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9486B1 - 헤드폰 스테레오의 데크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헤드폰 스테레오의 데크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486B1
KR100239486B1 KR1019970045943A KR19970045943A KR100239486B1 KR 100239486 B1 KR100239486 B1 KR 100239486B1 KR 1019970045943 A KR1019970045943 A KR 1019970045943A KR 19970045943 A KR19970045943 A KR 19970045943A KR 100239486 B1 KR100239486 B1 KR 100239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ch arm
assembly
main chassis
torsion spr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5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4671A (ko
Inventor
이택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45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9486B1/ko
Publication of KR19990024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 G11B15/29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through pinch-rollers or tape ro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3Mounting arrangements of constructional parts onto a chassis
    • G11B33/124Mounting arrangements of constructional parts onto a chassis of the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e.g. disk drive, onto a chassi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Supporting Of Heads In Record-Carri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폰 스테레오의 데크 메커니즘을 구성하는 회동플레이트 및 핀치암 어셈블리의 조립 우선 순위를 없애 조립공정의 유연성을 확보하는 한편, 핀치암 복원용 토션스프링 조립시의 편이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메인섀시(1)에 장착된 모터의 구동시 회전하는 캡스턴(capstan) 축(3)에 압착되어 견인되는 테이프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시키거나, 상기 테이프에 정보를 기록하도록 된 헤드폰 스테레오의 데크 메커니즘에 있어서; 상기 메인섀시(1)에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시 좌·우로 직선운동하는 절환플레이트(5)에 회동플레이트(6)의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규제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섀시 상단의 벤딩부(1a) 양측에는 회동플레이트(6)를 메인섀시(1) 상부에서 하부로 조립할 때 회동플레이트(6)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하는 도피홈부(8)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섀시(1) 상단의 도피홈부(8) 외측으로는 핀치암(9)의 회동축부(9a)가 조립되는 힌지축(10)에 조립된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의 일단(11a)이 가조립시 위치하는 초기조립홈(12)이 형성되며, 상기 초기조립홈(12) 외측으로는 가조립 완료후 상기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의 일단(11a)을 초기조립홈(12)으로부터 해제시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핀치암(9)이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의 복원력에 의해 캡스턴 축(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최종조립홈(13)이 형성되는 헤드폰 스테레오의 데크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헤드폰 스테레오의 데크 메커니즘
본 발명은 헤드폰 스테레오의 데크 메커니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커니즘의 회동플레이트 및 핀치암 어셈블리 조립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헤드폰 스테레오의 데크 메커니즘에 구비된 핀치암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핀치암 어셈블리는 슬리이브(16) 외주면에 핀치롤러(pinch roller)(17)를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핀치롤러(17)와 슬리이브(16)와의 조립체를 핀치암(9) 하부의 개방부를 통해 밀어 넣어 상기 슬리이브(16)의 홀과 핀치암(9)에 형성된 홀을 일치시킨 다음, 핀치암 샤프트(18)를 경압입하므로써 완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핀치롤러(17)는 핀치암 샤프트(18)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핀치암 어셈블리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스턴(capstan) 축(3)에 압착되어 테이프를 견인하도록 메인섀시(Maim chassis)(1)의 힌지축(10)에 핀치암(9)의 회동축부(9a)가 조립된다.
이 때, 핀치암(9)의 회동축부(9a) 일측에는 핀치암 구동용 토션스프링(19)이 설치되는데, 상기 핀치암 구동용 토션스프링(19)의 일단부(19a)는 초기에 핀치암(9) 둔턱부(9b) 상면의 가이드홈(9d)에 걸리게 되고, 타단부(또는, 구동단부)(19b)는 둔턱부(9b) 하부면의 가이드 요입홈(9e)에 걸려 조립된다.
