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569B1 - 고 주파수에 의해 용접될 수 있는 다층막 - Google Patents

고 주파수에 의해 용접될 수 있는 다층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569B1
KR100241569B1 KR1019970018597A KR19970018597A KR100241569B1 KR 100241569 B1 KR100241569 B1 KR 100241569B1 KR 1019970018597 A KR1019970018597 A KR 1019970018597A KR 19970018597 A KR19970018597 A KR 19970018597A KR 100241569 B1 KR100241569 B1 KR 100241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multilayer film
polyamide
copolymers
we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8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3781A (ko
Inventor
미셸 데그랑
Original Assignee
니일 앙리
엘프 아토켐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일 앙리, 엘프 아토켐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니일 앙리
Publication of KR970073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3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79Contains vapor or gas barrier, polymer derived from vinyl chloride or vinylidene chloride, or polymer containing a vinyl alcohol un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79Contains vapor or gas barrier, polymer derived from vinyl chloride or vinylidene chloride, or polymer containing a vinyl alcohol unit
    • Y10T428/1383Vapor or gas barrier, polymer derived from vinyl chloride or vinylidene chloride, or polymer containing a vinyl alcohol unit is sandwiched between layers [continuous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39Nylon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39Nylon type
    • Y10T428/31743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28Ester, halide or nitrile of addition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5Ester, halide or nitrile of addition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폴리아미드 및 폴리올레핀 혼합물에 기초한 차단벽막, 및 (ⅱ)상기 막의 적어도 한 면상의, 고주파수에 의해 용접될 수 있는 에틸렌 및 불포화 에스테르의 공중합체에 기초한 막으로 구성되는 유연한 포장용기 제조에 유용한 다층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세척제, 표백분 또는 직물용 연화제의 유연한 포장용기 제조용으로 유용하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고 주파수에 의해 용접될 수 있는 다층막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다층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 세척제, 세탁제, 표백분 또는 직물용 연화제와 같은 가정용 액체에 대한 유연한 포장용기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막에 관한 것이다.
US 5,135,785은 적어도 아세테이트 18중량%를 포함하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의 2개층 사이에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층으로 이루어진 막을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막들은 용접되어 유연한 포장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이들 막들은 산소에 대한 투과성을 가지고 있다; 사실, 상기 포장용기가 농축 표백분을 포함할 경우, 상기 표백분의 분해가 산소 발생과 함께 장시간 일어난다. 산소가 방출되지 않으면, 유연한 포장용기는 분열될 것이다. 또한 이들 막들은 향기에 재해 투과적이다. 선행기술은 가용자가 유연한 포장용기내에 있는 물질을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함에 따라 포장용기 외부쪽으로 향기의 이러한 손실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향기의 손실은 포장용기 저장의 90일 사이에 15%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이는 단지 전적으로 소망스런 경우로, 선행기술에는 이에 대한 어떠한 일례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 사실, 본 출원인은, 포장용기가 최초에 많은 양의 향기를 포함하고 있다하더라도, 30일 후, 상기 포장용기가 더 이상 어떠한 냄새도 없다는 바로 그러한 것이 향기의 손실임을 알았다. 또한 EVA는 슬립(SLIP)용제를 포함하여야 하지만, 정확히 슬립용제가 어느 것인지는 언급되지 않았으며, 막은 단지 4 내지 20 주의 제조기간내에 용접될 수 있다.
EP 477,025는 또한 EVA또는 에틸렌/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2개층 사이에 중합체 차단벽으로 이루어진 그러한 다층들을 기술하고 있다. 상기 중합체 차단벽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폴리아미드-폴리에틸렌(PE)이중층, EVOH-폴리에틸렌 이중층 및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의 2개층 사이에 EVOH(EVOH는 에틸렌 및 비닐 알콜의 공중합체를 나타내며, 또한 가수분해된 EVA로 알려져 있음) 또는 폴리아미드일 수 있다; 즉, 선행기술의 막들은 예를 들어 다음의 층들로 구성될 수 있다: EVA/PE/PA/PE/EVA또는 EVA/PE/EVOH/PE/EVA.
더욱이, 다양한 층들의 접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EVOH 및 PE 사이처럼, PE 및 PA사이에, 공압출 바인더를 배치시키거나, PE, EVOH, 또는 PA내로 반응기를 갖는 중합체를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다층들로 제조된 포장용기들은 산소 투과성이고, 따라서, 표백분에 적합하다.
