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044B1 - 엔진의 공연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의 공연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044B1
KR100241044B1 KR1019970065491A KR19970065491A KR100241044B1 KR 100241044 B1 KR100241044 B1 KR 100241044B1 KR 1019970065491 A KR1019970065491 A KR 1019970065491A KR 19970065491 A KR19970065491 A KR 19970065491A KR 100241044 B1 KR100241044 B1 KR 100241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uel ratio
value
sensor output
ratio feed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5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722A (ko
Inventor
리츠오 사토
Original Assignee
하나와 요시카즈
닛산 지도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와 요시카즈, 닛산 지도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나와 요시카즈
Publication of KR19980063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02D41/1473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regulation method
    • F02D41/147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regulation method by detecting the commutation time of the sen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97With detection of the mechanical response of the engine
    • F02D41/1498With detection of the mechanical response of the engine measuring engine roughn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10Parameters related to the engine output, e.g. engine torque or engine speed
    • F02D2200/1015Engines misf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구동 시스템과의 공진을 방지하면서도 그 한편으로 고부하 영역에서의 운전성을 개선한다.
센서(31)는 촉매를 흐르는 배기중의 산소 농도에 따른 출력을 한다. 설정수단(32)은 공연비 피드백 제어에 의한 공연비 변동의 목표치를 구동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를 뺀 위치에 설정한다. 고부하 영역인가의 여부를 판정수단(33)이 판정하고, 이 판정결과에 의해 고부하 영역에서 상기 공연비 변동의 계측치가 상기 목표치와 일치하면서 리치로 운전되는 시간이 길어지도록 상기 센서 출력에 근거하여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α)을 연산수단(34)이 연산하고, 이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α)을 사용하여 공연비의 피드백 제어를 공연비 피드백 제어수단(35)이 행한다.

Description

엔진의 공연비 제어장치
본 발명은 엔진의 공연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연비 피드백 제어를 행함으로써 공연비의 변동 주파수가 전동의 각 시프트 위치에 있어서의 구동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와 일치할 때, 공연비 피드백 제어의 제어정수를 변경함으로써 구동 시스템과의 공진이 생기지 않도록 한 것이 있다(일본 특허공개 소64-36941호 공보 참조).
그러나, 공연비 피드백 제어에 의한 토오크 변동의 절대값이 큰 고부하 영역으로 상기의 종래 장치에 의해 공연비의 변동 주파수가 작아지는 측(변동주기가 길어지는 측)으로 공연비 피드백 제어의 제어정수를 변경하였다면, 린으로 운전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그 사이에 운전성이 나빠진다.
또한, 구동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를 뺀 위치에 목표 주파수를 설정함과 동시에, 공연비의 변동 주파수가 이 목표 주파수와 일치하도록 공연비 피드백 제어의 제어정수를 제어하는 것이 있지만 (특개평7-269398호 공보 참조), 이것에 있어서도, 정상시의 목표 주파수가 주파수의 작아지는 측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상기의 종래 예와 같이 린으로 운전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그 사이에 운전성이 나빠진다.
그래서 본 발명은, 고부하 영역에 있어서 공연비 피드백 제어에 의한 공연비의 변동 주파수를, 구동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를 빼고 또한 진동수가 작아지는 측에 설치한 목표 주파수에 유지함과 동시에 리치로 운전되는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구동 시스템과의 공진을 방지하면서도 그 한편으로 고부하 영역에서의 운전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1항의 발명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촉매를 흐르는 배기중의 산소 농도에 따른 출력을 하는 센서(31)와, 공연비 피드백 제어에 의한 공연비 변동의 목표치를 구동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를 뺀 위치에 설정하는 수단(32)과, 고부하 영역인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33)과, 이 판정결과에 의해 고부하 영역에서 상기 공연비 변동의 계측치가 상기 목표치와 일치하면서 리치로 운전되는 시간이 길어지도록 상기 센서 출력에 근거하여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α)을 연산하는 수단(34)과, 이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α)을 사용하여 공연비의 피드백 제어를 행하는 수단(35)을 설치하였다.
청구범위 제 2항의 발명에서는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연비 피드백 제어에 의한 공연비 변동이 공연비 변동 주파수이다.
청구범위 제 3항의 발명에서는,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연비 피드백 제어에 의한 공연비 변동이 공연비 변동주기이다.
청구범위 제 4항의 발명에서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 연산수단(35)이, 고부하 영역에서 경과시간을 계측치로서 계측하는 수단과, 상기 센서 출력에 의거하여 배기 공연비가 한쪽 방향에서 반대측으로 반전한 것인지 그렇지 않으면 같은 방향을 계속하고 있는 것인가를 판정하는 수단과, 이 판정결과에 의해 상기 센서 출력이 리치측으로 반전한 타이밍에서 상기 계측치가 상기 공연비 변동주기의 목표치에 도달하지 않을 때 상기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α)의 홀드를 개시하는 수단과, 그 후는 상기 계측치(TIMER)가 상기 공연비 변동주기의 목표치(Tf)와 일치하는 타이밍으로 상기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α)의 홀드를 종료하는 수단과, 상기 홀드를 종료한 타이밍에서 비례분(PR) 만큼 단계적으로 감소함으로써 상기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α)을 갱신함과 동시에 상기 계측치(TIMER)를 초기값으로 되돌리는 수단과, 그 후는 상기 판정결과에 의해 상기 센서 출력이 린측으로 반전할 때까지 적분(IR) 만큼씩 서서히 작게 함으로써 상기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α)을 갱신하는 수단과, 상기 판정결과에 의해 상기 센서 출력이 린측으로 반전한 타이밍에서 비례분(PL) 만큼 단계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상기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α)을 갱신하는 수단과, 그 후는 상기 판정결과에 의해 상기 센서 출력이 리치로 반전할 때까지 적분(IL) 만큼씩 서서히 크게함으로써 상기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α)을 갱신하는 수단으로 구성된다.
