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4411B1 - Rs 래치회로 - Google Patents

Rs 래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4411B1
KR100234411B1 KR1019970005056A KR19970005056A KR100234411B1 KR 100234411 B1 KR100234411 B1 KR 100234411B1 KR 1019970005056 A KR1019970005056 A KR 1019970005056A KR 19970005056 A KR19970005056 A KR 19970005056A KR 100234411 B1 KR100234411 B1 KR 100234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circuit
output signal
gate
nmos transistor
transis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5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8461A (ko
Inventor
안상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05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4411B1/ko
Publication of KR19980068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4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4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027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logic circuit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037Bistable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35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356Bistable circuits

Landscapes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7개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구성한 RS 래치 수단을 구비하는 RS 래치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RS 래치 회로는 7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는 RS 래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RS 래치 수단은 그 자신의 소스 단자가 접지 전압에 접속되고, 소정의 제1 외부 신호에 의하여 게이팅되며, 그 자신의 드레인 단자가 출력 신호로 되는 앤모스 트랜지스터; 상기 앤모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와 소정의 제2 외부 신호를 입력 단자로 하는 NOR 게이트; 및 상기 NOR 게이트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켜 상기 앤모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시키는 인버터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RS 래치 회로에 의하여, RS 래치 회로를 구성할 때 필요한 트랜지스터의 수의 감소할 수 있고, 레이아웃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RS 래치 회로{RS latch circui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7개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구성한 RS 래치 수단을 구비하는 RS 래치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장치를 설계함에 여러 가지 종류의 회로가 필요하다. 그 중에는 비록 일부 입력 신호의 논리 상태의 천이가 발생하더라도, 그 출력 신호의 논리 상태는 불변하는 회로도 포함된다. 이러한 회로를 래치 회로라 하며, 그 중에는 RS 래치 회로도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RS 래치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RS 래치 회로는 2개의 NOR 게이트(101, 103)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RS 래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S=0, R=0인 경우에서는, 출력 신호 Q와 반전 출력 신호 /Q는 초기 상태에서의 Q 및 /Q 가 그대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Q의 값이 "1" 일 때는, NOR 게이트(101)의 출력 신호 /Q는 "0"이 된다. 그리고 /Q의 값이 "0"으로 되면, 상기 NOR 게이트(103)의 출력 신호 Q는 "1"이 된다. 따라서 출력 신호 Q와 반전 출력 신호 /Q는 초기 상태에서의 Q 및 /Q 가 그대로 유지된다.
두 번째로 S=0, R=1인 경우에서는, 출력 신호 Q와 반전 출력 신호 /Q의 초기값에 관계없이, 상기 NOR 게이트(101)의 출력 신호 /Q는 "0"이 된다. 그리고 /Q의 값이 "0"으로 되면, 상기 NOR 게이트(103)의 출력 신호 Q는 "1"이 된다.
세 번째로 S=1, R=0인 경우에서는, 출력 신호 Q와 반전 출력 신호 /Q의 초기값에 관계없이, 상기 NOR 게이트(103)의 출력 신호 Q는 "0"이 된다. 그리고 Q의 값이 "0"으로 되면, 상기 NOR 게이트(101)의 출력 신호 /Q는 "1"이 된다.
네 번째로 S=1, R=1인 경우에서는, 출력 신호 Q와 반전 출력 신호 /Q의 초기값에 관계없이, 상기 NOR 게이트(101)의 출력 신호 Q와 상기 NOR 게이트(103)의 출력 신호 /Q는 모두 "0"으로 된다. 이러한 결과는 /Q가 Q 값의 반전 신호라는 정의에 어긋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도표로 작성하면, 표 1과 같다.
S R Q /Q
0 0 Q /Q
0 1 1 0
1 0 0 1
1 1 X X
그런데, 종래 기술의 RS 래치 회로는 2 개의 NOR 게이트로 구성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단위로는 총 8 개의 트랜지스터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실제로 RS 래치 회로를 칩 상에 배치함에 있어서, 많은 면적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RS 래치 회로보다 적은 개수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RS 래치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RS 래치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방명의 RS 래치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NOR 게이트(205)를 트랜지스터 단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인버터(207)를 트랜지스터 단위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RS 래치 회로는 7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는 RS 래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RS 래치 수단은 그 자신의 소스 단자가 접지 전압에 접속되고, 소정의 제1 외부 신호에 의하여 게이팅되며, 그 자신의 드레인 단자가 출력 신호로 되는 앤모스 트랜지스터; 상기 앤모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와 소정의 제2 외부 신호를 입력 단자로 하는 NOR 게이트; 및 상기 NOR 게이트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켜 상기 앤모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시키는 인버터를 구비한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각 도면에 대하여 부호와 숫자가 같은 것은 동일한 회로임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방명의 RS 래치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RS 래치 회로는 RS 래치 수단(201)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RS 래치 수단(201)은 앤모스 트랜지스터(203), NOR 게이트(205) 및 인버터(207)로 구성된다. 상기 앤모스 트랜지스터(203)는 그 자신의 소스 단자가 접지 전압 VSS에 접속되고, 소정의 제1 외부 신호 S에 의하여 게이팅되며, 그 자신의 드레인 단자(N204)가 출력 신호 Q로 된다. 그리고 상기 앤모스 트랜지스터(203)의 드레인 단자(N204)와 소정의 제2 외부 신호 R를 입력 단자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207)는 상기 NOR 게이트(205)의 출력 신호 /Q를 반전시켜 상기 앤모스 트랜지스터(203)의 드레인 단자(N204)에 접속시킨다.
그리고 도 2의 RS 래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S=0, R=0인 경우를 설명한다. S의 논리 레벨이 "0"이면, 앤모스 트랜지스터(203)은 "턴-오프" 된다. 그리고 R의 논리 레벨이 "0"이므로, NOR 게이트(205)의 출력 신호 /Q는 초기값 /Q가 그대로 유지한다. 그리고 인버터(207)의 출력 신호 Q는 /Q의 반전값이 된다. 즉 Q, /Q 모두 초기 상태의 값이 유지된다.
두 번째로 S=0, R=1인 경우를 설명한다. S의 논리 레벨이 "0"이면, 앤모스 트랜지스터(203)은 "턴-오프" 된다. 그리고 R의 논리 레벨이 "1"이므로, NOR 게이트(205)의 출력 신호 /Q의 논리 레벨은 항상 "0"이 되고, Q의 논리 레벨은 항상 "1"이 된다.
세 번째로 S=1, R=0인 경우를 설명한다. S의 논리 레벨이 "1"이므로, 앤모스 트랜지스터(203)은 "턴-온" 된다. 그리고 R의 논리 레벨이 "0"이므로, NOR 게이트(205)의 출력 신호 /Q의 논리 레벨은 항상 "1"이 되고, Q의 논리 레벨은 항상 "0"이 된다.
그리고 S=1, R=1인 경우는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도표로 작성하면, 표 2와 같다.
S R Q /Q
0 0 Q /Q
0 1 1 0
1 0 0 1
1 1 X X
그런데 상기 NOR 게이트(205)를 트랜지스터 단위로 나타내면, 도 3과 같다. 이를 참조하면, NOR 게이트는 4개의 트랜지스터(301, 303, 305, 307)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207)를 트랜지스터 단위로 나타내면, 도 4와 같다. 이를 참조하면, 인버터는 2개의 트랜지스터(401, 403)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2의 본 발명의 RS 래치 회로는 전체적으로 7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RS 래치 회로에 의하여, RS 래치 회로를 구성할 때 필요한 트랜지스터의 수의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로 RS 래치 회로를 칩 상에 배치함에 있어서, 레이아웃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

