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3885B1 - 감광매체 클리닝 기능을 갖는 습식 인쇄기의현상기 및 이를이용한 감광매체 클리닝 방법 - Google Patents

감광매체 클리닝 기능을 갖는 습식 인쇄기의현상기 및 이를이용한 감광매체 클리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3885B1
KR100263885B1 KR1019970068332A KR19970068332A KR100263885B1 KR 100263885 B1 KR100263885 B1 KR 100263885B1 KR 1019970068332 A KR1019970068332 A KR 1019970068332A KR 19970068332 A KR19970068332 A KR 19970068332A KR 100263885 B1 KR100263885 B1 KR 100263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photosensitive medium
developer
clean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8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9393A (ko
Inventor
송인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8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3885B1/ko
Publication of KR19990049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9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88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removing liqu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1Removing excess liquid developer, e.g. by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0026Cleaning of foreign matter, e.g. paper powder, from imaging member
    • G03G2221/0068Cleaning mechanis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감광매체 클리닝 기능을 갖는 습식 인쇄기용 현상기 및 이를 이용한 감광매체 클리닝 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습식 인쇄기용 현상기는 현상액을 수용하는 현상조와; 상기 현상조로 상기 현상액을 공급하는 현상액 공급수단과; 감광매체와의 사이에 소정 현상갭이 유지되도록 상기 현상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현상로울러와; 상기 감광매체에 접촉되어 회전 압착하면서 상기 정전잠상 영역에 부착된 캐리어 및/또는 토너를 분리하는 스퀴지로울러와; 클리닝 모드시 상기 현상조 내의 현상액을 수용할 수 있는 회수수단;을 구비하여 클리닝 모드시 상기 스퀴지로울러를 상기 감광매체의 주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심으로써 상기 감광매체상의 토너 및/또는 캐리어를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설치 구조가 간단하다.
개시된 감광매체 클리닝 방법은 현상조를 상기 회수용기로 연결시키는 단계와; 상기 감광매체의 정전잠상 영역을 클리닝 바이어스 시키는 단계와; 상기 현상액을 상기 현상조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상기 스퀴지로울러를 상기 감광매체의 주행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정전잠상 영역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시키는 클리닝 단계;를 포함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감광매체 클리닝 기능을 갖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기 및 이를 이용한 감광매체 클리닝 방법
본 발명은 감광매체에 전사후 또는 인쇄기의 이상 발생시 그 감광매체에 남아 있는 오염물질을 클리닝하는 감광매체 클리닝 기능을 갖는 습식 인쇄기용 현상기 및 이를 이용한 감광매체 클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습식 인쇄기는 감광드럼 또는 감광벨트와 같은 정전잠상(Latent electrostatic image)의 형성이 가능한 감광매체를 사용한다. 감광매체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 후 칼라 색상을 나타내는 토너와 액상의 캐리어를 포함하는 현상액이 도포되고, 이 현상액이 기록지로 옮겨지게 된다.
도 1은 종래 현상기가 적용되는 습식 전자사진 방식 인쇄기의 개략적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의 현상기 부분을 발췌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감광벨트(10)는 3개의 로울러(21,22,23)에 의해 폐루프상으로 순환되도록 되어 있다. 1차 로울러(21)는 전사로울러(24)로 감광벨트(10)의 현상액을 옮기며, 전사로울러(24)는 기록지(25)로 그 표면에 부착된 현상액을 전사한다. 가압로울러(26)는 전사로울러(24)로부터 현상액이 기록지(25)로 옮겨 지도록 전사로울러(24)와 가압로울러(26)사이에 기록지(25)가 접촉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한편, 1차 로울러(21)와 2차 로울러(22) 사이의 감광벨트(10)의 주행 경로상에는 감광벨트(10)의 정전잠상 영역을 일정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35)가 위치된다. 2차 로울러(22)와 3차 로울러(23) 사이의 감광벨트(10) 주행 경로상에는 감광벨트(10)의 정전잠상 영역에 레이저를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LSU(Laser Scanning Unit:30)와 감광된 정전잠상 영역에 현상액을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색상별 현상기(40)가 교번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2차 로울러(22)와 3차 로울러(23) 사이의 감광벨트(10) 안쪽에는 현상기(40)의 각각에 대응하는 백업로울러(27,28)가 설치된다.
