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6807B1 - 아릴설포닐우레아, 그의 제조방법, 및 제초제와 성장조절제로서의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아릴설포닐우레아, 그의 제조방법, 및 제초제와 성장조절제로서의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6807B1
KR100236807B1 KR1019930702399A KR930702399A KR100236807B1 KR 100236807 B1 KR100236807 B1 KR 100236807B1 KR 1019930702399 A KR1019930702399 A KR 1019930702399A KR 930702399 A KR930702399 A KR 930702399A KR 100236807 B1 KR100236807 B1 KR 100236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alkyl
alkoxy
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2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르트 오스발트
바우어 클라우스
비링거 헤르만
Original Assignee
게르하르트 알미
훽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쥴겐 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42488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3680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게르하르트 알미, 훽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쥴겐 루트 filed Critical 게르하르트 알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6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6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2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unspecified hetero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6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containing the group >N—CO—N< directly attached to at least one heterocyclic ring; Thio analogu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1/00Amides of sulfonic acids, i.e. compounds having singly-bound oxygen atoms of sulfo groups replac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15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311/16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sulfon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n acyclic carbo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1/00Amides of sulfonic acids, i.e. compounds having singly-bound oxygen atoms of sulfo groups replac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65N-sulfonylisocyanates

Abstract

아릴설포닐우레아, 그의 제조방법, 및 제초제와 성장조절제로서의 그의 용도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I)의 신규한 제초제 및 식물성장-조절 화합물 또는 그의 염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Q, W, R, R1, R2, R3, Y 및 Z는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특허청구된 일반식(I)에 정의된 바와같다.
상기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II)의 신규 화합물을 하기 일반식(III)의 헤테로사이클릭 카바메이트와 반응시켜 수득할 수 있다.
상기식에서, R′는 비치환되거나 치환된 아릴 또는 알킬이다.
유사하게, 상기 일반식(I) 화합물은 화합물(II)에 상응하는 페닐설포닐 카바메이트 또는 설포닐 이소시아네이트를 하기 일반식(V)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제초제는 특히 잡초를 선택적으로 방제하는데 적합하다.

Description

아릴설포닐우레아, 그의 제조방법, 및 제초제와 성장조절제로서의 그의 용도
본 발명은 농작물 보호제, 특히 헤테로사이클에 의해 치환된 페닐설포닐우레아 타입의 선택적 제초제 및 성장 조절제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EP-A-007,687에는 특히 하기 일반식(1)의 설포닐우레아가 언급되어 있다:
상기식에서, R2는 H, Cl, Br, F, (C1-C3) 알킬, -NO2, -SO2CH3, -OCH3, -SCH3, -CF3, -N(CH3)2, -NH2또는 -CN 이고; R3는 H, Cl, Br, F 또는 CH3이고; X는 CH 또는 N 이고; Q는 O, S 또는 임의로 치환된 NH 이고; Y 및 Z는 H, Cl 또는 다양한 유기 라디칼이다.
상기 화합물은 제초제 및 식물 성장 조절제로서 언급되어 있다.
EP-A-0,291,851 및 DE-A-3,900,472에는 하기 일반식(2)의 제초제 및 식물 성장-조절 설포닐우레아가 언급되어 있다:
상기식에서, Z는 F, Cl 또는 Br이고, R1은 H, 임의로 치환된 알킬, 알케닐, 알키닐 또는 사이클로 알킬이고, R2는 H, CH3또는 C2H5이고, R3는 H, F, Cl, Br, CH3또는 OCH3이고, R4는 H, CH3, (C1-C4) 알콕시이고, X는 CH 또는 N이다.
US 4,566,898 에는 특히 보리 및 밀에서 블랙 그라스(black grass)를 억제하기 위한 뛰어난 특성을 갖는 제초제로서의 하기 일반식(3)의 설포닐우레아가 언급되어 있다:
놀랍게도, 몇몇의 요오드화된 아릴설포닐우레아는 유리한 특성을 갖는다고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 및 그의 염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Q는 산소, 황 또는 -N(R4)-, 바람직하게는 O 또는 S, 특히 O이고; W는 산소 또는 황, 바람직하게는 O이고; Y 및 Z는 서로 독립적으로 CH 또는 N이나, Y와 Z가 동시에 CH가 아닌 경우, 바람직하게는 Y는 CH 또는 N이고, Z는 N이고; R은 수소; (C1-C12) 알킬; (C2-C10) 알케닐; (C2-C10) 알키닐; 할로겐, (C1-C4) 알콕시, (C1-C4) 티오알킬, -CN, (C2-C5) 알콕시카보닐 및 (C2-C6) 알케닐을 포함하는 그룹중에서 선택된 라디칼에 의해 일치환 내지 사치환된 (C1-C6) 알킬; (C1-C4) 알킬, (C1-C4) 알콕시, (C1-C4) 알킬티오 및 할로겐을 포함하는 그룹중에서 선택된 라디칼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3-C8) 사이클로알킬; (C5-C8) 사이클로알케닐; 페닐 라디칼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 (C1-C4) 알킬 ; 또는 하기 일반식(A-1) 내지 (A-10)의 라디칼이고;
X는 O, S, S(O) 또는 SO2이고; R1은 수소 또는 (C1-C3) 알킬이고; R2는 수소, 할로겐(바람직하게는 염소), (C1-C3) 알킬, (C1-C3) 알콕시이고, 이때 마지막으로 언급한 2개의 라디칼은 할로겐 또는 (C1-C3) 알콕시에 의해 일치환 또는 다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3는 수소, 할로겐(바람직하게는 염소), (C1-C3) 알킬, (C1-C3) 알콕시 또는 (C1-C3) 알킬티오[이때, 상기 언급한 알킬-함유 라디칼을 비치환되거나, 할로겐에 의해 일치환 또는 다치환되거나, (C1-C3) 알콕시 또는 (C1-C3) 알킬티오에 의해 일치환 또는 이치환된다]이거나, 일반식 NR5R6의 라디칼, (C3-C6) 사이클로알킬, (C2-C4) 알케닐, (C2-C4) 알키닐, (C3-C4) 알케닐 옥시 또는 (C3-C6) 알키닐옥시이고; R1는 수소, (C1-C4) 알킬 또는 (C1-C4) 알콕시이고, R5및 R6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4) 알킬, (C3-C4) 알케닐, (C1-C4) 할로알킬 또는 (C1-C4) 알콕시이다.
일반식(I) 및 하기에서, 알킬, 알콕시, 할로알킬, 알킬아미노 및 알킬티오 라디칼 뿐만아니라 상응하는 불포화 및/또는 치환된 라디칼은 각각의 경우에 직쇄이거나 분지될 수 있다. 또한 알콕시, 할로알킬 등과 같은 복합적인 의미에서의 알킬 라디칼은 예를들면 메틸, 에틸, n-또는 i-프로필, n-, i-, t- 또는 2-부틸등이다. 알케닐 및 알키닐 라디칼은 알킬 라디칼에 상응하는 가능한 불포화 라디칼의 의미를 가지며, 예를들면 2-프로페닐, 2- 또는 3-부테닐, 2-프로피닐 및 2- 또는 3-부티닐이다. 할로겐은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이다. 아릴은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고리와 임의로 융합될 수 있는 카보사이클릭 또는 헤테로 사이클릭 방향족 고리이고; 특히, 아릴은 페닐이다. 치환된 페닐은 할로겐, (C1-C4) 알킬, (C1-C4) 알콕시, (C1-C4) 할로알킬, (C1-C4) 티오알킬, (C2-C5) 알콕시카보닐, (C2-C5) 알킬카보닐옥시, 카복스아미드, (C2-C5) 알킬카보닐아미노, (C2-C5) 알킬아미노카보닐, 디-[(C1-C4) 알킬]아미노카보닐 및 니트로를 포함하는 그룹중에서 선택된 하나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의 라디칼에 의해 치환된 페닐이다. 치환된 아릴에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일반식(I)의 화합물은 -SO2-NH- 그룹의 수소가 농업에 적합한 양이온에 의해 치환되는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염의 예는 금속 염, 특히 알칼리 금속 염 알칼리 토금속 염 뿐만 아니라, 암모늄 염 또는 유기 아민과의 염이다. 염 형성은 강산과 일반식(I) 화합물의 헤테로사이클 잔기와의 부가반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산의 예를 HCl, HNO3, 트리클로로아세트산, 아세트산 또는 팔미트산이다.
몇몇의 일반식(I) 화합물은 하나이상의 비대칭 탄소원자 또는 일반식(I)에서 개별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이중결합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식(I)은 그의 특정한 공간 형태에 의해 정의되는 모든 가능한 입체이성체, 예를들면 에난티오머, 부분입체이성체, Z 및 E 이성체를 포함하며, 이들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또는, 선택적으로, 입체화학적으로 순수한 출발물질과 병용한 입체선택적 반응에 의해 입체이성체의 혼합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순수한 형태로 언급한 입체이성체 및 또한 그의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관심있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R이 수소; (C1-C6) 알킬;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할로겐, (C1-C2) 알콕시, (C1-C2) 티오알킬, (C2-C3) 알콕시 카보닐 및 (C2-C4) 알케닐을 포함하는 그룹중에서 선택된 라디칼에 의해 일치환 내지 사치환, 바람직하게는 일치환된 (C1-C4) 알킬; (C1-C4) 알킬, (C1-C4) 알콕시, (C1-C4) 알킬티오 및 할로겐을 포함한 그룹중에서 선택된 라디칼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5-C6) 사이클로알킬; (C5-C6) 사이클로알케닐; 할로겐, (C1-C2) 알킬, (C1-C2) 알콕시, (C1-C2) 할로알킬, (C1-C2) 티오알킬 및 (C2-C4) 알콕시카보닐을 포함하는 그룹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개의 라디칼에 의해 페닐 라디칼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벤질; 또는 상기 언급한 일반식(A-1) 내지 (A-10)의 라디칼이고, X가 O, S, S(O) 또는 SO2, 바람직하게는 O인 화합물이다.
특히 관심있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R1이 수소 또는 CH3이고; R2가 수소, 할로겐(바람직하게는 염소), (C1-C2) 알킬, (C1-C2) 알콕시이고, 이때 상기 마지막으로 언급한 2개의 라디칼은 비치환되거나, 할로겐 또는 (C1-C3) 알콕시에 의해 일치환 또는 다치환되고; R3가 수소, 할로겐(바람직하게는 염소), (C1-C2) 알킬, (C1-C2) 알콕시 또는 (C1-C2) 알킬티오[이때 상기 언급한 알킬-함유 라디칼은 비치환되거나, 할로겐에 의해 일치환 또는 다치환되거나, (C1-C2) 알콕시 또는 (C1-C2) 알킬티오에 의해 일치환 또는 이치환된다]이거나, 일반식 NR5R6의 라이칼이고; R4가 수소 또는 (C1-C2) 알킬이고; R5및 R6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2) 알킬인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I)의 바람직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W가 산소이고, R1이 수소 또는 CH3인 화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Y가 CH 또는 N이고, Z가 N이고, R2가 수소, CH3, CH2CH3, OCH3, OCH2CH3, OCHF2, Cl이고, R3가 수소, CH3, CH2CH3, OCH3, OCH2CH3, OCHF2, NH(CH3), N(CH3)2, CF3, OCH2CF3또는 Cl 인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바람직한 화합물은 상기 언급한 바람직한 특징의 혼합을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a) 하기 일반식(II)의 화합물을 하기 일반식(III)의 헤테로사이클릭 카바메이트와 반응시키거나, 또는
(b)하기 일반식(IV)의 페닐설포닐 카바메이트를 하기 일반식(V)의 아미노헤테로사이클과 반응시키거나, 또는
(c) 하기 일반식(VI)의 설포닐 이소시아네이트를 상기 단계(b)에서 언급한 일반식(V)의 아미노헤테로사이클과 반응시킴을 포함하는,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R′는 비치환되거나 치환된 아릴 또는 알킬, 바람직하게는 비치환되거나 치환된 페닐 또는 (C1-C4) 알킬, 특히 페닐 또는 메틸이다.
