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7718B1 - 금속을 함유한 섬유로 형성되는 양말 - Google Patents

금속을 함유한 섬유로 형성되는 양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7718B1
KR100237718B1 KR1019930003877A KR930003877A KR100237718B1 KR 100237718 B1 KR100237718 B1 KR 100237718B1 KR 1019930003877 A KR1019930003877 A KR 1019930003877A KR 930003877 A KR930003877 A KR 930003877A KR 100237718 B1 KR100237718 B1 KR 100237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s
fiber
polyurethane elastic
wearing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3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1831A (ko
Inventor
마사요시 마까다
Original Assignee
마카타 카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카타 카츠미 filed Critical 마카타 카츠미
Publication of KR940001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7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77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7/00Selection of special materials for underwea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6Radiation shielding agents, e.g. absorbing, reflect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7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10B2501/021Hosiery; Panti-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알루미나, 실리카, 티타니아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일종이상의 금속산화물과 플라티나를 필수성분으로 하여 혼입한 폴리우레탄 탄성섬유가 최소한 2% 이상 혼방되어 형성되는 섬유 재료로 되는 금속을 함유한 섬유로 되는 양말로, 금속산화물이 신축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중에 혼입되어 있으므로, 이 금속산화물에서 방사되는 전자파(원적외선)를 인체와 거의 밀착한 상태에서 방사되어, 착용부위나 착용시의 접촉감, 착용중의 열전도율에 있어서 전자파(원적외선)가 유효하게 작용되어, 극히 양호한 보온효과를 발휘시킬 수가 있다.

Description

금속을 함유한 섬유로 형성되는 양말
제1도는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섬유의 분광 방사율 스펙트럼의 챠트도.
제2도는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섬유의 분광 방사율 스펙트럼의 챠트도.
제3도는 실시예 4에서 얻어진 섬유의 분광 방사율 스펙트럼의 챠트도.
제4도는 실시예 5에서 얻어진 섬유의 분광 방사율 스펙트럼의 챠트도.
제5도는 실시예 6에서 얻어진 섬유의 분광 방사율 스펙트럼의 챠트도.
본 발명은 금속을 함유한 섬유로되는 양말에 관한 것이며, 그것의 목적은 착용시에 느낌이 좋은 착용감이 얻어짐과 함께, 금속산화물에서 방출되는 전자파를 착용자의 피부면에 거의 밀착상태로 방사시킬수가 있고, 착용부위나 착용시의 접촉감, 착용중의 열전도율에 있어서 전자파를 유효하게 작용시켜서, 극히 양호한 보온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금속을 함유한 섬유로 되는 양말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일반적으로 양말을 구성하는 섬유 재료로서는 면, 나일론, 폴리에스텔, 아크릴, 우레탄계 섬유등이 잘 알려져 있으며, 이들 섬유 재료를 예를들자면 하계용, 동계용과, 그 착용 계절에 의해 적절히 선택하여 임의의 비율로 혼방한 섬유를 사용해서 양말을 구성하고 있다.
예를들자면, 하기용의 양말로서는 통기성이나 흡습성의 관점에서 면을 주체로한 섬유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한편, 동계용의 양말로서는, 상기한 섬유 재료에 부가하여 보온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울을 혼방시키고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근래에 있어서는 원적외선이 갖는 온열작용을 기대하여,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스를 혼입시킨 섬유를 구성 재료로서 사용한 양말도 알려져 있다.
이 양말은, 예를들면 알루미나, 지루코니아, 마그네시아 등의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원적외선에 대해서 높은 투과성을 표시하는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계의 섬유 재료에 함유시켜, 이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함유시킨 섬유 재료에 다시 보호층을 피복시켜 형성한 섬유를 구성 섬유의 일부로 사용한 양말이며, 착용에 의한 보온 효과를 기대해서 구성된 양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울을 혼방시킨 양말에서는, 착용자의 발바닥 부분에 있어서 충분한 보온성이 발휘되기 어렵고, 또한 보온 효과를 높이기 위해 울의 혼방율을 높게하면, 양말 자체에 부피가 커지는 감이 생겨버려, 쉽게 착용하기가 어려워지는 과제가 있었다.