한편, 종래 현상기(40)는 감광벨트(10)의 하부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현상기(40)의 현상조(42) 내부에는 소정의 색상을 가진 토너와 액상의 캐리어가 혼합된 현상액이 담겨져 있고, 그 상부에는 현상로울러(43)와 클리닝로울러(44) 및 제1,제2 스퀴지로울러(46,47)가 설치되어 있다. 뿐만아니라, 1차 스퀴지로울러(46)와 현상로울러(43)에 대응하여 백업로울러(27,28) 및 1,2차 스퀴지로울러(46,45)에 각각 대응하는 블레이드(46a,45a)가 구비된다.
클리닝로울러(44)가 현상로울러(43)의 하부측에 그와 동방향으로 회전하며, 클리닝로울러(44)의 하부가 현상액(41)에 일부 잠기도록 설치된다. 2차 스퀴지로울러(47)는 1차 스퀴지로울러(46)의 일측에 설치된다. 현상액 공급장치(50)가 현상로울러(43)의 일측에 설치된다. 또한 블레이드(46a,45a)는 스퀴지로울러(46,45)를 통해 흘러내리는 현상액을 현상조(42)내로 가이드하여 회수한다.
이와 같이 현상기(40)에 의해 감광벨트(10)에 부착된 현상액은 현상기(40) 이후에 마련된 3차로울러(23)와 히터로울러(29)에 의해 건조되어 액상의 캐리어가 감광벨트(10)로부터 제거되므로 감광벨트(10)의 정전잠상에는 토너만 남은 토너상이 형성된다.
상기 토너상은 감광벨트(10)를 사이에 두고 1차로울러(21)와 평행하게 설치된 전사로울러(24)에 의해 기록지(25)에 전사된다. 이 기록지(25)는 전사로울러(24)와 소정 쟌격을 두고 그와 평행하게 설치된 가압로울러(26)의 사이를 통해 공급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지(25)에 전사된 토너상은 별도의 정착장치(미도시)에 희애 정착되어 최종적으로 원하는 화상을 얻게 된다.
상기 토너상을 기록지(25)에 전사시킨 감광벨트(10)에는 토너가 완전히 제거되어야 하나 전사가 완전하지 못한 경우에는 미량의 토너가 감광벨트(10)에 남게되고, 또한 인쇄기 내부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감광벨트(10)에 부착된 불필요한 잔재나 이물질(이하, 오염물질이라 통칭한다)은 다음 사이클에서 현상 불량을 발생시키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전사로울러(24)와 주대전기(35)사이에는 클리닝수단(미도시)이 감광벨트(10)의 표면과 접촉 및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런데, 감광벨트(10)의 표면과 접촉하는 클리닝수단의 표면적은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인이 되고, 또한 클리닝수단 그 자체의 수명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그 표면적을 크게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경우에는 클리닝수단의 부피가 매우 커지게 되어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인쇄기의 내부에 설치하는데 제한이 있게된다. 한편, 종래의 인쇄기는 현상기와 클리닝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어 구조가 복잡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감광매체 등의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장치로서 현상기 자체의 구조를 이용하여 클리닝하는 감광매체 클리닝 기능을 갖는 습식 인쇄기용 현상기 및 이를 이용한 감광매체 클리닝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현상기가 적용되는 습식 전자사진 방식 인쇄기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의 현상기 부분을 발췌 도시한 확대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광매체 클리닝 기능을 갖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기의 실시예들의 주요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광매체 클리닝 방법의 실행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감광벨트 127.128.백업로울러 142.현상조
143.현상로울러 144.클리닝로울러 145.2차스퀴지로울러
146.1차스퀴지로울러 145a.146a.블레이드 150.현상액 공급수단