그러나, 운송되는 생산품의 냄새나 향기에 대한 차단벽이 불충분하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이제, 출원인은 고주파수에 의래 용접되는 유연한 포장용기를 제조하는데 유용하고, (i)폴리아미드 및 폴리올레핀 혼합물에 기초한 차단벽막, 및 (ii) 상기 막의 적어도 한 면상의, 고주파수에 의해 용접될 수 있는 에틸렌 및 불포화 에스테르의 공중합체에 기초한 막으로 구성되는 다층막을 발견하였다.
이 막은 표백분을 포함하고 상기 막으로 제조된 유연한 포장용기가 분열되지 않도록 충분히 산소에 대해 투과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향기에 대해 차단벽이다; 수개월 지속될 수 있는 저장 기간 동안에 손실에 대한 어떠한 보상을 위해, 더 이상 포장용기내에 포함되는 생산품내에 많은 양의 향기를 배치시킬 필요가 없다. 이에 대한 이유는 출원인이 폴리아미드 및 폴리올레핀 혼합물로 이루어진 향기에 대한 차단벽이 폴리아미드/폴리올레핀 이중층의 차단벽보다 더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하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다층막 및 그 결과로 형성되는 포장용기의 기계적인 강도이다. 본 발명 막의 다른 장점은 재순환의 용이함이다; 사실, 막의 제조 및 포장용기의 제조 동안, 피할수 없는 파편들이 있으며, 출원인 폴리아미드 및 폴리올레핀의 혼합물에 기초한 막이 폴리에틸렌과 혼합되어 폴리에틸렌의 블론막을 형성케할 수 있는 반면, 폴리아미드층 및 폴리에틸렌층을 갖는 막들이 폴리에틸렌이 재순환될 경우, 획득되는 막은 품질이 나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차단벽층의 폴리아미드와 관련하여, 어떠한 폴리아미드라도 사용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라는 용어는 다음의 축합생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 아미노카프로산, 7-아미노햅탄산, 11-아미노운데칸산 및 12-아미노도데칸산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들, 및 카프로락탐, 이난소(oenantho)락탐 및 라우릴락탐과 같은 하나의 이상의 락탐;
- 헥사메틸렌디아민, 도데카메틸렌디아민, 메타-크실릴렌디아민, 비스-p-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및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과 같은 디아민과 이소프탈산, 테트라프탈산, 아디프산, 아젤라인산, 수베린산, 세바신산, 및 도데칸디카르복실산과 같은 이산과의 혼합물 또는 하나 이상의 염;
또는 예를 들어, 카르로락탐 및 카프로락탐의 축합에 의해 획득되는 PA-6/12인 코플리아미드를 초래하는 그러한 일부 단량체들의 혼합물.
폴리아미드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PA-6(폴리카프로락탐) 및 PA-6,6(폴리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가 유리하게 사용된다.
폴리올레핀이란 용어는 예를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등의 단위와 같은 올레핀 단위들로 이루어진 중합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 일례로 다음의 것들이 언급될 수 있다: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과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 이들 생성물들이 말레산무수물과 같은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 또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불포화 에폭시드와 그라프트될 수 있다.
- 에틸렌과 (i)불포화 카르복실산, 이의 염 및 이의 에스테르, (ⅱ)포화 카르복실산의 비닐에스테르, (ⅲ)불포화 디카르복실산, 이의 염, 이의 에스테르, 이의 헤미에스테르 및 이의 무수물, 및 (ⅳ)불포화 에폭시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생성물과의 공중합체.
이들 에틸렌 공중합체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또는 불포화 에폭시드와 그라프트될 수 있다.
- 경우에 따라서 말레산 처리된 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SEBS) 블록 공중합체.
이들 폴리올레핀의 2개 또는 그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의 것들이 유리하게 사용된다:
_ 폴리에틸렌,
- 에틸렌 및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
- 에틸렌/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 에틸렌/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의 공중합체, 상기 말레산 무수물은 그라프트되거나 공중합화된다,
- 에틸렌/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상기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는 그라프트되거나 공중합화된다,
-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및 폴리아미드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그리고 폴리올레핀이 상화성화(相和性化)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능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면, 상화성화제를 첨가하는 것이 권고된다.
상기 상화성화제는 그 자체로서 폴리아미드 및 폴리올레핀을 상화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이다.
