 상기 주입구사이에 연결된 주입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가능한 자석은 주입구로의 접근을 위한 개방장치에 연결되어 연료의 주입을 위하여 개방장치를 열 때 자동적으로 밀폐위치로 이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요소는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요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41. 제35항에 있어서, 연료가 넘치는 것을 바지할 수 있도록 주입시 연료탱크내의 소정연료레벨에서 상기 인입구를 배출구로부터 자동적으로 밀폐시키기 위한 플로트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밸브는 상기 콘트로밸브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 질때 상기 인입구를 배출구로부터 자동적으로 밀폐시키기 위한 롤-오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밸브는 주유후 연료가 적어도 분분적으로 유입되어 채워지면서 부력이 변화되고 인입구가 개방되도록 침수플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KR1019970705413A 1995-12-11 1996-12-10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KR100243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70186 1995-12-11
US08/570,186 US5782258A (en) 1995-12-11 1995-12-11 Vapor recovery fuel tank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018A KR19980702018A (ko) 1998-07-15
KR100243522B1 true KR100243522B1 (ko) 2000-03-02

Family

ID=24278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413A KR100243522B1 (ko) 1995-12-11 1996-12-10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82258A (ko)
EP (1) EP0808252A1 (ko)
KR (1) KR100243522B1 (ko)
AU (1) AU1148297A (ko)
BR (1) BR9607732A (ko)
CA (1) CA2212619A1 (ko)
WO (1) WO199702156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461B1 (ko) * 2002-01-08 2009-12-11 이턴 코포레이션 연료 증기 배출 시스템, 연료 증기 방출 제어 시스템 및방법
KR101257713B1 (ko) * 2012-05-08 2013-04-24 김휘태 벤트 밸브
KR20150036496A (ko) * 2012-07-12 2015-04-07 이턴 코포레이션 안내 레그를 갖는 플래퍼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10182A3 (fr) * 1996-04-22 1998-02-03 Solvay Clapet de securite pour circuit de mise a l'air d'un reservoir a liquide.
DE19647957C2 (de) * 1996-11-20 1998-12-24 Daimler Benz Ag Kraftstoffbehälter für Kraftfahrzeuge
DE19649864A1 (de) * 1996-12-02 1998-06-04 Graaff Vertriebs Gmbh Selbsttätige Entwässerungsvorrichtung für Frachtcontainer oder andere Ladungen aufnehmende Räume
US5950655A (en) * 1997-02-04 1999-09-14 G.T. Products, Inc. Mechanical seal ORVR system and control valve
DE19742469C2 (de) * 1997-09-26 1999-11-11 Mannesmann Vdo Ag Multifunktionales Ventil für einen Fahrzeugtank
CA2250668C (en) * 1997-10-16 2008-12-02 Tesma International Inc. Capless refueling assembly
US6145532A (en) * 1997-12-01 2000-11-14 Walbro Corporation Fuel tank fill level control and vapor venting valve
JP3914320B2 (ja) * 1998-01-26 2007-05-16 株式会社ミクニ 燃料遮断装置及びその燃料遮断装置の連結構造
FR2779100B1 (fr) * 1998-05-28 2000-08-18 Journee Paul Sa Dispositif de mise a l'air libre d'un reservoir de carburant de vehicule automobile
JP2000168377A (ja) * 1998-12-09 2000-06-20 Suzuki Motor Corp 車両のキャニスタ取付構造
IL128937A (en) 1999-03-11 2002-09-12 Raval Agriculture Coop Soc Ltd Multi-purpose valve
US6708713B1 (en) 1999-04-16 2004-03-23 Tesma International Inc. Fill limit control valve assembly having a liquid fuel trap
JP3646217B2 (ja) * 1999-07-08 2005-05-11 愛三工業株式会社 キャニスタモジュール
CA2324609C (en) * 1999-10-29 2006-01-10 Stant Manufacturing Inc. Fuel tank vent valve with liquid carryover filter
US6405747B1 (en) 1999-10-29 2002-06-18 Stant Manufacturing, Inc. Fuel tank vent valve with liquid carryover filter
JP2002061765A (ja) * 2000-06-08 2002-02-28 Toyoda Gosei Co Ltd 燃料遮断弁
ITTO20001147A1 (it) * 2000-12-11 2002-06-11 Ergom Materie Plastiche Spa Sistema di recupero dei vapori di carburante da un serbatoio di un autoveicolo e relativo gruppo evaporatore.
