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561B1 - 램프 소켓 - Google Patents

램프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561B1
KR100238561B1 KR1019970038132A KR19970038132A KR100238561B1 KR 100238561 B1 KR100238561 B1 KR 100238561B1 KR 1019970038132 A KR1019970038132 A KR 1019970038132A KR 19970038132 A KR19970038132 A KR 19970038132A KR 100238561 B1 KR100238561 B1 KR 100238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socket
lamp
mounting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8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8565A (ko
Inventor
겐사쿠 사토
데츠야 다카하시
고이치 시로즈
Original Assignee
사까이 히데끼
히로세덴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까이 히데끼, 히로세덴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까이 히데끼
Publication of KR19980018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46Two-pole devices for bayonet type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965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절연 봉합 부재의 고정을 확실하게 한 것으로, 연면을 없애 새로운 램프 부착시의 절연 성능의 유지와 내압 성능의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램프 소켓을 제공한다. 스톱퍼(70)는 절연 봉합 부재(60)의 헤드부(66)를 누르는 봉합 누름부(71)를 갖춘 구성으로 하고, 절연 봉합 부재(60)는 그 봉합 본체(61)의 내주면을 한 쪽의 단자 장착부(9)에 있는 통형부(6)의 외주면에, 봉합 본체(61)의 상기 헤드부(66)의 접촉면부(67)에 통형부(6)의 단면을 각각 접촉시켜, 절연 봉합 장착부(7)에 장착하여, 스톱퍼(70)의 봉합 누름부(71)로 절연 봉합 부재(69)의 헤드부(66)를 눌러, 절연 봉합 부재(60)의 헤드부(66)를 통형부(6)의 단면과 스톱퍼(70)의 봉합 누름 부(71)로 협지하였다.

Description

램프 소켓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라이트등의 램프를 장착하는 램프 소켓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자동차 헤드라이트등의 램프중에는 낮의 빛과 같은 정도의 밝기를 가진 램프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램프는 순간에 고전압(예컨대, 30 KV)으로 승압하기 때문에, 도 15 에 도시한 바와 같은 램프 소켓(90)에 있어서, 램프 플러그(95)측의 외부 단자(91)가 끼워맞춰지는 소켓측 끼워맞춤부(92)의 통형부(筒狀部)(96)의 둘레부에 탄성을 가지는 절연 봉합 부재(93)를 장착하고 있어, 이 절연 봉합 부재(93)의 외측 원추면에 램프 플러그(95)의 끼워맞춤부(97)에 있는 내측 원추면이 눌려져서(押壓) 절연 봉합 부재(93)가 탄성적으로 압축함으로써 끼워맞춤부와 일체로 되어, 공간이 생기는 일이 없고 또한 연면(沿面)도 없어진다. 따라서, 램프 플러그(95)측의 외부 단자(91)와 소켓측 끼워맞춤부(92)내 중심 단자(94) 사이의 절연 성능 및 내압(耐壓) 성능을 높여 고전압에 대처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의 종래예에 있어서, 절연 봉합 부재(93)는 소켓(96)측의 끼워맞춤부(92)에 있는 통형부(96)의 둘레부에 끼워 맞추어져 있을 뿐이기 때문에, 단자끼리를 접촉시키도록 램프 플러그(95)를 소켓측 끼워맞춤부(92)에 끼워 맞춘 상태로부터, 램프 플러그(95)를 소켓측 끼워맞춤부(92)로부터 뽑으면, 상기 끼워맞춤부(97)의 내측 원추면에 절연 봉합 부재(93)가 확실히 고착하여, 이 절연 봉합 부재(93)가 소켓측 끼워맞춤부(92)의 통형부(96)로부터 빠지게 된다. 이어서, 절연 봉합 부재(93)가 빠져 있는 것을 알지 못하고, 새로운 램프 플러그(95)를 램프 소켓(90)에 장착하였을 때는 절연 봉합 부재(93)가 없으므로 그 부분이 공간이 되어, 외부 단자(91)와 중심 단자(94)의 사이는 연면이 생기게 됨으로써, 절연 성능 혹은 내압 성능을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다른 문제점으로는, 상기 램프 플러그(95)의 끼워맞춤부(97)의 내측 원추면과 램프 소켓(90)의 통형부(96)의 외측 원추면의 갭이 비교적 작아지도록 내장된 경우, 탄성을 가지는 절연 봉합 부재(93)는 누르는 힘이 크고 파괴적이어서, 절연 성능 혹은 내압 성능이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램프 플러그(95)의 끼워맞춤부(97)의 내측 원추면과 램프 소켓(90)의 통형부(96)에 있는 외측 원추면의 갭이 비교적 커지도록 내장된 경우, 절연봉합 부재는 누르는 힘이 작고, 물리적인 틈이 생기고 또한 연면이 생겨 내압 성능이 떨어져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램프 플러그를 램프 소켓으로부터 빼내었을 때에도, 절연 봉합 부재를 확실히 고정하여, 새로운 램프의 부착시의 절연 성능 및 내압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램프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램프 소켓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램프 소켓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의 (a)는 도 1 의 K - K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b)는 도 1 의 L - L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의 (a)는 본 발명인 램프 소켓의 소켓 본체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b)는 램프 소켓의 정면도이고, (c)는 램프 소켓의 측면도.
도 5는 도 4 의 (a)의 C - C 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의 (a)는 도 4 의 (a)의 M 부의 확대도이고, (b)는 (a)의 D - D 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의 (a)는 중심 단자의 평면도이고, (b)는 (a)의 F 방향으로부터의 화살 표시도이고, (c)는 동 중심 단자의 다리부의 일부를 생략한 정면도.
도 8의 (a)는 외부 단자의 평면도이고, (b)는 (a)의 G 방향으로 부터의 화살 표시도이고, (c)는 동 외부 단자의 저면도이고, (d)는 (c)의 H-H 선에 따른 단면도.
도 9의 (a)는 절연 봉합 부재의 평면도이고, (b)는 동 절연 봉합 부재의 측면도이고, (c)는 (b)의 I - I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의 (a)는 스톱퍼의 사시도이고, (b)는 스톱퍼의 정면도이고, (c)는 동 스톱퍼의 측면도이고, (d)는 동 스톱퍼의 평면도이고, (e)는 동 스톱퍼의 저면도.
도 11의 (a)는 램프 플러그의 구성 설명도이고, (b)는 램프 플러그의 저면도.
도 12는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의 소켓측 끼워맞춤부로의 끼워맞춤시에 있어서의 절연 봉합 부재의 탄성 변형 상태의 단면도.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램프 소켓의 스톱퍼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b)는 스톱퍼의 정면도이고, (c)는 동 스톱퍼의 측면도이고, (d)는 동 스톱퍼의 평면도이고, (e)는 동 스톱퍼의 저면도.