다음의 일례들이 언급될 수 있다: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프로필렌 공증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이들 물질 모두는 말레산 무수물 또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와 그라프트된다.
- 에틸렌/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상기 말레산 무수물은 그라프트되거나 공중합화된다.
-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상기 말레산 무수물은 그라프트되거나 공중합화된다.
- 상기 말레산 무수물이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로 대체된 상기 2개의 공중합체,
-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경우에 따라서 이의 염,
- 폴리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이들 중합체는 아민과 반응적인 부위를 가지는 물질과 그라프트된다; 그 다음 이들 그라프트된 공중합체는 단 하나의 아민 말단을 가지는 폴리아미드 올리고머 또는 폴리아미드와 축합된다.
이들 물질은 특허 FR 2,291,225 및 EP 342,066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들의 함량이 본 출원에 기재되어 있다.
차단벽층의 폴리아미드 및 폴리올레핀의 혼합물은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거하여 우세하게 폴리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형태에 의거하여 우세하게 폴리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두 번째 형태와 관련하여, 차단벽층내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폴리아미드의 양은 폴리올레핀 5 내지 45부당 30 내지 95부사이일 수 있다.
상화성화제의 양은 폴리올레핀이 폴리아미드 매트릭스 내에서 노듈의 형태로 분산되기에 충분한 양이다. 이는 폴리올레핀의 20중량%까지를 나타낼 수 있다. 차단벽층의 이들 중합체들은 용해된 상태에서 혼합하는 일반적인 기술에 따라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및 경우에 따라서는 상화성화제를 함께 혼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트윈-스크류, 부스(Buss), 단일-스크류).
유리하게, 차단벽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에틸렌,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말레산 무수물 또는 글리시딜메티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와의 혼합물의 노듈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노듈이 분산되어 있는 폴리폴리아미드 6(PA-6) 또는 66(PA-66)의 매트릭스로 구성된다.
이러한 물질은 특허 US 5,070,145 및 EP 564,338에 기술되어 있다.
폴리프로필렌의 경우, 유리하게는 숫적으로 우세한 양의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인 상화성화제가 첨가되고, 말레산 무수물과 그라프트된 다음, 이어서 카프로락탐의 모노아민 올리고머와 축합된다.
차단벽층의 폴리아미드 및 폴리올레핀의 이들 혼합물들은 가소화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카아본 블랙 등과 같은 충전재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 및 폴리올레핀의 이러한 혼합물들은 특허 US 5,342,886에 기술되어 있다.
폴리아미드의 양은 폴리아미드/폴리올레핀 혼합물의 100부당 30내지 75부 사이이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5부 사이다.
그 일례로는 다음의 혼합물들이 사용된다(중량%로):
1) - PA-6, 55 내지 70%
- 말레산 무수물과 그라프트된 다음 이어서 카프로락탐의 모노아민 오리고머와 축합되는 우세한 양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5 내지 15%.
- 100%까지의 잔여분은 폴리프로필렌이다.
2) - PA-6, 55 내지 70%.
- 에틸렌과 (i)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떠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비닐에스테르 및 (ⅱ)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 또는 그라프트되거나 공중합화되는 불포화 에폭시드와의 적어도 하나의 공중합체, 5 내지 15%.
- 잔여분은 폴리에틸렌이다.
3) - PA-6,55 내지 70%.
- 말레산 무수물 또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와 그라프트되는 에틸렌 및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 5 내지 15%.
- 잔여분은 폴리에틸렌이다.
고주파수에 의해 용접될 수 있는 불포화 에스테르 및 에틸렌의 공중합체와 관련하여, 상기 에스테르는 예를들어 비닐아세테이트 또는 비닐 프로피오네이트와 같은 2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포화 카르복실산의 비닐에스테르, 및 예를들어 알킬기가 1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에틸렌 및 불포화 에스테르의 이러한 공중합체는 또한 다음과 같은 단량체들들로 구성된다:
- 다음의 기능을 갖는 단량체들: (메트)아트릴산과 같은 카르복실산, 이오노머(ionomer)와 같은 카르복실산 염, 또는 말레산 무수물과 같은 카르복실산 무수물,
- 또는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에폭시 기능을 갖는 단량체들; 이들 단량체들은 그라프트되거나 공중합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용접가능한 층의 공중합체는 또한 상호 혼합물 및/또는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 및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의 혼합물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용접가능한 층을 형성하는 공중합체(또는 혼합물)은 비닐아세테이트 50 중량%이하,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그러한 물질이다.