US6691725B2 (en) * 2001-12-14 2004-02-17 Eaton Corporation Fuel vapor vent valve with peel-off mechanism for ensuring reopening
JP4035022B2 (ja) * 2002-09-11 2008-01-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装置
US7063101B2 (en) * 2003-08-01 2006-06-20 Stant Manufacturing Inc. Fuel tank vent system
US6904928B2 (en) * 2003-10-27 2005-06-14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Vapor vent valve for fuel pump module
US20070051852A1 (en) * 2004-09-28 2007-03-08 The Boeing Company Operational ground support system having automated primary servicing
JP2008538601A (ja) * 2005-04-20 2008-10-30 ビーイー・インテレクチュアル・プロパティ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飲料製造装置のための通気バルブ
FR2886367B1 (fr) * 2005-05-24 2008-12-26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 Clapet pour circuit de mise a l'air d'un reservoir a liquide
US20100132805A1 (en) * 2006-04-19 2010-06-03 B/E Intellectual Property Air vent valve for beverage makers
GB0615871D0 (en) * 2006-08-10 2006-09-20 Intersurgical Ag Improvements relating to humidification chambers
GB0615872D0 (en) * 2006-08-10 2006-09-27 Intersurgical Ag Improvements relating to humidification chambers
US7690363B2 (en) * 2007-03-20 2010-04-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apor assisted cold start architecture utilizing tank grade vent valves
DE102008007932A1 (de) * 2008-02-07 2009-08-20 Airbus Deutschland Gmbh Luftfahrzeugtanksystem, Betankungsanlage und Verfahren zum Betanken eines Luftfahrzeugs
JP5012664B2 (ja) * 2008-05-28 2012-08-29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通気装置
KR101197453B1 (ko) 2010-09-29 2012-1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증발가스 제어 가능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탱크 밸브 구조
US8807162B2 (en) * 2010-12-15 2014-08-19 Florida Marine Tanks, Inc. Fuel tank with internal evaporative emission system
JP5413402B2 (ja) * 2011-05-24 2014-02-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タンク構造
WO2012162623A1 (en) * 2011-05-26 2012-11-29 Mcclure Matthew A Vent valve module mount
US8997780B2 (en) 2011-06-10 2015-04-07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Fuel float valve
JP6208740B2 (ja) 2012-03-26 2017-10-04 ラヴァル エイ.シー.エス.リミテッドRAVAL A.C.S.Ltd. 燃料蒸気弁システムおよびその構成要素
EP2850350B1 (en) * 2012-12-24 2017-12-13 Eaton Corporation Vale assembly for a tank
TW201531434A (zh) 2014-01-03 2015-08-16 Franklin Fueling Systems Inc 具有遠端測試功能之過量充塡防止閥
EP2993069B1 (en) * 2014-09-03 2017-06-28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earch (Société Anonyme)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filling operation of a vehicular liquid storage system
EP3047997B1 (de) * 2015-01-20 2018-01-10 Magna Steyr Fuel Systems GesmbH Entlüftungsventil
US10017049B2 (en) 2015-10-07 2018-07-10 Sikorsky Aircraft Corporation Vent valve, tank having vent valve, and method
EP3524460B1 (de) * 2018-02-13 2020-01-01 Magna Steyr Fuel Systems GesmbH Befüllvorrichtung
CO2021009801A1 (es) * 2020-07-29 2021-09-30 Hero Motocorp Ltd Sistema de control de emisiones por evaporación en un vehículo
JP7198796B2 (ja) * 2020-09-23 2023-01-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ポンプユニットカバー及びその取付方法
