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326B1 -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326B1
KR100238326B1 KR1019970076355A KR19970076355A KR100238326B1 KR 100238326 B1 KR100238326 B1 KR 100238326B1 KR 1019970076355 A KR1019970076355 A KR 1019970076355A KR 19970076355 A KR19970076355 A KR 19970076355A KR 100238326 B1 KR100238326 B1 KR 100238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container
excess
developing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6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6360A (ko
Inventor
유용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6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8326B1/ko
Publication of KR19990056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6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4Preparing, mixing, transport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88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removing liquid develo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 농도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장치는 현상장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현상장치 상부에 위치된 현상액이 출입되는 용기와, 현상장치와 용기 사이에 설치되어 인쇄기가 소정 시간(T) 이상 작동이 멈춘 상태로 유지될 때 현상장치의 상부에 위치된 현상액을 용기로 이송하거나 용기내의 현상액을 현상장치내로 회수하는 현상액수송수단과, 용기에 수용된 현상액에 포함된 과잉이온을 제거하는 과잉이온제거부와, 인쇄기의 작동 멈춤 시간이 소정 시간(T)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현상액수송수단과 과잉이온제거부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장치는 인쇄기의 작동 멈춤 시간이 소정 시간(T) 이상인 경우 작동되어 현상장치내의 상부에 위치된 대부분 과잉이온을 포함한 액상의 캐리어로 이루어진 현상액에 포함된 과잉이온을 제거하므로, 화상 농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화상 농도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습식 전자사진방식인쇄기에서는 감광 벨트 또는 감광 드럼과 같은 감광매체의 영상기록면이 대전되고, 이 영상기록면에 선택적으로 주사되는 광에 의해 전위 레벨이 변화되어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정전 잠상위치에 대전된 현상액이 부착되어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구동롤러(11), 전사백업롤러(12) 및 스티어링롤러(13)에 의해 지지되어 무한 궤도 운동하는 감광벨트(14)와, 화상신호에 따라 상기 감광벨트(14)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레이저 스캔유니트(30)와, 상기 정전잠상 위치에 현상액을 부착시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장치(40)를 포함한다.
칼라 인쇄기의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칼라 예컨대, Y(옐로우), C(시안), M(마젠타) 및 B(블랙) 화상에 해당하는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다수의 레이저 스캔유니트(30) 및 각 칼라별 정전잠상을 현상하도록 각 칼라의 현상액을 수용하는 다수의 현상장치(40)가 설치된다.
상기 감광벨트(14)는 이레이저(15)를 통과하면서 전단계의 정전잠상이 제거되고, 코로나장치(20)에서 소정의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상기 레이저 스캔유니트(30)는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상기 감광벨트(14)의 표면 즉, 영상기록면의 전위를 선택적으로 낮춤으로써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정전잠상 부위와 그 주위의 감광벨트(14) 표면은 소정의 전위차가 발생된다.
상기 현상장치(40)는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벨트(14)의 영상기록면에 소정의 색상을 가진 토너를 함유한 현상액을 부착시켜 정전잠상을 현상한다. 즉, 소정 색상의 토너와 액상의 캐리어를 포함하는 현상액을 상기 감광벨트(14)의 영상기록면쪽으로 공급하면, 상기 현상액은 전위차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된 영역에만 선택적으로 부착된다.
