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2502B1 - 자기 테이프 및 테이프 카셋트 - Google Patents

자기 테이프 및 테이프 카셋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2502B1
KR100242502B1 KR1019920000933A KR920000933A KR100242502B1 KR 100242502 B1 KR100242502 B1 KR 100242502B1 KR 1019920000933 A KR1019920000933 A KR 1019920000933A KR 920000933 A KR920000933 A KR 920000933A KR 100242502 B1 KR100242502 B1 KR 100242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layer
magnetic
colored
non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0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264A (ko
Inventor
노브루 고야마
야스시 나까노
나리또 고또
아쓰오 에자끼
Original Assignee
우에마쯔 도미지
코니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에마쯔 도미지, 코니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에마쯔 도미지
Publication of KR920015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5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28Indicating or preventing prior or unauthorised use, e.g. cassettes with sealing or locking means, write-protect devices for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자성 착색층이 지지체에 인접하게 제공되어 있고, 상기 비자성 착색층이 자기 기록층과 상이한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테이프 또는 상기 테이프를 수납하는 테이프 카셋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테이프 또는 테이프 카셋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색상 차이에 의해 해적판과 쉽게 구별될 수 있다. 또한, 해적판 제조업자가 생 테이프를 가공하여 유사품을 제조하려고 해도 제조가 극히 곤란하므로 모방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기 테이프 및 테이프 카셋트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테이프의 한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테이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테이프의 제3의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테이프 카셋트의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V-V선 단면도.
제6도는 리드가 열려진 동일한 비디오 테이프 카셋트의 후면에서 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하부 하프(half) 3 : 상부 하프
10 : 비자성 지지체 11 : 비자성 착색층
12 : 자기 기록층 13 : 표면 방향
14 : 이면 방향 41 : 자기 테이프
60 : 리드(lid) 71 : 비디오 카셋트
본 발명은 자기 테이프 및 테이프 카셋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위 AV(시청각)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상품화된 시각 매체에 대한 수요 및 제조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매일 막대한 양의 생(生)비디오 테이프 및 음악, 만화, 만화영화 및 무대공연을 수록한 비디오 상품들이 시판제품으로 또는 대여용 비디오 테이프로 소비되고 있다
비디오 테이프 업계에 있어서, 비디오용 기구 등의 보급에 따라 정당한 저작권자나 그의 승인을 받은 자가 아닌 사람이 정규 절차를 통해 기록된 비디오 테이프의 내용을 더빙하여 소위 해적판을 대량으로 생산, 판매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해적판이 횡행하는 이러한 비디오 테이프 사업 유통 체계에 있어서, 적법한 제조업자 및 상인들은 해적판이 유통되지 못하게 하는 것을 갈망하고 있다. 그러므로, 전체 비디오 테이프 산업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해적판을 근절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술적 방법을 간절히 기다려 왔다.
이러한 방지법으로 예를 들면 홀로그램 실(hologram seal)을 사용하거나 또는 테이프 카셋트 전면에 부착된 리디를 착색시키는 것이 시도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은 해적판 제조업자들에 의해 쉽게 모방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방법은 해적판의 유통을 막는데 효과적이지 않다.
한편, 일본국 특허 공개 제231426/1987호는 자성층이 상층 및 안료 또는 염료를 함유하는 하층으로 나뉘어져 있어 하층이 상층과 상이한 색을 가지게 되는 자기 기록 매체를 기재하고 있다. 이 특허 문헌은 상층의 코팅 결함 및 코팅 불균일성이 하부 자성층의 색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는 것을 기재하고 있지만, 하층의 색으로부터 해적판을 발견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다. 게다가 해적판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하층을 착색한다는 의도는 전혀 나타나있지도 않고, 암시되어 있지도 않다.