153.순환탱크 171.회수용기 173.2웨이밸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감광매체 클리닝 기능을 갖는 습식 인쇄기용 현상기는, 현상액을 수용하는 현상조와; 상기 현상조로 상기 현상액을 공급하는 현상액 공급수단과; 감광매체와의 사이에 소정 현상갭이 유지되도록 상기 현상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현상로울러와; 상기 감광매체에 접촉되어 회전 압착하면서 상기 정전잠상 영역에 부착된 캐리어 및/또는 토너를 분리하는 스퀴지로울러와; 클리닝 모드시 상기 현상조 내의 현상액을 수용할 수 있는 회수수단;을 구비하여 클리닝 모드시 상기 스퀴지로울러를 상기 감광매체의 주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심으로써 상기 감광매체상의 토너 및/또는 캐리어를 제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현상액 공급수단은 상기 현상조로 공급될 현상액을 저장하며, 현상조내의 현상액을 다시 수용할 수 있는 순환탱크와, 상기 순환탱크내의 현상액을 상기 현상조로 공급하는 공급펌프와, 상기 현상조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매체에 현상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뿐만아니라, 상기 회수수단은 상기 현상조 내의 현상액을 수용하는 회수조와, 상기 현상조내의 현상액을 회수조와 상기 순환탱크로 선택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2웨이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감광매체 클리닝 방법은, 현상조와, 상기 현상조로 상기 현상액을 공급하는 현상액 공급수단과, 상기 현상조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현상로울러와, 상기 감광매체에 접촉되어 회전 압착하는 스퀴지로울러와, 클리닝 모드시 상기 현상조 내의 현상액을 수용할 수 있는 회수수단을 구비하는 습식 인쇄기의 감광매체 클리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상조를 상기 회수용기로 연결시키는 단계와; 상기 감광매체의 정전잠상 영역을 클리닝 바이어스 시키는 단계와; 상기 현상액을 상기 현상조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상기 스퀴지로울러를 상기 감광매체의 주행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정전잠상 영역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시키는 클리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감광매체 클리닝 기능을 갖는 습식 현상기 이를 이용한 감광매체 클리닝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광매체 클리닝 기능을 갖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기 의 제1실시예의 주요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타나낸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감광매체 클리닝 기능을 갖는 습식 인쇄기의 현상기는 현상조(142)와, 현상액 공급수단(150)과, 현상로울러(143)와, 스퀴지로울러(145,146)와, 회수수단(170)을 포함한다.
현상조(142)는 고체상의 토너와 액상의 캐리어가 혼합된 현상액을 수용한다.
현상액 공급수단(150)은 순환탱크(153)와, 공급펌프(152)와, 분사노즐(154)을 포함한다.
순환탱크(153)는 현상액을 감광매체(10)의 정전잠상 영역에 도포하는 현상조(142)로 공급될 현상액을 저장하며, 현상조(142)내의 현상액을 다시 회수하여 수용한다. 순환탱크(153)는 그 하부가 현상액 공급수단(150)의 현상액 공급경로(151)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순환탱크(153)의 상부가 현상액 배출경로(162)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현상조(142)로부터 배출되는 현상액을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현상 모드에서 현상액을 현상조(142)로 순환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구조이다.
공급펌프(152)는 순환탱크(153)내의 현상액을 현상조(142)로 순환적으로 공급하는 현상액 공급수단(150)의 한 부품이다.
분사노즐(154)은 현상조(142)에 설치되어 감광매체(10)에 현상액을 분사한다.
현상로울러(143)는 현상조(142)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감광매체(10)와의 사이에 소정 현상갭(15)이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클리닝로울러(144)는 외주면에 현상액 통과공이 마련된 관상의 회전축에 다수의 클리닝부재가 밀집되게 꿰어져 있는 구조이다. 이 클리닝로울러(144)는 현상로울러(143)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클리닝부재와 현상로울러(143)사이에 마찰이 일어남으로써 현상로울러(143)의 표면이 클리닝된다. 이때에 관상회전축을 통하여 클리닝을 위한 현상액의 공급이 이루어 진다.