한편, 상기 메인섀시(1)의 핀치암 어셈블리 설치면 반대편에 설치되어, 모터 구동시 연동하여 회동하는 회동플레이트(6)의 일단(11a)에는 상기 메인섀시(1)의 도피홈부(8)를 통해 핀치암 구동용 토션스프링(19)의 구동단부(19b)를 가압하는 가압턱부(6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회동플레이트(6)의 회동시, 상기 가압턱부(6a)가 핀치암(9)의 둔턱부(9b)에 형성된 가이드홈(9d)에 걸쳐진 핀치암 구동용 토션스프링(19)의 구동단부(19b)를 가압할 경우, 상기 핀치암 구동용 토션스프링(19)의 토션에 의해 핀치롤러(17)가 캡스턴 축(3)에 일정크기의 압력으로 압착되며, 이에 따라 테이프의 견인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핀치롤러(17)가 캡스턴 축(3)에 압착되지 않은 때에는 핀치암 어셈블리는 캡스턴 축(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여야 한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축(10)을 회동기준으로 하는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을 두어, 그 일단(11a)은 메인섀시(1)에 형성된 규제턱(20)에 걸리게 하고, 타단(11b)은 상기 핀치암(9) 둔턱부(9b) 하부면 선단에 형성된 요홈(9c)에 걸리게 하므로써,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의 복원력에 의해 핀치암(9)이 캡스턴 축(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한다.
이 때, 핀치암(9)의 회동범위는 회동플레이트(6)의 가압턱부(6a) 저면에 핀치암 구동용 토션스프링(19)의 구동단부(19b)가 걸리므로써 제한된다.
한편, 핀치암(9)의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가압턱부(6a)를 가지는 회동플레이트(6)의 회동범위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섀시(1) 상단에 절곡형성된 벤딩부(1a)에 의해 규제된다.
즉, 핀치암(9)은 핀치암 구동용 토션스프링(19)의 구동단부(19b)가 회동플레이트(6)의 가압턱부(6a)에 걸려 회동범위가 제한되고, 회동플레이트(6)는 벤딩부(1a)에 걸려 회동범위가 제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에는 메인섀시(1)의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해, 메인섀시(1)의 힌지축(10)에 핀치암 어셈블리 및 회동플레이트(6)를 조립할 경우, 일정한 우선 순위가 있어 이를 따라 조립하여야만 하였다.
즉, 메인섀시(1)의 힌지축(10)에 핀치암 어셈블리를 조립하기에 앞서 회동플레이트(6)를 메인섀시(1)의 핀치암 어셈블리 조립면 반대편 면상에 우선적으로 조립하여야만 하였다.
이는, 만약, 핀치암 어셈블리가 회동플레이트(6)보다 먼저 조립된 경우, 회동플레이트(6)를 도면상 상·하 방향인 Z축 방향의 상부에서 하부로 밀어 넣어야만 하나, 메인섀시(1)의 벤딩부(1a)로 인해 회동플레이트(6)의 삽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회동플레이트(6)가 조립된 다음으로는 핀치암 어셈블리가 힌지축(10)에 조립되기에 앞서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이 우선적으로 힌지축(10)에 조립되어야 하며, 그 후에야 핀치암 어셈블리가 조립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야기된다.
상기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의 타단부(19b)는 핀치암 어셈블리의 조립시, 핀치암 어셈블리와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아야 하며, 조립후 핀치암 어셈블리의 둔턱부(9b) 하부 선단의 요홈(9c)에 걸려야만 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두가지 방법으로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을 규제하여야 하는데 각각의 경우 모두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먼저, 그 첫째 방법으로서,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의 타단(11b)을 규제하기 위하여 메인섀시(1)에 가상의 걸림턱(21)을 형성한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은,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11a)이 메인섀시(1)의 걸림턱에 걸리고, 타단(11b)이 가상의 걸림턱(21) 위치에 걸려 움직이지 못하도록 되어야 한다.