청구범위 제 5항의 발명에서는,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연비 변동주기의 목표치(Tf)가, 구동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에 대한 주기보다도 크면서 그 주기보다 그다지 크게 벗어나지 않은 값이다.
청구범위 제 6항의 발명에서는,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연비 변동주기의 목표치(Tf)가 전동의 기어위치에 따른 값이다.
청구범위 제 7항의 발명에서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 연산수단(35)이, 고부하 영역에서 경과시간을 계측치로서 계측하는 제 1 수단과, 상기 센서 출력에 의거하여 배기 공연비가 한쪽 방향에서 반대측으로 반전한 것인지 그렇지 않으면 같은 방향을 계속하고 있는 것인가를 판정하는 수단과, 이 판정결과에 의해 상기 센서 출력이 리치측으로 반전한 타이밍에서 상기 계측치가 상기 공연비 변동주기의 목표치에 도달하지 않을 때 상기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α)의 홀드를 개시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수단의 계측치(TIMER)를 초기값으로 되돌리는 수단과, 그 후는 상기 제 1 수단과는 다른 제 2 수단으로 상기 홀드를 개시한 후의 경과시간을 계측함과 동시에, 이 제 2 수단의 계측치(TD)가 지연 시간 학습치(DL)와 일치하기 직전까지 상기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α)의 홀드를 계속하는 수단과, 상기 제 2 수단의 계측치(TD)가 상기 지연 시간 학습치(DL)와 일치한 타이밍에서 비례분(PR) 만큼 단계적으로 감소함으로써 상기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α)을 갱신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수단의 계측치(TIMER)가 상기 공연비 변동주기의 목표치(Tf)와 일치하도록 지연 시간 학습치(DL)를 갱신하는 수단과, 그 후는 상기 판정결과에 의해 상기 센서 출력이 린측으로 반전할 때까지 적분(IR) 만큼씩 서서히 작게 함으로써 상기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α)을 갱신하는 수단과, 상기 판정결과에 의해 상기 센서 출력이 린측으로 반전한 타이밍으로 비례분(PL) 만큼 단계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상기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α)을 갱신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수단의 계측치(TD)를 초기값으로 되돌리는 수단과, 그 후는 상기 판정결과에 의해 상기 센서 출력이 리치로 반전할 때까지 적분(IL) 만큼씩 서서히 크게함으로써 상기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α)을 갱신하는 수단으로 구성된다.
청구범위 제 8항의 발명에서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공연비 변동주기의 목표치(Tf)가, 구동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에 대한 주기보다도 크면서 그 주기보다 그다지 크게 벗어나지 않은 값이다.
청구범위 제 9항의 발명에서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공연비 변동주기의 목표치(Tf)가 전동의 기어위치에 따른 값이다.
청구범위 제 10항의 발명에서는, 제 7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 학습치(DL)가, 상기 고부하 영역을 복수로 분할한 각 영역마다의 값이다.
청구범위 제 11항의 발명에서는, 제 7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 학습치(DL)가, 상기 고부하 영역을 복수로 분할한 각 영역과 전동의 기어위치마다의 값이다.
청구범위 제 12항의 발명에서는 제 7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 학습치(DL)가, 상기 고부하 영역의 회전 영역을 복수로 분할한 각 영역마다의 값이다.
청구범위 제 13항의 발명에서는, 제 7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 학습치(DL)가, 상기 고부하 영역의 회전 영역을 복수로 분할한 각 영역과 전동의 기어위치마다의 값이다.
청구범위 제 14항의 발명에서는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4항,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부하 영역 이외로 공연비 피드백 제어에 의한 공연비 변동의 주파수를 크게 또는 공연비 피드백 제어에 의한 공연비 변동의 주기를 작게 한다.
도 1은 제 1 실시 예의 제어 시스템 도면.
도 2는 공연비 피드백 보정계수(α)의 연산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3은 공연비 피드백 보정계수(α)의 연산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4는 목표주기(Tf)의 테이블 특성도.
도 5는 제 1 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6은 제 1 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7은 제 2 실시 예의 공연비 피드백 보정계수(α)의 연산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8은 제 2 실시 예의 공연비 피드백 보정계수(α)의 연산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9는 제 2 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10은 제 3 실시 예의 지연 시간 학습치(DL)의 맵 특성도.
도 11은 동일한 기어위치에 대한 지연 시간 학습치(DL)의 특성도.
도 12는 제 4 실시 예의 지연 시간 학습치(DL)의 맵 특성도.
도 13은 제 1의 발명의 클레임 대응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컨트롤 유닛
3 : O2센서(공연비 센서)
10 : 삼원촉매
도 1에 있어서, 1은 엔진 본체로, 그 흡기 통로(8)에는 흡기 스로틀 밸브(5)의 하류에 위치하여 연료 분사 밸브(7)가 설치되고, 컨트롤 유닛(도면에서는 C/U로 약기)(2)으로부터의 분사신호에 의해 운전 조건에 따라서 소정의 공연비가 되도록, 흡기중에 연료를 분사 공급한다.
컨트롤 유닛(2)에는 크랭크각 센서(4)로부터의 Ref 신호(기준위치신호)와 Pos 신호(1°신호), 에어플로우미터(6)로부터의 흡입 공기량 신호, 수온센서(11)로부터의 엔진 냉각 수온 신호등이 입력되고, 이들에 근거하여 기본 분사 펄스폭(Tp)을 산출한다.
배기 통로(9)에는 삼원(三元)촉매(10)가 설치된다. 이 삼원촉매(10)는 이론 공연비를 중심으로 하는 이른바 윈도우에 공연비가 있는 경우에 최대의 전화 효율로 배기중의 NOx, HC, CO를 동시에 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컨트롤 유닛(2)으로서는, 삼원촉매(10)의 상류측에 설치한 O2센서(33)로부터의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배기 공연비가 상기의 윈도우의 범위내에서 일정한 주기로 진동하도록 공연비의 피드백 제어를 행한다.
