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9866B1 - 승객수송에 쓰이는 직물덮개시트용의 하부층으로서 사용되는 부직물질 - Google Patents

승객수송에 쓰이는 직물덮개시트용의 하부층으로서 사용되는 부직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866B1
KR100239866B1 KR1019940700625A KR19940700625A KR100239866B1 KR 100239866 B1 KR100239866 B1 KR 100239866B1 KR 1019940700625 A KR1019940700625 A KR 1019940700625A KR 19940700625 A KR19940700625 A KR 19940700625A KR 100239866 B1 KR100239866 B1 KR 100239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material
fibers
cover
thickness
bo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0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르코우터 헨드릭
반 케레브로우크 요제프
Original Assignee
루크 마에스
리벨텍스 엔. 브이./에스.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크 마에스, 리벨텍스 엔. 브이./에스. 에이. filed Critical 루크 마에스
Priority claimed from PCT/BE1992/000029 external-priority patent/WO199400160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8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35Mixed fibres, e.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fibres or fibre blen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34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25Composite fibres
    • D04H1/43828Composite fibres sheath-cor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 D04H1/48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in combination with weld-bond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 D04H1/48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in combination with bond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D04H1/593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to layered we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철도 또는 항공으로 승객을 수송하는데 쓰이는 직물덮개시트용 하부층으로서 부직물질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부직물질은 건조공정으로 제조되며, 겉보기 밀도 20 내지 100kg/m3와 두께 4 내지 20mm를 가지며, 3 내지 40dtex의 두께와 2 내지 12cm의 길이를 가지는 합성섬유를 최소 50% 함유하며, 이 합성섬유들은 니들접합된다. 부직물질은 20cN/cm2정압을 받을 경우 2mm의 최소두께를 유지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부직물질은 시트의 사용자로부터 나오는 땀의 배출을 개선시키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객수송에 쓰이는 직물덮개시트용의 하부층으로서 사용되는 부직물질
본 발명은 도로, 철도 또는 항공으로 승객을 수송하는데 쓰이는 직물덮개시트(fabric covering seat)용의 하부층(underlayer)로서 부직물질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직물질이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든지 혹은 접합이 안되든지 간에 이 부직물질과 함께 직물(천)으로 구성되는 시트덮개와 승객수송을 위해 사용되며 상기 시트덮개로 구비되는 시트에 대한 것이다.
통상, “부직물질”이라 부르는 것에는 부직포, 부직매트 또는 펠트가 있다.
사용자의 안락함을 보장하려면 일반적으로 시트는 (1) 시트 사용자의 인간공학적 안락함을 보장하며 조밀한 발포체, 스프링 또는 밴드로 보통 이루어지는 지지체; (2)이 지지체를 구성하는 것보다 덜 조밀한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패딩층(임의로 분리 필름에 의해 지지체로부터 분리됨)과 (3) 커버천으로 이루어진다. 패딩층과 커버천은 안락함의 열생리학적(thermophysiological) 측면에서 책임이 있다.
이런 식으로 구성된 시트는 특히 우수한 단열작용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의 하부의 발한을 초래한다. 이 땀이 빨리 없어지지 않으면 습기로 감정이 불쾌하게 된다.
시트의 단열효과는 주로 지지체를 구성하는 조밀한 발포체의 실제두께, 패딩발포체로부터 조밀발포체를 분리하는 필름과 수많은 공기기포를 둘러싸는 패딩발포체의 밀폐 특성 때문이다.
지지체를 구성하는 발포체의 차단으로 습기가 내뿜어지는 것이 방해되기 때문에 시트 두께를 통한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의 발한으로 인한 습기의 배출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습기는 가장자리를 통해서 또는 환기, 즉 움직임 및 진동으로 인한 펌프작용에 의해 제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목적은 발포체 패딩층의 대체물로서 시트를 덮는 직물의 하부층으로서 부직물질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부직물질이 패딩층 및 열생리적 안락층으로서 작용을 하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목적이다.
보다 상세히 말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와 시트 사이의 접촉영역에서 사용자로부터 나오는 땀을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는 부직물질을 사용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물질이 그 친수성으로 인하여 외부로 습기가 전달되기 전에 신속하게 습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이 목적이다.