이는 핀치암 어셈블리를 힌지축(10)상에 조립후 가상의 걸림턱(21)에 걸린 핀치암 복원용 토션스프링의 타단(11b)을 풀어줌에 따라 상기 타단(11b)이 핀치암(9)의 둔턱부(9b) 하부면 선단에 형성된 요홈(9c)에 자동적으로 걸리도록 해주기 위한 것으로서, 조립되는 핀치암 어셈블리 보다 핀치암 복원용 토션스프링의 타단(11b)이 하부에 위치해 있어야만 상기한 작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가상의 걸림턱(21)은 도 5a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안착범위 내에 위치하므로 인해 실제로 걸림턱이 형성되었다고 가정할 경우, 카세트 테입에 대하여 간섭을 일으키므로써, 카세트 테입의 안착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만약,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의 타단(11b)을 규제하는 걸림턱을 형성해주더라도 핀치암 어셈블리 조립후 다시 제거해야만 하므로 공정이 번거로와진다.
즉, 카세트 테입의 안착을 위해서는 걸림턱의 제거가 필수적이며, 카셋트 도어를 열 때 걸림턱이 전면에 바로 노출되어 외관을 해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걸림턱은 제거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의 타단(11b)이 가상의 걸림턱(21)에 걸려 가조립된 상태에서 걸림턱으로부터 해제시켜 핀치암(9)의 둔턱부(9b) 하부면 선단에 형성된 요홈(9c)에 안착되도록 해야 하는데, 요홈(9c)에 안착될 때 까지의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 타단(11b)의 스트로크가 커서 요홈(9c)에의 안착이 실패할 우려가 많이 있었다.
한편, 두 번째 방법으로서,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의 타단(11b)을 사람이 치구를 써서 규제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의 타단(11b)을 사람이 치구를 써서 핸들링하여 상기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의 타단(11b)이 상기한 가상의 걸림턱(21) 위치에 위치하도록 강제하여야 하는데, 이는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의 조립후 이어지는 핀치암 어셈블리의 조립을 불가능하게 하게 된다.
설령,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의 타단(11b)을 일단(11a) 핸들링한 후에는, 사람의 손이 자유로워지는 특수한 치구를 제작하여 상기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하더라도, 이는 특수한 치구의 설계 및 제작, 이에따른 제조비용의 문제가 수반될 수밖에 없다.
이상에서와 같이, 종래에는 설계상의 제약에 의해 회동플레이트(6) 및 핀치암 어셈블리의 조립에 우선 순위가 있어 이를 지키지 않으면 조립자체가 불가능하게 되므로써 조립공정의 유연성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으며, 조립과정에서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의 타단부(19b)를 규제하는데 제약이 있어 조립의 편이성 및 신뢰성이 낮아 자동화 구현이 어려운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헤드폰 스테레오의 데크 메커니즘을 구성하는 회동플레이트 및 핀치암 어셈블리의 조립 우선 순위를 없애 조립의 유연성을 확보하는 한편, 핀치암 복원용 토션스프링 조립시의 편이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헤드폰 스테레오의 데크 메커니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커니즘의 핀치암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핀치암 어셈블리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A방향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핀치암 어셈블리가 메인섀시에 조립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5a 및 도 5b는 종래 핀치암 어셈블리 조립 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로서,
도 5a는 핀치암 어셈블리를 메인섀시에 초기 조립시의 상태도
도 5b는 핀치암 어셈블리의 조립이 완료된 후의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섀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6의 B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핀치암 어셈블리 조립 과정을 보여주는 정면도로서,
도 8a는 핀치암 어셈블리가 힌지축에 초기 조립된 상태도
도 8b는 핀치암 어셈블리를 일정각도 회동시킨 상태도
도 8c는 핀치암 어셈블리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도
도 9는 회동플레이트를 나중에 조립해도 됨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메인섀시 1a:벤딩부
3:캡스턴 축 4:이동플레이트
5:절환플레이트 6:회동플레이트
6a:가압턱부 7:규제핀
8:도피홈부 9:핀치암
9a:회동축부 9b:둔턱부
9c:요홈 9d:가이드홈
9e:가이드 요입홈 10:힌지축
10a:내측홈 11: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
11a: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의 일단
11b: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의 타단