상기의 경우에, 삼원촉매(10)의 전환효율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공연비 피드백 제어에 의한 공연비 변동의 주파수가 큰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공연비 피드백 제어를 행함으로 공연비의 변동 주파수가 전동의 각 시프트 위치에 있어서의 구동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와 일치할 때, 공연비 피드백 제어의 제어정수를 변경함으로써 구동 시스템과의 공진이 생기지 않도록 한 것이라든지 구동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를 뺀 위치에 목표 주파수를 설정함과 동시에, 공연비의 변동 주파수가 이 목표 주파수와 일치하도록 공연비 피드백 제어의 제어정수를 제어하도록 한 것이 공지이다.
그러나, 공연비 피드백 제어에 의한 토오크 변동의 절대값이 큰 고부하 영역에서 공연비의 변동 주파수가 작아지는 측(변동주기가 길어지는 측)으로 공연비 피드백 제어의 제어정수를 변경하기도 하고, 목표 주파수를 주파수가 작아지는 측으로 설정하였다면, 린으로 운전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그 사이에 운전성이 나빠진다.
이것에 대처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는, 고부하 영역에 있어서 공연비 피드백 제어에 의한 공연비의 변동 주파수를, 구동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를 빼고 또한 진동수가 작아지는 측에 설치한 목표 주파수에 유지함과 동시에 리치로 운전되는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구동 시스템과의 공진을 방지하면서도 그 한편으로 고부하 영역에서의 운전성을 개선한다.
컨트롤 유닛(2)으로 실행되는 이 제어의 내용을, 이하의 플로우 챠트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2, 도 3의 플로우 챠트는 공연비 피드백 보정계수(α)를 연산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 시간마다(예를들면 10ms마다) 실행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스텝 3, 4, 9, 10, 11, 13, 14, 15이, 또한 도 3에 있어서는, 스텝 19, 20, 21, 22, 23, 24, 28, 29, 30, 31, 32, 33, 34이 본 발명에 의해 새롭게 설치한 부분, 그것 이외가 종래와 같은 부분이다.
도 2의 스텝 1에서는 공연비 피드백 제어조건(도면에서는 F/B 조건으로 약기)인가 아닌가 보고, 공연비 피드백 제어조건이 아니면, 스텝 2로 공연비 피드백 보정계수(α)에 1.0을 넣는다(α를 클램프). 계속되는 스텝 3, 4에서는 타이머(TIMER)에 0을, 플래그(F3)에 "0"을 각각 넣어, 도 2, 도 3의 플로우를 종료한다.
여기에서, 타이머(TIMER)와 플래그(F3)는 공연비 피드백 제어조건의 성립시 또한 고부하 영역에서 필요하게 되는 것이며, 공연비 피드백 제어조건의 비성립시에는 불필요하기 때문에, 타이머(TIMER)에 0을, 플래그(F3)에 “0”을 각각 넣고 있다. 또한, 타이머(TIMER)는 시동시에 0에, 또한, 플래그(F3)는 후술하는 플래그(F1, F2)와 함께, 시동시에 “0”으로 초기 설정하고 있다.
공연비 피드백 제어의 정지 조건은, 시동시, 저수온시, 아이들시, O2센서의 이상시, O2센서의 리치와 린의 반전주기가 소정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 등이며, 이것들의 조건 이외가 공연비 피드백 제어 조건의 성립시이다.
공연비 피드백 제어조건의 성립시에는 스텝 5로 진행하여 O2센서 출력(OSR1)을 A/D 변환하여 기입, 스텝 6에 있어서 이 OSR1과 슬라이스 레벨(예를들면 500mV 부근)(SL1)을 비교한다. OSR1≥SL1 이면 리치측에 있다고 판단하여, 스텝 7에서 플래그(F1)에 “ 1”을 넣고, OSR1<SL1 일 때에는 린측에 있다고 판단하고, 스텝 8에 있어서 플래그(F1)에 “0”을 넣는다. F1=0에 의해 O2센서 출력이 린측에 있는 것을, F1=1에 의해 리치측에 있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스텝 9에서는 기본 분사 펄스폭(Tp)과 소정치(Tp1)를 비교하여, Tp>Tp1 이면 고부하 영역이라고 판단하여, 스텝 10에서 플래그(F2)에 “0”을, Tp≤Tp1 일 때는 고부하 영역 이외라고 판단하여 스텝 13에 있어서 플래그(F2)에 “1”을 넣는다. 이 결과, F2=0은 고부하 영역을, F2=1은 고부하 영역 이외인 것을 나타낸다.
고부하 영역에서는 또 스텝 11에서 타이머(TIMER)를 인크리먼트함과 동시에, 스텝 12에 있어서 그 때의 전동의 기어위치에서 도 4를 내용으로 하는 테이블을 검색하여 목표주기(Tf)를 설정한다.
여기에서, 타이머(TIMER)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비례분(PR)의 감산 타이밍으로부터의 경과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것이다.
목표주기(Tf)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에 대한 주기보다도 크게 설정하지만, 그 한편으로 그 주기보다 그다지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구동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에 대한 주기보다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목표주기가 짧을수록 삼원촉매(10)의 전환효율이 좋아지고 배기 엔진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한편, 고부하 영역이 아닐 때는 스텝 14, 15에 있어서 TIMER에 0을, 또한 플래그(F3)에 “0”을 넣는다. 고부하 영역이 아닐 때도 TIMER와 F3과는 불필요하기 때문이다.
계속해서 도 3의 스텝 16에서는 플래그(F1)의 값이 전회과 이번에서 반전하였는지의 여부를 보고, 반전한 경우는 스텝 17이후에, 반전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26 이후로 진행한다. 이하의 경우를 나누어서 서술한다.