제1스퀴지로울러(146)는 감광매체(10)의 정전잠상 영역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그 정전잠상 영역을 압착하여 그에 부착된 캐리어 및/또는 토너를 분리한다. 여기서, 현상모드에서는 제1스퀴지로울러(146)가 감광매체(10)의 주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주로 회전하고, 드립라인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클리닝 모드에서는 역으로 감광매체(10)의 주행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스퀴지로울러(145)는 감광매체(10)의 정전잠상 영역 양측 가장자리부에 접촉되어 그 감광매체(10)의 주행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제1스퀴지로울러(146)에 의해 분리된 캐리어 및/또는 토너가 감광매체(10)의 가장자리부를 타고 그 주행 방향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블레이드(46a,45b)는 각각 제1,제2스퀴지로울러(46,45)에 대응되어 설치되어 제1,제2스퀴지로울러(46a,45b)를 통해 흘러내리는 캐리어 및/또는 토너를 현상조(142)내로 회수한다. 참조부호 127,128은 백업로울러들이다.
현상기(140)로부터 배출되는 현상액을 수납가능한 회수용기(171)와, 경로개폐수단으로서 2웨이밸브(2way valve :173)을 구비한다.
회수수단(170)은 회수용기(171)와 2웨이밸브(2way valve: 173)를 포함한다.
회수용기(171)는 클리닝 모드에 사용된 현상조(142)내의 현상액을 순환탱크(153)로 배출시키지 않고 수납하는 용기로서 본 발명의 특징부이다. 회수용기(171)는 그 상부가 클리닝경로(172)와 연결되어 있다.
2웨이밸브(173)는 현상액 배출경로(162)와 클리닝경로(17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 구조이다. 이 2웨이 밸브(173)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2개의 경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현상액 배출경로(162)와 클리닝경로(172) 중 현상 모드에서는 클리닝경로(172)가 차단되고, 클리닝 모드에서는 현상액 배출경로(162)가 차단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른 감광매체 클리닝 기능을 갖는 습식 인쇄기용 현상기의 작용을 현상 모드와 클리닝 모드로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현상 모드에서는 현상액 공급수단(150)의 펌프(152)의 작동과 현상액 공급경로(151)를 통해 순환탱크(16)내의 현상액(141)이 분사노즐(154)을 통해 공급되어 감광벨트(10)와 현상로울러(143) 사이에 현상갭(15)을 형성 유지한다. 그러면, 감광벨트(10)의 주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로울러(143)는 감광벨트(10)에 형성된 정전잠상 영역에 상기 현상액을 부착시킨다. 이는 정전잠상 영역에 대전된 전위가 현상로울러(143)에 인가된 전위 보다 낮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양성인 토너 입자는 전기적 인력에 의해 감광벨트(10)에 부착되고 액상의 캐리어는 대부분 분리된다.
이와같이 감광벨트(10)의 정전잠상 영역의 토너 입자가 감광벨트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즉, 감광벨트(10)의 필름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감광벨트(10)의 주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스퀴지로울러(146)는 상기 현상액 중 정전잠상 영역의 현상에 사용되고 남은 캐리어를 제거하게 되고, 그 제거된 캐리어는 제1스퀴지로울러(146)에 접촉 설치된 블레이드(146b)에 의해 현상조(142)내로 다시 회수된다. 뿐만아니라, 제2스퀴지로울러(145)는 감광매체(10)의 정전잠상 영역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접촉되어 감광매체(10)의 주행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스퀴지로울러(146)에 의해 분리된 캐리어가 감광매체(10)의 가장자리부를 타고 그 주행 방향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제2스퀴지로울러(145)에 대응되게 설치된 블레이드(145)는 캐리어를 회수하여 현상조(142)로 떨어뜨린다. 현상조(142)내에 회수된 현상액(141)은 2웨이밸브(173)를 통하고, 현상액 배출경로(162)를 통해 순환탱크(153)로 회수된다. 현상 모드에서는 상술한 과정이 순환적으로 이루어진다.