본 발명이 또다른 목적은 물질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습기를 전달할 수 있는 부직물질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통풍에 의해 습기를 배출할 수 있는 부직물질을 사용하는 목적도 갖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물질이 습기의 흡수, 전달 및 배출에 적당한 압축강도 및 탄성특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목적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통상적인 발포체 패딩층의 대체물로서 승객수송(도로, 철도 또는 항공에 의해)에 쓰이는 직물덮개시트용의 하부층으로서의 부직물질의 사용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부직물질은 건조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부직물질은 20 내지 100kg/m3의 밀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kg/m3의 밀도와 4 내지 40mm,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mm의 두께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부직물질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폴리옥시아미드 섬유 또는 “초흡수성(superabsorbent)”타입의 섬유, 또는 이들 여러섬유들의 혼합물로부터 바람직하게 선정되는 합성섬유를 최소 50% 함유한다. “초흡수성” 타입의 섬유는 100% 이상의 흡수량을 가지는 섬유, 즉 섬유 g당 물 1g 이상을 흡수하는 섬유를 말한다. 예컨대, 사용되는 “초흡수성” 섬유는 란사엘(Lansael), 파이버소브(Fibersorb), 또는 벰리에스(Bemliese)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것들이다.
선정된 합성섬유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좋다. 사용되는 섬유는 친수성 또는 적당한 초리에 의해 친수화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물질의 조성물에 포함된 합성섬유는 3 내지 40dtex, 바람직하게는 6 내지 20dtex의 두께와 2 내지 12c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5cm의 길이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부직물질은 예컨대, 셀룰로오스(면, 레이온, 비스코오스) 또는 모섬유일 수 있는 천연 및/또는 인조섬유를 50%까지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물질을 구성하는 섬유는 니들접합(needle bond)된다.
본 발명의 한 특별한 구체예에서 상기 섬유들은 니들접합도 되며 열접합도 된다.
이 경우 부직물질은 일정 백분율의 “열접합” 섬유를 포함하여야 한다.
열접합 섬유는 주요섬유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의 섬유 또는 섬유의 내부부분의 융점보다도 낮은 융점의 표면층을 가지는 섬유(“2성분”섬유)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에서 섬유들은 니들접합도 되며 또한 화학적 접합법에 의해서도 접합된다. 이 화학적 접합은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우레탄 수지의 수성유제일 수 있는 수지들을 섬유에 분무함으로써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부직물질은 20cN/cm2의 정압(평균인의 체중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상당하는)을 받았을 때 최소두께 2mm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충분한 압축강도를 가지고 있다. 이 최소두께가 4mm로 되는 것이 유익하다. 이 최소두께 2mm 또는 4mm는 시트 사용자로부터 나오는 땀을 상기 부직물질이 흡수하고 이 습기를 상기 부직물질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운반하거나 또는 퉁풍에 의하여 습기를 운반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의 주제는 상술한 특징을 가지는 부직물질과 커버천(cover fabric)으로 이루어지는 승객수송용으로 쓰이는 시트용 덮개(covering)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덮개의 또다른 구체예에서 커버천과 부직물질은 당업자에 공지된 기술중 하나에 의해서 함께 접착제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이 접착제에 의한 접합은 예컨대 분산, 유제 또는 접착제 용액, 또는 열가소성 분말, 필름 또는 코팅과 같은 접착수단의 도움을 받아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접착수단은 미립화, 분무, 함침 또는 인압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주제는 상술한 특징을 가지는 부직물질에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 커버천으로 이루어지는 승객수송용으로 쓰이는 시트용 덮개물질이다. 접착제에 의한 접합은 당업자에 공지되고 상술한 바의 기술중 하나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 또는 덮개물질을 갖는 승객수송(도로, 철도 또는 항공으로)을 위해 쓰이는 시트도 그 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또 한 특징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설명동안에 판명될 것이며, 이들 실시예에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된 부직물질은 Dupont de Nemours Company로부터 구입가능한 기준품 “D-291 Quallofil”이라는 혼합물로서 두종류의 섬유들로 이루어졌으며, 이것은 13dtex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공동 4-채널 열접합 섬유의 혼합물이며, 이때 공동부피 백분율은 섬유 총부피의 23% 이상이 된다. 섬유의 길이는 7 내지 8cm이다. 이 섬유는 특별한 가공으로 인해 평활하고 친수성인 표면과 저인화특성을 가진다.
섬유혼합물을 당업자에 공지된 기법에 의해 카딩되고 내핑(napping)한 다음, 이어서 이들 섬유들을 니들접합한 다음 열접합하였다.
그리하여 얻은 물질은 두께 10mm와 겉보기밀도 40kg/cm2를 가졌다.
20cN/cm2정압을 받았을 때 이물질은 8.5mm 두께를 유지할 수 있는 압축강도를 가졌다.
이 부직물질을 표준 DIN 504-101 Part 1에 따라서 “스킨모델”상에서 표준 발포체와 비교하여 시험하였다. 또한, 이 표준은 기준 ISO/TC 38/SC 8H 156하의 드래프트 표준으로서 제안되었다.
