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3426B1 - 발광다이오드(led)헤드 및 이를 이용한 프린터, 그리고 이와 관련된 발광수단과 감광부재·렌즈와의 거리설정 및 위치관계 고정기구 - Google Patents

발광다이오드(led)헤드 및 이를 이용한 프린터, 그리고 이와 관련된 발광수단과 감광부재·렌즈와의 거리설정 및 위치관계 고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3426B1
KR100243426B1 KR1019920017665A KR920017665A KR100243426B1 KR 100243426 B1 KR100243426 B1 KR 100243426B1 KR 1019920017665 A KR1019920017665 A KR 1019920017665A KR 920017665 A KR920017665 A KR 920017665A KR 100243426 B1 KR100243426 B1 KR 100243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means
circuit board
lens
led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7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796A (ko
Inventor
히로미 오가타
히데하루 하마다
마나부 요코야마
마사야 이마무라
Original Assignee
사토 게니치로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500409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8497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500369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88517A/ja
Application filed by 사토 게니치로,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토 게니치로
Publication of KR930005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3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34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 B41J2/4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using light-emitting diode [LED] or laser ar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 B41J2/4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using light-emitting diode [LED] or laser arrays
    • B41J2/451Special optical means therefor, e.g. lenses, mirrors, focus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rinters Or Record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And Radiation Means (AREA)
  • Facsimile Hea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소자열로 부터의 광선을 컨벌젼스 렌즈에 의해 감광드럼상의 필요한 위치에 모이게 함게 의해 도트를 형성하는 led헤드에 관한 것으로 발광소자와 감광드럼의 거리를 정확히 설정하기 위해 발광소자가 배치된 회로 기판의 윗표면을 기준으로 해서 감광드럼이 위치를 설정하고 발광소자와 렌즈의 위치를 정확히 설정함과 동시에 생산공정을 간소화하기 위해 클립 및 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광다이오드(LED)헤드 및 이를 이용한 프린터, 그리고 이와 관련된 발광수단과 감광부재·렌즈와의 거리설정 및 위치관계 고정기구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제2도는 상기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제5도는 상기 실시예에 대한 부착 스프링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6a도 내지 제6c도는 각각 상기 실시예의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제7도는 상기 실시예의 개략사시도.
제8도는 제1종래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제9도는 제2종래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제10도는 제3종래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컨벌젼스용 렌즈열 14 : 감광드럼
42 : 회로기판 48 : 발광소자
50 : 지름확장부 56 : 방열판 겸용 헤드커버
본 발명은 발광소자열로부터의 광선을 컨벌젼스(convergence)용 렌즈에 의해 감광드럼상의 필요한 위치에 모이게 하는 것에 의해 도트를 형성하는 LED 헤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발광소자열과 감광드럼의 거리맞춤 및 발광소자열과 컨벌젼스용 렌즈의 위치맞춤에 관한 것이다.
LED 프린터는 LED 헤드에 의해 감광드럼상에 상(像)을 형성하고, 이 상을 인쇄하는 프린터이다.
LED 헤드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나란히 배치한 발광소자열 및 발광소자열과 감광드럼사이에 설치된 컨벌젼스용 렌즈로 구성되는 헤드있다.
컨벌젼스용 렌즈는 발광소자열로부터 발사된 광선을 감광드럼상에 조사할 때, 이 광선을 모아서 감광드럼상에 초점을 맺혀지게 한다.
따라서 발광소자열, 컨벌젼스용 렌즈 및 감광드럼 상호간의 배치정밀도가 양호하다면 양호한 인쇄, 인자(印字)품질을 얻을 수 있다.
제8도에는 종래의 LED 헤드의 한 예가 나타나 이다.
이 도면은 발광소자열과 감광드럼의 거리를 일정값으로 정하는 초점맞춤기구의 개략측면도이다.
발광소자열과 이 발광소자열의 구동을 하는 IC는 회로기판(10)상에 탑재된다.
단, 이 도면에서는 회로기판(10)상의 부품은 후술하는 헤드커버(16)로 덮혀서 보이지 않는다.
컨벌젼스용 렌즈열(12)은 회로기판(10)의 발광소자열 배치면과 감광드럼(14)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컨벌젼스용 렌즈열(12)은 각 발광소자의 발광출력을 감광드럼(14)의 표면에 모이게 해야 하고, 각 발광소자에 대응해서 형성된 복수의 컨벌젼스용 렌즈를 일체화한 구성이다.