일반식(II)와 (III)의 화합물은 아세토니트릴, 디옥산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같은 불활성 용매중에서 0℃ 내지 용매의 비점온도에서 염기성 촉매에 의해 반응한다. 1,8-디아자비사이클로[5. 4.0] 운데크-7-엔(DBU)이 염기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폰아미드(II)는 신규화합물이며, 본 발명은 또한 이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하기 표 1a 및 1b를 참조)에 관한 것이다. 이 화합물은 상응하는 설포닐 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상응하는 설포클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수득되며, 이는 암모니아와 직접 반응하거나 3급-부틸아민과 반응한 후, 예를들면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하여 보호그룹을 제거하여, 일반식(II)의 설폰아미드를 생성시킨다. 상기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설포닐 할라이드는 염산 또는 아세트산 중의 염화 제1구리(I)와 같은 촉매의 존재하에 상응하는 아닐린을 디아조화하고 디아조 그룹을 이산화황으로 교환시켜 수득할 수 있다(참조 : Meerwein, Chem. Ber. 90, 841-52(1957)).
일반식(III)의 카바메이트는 남아프리카 특허원 제 82/5671 호 및 제 82/5045 호(또는 각각 EP-A-0,072,347 및 EP-A-0,070,802)에 언급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IV)는 디옥산, 아세토니트릴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같은 불활성 비양성자성 용매중에서 0℃ 내지 용매의 비점온도에서 아미노헤테로사이클(V)와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한 일반식(V)의 출발 화합물은 공지되어 있거나, 주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참조: “The Chemistry of Heterocyclic Compounds”, Vol. XVI, (1962), Interscience Publ., New York & London, and Supplement I of this manual). 아미노-치환된 트리아진 유도체는 몰린 및 라파포트(Smolin and Rapaport)의 문헌[“The Chemistry of Heterocyclic Compounds”, Vol, XIII, (1959), Interscience Publ., New York & London]에 재검토 되어 있다. 요오드화 페닐설포닐 카바메이트(IV)는 EP-A-0,044,808 또는 EP-A-0,237,292에 제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수득된다.
일반식(VI)의 요오드화 아릴설포닐 이소시아네이트는 신규 화합물이며,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 화합물은 EP-A-0,184,385의 방법과 유사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언급한 일반식(V)의 아미노 헤테로사이클과 반응할 수 있다.
일반식(I) 화합물의 염은 물, 메탄올, 디클로로메탄 또는 아세톤과 같은 불활성 용매중에서 0°내지 100°의 온도에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염의 제조에 적합한 염기의 예는 알칼리 금속 카보네이트(예: 탄산칼륨),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및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암모니아 또는 에탄올아민이다. 염 형성에 특히 적합한 산은 HCl, HNO3, 트리클로로아세트산, 아세트산 또는 팔미트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I)의 화합물은 경제적으로 중요한 폭넓은 단자엽 및 쌍자엽 잡초에 대해 탁월한 제초활성을 갖는다. 이 활성물질은 근경 또는 기타 다년생 기관으로부터 새싹이 나오며 쉽게 억제될 수 없는 다년생 잡초에 동등하게 작용한다. 본원에서, 상기 물질을 파종전에 적용하거나, 발아전 또는 발아후 처리하는 것과는 무관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에 의해 억제시킬 수 있는 몇몇의 대표적인 단자엽 및 쌍자엽 잡초군은 예로서 개별적으로 언급될 수 있지만 특정 종류로 제한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억제된 단자엽 잡초 종에는, 예를들면 아베나(Avena), 롤륨(Lolium), 알로페쿠러스(Alopecurus), 팔라리스(Phalaris), 에키노클로아(Echinochloa), 디지타리아(Digitaria), 세타리아(Setaria) 및 일년생 사이페루스(Cyperus)종이 있으며, 다년생종에는 아그로파이론(Agropyron), 사이노돈(Cynodon), 임페라타(Imperata) 및 소르검(Sorghum) 및 다년생 사이페루스 종이 있다.
쌍자염 잡촉 종중에서, 작용 범위는, 예를들면 일년생 식물중에서 갈륨(Galium), 비올라(Viola), 베로니카(Veronica), 라뮴(Lamium), 스텔라리아(Stellaria), 아마란투스(Amaranthus), 시나피스(Sinapis), 이포모아(Ipomoer), 마트리카리아(Matricaria), 아부틸론(Abutilon), 시다(Sida), 및 다년생 잡초중에서 콘볼불러스(Convolvulus), 서슘(Cirsium), 루멕스(Rumex), 아테미시아(Artemisia)를 포함한다.
사기타이아(Sagittaria), 알리스마(Alisma), 엘레오카리스(Eleocharis), 서퍼스(Scirpus), 사이페루스(Cyperus)등과 같은 쌀에서 특정 배양 조건하에 일어나는 잡초의 탁월한 억제가 본 발명에 따른 활성 물질에 의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발아전 토양 표면에 적용하는 경우, 잡초 묘목의 발아가 완전히 저해되거나, 잡초가 떡잎 단계에 도달할때까지 성장하고, 이어서 성장이 멈추며, 3 내지 4주후에 식물은 결국 완전히 죽는다. 발아후 방법에서 활성물질을 식물의 녹색 부분에 적용하는 경우, 처리한 후 즉시 성장은 멈추며, 잡초 식물은 적용시 성장단계를 유지하거나, 특정 시간후, 보다 빨리 또는 조금 빨리 죽어서 농작물에 유해한 잡초의 경쟁을 본 발명에 따른 신규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매우 이른 단계에서 지속적인 방법으로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화합물은 단자엽 및 쌍자엽 잡초에 대해 탁월한 제초 활성을 가지지만, 경제적으로 중요한 농작물, 예를들면 밀, 보리, 호밀, 옥수수, 쌀, 사탕무우, 목화 및 콩은 단지 무수할 정도로 손상되거나, 전혀 손상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용한 식물의 농경지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식물 성장을 선택적으로 억제시키는데 매우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농작물에서 식물 성장-조절 특성을 갖는다. 상기 화합물은 조절 방법으로 식물 신진대사를 간섭하고, 따라서, 예를들면 건조, 절단, 및 성장을 정지시킴으로써 수확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식물을 파괴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바람직하지 못한 식물 성장을 일반적으로 조절하고 저해하는데 적합하다. 식물 성장의 저해는 많은 단자엽 및 쌍자엽 농작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이유는 로징(lodging)이 감소될 수 있거나 완전히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우세한 생물학적 및/또는 물리화학적 파라메타에 따라 많은 방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가능한 제형의 예는 다음과 같다: 습윤성 분말(WP), 수용성 분말(SP), 수용성 농축물, 유화성 농축물(EC), 유화액(EW)(예: 수중유 및 유중수 유화액), 분무성 용액 또는 유화액, 현탁 농축물(SC), 오일 또는 물 기재 분산액, 유-혼화성 용액, 서스포유화액, 캡슐 현탁액(CS), 분제(DP), 드레싱제, 살포용 및 토양 적용 과립, 미세과립 형태의 과립(GR), 분무과립, 피복과립 및 흡착과립, 수-분산성 과립(WG), 수용성 과립(SG), ULV 제형, 미세캡슐 및 왁스.
이러한 개개 유형의 제형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문헌[Winnacker-Kuchler, “Chemische Technologie”, [Chemical Technology], Volume 7, G. Hauser Verlag, Munich, 4th Edn., 1986; van Valkenburg, “Pesticide Formulations”, Marcel Dekker, N. Y., 2nd Ed. 1972-73; K. Martens, “Spray Drying Handbook”, 3rd Ed. 1979, G. Goodwin Ltd. London]에 기재되어 있다.
불활성 물질, 계면활성제, 용매 및 기타 첨가제와 같은 제형화 보조제도 또한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문헌[Watkins, “Handbook of Insecticide Dust Diluents and Carriers”, 2nd Ed., Darland Books, Galdwell N.J.; H. v. Olphen, “Introduction to Clay Colloid Chemistry”; 2nd Ed., J. Wiley & Sons, N.Y.; Marsden, “Solvents Guide”, 2nd Ed., Interscience, N.Y. 1950; McCutcheon′s “Detergents and Emulsifiers Annual”, MG Publ. Corp., Ridgewood N.J.; Sisley and Wood, “Encyclopedia of Surface Active Agents”, Chem. Publ. Co. lcn., H. Y. 1964; Schonfeldt, “Grenzflachenaktive Athylenoxidaddukte”, [Surface-active Ethylene Oxide Adducts], Wiss. Verlagsgesell., Stuttgart 1976; Winnacker-Kuchler, “Chemische Technologie”, [Chemical Technology], Volume 7, G. Hauser Verlag Munich, 4th Ed. 1986]에 기술되어 있다.
습윤성 분말은 물중에 균일하게 분산되며 활성 물질 이외에도 또한 습윤제, 예를들면 폴리옥시에틸화된 알킬페놀, 폴리옥시 에틸화된 지방 알콜 및 지방 아민, 지방 알콜 폴리글리콜 에테르설페이트, 알칼설포네이트 또는 알킬아릴설포네이트, 및 분산제, 예를들면 나트륨 리그닌설포네이트, 나트륨 2, 2′-디나프틸메탄-6, 6′-디설포네이트, 나트륨 디부틸나프탈렌설포네이트 및 또한 나트륨 올레일메틸타우라이드를 희석제 또는 불활성 물질과 함께 함유하는 제제이다.
유화성 농축물은 활성 물질을 하나 이상의 유화제와 함께 유기용매, 예를들면 부탄올, 사이클로헥사논, 디메틸포름아미드, 크실렌 및 비교적 고비점의 방향족 화합물 또는 탄화수소중에 용해시켜 제조한다. 유화제로서는, 예를들면, 다음의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칼슘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와 같은 알킬아릴설폰산의 칼슘염, 또는 비이온성 유화제, 예를들면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 알킬아릴 폴리글리콜 에테르, 지방 알콜 폴리글리콜 에테르, 프로필렌 옥사이드/에틸렌 옥사이드 축합 생성물(예를 들면 블록 중합체), 알킬 폴리글리콜 에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분제는 활성 물질을 미분된 고체 물질, 예를들면, 활석, 천연 점토(예: 카올린, 벤토나이트 및 피로필라이트) 또는 규조토와 함께 분쇄하여 제조한다.
과립은 활성 물질을 흡착성 과립화 불활성 물질상에 분무하거나, 또는 활성 물질 농축물을 접착제, 예를들면 폴리비닐알콜,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그밖의 광물성 오일을 사용하여 모래, 카올리나이트 또는 과립화 불활성 물질과 같은 지지 물질의 표면에 분무시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적합한 활성 물질은 비료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통상의 방법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비료와의 혼합물로서 과립화 시킬 수도 있다.
디스크 과립, 유동-층 과립, 압출기 과립 및 분무 과립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참조: 예를들면, “Spray Drying Handbook”, 3rd Ed. 1979, G. Goodwin Ltd., London; J. E. Browing, “Agglomeration”, Chemical and Engineering 1967, pages 147 et seq.; “Perry's Chemical Engineer's Handbook”, 5th Ed., McGraw-Hill, New York 1973, p. 8-57.
농작물 보호 시약의 제형에 대한 정보는, 예를들면 클링만(G.G.Klingman)의 문헌[“Weed Control as a Science”,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1961, pages 81-96] 및 프레이어(J.D. Freyer), 에반스(A. Evans)의 문헌[“Weed Control Handbook”, 5th Ed.,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1968, pages 101-103]에서 발견할 수 있다.
습윤성 분말에 있어서, 활성 물질 농도는 예를 들어, 약 10 내지 90 중량%이며, 100 중량%에 대한 잔량은 통상의 제형 성분을 포함한다. 유화성 농축물의 경우, 활성 물질 농도는 약 1 내지 80 중량%이다. 분제 형태의 제형은 보통 약 1 내지 20 중량%의 활성 물질을 포함하며, 분무성 용액은 약 0.2 내지 20 중량%의 활성물질을 포함한다. 과립의 경우, 활성 물질 함량은 부분적으로는 활성 화합물이 액체 형태인지 고체 형태인지에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수-분산성 과립은 10 내지 90 중량%의 활성 물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활성 물질 제형은, 적합한 경우, 각각의 경우에 통상적인 접착제, 습윤제, 분산제, 유화제, 침투제, 용매, 충진제 또는 담체를 함유한다.