클리닝 모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쇄기의 전원을 켜거나 소정 사이클로 화상을 인쇄한 후 또는 인쇄기의 이상 발생시 시스템 제어부로 하여금 자동으로 클리닝 모드로 전환하도록 인쇄기를 설정해 두면, 상기한 조건에 상응하는 상태에서 클리닝 모드는 시작된다.
먼저, 순환탱크(153)로부터 현상액 공급수단(150)인 펌프(152)와 현상액 공급경로(151)를 통해 현상조(142)로 분사노즐(154)을 통해 현상액이 공급되어 감광벨트(10)의 정전잠상 영역에 부착된 토너를 습해지게 된다. 이 경우 정전잠상 영역에 대전된 전위가 현상로울러(143)에 인가된 전위 보다 높아 전기적 인력에 의해 감광벨트(10)로부터 오염물질이 제거될수 있도록 도 1에서 설명한 대전기(35)에서 대전된 감광벨트(10)의 정전잠상 영역을 LSU(30)로 주사하지 않는 점이 현상 모드와 다른점이다.
한편, 제1스퀴지로울러(146)는 현상 모드와 같이 토너가 감광벨트에서 떨어지지 않게할 필요가 없고 오히려 그러한 오염 물질을 제거해야 하므로, 현상모드에서 드립라인을 제거할 때와 같이 감광벨트(10)의 주행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감광벨트(10)를 압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해야 한다. 이렇게 되면, 현상 모드와 달리 클리닝 모드에서는 제2스퀴지로울러(145)는 그 실질적 기능이 거의 미약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미세하게 남아 있는 토너를 포함한 오염물질을 보다 완전하게 제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블레이드(145a,146b)와 클리닝로울러(144)의 기능은 상술한 현상 모드와 동일하다. 블레이드(145a,146b)에 의해 현상조(142)에 회수된 현상액은 2웨이밸브(173)의 작동과 클리닝경로(172)를 통해 회수용기(171)로 회수 된다. 별도의 회수용기(171)를 두는 이유는 오염물질이 순환탱크(153)로 다시 회수되면 순환탱크(153)에 오염된 토너가 침전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감광매체 클리닝 기능을 갖는 습식 인쇄기용 현상기는 단색 습식 현상기의 현상액 공급장치에 적용되는 경우의 상세한 설명이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네 가지 색상을 사용하는 경우 또는 상기 색상 이외에 다른 색상을 현상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됨을 부인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광매체 클리닝 기능을 갖는 습식 인쇄기용 현상기가 상기 네 가지 색상을 갖는 칼라 습식 인쇄기에 적용되는 제2실시예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감광매체 클리닝 기능을 갖는 습식 인쇄기용 현상기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용 현상기(210,220,230)와, 블랙용 현상기(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블랙용 현상기(100)은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감광매체 클리닝 기능을 갖는 습식 인쇄기용 현상기에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와 동일하므로 현상 모드 및 클리닝 모드 양자를 갖는다. 그리고, 이 클리닝 모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 전체에 적용되는 클리닝 모드이다. 한편, 옐로우, 마젠타, 시안용 현상기(210,220,230)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현상 모드만 갖는다.
