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3892B1 - 멀티미디어 텔레비전 수상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텔레비전 수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3892B1
KR100233892B1 KR1019970002002A KR19970002002A KR100233892B1 KR 100233892 B1 KR100233892 B1 KR 100233892B1 KR 1019970002002 A KR1019970002002 A KR 1019970002002A KR 19970002002 A KR19970002002 A KR 19970002002A KR 100233892 B1 KR100233892 B1 KR 100233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ignal
pump
inpu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2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4229A (ko
Inventor
미키오 가지와라
마사시 오치아이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970064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3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3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7Circuits special to multi-standard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1Multi-purpose receivers, e.g. for auxiliary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전원(Vcc)에 접속하여 제 1 콘덴서(C1)를 설치하고, 이 콘덴서(C1)는 제 1 전환스위치(SW1)를 통해 기준 전위점에 접속하거나 또는 제 2 콘덴서(C2)에 접속된다. 이 제 2 콘덴서(C2)는 펌프업전압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전압 제어회로(45)로 충전되며, 주사기간에 콘덴서(C1, C2)가 각각 충전된다. 그리고, NTSC신호의 입력시에는 전환스위치(SW1)는 기준 전위점에 접속되어 제 1 콘덴서(C1)의 충전전압이 펌프업전압으로 되며, 퍼스널 컴퓨터신호와 같은 수직 귀선기간이 짧은 신호의 입력시에는 제 1 및 제 2 콘덴서(C1, C2)의 충전전압의 가산전압이 펌프업전압으로 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텔레비전 수상장치
본 발명은 통상의 NTSC 방식의 텔레비전신호, 퍼스널 컴퓨터로부터의 영상신호등의 편향주파수나 특히 귀선기간이 상이한 신호가 입력되어, 이들 입력신호를 공통의 CRT 표시기에서 표시하도록 한 멀티미디어 텔레비전 수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비디오, CATV, 레이저 디스크 등의 다채로운 영상 미디어에만 한하지 않고, 각종 퍼스널 컴퓨터(CD-ROM을 내장한 멀티미디어 퍼스널 컴퓨터 등)의 영상을 1대의 영상장치로 찍어낼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에 대응하는 칼라 텔레비전 재생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칼라 텔레비전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텔레비전 방송이나 비디오 재생기 등으로부터의 영상신호(NTSC신호)와,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부터의 영상신호(RGB신호)가 선택적으로 입력된다.
여기서,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는 텔레비전 방송이나 비디오 재생기의 영상신호와 비교하여 정보량이 많으며, 그 영상신호는 주파수대역이 넓은 것으로, 그 귀선기간도 상이하다. 예컨대, 수직 귀선기간은 NTSC신호에 있어서는 1080㎲인데 비해, 퍼스널 컴퓨터로부터의 영상신호의 귀선기간은 600㎲로 짧으며, 그 차가 크다. 이 때문에, 특히 퍼스널 컴퓨터로부터의 영상신호를 CRT 표시기에서 재생하는 경우, CRT 표시기의 편향요크에 의한 귀선동작을 원활하게 실행시키기 위하여 귀선기간 중의 편향전압의 파고치를 높게 하는 펌프업 제어를 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즉, 귀선기간중의 편향요크 전류를 "-1/2iyp-p"에서 "+1/2iyp-p"(단, iyp-p는 편향요크 전류의 피크-피크치이다)로 단시간에 복귀시키도록 하고, 주사기간보다도 높은 펌프업전압을 귀선기간에 있어서 편향요크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편향요크 전압을 주사기간 중에 있어서도 펌프업하여 높게 설정하면, 출력단의 손실이 증가하게 되며, 따라서 귀선기간에만 펌프업전압이 인가되도록 한다.
도 7은 종래의 펌프업회로를 구비한 수직 편향회로의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원전압(Vcc)은 역류 방지용의 다이오드(D1)를 통해 직렬로 접속한 수직 출력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Q1 및 Q2)에 공급한다. 이들 트랜지스터(Q1 및 Q2)는 수직 드라이브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편향요크(DY)에 대하여 수직 편향신호가 공급된다. 또, 다이오드(D1)로부터의 출력은 콘덴서(C1)를 충전하는 것으로, 이 콘덴서(C1)는 입력신호의 주사기간에 있어서 전환스위치(SW)를 통해 기준 전위점에 접속된다. 이 전환스위치(SW)는 귀선기간에 있어서 콘덴서(C1)가 전원(Vcc)에 접속되도록 한다.