감광벨트(14)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정전잠상 위치에 부착된 현상액 중 액상의 캐리어는 건조롤러(71)에서 흡수되어 제거되고, 감광벨트(14) 상의 정전잠상 위치에는 토너 입자만이 남게된다. 이 토너 입자 즉, 칼라 화상은 상기 전사백업롤러(12)에 대향되게 설치된 전사롤러(73)에 전사되고, 이 전사된 화상은 상기 전사롤러(73)와 가압롤러(77) 사이로 통과되는 용지(80)에 인쇄된다. 그리고, 용지(80)에 인쇄된 화상은 별도의 정착장치(미도시)에 의해 정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채용되는 현상장치(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벨트(14)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 현상장치(40)의 내부에는 상기 감광벨트(14)에 근접되게 현상롤러(41) 및 스퀴즈롤러(43)(4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그 내부에는 소정의 색상을 가진 토너와 액상의 캐리어가 혼합된 현상액(47)이 소정 농도로 유지된다. 상기 현상액(47)은 펌프(48)에 의해 현상액공급관(49)을 통하여 상기 현상롤러(41)쪽으로 펌핑된다. 이때, 상기 토너는 소정 전위로 대전되어 있다. 여기서, 고농도의 현상액이 수용되어 있는 잉크 공급통(미도시)으로부터 고농도의 현상액이 공급되고, 액상의 캐리어가 수용된 캐리어 공급통(미도시)으로부터 액상의 캐리어가 공급되어 상기 현상장치(40) 내부에서 적절한 농도로 혼합된다. 그러므로, 상기 현상액(47)은 대략 일정 농도로 유지된다.
상기 현상롤러(4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벨트(14)와 소정 간격 유지된 채로 상기 감광벨트(14)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현상액공급관(49)을 통해 현상롤러(41)와 감광벨트(14) 사이로 공급되는 현상액(47)을 감광벨트(14)의 정전잠상 영역(A)에 부착시킨다. 이때, 정전잠상 영역(A)은 상기한 바와 같이 그 주위에 비해 전위가 낮으므로, 현상액(47) 특히, 소정 전위를 띤 토너가 선택적으로 상기 정전잠상 영역(A)에 부착된다. 상기 스퀴즈롤러(43)(45)는 상기 정전잠상 위치(A)에 부착된 현상액(47)을 스퀴징하여 감광벨트(14)에 밀착시킨다.
상기 감광벨트(14)의 정전잠상 위치에 부착되고 남은 현상액(47)은 현상장치(40) 내부로 회수되어 재 사용되는 순환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런데, 감광벨트(14)의 정전잠상을 현상하고 회수되어 재 사용되는 순환 과정을 거치면서, 상기 현상액(47) 내에는 이온이 증가된다. 즉, 액상의 캐리어와 토너를 포함한 현상액의 도전율(bulk conductivity)과 토너를 제외한 현상액 즉, 액상의 캐리어의 도전율(free phase conductivity)의 비(%FPC)가 증가된다. 이러한 과잉이온 특히, 양이온은 정전잠상의 현상시에 정점잠상 영역에 부착되고, 이에 따라 정전잠상 영역에 부착되는 토너의 양이 줄게 되어 화상의 농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현상액 내의 과잉이온을 제거하여 화상 농도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현상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의 현상롤러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5는 도 4의 과잉이온제거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클리너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감광매체 30...레이저 스캔유니트
40...현상장치 47,47a,47b...현상액
100...용기 110...현상액수송수단
111,113...제1 및 제2펌프 120...과잉이온제거부
121,123...제1 및 제2전극 125...전원
126,127...제1 및 제2아암 140...클리너
141...샤프트 145...회전플레이트
147...개방부 150...콘트롤러
151...타이머 153...판단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레이저 스캔유니트와, 소정 칼라의 토너와 액상의 캐리어가 혼합된 현상액으로 상기 감광매체의 정전잠상 영역을 현상하는 현상장치를 포함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사용되는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현상장치 상부에 위치된 현상액이 출입되는 용기와; 상기 현상장치와 용기 사이에 설치되어 인쇄기가 소정 시간(T) 이상 작동이 멈춘 상태로 유지될 때 현상장치의 상부에 위치된 현상액을 상기 용기로 이송하거나, 상기 용기내의 현상액을 현상장치내로 회수하는 현상액수송수단과; 상기 용기에 수용된 현상액에 포함된 과잉이온을 제거하는 과잉이온제거부와; 상기 인쇄기의 작동 멈춤 시간이 소정 시간(T)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현상액수송수단과 과잉이온제거부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현상액수송수단은 상기 현상장치와 용기 사이에 설치되어 소정 시간동안 작동이 멈춘 상태로 유지된 인쇄기의 현상장치 상부에 위치된 현상액을 상기 용기로 이송하는 제1펌프와; 상기 제1펌프의 하부에 설치되어 과잉이온이 제거된 용기내의 현상액을 현상장치내로 회수하는 제2펌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인쇄기의 작동 멈춤시에 동작되어 작동 멈춤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에서 카운트된 작동 멈춤 시간이 소정 시간(T)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현상액수송수단과 과잉이온제거부 작동을 제어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과잉이온제거부는 상기 용기에 수용된 현상액 내에 적어도 그 일부가 잠기도록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된 제1 및 제2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전극은 서로 대향되는 제1 및 제2아암의 표면에 평판 도전성 전극을 