한편,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스를 혼입시킨 양말에서는, 상기한 울 혼방의 양말과 비교하면 부피가 커지는 감은 해소되나,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함유시킨 섬유 재료를 양말 전체에 광범위하게 사용하지 아니하면 효과가 얻기 어려운 과제가 존재하였다.
또한 이 양말에서는, 피복층을 설치하여 원적외선 방사층을 보호하고 있으나, 이 피복층이 원적외선을 흡수해 버리기 때문에, 세라믹스에서 방사된 원적외선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없는 과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 양말에서는, 예를들자면 착용시에 느끼는 접촉감이나 착용중의 열전도성, 착용후의 피부온도에 있어서, 원적외선의 효과를 유효하게 작용시킬 수가 없고 충분한 보온효과가 기대할 수 없는 과제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업계에서는, 착용시의 접촉감이나 착용중의 열전도성, 착용온도등에 있어서 양호한 효과를 발휘하고, 보온성이 매우 뛰어난 양말의 창출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나, 실리카, 티타니아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이상의 금속산화물과 플라티나를 필수성분으로 혼입한 폴리우레탄 탄성섬유가 최소한 2% 이상 혼방되어 형성되는 섬유 재료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을 함유한 섬유로 되는 양말을 제공하므로서 상기한 종래의 과제를 해소한다.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중에 금속산화물을 혼입시키므로서,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신축성을 이용하여, 금속산화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를 착용자와 거의 밀착한 상태에서 방사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금속산화물에서 방출되는 전자파(원적외선)의 효력이 최대한 유효하게 이용되어, 착용시의 접촉감이나 착용중의 열전도율, 및 착용부위의 혈류량에 유효하게 작용하여 양호한 보온 효과를 발휘시킬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르는 금속을 함유한 섬유로 되는 양말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알루미나(Al2O3), 실리카(SiO2), 티타니아(TiO2)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일종이상의 금속산화물과 플라티나(pt)를 필수성분으로서 혼입한 폴리우레탄 탄성섬유를 최소한 2% 이상 혼입하여 얻어지는 섬유 재료가 혼성 섬유로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알루미나(Al2O3), 실리카(SiO2), 티타니아(TiO2)으로서는 입도 1μ 이하의 분말형상의 것이 각각 적합하에 사용되나 특별하게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플라티나(pt)로서는 입자 지름이 7 내지 40Å의 미세한 지름으로 콜로이드 형상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이유는 콜로이드 형상의 플라티나(pt)를 사용하므로서 양호한 보온 특성이 얻어진다는 본 발명자에 의한 실험적 결론에 의거하기 때문이다.
이들 금속산화물 및 플라티나의 혼합비율은, 알루미나(Al2O3)가 9 내지 45%, 실리카(SiO2)가 50 내지 80%, 티타니아(TiO2) 및 플라티나(pt)가 8 내지 15%정도로 되어지나,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금속산화물에 칼슘이나 아연, 구리등의 산화물을 2 내지 10%정도 혼합시켜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되는 금속산화물로부터는, 후술하는 시험예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인체에 유효하게되는 5 내지 12미크론전후의 파장역을 갖는 전자파(원적외선)가 30℃ 전후의 온도영역에서도 안정하고 충분하게 방사된다.
금속산화물 및 플라티나를 혼입시키는 폴리우레탄 탄성섬유로서는 특히 한정은 되지않고,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테르 부분으로 형성되는 비결정 세그먼트와 우레인결합 등을 갖는 결정성 세그먼트로 형성되며, 통상의 섬유제품에 사용되고 있는 스판덱스가 가장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은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에 금속산화물 및 플라티나를 혼입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특히 한정은 되지않고, 고분자화시킨 섬유 재료용액을 건식방사하기 전에 용액중에 분산상태로 혼입시키거나 혹은 건식방사중에 혼입시키거나, 임의의 수법이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채용이 된다.