이러한 펌프업회로에 있어서, 주사기간에 있어서는 전환스위치(SW)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덴서(C1)를 기준 전위점에 접속하고, 콘덴서(C1)에 대해 "Vcc-VF" (VF는 다이오드(D1)의 순방향 전압 강하)로 나타내어지는 거의 Vcc의 전압이 충전되며, 동시에 편향요크(DY)에 대해서는 전원전압(Vcc)이 인가 설정된다. 이에 대해, 귀선기간에 있어서는 전환스위치(SW)가 전환되며, 콘덴서(C1)의 방전전압이 출력단에 대해 가산 공급되게 되고, 전원전압(Vcc)에 대해 "Vcc-VF"의 전압이 가산된 거의 2Vcc의 전압이 출력단에 인가되어, 단기간에 "+1/2iyp-p"의 전류로 복귀된다.
그런데, 퍼스널 컴퓨터 등의 영상신호가 입력된 경우, 수직 편향주파수나 귀선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퍼스널 컴퓨터 등의 영상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귀선기간에 있어서의 펌프업전압을 NTSC신호가 입력될 때의 "2×Vcc"보다도 높게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대응하고 있다.
a) 펌프업전압을 항상 "Vcc×3"배 정도의 전압으로 한다.
b) 펌프업전압을 NTSC신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Vcc×2"배로 하고, 편향요크의 인덕턴스를 작게 한다.
c) 편향감도가 나쁜 편향요크의 경우 귀선기간이 넓어져, 수직 편향전류가 신호의 주사기간에까지 들어가, 화면상에 반영되게 되기 때문에, 수직 출력회로의 출력단의 펄스를 이용하여 블랭킹을 건다.
그러나, a)의 수단에서는 손실이 커지고, b)의 경우에는 편향요크의 인덕턴스가 작기 때문에 편향요크 전류가 커지고, 따라서 출력단의 손실 및 편향요크의 온도 상승이 높아진다. 또, NTSC일 때와 퍼스널 컴퓨터일 때의 귀선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수직의 화면위치가 (센터)상부로 쉬프트하고, 이 때문에 도 8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센터링회로를 부가하여 보정할 필요가 있다. 도 8에 있어서 직류전압(Vcc)을 저항회로(R2∼R4)에 의해 분압하고, 또 트랜지스터(Q3, Q4)를 통해 수직 편향요크(DY)에 직류 성분을 공급하여 화면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c)의 경우는 그림기간인 주사기간이 감소되게 되어, 필연적으로 정보량에 제약이 생긴다.
도 9의 (a)는 영상신호의 수직 동기신호 부분을 취출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영상신호의 수직 귀선기간(L1) 내에서 수직 편향회로의 수직 귀선기간(L2)이 설정된다. 여기서, NTSC신호의 경우는 이 수직 귀선기간(L2)이 1080㎲이고, 퍼스널 컴퓨터 등에 있어서는 수직 귀선기간(L2)이 600㎲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편향코일에 공급되는 수직 편향신호는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수직 귀선기간(L2)에 대응하여 구성되어, 예컨대 편향감도가 나쁜 편향요크인 경우에는 귀선기간이 넓어져, 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영상신호의 그림부에까지 들어가는 상태로 된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멀티미디어 텔레비전 수상장치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 등의 영상신호와 같이 수직 편향주파수나 수직 귀선기간의 폭이 다른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있어서의 펌프업 대처방법에서는 출력단의 손실이 커지거나, 회면위치의 조정회로가 필요하게 되거나, 주사기간이 감소하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하지 않은 편향주파수의 입력신호에 대하여 최적의 펌프업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텔레비전 수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퍼스널 컴퓨터로부터의 영상신호와 같이 귀선기간의 폭이 좁은 경우에 있어서도 주사기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수직 주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펌프업수단을 개량한 멀티미디어 텔레비전 수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멀티미디어 텔레비전 수상장치를 설명하는 구성도.
도 2는 상기 수상장치의 동기신호 처리회로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
도 3은 상기 수상장치의 펌프업회로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는 회로도.
도 4의 (a)는 전압 제어회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의 (b)는 전압 제어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5의 (a)는 NTSC신호 입력시의 펌프업전압을 설명하는 도면.
도 5의 (b)는 퍼스널 컴퓨터 신호 입력시의 펌프업전압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상기 펌프업회로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는 회로도.
도 7은 종래의 펌프업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8은 종래의 수직 센터링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의 (a)는 수직 동기신호를 설명하는 도면.