12:초기조립홈 13:최종조립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메인섀시에 장착된 모터의 구동시 회전하는 캡스턴 축에 압착되어 견인되는 테이프에 기록된 정보를 이동플레이트에 장착된 헤드가 읽어들여 재생시키거나, 상기 테이프에 정보를 기록하도록 된 헤드폰 스테레오의 데크 메커니즘에 있어서; 메인섀시에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시 좌·우로 직선운동하는 절환플레이트상에 회동플레이트의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규제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섀시 상단의 벤딩부 양측에는 회동플레이트를 메인섀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조립할 때 회동플레이트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하는 도피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섀시 상단의 도피홈부 외측으로는 핀치암의 회동축부가 조립되는 힌지축에 조립된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의 일단이 가조립시 위치하는 초기조립홈이 형성되며, 상기 초기조립홈 외측으로는 가조립 완료후 상기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의 일단을 초기조립홈으로부터 해제시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핀치암이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캡스턴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최종조립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스테레오의 데크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섀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B방향에서 본 정면도로서, 본 발명은 메인섀시(Main chassis)(1)에 장착된 모터의 구동시 회전하는 캡스턴 축(3)에 압착되어 견인되는 테이프(도시는 생략함)에 기록된 정보를 이동플레이트(4)에 장착된 헤드(도시는 생략함)가 읽어들여 재생시키거나 상기 테이프에 정보를 기록하는 헤드폰 스테레오의 데크 메커니즘에 있어서, 상기 메인섀시(1)에 모터의 구동시 좌·우로 직선운동하는 절환플레이트(5)가 설치되고, 상기 절환플레이트(5)상에는 회동플레이트(6)의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규제수단이 구비된다.
이 때, 상기 규제수단으로서는 상기 절환플레이트(5) 상에 규제핀(7)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메인섀시(1) 상단의 벤딩부(1a) 양측에는 회동플레이트(6)를 메인섀시(1)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조립할 때 회동플레이트(6)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하는 도피홈부(8)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섀시(1) 상단의 도피홈부(8) 외측으로는 핀치암(9)의 회동축부(9a)가 조립되는 힌지축(10)에 조립된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의 일단(11a)이 가조립시 위치하는 초기조립홈(12)이 형성되며, 상기 초기조립홈(12) 외측으로는 가조립 완료후 상기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의 일단(11a)을 초기조립홈(12)으로부터 해제시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핀치암(9)이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의 복원력에 의해 캡스턴 축(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최종조립홈(1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초기조립홈(12)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섀시(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폭(W)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초기조립홈(12)의 폭에 의해 가조립된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에 대한 유격각(θ)이 부여된다.
한편, 구동용 캠(도시는 생략함)에 형성된 캠홈의 프로파일(profile)과 메인섀시(1)에 조립되어 상·하방향(이하, "Z 방향" 이라고 규정한다)으로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4)에 형성된 안내핀(14), 메인섀시(1)에 형성된 스프링 립턱부(15)에 의해 상기 이동플레이트(4)와 회동플레이트(6)의 유동범위가 한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메인섀시(1)의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해, 메인섀시(1)의 힌지축(10)에 핀치암 어셈블리 및 회동플레이트(6)를 조립할 경우, 일정한 우선 순위가 없이 조립이 가능하다.
즉, 종래와 같이 메인섀시(1)의 힌지축(10)에 핀치암 어셈블리를 조립하기에 앞서 회동플레이트(6)를 메인섀시(1)의 핀치암 어셈블리 조립면 반대편 면상에 우선적으로 조립하여야 할 필요가 없어, 조립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이는, 핀치암 어셈블리가 회동플레이트(6)보다 먼저 조립되어 회동플레이트(6)를 나중에 조립할 경우, 메인섀시(1)의 벤딩부(1a)에 도피홈부(8)가 형성되어 있어 회동플레이트(6)와 벤딩부(1a)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인해, 회동플레이트(6)를 도면상 상·하 방향인 Z축 방향으로 삽입하여 조립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헤드폰 스테레오의 데크 메커니즘에서 회동플레이트(6)와 핀치암(9) 어셈블리간의 조립에 있어서 우선 순위가 없어진다.