일반적으로 칼라 습식 인쇄기는 색번짐 등 색상 고유의 특성을 감안하여 각 색상별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상기 Y,M,C,K 차례대로 설치된다. 여기서, 클리닝 모드를 블랙용 현상기에만 설치하는 이유는 Y,M,C 색상이 혼합된 토너는 블랙(K)과 동일하게 생각할 수 있고, 최후에 설치된 현상기에 설치하므로서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클리닝할 수 있다. 기타 상술한 단색 습식 인쇄기의 현상기 겸용 감광매체 클리닝 장치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작용을 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광매체 클리닝 방법의 실행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감광매체 클리닝 방법은, 현상조(140)를 회수용기(171)로 연결시키는 단계(S320)와, 감광매체의 정전잠상 영역을 클리닝 바이어스 시키는 단계(S330)와, 순환탱크(153)내의 현상액을 현상조(140)로 공급하는 단계(S340)와, 정전잠상 영역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시키는 클리닝 단계(S350)를 포함한다.
단계 S310는 감광매체 클리닝 기능을 갖는 습식 인쇄기용 현상기(도 3의 100)의 현상 모드에서 클리닝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쇄기의 전원을 켬과 동시에 또는 소정 사이클로 인쇄를 한 후 주기적으로 작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320는 현상조(142)를 회수용기(171)로 연결시키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현상조(142)로 공급되는 클리닝용 현상액을 수납시키기 위해 미리 2웨이밸브(173)를 회수용기(171)로 연결시켜 두는 단계이다.
단계 S330은 감광매체(10)의 정전잠상 영역을 클리닝 바이어스시키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전잠상 영역에 대전된 전위가 현상로울러(143)에 인가된 전위 보다 높아 전기적 인력에 의해 감광벨트(10)로부터 오염물질이 제거될수 있도록 도 1에서 설명한 대전기(35)에서 대전된 감광벨트(10)의 정전잠상 영역을 LSU(30)로 주사하지 않음으로써 가능하다.
단계 S340은 순환탱크(150)내의 현상액을 현상액 공급수단(150)에 의해 현상조(140)로 공급하는 단계이다.
단계 S350은 클리닝 단계로서, 1차스퀴지로울러(146)를 감광매체(10)의 주행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이다. 이 클리닝 단계(S350)는 감광벨트(10)의 정전잠상 영역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단계 S360은 순환탱크(153)로부터의 현상조(140)로의 현상액 공급을 중단시키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감광매체(10)의 클리닝을 위한 소정량의 현상액 공급이 완료된 상태에서 진행된다.
단계 S370는 단계 S330에 의해 클리닝 바이어스시킨 감광매체의 정전잠상 영역을 언바이어스시키는 단계이다. 이는 상술한 클리닝 모드에서 현상 모드로 진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감광매체(10)의 정전잠상 영역에 전기적 인력에 의해 토너가 도포되도록 하기 위해 LSU로 스캐닝하는 작업을 말한다.
단계 S380은 현상조(140)를 순한탱크(153)로 연결시키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2웨이밸브(173)를 작동시켜 현상 모드에서 현상조(142)내의 현상액이 순환탱크(153)로 회수될 수 있도록 미리 경로를 전환시키는 것이다.
단계 S290은 클리닝 모드를 현상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매체 클리닝 방법의 실행과정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감광매체 클리링 기능을 갖는 습식 인쇄기용 현상기의 작동 설명과 중복되고, 도 5의 순서도를 참조하면 충분할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각 단계는 반드시 순서를 갖는 것은 아니므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감광매체 클리닝 기능을 갖는 습식 인쇄기용 현상기 및 이를 이용한 감광매체 클리닝 방법은 현상기 자체 구조를 이용하므로 필요 부품수가 감소되어 전체 시스템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제작단가가 저렴해진다.