도 9의 (b)는 편향코일에 공급되는 편향신호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1 : 안테나
12 : 튜너
13, 15 : 입력 전환스위치
14 : NTSC 처리회로
16 : CRT 드라이브회로
17 : 디스플레이
18 : RGB신호 처리회로
19 : 동기신호 처리회로
20 : HV 발진기
21 : 마이크로 컴퓨터
22 : 수직 출력회로
23 : 수평 출력회로
24 : 펌프업회로
171 : CRT 표시관
172 : 편향코일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텔레비전 수상장치는 입력되는 텔레비전신호 및 이 텔레비전신호보다도 수직 귀선의 폭이 좁은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귀선폭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제 2 신호가 입력되는 수상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신호의 종별을 판별하여, 신호 처리수단에 의해 입력된 신호의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를 분리 추출하는 것으로, 이 추출된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표시수단의 편향코일 전류를 수평 및 수직 편향수단에 의해 제어하고, 이 수직 편향수단의 전원전압을 수직 귀선기간의 선두에 위치시켜 펌프업수단에 의해 상승시킨다. 이 경우, 펌프업수단은 제 1 및 제 2 펌프업회로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신호의 입력시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펌프업회로에서 설정되는 전압의 가산전압이 상기 수직 편향수단의 전원전압으로서 공급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펌프업수단은 전원전압으로 충전되는 제 1 콘덴서와 제 2 입력신호에 근거한 상태에서 충전되는 제 2 콘덴서에 의해 구성되며, 특히 귀선기간이 작은 신호의 입력시에 제 1 및 제 2 콘덴서의 전압이 가산되어 펌프업전압으로 되고, 편향요크에 대하여 인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펌프업수단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텔레비전 수상장치에 있어서는 예컨대 NTSC신호의 입력시에는 제 1 콘덴서만의 방전전압이 펌프업전압으로서 수직 편향수단에 인가되고, 또 퍼스널 컴퓨터로부터의 영상신호의 입력시에는 제 1 및 제 2 콘덴서의 방전전압의 가산전압이 펌프업전압으로서 수직 편향수단에 인가되어, 귀선기간이 작은 신호에 대응하여 그림부분에 영향을 주지 않고서 원활한 수직 주사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제 2 콘덴서에 대한 충전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예컨대 전원전압의 3배의 펌프업전압을 출력단에 인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멀티미디어 텔레비전 수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안테나(11)에 의해 수신된 텔레비전 방송전파는 튜너(12)에 입력되고, 이 튜너(12)에서 출력된 베이스밴드의 영상신호, 또는 VTR에서 재생된 외부입력 영상신호 등은 제 1 입력 전환스위치(13)에 입력된다. 그리고, 이 전환스위치(13)에 의해 선택된 NTSC신호는 NTSC신호 처리회로(14)로 공급하는 것으로, NTSC신호 처리회로(14)는 입력된 NTSC신호의 휘도조정, 콘트라스트, 색상 등의 조정처리나 색복조를 행하고, RGB신호를 출력함과 더불어, 입력 NTSC신호에서부터 수평(H) 및 수직(V)신호를 분리하는 동기분리를 행하며, 입력 NTSC신호에 근거하는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 및 V)를 출력한다.
그리고, 이 NTSC신호 처리회로(14)로부터의 출력은 제 2 입력 전환스위치(15)에 공급되며, 이 전환스위치(15)에 의해 선택된 신호는 CRT 드라이브회로(16)를 통해 디스플레이(17)의 CRT 표시관(171)에 입력된다.
또, 입력되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컴퓨터 영상신호(RGB신호)는 RGB신호 처리회로(18)에 공급된다. 이 처리회로(18)에서는 입력 RGB신호를 NTSC신호와 같은 방식으로 처리하여, 이 입력 RGB신호의 수평(H) 및 수직 동기신호(V)를 출력한다. 그리고, 이 RGB신호 처리회로(17)로부터의 출력은 제 2 전환스위치(15)에 입력하고, 이 전환스위치(15)에 의해 NTSC신호 처리회로(14)로부터의 출력신호와의 선택처리가 이루어진다. 즉, 이 제 2 전환스위치(15)에 있어서는 입력되는 신호가 NTSC신호인지, 컴퓨터신호인지에 따라서 제어된다.
여기서, 컴퓨터신호의 동기신호 형태는 표 1에서 예시된 것과 같이 컴퓨터의 표시모드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그 표시모드에 대응하여 편향주파수, 동기신호의 극성 등이 여러가지로 상이하다.