한편,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핀치암 어셈블리 조립 과정을 보여주는 정면도로서, 도 8a는 핀치암 어셈블리가 힌지축(10)에 초기 조립된 상태도이고, 도 8b는 핀치암 어셈블리를 아래쪽으로 일정 각도 회동시킨 상태도이며, 도 8c는 핀치암 어셈블리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도이다.
핀치암 어셈블리를 힌지축(10)에 조립시에는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을 힌지축(10)의 내측홈(10a)에 먼저 조립해야 한다.
이 때,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은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11a)이 메인섀시(1)의 초기조립홈(12) 내에 위치하게 한 자유상태로 놓아준다.
이는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의 초기 조립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된 상태에서 핀치암(9)의 회동축부(9a)를 힌지축(10)에 삽입하여 조립한다.
이 때, 상기 초기조립홈(12)은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섀시(1)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폭(W)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초기조립홈(12)의 폭에 의해 가조립된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에 대한 유격각(θ)이 부여된다.
한편, 핀치암 어셈블리의 조립을 위해서는 상기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의 타단(11b)이 도 7a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하여야 하는데, 이는 삽입되는 핀치암(9)의 둔턱부(9b) 하부면 선단과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의 타단(11b)과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8a와 같이 힌지축(10)에 핀치암 어셈블리가 조립된 후에는 핀치암(9) 어셈블리를 눌러 일정각도 만큼 회동시키므로써,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의 타단(11b)이 핀치암(9)의 둔턱부(9b) 하부면 선단에 형성된 요홈(9c)내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 후, 상기한 상태에서 초기조립홈(12)에 위치한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의 일단(11a)을 클램핑하여 상기 초기조립홈(12) 외측에 형성된 최종조립홈(13)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은 핀치암 어셈블리를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스턴 축(3)으로부터 멀어지는 상부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는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의 타단(11b)이 상기 핀치암(9)의 둔턱부(9b) 하부의 요홈(9c)에 위치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한편, 회동플레이트(6)가 핀치암 어셈블리에 앞서 조립된 경우에는 상기 핀치암 어셈블리의 핀치암 구동용 토션스프링(19) 일단(11a)이 회동플레이트(6)의 가압턱부(6a)에 걸려 핀치암(9)의 회동범위가 규제되며, 핀치암 어셈블리가 먼저 조립되는 경우에는 핀치암(9) 상단부가 메인섀시(1)의 벤딩부(1a)에 걸리게 되어 핀치암 어셈블리의 회동범위가 규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핀치암(9)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 및 핀치암 어셈블리의 조립을 위해 필요한 가상의 걸림턱(21)으로 인한 설계상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의 타단(11b)을 규제하기 위해 치구가 필요하거나, 가상의 걸림턱(21) 위치에 실제로 걸림턱을 형성하여, 핀치암 어셈블리를 조립후 다시 제거해야만 하므로 공정이 복잡하고 그 조립성이 매우 나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초기조립홈(12)에 의해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의 타단부(19b)에 ㄷ나 관리가 용이해지므로써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과 핀치암 어셈블리와의 조립 또한 매우 용이하게 수행된다.