또한, 하부 자성층 중에 함유되어 있는 안료 또는 염료는 같은 층 중의 자기 분말(일반적으로, 흑갈색임)과 혼합되기 때문에 상층과의 콘트라스트(contrast)가 흐리고, 또한 하층의 전자 변환 특성은 많은 양으로 함유되어 있는 안료에 의해 악영향을 받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방하기 어렵고, 구입자들이 쉽게 정당한 시판품임을 인식할 수 있고, 따라서 해적판의 출현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자기 테이프 및 테이프 카셋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자기 테이프는 지지체, 지지체 상에 제공된 자기 기록층 및 지지체에 인접하게 제공된 비자성 착색층을 갖는데, 이 때 비자성 착색층은 자기 기록층과 상이한 색으로 착색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 신호 및 음성 신호와 같은 소정의 신호를 자기 기록하는 자기 테이프 및 자기 테이프를 수납하는 카셋트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기 테이프가 지지체 상에 제공된 자기 기록층과 상이한 색으로 착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셋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 신호 및 음성 신호와 같은 소정의 신호를 자기 기록하는 자기 테이프 및 자기 테이프를 수납하는 카셋트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기 테이프가 지지체, 지지체 상에 제공된 자기 기록층 및 지지체와 자기 기록층 사이에 제공된 비자성 착색층을 가지며, 상기 비자성 착색층이 상기 자기 기록층과 상이한 색으로 착색되어 있어 이러한 색상 차이에 의해 비디오 테이프 카셋트의 해적판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셋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으로서는 상기 자기 테이프, 테이프 카셋트 및 비비오용 테이프 카셋트에 있어서, 비자성 착색층이 백색 안료 및 착색 안료 또는 착색 염료를 함유하도록 구성된 경우, 자성층의 반대편에 있는 지지체 측면으로부터 테이프를 봤을 때 자성층의 색(통상 흑갈색임)이 백색 안료에 의해 차폐되거나 또는 약화되기 때문에 비자성 착색층의 색은 자성층의 색과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다. 이 경우, 비자성층의 색은 착색 안료에 백색 안료가 혼합된 파스텔조로 될 수 있다.
상기한 지지체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광학적으로 투명한”이란 지지체가 가시광에 대해서 투명하거나 또는 완전히 투명하지는 않지만 내부층의 색을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가시광을 투과시킬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한“비자성 착색층”은 후술되는 실시예에서도 언급되는 바와 같이, 특정색을 갖는 적어도 1종의 착색체(착색 안료 또는 염료) 및 결합제를 함유하는 비자성층 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착색제 및 백색 안료를 함유하는 비자성층, 또는 백색 안료 및 결합제로 이루어진 비자성 백색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자성 착색층은 단일층 뿐만 아니라 2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자성층면 상에 백색층을 제공하고 이 백색층을 통해 착색 안료층을 제공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 발명에 따른 각 자기 테이프를 나타낸다.
제1도에 나타낸 테이프(41)은 투명 기판(baes film)(10)의 한면상에 비자성 착색층(11) 및 자성층(12)를 형성시켜 제조하였다.
자성층(12) 중에 함유되어 있는 강자성 분말로서는 γ-Fe203, C0-함유 γ-Fe203, Co-코팅된 γ-Fe203, Fe304, C0-함유 Fe304, C0-코팅된 Fe304, C0-함유 자성 Fe0x(3/2〉x〉4/3) 및 Cr02와 같은 산화물 자성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륨 페라이트와 같은 육방정 페라이트 및 질화철도 사용할 수 있다.
강자성 금속 분말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예로는 Fe, Ni, Co 또는 Fe-Al-계, Fe-Al-Ca계, Fe-Al-Ni계, Fe-Al-Zn계, Fe-Al-Co계, Fe-Ni계, Fe-Ni-Co계, Fe-Ni-Si-Al-Mn계, Fe-Ni-Si-Al-Zn계, Fe-Al-Si계, Fe-Ni-Zn계, Fe-Ni-Mn계, Fe-Ni-Si계, Fe-Mn-Zn계, Fe-Co-Ni-P계, 또는 Co-Ni계와 같이 Fe, Ni 또는 Co를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 자성 분말을 들 수 있다. 이들 금속 분말은 첨가제로서 Cu, Cr과 같은 원소 또는 이들의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자기 기록층(12)에는 윤활제(예를 들면, 실리콘 오일, 그라파이트, 이황화 몰리브덴, 이황화 텅스텐, 스텐아르산과 같은 탄소 원자수 12 내지 20의 일염기성 지방산 또는 탄소 원자수 13 내지 40의 지방산 에스테르), 연마제(예를 들면, α-Al203), 대전방지제(예를 들면, 카본 블랙, 그라파이트) 및 분산제(예를 들면, 분말 레시틴)를 첨가할 수 있다.
