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3905B1 - 타이머를 이용한 랜덤 변수값 선택 방법 - Google Patents

타이머를 이용한 랜덤 변수값 선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3905B1
KR100233905B1 KR1019970012392A KR19970012392A KR100233905B1 KR 100233905 B1 KR100233905 B1 KR 100233905B1 KR 1019970012392 A KR1019970012392 A KR 1019970012392A KR 19970012392 A KR19970012392 A KR 19970012392A KR 100233905 B1 KR100233905 B1 KR 100233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timer
random variable
variabl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2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5968A (ko
Inventor
최도연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70012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3905B1/ko
Publication of KR19980075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5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3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3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04M3/546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64Distributing or queueing
    • H04Q3/66Traffic distribu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76Translation from the called subscriber's number to the outgoing or incoming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78Temporary storage of information of calling or called subscri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설 교환기에서 타이머를 이용한 랜덤 변수값 선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착호 요구된 단말기가 통화중이고, 착호 변경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현재 타이머의 시각중 미리 초에 해당하는 정보를 독취하여 새로운 단말기의 착호를 요구함에 따라 랜덤 변수 값을 편리하고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타이머를 이용한 랜덤 변수값 선택 방법
본 발명은 사설 교환기(Private eXchange)의 랜덤(Random) 변수값 선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영 시스템의 타이머내의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착호를 선택하는 타이머를 이용한 랜덤 변수값 선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설 교환기는 국제 표준 교환기로서 공중통신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의 중계 교환 기능을 제공하고, 종합 정보 통신망과 지능망등 여러가지 망 형태에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다양한 교환 기능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종래에는 임의의 단말기가 통화중일 경우 사설 교환기가 랜덤 변수값을 선택하여 호를 전환하였는데, 이때 랜덤 변수값의 선택 방법은 서큘라(Circula)방식과 시퀀셜(Sequencial)방식을 사용하였다.
서클라 방식은 가입자 A, B, C가 있는 경우 가입자간에 미리 순서를 정하여 임의의 발신 가입자가 A가입자에게 호 접속을 시도했으나 A가 통화중이면 정해진 순서에 따라 가입자 B와 C에게 호 접속을 시도하고 다시 처음 통화중이던 A로 호 접속을 시도하는 방식이다.
시퀀셜 방식은 가입자간에 미리 순서를 정하여 임의의 발신 가입자가 A가입자에게 호 접속을 시도하여 A가 통화중인 경우 가입자 B와 C까지만 호 접속을 시도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 방식은 미리 순서를 정해야 한다는 불편함과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접속을 시도하므로 간단하지 않으며 별도의 시퀀스(Sequence)를 갖는 함수를 코딩(Coding)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타이머중 미리 초(m Sec)에 해당하는 번호로 랜덤 변수값의 어드레스을 취함에 따라 랜덤 헌팅 호를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 타이머를 이용한 랜덤 변수값 선택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단말기를 구비하며, 착호 요구된 단말기가 통화중일 때 임의의 다른 단말기로 착호를 변경요구하는 착호 변경모드의 설정이 가능한 사설 교환기의 구동 방법으로서, 다수의 단말기중 호출된 단말기에 착호를 요구하는 단계와; 착호 요구된 단말기가 통화중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단계에서 통화중이면 착호 변경 모드가 설정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착호 변경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타이머의 현재시각을 독취하는 단계와; 현재 시각에 대응하는 단말기에 착호를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타이머를 이용한 랜덤 변수값 선택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타이머를 이용한 랜덤 변수값 선택 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IOP20 : 사설 교환기
30,40,50,60,70 : 제1,2,3,4,5 단말기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와 같이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타이머를 이용한 랜덤 변수값 선택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도로서, IOP(Input Output Processor : 이하, IOP라 약칭함)(10)와, 사설 교환기(20)와, 제1,2,3,4,5 단말기(30)(40)(50)(60)(70)로 구성된다.
IOP(10)는 사설 교환기(20) 내부에 도시되지 않은 SDH(Subscriber Data Handling : 이하, SDH라 약칭함)와 연결되어 그룹화된 단말기의 내선번호를 입/출력하거나 MMC(Man & Marchine Communication)를 이용하여 로딩(Loading)시 IOP(10)에 있는 시간을 교환기의 SDH에 등록한다.
그리고, SDH는 단말기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변경 및 취소에 대하여 처리하며, 내부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에 시간을 전달하여 셋팅시킨다.
도시되진 않은 LP 내부에 LCS(Line Call Simulator)를 포함하고, 후크 오프/후크 온(Hook Off/Hook On)신호를 검출하여 그 중 후크 오프 신호를 검출하여 사설 교환기(20) 내부에 도시되지 않은 PLS(Private Line Sub-system : 이하, PLS라 약칭함)로 다이얼한다.
PLS는 상기 LP로부터 다이얼 통보를 받고 제1 단말기(30)에 다이얼하여 다이얼 상태가 통화중일 경우 PLS는 호 전환을 위해 상기 SDH로 데이터 백업(Data Back Up)기능과 타임 스위치(Time SWitch)와의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을 통보한후 사설 교환기 내부에 도시 되지 않은 TAS(Telephony Administration Subsystem : 이하, TAS라 약칭함)로부터 타임을 억세스하여 랜덤 변수를 취할 수 있다.
TAS는 시간을 관리하는 서브 시스템으로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시간을 할당받아 다시 PLS로 통보하여 통화중이 아닌 경로를 찾아 호 전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타이머를 이용한 랜덤 변수값 선택 방법을 도 2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흐름도에서는 랜덤 변수값을 선택하기 위해 임의의 발신 단말기, 제1,2,3,4,5 단말기(30)(40)(50)(60)(70)가 있고, 각각의 내선 번호 5000∼5004번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였으며 IOP(10)의 MMC(Man & Marchine Communication)를 이용하여 IOP(10)의 내부 시간을 사설교환기(20) 내부에 있는 SDH의 운영 시스템에게 전달하여 타임을 셋팅한다.
그리고, 임의의 발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1 단말기(30)의 내선 번호 5000번에게 착호 요구(200)를 하면 제1 단말기(30)로 착호된 호가 헌팅(Hunting)조건을 만족하여 통화중인가를 판단(210)한후 통화중이 아니면 정상적으로 제1 단말기(30)와 호접속되고(220), 통화중이면 그룹내의 임의의 가입자에게로 헌팅되기 위해 랜덤 변수값을 선택해야 한다.
이때, 랜덤 변수값에 의해 제1,2,3,4,5 단말기(30)(40)(50)(60)(70)중 한 개의 단말기에게로 호전환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랜덤 변수값의 추출은 사설 교환기(20)의 운영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타임중 미리 초(m Sec)를 이용하면 간단히 랜덤 변수값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기가 통화중이면 착호 변경 모드가 설정되었는가를 판단(230)하여 설정이 되어 있지 않으면 통화중 처리(240)하고, 설정이 되어 있으면 사설 교환기(20)의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년,월,일,시,초,미리 초(m Sec)를 얻을 수 있는데 이 중 년,월,일,시,초는 변동이 느린 타이머이므로 이러한 값을 취한다 하더라고 랜덤한 값이라 하기 어려운 반면에 미리 초(m Sec)는 내부 타임이 짧으므로 랜덤 값으로 이용하기 위해 독취(250)한다.
그러므로, 운영 시스템에서 셋팅된 미리 초(m Sec)을 독취한후 현재 시각에 대응하는 단말기로 전환(260)함에 따라 새로운 단말기로 호 전환(270)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제1,2,3,4,5 단말기(30)(40)(50)(60)(70)가 각각 어드레스를 갖고 있으므로 단계(210)에서 통화중이면 운영 시스템의 타이머중 미리 초(m Sec)에 해당되는 시간을 독취하여 현재 시각에 대응하는 랜덤 테이블의 단말기 어드레스 번지로 전환함에 따라 새로운 착호를 요구하는 것이다.
이상,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사설 교환기의 운영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현재의 시각중 미리 초(m Sec)를 독취하여 새롭게 호 전환될 단말기에 착호를 요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다수의 단말기를 구비하며, 착호 요구된 단말기가 통화중일 때 임의의 다른 단말기로 착호를 변경요구하는 착호 변경모드의 설정이 가능한 사설 교환기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다수의 단말기중 호출된 단말기에 착호를 요구하는 단계;
    상기 착호 요구된 단말기가 통화중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통화중이면 착호 변경 모드가 설정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착호 변경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타이머의 현재시각을 독취하는 단계;
    상기 현재 시각에 대응하는 단말기에 착호를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변수값 선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시각에 대응하는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시각중 미니 초 정보만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랜덤 변수값 선택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호 요구된 단말기가 통화중이 아니면 정상적으로 단말기와 호 접속되는 단계를 구비하는 랜덤 변수값 선택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호 변경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통화중 처리가 되는 단계를 구비하는 랜덤 변수값 선택 방법.
KR1019970012392A 1997-04-03 1997-04-03 타이머를 이용한 랜덤 변수값 선택 방법 KR100233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2392A KR100233905B1 (ko) 1997-04-03 1997-04-03 타이머를 이용한 랜덤 변수값 선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2392A KR100233905B1 (ko) 1997-04-03 1997-04-03 타이머를 이용한 랜덤 변수값 선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968A KR19980075968A (ko) 1998-11-16
KR100233905B1 true KR100233905B1 (ko) 1999-12-15