<1> O2센서 출력이 반전한 경우
스텝 17에서는 플래그(F1)의 값을 본다. F1=0 (리치로부터 린으로 반전한 경우)이면 종래와 같이 스텝 18에서 전회의 공연비 피드백 보정계수(α)에 비례분(PL)을 가산한 값을 이번의 공연비 피드백 보정계수(α)로 함으로써 α를 갱신한다.
스텝 19에서는 플래그(F3)에 “0”을 넣고 이번의 조작을 종료한다. 여기에서, 플래그(F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부하 영역에 있어서 비례분(PR)의 감산 타이밍으로 그 후에 O2센서 출력이 린측으로 반전하는 타이밍까지의 사이에 “1”이 되고, 그것 이외로 “0” 이 되는 플래그이다.
F1=1(린으로부터 리치로 반전한 경우)일 때는 스텝 20에서 플래그(F2)의 값을 본다. F2=0 (고부하 영역)일 때는 스텝 21에서 타이머(TIMER)와 목표주기(Tf)를 비교하고, TIMER<Tf 일 때는 α의 주기가 목표주기에 도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스텝 22으로 진행하여 전회의 α를 그대로 이번의 α 로 하고(α의 홀드), 스텝 19의 조작을 실행하여 이번의 조작을 종료한다.
또한, TIMER≥Tf 일 때는 스텝 21부터 23, 24, 25로 진행하여, TIMER에 0을, F3에 “1”을 넣어, α를 갱신한다 (전회의 α에서 비례분(PR)를 뺀 값을 이번의 α 로 한다 ). 여기에서, 스텝 21부터 23, 24, 25에 흐르는 것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O2센서 출력이 린에서 리치로 반전한 타이밍으로 이미 α의 주기가 목표주기(Tf)를 넘어 있을 때로, 이러한 상황은 예를들면 기어가 높은 위치에 있으면서 구동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가 높을 때 등, 통상의 공연비 피드백 제어를 행하여도 α의 주기가 구동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보다 낮은 경우에 생긴다. 이러한 경우에는, α의 홀드에 의해 리치로 운전되는 시간을 길게 해 줄 필요가 없기 때문에, 통상(즉 고부하 영역 이외)의 공연비 피드백 제어라도 무방한 것이다.
고부하 영역이 아닐 때는 종래와 동일하며, 스텝 20에서 스텝 25로 건너 뛰어, 스텝 25의 조작을 실행한다.
<2> O2센서 출력의 반전시가 아닌 경우
스텝 26에서는 플래그(F1)의 값을 본다. F1=0 (계속하여 린측)이면 스텝 27에서 전회의 α에 적분(IL)을 가산한 값을 이번의 α로 함으로써 α를 갱신하고, 스텝 19의 조작을 실행하여 이번의 조작을 종료한다.
F1=1(계속하여 리치측)일 때는 스텝 28에서 플래그(F2)의 값을 본다. F2=0 (고부하 영역)일 때는 스텝 29에서 또한 플래그(F3)를 본다. F3=0 일 때는 스텝 30에서 타이머(TIMER)와 목표주기(Tf)를 비교하고, TIMER<Tf 인 동안은 스텝 31으로 진행하여 α를 홀드하여, 스텝 19의 조작을 실행하여 이번의 조작을 종료한다.
이 타이머(TIMER)는 고부하 영역에 있는 한, 도 2의 스텝 11에서 인크리먼트가 반복되기 때문에, 결국 TIMER≥Tf 가 되었을 때 스텝 32에서 TIMER에 0을 넣는 동시에, 스텝 33에 있어서 전회의 α에서 비례분(PR)을 뺀 값을 이번의 α로 함으로써 α를 갱신한다.
여기에서, 스텝 30에서의 TIMER의 값은, 비례분(PR)의 감산 타이밍을 기점으로 하는 α의 일주기를 나타낸다.
스텝 34에서는 플래그(F3)에 “1”을 넣는다. 이 플래그(F3)의 “1”에의 세트에 의해 F1=1 (계속하여 리치측) 또는 F2=0(고부하 영역)인 것에만, 다음회부터는 스텝 29부터 스텝 35로 진행하고, 전회의 α보다 적분(IR)을 감산한 값을 이번의 α로 함으로써 α를 갱신한다.
이 적분(IR)의 감산에 의해 그 후에 O2센서 출력이 리치측에서 린측으로 반전한 경우는, 스텝 16, 17, 18, 19로 흘러 플래그(F3)가 “1”에서 “0”으로 전환된다. 이 결과, 플래그(F3)는 고부하 영역에 있어서 비례분(PR)의 감산 타이밍으로 그 후에 O2센서 출력이 린측으로 반전하는 타이밍까지의 사이에 “1”이 되고, 그것 이외로 “0”이 되는 플래그이다.
한편, 고부하 영역이 아닐 때는 종래와 동일하며, 스텝 28부터 스텝 35로 진행하여, 스텝 35의 조작을 실행한다.
상기의 비례분(PR, PL), 적분(IR, IL)은 공연비 변동 주파수가 커지도록 매칭한다.
도 5의 파형도는 운전 조건이 고부하 영역으로 이동하였을 때의 공연비 피드백 보정계수(α)의 변화를, O2센서 출력(OSR1), 타이머(TIMER), 3개의 플래그(F1, F2, F3)와 동시에 나타낸 것이다. 같은 도면에 있어서, Tp가 Tp1를 초과한 t1의 타이밍으로 플래그(F2)가 “1”에서 “0”으로 전환되고, 타이머(TIMER)의 인크리먼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경우에 공연비 변동의 일주기중의 대표점(도시의 a, b, c, d, e, f, g의 각점)에 대하여 도 3의 플로우 챠트상에서는 어떠한 조작이 실행되는 것인가를 설명한다.
a 점: O2센서 출력이 린측으로 반전하는 경우이기 때문에 스텝 16→17→18→19로 흐른다. 이때 α가 비례분(PL) 만큼 단계적으로 커진다. 플래그(F3)는 “1”에서 “0”으로 전환된다.