코팅함으로써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1 및 제2전극의 하단부에 근접되고, 상기 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축으로 상기 제1 및 제2전극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시 그 양단이 상기 제1 및 제2전극에 접촉되며, 상기 제1 및 제2전극의 표면이 상기 현상액에 개방되도록 그 가장자리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일부 제거된 개방부를 가지는 회전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전극의 표면에 묻은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너;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방법은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레이저 스캔유니트와, 소정 칼라의 토너와 액상의 캐리어가 혼합된 현상액으로 상기 감광매체의 정전잠상 영역을 현상하는 현상장치를 포함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작동 오프시에 타이머를 작동하는 단계와; 상기 인쇄기의 작동 시작시에 상기 타이머의 작동시간이 소정시간(T)을 초과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타이머가 소정시간(T)을 초과하여 작동된 경우, 상기 현상장치 상부에 위치된 현상액을 상기 현상장치 일측에 설치된 용기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용기내에 설치된 제1 및 제2전극 사이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용기내에 수용된 현상액에 포함된 과잉이온을 제거하는 단계와; 과잉이온이 제거된 현상액을 상기 현상장치내로 회수하는 단계와; 상기 인쇄기를 워밍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용기내에 수용된 현상액에 포함된 과잉이온을 제거하는 단계와, 과잉이온이 제거된 현상액을 상기 현상장치내로 회수하는 단계 사이에 클리너를 작동시켜 상기 제1 및 제2전극 표면에 묻은 토너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장치는 현상장치(40)의 일측에 마련된 용기(100)와, 상기 현상장치(40)와 용기(100) 사이에 설치된 현상액수송수단(110)과, 상기 용기(100)내의 현상액에 포함된 과잉이온을 제거하는 과잉이온제거부(120)와, 상기 현상액수송수단(110)과 과잉이온제거부(120)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콘트롤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와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기능을 하는 동일 부재를 나타낸다.
상기 용기(100)는 상기 현상액수송수단(110)에 의해 상기 현상장치(40)내의 상부에 위치된 현상액(47a)이 출입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현상액수송수단(110)은 소정 시간(T)동안 작동이 멈춘 상태로 유지된 인쇄기의 현상장치(40) 상부에 위치된 현상액(47a)을 상기 용기(100)로 이송하거나, 과잉이온이 적절히 제거된 상기 용기(100)내의 현상액(47a)을 현상장치(40)내로 회수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현상액수송수단(110)은 상기 현상장치(40)와 용기(100) 사이에 설치된 제1펌프(111)와, 상기 제1펌프(111)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펌프(1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펌프(111)는 인쇄기가 소정 시간(T) 이상 작동이 멈춘 상태로 유지되고 난후 작동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상기 콘트롤러(150)의 출력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현상장치(40) 내의 상부에 위치된 현상액(47a)을 상기 용기(100)로 이송한다. 상기 제2펌프(113)는 상기 용기(100)내로 유입되어 상기 과잉이온제거부(120)에 의해 과잉이온이 제거된 현상액(47a)을 다시 현상장치(40) 내로 회수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 시간(T)은 인쇄기가 작동이 멈춘 상태 즉, 파워 오프 상태이거나 파워세이브(power save) 모드 상태로 된 이후, 현상장치(40) 내의 현상액(47)이 충분히 침전되어 그 하부에는 대부분 토너입자(47b)가 침전되고, 그 상부에는 대부분 과잉이온을 포함한 액상의 캐리어(47a)가 위치되게 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상기 과잉이온제거부(120)는 상기 제1펌프(111)의 작동에 의해 용기(100)에 충전된 대부분 과잉이온을 포함한 액상의 캐리어로 이루어진 현상액(47a)에 포함된 과잉이온을 제거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과잉이온제거부(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0)에 수용된 현상액(47a) 내에 적어도 그 일부가 잠기도록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된 제1 및 제2전극(121)(123)과, 상기 제1 및 제2전극(121)(1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125)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전극(121)(123)은 서로 대향되는 제1 및 제2아암(126)(127)의 표면 즉, 서로 마주하는 표면에 평판 도전성 전극 예컨대, ITO 박막을 코팅함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한쌍의 제1 및 제2전극(121)(123)은 상기 전원(1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원(125)은 상기 콘트롤러(15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전극(121)(123) 사이에 직류 전류를 인가한다.