상기 제형을 기본으로, 경작가능한 농업에 활성적인 다른 물질, 예를들면 살충제, 살비제, 살진균제 및 제초제, 및/또는 비료 및/또는 성장 조절제와 같은 농약을 레디믹스(readymix) 또는 탱크 혼합 형태로 병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I)의 화합물은 예를들면, 문헌[Weed Research 26, 441-5(1986)] 또는 [“The Resticide Manual”, 9th Edition,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1990, England]에 공지된 추가의 제초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하기 활성 물질은 문헌에 공지되고 일반식(I)의 화합물과 함께 본 발명에 따라 혼합할 수 있는 제초제의 예로서 언급될 수 있다(활성물질 각각의 통상 명칭, 또는 제조업자의 코드는 전자에 나타내었고, 화학명은 후자에 나타내었다):
통상 명칭(또는 제조업자의 코드) : 화학명
Ac 263222: 2-[4, 5-디하이드로-4-메틸-4-(1-메틸에틸)-5-옥소-1H-이미다졸-2-일]-5-메틸-3-피리딘카복실산;
아세토클로로: 2-클로로-N-(에톡시메틸)-N-(2-에틸-6-메틸페닐)아세트아미드;
아시드플루오르펜: 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벤조산;
아클로니펜: 2-클로로-6-니트로-3-페녹시아닐린;
AKH 7088: 메틸 [[[1-[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닐]-2-메톡시에틸리덴]아미노]옥시]아세테이트;
알라클로로: 2-클로로-N-(2, 6-디에틸페닐)-N-(메톡시메틸)아세트아미드;
알록시딤: 메틸 3-[1-(알릴록시이미노)-부틸]-4-하이드록시-6, 6-디메틸-2-사이클로헥스-3-엔카복실레이트;
아메트린: N-에틸-N′-(1-메틸에틸)-6-(메틸티오)-1, 3, 5-트리아진-2, 4-디아민;
아미도설푸론: 1-[N-메틸-N-(메틸설포닐)-아미노설포닐]-3-(4, 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우레아;
아미트롤: 1H-1, 2,4-트리아졸-3-아민;
AMS: 암모늄 설파메이트;
아닐로포스: S-[2-[(4-클로로페닐)(1-메틸에틸)아미노]-2-옥소에틸]0, 0-디메틸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아설람 메틸: [(4-아미노페닐)설포닐]카바메이트;
아트라진: 6-클로로-N-에틸-N′-(1-메틸에틸)-1, 3, 5-트리아진-2, 4-디아민;
아지프로트린; 2-아지도-N-(1-메틸에틸)-6-메틸티오-1, 3, 5-트라아진-2-아민;
바반: 4-클로로-2부티닐 3-클로로페닐카바메이트;
BAS 516H: 5-플루오로-2-페닐-4H-3, 1-벤즈옥사진-4-온;
베나졸린: 4-클로로-2-옥소-3(2H)-벤조티아졸아세트산;
벤플루랄린: N-부틸-N-에틸-2, 6-디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아민;
벤푸레세이트: 2, 3-디하이드로-3, 3-디메틸벤조푸란-5-일 에탄설포네이트;
벤설푸론-메틸: 메틸 2-[[[[(4, 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메틸]벤조에이트;
벤설리드: 0, 0-비스-(1-메틸에틸) S-[2-[(페닐설포닐)아미노]에틸]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벤타존: 3-(1-메틸에틸)-1H-2, 1, 3-벤조티아디아진-4(3H)-온, 2, 2-디옥사이드;
벤조페납: 2-[[4-(2, 4-디클로로-3-메틸벤조일)-1, 3-디메틸-1H-피라졸-5-일]-옥시]-1-(4-메틸페닐)에타논;
벤조플루오르: N-[4-(에틸티오)-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탄설폰아미드;
벤조일프로프-에틸: 에틸 N-벤조일-N-(3, 4-디클로로페닐)-알라니네이트;
벤즈티아주론: N-2-벤조티아졸릴-N′-메틸우레아;
비알라포스: 4-(하이드록시메틸포스피닐)-L-2-아미노부타노일-L-알라닐-L-알라닌;
비페녹스: 메틸 5-(2, 4-디클로로페녹시)-2-니트로벤조에이트;
브로마실: 브로모-6-메틸-3-(1-메틸프로필)-2, 4(1H, 3H)-피리미딘디온;
브로모부티드 N-[(1, 1-디메틸)메틸페닐]-브로모-3, 3-디메틸부티라미드;
브로모페녹심: 3, 5-디브로모-4-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 0-(2, 4-디니트로페닐)옥심;
브로목시닐: 3, 5-디브로모-4-하이드록시벤조니트릴;
브로무론: N′-(4-브로모페닐)-N, N-디메틸우레아;
부미나포스: 디부틸 [1-(부틸아미노)사이클로헥실]포스포네이트;
부타클로르: N-(부톡시메틸)-2-클로로-N-(2, 6-디에틸페닐)아세트아미드;
부타미포스: 0-에틸 0-(5-메틸-2-니트로페닐)(1-메틸-프로필)포스포라미도티오에이트;
부테나클로르: (Z)-N-부트-2-에닐록시메틸-2-클로로-2′, 6′-디에틸아세트아닐리드;
부속시논: 3-[5-(1, 1-디메틸에틸)-이속사졸-3-일]-4-하이드록시-1-메틸-2-이미다졸리디논;
부티다졸: 3-[5-(1, 1디메틸에틸)-1, 3, 4-티아디아졸-2-일]-4-하이드록시-1-메틸-2-이미다졸리디논;
부트랄린: 4-(1, 1-디메틸에틸)-N-(1-메틸프로필)-2, 6-디니트로벤젠아민;
부틸레이트: S-에틸 비스(2-메틸프로필)카바모티오에이트;
C 4874: (테트라하이드로-2-푸라닐)메틸 2-[4-[(6-클로로-2-퀴녹살리닐)옥시]페녹시]프로파노에이트;
카베타미드: (R)-N-에틸-2-[[(페닐아미노)카보닐]옥시]프로판아미드;
CDAA: 2-클로로-N, N-디-2-프로페닐아세트아미드;
CDEC: 2-클로로알릴 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트;
CGA: 184927 2-프로피닐 2-[4-[(5-클로로-3-플루오로-2-피리디니닐)옥시]페녹시]프로파노에이트;
클로메톡시펜: 4-(2, 4-디클로로페녹시)-2-메톡시-1-니트로벤젠;
클로람벤: 3-아미노-2, 5-디클로로벤조산;
클로르브로무론: 3-(4-브로모-3-클로로페닐)-1-메톡시-1-메틸우레아;
클로르부팜: 1-메틸-2-프로피닐(3-클로로페닐)카바메이트;
클로르페낙: 2, 3, 6-트리클로로벤젠아세트산;
클로르플루레콜-메틸: 메틸 2-클로로-9-하이드록시-9H-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클로리다존: 5-아미노-4-클로로-2-페닐-3(2H)-피리다지논;
클로리무론 에틸: 에틸 2-[[[[(4-클로로-6-메톡시-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벤조에이트;
클로르니트로펜: 1, 3, 5-트리클로로-2-(4-니트로페녹시)벤젠;
클로로톨루론: N′-(3-클로로-4-메틸페닐)-N, N-디메틸우레아;
클로록수론: N′-[4-(4-클로로페녹시)페닐]-N, N-디메틸우레아;
클로르프로팜: 1-메틸에틸 3-클로로페닐카바메이트;
클로르설푸론: 2-클로로-N[[(4-메톡시-6-메틸-1, 3, 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보닐]벤젠설폰아미드;
클로르탈-디메틸: 디메틸 2, 3, 5, 6-테트라클로로-1, 4-벤진디카복실레이트;
클로르티아미드: 2, 6-디클로로벤젠카보티오아미드
신메틸린: 엑소-1-메틸-4(1-메틸에틸)-2-[(2-메틸-페닐)메톡시]-7-옥사비사이클로[2. 2. 1]헵탄;
시노설푸론: 1-(4, 6-디메톡시-1, 3, 5-트리아진-2-일)-3-[2-(2-메톡시에톡시)페닐설포닐]우레아;
클레토딤: (E, E)-2-[1-[[(3-클로로-2-프로페닐)옥시]이미노]프로필]-5-[2-(에틸티오)프로필]-3-하이드록시-2-사이클로헥센-1-온;
클로마존: 2-[(2-클로로페닐)메틸]-4, 4-디메틸-3-이속사졸리디논;
클로메프로프: [(2, 4-디클로로-3-메틸페닐)옥시]-2-프로피온아닐리드;
클로프로폭시딤: (E, E)-2-[1-[[(3-클로로-2-프로페닐)옥시]-이미노]부틸]-5-[2-(에틸티오)프로필]-3-하이드록시-2-사이클로헥센-1-온;
클로피랄리드: 3, 6-디클로로-2-피리딘카복실산;
시아나진: 2-[[4-클로로-6-(에틸아미노)-1, 3, 5-트리아진-2-일]아미노]-2-메틸프로판니트릴;
사이클로에이트: S-에틸 사이클로헥실에틸카바모티오에이트;
사이클록시딤: 2-[1-(에톡시이미노)부틸]-5-(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란-3-일)-3-하이드록시-2-사이클로헥센-1-온;
사이클루론: 3-사이클로옥틸-1-디메틸우레아;
사이퍼콰트: 1-메틸-4-페닐피리디늄;
사이프라진: 2-클로로-4-(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6-(이소프로필아미노)-s-트리아진;
사이프라졸: N-[5-(2-클로로-1, 1-디메틸에틸)-1, 3, 4-티아디아졸-2-일]-사이클로프로판카복스아미드;
2, 4-DB: 4-(2, 4-디클로로페녹시)부타노산;
달라폰: 2, 2-디클로로프로파노산;
데스메디팜: 에틸 [3-[[(페닐아미노)카보닐]옥시]페닐]카바메이트;
데스메트린: 2-(이소프로필아미노)-4-(메틸아미노)-6-(메틸티오)-s-트리아진;
디-알레이트: S-(2, 3-디클로로-2-프로페닐)비스(1-메틸에틸)-카바모티오에이트;
디캄바: 3, 6-디클로로-2-메톡시벤조산;
디클로베닐: 2, 6-디클로로벤조니트릴;
디클로르프로프: 2-(2, 4-디클로로페녹시)프로파노산;
디클로포프-메틸: 메틸 2-[4-(2, 4-디클로로페녹시]-프로파노에이트;
디에타틸: N-(클로로아세틸)-N-(2, 6-디에틸페닐)글리신;
디페녹수론: N′-[4-(4-메톡시페녹시)페닐]-N, N-디메틸우레아;
디펜조콰트: 1, 2-디메틸-3, 5-디페닐-1H-피라졸륨;
디플루페니칸: N-(2, 4-디플루오로페닐)-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3-피리딘카복스아미드;
디메푸론: N′-[3-클로로-4-[5-(1, 1-디메틸에틸)-2-옥소-1, 3, 4-옥사디아졸-3(2H)-일]페닐]-N, N-디메틸우레아;
디메타클로르: 2-클로로-N-(2, 6-디메틸페닐)-N-(2-메톡시에틸)아세트아미드;
디메타메트린: N-(1, 2-디메틸프로필)-N′-에틸-6-(메틸티오)-1, 3, 5-트리아진-2, 4-디아민;
디메티핀: 2, 3-디하이드로-5, 6-디메틸-1, 4-디티인, 1, 1, 4, 4-테트라옥사이드;
디니트라민: N3, N3-디에틸-2, 4-디니트로-6-(트리플루오로메틸)-1, 3-벤젠디아민;
디노셉: 2-(1-메틸프로필)-4, 6-디니트로페놀;
디노터브: 2-(1, 1-디메틸에틸)-4, 6-디니트로페놀;
디펜아미드: N, N-디메틸-2, 2-디페닐아세트아미드;
디프로페트린: 6-에틸티오-N, N′-비스(1-메틸에틸)-1, 3, 5-트리아진-2, 4-디아민;
디콰트: 6, 7-디하이드로디피리도[1, 2-a: 2′, 1′-c]피라진디윰,
디티오피르: 2-(디플루오로메틸)-4-(2-메틸프로필)-6-(트리플루오로메틸)-3, 5-피리딘디카보티오산;
디우론: N′-(3, 4-디클로로페닐)-N, N-디메틸우레아;
DNOC: 2-메틸-4, 6-디니트로페닐;
DPX-A7881: 메틸 2-[[[[(4-에톡시-6-N-(메틸)아미노-1, 3, 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벤조에이트;
DPX-E9636: N-[[4, 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3-(에틸설포닐)-2-피리딘설폰아미드;
다임론: N-(4-메틸페닐)-N′-(1-메틸-1-페닐에틸)우레아;