표시모드에서 PC-98은 닛폰덴끼제의 퍼스널 컴퓨터에서 채용하고 있는 표시모드이며, VGA는 IBM제의 퍼스널 컴퓨터 및 그 호환기종에서 채용하고 있는 표시모드, MAC는 매킨토시제의 퍼스널 컴퓨터에서 채용하고 있는 표시모드이다.
Figure kpo00002
동기신호 처리회로(19)에서는 NTSC신호 처리회로(14)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H 및 V)(수평 편향주파수 15.75kHz, 수직 편향주파수 60Hz) 또는 RGB신호 처리회로(18)에서 출력되는 컴퓨터신호(RGB신호)의 동기신호(H 및 V)(표 1 참조)를 입력하여, NTSC신호인지 표 1에서 나타난 어느 퍼스널 컴퓨터 신호인지를 식별하고, 또한 극성판별이나 주파수(H 및 V의 주파수) 또는 동기신호의 형태를 검출한다. 그리고, 이 동기신호 처리회로(19)로부터의 출력에 따라 수평(H) 및 수직(V)의 발진기(20)를 제어하는 것으로,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21)에 제어명령을 공급하여, 예컨대 제 2 전환스위치(15)의 전환 등의 각종의 컴퓨터제어가 실행되도록 한다. 제 1 전환스위치(13)에 대해서도 도시하지 않은 조작수단으로부터의 조작신호에 근거하여 마이크로 컴퓨터(21)가 전환 제어한다.
수평 및 수직의 발진기(20)로부터의 출력은 수직(V) 출력회로(22) 및 수평(H) 출력회로(23)에 공급되며, 펌프업회로(24)에는 동기신호 처리회로(19)로부터의 펌프업전압 제어신호가 공급되고, 펌프업회로(24)로부터의 펌프업전압이 수직 출력회로(22)에 공급되고 있다. 그리고, 수직 출력회로(22) 및 수평 출력회로(23)로부터의 각각 출력신호가 디스플레이(17)의 CRT에 장비되는 편향코일(172)에 공급된다.
도 2는 동기신호 처리회로(19)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NTSC신호 또는 퍼스널 컴퓨터 신호의 그린 비디오신호는 동기신호의 분리를 위한 진폭 분리회로(31)에 입력하고, 그 출력인 복합 동기신호는 전환스위치(32)에 공급한다. 또, NTSC신호나 퍼스널 컴퓨터신호의 수평 동기신호 또는 복합 동기신호는 극성 처리회로(33)에 입력하고, 그 출력은 전환스위치(32) 및 유무 검출회로(34)에 공급한다.
극성 처리회로(33)는 입력된 정극성 또는 부극성의 수평 동기신호를 한쪽의 극성, 예컨대 정극성에 맞추어 출력하는 것으로, 이 극성 처리회로(33)로부터는 항상 동일 극성의 수평 동기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전환스위치(32)에 있어서는 유무 검출회로(34)의 "무" 판별에 의해 진폭 분리회로(31)로부터의 출력(복합 동기신호)을 선택하여, 수평 동기신호로서 출력되도록 한다. 또, 이 복합 동기신호는 수직 동기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주파수 분리회로(35)에 공급하고, 전환스위치(36)에 공급한다.
퍼스널 컴퓨터로부터의 수직 동기신호는 극성 처리회로(37)에 입력하고, 전환스위치(36)에 주파수 분리회로(35)로부터의 출력(수직 동기신호)과 함께 전환스위치(36)에 공급한다.
극성 처리회로(37)는 입력된 정극성 또는 부극성의 수직 동기신호를 한쪽의 극성, 예컨대 정극성에 맞추어 출력하는 것으로, 이 극성 처리회로(37)로부터는 항상 동일 극성의 수직 동기신호가 출력된다.
극성 처리회로(37)로부터의 출력은 또한 유무 검출회로(38)에 공급하고, 그 극성의 판정에 대응한 유무 검출회로(38)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전환스위치(36)를 제어하는 것으로, 그 "무"의 검출에 의해 전환스위치(36)는 주파수 분리회로(35)로부터의 출력을 선택하여, 수직 동기신호로서 출력한다. 이들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는 도 1의 수평 및 수직 발진기(20)에 공급된다.