회로기판(10)의 발광소자열 배치면에는 발광소자열을 덮는 헤드커버(16)가 배치되어 있다.
헤드커버(16)의 상면에는 컨벌젼스용 렌즈열(12)의 고착되어 있고, 따라서 헤드커버(16)는 회로기판(10)과 컨벌젼스용 렌즈열(12)의 간격을 소정값으로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한편, 회로기판(10)의 하면에는 방열판(18)이 고착되어 있다.
방열판(18)은 회로기판(10)상의 부품에 의해 발생한 열을 달아나게 하는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발광소자열과 감광드럼(14)의 위치결정기구(20)를 구성하고 있다.
위치결정기구(20)는, 보다 상세하게는 방열판(18)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핀(22) 및 감광드럼(14)의 단면(端面)으로부터 인출된 지주(24)로 구성되어 있다.
지주(24)의 한끝에는 핀(22)의 선단과 걸어맞춰지도록 오목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종래예에서는 발광소자열이 탑재되는 회로기판(10)과 감광드럼(14)의 거리가 방열판(18)의 윗표면을 표준면으로하여 설정된다.
이와 같이 방열판(18)의 윗표면을 기준면으로 한 경우, 회로기판(10)의 두께의 불균일이 회로기판(10)과 감광드럼(14)의 거리정밀도를 열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제9도에는 제8도와 다른 위치결정기구를 가지는 LED 헤드의 구성이 개략측면도로서 나타나 있다.
또한, 이 종래예의 구성부재중 제8도의 종래예와 공통인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나타내고 있다.
이 종래예의 위치결정기구(28)는 헤드 커버(30)의 ㅇ표면을 기준면으로 한 기구이다.
헤드커버(30) 및 회로기판(32)은 방열판(18)의 단부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고, 헤드커버(30)의 윗표면에는 오목부(34)가 형성되어 있다.
헤드커버(30)의 단면(端面)으로부터 인출된 지주(36)의 선단은 둥글게 되어 있고, 오목부(30)와 걸어맞추어 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제8도의 종래예와 유사한 문제가 발생한다.
즉, 기준면이 헤드커버(30)의 윗표면이기 때문에 헤드커버(30)의 두께 불균일이 회로기판(32)과 감광드럼(14)의 거리 정밀도를 열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종래의 문제점으로서는, 발광소자열과 감광드럼 거리의 정밀도에 관한 문제외에도 발광소자열과 컨벌젼스용 렌즈열 위치의 정밀도에 관한 문제점도 들수 있다.
제10도는 이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이 종래예의 구성부재 중 제8도의 종래예와 공통인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나타내고 있다.
회로기판(10)상에 배치되는 발광소자열과 헤드커버(16)상에 고착되는 컨벌젼스용 렌즈열(12)과의 위치(도면중 안쪽 방향 및 좌우방향, 이하 같음)가 양호하게 설정되어 있으면 각 발광소자로부터 나오는 빛이 대응하는 컨벌젼스용 렌즈에 모아지고, 보다 정확하게는 감광드럼상에 모아진다.
이 종래예에 있어서는 위치방향의 정밀도를 확보하기 위해 기준핀(38) 및 관통구멍(40)을 이용하고 있다.
기준핀(38)은 헤드커버(16)의 하면에 돌출설치되어 있고, 관통구멍(40)은 회로기판(10)에 가설되어 있다.
기준핀(38)을 관통구멍(40)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헤드커버(16), 나아가서는 컨벌젼스용 렌즈(12)의 위치와 회로기판(10), 그 위에 발광소자열의 위치가 정밀도 좋게 설정된다.