CN112977851B (zh) * 2021-04-16 2022-08-05 贵州航天精工制造有限公司 一种飞行器抗过载的耐压薄壁软油箱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5468A (en) * 1966-12-02 1968-05-28 Fleming Metal Fabricators Safety vent for vehicle gasoline tank
US3805818A (en) * 1971-10-19 1974-04-23 M Yamada Safety valve device to be automatically closed by vibrations
US3765435A (en) * 1971-11-10 1973-10-16 Gen Motors Corp Tank vent control unit
CA1072026A (en) * 1976-11-10 1980-02-19 Lee A. Germain Vapor recovery filler neck assembly
US4382449A (en) * 1981-06-29 1983-05-10 Nelson Wesley C Magnetically resettable emergency shut-off valve
US4413804A (en) * 1981-07-15 1983-11-08 Flambeau Product Corporation Piston valve and fuel tank assembly
DE3442149A1 (de) * 1984-11-17 1986-05-28 Adam Opel AG, 6090 Rüsselsheim Vorrichtung zur fuellbegrenzung sowie zur be- und entlueftung von behaeltern, insbesondere kraftstoffbehaeltern von kraftfahrzeugen
US4816045A (en) * 1986-03-31 1989-03-28 Stant Inc. Vapor recovery system
US4679581A (en) * 1986-04-18 1987-07-14 Mobil Oil Corporation Fuel tank vent valve
US4694870A (en) * 1986-06-13 1987-09-22 Caterpillar Inc. Vented fuel system for a vehicle
FR2601929B1 (fr) * 1986-07-23 1989-07-28 Peugeot Dispositif d'aeration d'un reservoir de carburant
US4685584A (en) * 1986-09-29 1987-08-11 Stant Inc. Vented fuel cap with bump and grade seal
US4714172A (en) * 1986-12-23 1987-12-22 Gt Development Corporation Vapor recovery systems
US4702268A (en) * 1986-12-24 1987-10-27 Gt Development Corporation Gas venting valve
US4753262A (en) * 1987-02-06 1988-06-28 G.T. Products, Inc. Fuel system vent valve having roll-over closure with improved re-opening action for venting
DE3709925C1 (de) * 1987-03-26 1988-05-19 Porsche Ag Verschlussvorrichtung fuer eine Lueftungsleitung eines Kraftstoffbehaelters
FR2618855B1 (fr) * 1987-07-30 1992-08-21 Peugeot Dispositif de recuperation de vapeurs d'essence
US4887578A (en) * 1987-09-25 1989-12-19 Colt Industries, Inc. On board refueling vapor recovery system
US4809863A (en) * 1987-10-16 1989-03-07 Colt Industries Inc Fill neck assembly for on board refueling vapor recovery system
JP2557671B2 (ja) * 1987-12-11 1996-11-27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遮断バルブ
DE3742256C1 (de) * 1987-12-12 1989-03-02 Daimler Benz Ag Vorrichtung zum Auffangen von Kraftstoffdaempfen beim Betanken eines Kraftstoffbehaelters
US4844113A (en) * 1988-03-17 1989-07-04 Jones Cecil R Fluid flow safety valve
US4889150A (en) * 1988-05-31 1989-12-26 Safe-T-Quake Corporation Pressure control for earthquake sensitive shut-off valve
FR2636573B1 (fr) * 1988-09-19 1990-12-14 Peugeot Dispositif d'aeration a temporisation d'un reservoir de carburant
US4917157A (en) * 1989-02-27 1990-04-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tank vapor vent valve assembly
US4966299A (en) * 1989-07-11 1990-10-30 Chrysler Corporation Fuel assembly having a vapor vent with a hinged float valve
US5054508A (en) * 1990-01-25 1991-10-08 G.T. Products, Inc. Fuel tank vent system and diaphragm valve for such system
FR2658453B1 (fr) * 1990-02-16 1992-06-12 Peugeot Dispositif d'aeration pour reservoir de carburant de vehicule.