유리하게는, 또한 용접가능한 층의 혼합물은 이의 압출 및 또한 용접 기계를 통한 이들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기위해 슬립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형태에 따라, 에틸렌 및 불포화 에스테르의 공중합체에 기초한 용접가능한 막은, 하기식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N,N’-에틸렌비스아미드의 충분한 양으로 구성된다:
[CnH2n±1-C(0)-NH-CH2]2
(식중, 1초이하,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초의 HF 용접시간을 얻기위해, n은 17 내지 21 사이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N,N’-에틸렌비스아미드의 일례로서는, N,N’-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 N,N’-에틸렌비스올레아미드, N,N’-에틸렌비스가돌아미드, N,N’-에틸렌비스케톨아미드, N,N’-에틸렌비스에루카미드, 및 상기 언급된 N,N’-에틸렌비스아미드들중 적어도 2개의 혼합물이 언급될 수 있다.
N,N’-에틸렌비스아미드들중에서, 본 발명은 가장 특별하게는 이하에서 EBO로 칭해지는 N,N’-에틸렌비스올레아미드에 관한 것이다.
최대 1초와 같거나 이보다 작은 용접시간은 열가소성 막과 비교해서 0.6% 이하, 바람직하게는 0.3%내지 0,5%사이의 N,N’-에틸렌비스아미드의 무게 함량 사용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 형태에 따라, 용접가능한 막은 또한 지방산의 일차아미드, 실리카, 탈크 및 상기 언급된 화합물들중 적어도 2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점착방지 첨가제로 구성된다.
포화 지방산의 일차아미드의 일례로서는, 에루카미드, 올레아미드, 스테아르아미드, 팔미타이드 및 상기 언급된 화합물들중 적어도 2개의 혼합물이 언급될 수 있다.
이들 지방산의 일차아미드들중에서, 에루카미드가 바람직하다.
이들 점착방지 첨가제는 용접가능한 막과 비교해서 약 2 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이 막은 또한 다음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일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 예를들어, 지방산 금속염(아연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슬립 성질 개선용 첨가제,
- 예를들어, 입체 장애 폐놀, 머캅탄 또는 아인산염과 같은 산화방지제,
- 치환 벤조페논, 치환 폐닐벤조트리아졸 및 입체 방해 아민과 같은 자외선 흡수제; 니켈 착물, 무기안료 또는 아연 산화물 또는 티타늄 산화물 등의 유기 안료와 같은 소화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언급된 포화 지방산의 일차아미드 및 첨가제들은 이들 이용 접 속도에 불리한 영향을 주지않는 그러한 정도의 양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차단벽막의 두께는 1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사이일 수 있다. 용접가능한 막(즉, 에틸렌 및 불포화 에스테르의 공중합체에 기초한 막)의 두께는 5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사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막은 클래딩(cladding) 압출 또는 시트-다이(sheet-die) 압출과 같은 공지의 기술에 따른 공압출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층막 자체상의 용접가능한 막 면에서 용접된 상기 다층막으로 구성된 패키징(packaging)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다층막은 또한 다른 면상에 용접가능한 막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다시 말해서, 상기 다층막은 에틸렌 및 용접가능한 불포화 에스테르에 기초한 2개의 막 (또는, 2개의 층)사이의 차단벽막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변형 형태에 따라, 접착을 개선하기위해 , 바인더가 상기 차단벽층 및 용접가능한 층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층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들 공압출 바인더들은 그 자체로서 공지되어 있다.
바인더의 일례로는, 다음의 것들이 언급될 수 있다: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과 적어도 하나의 알파-올레핀과의 공중합체, 및 이들 중합체들의 혼합물, 이들 중합체 모두는 예를들어 말레산 무수물과 같은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과 그라프트된다. 이들 그라프트된 중합체와 이들 비그라프트된 중합체의 혼합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 에틸렌과, (i)불포화 카르복실산, 이의 염 및 이의 에스테르, (ⅱ)포화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 (ⅲ)불포화 디카르복실산 이의 염, 이의 에스테르, 이의 헤미에스테르 및 이의 무수물, 및 (ⅳ)불포화 에폭시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과의 공중합체로, 이들 공중합체는 말레산 무수물과 같은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또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불포화에폭시드와 그라프트될 수 있다.