가기 기록층 중에 사용되는 결합제로서는, 약 10,000 내지 20,000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들이 바람직하고, 이들 결합제는 또한 비자성 착색층(11)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들의 예로는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비닐 클로라이드-비닐리덴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비닐 클로라이드-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우레탄 수지,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비닐 부티랄, 셀룰로오스 유도체(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 니트로셀룰로오스),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수지, 각종 합성 고무,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페녹시 수지, 실리콘 수지, 아크릴계 반응 수지, 고분자량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 초기 중합체의 혼합물, 폴리에스테로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우레아 포름알데히드 수지, 저분자량 글리콜/고분자량 디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자성 분말의 분산성의 면에서 볼 때, 이들 결합제들이 -SO3M, -OSO3M, -COOM 및 PO(OM')2(이 때, M은 수소 원자 또는 Na, K Li와 같은 알카리 금속 원자를 나타내고 M'은 수소 원자, Na, K, Li와 같은 알칼리 금속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냄)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극성기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자성 착색층(11)은 상기한 결합제 외에 알루미나, 산화 티탄과 같은 백색 안료, 산화 크롬과 같은 녹색 안료, 크롬 옐로우와 같은 황색 안료, 또는 적색 산화철과 같은 적색 안료를 함유한다. 이들 안료의 입자 크기는 0.1 내지 10㎛, 특히 0.1 내지 2㎛가 바람직하다.
비자성 착색층(11)은 상기 안료 대신 또는 상기 안료와 함께, 프탈로시아닌 염료, 아조 염료, 안트라퀴논 염료, 인디고이드 염료, 니트로 또는 니트로소 염료, 퀴놀린 염료, 메틴 염료, 티아졸 염료, 퀴논이민 염료, 아진 염료, 옥사진 염료, 티이진 염료, 아조익 염료, 디페닐메탄 염료, 트리페닐메탄 염료, 크산텐 염료, 아크리딘 염료, 산화 염료, 황화 염료, 프탈레인 염료, 아미노케톤 염료, 또는 옥시케톤 염료를 함요할 수 있다.
비자성층(11)에 있어서, 안료 또는 염료의 함량은 결합제 100 중량부당 100 내지 10,000중량부, 특히 300 내지 3,00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비자성층(11)의 두께는 0.1 내지 10㎛, 특히 0.5 내지 6㎛가 바람직하다.
지지체(10)은 투명한 비자성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 6-나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와 같은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아미드; 및 폴리카르보네이트를 들 수 있다.
지지체(10)의 두께는 약 3 내지 100㎛, 특히 5 내지 50㎛가 바람직하다.
지지체(10) 상에 비자성 착색층(11) 및 자기 기록층(12)를 형성하기 위해, 앞서 코팅된 층을 건조시킨 다음 그 위에 다음의 층을 코팅시키는 방법(소위, 웨트-온-드라이(wet-on-dry)코팅법) 또는 앞의 건조되지 않은 습윤층 상에 다음의 층을 동시에 또는 이어서 코팅시키는 방법(소위, 웨트-온-웨트(wet-on-wet)코팅법)을 적용할 수 있다. 코팅된 막의 접착성 및 표면 평활성의 면에서 볼 때, 웨트-온-웨트 다층 코팅법으로 다층 코팅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성 코팅 조성물에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첨가하는 것이 유리하고, 상기 경화제는 또한 비자성 착색층용 코팅 조성물에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자기 테이프(41)에 있어서, 자기 기록층(12)의 색(통상 흑갈색임)은 자기 기록층(12)쪽 방향(13)에서 봤을 때 볼 수 있는 반면, 비자성 착색층(11)의 색(예를 들면, 백색)은 역방향(14)에서 봤을 때 투명 지지체(10)을 통해 볼 수 있다.
비자성 착색층(11) 중에 백색 안료 및 착색 안료가 함유되어 있는 경우, 자기 기록층(12)의 색(통상 흑갈색임)이 백색 안료에 의해 차폐되거나 또는 약화되기 때문에 비자성층(11)의 색은 (14)의 방향에서 봤을 때 자기 기록층(12)의 색과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다. 이 경우, 비자성 착색층(11)의 색은 착색 안료에 백색이 혼합된 파스텔조로 될 수 있다.