이 종래예에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는 발광소자열과 컨벌젼스용 렌즈열(12)의 위치정밀도를 확보하기 위해 기준핀(38) 및 관통구멍(40)이 필요하기 때문에 생산공정의 복잡화, 생산비용의 상승이 필수적이라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은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첫번째 목적은 발광소자열과 감광드럼의 거리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에 있고, 두번째 목적은 생산공정의 복잡화, 생산비용의 상승을 일으키는 일 없이 발광소자열과 컨벌젼스용 렌즈열의 위치정밀도를 확보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LED 헤드의 제1의 구성은 이하의 부재를 구비한다:
a) 발광수단;
b) 발광수단으로부터 발사된 빛을 감광부재의 표면을 향해 모으는 렌즈; 및
c) 발광수단과 감광부재의 거리를 소정값으로 설정하는 수단에 있어서, 이하를 구비한다:
c1) 발광수단이 배치되는 회로기판; 및
c2) 회로기판의 발광수단 배치면을 기준면으로 하여 발광수단에 대한 감광부재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
또, 본 발명의 LED 헤드의 제2구성은 이하의 부재를 구비한다:
a) 발광수단;
b) 발광수단으로부터 발사된 빛을 감광부재의 표면을 향해 모으는 렌즈; 및
c) 발광수단과 렌즈의 위치관계를 고정하는 수단이며, 이하를 구비한다:
c1) 발광수단이 배치되는 회로기판;
c2) 회로기판의 발광수단 배치면을 발광수단으로부터 발사된 빛이 렌즈에 입사하도록 덮음과 동시에 렌즈를 유지하는 커버; 및
c3) 커버를 회로기판에 끼우는 부재
또, 본 발명의 LED 헤드의 제3의 구성은 이하의 부재를 구비한다:
a) 발광수단;
b) 발광수단으로부터 나온 빛을 감광부재의 표면을 향해 모으는 렌즈;
c) 발광수단이 배치되는 회로기판;
d) 회로기판의 발광수단 배치면을 발광수단으로부터 발사된 빛이 렌즈에 입사하도록 덮음과 동시에 렌즈를 유지하는 커버;
e) 회로기판의 발광수단 배치면을 기준면으로 하여 발광수단에 대한 감광부재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 및
f) 커버를 회로기판에 끼우는 부재.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의 LED 헤드를 이용해서 LED 프린터를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LED 헤드에 광선의 조사에 의해 감광하는 부재를 또한 추가한다.
또, 본 발명은 발광수단과 감광부재의 거리를 소정값으로 설정하는 기구, 발광수단과 렌즈의 위치관계를 고정하는 기구 등으로서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의 구성에 있어서는 발광수단이 배치된 면을 기준면으로 하여 감광부재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기판의 두께가 거리정밀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음에, 제2의 구성에 있어서는 렌즈가 커버에 의해 유지되며 또한 커버가 기판에 끼워지기 때문에 핀 등의 수단없이, 즉 생산공정이 간소화를 동반하면서 렌즈와 발광수단의 위치정밀도가 확보된다.
제3의 구성에 있어서는 이들 제1 및 제2의 구성 양쪽의 작용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다.
제1 내지 제3의 구성에 공통하는 실시태양으로서는 다음의 것을 들 수 있다.
우선, 감광부재는 예를 들면 감광드럼이다.
발광수단은 예를 들면 LED 등의 발광소자를 소정 개수 포함한다.
또한, 발광수단 및 그 주변 구성의 열을 달아나게 하는 방열판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에 이 방열판의 기능을 동시에 가지게 해도 좋다.
제1 및 제3의 구성에 공통하는 실시태양으로서는 다음의 것을 들 수 있다.
우선, 상술한 위치결정수단으로는 회로기판에 구멍을 형성해 두고, 이것에 봉형상의 부재를 삽입시키는 구조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봉형상부재는 감광부재로부터 연장되는 선단이 구멍에 삽입된다.
봉형상부재 선단의 주변둘레에는 지름확장부를 설치해 두고, 이 지름확장부를 회로기판과 접하게 해서 위치결정을 한다.
이 구멍은 회로기판의 단부(端部)에 설치한다.
회로기판은 LED헤드의 긴 방향으로 튀어나오게 설치하고, 구멍을 이 튀어나온 단부에 형성한다.
구멍을 설치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단(端)이면 좋고, 다른 단에는 절개부를 설치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위치결정 수단이 대단히 간단한 구조로 실현됨과 동시에 LED 헤드를 예를 들면 LED 프린터의 감광드럼에 장치할 때 여유가 확보될 수 있다.
또, 회로기판이 튀어나온 곳을 수지 등으로 봉지(封止)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제2 및 제3의 구성과 공통하는 실시태양으로서는 다음의 것을 들 수 있다.
우선, 협착부재로서 커버를 회로기판에 끼우는 스프링형상 부재를 이용하는 태양이 있다.
이 스프링 형상 부재는 예를 들면 판 스프링을 V자 형상으로 굴곡시키고 그 위에 V자인 2개의 암(arm)의 선단을 굴곡시킨 구조·형상으로 한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한 경우, 커버에 훅부를 2개소 설치해 둔다.