도 14의 (a)는 동 램프 소켓의 종단면도이고, (b)는 (a)의 J - J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5는 종래의 램프 소켓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통형부
7 : 절연 봉합 장착부
9 : 한쪽 단자 장착부
60 : 절연 봉합 부재
61 : 봉합 본체
66 : 헤드부
67 : 접촉면부
70 : 스톱퍼
71 : 봉합 누름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1항의 발명에 관계되는 램프 소켓은, 소켓 본체의 램프 플러그측의 끼워맞춤부가 끼워 맞추는 소켓측 끼워맞춤부의 중앙부에, 중심 단자가 있는 중심 단자 장착부를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부의 둘레부에 외부 단자가 있는 외부 단자 장착부를 각각 설치한 램프 소켓에 있어서, 중심 단자 장착부의 둘레부에 절연 봉합 장착부를 설치하여, 스톱퍼로 상기 절연 봉합 부재를 상기 절연 봉합 장착부에 유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절연 봉합 부재는 스톱퍼로 절연 봉합 장착부에 유지 고정된다. 이를 위해, 단자끼리 접촉시키도록 램프 플러그측의 끼워맞춤부를 소켓측 끼워맞춤부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램프 플러그측의 끼워맞춤부를 소켓측 끼워맞춤부로부터 뽑더라도, 램프 플러그측의 끼워맞춤부에 절연 봉합 부재가 확실히 고착하여, 이 절연 봉합 부재가 소켓측 끼워맞춤부로부터 빠지는 일은 없고, 항상 새로운 램프를 램프 소켓에 장착하였을 때에 절연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2항의 발명에 관계되는 램프 소켓은 소켓 본체의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가 끼워 맞추는 소켓측 끼워맞춤부의 중앙부에 중심 단자가 있는 중심 단자 장착부를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부의 둘레부에 외부 단자가 있는 외부 단자 장착부를 각각 설치한 램프 소켓에 있어서 중심 단자 장착부의 둘레부에 절연 봉합 장착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중심 단자 장착부에 스톱퍼 장착부를 설치하여 상기 절연 봉합 장착부에 절연 봉합 부재를 장착함과 동시에 상기 스톱퍼 장착부에 스톱퍼를 장착하여 상기 스톱퍼로 절연 봉합 부재를 절연 봉합 장착부에 유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절연 봉합 부재는 스톱퍼 장착부에 장착된 스톱퍼로 절연 봉합 장착부에 유지 고정된다. 이를 위해, 단자끼리를 접촉시키도록 램프 플러그측의 끼워맞춤부를 소켓측 끼워맞춤부에 끼워 맞춘 상태로부터, 램프 플러그측의 끼워맞춤부를 소켓측 끼워맞춤부로부터 뽑더라도, 램프 플러그측의 끼워맞춤부에 절연 봉합 부재가 튼튼히 고착하여, 이 절연 봉합 부재가 소켓측 끼워맞춤부에서 빠지는 일은 없고, 항상, 새로운 램프를 램프 소켓에 장착하였을 때에 절연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3항의 발명에 관계되는 램프 소켓은 청구항 2에 기재한 램프 소켓에 있어서, 상기 절연 봉합 장착부를 중심 단자 장착부에 있는 통형부의 단면으로부터 외주부를 경유하여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부의 저면부에 달하는 부분으로 구성하여, 상기 절연 봉합 부재를 적어도 통형상의 봉합 본체의 앞부에 헤드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헤드부의 내주면과 상기 봉합 본체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단부로부터 이루어지는 접촉면부를 설치 구성하여, 상기 스톱퍼를 적어도 상기 절연 봉합 부재의 상기 헤드부를 누르는 봉합 누름부를 설치 구성하여 상기 헤드부의 상기 접촉면부에 상기 통형부의 단면을 접촉시켜 상기 절연 봉합 부재를 상기 절연 봉합 장착부에 장칙하여, 상기 스톱퍼의 상기 봉합 누름부와 상기 통형부의 단면으로 상기 절연 봉합 부재의 상기 헤드부를 협지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절연 봉합 부재의 헤드부의 접촉면부에 통형부의 단면을 접촉시켜, 스톱퍼의 봉합 누름부에서 절연 봉합 부재의 헤드부를 눌러, 절연 봉합 부재의 헤드부를 통형부의 단면과 스톱퍼의 봉합 누름부로 협지함으로서, 절연 봉합 부재의 절연 봉합 장착부로의 장착이 확실한 것으로 된다.
이를 위해, 단자끼리를 접촉시키도록, 램프 플러그측의 끼워맞춤부를 소켓측 끼워맞춤부에 끼워 맞춘 상태로부터, 램프 플러그측의 끼워맞춤부를 소켓측 끼워맞춤부로부터 뽑더라도, 램프 플러그측의 끼워맞춤부에 절연 봉합 부재가 튼튼히 고착하여, 이 절연 봉합 부재가 소켓측 끼워맞춤부에서 빠지는 일은 없고, 항상 새로운 램프를 램프 소켓에 장착하였을 때에 절연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4항의 발명에 관계되는 램프 소켓은, 제2항 또는 제3항의 램프 소켓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 장착부를 적어도 상기 스톱퍼를 걸거나 벗기기 가능하게 거는 걸림부를 설치 구성하여 상기 스톱퍼를 적어도 상기 절연 봉합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절연 봉합 부재의 상기 헤드부를 누르는 봉합 누름부와 상기 봉합 누름부에 연달아 다리부를 구비하여, 상기 다리부에 상기 스톱퍼 장착부의 상기 걸림부에 걸고 벗기기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걸림 턱부를 설치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스톱퍼는 그 다리부가 스톱퍼 장착부에 압입 삽입되어, 강행한 위치에서, 걸림 턱부가 스톱퍼 장착부의 계지부에 걸거나 벗기기 가능하게 걸고, 봉합 누름 부가 절연 봉합 부재를 눌러, 절연 봉합 부재를 유지 고정한다. 이 때문에, 단자끼리를 접촉시키도록, 램프 플러그측의 끼워맞춤부를 소켓측 끼워맞춤부에 끼워 맞춘 상태로부터, 램프 플러그측의 끼워맞춤부를 소켓측 끼워맞춤부로부터 뽑더라도, 램프 플러그측의 끼워맞춤부에 절연 봉합 부재가 확실히 고착하여, 이 절연 봉합 부재가 소켓측 끼워맞춤부에서 빠지는 일은 없고, 항상, 새로운 램프를 램프 소켓에 장착하였을 때에 절연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5항의 발명에 관계되는 램프 소켓은 제4항의 램프 소켓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의 상기 다리부가, 그 앞측에서 연달아 걸침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한 제4항의 발명의 작용과 같은 작용을 얻는 뿐만 아니라, 상기 스톱퍼의 다리부는 그 앞측에서 연달아 걸침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스톱퍼의 다리부가 내측으로 치우치는 일이 없고, 걸림 턱부가 항상 외측을 향해서 밀려 나가게 되어, 이 걸림 턱부의 걸림부로의 걸림을 확실히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6항의 발명에 관계되는 램프 소켓은 제4항의 램프 소켓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 장착부의 상기 통형부의 내주면에, 이 통형부의 축선 방향으로 따르는 한 쌍의 가이드 리브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를 형성하여, 상기 스톱퍼에 상기 걸림 턱부가 상기 스톱퍼 장착부의 상기 걸림부에 걸거나 벗기기 가능하게 건 상태에서, 상기 스톱퍼 장착부의 가이드의 단부에 접촉하는 받침부(캣치부)를 설치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한 