상기 콘트롤러(150)는 상기 인쇄기의 작동 멈춤시에 동작되어 작동 멈춤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151)와, 상기 타이머(151)에서 카운트된 작동 멈춤 시간이 소정 시간(T)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153)를 포함한다.
상기 타이머(151)는 인쇄기의 작동 멈춤 즉, 파워 오프시나 파워세이브 모드 시작시에 작동되고, 인쇄기의 작동이 시작될 때 멈춘다. 이때, 상기 타이머(151)는 파워 오프시에 내장된 배터리(미도시)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된다.
상기 판단부(153)는 상기 타이머(151)에서 카운트된 작동 멈춤 시간이 소정 시간(T)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현상액수송수단(110)과 과잉이온제거부(12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 판단부(153)는 인쇄기의 작동 멈춤 시간이 소정 시간(T)을 초과한 경우, 상기 제1펌프(111)를 작동시켜 현상장치(40) 상부에 위치된 현상액(47a)이 용기(100)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부(153)는 용기(100)가 적절히 채워져 제1펌프(111)가 멈추면, 제1 및 제2전극(121)(123)에 직류 전류를 인가하여 과잉이온 제거작업을 수행하도록 상기 전원(125)을 작동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는 상기 제1 및 제2전극(121)(123)의 서로 마주하는 표면에 묻은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너(14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리너(140)는 샤프트(141)와, 상기 샤프트(141)를 축으로 설치된 회전플레이트(145)를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141)는 상기 제1 및 제2전극(121)(123)의 하단부 즉, 상기 제1 및 제2아암(126)(127)의 하단부에 근접되게 상기 용기(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샤프트(141)는 그 일단에 설치된 구동원(143) 즉, 구동모터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14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141)를 축으로 상기 제1 및 제2전극(121)(123) 사이에 설치된다. 이 회전플레이트(145)는 회전시에 그 양단(145a)(145b)이 상기 제1 및 제2전극(121)(123)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접촉되어, 이 제1 및 제2전극(121)(123)의 서로 마주하는 표면에 묻은 토너를 제거한다. 이 회전플레이트(145)는 이 회전플레이트(145)의 가장자리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일부 제거된 개방부(147)를 구비하여, 과잉이온 제거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제1 및 제2전극(121)(123)의 표면이 상기 현상액(47a)에 개방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전극(121)(123)에 묻은 토너를 제거하는 동작 전후에 상기 구동원(143)의 구동에 의해 회전플레이트(145)가 회전되어 상기 제1 및 제2전극(121)(123) 사이에 상기 개방부(147)가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과잉이온 제거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구동원(143)이 작동되어 상기 회전플레이트(145)를 소정 회수 회전시킴으로써 제1 및 제2전극(121)(123)의 서로 마주하는 표면에 묻은 토너를 제거한다. 그런 다음, 상기 클리너(140)의 작동이 멈추고, 상기한 바와 같이 과잉이온이 제거된 현상액은 현상장치(40)로 회수된다.