또한,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에 혼입시키는 금속산화물의 배합량으로서는 특히 한정은 되지않고, 30℃ 전후의 온도영역에서 인체에 유효하게 되는 5 내지 12미크론전후의 파장역을 갖는 전자파(원적외선)을 방출하고, 착용시의 접촉감이나 열전도성에 양호하게 작용하고, 양호한 보온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배합량으로, 양말의 구성 섬유 재료로서 방사 가능한 범위에서, 또한 착용감을 잃치않는 범위내이면 임의의 배합이 알맞게 채용될 수 있다.
다시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폴리우레탄 탄성섬유를 사용하는 이유는 신축성에 뛰어난 폴리우레탄 탄성섬유를 혼방하므로서 양말의 착용감이 양호해짐과 함께 이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에 상술한 금속산화물 및 플라티나를 혼입하므로서, 착용자의 인체에 양말을 꽉끼이게 착용시키면서 금속산화물로부터의 전자파(원적외선)를 체내로 방사할 수 있기 때문에, 방사되는 전자파(원적외선)의 효력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고, 양말의 착용시에 느껴지는 접촉감이나 열전도성에 유효하게 전자파(원적외선)가 작용하고, 착용후의 체내의 온도 변동이 높아지는 뛰어난 효과가 얻어짐과 함께, 착용부위의 혈류량이 상승하기 쉽게되어 뛰어난 보온 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알루미나(Al2O3), 실리카(SiO2), 티타니아(TiO2) 및 플라티나(pt)가 필수성분으로서 혼입된 폴리우레탄 탄성섬유는 다른 통상의 섬유 재료와 함께 혼방되어서, 통상의 방법으로 양말로 된다. 이때, 금속산화물을 혼입한 폴리우레탄 탄성섬유는 최소한 2% 이상의 비율로 혼방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이유는 금속산화물을 혼입한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혼방비가 2% 미만에서는 상기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신축성을 이용한 금속산화물로부터의 전자파의 효과적인 방사가 유효하게 행해지지 않고, 뛰어난 보온특성이 발휘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와 혼방되는 다른 섬유 재료로서는 면, 마, 울, 아크릴, 폴리에스텔, 나일론의 통상의 천연 및 합성 섬유 재료가 가장 적합하게 사용되어, 이들 섬유 재료를 임의의 비율로 적절하게 혼방하여 양말로 하면 좋고,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르는 금속을 함유한 섬유로 되는 양말의 효과를 실시예를 들어서 한층더 명확하게 한다.
[실시예 1]
알루미나(Al2O3), 실리카(SiO2), 티타니아(TiO2), 플라티나(pt)로 형성되는 금속산화물(10:82:3:5)를 혼입시킨 폴리우레탄 탄성섬유 6.4%와 면 56%, 아크릴 24.1%, 나일론 13.5%를 혼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부인용 양말을 만들었다.
[비교예 1]
금속산화물을 혼입시키고 있지 아니한 폴리우레탄 탄성섬유를 사용한 이외는 상기한 실시예 1과 같은 부인용 양말을 만들었다.
[비교예 2]
알루미나(Al2O3), 실리카(SiO2), 티타니아(TiO2), 플라티나(pt)등으로 형성되는 금속산화물(10:82:3:5)을 혼입시킨 폴리우레탄 탄성섬유 1.7%와 64.7% 아크릴 27.6%, 나일론 5.2%를 혼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신사용 양말을 만들었다.
[비교예 3]
금속산화물을 혼입시키지 아니한 폴리우레탄 탄성섬유를 사용한 이외는 상기한 비교예와 같은 신사용 양말을 만들었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부인용 양말, 신사용 양말에 대해서 각각 눈으로 보이는 상태(g/m2) 두께(cm), 접촉감(Qmax), 정상열 전도율(W/cm℃×10-4), 보온율(%)이란 물성을 써모라보 2-KES7(카토우텍크사제품:열물성 계측장치)에 의해 계측하였다.