US4991615A (en) * 1990-03-02 1991-02-12 Stant Inc. Tank pressure control apparatus
US5247958A (en) * 1990-05-11 1993-09-28 Solvay & Cie Safety valve, especially for a fuel tank vent pipe
US5071018A (en) * 1990-09-10 1991-12-10 Ford Motor Company Capless closure assembly for a fuel filler pipe
US5263511A (en) * 1991-04-18 1993-11-23 Toyoda Gosei Co., Ltd. Fuel tank for vehicle
US5215132A (en) * 1991-05-31 1993-06-01 Nissan Motor Co., Ltd. Valve device for fuel tank
US5183087A (en) * 1991-06-10 1993-02-02 Borg-Warner Automotive Electronic & Mechanical Systems Corporation Refueling vapor recovery system
DE4121324C2 (de) * 1991-06-27 1995-04-06 Bayerische Motoren Werke Ag Kraftstoffbehälter für ein Kraftfahrzeug
US5318069A (en) * 1992-01-17 1994-06-07 Stant Manufacturing Inc. Tank venting and vapor recovery system
US5234013A (en) * 1992-07-07 1993-08-10 Stant Manufacturing Inc. Tank venting control assembly
US5234022A (en) * 1992-10-09 1993-08-10 Stant Manufacturing Inc. Flow control valve
JPH0683443U (ja) * 1992-12-30 1994-11-29 現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燃料タンク内の燃料流出防止装置
DE4304649A1 (de) * 1993-02-16 1994-09-01 Alfons Dr Uhl Selbsttätige Absperrvorrichtung für ein gasführendes Rohr
US5417240A (en) * 1993-11-08 1995-05-23 G.T. Products, Inc. Cap sensitive head valve for vehicle fuel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461B1 (ko) * 2002-01-08 2009-12-11 이턴 코포레이션 연료 증기 배출 시스템, 연료 증기 방출 제어 시스템 및방법
KR101257713B1 (ko) * 2012-05-08 2013-04-24 김휘태 벤트 밸브
KR20150036496A (ko) * 2012-07-12 2015-04-07 이턴 코포레이션 안내 레그를 갖는 플래퍼 밸브
KR102081470B1 (ko) * 2012-07-12 2020-02-25 이턴 코포레이션 안내 레그를 갖는 플래퍼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148297A (en) 1997-07-03
EP0808252A1 (en) 1997-11-26
KR19980702018A (ko) 1998-07-15
CA2212619A1 (en) 1997-06-19
MX9706113A (es) 1997-11-29
WO1997021561A1 (en) 1997-06-19
BR9607732A (pt) 1998-12-15
US5782258A (en) 1998-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3522B1 (ko) 증발가스회수 연료탱크시스템
US6311675B2 (en) Vent valve and fuel pump module
US6634341B2 (en) Vent and rollover valve and fuel pump module
US5065782A (en) Tank venting control assembly
US6675779B2 (en) Dual float valve for fuel tank vent with liquid carryover filter
US4630749A (en) Fuel fill tube with vapor vent and overfill protection
US5103877A (en) Vapor-liquid separator for evaporative emissions control system
US4932444A (en) Fill neck assembly for vehicle mounted fuel vapor recovery system
US5960817A (en) Control valve and system for fuel vapor recovery
US5443561A (en) Fuel vapor discharge limiting device for fuel tank
US6145532A (en) Fuel tank fill level control and vapor venting valve
US6532983B2 (en) System for venting a liquid tank
EP0648637A1 (en) Vapour recovery system
US6848463B2 (en) Vapor vent valve
US5647334A (en) Fuel vapor recovery system control valve
US6874523B2 (en) Fluid cutoff valve device
JP3909837B2 (ja) 燃料タンクの燃料流出規制装置
JP3953916B2 (ja) 燃料タンクの燃料流出規制装置
JP3515648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
US7055556B2 (en) Controlling vapor recirculation during refueling of a tank through a filler tube from a dispensing nozzle
EP0781677B1 (en) Vent valve for vehicle fuel tank
EP3565729B1 (en) Float valve
JPH05185850A (ja) 燃料タンクの蒸発燃料処理装置
KR200142102Y1 (ko) 연료탱크의 밸브장치
KR100559637B1 (ko) 마그네틱 증발가스 제어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