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0668B1 - 충격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충격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0668B1
KR100240668B1 KR1019960056923A KR19960056923A KR100240668B1 KR 100240668 B1 KR100240668 B1 KR 100240668B1 KR 1019960056923 A KR1019960056923 A KR 1019960056923A KR 19960056923 A KR19960056923 A KR 19960056923A KR 100240668 B1 KR100240668 B1 KR 100240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uter housing
inner housing
elastic member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6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8073A (ko
Inventor
노재성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56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0668B1/ko
Publication of KR19980038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8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6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13Means for detecting collision, impending collision or roll-over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의 내부 소정 부위에 고정 설치되는 외부 하우징(1)과, 상기 외부 하우징(1)의 내부에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내부 하우징(2)과, 일측단부는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단부는 외부 하우징(1)을 통하여 내부 하우징(2)으로 삽입된 충격감지 피스톤(3)과, 상기 충격감지 피스톤(3)에 결합되어 그 충격감지 피스톤(3)을 탄력지지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 등의 제1 탄성부재(4)와, 상기 내부 하우징(2)의 내부에 충진되어 충격감지 피스톤(3)의 내측면에 형성된 통과공(5)을 통하여 이동되는 유체(6)와, 상기 내부 하우징(2)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외부 하우징(1)을 지나 외부로 돌출되는 작동봉(7)과, 상기 작동봉(7)에 결합되어 내부 하우징(2)을 탄력지지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 등의 제2 탄성부재(8)와, 상기 외부 하우징(1)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작동봉(7)에 의하여 작동되는 스위치(9)로 구성하여, 서서히 가해지는 힘에는 반응하지 않고 충격적으로 가해지는 힘에만 반응함으로써 오동작 발생을 배제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충격감지장치
본 발명은 충격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서히 가해지는 힘과 충격적으로 가해지는 힘을 구별하여 충격적으로 가해지는 경우에만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 충격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고기능의 자동차에는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형태의 충격감지장치가 알려지고 있으며, 충격감지장치의 신호로 안전에 필요한 추가 조치를 취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알려진 바와 같은 종래의 충격감지장치는 서서히 가해지는 힘과 충격적으로 가해지는 힘을 구별하지 못하여 작동될 필요가 없는 서서히 가해지는 충격에도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오동작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서히 가해지는 힘과 충격적으로 가해지는 힘을 구별하여 충격적으로 가해지는 경우에만 작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충격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감지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것으로,
도 1은 힘을 받기 전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힘을 받은 후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부 하우징 2 ; 내부 하우징
3 ; 충격감지 피스톤 4,8,12 ; 탄성부재
5 ; 통과공 6 ; 유체
7 ; 작동봉 9 ; 스위치
10 ; 스위치 케이스 11 ; 버튼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체의 내부 소정 부위에 고정 설치되는 외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내부 하우징과, 일측단부는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단부는 외부 하우징을 통하여 내부 하우징으로 삽입된 충격감지 피스톤과, 상기 충격감지 피스톤에 결합되어 그 충격감지 피스톤을 탄력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부에 충진되어 충격감지 피스톤의 내측면에 형성된 통과공을 통하여 이동되는 유체와,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외부 하우징을 지나 외부로 돌출되는 작동봉과, 상기 작동봉에 결합되어 내부 하우징을 탄력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와, 상기 외부 하우징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작동봉에 의하여 작동되는 스위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감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벽에 내부 하우징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메탈 베어링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충격감지장치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감지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것으로, 도 1은 힘을 받기 전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힘을 받은 후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충격감지장치는, 차체의 내부 소정 부위에 고정 설치되는 외부 하우징(1)과, 상기 외부 하우징(1)의 내부에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내부 하우징(2)과, 일측단부는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단부는 외부 하우징(1)을 통하여 내부 하우징(2)으로 삽입된 충격감지 피스톤(3)과, 상기 충격감지 피스톤(3)에 결합되어 그 충격감지 피스톤(3)을 탄력지지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 등의 제1 탄성부재(4)와, 상기 내부 하우징(2)의 내부에 충진되어 충격감지 피스톤(3)의 내측면에 형성된 통과공(5)을 통하여 이동되는 유체(6)와, 상기 내부 하우징(2)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외부 하우징(1)을 지나 외부로 돌출되는 작동봉(7)과, 상기 작동봉(7)에 결합되어 내부 하우징(2)을 탄력지지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 등의 제2 탄성부재(8)와, 상기 외부 하우징(1)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작동봉(7)에 의하여 작동되는 스위치(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9)는 스위치 케이스(10)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10)의 내부에 수납되는 버튼(11)과, 상기 버튼(11)을 탄력지지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 등의 제3 탄성부재(1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외부 하우징(1)의 내벽에는 내부 하우징(2)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메탈 베어링(metal bearing)(13)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감지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충격감지 피스톤(3)이 도시한 화살표로 이동하여 스위치(9)를 작동시키게 되는 바, 이때 충격감지 피스톤(3)에 서서히 힘이 가해질 경우에는 충격감지 피스톤(3)이 서서히 진행하여 내부 하우징(2)에 충진된 유체(6)가 충격감지 피스톤(3)의 통과공(5)을 통하여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내부 하우징(2)은 거의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내부 하우징(2)의 작동봉(7)이 스위치(9)의 버튼(11)을 작동시키지 않는다.