이 결과를 표 1에 표시함.
[표 1]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부인용 양말, 신사용 양말을 사용해서 각각 생체 계측 시험을 하였다.
먼저 한 사람의 좌우 발바닥 피부온도에 대해서 일정시간 생체조정을 행하고, 좌우의 발바닥의 피부온도의 조화를 도모한 후, 착용전의 피부온도로서 계측하였다.
계측후, 먼저 실시예 1의 양말을 왼발에, 비교예 1의 것을 오른발에 착용시켜, 약 900초 착용보온하고, 이 상태에서의 발바닥 피부온도의 평균값, 최고값을 각각 계측하였다.
이후, 좌우의 양말을 각각 벗겨서, 벗긴 직후 및 벗은후 약 61초 경과후의 좌우의 발바닥 피부온도의 평균값, 최고값을 각각 계측하였다.
또한 좌우의 발바닥 피부온도의 양말 착용시에 있어서 전체온도변동값을 산출하였다.
이어서, 동일 사람에 의해 동일하게 좌우의 발바닥 피부온도에 있어서, 일정시간 생체 조정을 행하고, 비교예 2의 양말을 왼발에, 비교예 3의 양말을 오른발에 착용시켜, 동일하게 각 발바닥 피부온도의 평균값, 최고값 및 전체 온도 변동값을 각각 계측하였다.
또 이 시험에 있어서 피부온도의 계측은, 각각 써모그래프(일본전기산에이제품 6T/62 타입(HgCdTe 센서, 8 내지 13㎛):적외선 방사 온도계(-50° 내지 2000°)에 의한 온열해석에서 얻어진 써모그램의 특정 영역의 화상해석 온도분포의 평균값, 최대값에서 각각 산출하였다.
이 결과를 표 2에 표시한다.
[표 2]
[시험예 3]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부인용 양말을 각각 동일한 사람의 손에 착용시켜 보온한 경우와 램프조사(照射)하여 가온한 경우의 지혈유량(ml/min/100g) 변화를 레이저 돕플러 혈류계(어드반스드사제품:ALF-21)를 사용한 레이저 돕플러법(일본레이저 의학회지 Vol. 12. NO1, 1988년 7월)에 의해 계측하였다.
이 결과를 표 3에 표시한다.
[표 3]
표 1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혼방율이 6.4%의 경우에는, 금속산화물을 혼입시킨 양말(실시예 1)과 금속산화물을 혼입시키고 있지 아니한 양말(비교예 1)을 비교하면 눈으로 보이는 상태, 두께는 적으나, 접촉감이 적기 때문에 착용시에 느끼는 차거움이 적고, 또한 정상열전도율이 적기 때문에 외기의 냉기에 의한 온도 변동이 적고, 보온율이 높은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혼방율이 낮으면(1.7%), 금속산화물을 혼입시키지 아니한 폴리우레탄 탄성섬유를 사용한 양말(비교예 3)과 보온 효과에 있어서 그다지 효과가 발견되지 아니한 것이 판단된다.
표 2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혼방율이 6.4%의 경우에는, 양말착용후의 보온, 방열 발란스에 있어서, 금속산화물을 혼입시킨 양말(실시예 1)의 편이 금속산화물을 혼입시키지 아니한 양말(비교예 1)보다도 전체온도 변동차로 평균 0.2℃, 최고 1.1℃ 높게 보온효과가 높은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역으로,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혼방율이 낮으면(비교예 2 및 3), 양말 착용에 의한 보온효과가 발휘되지 않음이 판단되었다.
표 3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양말에서는 비교예 1의 양말과 비교하면 보온에 의해 혈류량이 상승 경향에 있는 것이 판단되었다.