에글리나진-에틸: 에틸 N-[4-클로로-6-(에틸아미노)-1, 3, 5-트리아진-2-일]글리신에이트;
EL 177: 5-시아노-1-(1, 1-디메틸에틸)-N-메틸-3H-피라졸-4-카복스아미드;
엔도탈: 7-옥사비사이클로[2. 2. 1]헵탄-2, 3-디카복실산
EPTC: S-에틸 디프로필카바모티오에이트;
에스프로카브: S-(메틸페닐) N-에틸-N-(1, 2-디메틸)-프로필카바모티오에이트;
에탈플루랄린: N-에틸-N-(2-메틸-2-프로페닐)-2, 6-디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아민;
에티디무론: N-[5-(에틸설포닐)-1, 3, 4-티아디아졸-2-일]-N, N′-디메틸우레아;
에티오진: 4-아미노-6-(1, 1-디메틸에틸)-3-(에틸티오)-1, 2, 4-트리아진-5(4H)-온;
에토푸메세이트: 2-에톡시-2, 3-디하이드로-3, 3-디메틸-5-벤조푸라닐 메탄설포네이트;
F 5231: N-[2-클로로-4-플루오로-5[4-(3-플루오로프로필)-4, 5-디하이드로-5-옥소-1H-테트라졸-1-일]페닐]에탄설폰아미드;
페노프로프: 2-(2, 4, 5-트리클로로페녹시)프로파노산;
페녹사프로프-에틸: 에틸 2-[4-[(6-클로로-2-벤즈옥사졸릴)-옥시]-페녹시]프로파노에이트;
페누론: N, N-디메틸-N′-페닐우레아;
플람프로프-메틸: 메틸 N-벤조일-N-(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알라니네이트;
플라자설푸론: 1-(4, 6-디메톡시피리미딘-2-일)-3-[3-(트리플루옆官
플루아지폽-부틸: 부틸 2-[4-[[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디닐]-옥시]페녹시]프로파노에이트;
플루클로랄린: N-(2-클로로에틸)-2, 6-디니트로-N-프로필-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아민;
플루메투론: N, N-디메틸-N′-[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우레아;
플루미프로핀; 2-[4-클로로-2-플루오로-5-[(1-메틸-2-프로피닐)옥시]페닐]-4, 5, 6, 7-테트라하이드로-1H-이소인돌-1, 3(2H)-디온;
플루오로디펜: 2-니트로-1-(4-니트로페녹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플루오로글리코펜-에틸: 에틸 카복시메틸 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벤조에이트;
플루리돈: 1-메틸-3-페닐-5[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1H)-피리디논;
플루로클로리돈: 3-클로로-4-(클로로메틸)-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피롤리디논;
플루록시피르: 4-아미노-3, 5-디클로로-6-플루오로-2-피리딜옥시아세트산;
플루르타몬: 5-(메틸아미노)-2-페닐-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푸라논;
포메사펜: 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N-(메틸설포닐)-2-니트로벤즈아미드;
포사민: 에틸 하이드로겐 카바모일포스포네이트;
푸릴옥시펜: 3-[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페녹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
글루포시네이트: 4-[하이드록시(메틸)포스피노일]호모알라닌;
글리포세이트 N-(포스포노메틸)글리신;
할로사텐: 5-[6-클로로-2-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N-(에틸설포닐)-2-니트로벤즈아미드;
할록시포프 2-[4-[[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디닐]옥시]페녹시]프로파노산;
헥사지논: 3-사이클로헥실-6-(디메틸아미노)-1-메틸-1, 3, 5-트리아진-2, 4(1H, 3H)-디온;
HW52: N-(2, 3-디클로로페닐)-4-(에톡시메톡시)벤즈아미드;
이마자메타벤즈-메틸: 메틸 6-(4-이소프로필-4-메틸-5-옥소-2-이미다졸린-2-일)-m-톨루에이트 및 메틸 6-(4-이소프로필-4-메틸-5-옥소-2-이미다졸린-2-일)-p-톨루에이트;
이마자피르: 2-[4, 5-디하이드로-4-메틸-4-(1-메틸에틸)-5-옥소-1H-이미다졸 -2-일]-3-피리딘카복실산;
이마자퀸: 2-[4, 5-디하이드로-4-메틸-4-(1-메틸에틸)-5-옥소-1H-이미다졸-2-일]-3-퀴놀린카복실산;
이마제타피르: 2-[4, 5-디하이드로-4-메틸-4-(1-메틸에틸)-5-옥소-1H-이미다졸-2-일]-5-에틸-3-피리딘카복실산;
이마조설푸론: 2-클로로-N[[4, 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이미다조[1, 2-a]피리딘-3-설폰아미드;
이속시닐: 4-하이드록시-3, 5-디요오도벤조니트릴;
이소카바미드: N-(2-메틸프로필)-2-옥소-1-이미다졸리딘카복스아미드;
이소프로팔린: 4-(1-메틸에틸)-2, 6-디니트로-N, N-디프로필벤젠아민;
이소프로투론: N-[4-(메틸에틸)페닐]-N′, N′-디메틸우레아;
이소우론: N′-[5-(1, 1-디메틸에틸)-3-이속사졸릴]-N, N-디메틸우레아;
이속사벤: N-[3-(1-에틸-1-메틸프로필)-5-이속사졸릴]-2, 6-디메톡시벤즈아미드;
이속사피리포프: 2-[2-[4-[(3, 5-디클로로-2-피리디닐)옥시]페녹시]-1-옥소프로필]-이속사졸리딘;
카부틸레이트: 3-[[(디메틸아미노)카보닐]아미노]페닐(1, 1-디메틸에틸)카바메이트;
락토펜: 2-에톡시-1-메틸-2-옥소에틸 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벤조에이트;
레나실: 3-사이클로헥실-6, 7-디하이드로-1H-사이클로펜타피리미딘-2, 4(3H, 5H)-디온;
리누론: N′-(3, 4-디클로로페닐)-N-메톡시-N-메틸우레아;
MCPA: (4-클로로-2-메틸페녹시)아세트산;
MCPB: 4-(4-클로로-2-메틸페녹시)부타노산;
메코프로프: 2-(4-클로로-4-메틸페녹시)프로파노산;
메페나세트: 2-벤조티아졸-2-일옥시-N-메틸아세트아닐리드;
메플루이다이드: N[2, 4-디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아미노]페닐]아세트아미드;
메타미트론: 4-아미노-3-메틸-6-페닐-1, 2, 4-트리아진-5(4H)-온;
메타자클로로: 2-클로로-N-(2, 6-디메틸페닐)-N-(1(H)-피라졸-1-일메틸)아세트아미드;
메타벤즈티아주론: 1, 3-디메틸-3-(2-벤조티아졸릴)우레아;
메탐: 메틸카바모디티오산;
메타졸: 2-(3, 4-디클로로페닐)-4-메틸-1, 2, 4-옥사디아졸리딘-3, 5-디온;
메톡시페논: (4-메톡시-3-메틸페닐)(3-메틸페닐)메타논;
메틸다임론: N-메틸-N′-(1-메틸-1-페닐에틸)-N-페닐우레아;
메토브로무론: N′-(4-브로모페닐)-N-메톡시-N-메틸우레아;
메톨라클로르: 2-클로로-N(2-에틸-6-메틸페닐)-N-(2-메톡시-1-메틸에틸)아세트아미드;
메톡수론: N′-(3-클로로-4-메톡시페닐)-N, N-디메틸우레아;
메트리부진: 4-아미노-6-(1, 1-디메틸에틸)-3-(메틸티오)-1, 2, 4-트리아진-5(4H)-온;
메트설푸론-메틸메틸 2-[[[[(4-메톡시-6-메틸-1, 3, 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벤조에이트;
MH: 1, 2-디하이드로-3, 6-피리다진디온;
몰리네이트: S-에틸 헥사하이드로-1H-아제핀-1-카보티오에이트;
모날리드: N-(4-클로로페닐)-2,2-디메틸펜탄아미드;
모놀리누론: 3-(4-클로로페닐)-1-메톡시-1-메틸우레아;
모누론 N′-(4-클로로페닐)-N, N-디메틸우레아;
MT 128 6-클로로-N-(3-클로로-2-프로페닐)-5-메틸-N-페닐-3-피리다진아민;
MT 5950: N-[3-클로로-4-(1-메틸에틸)페닐]-2-메틸-펜탄아미드;
나프로아닐리드: 2-(2-나프탈레닐옥시)-N-페닐프로판아미드;
나프로파미드: N, N-디에틸-2-(1-나프탈레닐옥시)프로판아미드;
나프탈람: 2-[(1-나프탈레닐아미노)카보닐]벤조산;
NC 310: 4-(2, 4-디클로로벤조일)-1-메틸-5-벤질옥시-피라졸;
네부론: 1-부틸-3-(3, 4-디클로로페닐)-1-메틸우레아;
니코설푸론: 2-[[[[(4, 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N, N-디메틸-3-피리딘카복스아미드;
니파이락클로펜 5-아미노-1-(2, 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니트로피라졸;
니트랄릴: 4-(메틸설포닐)-2, 6-디니트로-N, N-디프로필아닐린;
니트로펜: 2, 4 -디클로로-1-(4-니트로페녹시)벤젠;
니트로플로오르펜: 2-클로로-1-(4-니트로페녹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노르플루라존: 4-클로로-5-(메틸아미노)-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2H)-피리다지논;
오르벤카브: S-[2-(클로로페닐)메틸]디에틸카바모티오에이트;
오리잘린 4-(디프로필아미노)-3, 5-디니트로벤젠설폰아미드;
옥사디아존: 3-[2, 4-디클로로-5-(1-메틸에톡시)페닐]-5-(1, 1-디메틸에틸)-1, 3, 4-옥사디아졸-2(3H)-온;
옥시플루오르펜: 2-클로로-1-(3-에톡시-4-니트로페녹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파라콰트: 1, 1′-디메틸-4, 4′-디피리디늄 이온;
페불레이트: S-프로필 부틸에틸카바모티오에이트;
펜디메탈린: N-(1-에틸프로필)-3, 4-디메틸-2, 6-디니트로벤젠아민;
퍼플루이돈: 1, 1-트리플루오로-N-[2-메틸-4-(페닐설포닐)페닐]메틴설폰아미드;
페니소팜: 3-[[(1-메틸에톡시)카보닐]아미노]페닐에틸페닐카바메이트;
펜메디팜: 3-[(메톡시카보닐)아미노]페닐 (3-메틸-페닐)카바메이트;
피클로람: 4-아미노-3, 5, 6-트리클로로-2-피리딘카복실산;
피페로포스: S-[2-(2-메틸-1-피페리디닐)-2-옥소에틸] 0, 0-디프로필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피리페놉-부틸: 부틸 2-[4-[(3, 5-디클로로-2-피리디닐)-옥시]페녹시]프로파노에이트;
PPG-1013: 메틸 5-[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니트로아세토페논 옥심 0-아세테이트;
프레틸라클로르: 2-클로로-N-(2, 6-디에틸페닐)-N-(2-프로폭시에틸)아세트아미드;
프리미설푸론-메틸: 메틸 2-[[[[[4, 6-비스(디플루오로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벤조에이트;
프로시아진: 2-[[4-클로로-6-(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1, 3, 5-트리아진-2-일]아미노]-2-메틸프로판니트릴;
프로디아민: 2, 4-디니트로-N3, N3-디프로필-6-(트리플루오로메틸)-1, 3-벤젠디아민;
프로플루랄린: N-(사이클로프로필메틸)-2, 6-디니트로-N-프로필-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아민;
프로글리나진-에틸: 에틸 N-[4-클로로-6-[(1-메틸에틸)아미노]-1, 3, 5-트리아진-2-일]글리시네이트;
프로메톤: 6-메톡시-N, N′-비스(1-메틸에틸)-1, 3, 5-트리아진-2, 4-디아민;
프로메트린: N, N′-비스(1-메틸에틸)-6-(메틸티오)-1, 3, 5-트리아진-2, 4-디아민;