이들 중 제1의 훅부는 스프링 형상부재의 2개의 암중 1개의 암 굴곡을 걸어맞추기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제2훅부는 다른 편의 암 굴곡의 선단이 그 내부에 맞닿고 위치정지되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면, 오로지 제1훅부와 제1암의 걸어맞춤 및 제2훅부와 제2의 암선단의 걸어맞춤에 의해 스프링 형상부재가 커버에 위치결정된다.
또한, 제2의 암의 굴곡의 코너부에 의해서 회로기판을 누르는 것에 의해 커버가 회로기판에 대해서 상하방향에 위치규제된다.
또한, 스프링 형상부재의 어느쪽인가의 암에 회로기판을 커버에 회로기판 횡방향으로부터 누르는 부분을 설치할 수 있다.
이것은 V자인 암으로부터 내측에 절곡된 판스프링으로 할 수가 있다.
이에 더해서, 커버에 제3의 훅부 등의 돌출부를 설치하고, 클립형상의 부재에 의해 렌즈를 돌출부에 끼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돌출부는 회로기판으로부터 보아 발광수단 배치면측에 세워 설치된다.
이 경우, 렌즈를 커버의 구멍에 끼워 붙이는 돌출부를 구멍의 가장자리에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적합한 실시예에 관해서 도면에 기초해 설명한다.
또한, 제8도 또는 제10도에 나타낸 종래예와 같은 구성에는 동일의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1도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발광소자열과 구동용 IC가 탑재되는 회로기판(42)이 방열판(18)으로부터 나와 있다.
회로기판(42)을 포함해, 본 실시예의 LED 헤드는 감광드럼(14)의 축을 따라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지고 있고, 회로기판(42)은 긴 방향으로 튀어 나와 있다.
회로기판(42)의 단부에는 관통구멍(44)이 가설되어 있다.
관통구멍(44)에는 감광드럼(14)의 일단으로부터 인출된 지주(46)가 삽입된다.
제2도에는 이 실시예에 대한 초점맞춤작용이 나타나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로기판(42)의 윗표면에는 발광소자(48)가 배치 되어 있다.
또한, 발광소자(48)는 다수, 열없이 배치되지만, 설명을 위해 이 도면에서는 1개만을 나타내고 있다.
헤드커버(16)에 의해서 덮혀진 발광소자(48)로부터 광선이 나오면, 이 광선은 케이스커버(16) 상면의 창에서 컨벌젼스용 렌즈열(12)에 입사하고 감광드럼(14)의 표면에 모인다.
컨벌젼스용 렌즈는 예를 들면 셀포크렌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주(46)의 하부에 지름확장부(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름확장부(50)의 하면은 회로기판(42)의 윗표면에 접해서 멈춰있고, 따라서 회로기판(42)의 윗표면이 감광드럼(14)과 발광소자(48)의 거리맞춤 기준면이 된다.
회로기판(42)의 윗표면은 발광소자(48)가 배치되는 면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종래예에 비교해 감광드럼(14)과 발광소자(48)의 거리가 정확하게 된다.
제3도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1실시예와 같은 구성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 "52" 및 "54"는 각각 회로기판(42)과 방열판(18), 방열판(18)과 컨벌젼스용 렌즈열(12)을 접착하는 접착용 수지이다.
감광드럼(14), 지주(46)등의 구성은 도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고 있다.
이 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첫번째로 회로기판(42)상에 배치되어 있는 발광소자(48)가 방열판 겸용 헤드커버(56)로 덮혀 있는 점이다.
두번째로 다른 점은 컨벌젼스용 렌즈열(12)이 방열판 겸용 헤드커버(56)상에 접착되어 있는 점이다.
바꾸어 말하면, 방열판 겸용 헤드커버(56)가 방열판과 헤드커버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발광소자(48)는 방열판 겸용 헤드커버(56)로 덮혀 있어서 보이지 않고 있다.
방열판 겸용 헤드커버(56)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발광소자(48)와 컨벌젼스용 렌즈열(12)사이를 광선이 투과가능하도록 창이 형성되어 있다.
발광소자(48)에 의해 발사된 빛은 상기 창을 통해서 컨벌젼스용 렌즈열(12)중 대응하는 컨벌젼스용 렌즈에 입사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회로기판(42)이 감광드럼(14)의 긴 방향으로 나와 있고, 나온 부분에 관통구멍(44)이 가설되어 있기 때문에, 이 관통구멍(44)을 이용해서 발광소자(48)와 감광드럼(14)의 거리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4도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10도에 나타낸 종래예와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내는 각 실시예와 같은 구성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방열판 겸용 헤드커버(58)는 알루미늄 등의 열전도가 양호한 재질로 형성되고 제2실시예와 같이 헤드커버의 기능과 방열판의 기능을 겸해서 가지고 있다.