b 점: O2센서 출력이 린을 계속하는 경우이고, 스텝 16→26→27→19로 흐른다. 이때 α가 적분(IL)만큼 커진다. 플래그(F3)는 “0”이다.
c 점: O2센서 출력이 리치측으로 반전하는 경우이고, 스텝 16→17→20→21→22→19로 흐른다. 이때 α가 홀드된다. 플래그(F3)는 “0”그대로 이다.
d 점: O2센서 출력이 리치를 계속하는 경우이고, 스텝 16→26→28→29→30→31→19로 흐른다. 이때도 α가 홀드된다. 플래그(F3)는 “0”그대로 이다.
e 점: O2센서 출력의 리치 계속중에 타이머(TIMER)가 목표주기(Tf) 이상으로 되었을 때이고, 스텝 16→26→28→29→30→32→33→34로 흐른다. 이때 α가 비례분(PR) 만큼 단계적으로 감소한다. F3는 “0”에서 “1”로 전환된다.
f 점: O2센서 출력의 리치 계속중에 타이머(TIMER)가 목표주기(Tf) 이상이 된 약간 후이며, 스텝 16→26→28→29→35로 흐른다. 이때 α가 적분(IR)만큼 감소한다. F3는 “1”이다.
g 점: a 점과 동일하다.
이렇게 하여 산출된 공연비 피드백 보정계수(α)를 사용하여, 도시하지 않은 플로우에 의해, 인젝터(4)에 주는 연료분사 펄스폭(Ti)이 일정 시간마다(예를들면 10ms마다)로
Ti=Tp×Co×α×αm×2+Ts … (1)
다만, Tp : 기본 분사 펄스폭
Co : 1과 각종 보정계수와의 합
αm: 공연비 학습 보정계수
Ts : 무효 펄스폭
의 식으로 계산된다. 이 계산한 Ti의 값은, 이것도 도시하지 않지만 분사 타이밍으로 출력 레지스터에 전송되고, 엔진 2회전마다 1회, 각 공기통마다 분사된다. 또한, (1) 식에 있어서 Tp는 흡입 공기량(Qa)과 엔진 회전수(N)로써 Tp=K×Qa/N (단 K는 정수)의 식에 의해 계산되는 값이다.
여기에서, 제 1 실시 예의 작용을 다시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고부하 영역 이외에서는, 비례분(PR, PL)과 적분(IR, IL)을 사용하여 공연비 피드백 제어가 행하여진다. 상기의 경우에, 비례분(PR, PL)과 적분(IR, IL)은 공연비 변동 주파수가 커지도록 매칭하고 있기 때문에, 저부하 영역에서 공연비 변동 주파수가 커지고, 이것에 의해서 저부하 영역에서의 촉매의 전환효율이 좋아지고, 배기 엔진이 개선된다.
한편, 고부하 영역이 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 O2센서 출력이 리치측으로 반전한 타이밍으로 α의 홀드를 개시하고,
2) 그 후는 타이머(TIMER)가 목표주기(Tf)와 일치하는 타이밍으로 α의 홀드를 종료하고,
3) 타이머(TIMER)가 목표주기(Tf)와 일치하는 타이밍으로 α를 비례분(PR) 만큼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동시에 타이머(TIMER)를 0으로 되돌리고,
4) 그 후는 타이머(TIMER)에 의해 다시 경과 시간을 계측함과 동시에, O2센서 출력이 린측으로 반전할 때까지 적분(IR) 씩 α을 서서히 작게하고,
5) O2센서 출력이 린측으로 반전한 타이밍으로 α를 비례분(PL) 만큼 단계적으로 증가하고,
6) 그 후는 O2센서 출력이 리치로 반전할 때까지 α를 적분(IL) 만큼씩 서서히 크게하여,
이 후는 상기의 1)에서 6)까지를 반복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α의 변동주기가 목표주기(Tf)와 일치함과 동시에, α가 홀드되는 기간만큼 리치로 운전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지고, 이것에 의해서 구동 시스템과의 공진을 피하면서, 공연비 피드백 제어에 의한 토오크 변동의 절대값이 큰 고부하 영역에서의 운전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예에 있어서 공연비 변동주기를 길게 하였을 때에는, 그만큼 적분이 주어지는 기간이 길어지고, 그 때문에 공연비 변동의 진폭까지가 커져서 이른바 윈도우를 빠져나갈 가능성도 나오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α가 홀드되는 시간만 α의 일주기당의 적분 부여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공연비 변동주기가 길어도, 공연비 진폭까지가 커지는 것은 아니다.
도 7, 도 8의 플로우 챠트는 제 2 실시 예로, 각각 도 2, 도 3에 대응한다.
도 7에 있어서 도 2와 다른 것은 스텝 41, 42이고,
① 공연비 피드백 제어조건의 비성립시,
② 공연비 피드백 제어조건의 성립시 또한 고부하 영역이 아닐 때의 어느쪽의 경우도 타이머(TD)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 타이머(TD) (시동시에 0으로 초기 설정)에 0을 넣고 있다. 또한, 타이머(TD)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O2센서 출력의 리치측에의 반전시로부터의 경과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에 있어서 도 3과 다른 부분을 서술하면, O2센서 출력이 리치측으로 반전한 경우로 고부하 영역에서 스텝 16, 17, 20으로부터 스텝 44, 45로 진행하고,
DL=DL (old)+K1×(Tf-TIMER) … (2)
다만, DL (old): 전회의 DL
K1 : 갱신비율(양의 정수)
의 식에 의하여 지연 시간 학습치(DL)를 갱신하고, 타이머(TIMER)에 0을 넣는다.
여기에서, 타이머(TIMER)는 O2센서 출력이 리치측으로 반전한 타이밍으로 0으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스텝 44에서의 TIMER의 값은, 제 1 실시 예와 달리, O2센서 출력의 일주기를 나타낸다.