프로파클로르: 2-클로로-N-(1-메틸에틸)-N-페닐아세트아미드;
프로파닐: N-(3, 4-디클로로페닐)프로판아미드;
프로파퀴자포프: 2-[[(1-메틸에틸리덴)아미노]옥시]에틸 2-[4-[(6-클로로-2-퀴녹살리닐)옥시]페녹시]프로파노에이트;
프로파진: 6-클로로-N, N′-비스(1-메틸에틸)-1, 3, 5-트리아진-2, 4-디아민;
프로팜 1-메틸에틸 페닐카바메이트;
프로피자미드: 3, 5-디클로로-N-(1, 1-디메틸-2-프로피닐)벤즈아미드;
프로설팔린 N-[[4-(디프로필아미노)-3, 5-디니트로페닐]설포닐]-S, S-디메틸설필리민;
프로설포카브: S-(페닐)메틸 디프로필카바모티오에이트;
프리나클로르: 2-클로로-N-(1-메틸-2-프로피닐)아세트아닐리드;
피라졸리네이트: [4-(2, 4-디클로로벤조일)-1, 3-디메틸피라졸-5-일]톨루엔-4-설포네이트;
피라존: 5-아미노-4-클로로-2-페닐-3(2H)-피리다지논:
피라조설푸론-에틸: 1-(4, 6-디메톡시피리미딘-2-일)-3-[[(1-메틸)-4-(에톡시카보닐)피라졸-5-일]설포닐]우레아;
피라족시펜: 2-[[4-(2, 4-디클로로벤조일)-1, 3-디메틸-1H-피라졸-5-일]옥시]-1-페닐에타논;
피리부티카브: 0-[3-(1, 1-디메틸에틸)페닐](6-메톡시-2-피리디닐)메틸카바모티오에이트;
피리데이트: 0-(6-클로로-3-페닐-4-피리다지닐) S-옥탈카보노티오에이트;
퀸클로락: 3, 7-디클로로-8-퀴놀린카복실산;
퀸메락: 7-클로로-3-메틸-8-퀴놀린카복실산;
퀴잘로포프-에틸: 에틸 2-[4-(6-클로로-2-퀴녹살리닐)옥시]페녹시]프로파노에이트;
S 275: 2-[4-클로로-2-플루오로-5-(2-프로피닐옥시)페닐]-4, 5, 6, 7-테트라하이드로-2H-인다졸;
S 482: 2-[7-플루오로-3, 4-디하이드로-3-옥소-4-(2-프로피닐)-2H-1, 4-벤즈옥사진-6-일]-4, 5, 6, 7-테트라하이드로-1H-이소인돌-1, 3(2H)-디온;
섹부메톤: N-에틸-6-메톡시-N′-(1-메틸프로필)-1, 3, 5-트리아진-2, 4-디아민;
섹토시딤 2-[1-(에톡시이미노)부틸]-5-[2-(에틸티오)프로필]-3-하이드록시-2-사이클로헥센-1-온;
시두론: N-(2-메틸사이클로헥실)-N′-페닐우레아;
시마진: 6-클로로-N, N′-디에틸-1, 3, 5-트리아진-2, 4-디아민;
시메트린: N, N′-디에틸-6-(메틸티오)-1, 3, 5-트리아진-2, 4-디아민;
SN 106279: 메틸 2-[[7-[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나프탈레닐]옥시]프로파노에이트;
설포메투론-메틸: 메틸 2-[[[[(4, 6-디메틸-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벤조에이트;
TCA: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테부탐: 2, 2-디메틸-N-(1-메틸에틸)-N-(페닐메틸)프로판아미드;
테부티우론: N-[5-(1, 1-디메틸에틸)-1, 3, 4-티아디아졸-2-일]-N, N′-디메틸우레아;
터바실: 5-클로로-3-(1, 1-디메틸에틸)-6-메틸-2, 4(1H, 3H)-피리미딘디온;
터부카브: 2, 6-비스(1, 1-디메틸에틸)-4-메틸페닐메틸카바메이트;
터부클로르: N-(부톡시메틸)-2-클로로-N-[2-(1, 1-디메틸에틸)-6-메틸페닐]아세트아미드;
터부메톤: N-[1, 1-디메틸에틸)-N′-에틸-6-메톡시-1, 3, 5-트리아진-2, 4-디아민;
터부틸라진: 6-클로로-N-(1, 1-디메틸에틸)-N′-에틸-1, 3, 5-트리아진-2, 4-디아민;
터부트린: N-[1, 1-디메틸에틸)-N′-에틸-6-(메틸티오)-1, 3, 5-트리아진-2, 4-디아민;
TFH 450: N, N-디에틸-3-[(2-에틸-6-메틸페닐)-설포닐]-1H-1, 2, 4-트리아졸-1-카복스아미드;
티아자플루론: N, N′-디메틸-N-[5-(트리플루오로메틸)-1, 3, 4-티아디아졸-2-일]우레아;
티펜설푸론-메틸: 메틸 3-[[[[(4-메톡시-6-메틸-1, 3, 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티오펜카복실레이트;
티오벤카브: S-[(4-클로로페닐)메틸]디에틸카바모티오에이트;
티오카바질: S-(페닐메틸)-비스(1-메틸프로필)카바모티오에이트;
트랄콕시딤: 2-[1-(에톡시이미노)프로필]-5-[2, 4, 6-트리메틸페닐]-3-하이드록시-2-사이클로헥센-1-온;
트리-알레이트: S-(2, 3, 3-트리클로로-2-프로페닐) 비스(1-메틸에틸)카바모티오에이트;
트리아설푸론: 1-(4-메톡시-6-메틸-1, 3, 5-트리아진-2-일)-3-[2-(2-클로로에톡시)페닐설포닐]우레아;
트리아조펜아미드: 1-(3-메틸페닐)-5-페닐-1, 2, 4-트리아졸-2-카복스아미드;
트리베누론-메틸: 메틸 2-[[[N-(4-메톡시-6-메틸-1, 3, 5-트리아진-2-일)-N-메틸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벤조에이트;
트리클로피르: [(3, 5, 6-트리클로로-2-피리디닐)옥시]아세트산;
트리디판: 2-(3, 5-디클로로페닐)-2-(2, 2, 2-트리클로로에틸)옥시란;
트리에타진: 6-클로로-N, N, N′-트리에틸-1, 3, 5-트리아진-2, 4-디아민;트리플루랄린: 2, 6-디니트로-N, N-디프로필-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아민;
트리메투론: 1-(4-클로로페닐)-2, 3, 3-트리메틸슈도우레아;
버놀레이트: S-프로필 디프로필카바모티오에이트;
WL 110547: 5-페녹시-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테트라졸.
사용 형태를 갖는 활성 물질의 함량을 활성 물질의 중량을 기준으로, 예를들면 0.0001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99%의 폭 넓은 범위내에서 변할 수 있다.
농화학 제제(제형)는 일반적으로 제초제 활성물질 0.1 내지 99 중량%, 특히 0.1 내지 95 중량%, 및 저장 및 사용 조건하에 불활성인 제형화 보조제 1 내지 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9.9 중량%를 함유한다.
제제는 사용 형태에 적합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적용한다. 예를 들면, 시판용 형태로 존재하는 제제는, 예를들면 습윤성 분말, 유화성 농축물, 분산액 및 수-분산성 과립의 경우 물을 사용하여, 적합한 경우 통상의 방법으로 사용을 위해 희석된다. 분제 및 과립, 및 또한 분무성 용액 형태의 제제는 사용전에 다른 불활성 물질로 더 희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I) 화합물의 필요한 적용율은 특히 온도, 습도 및 사용한 제초제의 성질과 같은 외부 조건에 따라 변한다. 적용율은, 폭넓은 한계치내에서, 예를들면 0.001 내지 10.0kg/ha 이상의 활성 성분으로 변할수 있으나, 0.005 내지 5kg/ha가 바람직하다.
A. 화학 실시예
[N-3급-부틸-(2-요오도-3-메톡시카보닐)벤젠설폰아미드]
30㎖의 디클로로메탄중의 3급-부틸아민 24.1g의 용액을 실온에서 300㎖의 디클로로메탄중의 2-요오도-3-메톡시카보닐벤젠 설포클로라이드 59.3g에 적가한다. 실온에서 3시간동안 계속 교반하고, 혼합물을 2N 염산으로 세척하고, Na2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증발시킨다. 잔사를 에테르로 분해한다. 이로부터 무색 결정체의 형태로 30.0g의 N-3급-부틸-(2-요오도-3-메톡시카보닐)벤젠설폰아미드(융점 148-149℃)를 수득한다.
[실시예 2]
[2-요오도-3-메톡시카보닐벤젠설폰아미드]
27.9g의 N-3급-부틸-(2-요오도-3-메톡시카보닐)벤젠설폰아미드를 실온에서 4시간동안 100㎖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함께 교반하고, 혼합물을 비등시키면서 2시간동안 가열하고, 유기상을 진공중에 증발시킨다. 잔사를 디클로로메탄/물에 용해시키고, 탄산나트륨을 반응이 중성이 될때까지 가한다. 상을 분리하고,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수성상을 2회 이상 추출한다. 유기상을 배합하고, Na2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증발시킨다. 에테르와 함께 잔사를 교반한 후, 17.4g의 2-요오도-3-메톡시카보닐벤젠설폰아미드(융점 155-157℃)를 수득한다.
[실시예 3]
[메틸 2-아미노-4-요오도벤조에이트]
325㎖의 순수 메탄올중의 2-아세틸아미노-4-요오도벤조산(융점 233-235℃; 미합중국 특허 제 4,762,838 호에 따라 합성함) 16.1g의 용액을 0℃에서 무수 염화수소 기체로 포화시킨다. 혼합물을 15시간동안 가열하여 비등시키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무수 염화수소 기체를 사용하여 재포화사키고, 실온에서 24시간동안 정치시킨다.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키고 잔사를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유기상을 산으로부터 유리될때까지 포화 탄산수소나타륨수용액으로 세척한다. 유기상을 Na2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중에 증발시킨다. 이로부터 13.8g의 메틸 2-아미노-4-요오도벤조에이트(융점 63-67℃)를 수득한다.
[실시예 4]
[비스(2-메톡시카보닐-5-요오도벤젠)디설파이드]
13.8g의 메틸 2-아미노-4-요오도벤조에이트를 48㎖의 빙초산으로 처리하고, 계속하여 85㎖의 농축 염산으로 처리한다. 15㎖의 물중의 아질산나트륨 3.8g의 용액을 -5℃로 냉각시킨 상기 현탁액에 서서히 적가하고, 이 온도에서 30분동안 계속 교반한다. 냉각된 디아조늄 염 용액을 0℃에서 20㎖의 이산화황, 60㎖의 빙초산, 10㎖의 물 및 3.1g의 구리(II) 클로라이드 디하이드레이트의 용액에 적가하고, 먼저 0℃에서 1시간동안 계속 교반하고, 이어서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1ℓ의 빙수에 붓고, 생성물을 흡입여과한다. 이로부터 12.7g의 비스(2-메톡시카보닐-5-요오도벤젠)디설파이드(융점 133-135℃)르 수득한다.
[실시예 5]
[2-메톡시카보닐-5-요오도벤젠설포클로라이드]
발열 반응이 끝날때까지 20 내지 25℃에서 염소 기체를 30㎖의 1, 2-디클로로에탄 및 15㎖의 2N 염산 용액중의 비스(2-메톡시카보닐-5-요오도벤젠) 디설파이드 12.2g에 통과시킨다. 고형물을 흡입여과하고,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수성상을 추출하고, 유기상을 배합하고, Na2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중에 증발시킨다. 여과 및 추출된 생성물로부터 총량 15.0g의 2-메톡시카보닐-5-요오도벤젠설포클로라이드(융점 119-120℃(분해))를 수득한다.
[실시예 6]
[2-메톡시카보닐-5-요오도벤젠설폰아미드]
암모니아가 더이상 용해되지 않을 때까지 실온에서 암모니아를 100㎖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중의 2-메톡시카보닐-5-요오도벤젠설포클로라이드 15.0g에 통과시킨다. 용액을 진공중에 증발시키고, 잔사를 물과 함께 교반하고, 생성물을 흡입여과한다. 여액 잔사를 70℃에서 진공중에 건조시킨후, 10.7g의 2-메톡시카보닐-5-요오도벤젠설폰아미드를 흰색 분말(융점 176-177℃)로 수득한다.