  1.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RS 래치 회로에 있어서,
    그 자신의 소스 단자가 접지 전압에 접속되고, 소정의 제1 외부 신호에 의하여 게이팅되며, 그 자신의 드레인 단자가 출력 신호로 되는 앤모스 트랜지스터;
    상기 앤모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와 소정의 제2 외부 신호를 입력 단자로 하는 NOR 게이트; 및
    상기 NOR 게이트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켜 상기 앤모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시키는 인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래치 회로.
KR1019970005056A 1997-02-19 1997-02-19 Rs 래치회로 KR100234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5056A KR100234411B1 (ko) 1997-02-19 1997-02-19 Rs 래치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5056A KR100234411B1 (ko) 1997-02-19 1997-02-19 Rs 래치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461A KR19980068461A (ko) 1998-10-15
KR100234411B1 true KR100234411B1 (ko) 1999-12-15

Family

ID=19497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5056A KR100234411B1 (ko) 1997-02-19 1997-02-19 Rs 래치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44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461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9883A (en) Dual input universal logic structure
US5095230A (en) Data output circuit of semiconductor device
US5446700A (en) Decoder circuit having CMOS inverter circuits
US4503341A (en) Power-down inverter circuit
US5332936A (en) Composite logic circuit
KR100242987B1 (ko) 5v 톨러런트 입출력 회로
KR100234411B1 (ko) Rs 래치회로
US6930508B2 (en) Integrated circuit with on-chip termination
KR930006875A (ko) 집적회로
US5585759A (en) Input buffer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JPH0644794A (ja) 半導体記憶装置
US7307295B2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 hard-coded bit value changeable in any layer of metal
JPS6037822A (ja) Cmos論理回路
US5798977A (en) Power line coupling prevention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0117120Y1 (ko) 와이어드 낸드 로직 게이트 회로
KR100414740B1 (ko) 범용 입력패드를 가지는 반도체칩
GB2245098A (en) Logic circuits
KR100192583B1 (ko) 출력버퍼회로
KR0161496B1 (ko) 트랜지스터 수가 감소된 3개 입력을 갖는 배타적 노아 게이트
KR0155322B1 (ko) 인버터 기능을 갖는 프로그램이 가능한 양방향성 버퍼
KR200152531Y1 (ko) 디지탈 집적소자
JPH05152905A (ja) 半導体装置
US5726601A (en)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H06311022A (ja) 半導体論理回路装置
KR0128242Y1 (ko) 두개의 낸드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