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0187B1 - 고유동콘크리트와 덮개폼을 사용한 세그먼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유동콘크리트와 덮개폼을 사용한 세그먼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0187B1
KR100240187B1 KR1019970032862A KR19970032862A KR100240187B1 KR 100240187 B1 KR100240187 B1 KR 100240187B1 KR 1019970032862 A KR1019970032862 A KR 1019970032862A KR 19970032862 A KR19970032862 A KR 19970032862A KR 100240187 B1 KR100240187 B1 KR 100240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foam
segment
finishing
cover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2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9691A (ko
Inventor
유키오 요시이
카즈노리 하나미
타쯔야 토미도코로
히로시 마쯔우라
마사히코 이와후지
요시아키 히로나카
요시키 우노
유지 코바야시
다케시 나카가와
히데오 나카지마
히사오 요시나리
사토시 아키타야
Original Assignee
요시카와 코주
사에이켄코 카부시키가이샤
사토 요시타케
사토코교 가부시기가이샤
아라키 히로시
토쿄덴료쿠 가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84712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215973B2/ja
Application filed by 요시카와 코주, 사에이켄코 카부시키가이샤, 사토 요시타케, 사토코교 가부시기가이샤, 아라키 히로시, 토쿄덴료쿠 가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요시카와 코주
Publication of KR980009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B28B1/1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for producing 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28B7/0008Venting channels, e.g. to avoid vacuum during demoulding or allowing air to escape during feeding, pressing or moul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08Slump-loss prevent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4Flow impr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세그먼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품에 기포곰보가 발생하는 일이 없고, 흙손마무리를 필요하지 않게하고, 표면마무리작업의 생략화를 도모할 수 있고, 콘크리트의 타설시에 있어서 진동다지기를 필요없게 함으로써, 주위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게하는 일이 적고, 폼의 간소화도모하게되는 경제적으로 유리하고 작업성이 뛰어난 콘크리트세그먼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으로서, 물시멘트비가 30∼40%, 잔골재율이 45∼55%이고, 소량의 혼화제가 첨가된 슬럼프플로치로 65±5cm, V깔때기흘러내림시간이 25±15초, 프레시성상유지시간이 적어도 30분정도의 고유동성을 가진 콘크리트를, 공기빼기용구멍(2a) 및 투기성의 마무리재(6)를 짜맞춘구조의 덮개폼(2)을 구비한 세그먼트제조용 강철제폼내에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유동콘크리트와 덮개폼을 사용한 세그먼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콘크리트세그먼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콘크리트세그먼트의 제조에 있어서는, 슬럼프 3cm정도의 초경템퍼링의 콘크리트가 사용되고 있다. 그 때문에 콘크리트의 변형성능이 부족함으로, 콘크리트타설시에 폼내에 콘크리트를 빈틈없이 충전시킬려면, 강력한 진동다지기 (compaction)가 필요하게 된다.
또 덮개폼은 사용할 수 없음으로 마무리면의 성형에는 흙손마무리가 필요하게 되고, 또 마무리작업도 인력에 의하여 행하여지고 있다.
종래의 콘크리트세그먼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초경템퍼링의 콘크리트가 사용되고 있음으로, 콘크리트의 변형성능이 부족하여, 폼내에 충전하기 어렵고, 콘크리트의 충전에는 강력한 진동다지기가 필요하여, 주위의 환경에 진동소음에 의한 악영향을 미치게 하고, 또 강력한 진동을 부여해도 치수정밀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강성이나 중량이 크고, 고정밀도가공의 폼이 필요하게 된다. 또 흙손마무리 등의 표면마무리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인력작업이 많고, 생력화가 행해지지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가진 문제점에 비추어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제품에 기포곰보가 발생하는 일이없고, 흙손마무리를 필요없게하여, 표면마무리작업의 생략화를 도모할 수 있고, 콘크리트의 타설시에 있어서 진동다지기를 불필요하게 함으로써, 주위의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게하는 일이 적고, 폼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고유동(高流動)콘크리트와 덮개폼을 사용한 세그먼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서 세그먼트를 제조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제2도는 덮개폼(form)의 사시도.