테이프가 제1도에 나타낸 구조로 구성되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테이프 카셋트 내에 수납된 경우, 이 테이프는 (13) 및 (14)의 방향에서 봤을 때의 색이 서로 상이한지 아닌지에 의해 이와 같이 제조되지 않아서 해적판일수 있는 테이프와 쉽게 구별될 수 있기 때문에 해적판에 대한 유용한 방지책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해적판의 경우는 비자성층(11)이 없기 때문에 (13) 및 (14)의 방향에서 관찰한 색이 동일하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제1도의 테이프는 해적판 제조업자가 생 테이프를 가공하여 유사품을 제조하려 해도 제조가 극히 곤란하다. 따라서 모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색을 선택함으로써 테이프 제조업자는 그들의 테이프에 자기 특유의 색을 착색할 수 있다.
테이프 카셋트의 수납 케이스에 처리하는 경우와는 달리 카셋트 내에 수납되어 있는 테이프 자체에 식별법이 제공되므로, 모방자는 비디오 테이프 그 자체를 가공하지 않으면 안된다.
상기한 테이프(후술되는 테이프 포함)에서, 색상 차이는 다음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테이프(41)의 색을 그의 상부 면(13) 및 이면(14)로부터 색 분석기(무라까미 시끼사이 제품 CMS-1200) 로 관측하여 L*, a*, b*를 구하고, 이로부터 색상 차이 E*ab를 계산한다.(이것에 관해서는 1976년에 Commission Internationale del ′Eclairage가 추천한 표색계 CIELAB에 나타나 있다). 상기 테이프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테이프의 이면(14) 및 표면(13) 사이의 E*ab의 차이[ΔE* ab(이면)-E*ab(표면)]는 5.0 이상, 특히 10.0 내지 100.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도의 테이프에서는 비자성 착색층(11) 및 자기 기록층(12)가 별도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 테이프는 자기 기록층(12)에 안료를 첨가하는 경우와 비교했을 때, 콘트라스트가 보다 양호하여 색을 구별하기 쉽고, 자기 기록층(12)는 전자 변환 특성에 악영향을 받지 않는다. 게다가, 비자성 착색층(11)은 바깥면에 노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주행계와의 마찰시에 벗겨지지 않는다. 또한, 자기 기록층(12)와 지지체(10) 사이에 형성되기 때문에 서빙 효과(subbing effect)를 가져 자기 기록층(12)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킨다.
제2도는 비자성 착색층(11)을 2층으로, 즉, 착색 안료층(11a)인 하층 및 백색 안료층(11b)인 상층으로 나눈 다른 테이프의 예를 나타낸다. 그 결과, 착색 안료층(11a)의 색이 백색 안료층(11b)에 의해 한층 강조되고, 자기 기록층(12)의 색의 영향이 충분히 감소되어 자기 기록층(12)와의 선명한 색상 콘트라스트를 형성한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에서는, 지지체 그 자체를 착색시킴으로써 착색층(11a)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한 층(11a, 및 11b)에 있어서, 안료의 함량은, 각각 층(11a)에서는 결합제 100중량부당 400 내지 3,000 중량부, 층(11b)에서는 결합제 100중량부당 400 내지 3,00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층(11a)의 두께는 0.5 내지 4.0㎛, 층(11b)의 두께는 0.5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층 구성 이외에, 각 층은 다른 안료층과 조합될 수 있다.
제3도에 나타낸 테이프에서는, 비자성 착색층(11)이 자기 기록층(12)와 지지체(10)의 사이가 아닌, 지지체(10)상의 자기 기록층(12)의 반대편에 제공된다. 따라서, 이것은 또한 이면 코팅(back-coating)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이면 코팅층(11)의 색을 직접 볼 수 있으므로 자기 기록층(12)와의 색상 차이를 쉽게 판별할 수 있다.
층(11)은 이면 코팅층으로서 주행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면 코팅층(11)중에 사용되는 안료의 양은 결합제 100 중량부당 200 내지 2,00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층의 두께는 0.5 내지 3.0㎛가 바람직하다.