이하, 도 1, 도 4 내지 도 6,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인쇄기의 작동이 오프 즉, 파워 오프나 파워세이브 모드가 되면 상기 타이머(151)가 작동된다(S160). 인쇄기의 작동이 다시 시작되면(S161), 상기 판단부(153)는 타이머(151)의 작동시간이 소정 시간(T)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62).
타이머(151)의 작동 시간이 소정 시간(T) 이상이면 상기 제1펌프(111)가 작동되어, 상기 현상장치(40) 내의 상부에 위치된 대부분 과잉이온을 포함한 액상의 캐리어로 이루어진 현상액(47a)을 상기 용기(100)로 이송시킨다(S163). 이때, 상기 제2펌프(113)가 정지 상태이므로, 제2펌프(113)를 통한 현상액의 이동은 차단된다. 용기(100)에 현상액(47a)이 어느 정도 채워지면, 상기 제1펌프(111)의 작동이 멈춘다.
상기 전원(125)은 상기 제1 및 제2전극(121)(123)에 전류 특히, 직류 전류를 인가한다. 이에 따라 상기 현상액(47a) 즉, 액상의 캐리어에 포함된 과잉이온 예컨대, 양이온은 상기 제2전극(123)에 부착되어 제거된다(S164). 이때, 상기 전원(125)은 어느 정도 과잉이온이 제거될 때까지 소정 시간동안 전류를 인가한다.
한편, 과잉이온 제거작업이 끝나면, 상기 클리너(140)를 작동시켜 제1 및 제2전극(121)(123) 표면에 묻은 토너를 제거한다(S165).
그런 다음, 상기 제2펌프(113)가 작동되어 상기 용기(100)에 수용되어 있는 현상액을 현상장치(40)로 회수한다(S166). 그리고 회수가 완료되면, 상기 제2펌프(113)의 작동이 멈춘다.
상기 제2펌프(113)의 작동이 멈추면, 인쇄기는 워밍업 되고(S167) 인쇄모드가 된다(S168).
한편, 상기 타이머(151)의 작동 시간이 소정 시간(T) 이하이면(S162) 인쇄기는 과잉이온 제거작업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워밍업 되어(S167) 인쇄모드가 된다(S168).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장치는 인쇄기에 채용되는 다수 즉, 4개의 현상장치 각각에 채용된다. 이때,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4개의 과잉이온 제거장치에 공유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장치는 인쇄기의 작동 멈춤 시간이 소정 시간(T) 이상인 경우 작동되어 현상장치내의 상부에 위치된 대부분 과잉이온을 포함한 액상의 캐리어로 이루어진 현상액에 포함된 과잉이온을 제거하므로, 화상 농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전극의 마주하는 표면에 묻은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너를 채용하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8)

  1.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레이저 스캔유니트와, 소정 칼라의 토너와 액상의 캐리어가 혼합된 현상액으로 상기 감광매체의 정전잠상 영역을 현상하는 현상장치를 포함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사용되는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현상장치 상부에 위치된 현상액이 출입되는 용기와;
    상기 현상장치와 용기 사이에 설치되어 인쇄기가 소정 시간(T) 이상 작동이 멈춘 상태로 유지될 때 현상장치의 상부에 위치된 현상액을 상기 용기로 이송하거나, 상기 용기내의 현상액을 현상장치내로 회수하는 현상액수송수단과;
    상기 용기에 수용된 현상액에 포함된 과잉이온을 제거하는 과잉이온제거부와;
    상기 인쇄기의 작동 멈춤 시간이 소정 시간(T)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현상액수송수단과 과잉이온제거부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잉이온제거부는,
    상기 용기에 수용된 현상액 내에 적어도 그 일부가 잠기도록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된 제1 및 제2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전극은 서로 대향되는 제1 및 제2아암의 표면에 평판 도전성 전극을 코팅함으로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전극의 하단부에 근접되고, 상기 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축으로 상기 제1 및 제2전극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시 그 양단이 상기 제1 및 제2전극에 접촉되며, 상기 제1 및 제2전극의 표면이 상기 현상액에 개방되도록 그 가장자리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일부 제거된 개방부를 가지는 회전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전극의 표면에 묻은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너;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액수송수단은,
    상기 현상장치와 용기 사이에 설치되어 소정 시간동안 작동이 멈춘 상태로 유지된 인쇄기의 현상장치 상부에 위치된 현상액을 상기 용기로 이송하는 제1펌프와;
    상기 제1펌프의 하부에 설치되어 과잉이온이 제거된 용기내의 현상액을 현상장치내로 회수하는 제2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인쇄기의 작동 멈춤시에 동작되어 작동 멈춤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에서 카운트된 작동 멈춤 시간이 소정 시간(T)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현상액수송수단과 과잉이온제거부 작동을 제어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장치.