[실시예 7]
[3-에톡시카보닐-2-요오도벤젠설포클로라이드]
24.0g의 에틸 3-아미노-2-요오도벤조에이트를 60㎖의 빙초산 및 120㎖의 농축 염산에 용해시킨다. 30㎖의 물중의 아질산나트륨 6.9g의 용액을 -5℃로 냉각시킨 상기 현탁액에 서서히 적가하고, 이 온도에서 30분동안 계속 교반한다. 냉각시킨 디아조늄 염 용액을 5 내지 10℃에서 70㎖의 빙초산, 70㎖의 농축염산, 및 대략 10℃에서 이산화황으로 포화시킨 3.0g의 구리(II) 클로라이드 디하이드레이트의 용액에 적가한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발열반응이 가라앉을때 까지 염소기체를 통과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1ℓ의 빙수에 붓고, 생성물을 흡입여과하고, 50℃에서 진공중에 건조시킨다. 이로부터 25.3g의 3-에톡시카보닐-2-요오도벤젠설포-클로라이드(융점 80-83℃)를 수득한다.
[실시예 8]
[3-에톡시카보닐-2-요오도벤젠설폰아미드]
실시예 6과 유사하게, 25.3g의 3-에톡시카보닐-2-요오도벤젠설포클로라이드 및 암모니아로 부터 20.4g의 3-에톡시카보닐-2-요오도벤젠설폰아미드(융점 138-139℃)를 수득한다.
[실시예 9]
[메틸 2-[[[[(4, 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4-요오도벤조에이트]
10㎖의 순수 아세토니트릴중의 1, 8-디아자비사이클로[5. 4. 0] 운데크-7-엔 1.7g의 용액을 실온에서 50㎖의 순수 아세토니트릴중의 5-요오도-2-메톡시카보닐벤젠설폰아미드 3.4g 및 0-페닐(4, 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카바메이트 2.8g의 혼합물에 적가한다.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3시간동안 교반하고, 대략 1/3로 농축하고 200㎖의 빙수에 붓는다. 디에틸 에테르를 사용하여 수성상을 추출하고, 농축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1 내지 2로 조정하고, 생성물을 흡입여과한다. 60℃에서 진공중에 건조시키고, 3.3g의 메틸 2-[[[(4, 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4-요오도벤조에이트(융점 169-171℃)를 수득한다.
[실시예 10]
[에틸 2-요오드-3-[[[[(4-메톡시-6-메틸-1, 3, 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벤조에이트]
14mmol의 트리메틸알루미늄(헥산중의 2M 용액 7㎖)을 질소 보호 대기하에 100㎖의 순수 디클로로메탄중의 3-에톡시카보닐-2-요오도벤젠설폰아미드 3.6g의 현탁액에 적가한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동안 교반하고, 25㎖의 디클로로메탄중의 O-메틸(4-메틸-6-메톡시-1, 3, 5-트리아진-2-일)카바메이트 2.2g을 가하고, 혼합물을 13시간동안 환류시킨다.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25㎖의 2N 염산을 얼음으로 냉각시키면서 적가하고,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염산 상을 2회 추출한다. 유기상을 진공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아세톤 및 100㎖의 10% 나트륨 아세테이트 수용액으로 처리한다. 혼합물을 3시간동안 교반하고, 흡입여과한 후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농축 염산을 사용하여 수성상을 pH 2 내지 3으로 조정하고, 15분동안 교반하고, 생성물을 흡입여과한다. 50℃에서 진공중에 건조시킨후, 1.7g의 에틸 2-요오도-3-[[[[(4-메톡시-6-메틸-1, 3, 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벤조에이트(융점 177-179℃)를 수득한다.
[실시예 11]
[2-메톡시카보닐-5-요오도벤젠설포닐 이소시아네이트]
실시예 6에서 수득한 50g의 설폰아미드를 150㎖의 1, 2-디클로로에탄에 현탁시키고, 이 현탁액을 27.7㎖의 티오닐 클로라이드로 처리한다. 혼합물의 4시간동안 가열하여 비등시키고, 50 내지 55℃로 냉각시키고, 0.5㎖의 피리딘으로 처리하고, 포스겐을 비등 용액에 3.5 시간동안 통과시킨다. 혼합물을 감압하에 수분을 제거하면서 농축한다. 남아있는 조 설포닐 이소시아네이트(52.6g)는 정치시 결정화된다.
[실시예 12]
[2-요오도-3-메톡시카보닐벤젠설포닐 이소시아네이트]
300㎖의 순수 아세톤중의 2-요오도-3-메톡시카보닐벤젠설폰아미드 27.3g 및 n-부틸 이소시아네이트 9.0㎖를 실온에서 12㎖의 DBU로 처리하고, 3시간동안 가열하여 비등시킨다. 반응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대략 부피의 1/3로 농축하고 1ℓ의 물을 붓는다. 수성상을 농축 염산으로 산성화하여 pH 1 내지 2로 조정하고, 수득한 침전물을 흡입여과한다. 31.3g의 메틸 2-요오도-[[[(n-부틸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벤조에이트(융점 163-167℃)를 수득한다.
29.0g의 생성된 부틸설포닐우레아를 400㎖의 클로로벤젠에 현탁시키고, 현탁액을 비등시킨다. 포스겐을 비등시 통과시킨다. 생성된 부틸 이소시아네이트를 클로로벤젠과의 혼합물 형태로 20cm 비그륙스 컬럼(Vigreux colum)상에서 5시간동안 서서히 증류시킨다. 혼합물을 수분을 제거하면서 진공중에 농축한다. 이로부터 오일의 형태로 28.4g의 2-요오도-3-메톡시카보닐벤젠설포닐 이소시아네이트를 수득한다.
표 1a 및 1b의 설폰아미드를 실시예 1 내지 8의 절차와 유사하게 수득한다.
표 2 내지 6의 설포닐우레아를 실시예 9 및 10의 절차와 유사하게 수득한다. 표에서, 약어는 각각의 표에서 나타난 일반식과 관련있다.
표 1c 및 1d의 설포닐 이소시아네이트는 실시예 11 및 12의 절차와 유사하게 수득한다.
[표 1a]
[표 1b]
[표 1c]
[표 1d]
[표 2]
[표 3]
[표 4]
[표 5]
[표 6]
B. 제형예
(a) 10 중량부의 일반식(I) 화합물 및 불활성 물질로서의 90 중량부의 활석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해머 밀에서 분쇄함으로써 분제를 수득한다.
(b) 25 중량부의 일반식(I) 화합물, 불활성 물질로서의 64 중량부의 카올린-함유 석영, 10 중량부의 칼륨 리그닌설포네이트, 및 습윤제 및 분산제로서의 1 중량부의 나트륨 올레일메틸타우라이드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핀-고정된 디스크 밀에서 분쇄함으로써 물에 쉽게 분산되는 습윤성 분말을 수득한다.
(c) 20 중량부의 일반식(I) 화합물을 6중량부의 알킬페놀 폴리글리콜 에테르((R)트리톤 X207), 3 중량부의 이소트리데탄올 폴리글리콜에테르(8EO) 및 71 중량부의 파라핀계 광유(예를들면 대략 255 내지 277℃의 비점)와 혼합하고, 이 혼합물의 본 밀에서 5μ 미만의 분말도로 분쇄함으로써 물에 쉽게 분산되는 분산 농축물을 수득한다.
(d) 15 중량부의 일반식(I) 화합물, 용매로서의 75 중량부의 사이클로헥산, 및 유화제로서의 10 중량부의 에톡실화 노닐페놀로 부터 유화성 농축물을 수득한다.
(e) 75 중량부의 일반식(I) 화합물, 10 중량부의 칼슘 리그닌설포네이트, 5 중량부의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3 중량부의 폴리비닐 알콜, 및 7 중량부의 카올린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핀-고정된 디스크 밀상에서 분쇄하고, 상기 분말을 과립화 액체로서 물위에 분무함으로써 유동상에서 과립화하여 수-분산성 과립을 수득한다.
(f) 선택적으로, 25 중량부의 일반식(I) 화합물, 5 중량부의 나트륨 2, 2′-디나프틸메탄-6, 6′-디설포네이트, 2 중량부의 나트륨 올레일메틸타우라이드, 1 중량부의 폴리비닐 알콜, 17 중량부의 칼슘 카보네이트 및 50 중량부의 물을 콜로이드 밀상에서 균질화 및 예비분쇄시키고, 계속하여 이 혼합물을 비이드 밀상에서 분쇄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단일-물질 노즐에 의해 분무 탑에서 분쇄 및 건조시킴으로써 수-분산성 과립을 수득한다.
(g) 20 중량부의 활성물질, 3 중량부의 나트륨 리그닌설포네이트, 1 중량부의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 76 중량부의 카올린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분쇄하고, 이를 물로 습윤시킴으로써 추출과립을 수득한다. 이 혼합물을 추출하고, 계속하여 공기 스트림에서 건조시킨다.
C. 생물학적 예
잡초에 대한 손상, 또는 농작물의 내성을 효율성을 0 내지 5의 숫자로 표현한 방법을 사용하여 등급을 매겼다. 숫자는 하기 의미를 갖는다:
0 = 효과 또는 손상이 없음
1 = 0 내지 20%의 효과 또는 손상
2 = 20 내지 40%의 효과 또는 손상
3 = 40 내지 60%의 효과 또는 손상
4 = 60 내지 80%의 효과 또는 손상
5 = 80 내지 100%의 효과 또는 손상
1. 잡초에 대한 발아전 효과
단자엽 및 쌍자엽 잡초의 종자 또는 근경을 플라스틱 포트내의 사영 토양에 넣고, 토양으로 덮었다. 습윤성 분말 또는 유화성 농축물의 형태로 제형화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600 내지 800ℓ의 물/ha (전환)의 적용율로 다양한 적용량으로 수성 현탁액 또는 유화액의 형태로 토양 표면에 적용하였다. 처리한 후, 포트를 온실에 넣고, 잡초가 양호하게 성장하는 상태를 유지시켰다. 시험 식물이 발아한 후, 식물에 대한 손상 또는 발아에 대한 유해한 효과를 미처리된 대조물과 비교하여 3 내지 4조의 시험기간후에 가시적으로 등급을 매겼다. 표 7에 숫자로 등급을 정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폭넓은 그라스(grass) 잡초 및 쌍자엽 잡초에 대한 양호한 발아전 제초 작용을 갖는다.
[표 7]
약어 : STME = 스텔라리아 메디아(Stellarial media)
CRSE = 크리산테뮴 세게튬(Chrysanthemum segetum)
SIAL = 시나피스 알바(Sinapis alba)
LOMU = 롤륨 멀티플로럼(Lolium multiflorum)
ECCR = 에키노클로아 크러스-갈리(Echinochloa crus-galli)
AVSA = 아베나 사티바(Avena sativa)
a. i. = 활성 성분
유사하게 양호한 활성이 표 2 내지 7의 다른 화합물의 경우에서도 일반적으로 발견된다.
2. 잡초에 대한 발아후 효과
단자엽 및 쌍자엽 잡초의 종자 또는 근경을 플라스틱 포트내의 사양 토양에 넣고, 토양으로 덮고, 양호한 성장 조건하에 온실에서 성장시켰다. 파종한지 3주후에, 시험 식물을 3-엽 단계에서 시험하였다.
습윤성 분말 또는 유화성 농축물로서 제형화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600 내지 800ℓ의 물/ha (전환)의 적용율로 식물의 녹색 부분에 다양한 적용량으로 분무하고, 시험 식물을 이상적인 성장 조건하에 약 3 내지 4주동안 온실에 유지시킨 후, 제제의 효과를 미처리된 대조물과 비교하여 가시적으로 등급을 매겼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는 또한 경제적으로 중요한 폭넓은 그라스 잡초 및 쌍자엽 잡초에 대해 양호한 발아후 제초 작용을 갖는다(표 8).
[표 8]
약어 : STME = 스텔라리아 메디아(Stellarial media)
CRSE = 크리산테뮴 세게튬(Chrysanthemum segetum)
SIAL = 시나피스 알바(Sinapis alba)
LOMU = 롤륨 멀티플로럼(Lolium multiflorum)
ECCR = 에키노클로아 크러스-갈리(Echinochloa crus-galli)
AVSA = 아베나 사티바(Avena sativa)
a. i. = 활성 성분
유사하게 양호한 활성이 또한 일반적으로 표 2 내지 7의 다른 화합물의 경우에서도 발견된다. EP-A-7687 또는 US-A-4,556,898의 화합물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I)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감륨 아파린(Galium aparine) 또는 에키노클로아 크러스-갈리와 같은 문제성 잡초에 대해 보다 좋은 활성을 나타낸다.
3. 농작물의 내성
온실 시험에 추가하여, 상당수의 농작물 및 잡초의 종자를 사양 토양에 붓고, 토양으로 덮었다.