극성 처리회로(33 및 37)에서 극성 처리되기 전의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는 극성 판별회로(39)에 공급되고, 그 극성 판별출력은 매트릭스회로(40)에 공급된다. 또, 전환스위치(32 및 36)로부터의 각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는 각각 수평 주파수(HF) 검출회로(41) 및 수직 주파수(VF) 검출회로(42)에 공급하고, 이들 수평 및 수직 주파수 검출회로(41 및 42)에서 검출된 수평 및 수직 주파수신호는 매트릭스회로(40)에 공급한다. 또한, 전환스위치(32 및 36)로부터의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는 동기신호 식별회로(43)에 공급하고, 그 식별 결과는 매트릭스회로(40)에 공급한다.
극성 판별회로(39)에는 극성 처리회로(33 및 37)에서 극성 처리되기 전의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가 입력되고, 극성 판별회로(39)에서는 입력된 동기신호를 적분함으로써 극성을 나타내는 2치 신호, 예컨대 정극성의 동기신호인 경우는 「0」, 부극성의 동기신호인 경우는 「1」의 신호를 출력하여, 입력된 동기신호의 극성을 판별하도록 하고 있다.
매트릭스회로(40)에서는 HF 검출회로(41) 및 VF 검출회로(42)로부터의 수평 및 수직주파수, 극성 판별회로(39)로부터의 동기신호의 극성, 및 동기신호 식별회로(43)로부터의 동기신호의 형태(분리 동기(separate sync) , 복합 동기(composit sync), 싱크온그린(sync-on-green) 등)에 따라서, NTSC신호인지 퍼스널 컴퓨터신호인지를 판별하고, 또 퍼스널 컴퓨터신호인 경우에는 적어도 상기한 것들 중에서 2개의 조합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며, 판별된 종류에 대응한 펌프업전압의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더불어, NTSC 입력시 또는 퍼스널 컴퓨터 입력시에 대응한 펌프업전압 전환신호를 출력한다. 펌프업전압 전환신호는 NTSC신호 또는 퍼스널 컴퓨터신호에 있어서의 귀선기간에 동기하여 출력된다.
도 3은 펌프업회로(24)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전원전압(Vcc)은 역류 방지용의 다이오드(D1)를 통해 제 1 콘덴서(C1)에 충전전압으로서 공급되고, 이 콘덴서(C1)는 제 1 전환스위치(SW1)의 가동접점에 접속된다. 이 전환스위치(SW1)의 고정접점(a)은 전원(Vcc)에 접속되며, 고정접점(b)은 기준 전위점에 접속되고, 고정접점(c)은 제 2 콘덴서(C2)에 접속되는 것으로, 이 제 2 콘덴서(C2)에는 전압(Vcc)이 공급되는 전압 제어회로(45)로부터의 출력전압이 다이오드(D2)를 통해 충전전압으로서 공급된다.
이 콘덴서(C2)는 제 2 전환스위치(SW2)의 가동접점에 접속되며, 이 전환스위치(SW2)의 고정접점(a)은 전원(Vcc)에 접속되고, 고정접점(b)은 접속되어 있지 않으며, 고정접점(c)는 기준 전위점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제 1 콘덴서(C1)를 포함하는 제 1 펌프업회로(46)와, 제 2 콘덴서(C2)를 포함하는 제 2 펌프업회로(47)가 직렬로 구성된다.
다이오드(D1)의 출력인 전압(Vcc)은 수직 출력회로(48)에 공급된다. 이 수직 출력회로(48)는 직렬 접속된 출력 트랜지스터(Q1 및 Q2)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이 트랜지스터(Q1 및 Q2)의 상호 접속점에서부터의 출력이 이 수직 출력회로(48)의 출력으로서 취출되어, 수직 편향코일(49)에 공급된다.
즉, 도 2에서 퍼스널 컴퓨터로부터의 RGB신호의 입력시에는 동기신호 처리회로(19)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및 수직의 동기신호 중, 예컨대 분리, 복합 또는 싱크온그린의 동기신호 형태와 수평 및 수직 주파수와 동기신호의 극성에 근거하여, 어느 퍼스널 컴퓨터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를 이용하여 펌프업전압 제어신호가 발생된다. 이 제어신호는 예컨대 수직주파수에 따라서 펄스폭이 다른 것으로, 이 펄스신호를 직류화하여 전압 제어회로(45)(도 3 참조)를 제어하고, 펄스신호의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펌프업전압 제어회로(45)로부터의 출력전압이 높아지게 된다(최대 Vcc에서 최저 0).