제4항의 발명의 작용과 같은 작용을 얻을 뿐만 아니라, 스톱퍼의 다리부의 걸림 턱부가 스톱퍼 장착부의 걸림부에 걸거나 벗기기 가능하게 건 상태에서는 스톱퍼 장착부의 가이드의 단부에 받침부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스톱퍼가 더욱 누르더라도, 이 스톱퍼가 압입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스톱퍼의 봉합 누름부가 절연 봉합 부재의 헤드부를 짓누르는 것 같은 일이 없고, 확실하게 통형부의 단면과 스톱퍼의 봉합 누름부로 헤드부를 협지하게 되어, 절연 봉합 부재의 절연 봉합 장착부로의 장착이 확실한 것으로 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7항의 발명에 관계되는 램프 소켓은, 제3항, 제5항 또는 제6항중 어느 한 항의 램프 소켓에 있어서, 상기 절연 봉합 부재의 상기 봉합 본체를 직통형상으로 하여, 이 봉합 본체에 계속하여 헤드부에 원추면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봉합 본체의 기단부에, 상기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의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부로의 끼워맞춤시에, 상기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의 단면에서 누를 수 있는 날밑부(鍔部)를 설치하였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여, 제8항의 발명에 관계되는 램프 소켓은 제4항의 램프 소켓에 있어서, 상기 절연 봉합 부재의 상기 봉합 본체를 직통형상으로 하여, 이 봉합 본체에 계속하여 헤드부에 원추면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봉합 본체의 기단부에, 상기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의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부로의 끼워맞춤시에, 상기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의 단면에서 누를 수 있는 날밑부(鍔部)를 설치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한 제3항의 발명의 작용과 같은 작용을 얻을 뿐만 아니라, 상기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의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부로의 끼워맞춤시에, 상기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의 단면이 상기 절연 봉합 부재의 날밑부를 누르고 있고, 상기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의 단면에 형성한 원형 오목부의 원추면이, 절연 봉합 부재의 직통형상의 봉합 본체와 이 봉합 본체에 계속되는 원추면부에 접촉하여 누른다. 특히, 이 봉합 본체와 원추면부와의 사이의 이동부를 강하게 짓누르게 되지만, 이 이동부의 두께부를 원추면부에 피하도록 치우치고 있어, 원형 오목부의 원추면은 간격이 없고 절연 봉합 부재에 접촉한다. 이 때문에, 연면의 발생이 없고 내압 성능이 향상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램프 소켓을 도 1 내지 도 12에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램프 소켓의 일부 사시도, 도 2는 동 램프 소켓의 일부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3의 (a)는 도 1의 K-K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의 (b)는 도 1의 L-L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의 (a)은 동 램프 소켓의 소켓 본체의 평면도, 도 4의 (b)는 동 램프 소켓의 정면도, 도 4의 (c)는 동 램프 소켓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a)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의 (a)은 도 4의 (a)의 M 부의 확대도, 도 6의 (b)는 (a)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램프 소켓(A)은 대략적으로 소켓 본체(1)와, 커버(30)와, 소켓 본체(1)의 중심측에 위치하는 중심 단자(40)와, 소켓 본체(1)의 둘레측에 위치하는 외부 단자(50)와, 절연 봉합 부재(60)와, 스톱퍼(70)로 구성된다.
상기 소켓 본체(1)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은 각지고 뒤는 원형인 베이스부(1A)와 이 베이스부(1A)의 외측에 원형의 램프 끼워맞춤부(1B)를 가지고 있고, 이 램프 끼워맞춤부(1B)의 내측에는 끼워맞춤 오목부(2)가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부(1A)에는 중심 단자 도출부(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2)에는 통형부(6)가 중앙에 있는 중심 단자 장착부(9)와, 소켓측 끼워맞춤부(4)와, 램프 결합부(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부(4)는 중심 단자 장착부(9)에 있는 통형부(6)와 끼워맞춤 오목부(2)의 내주면부(2a)와의 사이의 둥근 고리 모양의 부분이고, 상기 통형부(6)의 상단면에서 외주부를 지나서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2)의 저면부(2b)에 달하는 부분이 절연 봉합 장착부(7)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중심 단자 장착부(9)에는 스톱퍼 장착부(8)와 장착 오목부(9A)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소켓측 끼워맞춤부(4)의 둘레부에는 다른쪽(측부)의 단자 장착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톱퍼 장착부(8)에는 통형부(6)의 내주면(6a)에 대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11)가 있으며, 이들 가이드(11)는 통형부(6)의 축선 방향을 따르는 한쌍의 가이드 리브(11a,11a) 사이의 홈이다. 한 쌍의 가이드 리브(11a,11a)는 그 내단부(하단부)에서 연달아 일체로 되어 있고, 이 내단부가 걸림부(12)에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중심 단자 장착부(9)의 장착 오목부(9A)는 상기 통형부(6)의 하부에 형성된 오목부로서, 대향하는 한 쌍의 평탄벽부(9a,9a)를 가지고 있어, 평면에서 보아 거의 사각형상을 이루고 있고, 평탄벽부(9a,9a)에 대하여 직교하는 한 쪽의 측벽에는 한 쌍의 돌출부(13,13)가 형성하고 있어, 돌출부(13,13)와 평탄벽부(9a,9a)와의 사이의 간격이 단자 걸림부(14,14)에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장착 오목부(9A)의 하부에는 한 쪽의 평탄벽부(9a)측에 밀려 상기 단자 도출부(3)로 빠지는 단자 다리용 구멍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부 단자 장착부(10)는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부(4)와 벽부(16)로 막아져 있고, 이 벽부(16)의 윗쪽은 단자 표출부(16A)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외부 단자 장착부(10)는 상기 단자 도출부(3)로 빠지는 단자 다리용 구멍부(17)를 가지고 있다.