단, 후술하는 위치맞춤의 필요로부터 형상은 조금 달라져 있다.
컨벌젼스용 렌즈(12), 방열판 겸용 헤드커버(58), 회로기판(10)은 협착부재(60, 62)에 의해 끼워져 일체화하고 있다.
방열판 겸용 헤드커버(58)상부에 형성된 평탄한 훅부(58a)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컨벌젼스용 렌즈(12)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은 헤드의 긴 방향(지면의 깊은 쪽 방향)에 긴 홈형상을 하고 있다.
평탄한 훅부(58a)로부터는 윗쪽에 훅부(58b)가 연장형성되어 있다.
훅부(58a)의 선단은 도면 중 좌측방향에 수직으로 굴곡해 있다.
훅부(58a)에는 협착부재(60)가 끼워 붙여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긴 홈형상의 구멍에 삽입된 컨벌젼스용 렌즈열(12)은 협착부재(60)에 의해서 훅부(58a)에 고정된다.
협착부재(60)는 대략 M자 단면을 가지는 스프링부재(클립)이고, M자 다리에 의해 컨벌젼스용 렌즈열(12)과 훅부(58a)를 끼우고 있다.
한편, 방열판 겸용 헤드커버(58)의 좌측하단에서 아래쪽을 향해 훅부(58c)가 연장형성되어 있다.
훅부(58c)의 단부는 내측에 거의 직각으로 굴곡해 있다.
또, 이 훅부(58c)와는 역으로 방열판 겸용 헤드커버(58)의 우측상단에서 윗쪽을 향해 훅부(58d)가 연장형성되어 있다.
협착부재(62)는 이들 훅부(58c) 및 훅부(58d)에 걸어 맞추고 회로기판(10)에 방열판 겸용 헤드커버(58)를 장치하는 스프링부재이다.
협착부재(62)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다.
협착부재(62)는 1장의 판스프링을 V자 형상으로 휘게 한 형상이다.
V자의 한쪽 암(62a)의 선단은 소정각도에서 바깥측으로 굴곡해 있고,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선단이 훅부(58c)의 굴곡부에 걸어맞춘다.
또, V자의 다른쪽 암(62b)의 선단은 내측에 굴곡해 있고, 예각인 걸어맞춤부(62c)를 구성하고 있다.
걸어맞춤부(62c)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부(58d)를 회로기판(10)방향으로 (아래쪽으로)누른다.
또한, 암(62b)의 중간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부(62d)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62d)는 회로기판(10)을 방열판 겸용 헤드커버(58)에 대해 경사면의 아래쪽 방향으로부터 눌러 붙힌다.
회로기판(10)은 암(62a)의 선단굴곡부에 의해 아래쪽 방향으로부터도 눌러 붙여지고 있기 때문에 돌출부(62d)는 주로 회로기판(10)의 횡방향의 위치규제를 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협착부재(60), 긴홈 구멍 및 훅부(58a)에 의해 방열판 겸용 헤드커버(58)에 대해서 컨벌젼스용 렌즈열(12)이 위치규제되고 있다.
또, 회로기판(10)은 암(62a)에 의해서 윗쪽에 돌출부(62d)에 의해서 도면의 좌우방향(헤드의 짧은 방향)에 각각 위치규제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기준핀과 관통구멍 등에 의해 회로기판과 케이스커버를 위치결정할 필요없이 생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물론, 위치정밀도도 저하하지 않는다.
또, 회로기판(10)의 열팽창이 발생한 경우에도 이것을 돌출부(62d)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제6a도 내지 제6c도에는 이 실시예의 전체 구성이 나타나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같이 회로기판(10)이 긴쪽 방향으로 나와 있고, 나온 부분에는 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44)에 의해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 이 구멍(44)이 형성되어 있는 끝과 반대의 끝에는 절개부(64)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이 아닌 절개부(64)로 하는 것에 의해 긴쪽 방향의 치수 오차를 흡수할 수 있다.
제7도에는 이 실시예의 단부가 나타나 있다.
도면 중, "66"은 회로기판(10)의 단부로부터의 수분과 그외의 침입을 막고, 회로기판(10)상의 회로소자의 부식을 방지하는 수지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회로기판과 감광드럼의 거리를 정확히 설정할 수 있다.