제3도는 무공(無孔)강판제 덮개폼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그먼트제조용 강철제품 2: 덮개폼
2' : 무공강판제 덮개폼 2a : 강파의 구멍
3 : 콘크리트주입부 4 : 콘크리트호퍼
5 : 고유동콘크리트 6 : 투기성(透氣性)의 마무리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고유동콘크리트와 덮개폼을 사용한 세그먼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고유동성을 가진 콘크리트를, 공기빼기구멍이 전면에 걸쳐서 형성된 유공(有孔)강판의 이면에 투기성마무리재를 걸쳐서 이루어진 덮개폼을 구비한 밀폐폼내에 유입시켜서 마무리면을 성형하고, 진동다지기와 표면마무리를 불필요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발명에 의하면, 상기 콘크리트는 물시멘트비가 30∼40%, 잔골재율 45∼55%이고 소량의 혼화제가 배합되고, 슬럼프플로치가 65±5cm, V깔때기흘러내림시간이 25±15초, 공기량이 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의 프레시성상이 유지되고 있는 시간이 적어도 30분정도로 된 것이다.
이하,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1)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수평설치된 세그먼트제조용 강철제품, (2)는 덮개폼, (3) 및 (4)는 각각, 덮개폼(2)에 형성된 깔때기형상의 콘크리트주입부 및 동주입부에 콘크리트를 공급하는 콘크리트호퍼이다.
또 덮개폼으로서 무공강판만을 사용한 덮개폼(2')의 경우에는, 고유동콘크리트(5)를 유입시킴으로써, 에지 및 조인트주위의 충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나, 마무리면에 깊이 10mm정도의 기포곰보가 무수히 발생해서, 상기 세그먼트제조용 강철제폼(1)내에 세트된 콘크리트세그먼트용 철근의 들쓰임이 불충분하게 되는 것을 알았다.
그 때문에, 기포곰보를 제거하기 위한 공기빼기구멍이 필요하게 되고, 유공강판제 덮개폼의 사용이 효과적인 것을 알았다. 유공간판제의 덮개폼(2)의 구멍 (2a)으로서는, 제품마무리면의 기포곰보의 제거효과와, 구멍(2a)으로부터 누출하는 시멘트페이스트량으로부터 최적의 것이 선정되며, 기포곰보의 제거에 유효한 구멍직경 3mm, 구멍피치 5mm의 펀칭플레이트를 표준으로 한다.
그리하여 콘크리트세그먼트의 제조에 있어서는, 콘크리트호퍼(4)로부터 깔때기형상의 콘크리트주입부(3)를 개재해서, 세그먼트제조용 강철제폼(1)에 고유동콘크리트(5)를 유입시켜서 충전해서, 콘크리트세그먼트를 성형하는 것이며, 동성형품의 표면의 기포곰보를 상기 덮개폼(2)의 구멍(2a)에 의해 제거한다.
이때, 상기 덮개폼(2)을 구성하는 유공강판의 구멍(2a)으로부터 누출하는 시멘트페이스트가 눈막힘을 생기게함으로써, 덮개폼(2)의 청소에 시간이 걸리나, 덮개폼청소를 위한 시간을 경감하기 위하여, 덮개폼(2)을 구성하는 유공강판의 이면에 투기성의 마무리재(6)가 걸쳐진다.
동 투기성의 마무리재로서는, 매시간격 0.25mm의 매시철망, 타설콘크리트표면의 기포제거효과의 실적이 높은 섬유로서 사용되는 투수성(透水性)시트, 부직포, 직포등 가운데에서 선정가능하며, 유공강판의 청소의 용이도, 유공강판에의 장착의 용이도, 코스트 등의 이유로, 필요에 따라서 유공강판과 마무리재와의 짜맞춤으로 이루어진 덮개폼(2)을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세그먼트제조용 강철제폼(1)에 공급하는 고유동콘크리트(5)의 배합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2
단, 물시멘트비 W/C=30∼40%
잔공재율 S/a=45∼55%
의 범위로 한다.
혼화제는 폴리카르복시산에테르계와 가교폴리머의 복합체이고
① 상품명 : 레오빌SP-8S(포조리스물산주식회사)
② 상품명 : 파릭FP-300U시어리즈(F·P·K물산주식회사)
③ 상품명 : 츄폴HP-11시어리즈(타케모토유지주식회사)
에 의해 C×2.9%∼C×1.5%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유동콘크리트는 물시멘트비가 낮으므로, 장기강도는 세그먼트에 요구하는 강도를 충분히 만족할 수 있다.