상기 램프 걸어 맞춤부(5)는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2)의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걸어 맞춤 구멍부(18)와,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2)의 내주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어 맞춤 구멍부(18)의 단부에 연달아 있는 삽입용 홈(19)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A)의 둘레 벽면에는 걸어 맞춤 돌기(20)가, 소켓 길이 방향의 단면측에 단자 도출부(3)에 연달아 있는 전선 도출부(2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30)는 상기 소켓(1)의 베이스부(1A)에 끼워 맞추는 것으로, 도 1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둘레벽부(31)는 앞은 각지고 뒤는 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이 둘레벽부(31)에는 걸어 맞춤 구멍부(32)가, 소켓 길이 방향의 단면측에 전선 도출부(3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중심 단자(40)는 도 7의 (a)∼(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역자형상의 압입부(41)의 일단부에 마주보는 접촉편(42a)으로 이루어지는 램프 접촉부(42)를, 압입부(41)의 타단부에 단자 다리부(43)를 각각 설치하여, 압입부(41)의 한 쌍의 자유단을 걸림부(44,44)로 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단자 다리부(43)에는 걸어 맞춤구멍(43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부 단자(50)는 도 8의 (a)∼(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부에 접점부(51a)를 가지는 단자부(51)를 3개 연결부(52)로 연달아 또 1개의 단자 다리부(53)를 형성한 것으로, 이 단자 다리부(53)에는 걸어 맞춤 구멍(53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연 봉합 부재(60)는 탄성 부재 예컨대, 우레탄 고무로부터 제작하고 있어, 도 9의 (a)∼(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원통형상의 봉합 본체(61)를 가지고 있고, 이 봉합 본체(61)의 기단부에는 그 외주측에 날밑부(62)를 돌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지지면부(63)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봉합 본체(61)의 앞부는, 그 외주측이 원추면부(64)로 이루어지고 또한 평탄한 단면(65)을 가지는 헤드부(66)로 이루어지고 있어, 이 헤드부(66)의 내경은 봉합 본체(61)의 내경보다 작아져 있어, 헤드부(66)의 내주면(66a)과 봉합 본체(61)의 내주면(61a)과의 사이의 단부가 접촉면부(67)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직원통형상의 봉합 본체(61)와 원추면부(64)의 사이에는 단상의 이동부(6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톱퍼(70)는, 도 10의 (a)∼(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둥근 고리 모양의 봉합 누름부(71)를 가지고 있고, 이 봉합 누름부(71)의 이면측에는 한 쌍의 받침부(72,72)가 형성되어 있어, 이들의 받침부(72,72)의 외면은 원호면(72a)으로, 또한, 내면은 평탄면(72b)으로 각각 하고 있어, 이들의 받침부(72,72)의 하면부(72c)의 중앙에 연달아 다리부(73,73)가 형성되어 있어, 이들의 다리부(73,73)의 외면에는 절제부(74,74)가 형성되어 있어, 이 절제부(74,74)의 형성에 의해 다리부(73,73)의 상부에 가이드부(75,75)가, 하부에 걸림 턱부(76,7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심 단자(40)는 그 압입부(41)를 소켓 본체(1)의 중심 단자 장착부(9)의 장착 오목부(9A)에 압입하여 소켓 본체(1)에 장착하고 있어, 이 중심 단자(40)의 램프 접촉부(42)는 상기 통형부(6)내에 위치하고 있고, 단자 다리부(43)는 단자 다리용 구멍부(15)를 관통하여 상기 단자 도출부(3)로 돌출하고 있어, 압입부(41)의 한 쌍의 걸림부(44,44)가 소켓 본체(1)의 단자 걸림부(14,14)에 걸려 있다.
또한, 외부 단자(50)는 상기 소켓 본체(1)의 측부의 단자 장착부(10)에 압입상태로 장착하고 있어, 이 외부 단자(50)의 접점부(51a)는 상기 단자 표출부(16A)로부터 소켓측 끼워맞춤부(4)내로 표출하고 있다. 또한, 외부 단자(50)의 단자 다리부(53)는 단자 다리용 구멍부(17)를 관통하여 상기 단자 도출부(3)에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통형부(6)의 외주측의 절연 봉합 장착부(7)에는, 상기 절연봉합 부재(60)가 장착하고 있다. 이 경우, 봉합 본체(61)의 지지면부(63)는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2)의 저면부(2b)에 접촉하고 봉합 본체(61)의 내주면(61a)이 통형부(6)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봉합 본체(61)의 앞부의 헤드부(66)의 접촉면부(67)에 통형부(6)의 상단면이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형부(6)의 스톱퍼 장착부(8)에 상기 스톱퍼(70)가 장착하고 있어, 이 스톱퍼(70)가 절연 봉합 부재(60)를 절연 봉합 장착부(7)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스톱퍼(70)는 그 한 쌍의 다리부(73,73)의 가이드부(75,75)가, 스톱퍼 장착부(8)의 한 쌍의 가이드(11,11)에 삽입하여 압입하고, 이들 가이드(11,11)의 상단부가 받침부(72,72)의 하면부(72c)에 접촉하여, 이 상태에서 그 한 쌍의 다리부(73,73)의 걸림 턱부(76,76)가 스톱퍼 장착부(8)의 걸림부(12)에 걸거나 벗기기 가능하게 걸어, 봉합 누름부(71)가 상기 절연 봉합 부재(60)의 헤드부(66)가 평탄한 단면(65)을 위로부터 누르고 있다. 이와 같이, 절연 봉합 부재(60)의 헤드부(66)를 통형부(6)의 단면과 스톱퍼(70)의 봉합 누름부(71)로 협지함으로서, 절연 봉합 부재(60)의 절연 봉합 장착부(7)로의 장착이 확실한 것으로 되고 있다.
상기 소켓 본체(1)의 베이스부(1A)에는, 커버(30)가, 걸어 맞춤 구멍부(32)를 걸어 맞춤 돌기(20)를 걸거나 벗기기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 장착하고 있어, 소켓 본체(1)와 커버(30)와의 각각의 전선 도출부(21,33)는 맞추어져 있어, 이들의 전선 도출부(21,33)로부터 전선(도시하지 않음)이 외부로 도출되게 되어 있다.