따라서, 이 펌프업전압 제어회(45)로부터의 출력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제 2 콘덴서(C2)는 "0 ∼ Vcc"의 범위에서 가변 제어된다. 퍼스널 컴퓨터로부터의 영상신호의 입력시에는 주사기간에 제 1 전환스위치(SW1)가 b접점에 접속되고, 제 2 전환스위치(SW2)는 c접점에 접속된다. 즉, 제 1 콘덴서(C1)는 전압(Vcc)으로 충전되고, 제 2 콘덴서(C2)는 전압 제어회로(45)로부터의 출력전압에 대응하여 충전된다. 이 퍼스널 컴퓨터신호의 입력시에 있어서의 귀선기간에는 펌프업전압 전환신호에 의해서 제 1 스위치(SW1)가 고정접점(c)측으로 전환되고, 제 2 스위치(SW2)가 고정접점(a)측으로 전환되며, 전압(Vcc)에 대해 제 1 및 제 2 콘덴서(C1 및 C2)의 충전전압의 가산치가 가해져, 가산치에 대응하는 가변전압(2Vcc ∼ 3Vcc)이 펌프업전압으로서 귀선기간의 수직 출력회로(48)에 공급된다. C3는 평활콘덴서이며, R1은 귀환저항이다.
한편, NTSC신호의 입력시에는 주사기간에 전환스위치(SW1)는 접점(b)에 접속되어 콘덴서(C1)는 전압(Vcc)으로 충전되고, 전환스위치(SW2)는 접점(b)에 접속하며, 귀선기간에는 전환스위치(SW1)는 접점(a)에 접속되어 약 2Vcc의 전압이 전원전압으로서 수직 출력회로(48)에 공급된다.
도 4의 (a) 및 (b)는 각각 전압 제어회로(45)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4의 (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압제어 트랜지스터(Q)를 구비하고, 그 에미터로부터 출력전압이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 트랜지스터(Q)의 베이스에는 제어 전압원으로서의 가변 전압원(E)이 접속되며, 이 가변 전압원(E)의 전압이 펌프업전압 제어신호에 의해서 가변 제어된다. 또, 도 4의 (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압제어 트랜지스터(Q)의 베이스에 복수의 튜너 다이오드를 직렬 접속하고, 펌프업전압 제어신호에 의해서 각 튜너 다이오드의 양단을 선택적으로 단락시켜, 트랜지스터(Q)의 베이스의 제어전압이 가변 제어되도록 하여도 좋으며, 이 직렬 접속되는 튜너 다이오드의 수에 따라서 출력전압이 가변 제어되도록 하고 있다.
도 5의 (a)는 NTSC신호가 입력될 때의 펌프업전압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5의 (b)는 퍼스널 컴퓨터신호의 입력시에 있어서의 펌프업전압을 나타내는 것으로, 퍼스널 컴퓨터신호의 입력시에는 동기신호의 주파수가 높아지고, 펌프업전압은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귀선기간 전압이 높아져, 귀선기간의 폭도 좁아진다. 그리고, 이 귀선기간의 펌프업전압도 2Vcc와 3Vcc 범위에서 가변 제어되게 된다.
도 6은 펌프업회로(24)의 제 2 실시예 회로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원전압(Vcc)은 다이오드(D1)를 통해 제 1 콘덴서(C1)에 접속되며, 이 콘덴서(C1)는 전환스위치(SW3)의 가동접점에 접속된다. 이 전환스위치(SW3)는 고정접점(a ∼ c)을 구비하여, 접점(a)에는 다이오드(D2)를 통해 플라이백 트랜스(FBT)가 접속된다. 접점(c)은 전원(Vcc)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전원(Vcc)은 수직 출력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Q1 및 Q2)의 직렬회로에 접속되며, 이 트랜지스터(Q1 및 Q2)의 접속점에는 편향코일(49)이 접속된다.
즉, 퍼스널 컴퓨터의 입력신호의 주사기간에 있어서는 전환스위치(SW3)가 접점(a)에 접속되어, 콘덴서(C1 및 C2)가 충전된다. 이 때, 제 2 콘덴서(C2)는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3차 권선에 접속되어 다이오드(D2)를 통해 플라이백 펄스에 의해 부전압(-Vc)으로 충전된다. 따라서, 제 1 콘덴서(C1)의 양단 전압은 (Vcc-VF+Vc)(단, VF는 다이오드(D1)의 순방향 전압 강하)로 충전되며, Vcc = Vc라면, 약 2Vcc의 전압이 충전된다. 그리고 귀선기간에는 가동접점이 전환되어 스위치(SW3)의 고정접점(c)에 접속되고, 출력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가해지는 전압은 (Vcc+Vcc-VF+Vc)의 전압 즉 약 3Vcc의 전압이 된다.