Family

ID=19501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2392A KR100233905B1 (ko) 1997-04-03 1997-04-03 타이머를 이용한 랜덤 변수값 선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39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968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4613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lephone use
JP2813536B2 (ja) キャンプオン通信管理方式
US5898772A (en) Logical PC agent
JP2817105B2 (ja) 構内交換機
JP2723482B2 (ja) 順次転送呼カバーサービス方法
KR20050012824A (ko) 셀룰러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선택 가능 상태 표시
EP1031245B1 (en) Device, network and methods concerning cordless telecommunication
JPS6243582B2 (ko)
KR100233905B1 (ko) 타이머를 이용한 랜덤 변수값 선택 방법
KR20040100823A (ko) 다수의 전화번호에 전화를 보내는 방법
JPS60109363A (ja) 呼処理制御方式
JPS63278451A (ja) ディレクトリ発信機能付電話機
JPH0338194A (ja) 電話システム
JP3744658B2 (ja) 電話交換システムの課金方式
KR19990002738A (ko) 전전자 교환기의 특정 발신번에 대한 착신 거부 서비스 방법
JPH01101767A (ja) 多機能電話システム
JP3313245B2 (ja) 内線端末機の代表選択方式
JPH05336110A (ja) 交換機の付加サービス制御方法
JPH0220940A (ja) データ回線交換機
JP2000023256A (ja) マルチゾーン型コードレス交換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含む構内交換システム
KR19990011161A (ko) 디지털 통신망에서 호출자정보 안내방법
JPH01228359A (ja) ファクシミリ到着通知方式
JPH01204557A (ja) 着信制限サービス方式
JPS63278450A (ja) ディレクトリ発信機能付電話機
JPH08125752A (ja) 保留サービス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