램프 플러그 B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 플러그 몸체(80)를 갖추고 있고, 이 램프 플러그 몸체(80)는, 상기 램프 소켓 A의 소켓측 끼워맞춤부(4)에 끼워 맞추는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81)와, 상기 램프 소켓 A의 램프 걸어 맞춤부(5)에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부(82)가 형성되어 있어, 이 걸어 맞춤부(82)에는 걸어 맞춤핀부(8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81)의 단면(81A)에는 원형 오목부(84)가 형성되어 있어, 이 원형 오목부(84)의 둘레부는 원추면(84A)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램프 플러그 몸체(80)의 중심부에는 중심 램프 단자(85)가 장착되어 있고, 또한, 중심 램프 단자(85)는 상기 원형 오목부(84)내로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81)의 둘레부에는 둥근 고리 모양의 콘택트부(8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심 램프 단자(85)의 램프 접속부(도시하지 않음)에는 램프 밸브(89)가 접속하고 있고, 이 램프 밸브(89)의 한 쪽의 접점(89a)은 중심 램프 단자(85)에 도통하고 있고, 램프 밸브(89)의 다른 쪽의 접점(89b)은 콘택트부(88)에 도통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램프 플러그 B는, 그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81)를 상기 램프 소켓 A의 소켓측 끼워맞춤부(4)에 끼워 맞춰, 걸어 맞춤부(82)의 걸어 맞춤핀부(83)를 상기 삽입용홈(19)에 삽입한 후, 램프 B를 회전시켜 걸어 맞춤핀부(83)를 걸어 맞춤 구멍부(18)에 걸어 맞추어 상기 램프 소켓 A에 장착하고 있어, 중심 램프 단자(85)는 중심 단자(40)의 램프 접촉부(42a)에 접촉하여, 상기 끼워맞춤부(81)의 둘레부의 콘택트부(88)는, 외부 단자(50)의 접점부(51 a)에 접촉하고 있다.
이 경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81)의 단면(81A)은, 상기 절연 봉합 부재(60)의 날밑부(62)를 누르고 있고, 원형 오목부(84)의 원추면(84A)이, 절연 봉합 부재(60)의 직원통형상의 봉합 본체(61)와, 이 봉합 본체(61)에 계속되는 헤드부(66)의 원추면부(64)와 접촉하여, 이 봉합 본체(61)와 원추면부(64)와의 사이의 이동부(61A)를 짓눌러, 이 이동부(61A)의 두께부를 원추면부(64)로 치우치게 하여, 원형 오목부(84)의 원추면(84A)은 간격이 없고, 절연 봉합 부재(60)에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연면의 발생이 없고 내압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다.
상기한 것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절연 봉합 부재(60)의 지지면부(63)를 소켓측 끼워맞춤부(4)의 저면부에, 절연 봉합 부재(60)의 내주면(60a)을 통형부(6)의 외주면으로, 절연 봉합 부재(60)의 헤드부(66)의 접촉면부(67)에 통형부(6)의 단면을 각각 접촉시켜, 스톱퍼(70)가, 그 한 쌍의 다리부(73,73)의 가이드부(75,75)를, 스톱퍼 장착부(8)의 한 쌍의 가이드(11,11)에 삽입하여 압입되어, 이들 가이드(11,11)의 상단부에 받침부(72,72)의 하면부(72c)가 접촉하여, 이 상태에서, 그 한 쌍의 다리부(73,73)의 걸림 턱부(76,76)가 스톱퍼 장착부(8)의 걸림부(12)에 걸거나 벗기기 가능하게 걸어, 봉합 누름부(71)가 상기 절연 봉합 부재(60)의 헤드부(66)의 평탄한 단면(65)을 위에서부터 누르고 있다. 이와 같이, 절연 봉합 부재(60)의 헤드부(66)를 통형부(6)의 단면과 스톱퍼(70)의 봉합 누름부(71)로 협지함으로서, 절연 봉합 부재(60)의 절연 봉합 장착부(7)로의 장착이 확실한 것으로 되고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단자끼리를 접촉시키도록,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81)를 소켓측 끼워맞춤부(4)에 끼워 맞춘 상태로부터,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81)를 소켓측 끼워맞춤부(4)로부터 뽑더라도,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81)에 절연 봉합 부재(60)가 확실히 고착하여, 이 절연 봉합 부재(60)가 소켓측 끼워맞춤부(4)로부터 빠지는 일은 없고, 새로운 램프 플러그 B를 램프 소켓 A에 부착하였을 때 이더라도, 항상 절연 성능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스톱퍼(70)의 한 쌍의 다리부(73,73)의 걸림 턱부(76,76)가 스톱퍼 장착부(8)의 걸림부(12)에 걸거나 벗기기 가능하게 건 상태에서는, 스톱퍼 장착부(8)의 한 쌍의 가이드(11,11)의 단부에 받침부(72,72)의 하면부(72c)가 접촉하고 있기때문에, 스톱퍼(70)가 더욱 누러더라도, 이 스톱퍼(70)가 압입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스톱퍼(70)의 봉합 누름부(71)가 절연 봉합 부재(60)의 헤드부(66)를 짓누르는 것 같은 일이 없고, 확실하게 통형부(6)의 단면과 스톱퍼(70)의 봉합 누름부(71)로 헤드부(66)를 협지하게 되어, 절연 봉합 부재(60)의 절연 봉합 장착부(7)로의 장착이 확실한 것으로 하고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램프 소켓을 도 13내지 도 15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계되는 램프 소켓이, 제1 실시예에 관계되는 램프 소켓과 다른 점은 스톱퍼의 구성이다. 그리고, 다른 구성은 상기한 제1 실시예에 관계되는 램프 소켓의 경우와 같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즉, 스톱퍼(70-1)는 도 13의 (a)∼(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둥근 고리 모양의 봉합 누름부(71)를 가지고 있고, 이 봉합 누름부(71)의 이면측에는 한 쌍의 받침부(72,72)가 형성되어 있어, 이들의 받침부(72,72)의 외면은 원호면(72a)으로 또한, 내면은 평탄면(72b)으로 각각 하고 있어, 이들의 받침부(72,72)의 하면부(72c)의 중앙에 연달아 다리부(73,73)가 형성되어 있어, 이들의 다리부(73,73)는, 그 앞측에서 연달아 걸침부(73A)에서 서로 연결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다리부(73,73)의 외면에는 절제부(74,74)가 형성되어 있어, 이 절제부(74,74)의 형성에 의해 다리부(73,73)의 상부에는 가이드부(75,75)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걸림 턱부(76,7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스톱퍼(70-1)는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형부(6)의 스톱퍼 장착부(8)에 장착하고 있어, 이 스톱퍼(70-1)가 절연 봉합 부재(60)를 절연 봉합 장착부(7)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가이드(11,11)의 상단부가 받침부(72,72)의 하면부(72c)에 접촉하여, 이 상태에서 그 한 쌍의 다리부(73,73)의 걸림턱부(76,76)가 스톱퍼 장착부(8)의 걸림부(12)에 걸거나 벗기기 가능하게 걸어, 봉합 누름부(71)가 상기 절연 봉합 부재(60)의 헤드부(66)의 평탄한 단면(65)을 위에서 누르고 있다. 이와 같이, 절연 봉합 부재(60)의 헤드부(66)를 통형부(6)의 단면과 스톱퍼(70-1)의 봉합 누름부(71)로 협지함으로서, 절연 봉합 부재(60)의 절연 봉합 장착부(7)로의 장착이 확실한 것이 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70-1)에는 그 다리부(73,73)의 앞측이 연달아 걸침부(73A)에서 서로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다리부(73,73)가 극단적으로 내측으로 밀려오는 일이 없고, 다리부(73,73)가 파괴되는 일도 없으며 걸림 턱부(76)가 항상 외측을 향해서 밀어내어지게 되어, 이 걸림 턱부(76)의 걸림부(12)로의 걸림을 확실히 할 수 있다.