[실시예 2]
알루미나(Al2O3), 실리카(SiO2), 티타니아(TiO2), 플라티나(pt)로 형성되는 금속산화물(10:82:3:5)을 혼입시킨 폴리우레탄 탄성섬유 15%와 면 85%를 혼방시킨 섬유를 만들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폴리우레탄 탄성섬유 18%와 면 82%를 혼방시킨 섬유를 만들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폴리우레탄 탄성섬유 28%와 면 72%를 혼방시킨 섬유를 만들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폴리우레탄 탄성섬유 50%와 인조섬유 50%를 혼방시킨 섬유를 만들었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폴리우레탄 탄성섬유 17%와 나일론 82%를 혼방시킨 섬유를 만들었다.
[시험예 4]
상기 실시예 2 내지 6에서 얻어진 섬유에 대해서, 분광방사율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측정 조건으로서는, 파장범위:4.5 내지 20.0㎛, 분해능:16cm-1, 검출기:광범위 MCT, 측정온도:섬유생지의 표면온도 33℃, 측정위치 및 회수:다른 위치에서 2곳, 동일 위치에서 2회의 총 4회 측정을 행하였다.
얻어진 각각의 분광방사율 스펙트럼을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다.
얻어진 분광반사율 스펙트럼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2 내지 6에서 얻어진 각 섬유에 있어서는, 인체에 유효로되는 5 내지 12미크론 전후의 파장역을 갖는 전자파(원적외선)가 33℃란 비교적 저온영역에 있어서도 방출되고 있는 것이 판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알루미나, 실리카, 티타니아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이상의 금속산화물과 플라티나를 필수성분으로 하여 혼입한 폴리우레탄 탄성섬유가 최소한 2% 이상 혼방되어 형성되는 섬유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을 함유한 섬유로 된 양말이므로, 양말 자체의 부피감이 거의 없고, 착용시에 기분이 좋은 착용감이 얻어짐과 함께, 금속산화물에 의한 전자파(원적외선)가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신축성을 이용하여 착용자에 거의 밀착상태로 방사되기 때문에, 상기한 시험예의 결과에서도 명백한 바와 같이 착용부위나 착용시의 접촉감, 착용중의 열전도율에 있어서 전자파(원적외선)가 유효하게 작용되어 매우 양호한 보온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알루미나, 실리카, 티타니아 중에서 최소한 일종 이상의 금속산화물과 플라티나를 필수성분으로서 혼입한 폴리우레탄 탄성섬유가 최소한 2% 이상 혼방되어 이루어지는 섬유 재료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을 함유한 섬유로 형성되는 양말.
KR1019930003877A 1992-07-16 1993-03-15 금속을 함유한 섬유로 형성되는 양말 KR100237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213557A JP2585166B2 (ja) 1992-07-16 1992-07-16 金属を含有した繊維からなる靴下
JP92-213557 1992-07-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1831A KR940001831A (ko) 1994-02-16
KR100237718B1 true KR100237718B1 (ko) 2000-01-15

Family

ID=16641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3877A KR100237718B1 (ko) 1992-07-16 1993-03-15 금속을 함유한 섬유로 형성되는 양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582769B1 (ko)
JP (1) JP2585166B2 (ko)
KR (1) KR100237718B1 (ko)
AT (1) ATE138537T1 (ko)
CA (1) CA2087793A1 (ko)
DE (1) DE69302865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849B1 (ko) * 2019-02-25 2019-04-23 박희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원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24649B1 (es) * 1995-05-29 1999-11-16 Pergo Nv Prenda para hombres, especialmente calzoncillos con elementos magneticos, especialmente para aumentar la potencia sexual masculina.