또 보통시멘트를 사용함으로, 초기강도는 세그먼트의 탈형(脫型)강도를 충분히 만족할 수 있다.
또, 물시멘트비가 낮으므로, 중성화에 대한 저항성 등의 내구성의 면에서 뛰어나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예의 고유동콘크리트(5)의 배합예가 뛰어나있다는 것이 실증되었다.
또 상기 콘크리트(5)의 슬럼프플로치가 65±5cm의 경우, 가공성(Workabi lity)에 뛰어나, 세그먼트의 1/4모델로 충전성확인시험을 행하였던바, 뛰어난 충전성능을 발휘하였다.
반대로 슬럼프플로치가 본 실시예보다 낮은 50cm대의 경우는 미충전개소가 많고, 본 실시예보다 높은 70cm를 넘는 경우는 재료분리가 많은 것을 알았다.
또 콘크리트의 V깔때기 흘러내림시간이 25±15초의 경우, 시험실적으로부터 재료분리를 볼 수 없어, 본 실시예의 고유동콘크리트의 품질관리치가 뛰어나있는 것이 실증되었다.
또한 공기량은 2±1%로 종래의 세그먼트의 콘크리트와 동일하게 하고 있다.
또 덮개폼으로서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무공강판만을 사용한 덮개폼(2')을 채용하였을 경우, 고유동콘크리트(5)를 유입시킴으로써 에지 및 조인트주위의 충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나, 마무리면에 깊이 10mm정도의 기포곰보가 무수히 발생해서, 상기 세그먼트제조용 강철제폼(1)내에 세트된 콘크리트세그먼트용 철근의 들씌움이 불충분하게 되는 것을 알았다.
그 때문에, 기포곰보제거용의 공기빼기구멍이 필요하게 되고, 유공강판제 덮개폼을 사용함으로써 제품에 있어서의 기포곰보가 제거되었다.
또한 상기 세그먼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콘크리트는, 동 콘크리트의 프레시성상이 유지되고 있는 시간을 적어도 30분정도로 함으로써, 작업성 및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 경제적으로도 바람직하다.
상기 유지시간을 60분 또는 90분으로 하는 것은 가능하나 세그먼트의 제조에는 이와 같은 장시간은 요하지 않는다.
장시간으로 하기 위해서는 혼화제를 중량하지 않으면 않되고, 또 이에 의해 콘크리트강도의 발현이 늦어진다. 세그먼트와 같은 콘트리트 2차제품에서는 높은 초기강도가 요구되고 있다.
반대로 너무 짧은 유지시간(예를 들면 5분)에서는 세그먼트의 제조업자에 지장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고유동성을 가진 콘크리트를 사용함으로써, 콘크리트의 변형성능이 증대하고, 폼내에의 충전이 용이하게 되고, 또 진동다지기를 일체형하지 않아도 자체중량만으로 폼에 충전된다. 또 이와 같이 진동다지기가 일체 없음으로 폼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주위의 환경에 미치는 소음, 진동등의 악영향이 저감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유공강판의 이면에 투기성을 가진 마무리재를 걸친 덮개폼을 구비한 밀폐폼을 사용함으로써, 제품에 기포곰보를 발생하는 일없이, 마무리면이 성형됨으로 흙손마무리가 불필요하게 되어, 종래, 인력에 의존하고 있던 표면마무리작업이 없어지고, 또 덮개폼의 유공부로부터 누출하는 시멘트페이스트에 의한 눈막힘이 생겼을때의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표면마무리작업의 생략화, 콘크리트타설시의 진동다지기의 생략, 세그먼트폼을 정치식(定置式)으로 한 것, 폼의 간소화에 의해서, 세그먼트의 제품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발명에 의하면, 상기 콘크리트는, 보통시멘트를 사용하고, 물시멘트비 30∼40%, 잔골재율 45∼55%이고 소량의 혼화제가 첨가되어 있음으로써, 세그먼트에 요구되는 장기강도를 충분히 만족할 수 있고, 초기강도로 세그먼트의 탈형강도를 충분히 만족할 수 있고, 중성화에 대한 저항성 등의 내구성의 면에서 뛰어나있다.