한편, 충격감지 피스톤(3)에 충격적인 힘이 가해질 경우에는 내부 하우징(2)에 충진된 유체(6)의 일부가 통과공(5)을 통하여 우측에서 좌측으로 빠져나가지만 대부분의 압력이 그대로 내부 하우징(2)으로 작용하여 그 내부 하우징(2)이 외부 하우징(1)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2)의 작동봉(7)이 버튼(11)을 눌러 스위치(9)을 작동시킴으로써 충격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충격감지 피스톤(3)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통과공(5)의 갯수 및 직경, 그리고 각 탄성부재(4)(8)의 스프링 상수를 적절히 조절할 경우 원하는 충격치에 반응하는 충격감지장치의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충격감지장치는, 차체의 내부 소정 부위에 고정 설치되는 외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내부 하우징과, 일측단부는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단부는 외부 하우징을 통하여 내부 하우징으로 삽입된 충격감지 피스톤과, 상기 충격감지 피스톤에 결합되어 그 충격감지 피스톤을 탄력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부에 충진되어 충격감지 피스톤의 내측면에 형성된 통과공을 통하여 이동되는 유체와,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외부 하우징을 지나 외부로 돌출되는 작동봉과, 상기 작동봉에 결합되어 내부 하우징을 탄력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와, 상기 외부 하우징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작동봉에 의하여 작동되는 스위치로 구성하여, 서서히 가해지는 힘에는 반응하지 않고 충격적으로 가해지는 힘에만 반응함으로써 오동작 발생을 배제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체의 내부 소정 부위에 고정 설치되는 외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내부 하우징과, 일측단부는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단부는 외부 하우징을 통하여 내부 하우징으로 삽입된 충격감지 피스톤과, 상기 충격감지 피스톤에 결합되어 그 충격감지 피스톤을 탄력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부에 충진되어 충격감지 피스톤의 내측면에 형성된 통과공을 통하여 이동되는 유체와,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외부 하우징을 지나 외부로 돌출되는 작동봉과, 상기 작동봉에 결합되어 내부 하우징을 탄력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와, 상기 외부 하우징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작동봉에 의하여 작동되는 스위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벽에 내부 하우징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메탈 베어링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감지장치.
KR1019960056923A 1996-11-23 1996-11-23 충격감지장치 KR100240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923A KR100240668B1 (ko) 1996-11-23 1996-11-23 충격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923A KR100240668B1 (ko) 1996-11-23 1996-11-23 충격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073A KR19980038073A (ko) 1998-08-05
KR100240668B1 true KR100240668B1 (ko) 2000-01-15

Family

ID=19483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6923A KR100240668B1 (ko) 1996-11-23 1996-11-23 충격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06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920B1 (ko) 2016-11-14 2018-01-17 이승철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920B1 (ko) 2016-11-14 2018-01-17 이승철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073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1780A (en) Impact detector
US3853199A (en) Collision sensor for fender bumper operated vehicle safety device
US3889130A (en) Mass in liquid vehicular crash sensor
KR100289199B1 (ko) 차량 안전유지 시스템의 충돌센서
US4877927A (en) Extended dwell shock sensing device
WO2001083275A3 (en) Seat belt tension sensor
KR100240668B1 (ko) 충격감지장치
RU2443979C1 (ru) Инерционный пороговый датчик
US4857680A (en) Acceleration sensor
JPH03229159A (ja) 衝撃センサー
US11441630B2 (en) Stop buffer
CN108917671B (zh) 驱动器的行程位置检测组件
JP4879437B2 (ja) 空気圧式ブレーキ倍力装置を備えた車両ブレーキ装置
WO2016038559A1 (en) Electromechanical switch assembly
JP4245121B2 (ja) 加速度検知装置
JPH02203276A (ja) 加速度センサ
JPH0958402A (ja) 半導体加速度検出装置
KR100387825B1 (ko) 에어백 충돌 감지센서
CN214296280U (zh) 一种平衡车车体及平衡车
JP2003095059A (ja) 磁気遮蔽型衝撃センサ
JPH0781514A (ja) 衝突検知装置
KR100489061B1 (ko) 에어백의 충돌 및 충돌량 감지센서
JP3003768U (ja) 接触検出器
KR20220040802A (ko) 브레이크 페달의 변위감지 장치
SU1682647A1 (ru) Исполнительный цилиндр с индикацией положени порш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