제1항의 발명에 관계되는 램프 소켓에 의하면, 소켓 본체의 램프 플러그측의 끼워맞춤부가 끼워 맞추는 소켓측 끼워맞춤부의 중앙부에, 중심 단자가 있는 중심 단자 장착부를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부의 둘레부에 외부 단자가 있는 외부 단자 장착부를 각각 설치한 램프 소켓에 있어서, 중심 단자 장착부의 둘레부에 절연 봉합 장착부를 설치하여, 스톱퍼로 상기 절연 봉합 부재를 상기 절연 봉합 장착부에 유지함으로서, 상기 절연 봉합 부재는 스톱퍼로 절연 봉합 장착부에 유지고정된다. 이 때문에, 단자끼리를 접촉시키도록, 램프 플러그측의 끼워맞춤부를 소켓측 끼워맞춤부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램프 플러그측의 끼워맞춤부를 소켓측 끼워맞춤부로부터 뽑더라도, 램프 플러그측의 끼워맞춤부에 절연 봉합 부재가 튼튼히 고착하여, 이 절연 봉합 부재가 소켓측 끼워맞춤부에서 빠지는 일은 없고, 항상, 새로운 램프를 램프 소켓에 부착하였을 때에 절연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항의 발명에 관계되는 램프 소켓에 의하면, 소켓 본체의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가 끼워 맞추는 소켓측 끼워맞춤부의 중앙부에 중심 단자가 있는 중심 단자 장착부를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부의 둘레부에 외부 단자가 있는 외부 단자 장착부를 각각 설치한 램프 소켓에 있어서, 중심 단자 장착부의 둘레부에 절연 봉합 장착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중심 단자 장착부에 스톱퍼 장착부를 설치하여 상기 절연 봉합 장착부에 절연 봉합 부재를 장착함과 동시에 상기 스톱퍼 장착부에 스톱퍼를 장착하여 상기 스톱퍼로 상기 절연 봉합 부재를 상기 절연 봉합 장착부에 유지함으로서, 상기 절연 봉합 부재는 스톱퍼 장착부에 장착된 스톱퍼로 절연 봉합 장착부에 유지 고정된다.
이를 위해, 단자끼리를 접촉시키도록, 램프 플러그측의 끼워맞춤부를 소켓측 끼워맞춤부에 끼워 맞춘 상태로부터, 램프 플러그측의 끼워맞춤부를 소켓측 끼워맞춤부로부터 뽑더라도, 램프 플러그측의 끼워맞춤부에 절연 봉합 부재가 확실히 고착하여, 이 절연 봉합 부재가 소켓측 끼워맞춤부에서 빠지는 일은 없고, 항상, 새로운 램프를 램프 소켓에 장착하였을 때에 절연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3항의 발명에 관계되는 램프 소켓에 의하면, 제2항의 램프 소켓에 있어서, 상기 절연 봉합 장착부를 중심 단자 장착부에 있는 통형부의 단면으로부터 외주부를 거쳐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부의 저면부에 달하는 부분으로 구성하여 상기 절연 봉합 부재를 적어도 통형상의 봉합 본체의 앞부에 헤드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헤드부의 내주면과 상기 봉합 본체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단부로 이루어지는 접촉면부를 설치 구성하여, 상기 스톱퍼를 적어도 상기 절연 봉합 부재의 상기 헤드부를 누르는 봉합 누름부를 설치 구성하여, 상기 헤드부의 상기 접촉면부에 상기 통형부의 단면을 접촉시켜 상기 절연 봉합 부재를 상기 절연 봉합 장착부에 장착하여, 상기 스톱퍼의 상기 봉합 누름부와 상기 통형부의 단면과로 상기 절연 봉합 부재의 상기 헤드부를 협지함으로서, 상기 절연 봉합 부재의 헤드부의 접촉면부에 통형부의 단면을 접촉시켜 스톱퍼의 봉합 누름부로 절연 봉합 부재의 헤드부를 눌러, 절연 봉합 부재의 헤드부를 통형부의 단면과 스톱퍼의 봉합 누름부로 협지함으로서 절연 봉합 부재의 절연 봉합 장착부로의 장착이 확실하게 된다.
이를 위해, 단자끼리를 접촉시키도록, 램프 플러그측의 끼워맞춤부를 소켓측 끼워맞춤부에 끼워 맞춘 상태로부터, 램프 플러그측의 끼워맞춤부를 소켓측 끼워맞춤부로부터 뽑더라도, 램프 플러그측의 끼워맞춤부에 절연 봉합 부재가 확실히 고착하여, 이 절연 봉합 부재가 소켓측 끼워맞춤부로부터 빠지는 일은 없고, 항상, 새로운 램프를 램프 소켓에 장착하였을 때에 절연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4항의 발명에 관계되는 램프 소켓에 의하면, 제2항 또는 제3항의 램프 소켓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 장착부를 적어도 상기 스톱퍼를 걸거나 벗기기 가능하게 거는 걸림부를 설치 구성하여 상기 스톱퍼를 적어도 상기 절연 봉합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절연 봉합 부재의 상기 헤드부를 누르는 봉합 누름부와 상기 봉합 누름부에 연달아 다리부를 구비하여 상기 다리부에 상기 스톱퍼 장착부의 상기 걸림부에 걸거나 벗기기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걸림 턱부를 설치 구성함으로서, 스톱퍼는 그 다리부가 스톱퍼 장착부에 압입 삽입되어 강행한 위치에서 걸림 턱부가 스톱퍼 장착부의 걸림부에 걸거나 벗기기 가능하게 걸어 봉합 누름부가 절연 봉합 부재를 눌러 절연 봉합 부재를 유지 고정한다. 이를 위해 단자끼리를 접촉시키도록 램프 플러그측의 끼워맞춤부를 소켓측 끼워맞춤부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램프 플러그측의 끼워맞춤부를 소켓측 끼워맞춤부로부터 빼내어도 램프 플러그측의 끼워맞춤부에 절연 봉합 부재가 확실히 고착하여 이 절연 봉합 부재가 소켓측 끼워맞춤부로부터 빠지는 일은 없고, 항상, 새로운 램프를 램프 소켓에 부착하였을 때의 절연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5항의 발명에 관계되는 램프 소켓에 의하면, 제4항의 램프 소켓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의 상기 다리부가 그 앞측에서 연달아 걸침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음으로서, 상기한 제3항의 발명의 효과와 같은 효과를 얻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스톱퍼의 다리부는, 그 앞측에서 연달아 걸침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스톱퍼의 다리부가 안쪽으로 치우치는 일이 없고, 걸림 턱부가 항상 바깥쪽을 향해 밀어 내어지게 되어 이 걸림 턱부의 걸림부로의 걸림을 확실히 할 수 있다.