  7.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레이저 스캔유니트와, 소정 칼라의 토너와 액상의 캐리어가 혼합된 현상액으로 상기 감광매체의 정전잠상 영역을 현상하는 현상장치를 포함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작동 오프시에 타이머를 작동하는 단계와;
    상기 인쇄기의 작동 시작시에 상기 타이머의 작동시간이 소정시간(T)을 초과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타이머가 소정시간(T)을 초과하여 작동된 경우, 상기 현상장치 상부에 위치된 현상액을 상기 현상장치 일측에 설치된 용기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용기내에 설치된 제1 및 제2전극 사이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용기내에 수용된 현상액에 포함된 과잉이온을 제거하는 단계와;
    과잉이온이 제거된 현상액을 상기 현상장치내로 회수하는 단계와;
    상기 인쇄기를 워밍업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내에 수용된 현상액에 포함된 과잉이온을 제거하는 단계와, 과잉이온이 제거된 현상액을 상기 현상장치내로 회수하는 단계 사이에 클리너를 작동시켜 상기 제1 및 제2전극 표면에 묻은 토너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방법.
KR1019970076355A 1997-12-29 1997-12-29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장치 및방법 KR100238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355A KR100238326B1 (ko) 1997-12-29 1997-12-29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장치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355A KR100238326B1 (ko) 1997-12-29 1997-12-29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360A KR19990056360A (ko) 1999-07-15
KR100238326B1 true KR100238326B1 (ko) 2000-01-15

Family

ID=19529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6355A KR100238326B1 (ko) 1997-12-29 1997-12-29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83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952B1 (ko) * 2000-08-29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정전잠상 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360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56122B2 (ja) 記録装置
KR10023832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장치 및방법
US5999778A (en) Developing device of wet type printer
JP2869061B1 (ja) 湿式電子写真方式プリンタの感光ベルトクリーニング装置
JP3361929B2 (ja) 電子写真装置
JP3702523B2 (ja) 液体現像剤を用いた現像装置
KR10028715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장치
KR100287145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용현상액의과잉이온제거장치
JPH09211993A (ja) 液体現像剤を用いた現像装置
US6205317B1 (en) Method of cleaning ink remaining on photoreceptor web when error occurs in printer
JPH0926704A (ja) 湿式画像形成装置
JPH08179632A (ja) 湿式画像形成装置
KR100243237B1 (ko) 전사사진방식프린터용현상기
KR200158752Y1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
KR100263885B1 (ko) 감광매체 클리닝 기능을 갖는 습식 인쇄기의현상기 및 이를이용한 감광매체 클리닝 방법
KR100338752B1 (ko) 용지 가이드 장치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KR10038598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JPH0922238A (ja) 湿式画像形成装置
JP2001051511A (ja) 液体現像器及び記録装置
KR100230307B1 (ko)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용 현상기
JP4903597B2 (ja) 画像形成装置
JPH07125302A (ja) 画像形成装置
KR19990074123A (ko) 습식 인쇄기의 현상장치
JPH087515B2 (ja) 記録装置
KR19980038006A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