제4 내지 6도는 본 발명의 제2 발명에 따라 테이프(41)을 수납하는 해적판 방지용 비디오 테이프 카셋트(71)의 한 예를 나타낸다.
이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71)에서는, 아직 화상 신호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생 자기 테이프(41)을 감는 하부 플랜지(45 및 46)을 각각 갖는 한 쌍의 릴 허브(reel hub)(42 및 43)(테이프 릴)을 수용하는 하부 하프(2)가 릴 허브를 압착.보지시키는 리프 스프링(leaf spring)(55)를 고정시키는 상부 하프(3)에 결합된다. 릴 허브가 리프 스프링(55)에 의해 압착되는 영역에 있어서는, 투명한 릴 플랜지(47 및 48)의 각 중심부에 피봇(pivot)이라 불리우는 돌기(52 및 53)이 설치되어 있어 리프 스프링(55)가 이들 피봇과 상호 관련되게 된다. 이들 도면에서, (49) 및 (50)은 좌우에 있는 한 쌍의 투명한 창이다.
이러한 유형의 테이프 카셋트를 사용하여 해적판의 횡행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제3 발명에 따라 이들 테이프 카셋트에 소정의 정보(소프트웨어)를 기록한 후에 시판해야 한다. 또한 이들 테이프 카셋트를 일정 업자에게 생 테이프 카셋트로 판매하여 그들이 정보를 기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소정의 신호를 기록한 테이프(41)을 수납하는 비디오 테이프 카셋트는 제1도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13) 및 (14)의 방향에서 봤을 때 상이한 색을 나타내기 때문에 해적판과 구별될 수 있다.
특히, 카셋트(71)의 리드(60)이 열려진 상태에서는 카셋트의 후면에서 봤을 때 테이프(41)의 이면(즉, 지지체(10) 면)이 자기 기록층(12)의 색과 상이한 색으로 보이기 때문에 해적판으로부터 쉽게 구별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및 테이프 카셋트의 전형적인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에 나타낸 성분, 비율 및 조작 순서는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 하기에 나타낸“부”는 중량부를 의미한다.
14.0㎛ 두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지지체 상에 비자성 착색층 및 자성층을 다음의 조작 순서에 따라 형성하였다.
(비자성 착색층용 코팅 조성물)
상기 성분들을 혼련, 분산시켰다. 이어서, 표 1에 나타낸 안료(A) 및 (B)를 사용하여 표 1에 나타낸 착색층 조성물(a) 내지 (f)를 제조하였다.
(자성 코팅 조성물Ⅰ)
상기 자성 코팅 성분들을 혼련, 분산시킨 후, 코로네이트(coronate) L(닛뽕 폴리우레탄사 제품) 5부를 첨가하여 자성 코팅 조성물(Ⅰ)을 얻었다.
(자성 코팅 조성물Ⅱ)
강자성 분말(1) 대신 강자성 분말, 코발트-변성 Fe304(2) (Hc;700 0e, 비표면적; 40m2/g)를 사용하는 것 외에는 자성 코팅 조성물(Ⅰ)과 동일한 방식으로 자성 코팅 조성물(Ⅱ)를 제조하였다.
(자성 코팅 조성물 Ⅲ)
강자성 분말(1) 대신 강자성 합금 분말 Fe(3) (Hc; 1,500 0e, 비표면적; 55m2/g)을 사용하는 것 외에는 자성 코팅 조성물(Ⅰ)과 동일한 방식으로 자성 코팅 조성물(Ⅲ)을 제조하였다.
(자성 코팅 조성물(Ⅳ)
강자성 분말(1) 대신 강자성 판상 육방정계 페라이트(4) (Hc; 1,000 0e, 비표면적; 55m2/g)을 사용하는 것 외에는 자성 코팅 조성물(Ⅰ)과 동일한 방식으로 자성 코팅 조성물(Ⅳ)을 제조하였다.
(자성 코팅 조성물 Ⅴ)
강자성 분말(1) 대신 강자성 산화 크롬(5) (Hc; 700 0e, 비표면적; 30m2/g)을 사용하는 것 외에는 자성 코팅 조성물(Ⅰ)과 동일한 방식으로 자성 코팅 조성물(Ⅴ)을 제조하였다.