또한, 제6항의 발명에 관계되는 램프 소켓에 의하면, 제4항의 램프 소켓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 장착부의 상기 통형부의 내주면에 이 통형부의 축선 방향으로 따른 한 쌍의 가이드 리브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를 형성하여 상기 스톱퍼에 상기 걸림 턱부가 상기 스톱퍼 장착부의 상기 걸림부에 걸거나 벗기기 가능하게 건 상태에서 상기 스톱퍼 장착부의 가이드의 단부에 접하는 받침부를 설치함으로서, 상기한 제4항의 발명의 효과와 같은 효과를 얻을 뿐만 아니라, 스톱퍼의 다리부의 걸림 턱부가 스톱퍼 장착부의 걸림부에 걸거나 벗기기 가능하게 건 상태에서는, 스톱퍼 장착부의 가이드의 단부에 받침부가 접하고 있으므로 스톱퍼가 더욱 누르더라도 이 스톱퍼가 압입되는 일이 없으므로 스톱퍼의 봉합 누름부가 절연 봉합 부재의 헤드부를 짓누르는 일이 없고 확실히 통형부의 단면과 스톱퍼의 봉합 누름부로 헤드부를 협지하게 되어 절연 봉합 부재의 절연 봉합 장착부로의 장착이 확실한 것이 된다.
또한, 제7항의 발명에 관한 램프 소켓에 의하면 제3항,제5항 또는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봉합 부재의 상기 봉합 본체를 직통형상으로 하여 이 봉합 본체에 계속하여 헤드부에 원추면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봉합 본체의 기단부에 상기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의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부로의 끼워맞춤시에 상기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의 단면에서 누를수 있는 날밑부를 설치함으로서, 상기한 제3항의 발명의 효과와 같은 효과를 얻을 뿐만 아니라 상기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의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부로의 끼워맞춤시에, 상기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의 단면이, 상기 절연 봉합 부재의 날밑부를 누르고 있고, 상기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의 단면에 형성한 원형 오목부의 원추면이, 절연 봉합 부재의 직통형상의 봉합 본체와, 이 봉합 본체에 계속되는 원추면부에 접촉하여 누른다.
또한, 제8항의 발명에 관한 램프 소켓에 의하면, 제4항의 램프 소켓에 있어서, 상기 절연 봉합 부재의 상기 봉합 본체를 직통형상으로 하여 이 봉합 본체에 계속하여 헤드부에 원추면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봉합 본체의 기단부에 상기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의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부로의 끼워맞춤시에 상기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의 단면에서 누를수 있는 날밑부를 설치함으로서, 상기한 제3항의 발명의 효과와 같은 효과를 얻을 뿐만 아니라 상기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의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부로의 끼워맞춤시에, 상기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의 단면이, 상기 절연 봉합 부재의 날밑부를 누르고 있고, 상기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의 단면에 형성한 원형 오목부의 원추면이, 절연 봉합 부재의 직통형상의 봉합 본체와, 이 봉합 본체에 계속되는 원추면부에 접촉하여 누른다.
특히, 이 봉합 본체와 원추면부와의 사이의 이동부를 강하게 짓누르게 되지만, 이 이동부의 두께부를 원추면부에 피하도록 치우치고 있기 때문에,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의 내측 원추면과 램프 소켓의 통형부의 외측 원추면과의 갭이 비교적 작아지도록 장착되는 경우, 절연 봉합 부재의 이동부는 강하게 짓눌려지게 되지만, 상기와 같이 원추면부에 짓눌려진 두께부가 피해서 치우치므로, 이동부가 누르는 힘으로 파괴되는 일이 없고 내압 성능이 저하하는 일이 없다. 게다가, 반복하여 램프 플러그와 램프 소켓을 꽂고 빼더라도, 절연 봉합 부재의 탄성의 저하가 없어진다. 또한,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의 내측 원추면과 램프 소켓의 통형부의 외측 원추면과의 갭이 비교적 커지도록 내장되는 경우, 적어도 절연 봉합 부재의 이동부와 날밑부는 완전히 눌려지기 때문에, 틈은 생기지 않고 내압 성능이 저하하는 일은 없다.

Claims (8)

  1. 소켓 본체의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가 끼워 맞추어지는 소켓측 끼워맞춤부의 중앙부에 중심 단자가 있는 중심 단자 장착부를 설치하고,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부의 둘레부에 외부 단자가 있는 외부 단자 장착부를 설치한 램프 소켓에 있어서,
    상기 중심 단자 장착부의 둘레부에 절연 봉합 장착부를 설치하여, 스톱퍼로 상기 절연 봉합 부재를 상기 절연 봉합 장착부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소켓.
  2. 소켓 본체의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가 끼워 맞추어지는 소켓측 끼워맞춤부의 중앙부에 중심 단자가 있는 중심 단자 장착부를 설치하고,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부의 둘레부에 외부 단자가 있는 외부 단자 장착부를 설치한 램프 소켓에 있어서,
    상기 중심 단자 장착부의 둘레부에 절연 봉합 장착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중심 단자 장착부에 스톱퍼 장착부를 설치하고, 상기 절연 봉합 장착부에 절연 봉합 부재를 장착함과 동시에, 상기 스톱퍼 장착부에 스톱퍼를 장착하여, 상기 스톱퍼로 상기 절연 봉합 부재를 상기 절연 봉합 장착부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소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봉합 장착부는 상기 중심 단자 장착부에 있는 통형부의 단면으로부터 외주부를 거쳐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부의 저면부에 달하는 부분으로 구성하며,
    상기 절연 봉합 부재는 적어도 통형상인 봉합 본체의 앞부에 헤드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헤드부의 내주면과 상기 봉합 본체의 내주면의 사이의 단부로부터 이루어지는 접촉면부를 설치 구성하고,
    상기 스톱퍼는 적어도 상기 절연 봉합 부재의 상기 헤드부를 누르는 봉합 누름부를 설치 구성하며, 상기 헤드부의 상기 접촉면부에 상기 통형부의 단면을 접촉시켜 상기 절연 봉합 부재를 상기 절연 봉합 장착부에 장착하고, 상기 스톱퍼의 상기 봉합 누름부와 상기 통형부의 단면으로 상기 절연 봉합 부재의 헤드부를 협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소켓.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의 장착부는 적어도 상기 스톱퍼를 걸고 벗기기 가능하게 거는 걸림부를 설치 구성하고, 상기 스톱퍼는 적어도 상기 절연 봉합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절연 봉합 부재의 상기 헤드부를 누르는 봉합 누름부와, 상기 봉합 누름부에 연달아 다리부를 구비하여, 상기 다리부에, 상기 스톱퍼 장착부의 상기 걸림부에 걸고 벗기기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걸림 턱부를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소켓.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의 상기 다리부는 그 앞측에서 걸침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소켓.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 장착부에 있는 상기 통형부의 내주면에는 이 통형부의 축선 방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 리브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스톱퍼에는 상기 걸림 턱부가 상기 스톱퍼 장착부의 상기 걸림부에 걸고 벗기기 가능하게 건 상태에서, 상기 스톱퍼 장착부의 가이드의 단부에 접하는 받침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소켓.