또, 이를 위한 부재는 간단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생산공정을 간소화하고, 회로기판과 컨벌젼스용 렌즈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고, 회로기판의 열팽창에도 대응할 수 있다.

Claims (27)

  1. 발광수단; 발광수단으로부터 발사된 빛을 감광부재의 표면을 향해 모으는 렌즈 및; 발광수단과 감광부재의 거리를 소정값으로 설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LED 헤드에 있어서, 상기 설정수단은 발광수단이 배치되는 회로기판; 및 회로기판의 발광수단 배치면을 기준면으로 해서 발광수단에 대한 감광부재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은 회로기판에 형성된 구멍 및; 감광부재로부터 연장된 선단이 구멍에 삽입되는 봉형상의 부재이고, 그 선단의 주변둘레에 회로기판과 접하는 지름확장부를 가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감광부재가 드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헤드.
  3. 제1항에 있어서, 발광수단이 소정 개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헤드.
  4. 제1항에 있어서, 회로기판이 LED 헤드의 긴 방향으로 튀어 나오고, 구멍이 튀어나온 단부(端部)중 적어도 일단(一端)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헤드.
  5. 제1항에 있어서, 단부 중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단부에 형성된 절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헤드.
  6. 제1항에 있어서, LED 헤드의 긴 방향으로 튀어나온 회로기판 단부를 봉지(封止)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헤드.
  7. 제1항에 있어서, 발광수단 및 그 주변구성의 열을 달아나게 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헤드.
  8. 제1항에 있어서, 발광수단으로부터 발사된 빛이 렌즈에 입사하도록 발광수단을 덮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헤드.
  9. 제9항에 있어서, 커버가 발광수단 및 그 주변구성의 열을 달아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헤드.
  10. 발광수단; 발광수단으로부터 발사된 빛을 감광부재의 표면을 향해 모으는 렌즈 및; 발광수단과 렌즈의 위치관계를 고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LED 헤드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발광수단이 배치되는 회로기판; 회로기판의 발광수단 배치면을 발광수단으로부터 발사된 빛이 렌즈에 입사하도록 덮음과 동시에 렌즈를 유지하는 커버; 및 커버를 회로기판에 협착하는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헤드.
  11. 제10항에 있어서, 발광수단이 소정 개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헤드.
  12. 제10항에 있어서, 발광수단 및 그 주변구성의 열을 달아나게 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헤드.
  13. 제10항에 있어서, 커버가 발광수단 및 그 주변구성의 열을 달아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헤드.
  14. 제10항에 있어서, 협착부재가 커버를 회로기판에 협착하는 스프링 형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헤드.
  15. 제14항에 있어서, 스프링 형상 부재가 판 스프링을 V자 형상으로 굴곡시키고, 또한, V자인 2개의 암의 선단을 굴곡시킨 구조를 가지고, 커버가 스프링 형상 부재의 2개의 암중 제1암의 굴곡이 걸어맞추는 제1의 훅부 및 스프링 형상 부재인 2개의 암중 제1훅부와 걸어맞추어지지 않는 제2의 암의 굴곡의 선단이 접해 위치멈춤되는 제2의 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헤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제2암 굴곡의 코너부가 회로기판을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헤드.
  17. 제15항에 있어서, 스프링 형상 부재의 적어도 1개의 암에 회로기판을 커버에 회로기판 횡방향으로부터 누르는 부분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헤드.
  18. 제17항에 있어서, 누르는 부분이 V자인 암으로부터 내측에 절곡된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헤드.
  19. 제10항에 있어서, 커버가 회로기판으로부터 보아 발광수단 배치면측에 세워 설치된 돌출부를 가지고, 협착부재가 렌즈를 돌출부에 협착하는 클립형상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헤드.
  20. 제10항에 있어서, 커버는 렌즈가 끼워 붙여지는 구멍 및 구멍을 따라 세워 설치되는 훅부를 가지고, 협착부재는 렌즈를 훅부에 협착하는 클립형상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헤드.
  21. 발광수단; 발광수단으로부터 발사된 빛을 감광부재의 표면을 향해 모으는 렌즈를 구비한 LED 헤드에 있어서, 발광수단이 배치되는 회로기판; 회로기판의 발광수단 배치면을 발광수단으로부터 발사된 빛이 렌즈에 입사하도록 덮음과 동시에 렌즈를 유지하는 커버; 회로기판의 발광수단 배치면을 기준면으로 해서 발광수단에 대한 감광부재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 및 커버를 회로기판에 협착하는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은 회로기판에 형성된 구멍; 및 감광부재로부터 연장된 선단이 구멍에 삽입되는 봉형상의 부재이고, 그 선단의 주변둘레에 회로기판과 접하는 지름확장부를 가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헤드.