NTSC신호의 입력시에는 전환스위치(SW3)의 가동접점이 고정접점(b)에 접속되며, 이 때문에 주사기간에는 제 1 콘덴서(C1)가 전원전압(Vcc)으로 충전된다. 그리고, 귀선기간에 있어서는 전환스위치(SW3)의 가동접점이 고정접점(c)에 접속되어, "Vcc+(Vcc-VF)"의 전압 즉 약 2Vcc의 전압이 출력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공급된다.
한편, 이상의 설명은 일반적인 TV신호로서 NTSC신호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PAL 등의 신호입력에도 대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텔레비전 수상장치에 의하면, 일정하지 않은 입력신호의 주파수에 대하여 최적의 펌프업전압이 공급되며, 특히 퍼스널 컴퓨터로부터의 영상신호와 같이 귀선기간의 폭이 좁은 경우에 있어서, 최적의 펌프업전압이 공급되어, 주사기간에 영향을 주지 않고서 수직 주사가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이상 진술한 실시예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9)

  1. 입력되는 텔레비전신호 및 상기 텔레비전신호보다 수직 귀선폭이 좁은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귀선폭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제 2 신호가 입력되는 수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신호의 종별을 판별하는 입력 판별수단(19)과;상기 입력된 신호의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를 분리 추출하는 신호 처리수단(19)과;이들 추출된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표시수단(17)의 편향코일 전류를 제어하는 수평 및 수직 편향수단(23, 22)과;상기 수직 편향수단(22)의 전원전압을 수직 편향신호의 수직 귀선기간의 선두에 위치시켜 상승 설정하는 펌프업수단(24)을 구비하며;상기 펌프업수단(24)은 제 1 및 제 2 펌프업회로(46, 47)를 구비하여, 상기 제 2 신호의 입력시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펌프업회로(46, 47)에서 설정되는 전압의 가산전압이 상기 수직 편향수단(22)의 전원전압으로서 공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텔레비전 수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펌프회로(46, 47)는 각각 충전 제어되는 제 1 및 제 2 콘덴서(C1, C2)를 구비하여, 수직 귀선폭이 넓은 신호의 입력시에는 상기 제 1 콘덴서(C1)의 충전전압만이 펌프업전압으로서 상기 수직 편향수단(22)의 전원전압으로서 공급되며, 상기 신호보다도 수직 귀선폭이 좁은 신호의 입력시에는 상기 제 1 콘덴서(C1)에 상기 제 2 콘덴서(C2)가 직렬로 설정되고 이들 제 1 및 제 2 콘덴서(C1, C2)의 각각의 충전전압이 가산되어 펌프업전압으로서 상기 수직 편향수단(22)의 전원전압으로서 공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텔레비전 수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제 2 신호의 종류에 대응한 제어신호가 공급되는 전압 제어수단(45)을 구비하며, 상기 전압 제어수단(45)에서 설정된 출력전압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콘덴서(C2)가 충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텔레비전 수상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덴서(C1)는 전원전압에 의해 충전되어, 펌프업전압 전환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제 1 스위치회로(SW1)를 통해 상기 수직 귀선폭이 넓은 신호의 입력에 대응한 펌프업전압으로서 출력되며, 상기 제 2 콘덴서(C2)는 상기 입력되는 제 2 신호의 종류에 대응한 제어신호가 공급되는 전압 제어수단(45)으로부터의 출력전압에 대응하여 충전되고 상기 제 1 스위치회로(SW1)에 의해 제 1 콘덴서(C1)와 직렬로 접속되어, 펌프업 전환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제 2 스위치회로(SW2)를 통해 펌프업전압으로서 출력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텔레비전 수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펌프업회로(46, 47)는 각각 충전 제어되는 제 1 및 제 2 콘덴서(C1, C2)를 구비하며, 수직 귀선폭이 좁은 신호의 입력시에는 입력신호의 주사기간에 제 1 콘덴서(C1)가 전원전압으로 충전되고 상기 제 2 콘덴서(C2)가 제 2 신호의 종류에 대응한 제어신호가 공급되는 전압 제어수단(45)으로부터의 출력전압에 대응하여 충전되며, 귀선기간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콘덴서(C1, C2)의 충전전압의 가산전압이 펌프업전압으로서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수직 귀선폭이 넓은 신호의 입력시에는 주사기간에 상기 제 1 콘덴서(C1)만이 전원전압으로 충전되며, 귀선기간에는 상기 제 1 콘덴서(C1)의 충전전압이 펌프업전압으로서 출력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텔레비전 수상장치.