  7. 제3항, 제5항 또는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봉합 부재의 상기 봉합 본체는 직통형상으로 구성하고, 이 봉합 본체에 계속하여 헤드부에 원추면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봉합 본체의 기단부에 상기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의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부로의 끼워맞춤시에, 상기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의 단면에서 눌려지는 날밑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소켓.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봉합 부재의 상기 봉합 본체는 직통형상으로 구성하고, 이 봉합 본체에 계속하여 헤드부에 원추면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봉합 본체의 기단부에 상기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의 상기 소켓측 끼워맞춤부로의 끼워맞춤시에, 상기 램프 플러그측 끼워맞춤부의 단면에서 눌려지는 날밑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소켓.
KR1019970038132A 1996-08-12 1997-08-11 램프 소켓 KR100238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8227345A JP3084237B2 (ja) 1996-08-12 1996-08-12 ランプソケット
JP96-227345 1996-08-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565A KR19980018565A (ko) 1998-06-05
KR100238561B1 true KR100238561B1 (ko) 2000-02-01

Family

ID=16859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8132A KR100238561B1 (ko) 1996-08-12 1997-08-11 램프 소켓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42882A (ko)
EP (1) EP0836252B1 (ko)
JP (1) JP3084237B2 (ko)
KR (1) KR100238561B1 (ko)
AT (1) ATE232655T1 (ko)
DE (1) DE6971897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5668B1 (en) * 1996-07-12 2001-12-04 Hirose Electric Co., Ltd. Lamp socket
US6162084A (en) * 1997-03-17 2000-12-19 The Whitaker Corporation Lamp socket
JP2001143839A (ja) * 1999-11-17 2001-05-25 Hirose Electric Co Ltd ランプソケット
JP4128324B2 (ja) 2000-07-31 2008-07-30 三菱電機株式会社 ランプソケット
JP4535579B2 (ja) * 2000-08-04 2010-09-01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放電灯起動装置
WO2002015347A1 (fr) 2000-08-17 2002-02-2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ouille de lampe
DE10063482B4 (de) * 2000-12-06 2007-03-15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Klemme und Baueinheit aus einem elektronischen Gerät und einer in einem ortsfesten Gehäuse angeordneten elektrischen Klemme
US20040023186A1 (en) * 2002-05-16 2004-02-05 Mcspadden John T. Multi-tapered endodontic file
US7025612B1 (en) * 2005-03-18 2006-04-11 Lsi Industries, Inc. Base for a mogul-based lamp
US7380964B2 (en) * 2005-05-20 2008-06-03 Genlyte Thomas Group, Llc Recessed luminaire having a moisture barrier
DE202009005472U1 (de) * 2009-04-15 2009-06-25 Bjb Gmbh & Co.Kg Lampenfassu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2530A (en) * 1956-01-24 dahlhaus etal
US816483A (en) * 1904-02-17 1906-03-27 Peter Leonard Holder for electric incandescent lamps.
FR2302607A1 (fr) * 1975-02-27 1976-09-24 Petersson New Prod Bengt Dispositif de securite pour connecteur electrique
FR2680051B1 (fr) * 1991-08-02 1993-12-03 Valeo Vision Ensemble de connecteur et de lampe a haute tension, notamment pour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JPH07122342A (ja) * 1993-10-26 1995-05-12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ルブソケット
JP2816814B2 (ja) * 1994-09-27 1998-10-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ランプソケット
US5743757A (en) * 1995-10-23 1998-04-28 Chen; Ming-Hsiung Lamp socket with water sealing means
JP3183831B2 (ja) * 1996-07-12 2001-07-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ランプソ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42882A (en) 1998-12-01
EP0836252B1 (en) 2003-02-12
KR19980018565A (ko) 1998-06-05
JP3084237B2 (ja) 2000-09-04
ATE232655T1 (de) 2003-02-15
EP0836252A2 (en) 1998-04-15
JPH1064643A (ja) 1998-03-06
DE69718979T2 (de) 2003-12-04
DE69718979D1 (de) 2003-03-20
EP0836252A3 (en) 1998-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8561B1 (ko) 램프 소켓
US4940422A (en) Low profile lamp socket assembly
US5035643A (en) Axial low profile lamp socket assembly
US5666021A (en) Lamp holder
KR100238560B1 (ko) 램프 소켓
US5381070A (en) Lamp base locking clip
US4958429A (en) Method of making low profile lamp socket assembly
JPH09320714A (ja) 放電灯用ソケット
JP2001155514A (ja) リア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
US4456322A (en) Lamp wattage limiting device
US6290526B1 (en) Lamp socket
JP2005158738A (ja) 自動車用ヘッドライトの相手部品に光源を装着するための固定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H09259997A (ja) ランプ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H056786A (ja) 放電灯用ソケツト
WO2002015347A1 (fr) Douille de lampe
KR101035182B1 (ko) 전구소켓, 그 전구소켓의 와이어 씰 및 접속단자
JPH0378754B2 (ko)
KR200339321Y1 (ko) 열전쌍용 동축 커넥터를 구비한 자성 안전 조립체
JPH1069803A (ja) 車両用灯具
JPH09223410A (ja) 照明器具
KR19990035363A (ko) 램프벌브홀더의 어스선 단락 방지장치
KR200145783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애노우드 캡
KR200217962Y1 (ko) 접촉성을 개선한 표시벌브용 소켓
JP3467357B2 (ja) 無口金電球用ソケットおよび無口金電球装置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照明装置
JPS5821443Y2 (ja) 車輛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