시험 매개변수는 다음과 같았다 : 내열성 Rc(m2k/w단위로 측정), 습기운반저항 Ret(m2mbar/w단위로 측정) 및 습기흡수량 Fi(%로 표시)(생성물의 건조중량당 흡수된 물의 중량).
이들 3개의 매개변수를 정적상태하에서, 즉 20cN/cm2의 정하중을 부직물질 또는 발포체에 가하여 측정하였다. 또, 이 3개의 매개변수를 초당 두 번씩 20cN/cm2의 충격을 부직물질 또는 발포체에 가하는 동적상태하에서 측정하였다.
측정된 제4매개변수는 환기율이다 : V(%로 표시됨)
이들 비교시험의 결과를 다음 표에 기재한다.
[정적상태]
[표 1]
[동적상태]
[표 2]
이들 표로부터 부직물질은 발포층보다도 내열성은 약간 더 높으나 습기운송저항은 더 낮고 습기흡수량도 더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환기율은 부직물질이 32%((1.279-0.867)/1.279), 발포층이 23%(1.715-1.318)/1.715)이었으며 이는 진동 및 움직임의 효과가 발포층의 경우보다도 부직물질의 경우에 더 실질적인 습기운송의 증가를 초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부직물질을 다음 3종류의 섬유들로 구성하였다.
1)과 2)의 13dtex의, 공동 4-채널 “열접합”타입 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가 7 내지 8cm인 Dupont de Nemours Company의 기준품“D-291 Quallofil”을 가지는 2종류의 섬유들의 표준혼합물.
3) 길이가 3.5 내지 4.5cm이고 두께가 3.3dtex인 SNIA Company의 “Vivrelle” 섬유타입 950.
이들 3종류의 섬유들을 “D-291 Quallofil” 혼합물 70%와 “Vivrelle” 섬유 30%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섬유 혼합물을 당업자에 공지된 기법에 따라서 카딩하고 래핑하였다.
그후 섬유들을 니들접합하고 열접합하였다.
그리하여 얻은 물질은 두께가 11mm, 겉보기밀도가 35kg/m3이었다.
또한, 그것은 정압 20cN/cm2를 받았을 때 7mm의 두께를 유지할 수 있는 압축강도를 가졌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승객수송시트용 덮개를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의 특징을 가지는 부직물질과 길포드사(Guilford Company)의 커버천 “MILPOINT”으로 구성하였다.
이 부직물질과 커버천을 분무법을 적용하여 공폴리에스테르계의 열가소성 분말에 의하여 서로 접착제에 의해 접합하였다.

Claims (20)

  1. 도로, 철도 또는 항공으로의 승객수송에 쓰이는 직물덮개시트용 하부층으로서 사용되는 부직물질에 있어서, 상기 부직물질이 건조공정에 의해 제조되며 20 내지 100kg/m3의 겉보기밀도와 4 내지 40mm의 두께를 가지며, 니들접합되는 3 내지 40dtex의 두께와 2 내지 12cm의 길이의 합성섬유를 최소 50% 함유하며, 상기 부직물질은 20cN/cm2의 정압에 그에 적용될 때 2mm의 최소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덮개시트용의 하부층으로서 사용되는 부직물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물질이 30 내지 60kg/m3의 겉보기밀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덮개시트용의 하부층으로서 사용되는 부직물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물질이 8 내지 12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덮개시트용의 하부층으로서 사용되는 부직물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섬유가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옥시아미드 섬유 또는 “초흡수성” 타입의 섬유,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덮개시트용의 하부층으로서 사용되는 부직물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의 두께가 6 내지 20dte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덮개시트용의 하부층으로서 사용되는 부직물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의 길이가 5 내지 7.5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덮개시트용의 하부층으로서 사용되는 부직물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가 니들접합도 되고 열접합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덮개시트용의 하부층으로서 사용되는 부직물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가 니들접합도 되고 화학적으로도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덮개시트용의 하부층으로서 사용되는 부직물질.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물질이 20cN/cm2의 정압이 그에 적용될 때 4mm의 최소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덮개시트용의 하부층으로서 사용되는 부직물질.
  10. 승객수송에 쓰이는 시트용 덮개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커버천과, 건조공정에 의해 제조되며 20 내지 100kg/m3의 겉보기밀도와 4 내지 40mm의 두께를 가지며, 니들접합되는 두께 3 내지 40dtex의 두께와 2 내지 12cm의 길이의 합성섬유를 최소 50% 함유하며 20cN/cm2의 정압이 그에 적용될 때 2mm의 최소두께를 가지는 부직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덮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물질이 상기 커버천에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덮개.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부직물질이 30 내지 60kg/m3의 겉보기 밀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덮개.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물질이 8 내지 12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덮개.