(2) 식의 지연 시간 학습치(DL)는, 목표주기(Tf)보다 타이머(TIMER)가 작을 때는 증가하는 측으로 갱신되고, 이 반대로 Tf보다 TIMER가 커지면, 감소하는 측으로 갱신되는 값이고, 학습이 진행하면 O2센서 출력의 주기(즉 공연비의 실제의 변동주기)가 목표주기(Tf)와 일치하게 된다. DL은 백업(RAM)에 보존한다.
O2센서 출력이 리치를 계속하는 경우로 고부하 영역에서는, 스텝 16, 26, 28부터 스텝 46으로 진행하여 타이머(TD)와 지연 시간 학습치(DL)를 비교하여, TD<DL의 사이는 스텝 47, 31로 진행하여 타이머(TD)를 인크리먼트함과 동시에 α를 홀드한다.
이 타이머(TD)의 인크리먼트의 반복에 의해 TD≥DL 로 되면, 스텝 46에서 스텝 29이후에 진행한다. 스텝 29이후는 도 3의 경우와 같다. 즉 스텝 29로 처음 진행하였을 때는 F3=0 이기 때문에, 스텝 33, 34로 전회의 α에서 PR을 감산함으로써α를 갱신함과 동시에, 플래그(F3)에 “1”을 넣는다. 이 플래그(F3)에의 “1”에의 세트에 의해 F1=1 (계속하여 리치측) 또는 F2=0 (고부하 영역)인 것만, 다음회에서 스텝 29부터 스텝 35로 진행하여, 전회의 α에서 적분(IR)을 감산한 값을 이번의 α로 함으로써 α를 갱신한다.
또한, O2센서 출력이 린측으로 반전하는 경우와 린을 계속하는 경우에 스텝 43으로 진행하여 타이머(TD)에 0을 넣는다. 또한, 타이머(TD)가 지연 시간 학습치(DL)와 일치한 타이밍으로 그 후에 O2센서 출력이 린측으로 반전하는 타이밍까지는 타이머(TD)의 값이 홀드된다.
도 9의 파형도는 고부하 영역에서의 α, O2센서 출력(OSR1), 타이머(TIMER), 3개의 플래그(F1, F2, F3), 타이머(TD), 지연 시간 학습치(DL)의 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경우와는 타이머(TIMER)의 움직임이 다르고, 제 2 실시 예에서는 타이머(TD)와 지연 시간 학습치(DL)가 새로 추가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TIMER, TD, DL이 공연비 변동의 일주기중의 대표점(도시의 a, b, c, d, e, f, g의 각점)에 대하여 도 8의 플로우 챠트상에서는 어떠한 조작이 실행되는 것인가를 설명한다.
a 점: 스텝 16→17→18→43→19로 흐르는 경우이다. 이때 타이머(TD)가 0으로 되돌아간다.
b 점: 스텝 16→26→27→43→19로 흐르는 경우이다. 이때 타이머(TD)는 0 그대로이다.
c 점: 스텝 16→17→20→44→45→22→19로 흐르는 경우이다. 이때 지연 시간 학습치(DL)가 갱신되고, 타이머(TIMER)가 0으로 되돌아간다.
d 점: 스텝 16→26→28→46→47→31→19로 흐르는 경우이다. 이때 타이머(TD)가 인크리먼트된다.
e 점: 스텝 16→26→28→46→29→33→34로 흐르는 경우이다. 이때 타이머(TD)가 홀드된다.
f 점: 스텝 16→26→28→46→29→35로 흐르는 경우이다. 이때도 타이머(TD)가 홀드된다.
g 점: a 점과 동일하다.
도 9에 의하면, 타이머(TD)는 O2센서 출력이 리치측으로 반전한 타이밍에서의 경과시간을 계측한다. 또한, O2센서 출력이 리치측으로 반전한 타이밍으로 α의 홀드가 개시되고, 타이머(TD)가 지연 시간 학습치(DL)와 일치한 타이밍으로 α의 홀드가 종료된다. 즉, α의 홀드의 개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것에 대하여, α의 홀드의 종료가 제 1 실시 예와 상위하고 있다.
도 9는 또한, 타이머(TIMER)가 목표주기(Tf)보다도 짧을 때에 지연 시간 학습치(DL)가 어떻게 변화하는 것인가도 나타내고 있고, 때로는 DL (즉 α의 홀드시간)이 서서히 커지고, 타이머(TIMER)가 목표주기(Tf)와 일치하였을 때의 DL로 안정된다.
제 2 실시 예에서는,
1) O2센서 출력이 리치측으로 반전한 타이밍으로 α의 홀드를 개시함과 동시에, 타이머(TIMER)를 0으로 되돌리고,
2) 그 후는 타이머(TIMER)에 의해 다시 경과시간을 계측함과 동시에, 타이머(TD)가 지연 시간 학습치(DL)와 일치하기 직전까지 α의 홀드를 계속하여,
3) 타이머(TD)가 지연 시간 학습치(DL)와 일치한 타이밍으로 α를 비례분(PR) 만큼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동시에, 지연 시간 학습치(DL)를 갱신하여,
4) 그 후는 O2센서 출력이 린측으로 반전할 때까지 적분(IR) 씩 α를 서서히 작게 하고,
5) O2센서 출력이 린측으로 반전한 타이밍으로 α를 비례분(PL) 만큼 단계적으로 증가함과 동시에, 타이머(TD)를 0으로 되돌리고,
6) 그 후는 O2센서 출력이 리치로 반전할 때까지 α를 적분(IL) 만큼씩 서서히 크게 하고,
이 후는 상기의 1)에서 6)까지를 반복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제 1 실시 예에서 제어가 다소 복잡하게 되는 것,
O2센서 출력의 주기를 대신하여 α의 주기를 계측하는 제 1 실시 예와 다르게 하여, O2센서 출력의 주기(즉 공연비 변동주기)를 직접 계측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공연비 변동주기를 컨트롤할 수 있다.