또한 층들의 접착을 개선시키는 물질이, 바인더 층을 사용할 필요없이, 층 하나 또는 모두에 첨가될 수 있다. 이들 물질은 상기 기술된 바인더일 수 있다.
용접가능한 층(들) 및 차단벽층 사이에 폴리아미드, EVOH등으로 제조될 수 있는 다른 층들을 배치시키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막들은 , 경우에 따라서는 HF용접 프레스의 예열된 플레이트 사이에 적어도 2개의 막을 가져오는 단계, 용접될 막들의 두께에 따라 좌우되는 압력을 가하는 단계, 그 다음, 최대 에너지를 얻기 위해 진동회로를 조절한후, 27.12MHz와 동등한 주파수를 갖는 전류를 압력하에서 우지되는 상기 층들에 적용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용접될 수 있다.
이 전류는 일반적으로 1초를 초과하지 않는 용접 시간으로 알려진 기간 동안 유지된다. 그 후, 용접된 막들은 이들을 회수하기전에 경우에 따라서 냉각된다.
인열강도는 표준 54120에 따라 획득되는 막들에 대해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막들은 약 0.2초의 매우 짧은 용접시간 동안에도 높은 인열 강도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이들 막들은 특히 패키징 유지 생산물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물질로 제조되는 패키징은 압축 테스트에서 높은 강도를 보인다.
이 테스트는 평판 표면상에 액체로 채워지고 용접된 패키징을 배치시킨 다음, 상기 패키징의 상부상에 200㎏의 하중을 갖는 플레이트를 배치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폐키징은 어떠한 누출도 생기지 않아야 한다.
[실시예]
다음의 물질들이 사용된다:
EVA: 24%의 아세테이트 및 MFi(멜트 플로우 인덱스) 3의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나타냄(190℃-2.16㎏)
PA: MFi 2의 폴리아미드 6를 나타냄(235℃-2.16㎏)
PA1: 각각 65/25/10의 비율로, 폴리아미드6, VLDPE(초저밀도 PE) 및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6%아크릴레이트 및 3% 말레산 무수물을 포함함)의 혼합물을 나타냄
L1: MFi 3-4의 0.2% MAH (말레산 무수물)와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을 나타냄.
[실시예 1]
막 1:두께 80/10/100/10/80(㎛)의 EVA/L1/PA/L1/EVA 및 막 2: 두께 80/10/100/10/80(㎛)의 EVA/L1/PA1/L1/EVA을 에뤠파(ERWEPA) 5-층 캐스트 라인상에서 공압출을 통해 제조하였다.
수증기는 대한 투과성을 ASTM표준 E96에 따라 측정하였다.
막 1: 20g/m2/24h
막 2: 14g/m2/24h.
[실시예 2]
두께 80/10/40/10/80(㎛)의 EVA/L1/PA1/L1/EVA막을 에뤠파 5-층 캐스트 라인상에서 공압출을 통해 제조하였다.
EVA는 다음으로 충전된다:
3.6% TiO2,
0.3% 에틸렌비스올레아미드 EBO,
0.1% 에루카미드.
250.ml 포장용기는 세르틱 (SERTIC)기계상에서, 27.12MHz로, HF에 의해 이러한 막으로 부터 용접되었다.
상기 조작은 다음으로 구성된다:
ㆍ포장용기의 제조,
ㆍ채워넣기,
ㆍ봉합 및 절단.
상기 기계의 산출량은 1분당 40 내지 45포장용기이다.
상기 모든 포장용기는 200daN보다 큰 압축 테스트를 견뎌내었다.
이러한 물질의 향기에 대한 투과성을, PE가 멜트 인덱스 2의 라디칼-유도 중간-밀도 폴리에틸렌을 나타내는 90/40/90(㎛) 두께의 EVA/PE/EVA 다층 및 50/80/90(㎛) 두께지만 동일한 성질의 다층과 비교하였다.
포장용기는, 본 발명(실시예 2)및 상기 2개의 다층에 따른 다층 물질로 제조되었다. 이들은 15 내지 30%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직물용 연화제, 저장용제 및 라벤더의 필수 성분으로 채워졌다.