상기한 코팅 조성물을 표 2에 나타낸 층 구성으로 14.0㎛ 두께의 지지체 상에 웨트-온-웨트 방법으로 코팅시켰다. 폭 1.27㎝(1/2 in) 또는 8mm의 샘플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 1 내지 10은 제1도의 층 구성에 대응하고, 실시예 11은 제2도의 층 구성에 대응한다. 실시예 8, 9, 17 및 비교 실시예 3, 4, 7은 폭이 8mm인 샘플이다.
[표 1]
[표 2]
(이면 코팅층의 형성)
상기한 착색층(a), (b), (d), (e), (f)를 각각 제3도의 층 구성에 대응하도록 하여 지지체의 이면 상에 이면 코팅층(BC층)으로 형성하였다(표 3의 실시예 12 내지 16). 착색 BC층(g)를 상기한 안료(A) 대신 카본 블랙 100부를 사용하는 것 외에는 착색층(a)와 동일한 방식으로 지지체의 이면 상에 형성하였다(비교실시예 6).
[표 3]
상기 자성 코팅 조성물(Ⅲ)을 상부 자성층으로 및 상기 자성 코팅 조성물(Ⅰ)을 하부 자성층으로 하여 두께 2.0㎛의 비자성 착색층(d) 상에 형성시켜 이중 자성층 구조(상부 자성층 두께/하부 자성층 두께 : 0.5㎛/1.5㎛)를 갖는 자기 테이프를 제조하였다(실시예 17).
비자성 착색층(d)는 형성하지 않고, 적색 산화철 50 중량부를 하부 자성층용 자성 코팅 조성물(Ⅰ)(코팅 조성물의 기타 성분들은 실시예 17에서와 동일함)에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7에서와 같이 이중 자성층 구조(상부 자성층 두께/하부 자성층 두께 : 0.5㎛/3.5㎛)를 갖는 자기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한 각각의 테이프 샘플에 대해, 색 분석기(무라까미 시끼사이사 제품 CMS-1200) 를 사용하여 표면 및 이면으로부터 색을 관측하여 L*, a*, b*를 구한 다음 색상 차이 ΔE*ab를 계산하였다.(이것에 관해서는 1976년에 Commission Internationale de l‘Eclairage에 의해 추천된 표색계 CIELAB에 나타나 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a]
[표 4b]
[표 4c]
[표 4d]
각 샘플 테이프를 수납하는 비디오 카셋트를 사용하여 하기 방법으로 전자 변환 특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a) RF 출력, 루미(Lumi) S/N, 크로마(Chroma) AM-S/N, 크로마 출력:
칼라 노이즈 미터(color noise meter)“시바소꾸 925 D/1”을 사용하여 HR-S7000(재팬 빅터사 제품) 데크(deck) 상에서 샘플 테이프를 재생시켜 측정하였다. 결과를 대조용 테이프의 값과 비교한 값(dB)로 나타내었다. 한편, 실시예 8,9,17 및 비교실시예 3, 4, 5는 8mm 폭 샘플이기 때문에 캠코더(Camcorder) V900(소니사 제품)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신호의 주파수는 다음과 같다:
RF출력 : 6MHz(8mm 폭 테이프의 경우는 7MHz)
루미 S/N : 6MHz(8mm 폭 테이프의 경우는 7MHz)
크로마 AM-S/N : 629MHz(8mm 폭 테이프의 경우는 750KHz)
크로마 출력 : 629MHz(8mm 폭 테이프의 경우는 750KHz)
[표 5]
]
[표 5a]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테이프 및 테이프 카셋트를 구성하는 것은 비자성 착색층과 자기 기록층 사이의 색상 차이 때문에 해적판과 구별하기 쉬운 제품을 제공할 수 있고,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모방이 곤란하다.
표 4에 나타낸 색상 차이 ΔEab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데 ab에 있어서 중요한 사항으로 테이프의 표면과 이면 사이의 색상 차이 [ΔE* ab(이면)- ΔE* ab(표면)]가 5.0 이상, 특히 10.0 내지 1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건 대신 또는 상기 조건과 병립하여 [이면 (a*2+b*2)-표면(a*2+b*2)]이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가지 조건이 병립하는 경우가 특히 바람직하다.