도 10은 백업(RAM)에 격납되는 제 3 실시 예의 지연 시간 학습치(DL)의 맵 특성도이다. 이것은, 동일한 기어위치에 있어서 고부하 영역에서의 흡입 공기량(Qa)이 Q1 이상 Q2 미만까지, Q2 이상부터 Q3 미만까지, Q3 이상 Q4 이하의 3개로 분할하고 있고, 각 부하 영역 마다에 지연 시간 학습치(DL)를 격납하도록 한 것이다(도 11참조). 다만, 소정치 Q1, Q2, Q3, Q4 의 사이에는 Q1<Q2<Q3<Q4 로 되는 관계가 있다.
제 3 실시 예에 의하면, 고부하 영역의 모든 영역에서 섬세하고 치밀한 공연비 변동주기를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고부하 영역으로 한정되면 흡입 공기량(Qa)에 회전수(N)가 거의 비례하기 때문에,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부하 영역에서의 회전수를 복수로 분할하고, 동일한 기어위치에서 분할한 각 회전 영역 마다 지연 시간 학습치를 백업(RAM)에 격납시켜도 된다.
실시 예에서는, 공연비 피드백 제어중의 α라든지 O2센서 출력의 각 주기가 목표주기와 일치하도록 제어하는 경우로 설명하였지만, 구동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를 뺀 위치에 목표 주파수를 설정하고, 공연비 피드백 제어중의 α라든지 O2센서 출력의 각 주파수가 이 목표 주파수와 일치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제 1의 발명에서는 고부하 영역에서 공연비 피드백 제어에 의한 공연비 변동의 계측치가 그 목표치와 일치하면서 리치로 운전되는 시간이 길어지도록 센서 출력에 근거하여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을 연산하고, 이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을 사용하여 공연비의 피드백 제어를 행하기 때문에, 구동 시스템과의 공진을 피하면서, 공연비 피드백 제어에 의한 토오크 변동의 절대값이 큰 고부하 영역에서의 운전성을 개선할 수 있다.
제 4의 발명에서는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의 변동주기가 공연비 변동주기의 목표치와 일치함과 동시에,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이 홀드되는 시간에만 리치로 운전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길게 된다. 또한, 종래 예에 있어서 공연비 변동주기를 길게 하였을 때에는, 그만큼 적분이 주어지는 기간이 길어지고, 그 때문에 공연비 변동의 진폭까지가 커져서 이른바 윈도우를 빠져나갈 가능성도 나오는 것이지만, 제 4의 발명에서는,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이 홀드되는 시간에만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의 일주기당의 적분 부여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공연비 변동주기가 길어도, 공연비 진폭까지가 커지는 것은 아니다.
제 5와 제 8의 각 발명에서는 구동 시스템과의 공진을 피하면서 촉매의 전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 6과 제 9의 각 발명에서는 전동의 기어위치에 관계없이 구동 시스템과의 공진을 피할 수 있다.
제 7의 발명에서는 센서 출력의 주기를 대신하여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의 주기를 계측하게 되는 제 4의 발명과 다르게 하여, 제 4의 발명에 의해 제어가 다소 복잡하게 되는 것, 센서 출력의 주기(즉 공연비 변동주기)를 직접 계측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공연비 변동주기를 컨트롤할 수 있다.
제 10과 제 12의 각 발명에서는 고부하 영역의 전역에서 섬세하고 치밀한 공연비 변동주기를 컨트롤할 수 있다.
제 11의 발명에서는 제 10의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또한 제 13의 발명에서는 제 12의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전동의 기어위치에 관계없이 구동 시스템과의 공진을 피할 수 있다.
제 14의 발명에서는 저부하 영역에서의 촉매의 전환효율이 좋아지고, 배기 엔진이 개선된다.

Claims (14)

  1. 촉매를 흐르는 배기중의 산소 농도에 따라 출력을 하는 센서와,
    공연비 피드백 제어에 의한 공연비 변동의 목표치를 구동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를 뺀 위치에 설정하는 수단과,
    고부하 영역인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과,
    이 판정결과로부터 고부하 영역에서 상기 공연비 변동의 계측치가 상기 목표치와 일치하면서 리치로 운전되는 시간이 길어지도록 상기 센서 출력에 근거하여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을 연산하는 수단과,
    이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을 사용하여 공연비의 피드백 제어를 행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공연비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연비 피드백 제어에 의한 공연비 변동은 공연비 변동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공연비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연비 피드백 제어에 의한 공연비 변동은 공연비 변동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공연비 제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 연산수단은,
    고부하 영역에서 경과시간을 계측치로서 계측하는 수단과,
    상기 센서 출력에 의거하여 배기 공연비가 한쪽 방향에서 반대측으로 반전한 것이거나 혹은 같은 방향을 계속하고 있는 것인가를 판정하는 수단과,
    이 판정결과에 의해 상기 센서 출력이 리치측으로 반전한 타이밍에서 상기 계측치가 상기 공연비 변동주기의 목표치에 도달하지 않을 때 상기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의 홀드를 개시하는 수단과,
    그 후는 상기 계측치가 상기 공연비 변동주기의 목표치와 일치하는 타이밍으로 상기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의 홀드를 종료하는 수단과,
    상기 홀드를 종료한 타이밍으로 비례분만큼 단계적으로 감소함으로써 상기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을 갱신함과 동시에 상기 계측치를 초기값으로 되돌리는 수단과,
    그 후는 상기 판정결과에 의해 상기 센서 출력이 린측으로 반전할 때까지 적분만큼씩 서서히 작게 함으로써 상기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을 갱신하는 수단과,
    상기 판정결과에 의해 상기 센서 출력이 린측으로 반전한 타이밍에서 비례분만큼 단계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상기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을 갱신하는 수단과,
    그 후는 상기 판정결과에 의해 상기 센서 출력이 리치로 반전할 때까지 적분만큼씩 서서히 크게함으로써 상기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을 갱신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공연비 제어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연비 변동주기의 목표치는, 구동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에 대한 주기보다도 크면서 그 주기보다 그다지 크게 벗어나지 않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공연비 제어장치.