  22. 발광수단; 광선의 조사에 의해 감광하는 부재; 발광수단으로부터 발사된 빛을 감광부재의 표면을 향해 모으는 렌즈; 및 발광수단과 감광부재의 거리를 소정값으로 설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LED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설정수단은 발광수단이 배치되는 회로기판; 및 회로기판의 발광수단 배치면을 기준면으로 해서 발광수단에 대한 감광부재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은 회로기판에 형성된 구멍; 및 감광부재로부터 연장된 선단이 구멍에 삽입되는 봉형상의 부재이고, 그 선단의 주변둘레에 회로기판과 접하는 지름확장부를 가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프린터.
  23. 발광수단; 발광수단의 광선의 조사에 의해 감광하는 부재; 발광수단으로부터 발사된 빛을 감광부재의 표면을 향해 모으는 렌즈 및 발광수단과 렌즈의 위치관계를 고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LED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발광수단이 배치되는 회로기판; 회로기판의 발광수단 배치면을 발광수단으로부터 발사된 빛이 렌즈에 입사하도록 덮음과 동시에 렌즈를 유지하는 커버; 및 커버를 회로기판에 협착하는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프린터.
  24. 발광수단; 광선의 조사에 의해 감광하는 부재; 발광수단으로부터 발사된 빛을 감광부재의 표면을 향해 모으는 렌즈를 구비한 LED 프린터에 있어서, 발광수단이 배치되는 회로기판; 회로기판의 발광수단 배치면을 발광수단으로부터 발사된 빛이 렌즈에 입사하도록 덮음과 동시에 렌즈를 유지하는 커버; 회로기판의 발광수단 배치면을 기준면으로 해서 발광수단에 대한 감광부재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 및 커버를 회로기판에 협착하는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은 회로기판에 형성된 구멍; 및 감광부재로부터 연장된 선단이 구멍에 삽입되는 봉형상의 부재이고, 그 선단의 주변둘레에 회로기판과 접하는 지름확장부를 가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프린터.
  25. 발광수단과 감광부재의 거리를 소정값으로 설정하는 기구에 있어서, 발광수단이 배치되는 회로기판; 및 회로기판의 발광수단 배치면을 기준면으로 해서 발광수단에 대한 감광부재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은 회로기판에 형성된 구멍; 및 감광부재로부터 연장된 선단이 구멍에 삽입되는 봉형상의 부재이고, 그 선단의 주변둘레에 회로기판과 접하는 지름확장부를 가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수단과 감광부재 거리 설정기구.
  26. 발광수단과 렌즈의 위치관계를 고정하는 기구에 있어서, 발광수단이 배치되는 회로기판; 회로기판의 발광수단 배치면을 발광수단으로부터 발광시킨 빛이 렌즈에 입사하도록 덮음과 동시에 렌즈를 유지하는 커버; 및 커버를 회로기판에 협착하는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수단과 렌즈의 위치관계 고정기구.
  27. 발광수단과 감광부재의 거리를 소정값으로 설정하고, 또한 발광수단과 렌즈의 위치관계를 고정하는 기구에 있어서, 발광수단이 배치되는 회로기판; 회로기판의 발광수단 배치면을 발광수단으로부터 발사된 빛이 렌즈에 입사하도록 덮음과 동시에 렌즈를 유지하는 커버; 회로기판의 발광수단 배치면을 기준면으로 해서 발광수단에 대한 감광부재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 및 커버를 회로기판에 협착하는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은 회로기판에 형성된 구멍; 및 감광부재로부터 연장된 선단이 구멍에 삽입되는 봉형상의 부재이고, 그 선단의 주변둘레에 회로기판과 접하는 지름확장부를 가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수단과 감광 부재거리 설정 및 발광수단 및 렌즈의 위치관계 고정기구.