표 5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및 테이프 카셋트가 양호한 전자 변환 특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비자성 지지체, 비자성 지지체 상에 제공된 자기 기록층 및 비자성 지지체에 인접하게 제공된 비자성 착색층을 가지며, 상기 비자성 착색층이 상기 자기 기록층과 상이한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자기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자성 착색층이 백색 안료 및 착색 안료 또는 착색 염료를 함유하는 자기 테이프.
  3. 소정의 신호가 자기 기록되어 있는 자기 테이프 및 이 자기 테이프를 수납하는 카셋트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기 테이프가 비자성 지지체, 비자성 지지체 상에 제공된 자기 기록층 및 비자성 지지체에 인접하게 제공된 비자성 착색층을 가지며, 상기 비자성 착색층이 상기 자기 기록층과 상이한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테이프 카셋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자성 착색층이 백색 안료 및 착색 안료 또는 착색 염료를 함유하는 테이프 카셋트.
  5. 소정의 신호가 자기 기록되어 있는 자기 테이프 및 이 자기 테이프를 수납하는 카셋트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기 테이프가 비자성 지지체, 비자성 지지체 상에 제공된 자기 기록층 및 비자성 지지체에 인접하게 제공된 비자성 착색층을 가지고, 상기 비자성 착색층이 상기 자기 기록층과 상이한 색으로 착색되어 있어 이러한 색상 차이에 의해 비디오 테이프 카셋트의 해적판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비디오용 테이프 카셋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자성 착색층이 백색 안료 및 착색 안료 또는 착색 염료를 함유하는 비디오용 테이프 카셋트.
  7. 소정의 신호가 자기 기록되어 있는 자기 테이프 및 이 자기 테이프를 수납하는 카셋트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기 테이프가 비자성 지지체, 비자성 지지체 상에 제공된 자기 기록층 및 비자성 지지체와 자기 기록층 사이에 제공된 비자성 착색층을 가지고, 상기 비자성 착색층이 상기 자기 기록층과 상이한 색으로 착색되어 있어 이러한 색상 차이에 의해 비디오 카셋트의 해적판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비디오용 테이프 카셋트.
KR1019920000933A 1991-01-24 1992-01-23 자기 테이프 및 테이프 카셋트 KR1002425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4141 1991-01-24
JP2414191 1991-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264A KR920015264A (ko) 1992-08-26
KR100242502B1 true KR100242502B1 (ko) 2000-02-01

Family

ID=12130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0933A KR100242502B1 (ko) 1991-01-24 1992-01-23 자기 테이프 및 테이프 카셋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25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264A (ko) 1992-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9333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US4273797A (en) Method of detecting pinholes in a magnetic recording medium
KR100242502B1 (ko) 자기 테이프 및 테이프 카셋트
US5354610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conductive underlayer containing carbon black and a magnetic layer containing tabular barium ferrite magnetic particles, α alumina, and binder resin
US5326635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having a non-magnetic underlayer containing electrically conductive tin oxide coated pigment
US4678697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JPS6238525A (ja) 磁気記録媒体
US5043212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EP0496559A2 (en) Magnetic tape and tape cassette
JP3016213B2 (ja) 磁気記録媒体及びテープカセット
JPH04248179A (ja) 磁気テープ及びテープカセット
JPH04248177A (ja) 磁気テープ及びテープカセット
US5324582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JPH07176028A (ja) 磁気テープとその製造方法及びテープカセット
JPH04271081A (ja) 磁気テープ用カセットケース及びテープカセット
JPH0644552A (ja) 磁気テープ及びテープカセット
US5061516A (en) Production method for magnetic recording medium
JPH04341919A (ja) 磁気テープ、その製造方法及びテープカセット
JPH0528467A (ja) 磁気テープ及びテープカセツト
KR100625051B1 (ko) 자기기록매체
JPH05135357A (ja) 磁気テープ及びテープカセツト
JP2969148B2 (ja) 磁気記録媒体
US5415928A (en) Magnetic recording tape
JPS60211623A (ja) 磁気記録媒体
JPH04330685A (ja) カセットケース及びテープ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