KR0155608B1 (ko) * 1995-07-14 1998-12-01 박홍기 원적외선 방사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DE19819900A1 (de) * 1998-05-05 1999-11-11 Thermal Quarz Schmelze Gmbh Infrarotstrahlerelement
EP1442168A1 (en) 2001-11-09 2004-08-04 Legend Care I.P. Limited A sock
DE202007001955U1 (de) * 2007-02-06 2007-04-26 X-Technology Swiss Gmbh Socke
PT2072666E (pt) * 2007-09-28 2011-12-16 Venex Co Ltd Fibra contendo diamante nanométrico e colóide nanométrico de platina e roupa de cama compreendendo a fibra
EP2402387B1 (fr) 2007-12-14 2014-04-16 Rhodia Poliamida E Especialidades Ltda Utilisation d'un article à base d'une composition polymérique
GR1009117B (el) * 2015-04-06 2017-09-18 Γεωργιος Εμμανουηλ Ψιψικας Ενδυματα εφαπτομενα στο δερμα παραγομενα απο υφασμα επικαλυμμενο απο συνθετο υλικο που βασιζεται σε οξειδια μεταλλων και ανοργανο υλικο
CN110831450A (zh) * 2017-06-08 2020-02-21 冈本株式会社 衣物
JP6952956B2 (ja) * 2017-08-22 2021-10-27 株式会社エスティー 蓄熱ソックス状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2701A (ja) * 1986-10-29 1988-05-17 株式会社 ア−スクリ−ン 靴下
JP2577379B2 (ja) * 1987-04-07 1997-01-29 旭化成工業株式会社 抗菌・防臭靴下
JPH0473226A (ja) * 1989-07-25 1992-03-09 J Pii U:Kk 遠赤外線放射用物質を具えた織物用糸及びその製造法
JPH03190990A (ja) * 1989-12-20 1991-08-20 Toshio Komuro 赤外線微弱エネルギー放射用の粉末及びそれを混入した合成繊維
JPH0434001A (ja) * 1990-05-30 1992-02-05 Toray Ind Inc ストッキン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849B1 (ko) * 2019-02-25 2019-04-23 박희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원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02865T2 (de) 1996-09-26
JP2585166B2 (ja) 1997-02-26
CA2087793A1 (en) 1994-01-17
ATE138537T1 (de) 1996-06-15
JPH0641801A (ja) 1994-02-15
DE69302865D1 (de) 1996-07-04
KR940001831A (ko) 1994-02-16
EP0582769B1 (en) 1996-05-29
EP0582769A1 (en) 199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6526A (en) Far infrared radiant composite fiber containing metal
KR100237718B1 (ko) 금속을 함유한 섬유로 형성되는 양말
KR100237717B1 (ko) 금속을 함유한 섬유로 형성되는 속옷
Morris Thermal properties of textile materials
JP5732383B2 (ja) 繊維物品に適用される改良
KR101974180B1 (ko) 나일론 섬유를 포함하는 냉감 방적사 및 원단
JP2008231657A (ja) ポリマー繊維組成物および方法
TR200001217T2 (tr) Cildin iyi halde muhafaza edilmesini sağlayan kullanılıp atılan emici eşyalar.
Kim et al. Influence of different light intensities during the daytime on evening dressing behavior in the cold
Slater et al. The protective value of clothing
US20070281569A1 (en) Thermally Insulated and Moisture-Repellent Textile Structure
JP2942402B2 (ja) 快適な衣料用織編物
CN107984856A (zh) 一种冬暖夏凉的双面面料及其制备工艺
KR101197138B1 (ko) 냉감성 스카프
JP3506574B2 (ja) 吸水パッド及び該吸水パッドを設けてなる失禁用ショーツ
JP3349140B2 (ja) 遠赤外線放射性粒子含有レーヨン系繊維及びその繊維を含有した下着
JPH09137345A (ja) 遮光性編地
KR100907991B1 (ko) 자외선 차단을 위한 마스크를 포함하는 가리개
JP2020152039A (ja) 涼感生地及び布製品
JPH0351301A (ja) 遠赤外線放射性肌着
KR101204278B1 (ko) 냉감성 모자
KR20210001140A (ko) 상온에서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조성물
KR910006106B1 (ko) 보온성 및 탈취성이 우수한 코팅 직물의 제조방법
JP2000167272A (ja) 保温性に富んだ詰綿製品
GB2439292A (en) Thermally insulated and moisture repellant textil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