Claims (4)

  1. 현상액을 수용하는 현상조와;
    상기 현상조로 상기 현상액을 공급하는 현상액 공급수단과;
    감광매체와의 사이에 소정 현상갭이 유지되도록 상기 현상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현상로울러와;
    상기 감광매체에 접촉되어 회전 압착하면서 상기 정전잠상 영역에 부착된 캐리어 및/또는 토너를 분리하는 스퀴지로울러와;
    클리닝 모드시 상기 현상조 내의 현상액을 수용할 수 있는 회수수단;을 구비하여 클리닝 모드시 상기 스퀴지로울러를 상기 감광매체의 주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심으로써 상기 감광매체상의 토너 및/또는 캐리어를 제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매체 클리닝 기능을 갖는 습식 인쇄기용 현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액 공급수단은
    상기 현상조로 공급될 현상액을 저장하며, 현상조내의 현상액을 다시 수용할 수 있는 순환탱크와, 상기 순환탱크내의 현상액을 상기 현상조로 공급하는 공급펌프와, 상기 현상조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매체에 현상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매체 클리닝 기능을 갖는 습식 인쇄기용 현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수단은
    상기 현상조 내의 현상액을 수용하는 회수조와, 상기 현상조내의 현상액을 회수조와 상기 순환탱크로 선택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2웨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매체 클리닝 기능을 갖는 습식 인쇄기용 현상기.
  4. 현상조와, 상기 현상조로 상기 현상액을 공급하는 현상액 공급수단과, 상기 현상조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현상로울러와, 상기 감광매체에 접촉되어 회전 압착하는 스퀴지로울러와, 클리닝 모드시 상기 현상조 내의 현상액을 수용할 수 있는 회수수단을 구비하는 습식 인쇄기의 감광매체 클리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상조를 상기 회수용기로 연결시키는 단계와;
    상기 감광매체의 정전잠상 영역을 클리닝 바이어스 시키는 단계와;
    상기 현상액을 상기 현상조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상기 스퀴지로울러를 상기 감광매체의 주행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정전잠상 영역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시키는 클리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의 감광매체 클리닝 방법.
KR1019970068332A 1997-12-12 1997-12-12 감광매체 클리닝 기능을 갖는 습식 인쇄기의현상기 및 이를이용한 감광매체 클리닝 방법 KR100263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8332A KR100263885B1 (ko) 1997-12-12 1997-12-12 감광매체 클리닝 기능을 갖는 습식 인쇄기의현상기 및 이를이용한 감광매체 클리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8332A KR100263885B1 (ko) 1997-12-12 1997-12-12 감광매체 클리닝 기능을 갖는 습식 인쇄기의현상기 및 이를이용한 감광매체 클리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9393A KR19990049393A (ko) 1999-07-05
KR100263885B1 true KR100263885B1 (ko) 2000-08-16

Family

ID=19527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8332A KR100263885B1 (ko) 1997-12-12 1997-12-12 감광매체 클리닝 기능을 갖는 습식 인쇄기의현상기 및 이를이용한 감광매체 클리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388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9393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08352B (zh) 液体分离装置和使用该装置的混合液体供给装置、图像形成装置
US719092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eliminates the inadvertence of mixed color toners and image forming method
CN101256384B (zh) 液体分离装置、混合液体供给系统和图像形成装置
KR100263885B1 (ko) 감광매체 클리닝 기능을 갖는 습식 인쇄기의현상기 및 이를이용한 감광매체 클리닝 방법
US5999778A (en) Developing device of wet type printer
JP2001005360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KR100234282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KR100462617B1 (ko) 폐현상제 용기를 구비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6885843B2 (en)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having subsidiary intermediate transfer unit for improving transfer efficiency
KR100408295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
JPH08179632A (ja) 湿式画像形成装置
JP2000298419A (ja) 湿式電子写真装置
KR10023832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장치 및방법
KR100287139B1 (ko) 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현상기
KR20010002616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클리닝장치 및 이 클리닝장치를가지는 인쇄기
KR100343169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현상롤러크리닝장치
KR20000065710A (ko) 인쇄기의 에러발생시 감광벨트에 잔류된 잉크의 클리닝방법
KR100275687B1 (ko) 화상형성장치의 감광 매체 크리닝 방법
KR100331313B1 (ko) 습식칼라인쇄기의현상장치
KR200168975Y1 (ko) 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현상장치
KR100322557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잉크순환시스템
JPH07261559A (ja) 湿式画像形成装置
KR100319840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감광매체클리닝장치
KR10034671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
JPH08278735A (ja) 湿式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