또 슬럼프플로치를 65±5cm로 하도록, 혼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충전성이 확보된다. 또 V깔때기흘러내림시간이 25±15초로 되게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재료분리를 볼 수 없게되고, 뛰어난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의 프레스성상이 유지되고 있는 시간을 적어도 30분 정도로 함으로서,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3)

  1. 고유동성을 가진 콘크리트를, 공기빼기구멍이 전면에 걸쳐서 형성된 유공강판의 이면에 투기성마무리재를 걸쳐서 이루어진 덮개폼을 구비한 밀폐폼내에 유입시켜서 마무리면을 성형하고, 진동다지기와 표면마무리를 불필요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동콘크리트와 덮개폼을 사용한 세그먼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는 물시멘트비가 30∼40%, 잔골재율 45∼55%이고, 소량의 혼화제가 배합되고, 슬럼프플로치가 65±5cm, V깔때기흘러내림시간이 25±15초, 공기량이 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동콘크리트와 덮개폼을 사용한 세그먼트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콘크리트의 프레시성상이 유지되어 있는 시간이 적어도 30분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동콘크리트와 덮개폼을 사용한 세그먼트의 제조방법.
KR1019970032862A 1996-07-15 1997-07-15 고유동콘크리트와 덮개폼을 사용한 세그먼트의 제조방법 KR1002401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84712 1996-07-15
JP18471296A JP3215973B2 (ja) 1996-04-30 1996-07-15 高流動コンクリートと蓋型枠を用いたセグメント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691A KR980009691A (ko) 1998-04-30
KR100240187B1 true KR100240187B1 (ko) 2000-01-15

Family

ID=16158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2862A KR100240187B1 (ko) 1996-07-15 1997-07-15 고유동콘크리트와 덮개폼을 사용한 세그먼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240187B1 (ko)
MY (1) MY127712A (ko)
SG (1) SG80574A1 (ko)
TW (1) TW3247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21247A2 (en) 2006-08-15 2008-02-21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Arbitrary shaping of temporal noise envelope without side-inform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2985A (ja) * 1993-08-23 1995-03-07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0430A (en) * 1991-10-16 1993-01-19 W.R. Grace & Co.-Conn. Concrete surface air void reduction admixture
JP3171549B2 (ja) * 1995-11-10 2001-05-2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2985A (ja) * 1993-08-23 1995-03-07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80574A1 (en) 2001-05-22
KR980009691A (ko) 1998-04-30
TW324762B (en) 1998-01-11
MY127712A (en) 200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4669A (en) Aerated concrete process
KR100240187B1 (ko) 고유동콘크리트와 덮개폼을 사용한 세그먼트의 제조방법
CN214531973U (zh) 一种排气型混凝土振捣棒
DE69905610T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poröser keramischen matrizen verwendbar als katalysatorträger
EP0440874A2 (en) Mold for casting ceramic products
JP3215973B2 (ja) 高流動コンクリートと蓋型枠を用いたセグメントの製造方法
CN215926692U (zh) 一种建筑施工用混凝土浇筑凝用模板
JP3779786B2 (ja) コンクリートセグメントの製作方法及び製作型枠
JP2002103313A (ja) コンクリートセグメントの成形方法
JP2670746B2 (ja) 型枠工法
JP2731894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成形用表面型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41848A (ja) 浄水用ブロ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水質浄化方法
JPH11278960A (ja) 高流動コンクリートを用いたセグメントの製造方法
JP2812172B2 (ja) Alc製造用の原料スラリーの注入方法及び注入装置
JPH08150607A (ja) セメント系硬化物の流し込み成形装置及び流し込み成形方法
JPH026378A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
US5102321A (en) Porous layer for a pressure casting mold
US3055077A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concrete structures
JPH05278022A (ja) 中空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成形方法
JPH08207031A (ja) コンクリート製品成形用表面型
JPH06143233A (ja) Pcパネルの製造方法
JP4104690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加圧成形方法
JPH08244018A (ja) 水硬性無機質成形物の成形型
JPH0660044B2 (ja) 無機板状体の製造方法
JP2000127129A (ja) セメント製品の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