  6. 제 3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연비 변동주기의 목표치는 전동의 기어위치에 따른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공연비 제어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 연산수단은,
    고부하 영역에서 경과시간을 계측치로서 계측하는 제 1 수단과,
    상기 센서 출력에 의거하여 배기 공연비가 한쪽 방향에서 반대측으로 반전한 것인지 그렇지 않으면 같은 방향을 계속하고 있는 것인가를 판정하는 수단과,
    이 판정결과에 의해 상기 센서 출력이 리치측으로 반전한 타이밍에서 상기 계측치가 상기 공연비 변동주기의 목표치에 도달하지 않을 때 상기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의 홀드를 개시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수단의 계측치를 초기값으로 되돌리는 수단과,
    그 후는 상기 제 1 수단과는 다른 제 2 수단으로 상기 홀드를 개시한 후의 경과시간을 계측함과 동시에, 이 제 2 수단의 계측치가 지연 시간 학습치와 일치하기 직전까지 상기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의 홀드를 계속하는 수단과,
    상기 제 2 수단의 계측치가 상기 지연 시간 학습치와 일치한 타이밍으로 비례분만큼 단계적으로 감소함으로써 상기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을 갱신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수단의 계측치가 상기 공연비 변동주기의 목표치와 일치하도록 지연 시간 학습치를 갱신하는 수단과,
    그 후는 상기 판정결과에 의해 상기 센서 출력이 린측으로 반전할 때까지 적분만큼씩 서서히 작게 함으로써 상기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을 갱신하는 수단과,
    상기 판정결과에 의해 상기 센서 출력이 린측으로 반전한 타이밍에서 비례분만큼 단계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상기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을 갱신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수단의 계측치를 초기값으로 되돌리는 수단과,
    그 후는 상기 판정결과에 의해 상기 센서 출력이 리치로 반전할 때까지 적분만큼씩 서서히 크게함으로써 상기 공연비 피드백 보정량을 갱신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공연비 제어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공연비 변동주기의 목표치는 구동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에 대한 주기보다도 크면서 그 주기보다 그다지 크게 벗어나지 않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공연비 제어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공연비 변동주기의 목표치는 전동의 기어위치에 따른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공연비 제어장치.
  10. 제 7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 학습치는, 상기 고부하 영역을 복수로 분할한 각 영역마다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공연비 제어장치.
  11. 제 7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 학습치는, 상기 고부하 영역을 복수로 분할한 각 영역과 전동의 기어위치마다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공연비 제어장치.
  12. 제 7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 학습치는, 상기 고부하 영역의 회전영역을 복수로 분할한 각 영역마다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공연비 제어장치.
  13. 제 7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 학습치는, 상기 고부하 영역의 회전영역을 복수로 분할한 각 영역과 전동의 기어위치마다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공연비 제어장치.
  14. 제 1항, 2항, 3항, 4항,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부하 영역 이외로 공연비 피드백 제어에 의한 공연비 변동의 주파수를 크게 또는 공연비 피드백 제어에 의한 공연비 변동의 주기를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공연비 제어장치.
KR1019970065491A 1996-12-04 1997-12-03 엔진의 공연비 제어장치 KR1002410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23954 1996-12-04
JP8323954A JPH10159629A (ja) 1996-12-04 1996-12-04 エンジンの空燃比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722A KR19980063722A (ko) 1998-10-07
KR100241044B1 true KR100241044B1 (ko) 2000-03-02

Family

ID=18160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5491A KR100241044B1 (ko) 1996-12-04 1997-12-03 엔진의 공연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70966A (ko)
JP (1) JPH10159629A (ko)
KR (1) KR100241044B1 (ko)
DE (1) DE19753814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5626B2 (ja) * 1999-04-28 2003-11-10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DE10201786B4 (de) * 2002-01-17 2004-09-09 Bos Gmbh & Co. Kg Vormontierte Rolloeinheit
JP7110345B2 (ja) * 2018-07-03 2022-08-01 日立Astemo株式会社 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493B2 (ja) * 1983-08-24 1995-02-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S6436941A (en) * 1987-07-31 1989-02-07 Mazda Motor Control device for air-fuel ratio of engine
JPH07269398A (ja) * 1994-03-29 1995-10-17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3372723B2 (ja) * 1995-08-01 2003-02-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DE19610170B4 (de) * 1996-03-15 2004-04-22 Robert Bosch Gmbh Lambda-Regelungsverfah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159629A (ja) 1998-06-16
KR19980063722A (ko) 1998-10-07
DE19753814C2 (de) 2000-04-27
US5970966A (en) 1999-10-26
DE19753814A1 (de)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3017231A1 (en) Method and system of air-fuel ratio control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768780B2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WO1992004538A1 (en) Method of controlling air-fuel ratio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system therefor
KR100241044B1 (ko) 엔진의 공연비 제어장치
US4739740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ir-fuel ratio feedback control method functioning to compensate for aging change in output characteristic of exhaust gas concentration sensor
US4703619A (en) Double air-fuel ratio sensor system having improved response characteristics
JPS62162750A (ja) 燃料噴射制御装置
JPS61234241A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S61190142A (ja) 内燃機関の学習制御装置
JP2757064B2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KR0145367B1 (ko) 기관의 공연비 제어장치
JPS6397846A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2757065B2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3593388B2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2631585B2 (ja) 内燃機関の空燃比学習制御装置
JP2021085380A (ja) 内燃機関の電子制御装置
JPH0423099B2 (ko)
JPH10103139A (ja) エンジンの空燃比制御装置
JPH0417750A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H0833133B2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2001234785A (ja) 内燃機関の空燃比学習制御装置
JPH05214991A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S62107250A (ja) 電子制御燃料噴射式内燃機関における空燃比の学習制御装置
JPS61106935A (ja) 内燃機関の電子制御燃料噴射装置
JPH046118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