30일 후, 상기 포장용기를 절단하고 개방하였다. 단지 본 발명의 포장용기만이 냄새를 갖는 액체를 포함하고 있는 반면, 다른 2개의 액체에서는 냄새가 상당히 약화되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다층막은 고주파수에 의해 용접되는 유연한 포장용기를 제조하는데 유용하고, 향기에 대해 차단벽으로; 수개월 지속될 수 있는 저장 기간 동안에 손실에 대한 어떠한 보상을 위해, 더 이상 포장용기내에 포함되는 생산품내에 많은 양의 향기를 배치시킬 필요가 없으며, 다층막 및 그 결과로 형성되는 포장용기의 기계적인 강도를 우수하게 하고, 또한 재순환이 용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Claims (6)

  1. (i)폴리아미드 및 폴리올레핀 혼합물에 기초한 차단벽막, 및 (ⅱ) 상기 막의 적어도 한 면상의, 고주파수에 의해 용접될 수 있는 에틸렌 및 불포화 에스테르의 공중합체에 기초한 막으로 구성되는 유연한 포장용기 제조에 유용한 다층막.
  2. 제1항에 있어서, 차단벽막의 폴리아미드가 폴리아미드-6 또는 폴리아미드 6,6인 다층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용접가능한 막의 에틸렌 및 불포화 에스테르의 공중합체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인 다층막.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용접가능한 층이, 하기식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N,N’-에틸렌비스아미드의 충분한 양으로 구성되는 다층막:
    [CnH2n±1-C(0)-NH-CH2]2
    (식중, 1초이하의 HF용접시간을 얻기 위해, n은 17내지 21사이의 정수이다).
  5. 다층막 자체상의 용접가능한 막 면에서 용접된, 제1항의 다층막으로 이루어진 패키징.
  6. 제4항에 있어서, 0.2 내지 0.5초의 HF 용접시간을 갖는 다층막.
KR1019970018597A 1996-05-14 1997-05-13 고 주파수에 의해 용접될 수 있는 다층막 KR100241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605998 1996-05-14
FR9605998 1996-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781A KR970073781A (ko) 1997-12-10
KR100241569B1 true KR100241569B1 (ko) 2000-02-01

Family

ID=9492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8597A KR100241569B1 (ko) 1996-05-14 1997-05-13 고 주파수에 의해 용접될 수 있는 다층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85390A (ko)
EP (1) EP0807519A3 (ko)
JP (1) JP2997436B2 (ko)
KR (1) KR100241569B1 (ko)
CN (1) CN1172008A (ko)
CA (1) CA220692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57870A1 (fr) * 1999-06-02 2000-12-06 Atofina Compositions à base de polyoléfine et de polyamide à bas point de fusion
US7270860B2 (en) * 1999-11-22 2007-09-18 Hollister Incorporated Multilayer chlorine-free film with barrier layer of a polyamide blend and ostomy pouches formed therefrom
DK1101605T3 (da) * 1999-11-22 2006-10-02 Hollister Inc Flerlaget chlorfri folie barrierelag af en polyamidblanding og stomiposer dannet heraf
JP2002067244A (ja) * 2000-08-25 2002-03-05 Okura Ind Co Ltd 積層フィルム
GB0114850D0 (en) * 2001-06-18 2001-08-08 Unilever Plc Water soluble package and liquid contents thereof
GB0114847D0 (en) * 2001-06-18 2001-08-08 Unilever Plc Water soluble package and liquid contents thereof
WO2004045851A1 (en) * 2002-11-21 2004-06-03 Superfilm Ambalaj Sanayi Ve Ticaret A.S. Biaxially stretched barrier film for packaging
US7029735B2 (en) * 2003-03-17 2006-04-18 Arkema Polyamide and polyolefin blends with a polyamide matrix and containing nanofillers
WO2008048052A1 (en) * 2006-10-18 2008-04-24 Lg Chem, Ltd. Oxygen barrier film and container comprising ethylene-acrylate copolymer
KR100977388B1 (ko) * 2006-10-18 2010-08-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산소차단성 필름 및 용기
US8808300B2 (en) * 2007-09-27 2014-08-19 Biomet C.V. Guide assembly for use in a medical procedure
HUE056159T2 (hu) 2009-11-06 2022-01-28 Hollister Inc Többrétegû fólia és ebbõl készült sztóma termék
WO2017151313A1 (en) * 2016-03-01 2017-09-08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mer films and detergent packets containing them
CN112060736A (zh) * 2020-09-10 2020-12-11 安徽源洲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塑料复合薄膜及其生产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5466A (en) * 1974-11-13 1976-11-01 Du Pont Process for preparing graftcopolymer