KR1019920017665A 1991-09-30 1992-09-28 발광다이오드(led)헤드 및 이를 이용한 프린터, 그리고 이와 관련된 발광수단과 감광부재·렌즈와의 거리설정 및 위치관계 고정기구 KR100243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004091A JPH0584974A (ja) 1991-09-30 1991-09-30 Ledヘツド
JP91-250036 1991-09-30
JP91-250040 1991-09-30
JP25003691A JPH0588517A (ja) 1991-09-30 1991-09-30 Ledヘツ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796A KR930005796A (ko) 1993-04-20
KR100243426B1 true KR100243426B1 (ko) 2000-03-02

Family

ID=26539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7665A KR100243426B1 (ko) 1991-09-30 1992-09-28 발광다이오드(led)헤드 및 이를 이용한 프린터, 그리고 이와 관련된 발광수단과 감광부재·렌즈와의 거리설정 및 위치관계 고정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506612A (ko)
KR (1) KR1002434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7406B2 (ja) * 1995-06-22 2001-06-18 株式会社沖データ Ledプリントヘッド及びその焦点調整方法
JP2000141744A (ja) * 1998-11-04 2000-05-23 Canon Inc 露光装置
KR20010100868A (ko) 2000-04-06 2001-11-14 이주하라 요죠우 광기록 헤드와 그 조립 방법
JP2002148547A (ja) * 2000-11-13 2002-05-22 Brother Ind Ltd スキャナ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WO2002094572A1 (fr) * 2001-05-18 2002-11-28 Nippon Sheet Glass Co.,Ltd. Tete d'ecriture optique et procede d'assemblage associe
US20060279626A1 (en) * 2005-06-10 2006-12-14 Tu Shun L Optics lens structure of LED printer head
JP5597906B2 (ja) * 2005-11-30 2014-10-01 株式会社リコー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374739B2 (ja) * 2014-09-19 2018-08-15 株式会社沖データ 露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192846B2 (en) 2014-11-05 2019-01-29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Method of inserting an electronic component into a slot in a circuit board
US10553557B2 (en) * 2014-11-05 2020-02-04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Electronic component, system and method
US10064287B2 (en) 2014-11-05 2018-08-28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semiconductor carrier and redistribution structure
FR3031503A1 (fr) * 2015-01-14 2016-07-15 Qualipac Sa Recipient, composant de recipient, et gamme de tels produits
USD885389S1 (en) * 2017-09-04 2020-05-2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mage sensor for scann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3334A (en) * 1983-08-26 1987-10-27 Ricoh Company, Ltd. Optical recording head and belt positioning apparatus
US5014074A (en) * 1988-10-11 1991-05-07 Hewlett-Packard Company Light emitting diode print head assembly
US4904862A (en) * 1989-01-19 1990-02-27 Hewlett-Packard Company Lens adjustment for a light emitting diode print head
EP0464269B1 (en) * 1990-07-03 1995-11-02 Agfa-Gevaert N.V. Led exposure head
US5099550A (en) * 1990-11-05 1992-03-31 Mi Proprietary Clamp for attachment of a heat sink
US5357404A (en) * 1991-11-18 1994-10-18 The Whitaker Corporation EMI shield, and assembly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06612A (en) 1996-04-09
KR930005796A (ko) 199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3426B1 (ko) 발광다이오드(led)헤드 및 이를 이용한 프린터, 그리고 이와 관련된 발광수단과 감광부재·렌즈와의 거리설정 및 위치관계 고정기구
JP3710822B2 (ja)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
KR940011263B1 (ko) Led어레이
KR0182048B1 (ko) 밀착형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5291039A (en) LED head having heat radiating mount
US6343092B1 (en)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semiconductor lasers
WO2013118388A1 (ja) 光源装置
KR20140146129A (ko) 조명장치, 이미지 센서 및 그들의 제조방법
US5194725A (en) Image sensor including resilient pressing means for pressing a light receiving sensor substrate against an image sensor frame
US20090080213A1 (en) Light guide and image sensor module
US20020092967A1 (en) Image sensor used for image inputting device
US5479010A (en) Photoelectric encoder having a plane mirror disposed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of a concave mirror
KR19980024012A (ko) 광디바이스
JPWO2004054232A1 (ja) 導光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み取り装置
US7034278B2 (en) Device for detecting movements of an object surface having a prism for uniformly distribution of light
WO2014129549A1 (ja) 画像読取装置
US20190157843A1 (en) Laser light source unit
JPH07228002A (ja) 光学記録ヘッド
JP2920378B2 (ja) Ledプリントヘッドのレンズホルダ
JP2625702B2 (ja) 光プリンタ
JP3921115B2 (ja) 光プリンタヘッド
JPH0557958A (ja) 画像ヘツド
JPH09307714A (ja) 画像読取装置
JP2001230902A (ja) 画像読取り装置
JPH0262256A (ja) 光プリンタ用書き込み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