한편, 도 9는 회동플레이트(6)를 나중에 조립해도 됨을 보인 상태도로서, 도 3과 도 6을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메인섀시(1)의 벤딩부(1a) 형성방향이 종래와는 반대방향으로 되어 있어,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과 핀치암 어셈블리를 조립한 다음 회동플레이트(6)를 Z축 방향으로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과 핀치암 어셈블리의 조립상의 우선 순위를 없앨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설계상의 제약에 의해 회동플레이트(6) 및 핀치암 어셈블리의 조립에 우선 순위가 있어 이를 지키지 않으면 조립자체가 불가능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조립공정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과정에서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11)의 타단부(19b)를 규제하는데 따른 여러 가지 제약이 있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조립의 편이성 및 신뢰성을 높이고 조립공정의 자동화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 많은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메인섀시에 장착된 모터의 구동시 회전하는 캡스턴 축에 압착되어 견인되는 테이프에 기록된 정보를 이동플레이트에 장착된 헤드가 읽어들여 재생시키거나, 상기 테이프에 정보를 기록하도록 된 헤드폰 스테레오의 데크 메커니즘에 있어서;
    상기 메인섀시에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시 좌·우로 직선운동하는 절환플레이트상에 회동플레이트의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규제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섀시 상단의 벤딩부 양측에는 회동플레이트를 메인섀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조립할 때 회동플레이트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하는 도피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섀시 상단의 도피홈부 외측으로는 핀치암의 회동축부가 조립되는 힌지축에 조립된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의 일단이 가조립시 위치하는 초기조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초기조립홈 외측으로는 가조립 완료후 상기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의 일단을 초기조립홈으로부터 해제시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핀치암이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캡스턴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최종조립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스테레오의 데크 메커니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수단으로서는 상기 절환플레이트 상에 규제핀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스테레오의 데크 메커니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조립홈이 메인섀시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폭(W)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초기조립홈의 폭에 의해 가조립된 핀치암 복귀용 토션스프링에 대해 일정한 유격각(θ)이 부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스테레오의 데크 메커니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섀시의 벤딩부가 핀치암의 힌지축 선단 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스테레오의 데크 메커니즘.
KR1019970045943A 1997-09-05 1997-09-05 헤드폰 스테레오의 데크 메커니즘 KR100239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943A KR100239486B1 (ko) 1997-09-05 1997-09-05 헤드폰 스테레오의 데크 메커니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943A KR100239486B1 (ko) 1997-09-05 1997-09-05 헤드폰 스테레오의 데크 메커니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671A KR19990024671A (ko) 1999-04-06
KR100239486B1 true KR100239486B1 (ko) 2000-01-15

Family

ID=19520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5943A KR100239486B1 (ko) 1997-09-05 1997-09-05 헤드폰 스테레오의 데크 메커니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94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027B1 (ko) * 2002-12-02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조립체와 그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671A (ko)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9486B1 (ko) 헤드폰 스테레오의 데크 메커니즘
US5540542A (en) HDA headload carriage tooling
JPH0632183B2 (ja) 磁気デイスクカ−トリツジの組立装置
JP2528726B2 (ja) 縦型テ―プカセット装着脱装置
JP3643395B2 (ja) カメラ用シャッタ装置
KR100405759B1 (ko) 자동차 도어의 힌지 마운팅부의 규제 전용 지그
US5583714A (en) Tape loading mechanism with reduced height
JPH083651Y2 (ja) 扉取り付け用ヒンジ
EP0737971B1 (en) Loading mechanism of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mechanism
US6262382B1 (en) Extended keyhole slot
JP3055110U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ピンチローラ支持機構
JP2002254262A (ja) ねじりコイルばねの組込装置及び方法
JP2892702B2 (ja) シャッタ開閉機構
JP3168532B2 (ja) 引き戸開閉用ダンパー
KR200425344Y1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의 fpc/ffc고정구조
JPH0712286Y2 (ja) 蓋体取付装置
JPH026560Y2 (ko)
JP2522278Y2 (ja) 窓ステー
KR100215413B1 (ko) 브이씨알의 핀치로울러 구동장치
JP3771384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テープ引出し部材の係止構造
JPH0743783Y2 (ja) カセット式テープレコーダ
JPH0536691U (ja) 防塵ドア構造
JP2563835Y2 (ja) テープガイド機構
KR940006552B1 (ko) 자기기록재생장치의 핀치로울러 압착장치
KR940003503Y1 (ko) 캠코더의 테이프 카세트 안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