몇몇의 포트를 상기 1에 기술된 바와같이 즉시 처리하고, 나머지 포트를 온실에 넣고 식물을 2 내지 3- 진엽으로 성장시키고, 이어서 상기 2에 기술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의 다양한 적용량으로 분무하였다.
적용한 후, 및 식물이 온실에 존재한 후 4 내지 5주째에 가시적 등급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발아전 및 발아후 사용될때 활성물질을 많이 적용하는 경우라도, 콩, 목화, 종유, 사탕무우 및 감자와 같은 쌍자엽 농작물에 대해 어떠한 손상도 끼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더우기, 몇몇의 물질은 또한 해를 입지 않은 보리, 밀, 호밀, 소르검(Sorghum)종, 옥수수 또는 쌀과 같은 그라미니아(Gramineae)농작물에 남아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농작물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식물의 성장을 저해하는데 사용한 경우 높은 선택성을 갖는다. US-A-4,566,898(참조: 일반식(3)의 화합물) 또는 EP-A-0,291,851의 실시예 80의 화합물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I)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특히 유용한 식물의 농작물에서 갈륨 아파린 또는 에키노클로아 크러스-갈리와 같은 문제성 잡초를 저해하는데 보다 좋은 선택성을 나타낸다.
4. 쌀에 사용한 경우 제초 효과
괴경 및 근경, 또는 사이퍼러스(Cyperus)종, 엘레오카리스(Eleocharis), 서퍼스(Scirpus) 및 에키노클로아(Echinochloa)와 같은 다양한 쌀 잡초의 어린 식물
또는 종자를 특별한 쌀 토양을 함유한 밀봉된 플라스틱 포트내에 넣거나 심고, 토양 높이위로 1cm 이하까지 물을 넣는다. 동일한 절차를 쌀에 적용한다.
발아전 사용시, 즉 옮겨심은지 3 내지 4일후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수성 현탁액 또는 유화액의 형태로 괴어있는 물에 붓거나, 과립의 형태로 물을 분산시킨다.
각각의 경우에 3 주후에, 쌀에 대한 제초 효과 및 임의의 유해한 효과를 가시적으로 등급을 매긴다.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쌀에서 선택적으로 잡초를 억제하는데 적합하다고 나타내었다. 현재 존재하는 쌀 제초제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쌀이 내성을 갖는 동안 다년생 기관으로 부터 발생하는 다수의 잡초, 특히 억제시키기가 어려운 잡초를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사실에의해 구별된다.

Claims (14)

  1.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상기식에서, Q는 산소 또는 황이고; W는 산소 또는 황이고; Y는 CH 또는 N이고; Z는 N이고; R은 수소; (C1-C12) 알킬; (C2-C10) 알케닐; (C2-C10) 알키닐; 할로겐, (C1-C4) 알콕시, (C1-C4) 티오알킬, -CN, (C2-C5) 알콕시카보닐 및 (C2-C6) 알케닐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라디칼에 의해 일치환 내지 사치환된 (C1-C6) 알킬; 또는 (C3-C8) 사이클로알킬이고; R1은 수소 또는 (C1-C3) 알킬이고; R2는 수소, 할로겐(C1-C3) 알킬, (C1-C3) 알콕시이고, 이때 마지막으로 언급한 2개의 라디칼은 할로겐 또는 (C1-C3) 알콕시에 의해 일치환 또는 다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3는 수소, 할로겐, (C1-C3) 알킬, (C1-C3) 알콕시 또는 (C1-C3) 알킬티오[이때, 상기 언급한 알킬-함유 라디칼을 비치환되거나, 할로겐에 의해 일치환 또는 다치환되거나, (C1-C3) 알콕시 또는 (C1-C3) 알킬티오에 의해 일치환 또는 이치환된다]이거나, 일반식 NR5R6의 라디칼, (C3-C6) 사이클로알킬, (C2-C4) 알케닐, (C2-C4) 알키닐, (C3-C4) 알케닐옥시 또는 (C3-C6) 알키닐옥시이고; R5및 R6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 알킬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Q가 O이고, W가 O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
  3. 제1항에 있어서, R이 수소 또는 (C1-C4) 알킬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
  4. 제1항에 있어서, R1이 수소 또는 CH3이고; R2가 할로겐 또는 (C1-C3) 알콕시에 의해 일치환 또는 다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3) 알킬 또는 (C1-C3)알콕시이고; R3가 클로로, (C1-C3) 알킬 또는 (C1-C3) 알콕시[이때, 상기 언급한 알킬-함유 라디칼은 비치환되거나, 할로겐에 의해 일치환 또는 다치환되거나, (C1-C3) 알콕시 또는 (C1-C3) 알킬티오에 의해 일치환 또는 이치환된다]이거나, 메틸아미노 또는 (C3-C6) 사이클로알킬인 화합물 도는 그의 염.
  5. 제1항에 있어서, W가 산소이고, R1이 수소 또는 CH3이고, R2가 수소, CH3, CH2CH3, OCH3, OCH2CH3, OCHF2, 또는 OCHF2이고, R3가 CH3, CH2CH3, OCH3, OCH2CH3, OCHF2, NH(CH3), CF3, OCH2CF3또는 Cl 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
  6. 하기 일반식(II)의 화합물을 하기 일반식(III)의 헤테로사이클릭 카바메이트와 반응시킴을 포함하는, 제1항에 정의된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제조방법;
    상기식에서, Q, Y, Z, R, R1, R2, 및 R3은 제1항에 따른 일반식(I)의 화합물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다.
  7.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및 통상적인 제형화 보조제를 포함하는 제초제 또는 식물 성장 조절제.
  8.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유효량을 식물, 식물의 종자 또는 식물의 재배지에 적용함을 포함하는, 원치않는 식물을 방제하거나 원치않는 식물의 성장을 조절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유효량을 식물, 식물의 종자 또는 식물의 재배지에 적용함을 포함하는, 잡초를 선택적으로 방제하거나 또는 식물 성장을 조절하는 방법.
  10. 3-아미노설포닐-4-요오도벤조산을 제외한 하기 일반식(II)의 화합물:
    상기식에서, Q 및 R은 제1항에 따른 일반식(I)의 화합물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다.
  11. 하기 일반식의 설포닐 할라이드를 암모니아 또는 3급-부틸 아민과 반응시키고, 이어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사용하여 보호기를 제거함을 포함하는 제10항에 따른 일반식(II) 화합물으 제조방법.
    상기식에서, Q 및 R은 일반식(II)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고, Hal은 F, Cl, Br 또는 I이다.
  12. 하기 일반식(VI)의 설포닐 이소시아네이트:
    상기식에서, Q 및 R은 제1항에 따른 일반식(I)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13. 하기 일반식(IV)의 페닐설포닐 카바메이트를 하기 일반식(V)의 아미노헤테로사이클과 반응시킴을 포함하는, 제1항에 정의된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제조방법:
    상기식에서, Q, Y, Z, R, R1, R2및 R3은 제1항에 따른 일반식(I)의 화합물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다.
  14. 하기 일반식(VI)의 설포닐 이소시아네이트를 하기 일반식(V)의 아미노헤테로사이클과 반응시킴과 포함하는, 제1항에 정의된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제조방법:
    상기식에서, Q, Y, Z, R, R1, R2및 R3은 제1항에 따른 일반식(I)의 화합물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다.
KR1019930702399A 1991-02-12 1992-02-12 아릴설포닐우레아, 그의 제조방법, 및 제초제와 성장조절제로서의 그의 용도 KR100236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104227 1991-02-12
DEP4104227.1 1991-02-12
PCT/EP1992/000304 WO1992013845A1 (de) 1991-02-12 1992-02-12 Arylsulfonylharnstoff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herbizide und wachstumsregulator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6807B1 true KR100236807B1 (ko) 2000-03-02

Family

ID=6424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2399A KR100236807B1 (ko) 1991-02-12 1992-02-12 아릴설포닐우레아, 그의 제조방법, 및 제초제와 성장조절제로서의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2) US5463081A (ko)
EP (1) EP0574418B1 (ko)
JP (1) JP2544566B2 (ko)
KR (1) KR100236807B1 (ko)
AT (1) ATE173250T1 (ko)
AU (2) AU666644B2 (ko)
BR (1) BR9205626A (ko)
CA (1) CA2103894C (ko)
DE (1) DE59209557D1 (ko)
DK (1) DK0574418T3 (ko)
ES (1) ES2124724T3 (ko)
HK (1) HK1009963A1 (ko)
HU (1) HU220023B (ko)
PL (1) PL171449B1 (ko)
RU (1) RU2314291C2 (ko)
UA (1) UA41258C2 (ko)
WO (1) WO1992013845A1 (ko)
ZA (1) ZA929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92970B (en) * 1991-02-12 1992-10-28 Hoechst Ag Arylsulfonylureas,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and their use as herbicides and growth regulators
DE4333249A1 (de) * 1993-09-30 1995-04-06 Hoechst Schering Agrevo Gmbh Neue Mischungen aus Herbiziden und Antidots
DE4411682A1 (de) * 1994-04-05 1995-10-12 Hoechst Schering Agrevo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arboxy-arensulfonsäuren und deren Carbonsäurederivaten
DE19520839A1 (de) * 1995-06-08 1996-12-12 Hoechst Schering Agrevo Gmbh Herbizide Mittel mit 4-Iodo-2-[3- (4-methoxy-6-methyl-1,3,5-triazin-2-yl) ureidosulfonyl] -benzoesäureestern
DE19625831A1 (de) * 1996-06-28 1998-01-02 Hoechst Schering Agrevo Gmbh 4-Jod-2-[N-(N-alkyl-aminocarbonyl)- aminosulfonyl)]-benzoesäuremethylester und -deriva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9832017A1 (de) 1998-07-16 2000-01-27 Hoechst Schering Agrevo Gmbh Herbizide Mittel mit substituierten Phenylsulfonylharnstoffen zur Unkrautbekämpfung in Reis
ES2405266T3 (es) 1998-08-13 2013-05-30 Bayer Cropscience Ag Agentes herbicidas para cultivos de maíz tolerantes o resistentes
DE19946341B4 (de) 1999-09-28 2008-06-05 Bayer Cropscienc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substituierter Phenylsulfonylharnstoffe aus Sulfohalogeniden
DE10036184A1 (de) 2000-07-24 2002-02-14 Aventis Cropscience Gmbh Substituierte Sulfonylaminomethylbenzoesäure(deriva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10135642A1 (de) * 2001-07-21 2003-02-27 Bayer Cropscience Gmbh Herbizid-Kombinationen mit speziellen Sulfonylharnstoffen
DE10209478A1 (de) * 2002-03-05 2003-09-18 Bayer Cropscience Gmbh Herbizid-Kombinationen mit speziellen Sulfonylharnstoffen
DE10209430A1 (de) 2002-03-05 2003-09-18 Bayer Cropscience Gmbh Herbizid-Kombination mit acylierten Aminophenylsulfonylharnstoffen
DE10218704B4 (de) * 2002-04-26 2006-11-30 Bayer Cropscience Gmbh Halosulfonylbenzoesäurehalogenid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substituierten Phenylsulfonylharnstoffen
DE102004011007A1 (de) 2004-03-06 2005-09-22 Bayer Cropscience Ag Suspensionskonzentrate auf Ölbasis
KR20070003981A (ko) 2004-03-27 2007-01-05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게엠베하 제초제 배합물
EP1717232A1 (de) * 2005-04-28 2006-11-02 Bayer CropScience GmbH Phenylsulfonylharnstoffe mit herbizider Wirkung
EP1717228A1 (de) * 2005-04-28 2006-11-02 Bayer CropScience GmbH Sulfonylamino(thio)carbonylverbindungen als Herbizide oder Pflanzenwachstumsregulatoren
EP1728430A1 (de) 2005-06-04 2006-12-06 Bayer CropScience GmbH Herbizide Mittel
DE102007013362A1 (de) 2007-03-16 2008-09-18 Bayer Cropscience Ag Penetrationsförderer für herbizide Wirkstoffe
EP1844654A1 (de) 2006-03-29 2007-10-17 Bayer CropScience GmbH Penetrationsförderer für agrochemische Wirkstoffe
EP2052610A1 (de) 2007-10-24 2009-04-29 Bayer CropScience AG Herbizid-Kombination
EP2052606A1 (de) 2007-10-24 2009-04-29 Bayer CropScience AG Herbizid-Kombination
EP2052605A1 (de) 2007-10-24 2009-04-29 Bayer CropScience AG Herbizid-Kombination
EP2052612A1 (de) 2007-10-24 2009-04-29 Bayer CropScience AG Herbizid-Kombination
EP2052609A1 (de) 2007-10-24 2009-04-29 Bayer CropScience AG Herbizid-Kombination
EP2052614A1 (de) 2007-10-24 2009-04-29 Bayer CropScience AG Herbizid-Kombination
EP2052615A1 (de) 2007-10-24 2009-04-29 Bayer CropScience AG Herbizid-Kombination