AU1415083A (en) * 1982-05-21 1983-11-24 Dow Chemical Company, The Multilayer polyamide film
FR2580656B1 (fr) * 1985-04-23 1987-09-11 Charbonnages Ste Chimique Compositions thermoplastiques multiphases et articles obtenus
US4758463A (en) * 1986-12-29 1988-07-19 Viskase Corporation Cook-in shrink film
FR2629090B1 (fr) * 1988-03-24 1990-11-23 Atochem Copolymere greffe a base d'alpha-mono-olefine, son procede de fabrication, son application a la fabrication d'alliages thermoplastiques, alliages thermoplastiques obtenus
US5342886A (en) * 1988-03-24 1994-08-30 Atochem α-monoolefinic graft copolymers
US5135785A (en) * 1990-08-13 1992-08-04 Colgate-Palmolive Company Pouch containers and films therefor
DE69117407T2 (de) * 1990-09-21 1996-07-18 Exxon Chemical Patents Inc Mehrschichtiger Film
FR2689514B1 (fr) * 1992-04-03 1994-05-20 Elf Atochem Sa Composition thermoplastique multiphase a base de resine polyamide contenant un polymere d'ethylene a fonction epoxyde.
JPH06297660A (ja) * 1993-04-13 1994-10-25 Kureha Chem Ind Co Ltd ポリアミド系混合樹脂からなる層を有する食品包装用二軸延伸フィルム
DE4314214A1 (de) * 1993-04-30 1994-11-03 Wolff Walsrode Ag Tiefziehbare, siegelbare, mehrschichtige Recyclingfolie auf Basis von Polyamid und Polyolefinen mit hohem Recyclatanteil
FR2719051B1 (fr) * 1994-04-20 1996-05-31 Atochem Elf Sa Film thermoplastique soudable par haute fréquence.
EP0766913B1 (fr) * 1995-10-05 2001-01-03 Atofina Procédé de traitement des sols par fumigation
FR2743746B1 (fr) * 1996-01-23 1998-04-03 Atochem Elf Sa Nouveau film de relachement pour produit de compoundage de moulage de feuil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781A (ko) 1997-12-10
JP2997436B2 (ja) 2000-01-11
CA2206929A1 (fr) 1997-11-14
CA2206929C (fr) 2002-12-03
CN1172008A (zh) 1998-02-04
US5985390A (en) 1999-11-16
EP0807519A3 (fr) 1999-12-08
EP0807519A2 (fr) 1997-11-19
JPH1052899A (ja) 1998-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1569B1 (ko) 고 주파수에 의해 용접될 수 있는 다층막
US6572959B1 (en) RF-sealable pillow pouch
EP1460109B1 (fr) Mélanges de polyamide et de polyoléfine à matrice polyamide et contenant des nanocharges
US5223311A (en) Lamin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7169453B2 (en) Multilayer structure and tank consisting of this structure, which has a barrier layer in direct contact with the fluid contained
US20040225066A1 (en) Polyamide and polyolefin blends with a polyamide matrix and containing nanofillers
US6045919A (en) Antistatic film for packaging materials diffusing volatile products
JPH0639152B2 (ja) ポリオレフイン及びナイロン/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ブレンドの層状構造製品
EP1122113B1 (en) Fuel tank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US5011720A (en) Multilayer container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3533578A (ja) ポリオレフィン/コポリアミドrf活性接着フィルム
WO1996011803A1 (en) Multilayer materials suitable for making packages
EP0802045A1 (en) Multilayer materials for making packages
EP0454850A1 (en) Polyvinyl alcohol copolymer resin composition
JP2834567B2 (ja) 樹脂組成物
EP0399439B1 (en) Process for producing a laminate
EP1122061B1 (en) Multilayer structure and tank consisting of this structure, which has a barrier layer in direct contact with the fluid contained
JPH05271497A (ja) 組成物、多層構造体および包装体
JP2661722B2 (ja) プラスチック容器
KR100471698B1 (ko) 수지조성물및다층구조물
JPS61252258A (ja) 徐透過性包装体
JPH0577354A (ja) 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材料
JPH05214186A (ja) 樹脂組成物、多層構造体および多層包装体
MXPA99003939A (en) Rf-sealable pillow pouch
JPH0625491A (ja) 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