  14.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섬유가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옥시아미드 섬유 또는 “초흡수성” 타입의 섬유,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덮개.
  15.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의 두께가 6 내지 20dte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덮개.
  16.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가 길이가 5 내지 7.5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덮개.
  17.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가 니들접합도 되고 열접합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덮개.
  18.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가 니들접합도 되고 화학적으로도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덮개.
  19.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물질이 20cN/cm2의 정압이 그에 적용될 때 4mm의 최소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덮개.
  20. 시트가 제10항 내지 제19항중의 어느 한항에 따른 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철도 또는 항공으로의 승객수소용 시트.
KR1019940700625A 1992-07-07 1992-07-07 승객수송에 쓰이는 직물덮개시트용의 하부층으로서 사용되는 부직물질 KR1002398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BE1992/000029 WO1994001609A1 (en) 1991-01-11 1992-07-07 Nonwoven material used as underlayer for a fabric covering seats intended for passenger transpo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9866B1 true KR100239866B1 (ko) 2000-03-02

Family

ID=3886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0625A KR100239866B1 (ko) 1992-07-07 1992-07-07 승객수송에 쓰이는 직물덮개시트용의 하부층으로서 사용되는 부직물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KR (1) KR100239866B1 (ko)
AU (1) AU656991B2 (ko)
BG (1) BG62010B1 (ko)
BR (1) BR9206467A (ko)
CA (1) CA2117074C (ko)
CZ (1) CZ49494A3 (ko)
PL (2) PL172598B1 (ko)
RO (1) RO110266B1 (ko)
RU (1) RU2090676C1 (ko)
SK (1) SK28094A3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7264A (en) * 1963-10-10 1966-06-21 Du Pont Needle-punched batting of polyester staple fibers
DE2106729C3 (de) * 1971-02-12 1975-08-21 Bayer Ag, 5090 Leverkusen Verwendung von Kombinations-Vliesen für die Herstellung von Schaumstoff-Form körpern
AU3712478A (en) * 1977-06-15 1979-12-20 Dyne Manufacturers Aust Pty Lt Fi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G62010B1 (bg) 1998-12-30
CA2117074C (en) 1998-04-28
RU2090676C1 (ru) 1997-09-20
AU656991B2 (en) 1995-02-23
AU2172992A (en) 1994-01-31
RO110266B1 (ro) 1995-11-30
RU94018701A (ru) 1996-06-20
PL302675A1 (en) 1994-08-22
BG98636A (bg) 1995-09-29
PL171932B1 (pl) 1997-07-31
SK28094A3 (en) 1994-11-09
CA2117074A1 (en) 1994-01-20
CZ49494A3 (en) 1994-05-18
BR9206467A (pt) 1995-10-31
PL172598B1 (pl) 199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2577A (en) Nonwoven material used as underlayer for a fabric covering seats intended for passenger transport
GB2055690A (en) Non-woven fabric for sanitary towels
KR100928172B1 (ko) 고통기성ㆍ내수성 배리어 시트 및 이를 사용한 흡수체 제품
US3900648A (en) Space filling material and method
JPS5939136B2 (ja) 生理用ナプキン
US3301257A (en) Absorbent surgical dressing
CA1306316C (en) Cushion
HU216416B (hu) Összetett, nem szövött anyag, eljárás ennek előállítására, valamint felszívó higiéniai cikk
KR100714557B1 (ko) 흡수성물품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흡수성물품
KR100239866B1 (ko) 승객수송에 쓰이는 직물덮개시트용의 하부층으로서 사용되는 부직물질
US4672701A (en) Polypropylene fiber baffle for waterbed mattress
US7232776B2 (en) Surface material for an automobile internal trim panel and automobile internal trim panel
IL102311A (en) Nonwoven material used as underlayer for a fabric covering passenger seats
JPH0445871Y2 (ko)
CN1082638A (zh) 用作客运旅客座位覆盖织物的底基层的无纺材料
JP3516372B2 (ja) フェルト吸音材料
JPS6010489Y2 (ja) 化粧パフ
JPS6341998Y2 (ko)
JP2000289132A (ja) 不織布シート
JPH0649349B2 (ja) シートクツシヨン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使用するシートクツシヨン
CS259965B1 (cs) Kombinovaná čalounění sedadel a opěradel určená pro dopravní prostředky
CS259964B1 (cs) Kombinovaná čalounění sedadel a opěradel určené pro dopravní prostředky
JPH1176649A (ja) 中入れ材
JPH0664579U (ja) シュラフ構成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