EP2052608A1 (de) 2007-10-24 2009-04-29 Bayer CropScience AG Herbizid-Kombination
EP2052607A1 (de) 2007-10-24 2009-04-29 Bayer CropScience AG Herbizid-Kombination
EP2052613A1 (de) 2007-10-24 2009-04-29 Bayer CropScience AG Herbizid-Kombination
EP2052611A1 (de) 2007-10-24 2009-04-29 Bayer CropScience AG Herbizid-Kombination
EP2052604A1 (de) * 2007-10-24 2009-04-29 Bayer CropScience AG Salz des 2-lodo-N-[(4-methoxy-6-methyl-1,3,5-triazin-2-yl)carbamoyl] benzolsulfonamids,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als Herbizide und Pflanzenwachstumregulatoren
EP2071950A1 (de) 2007-12-20 2009-06-24 Bayer CropScience AG Verfahren zur Authentizitätsprüfung von Pflanzenschutzmitteln mittels Isotopen
WO2011076731A1 (de) 2009-12-23 2011-06-30 Bayer Cropscience Ag Flüssige formulierung von 2-iodo-n-[(4-methoxy-6-methyl-1,3,5-triazin-2-yl)carbamoyl] benzolsulfonamid
WO2012087980A1 (en) 2010-12-21 2012-06-28 Agraquest, Inc. Sandpaper mutants of bacillus and methods of their use to enhance plant growth, promote plant health and control diseases and pests
BR112013020866A2 (pt) 2011-02-15 2016-08-02 Bayer Ip Gmbh combinações de compostos ativos
RU2455004C1 (ru) * 2011-04-01 2012-07-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Яросла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ПО "ЯГТУ")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ульфохлоридов ряда 6-арилпиридазин-3(2н)-онов
DE102011080010A1 (de) 2011-07-28 2012-10-25 Bayer Cropscience Ag Verwendung von Saatgutbehandlungs-Wirkstoffen aus den Gruppen der Anilid- und Thiazol-Fungizide als Safener
DE102011080007A1 (de) 2011-07-28 2012-09-13 Bayer Cropscience Ag Verwendung von Saatgutbehandlungs-Wirkstoffen aus den Gruppen der Conazole- und Triazol-Fungizide als Safener
DE102011079997A1 (de) 2011-07-28 2012-09-13 Bayer Corpscience Ag Verwendung von Saatgutbehandlungs-Wirkstoffen aus der Gruppe der Pyrazol-Insektizide als Safener
DE102011080020A1 (de) 2011-07-28 2012-09-13 Bayer Cropscience Ag Verwendung von Saatgutbehandlungs-Wirkstoffen aus der Gruppe der Dicarboximid-Fungizide als Safener
DE102011079991A1 (de) 2011-07-28 2012-09-13 Bayer Crop Science Ag Verwendung von Saatgutbehandlungs-Wirkstoffen aus der Gruppe der Nicotinoid-Insektizide als Safener
DE102011080001A1 (de) 2011-07-28 2012-10-25 Bayer Cropscience Ag Verwendung von Saatgutbehandlungs-Wirkstoffen aus der Gruppe der Carbamat-Insektizide als Safener
DE102011080004A1 (de) 2011-07-28 2012-09-13 Bayer Cropscience Ag Verwendung von Saatgutbehandlungs-Wirkstoffen aus der Gruppe der Carbamat-Fungizide als Safener
DE102011080016A1 (de) 2011-07-28 2012-10-25 Bayer Cropscience Ag Verwendung von Saatgutbehandlungs-Wirkstoffen aus der Gruppe der Strobilurin-Fungizide als Safener
MX2014002890A (es) 2011-09-12 2015-01-19 Bayer Cropscience Lp Metodo para mejorar la salud y/o promover el crecimiento de una planta y/o mejorar la maduracion de frutos.
CN103181396B (zh) * 2011-09-27 2016-01-20 娄底农科所农药实验厂 一种稻田除草组合物
CN105357968A (zh) 2012-10-19 2016-02-24 拜尔农科股份公司 包含羧酰胺衍生物的活性化合物复配物
UA118765C2 (uk) * 2013-08-09 2019-03-11 Байєр Кропсайєнс Акцієнгезелльшафт Третинні гербіцидні комбінації, що містять дві сульфонілсечовини
CN105432645A (zh) * 2014-09-28 2016-03-30 南京华洲药业有限公司 一种含炔草酯与氟啶嘧磺隆的除草组合物及其应用
CN105707103A (zh) * 2014-12-04 2016-06-29 江苏龙灯化学有限公司 一种增效除草组合物
PT108561B (pt) 2015-06-16 2017-07-20 Sapec Agro S A Mistura herbicida
CN105052975A (zh) * 2015-08-17 2015-11-18 北京燕化永乐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除草组合物
US10059676B2 (en) 2015-10-29 2018-08-28 Rotam Agrochem International Company Limited Process for preparing a novel crystalline form of iodosulfuron-methyl-sodium and use of the same
US9700053B2 (en) 2015-10-29 2017-07-11 Rotam Agrochem International Company Limited Synergistic herbicidal composition and use thereof
EP3222143A1 (en) 2016-03-24 2017-09-27 Bayer CropScience Aktiengesellschaft Use of certain herbicide combinations based on iodosulfuron in teff plants
CN106508941A (zh) * 2016-12-02 2017-03-22 佛山市普尔玛农化有限公司 碘甲磺隆钠盐与2甲4氯异辛酯的除草组合物
CN108207982A (zh) * 2016-12-22 2018-06-29 江苏龙灯化学有限公司 一种协同性除草组合物
WO2022117515A1 (en) 2020-12-01 2022-06-09 Bayer Aktiengesellschaft Compositions comprising iodosulfuron-methyl and tehp
WO2022117516A1 (en) 2020-12-01 2022-06-09 Bayer Aktiengesellschaft Compositions comprising mesosulfuron-methyl and tehp
WO2024023035A1 (en) 2022-07-25 2024-02-01 Syngenta Crop Protection Ag Herbicidal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5173A (en) * 1971-05-21 1976-06-22 Chubb Francis L Process for preparing p-(5-chloro-2-methoxy-benzamidoethyl)-benzene sulfonamide
OA05625A (fr) * 1976-04-07 1981-04-30 Du Pont N-(hétérocyclique aminocarbonyl) aryl sulfonamides herbicides, compositions les contenant et procédés les utilisant .
US4383113A (en) * 1978-05-30 1983-05-1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gricultural sulfonamides
ZA806970B (en) * 1979-11-30 1982-06-30 Du Pont Agricultural sulfonamides
JPS5817167B2 (ja) * 1980-11-10 1983-04-05 持田製薬株式会社 抗ウイルス作用を有する医薬組成物
US4480101A (en) * 1981-07-16 1984-10-30 Ciba-Geigy Corporation Fluoroalkoxy-aminopyrimidines
MA19680A1 (fr) * 1982-01-11 1983-10-01 Novartis Ag N- arylsulfonyl - n' - pyrimidinylurees.
SE8203887D0 (sv) * 1982-06-23 1982-06-23 Kabivitrum Ab Nya trombininhiberande foreningar
US4566898A (en) * 1984-09-07 1986-01-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erbicidal sulfonamides
DE3716657A1 (de) * 1987-05-19 1988-12-01 Basf Ag Herbizide sulfonamid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beeinflussung des pflanzenwachstums
DE3905075A1 (de) * 1989-02-18 1990-08-30 Hoechst Ag Benzolsulfonamid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3909146A1 (de) * 1989-03-21 1990-10-18 Basf Ag Herbizide ((1,3,5-triazin-2-yl) aminosulfonyl)benzoesaeureester,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A92970B (en) * 1991-02-12 1992-10-28 Hoechst Ag Arylsulfonylureas,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and their use as herbicides and growth regul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205626A (pt) 1994-11-08
US5463081A (en) 1995-10-31
RU2314291C2 (ru) 2008-01-10
JPH06508819A (ja) 1994-10-06
HK1009963A1 (en) 1999-06-11
ES2124724T3 (es) 1999-02-16
EP0574418B1 (de) 1998-11-11
WO1992013845A1 (de) 1992-08-20
RU93053940A (ru) 1996-06-20
DE59209557D1 (de) 1998-12-17
CA2103894A1 (en) 1992-08-13
DK0574418T3 (da) 1999-07-26
AU666644B2 (en) 1996-02-22
AU1235492A (en) 1992-09-07
EP0574418A1 (de) 1993-12-22
AU5233096A (en) 1996-07-18
JP2544566B2 (ja) 1996-10-16
US5688745A (en) 1997-11-18
CA2103894C (en) 2003-10-21
UA41258C2 (uk) 2001-09-17
HU9302319D0 (en) 1993-11-29
HUT65227A (en) 1994-05-02
AU682131B2 (en) 1997-09-18
ZA92970B (en) 1992-10-28
HU220023B (hu) 2001-10-28
PL171449B1 (pl) 1997-04-30
ATE173250T1 (de) 1998-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6807B1 (ko) 아릴설포닐우레아, 그의 제조방법, 및 제초제와 성장조절제로서의 그의 용도
JP3665339B2 (ja) アシル化アミノフエニルスルホニル尿素、その製造方法および除草剤および植物生長調整剤としてのその用途
JP2986910B2 (ja) 除草剤および植物生長調整剤としてのピリジルスルホニル尿素、それら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らの用途
JPH0733740A (ja) ピリジンカルボキシアミド誘導体
CZ108396A3 (en) Phenylsulfonyl ureas, process of their preparatio phenylsulfonyl ureas, process of their preparation, their use as herbicides and growth regulators an, their use as herbicides and growth regulators as well as intermediates for their preparation s well as intermediates for their preparation
HU223082B1 (hu) Acilezett amino-fenil-karbamid-származékok, eljárás előállításukra és herbicidként és növényi növekedés szabályozóként történő alkalmazásuk
HUT70868A (en) New phenylsulphonyl urea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herbicides and plant-growth regulators
SK281129B6 (sk) Metyl-2-[[[[(4,6-dimetoxy-2-pyrimidinyl)amino]karbonyl]amino] sulfonyl]-6-(trifluórmetyl)-3-pyridínkarboxylát, poľnohospodársky vhodný prípravok, ktorý ho obsahuje, a zlúčenina užitočná ako medziprodukt
JPH08501542A (ja) ヒドロキシルアミノ‐フエニルスルホニル尿素、それらの製造および除草剤および植物生長調整剤としてのそれらの用途
US4906282A (en) Herbicidal sulfonamides
US4946494A (en) Herbicidal pyridine sulfonylureas
EP0511993A1 (en) Herbicidal sulfonylureas
WO1993003020A1 (en) Herbicidal quinoxalinyloxy ethers
EP0546082A1 (en) PYRROL SULFONYL UREAS AS HERBICIDES.
JP3464237B2 (ja) N−ヘテロアリール−n’−(ピリド−2−イル−スルホニル)尿素類、それら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らの除草剤および植物生長調整剤としての用途
US5071469A (en) Herbicidal benzylsulfonamides
JPH05239035A (ja) ピリミジニル− またはトリアジニル− オキシ− (または− チオ)− カルボン酸誘導体、それら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らの除草剤または植物生長調整剤としての用途
JPH08504414A (ja) ベンゾイルシクロヘキセノン、それらの製造方法および除草剤および植物生長調整剤としてのそれらの用途
US5032166A (en) Herbicidal pyridine sulfonylureas
EP0368897A1 (en) Herbicidal sulfonamides
US4995901A (en) Herbicidal sulfonamides
EP0400013A1 (en) Herbicidal alkanoylpyridinesulfonylureas
US4881968A (en) Herbicidal sulfonamides
US5008393A (en) Herbicidal pyridine sulfonamides
HU206024B (en) Herbicidal compositions comprising substituted sulfonylurea derivatives and optionally antidote, as well as process for producing the active ingred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