  6. 제 3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제 2 신호의 종류에 대응한 제어신호가 공급되는 전압 제어수단(45)은 상기 입력되는 제 2 신호의 식별 결과에 근거하는 펌프업전압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제어전압이 제어되는 전압제어 트랜지스터(Q)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텔레비전 수상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되는 신호의 수평 및 수직 주파수와 그 정부극성을 판별하는 수단(41, 42, 39)을 구비하며, 상기 수단(41, 42, 39)으로부터의 판별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된 제 2 신호 및 그 종류를 판별하며, 상기 펌프업전압이 전환 선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텔레비전 수상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된 신호의 수평 및 수직 주파수와 그 정부극성 및 동기신호의 형태를 판별하는 수단(41, 42, 39, 43)을 구비하며, 상기 수단(41, 42, 39, 43)으로부터의 판별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된 제 2 신호 및 그 종류를 식별하며, 상기 펌프업전압이 전환 선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텔레비전 수상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펌프업회로(46, 47)는 각각 충전 제어되는 제 1 및 제 2 콘덴서(C1, C2)를 구비하며, 수직 귀선폭이 좁은 신호의 입력시에는 입력신호의 주사기간에 상기 제 1 및 제 2 콘덴서(C1, C2)가 직렬로 접속되어 전원전압으로 충전되고 상기 제 2 콘덴서(C2)는 플라이백 트랜스의 플라이백전압에 의해 충전되도록 하며, 귀선기간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콘덴서(C1, C2)의 충전전압의 가산전압이 펌프업전압으로서 출력되도록 하며;상기 수직 귀선폭이 넓은 신호의 입력시에는 주사기간에 상기 제 1 콘덴서(C1)만이 전원전압으로 충전되며, 귀선기간에는 상기 제 1 콘덴서(C1)의 충전전압이 펌프업전압으로서 출력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텔레비전 수상장치.
KR1019970002002A 1996-02-20 1997-01-24 멀티미디어 텔레비전 수상장치 KR100233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032101 1996-02-20
JP03210196A JP3683969B2 (ja) 1996-02-20 1996-02-20 マルチメディアテレビ受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229A KR970064229A (ko) 1997-09-12
KR100233892B1 true KR100233892B1 (ko) 1999-12-15

Family

ID=12349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2002A KR100233892B1 (ko) 1996-02-20 1997-01-24 멀티미디어 텔레비전 수상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36680A (ko)
EP (1) EP0792064B1 (ko)
JP (1) JP3683969B2 (ko)
KR (1) KR100233892B1 (ko)
CN (1) CN1113500C (ko)
DE (1) DE69726325T2 (ko)
TW (1) TW34892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1112A1 (en) * 2002-11-13 2004-05-13 Schilling Donald L. Piracy reduction method for digital content
US7314479B2 (en) * 2003-10-31 2008-01-01 Parris Wellman Space-creating retractor with vessel manipulator
US20080218633A1 (en) * 2007-03-07 2008-09-11 Aten International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Video Signals
US8347002B2 (en) * 2007-09-20 2013-01-01 Aten Internation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video signal with combined color signal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4857A (en) * 1972-08-16 1974-01-08 Rca Corp Television deflection circuit with low power requirement
JPS584509B2 (ja) * 1973-12-28 1983-01-26 日本電気株式会社 増幅回路
DE2711535C3 (de) * 1977-03-14 1982-02-18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Schaltung zur selektiven Erhöhung der Betriebsspannung des Ablenkverstärkers eines magnetodynamischen Ablenksystems
DE2734980C3 (de) * 1977-08-03 1983-02-17 Loewe Opta Gmbh, 8640 Kronach Vertikalablenkschaltung für ein Fernsehempfangsgerät
US4234893A (en) * 1978-09-25 1980-11-18 The Singer Company Image drift correction apparatus
US4342095A (en) * 1979-04-02 1982-07-27 Harris Corporation Computer terminal
US4361785A (en) * 1979-10-01 1982-11-30 K&R Engineering Sales Corporation Versatile video CRT display
US4293803A (en) * 1980-02-04 1981-10-06 Rca Corporation Vertical deflection circuit
US4400653A (en) * 1982-03-24 1983-08-23 Tektronix, Inc. Resonant scan deflection circuit with flyback voltage limiting
US4668897A (en) * 1984-04-04 1987-05-26 Rca Corporation North-south pincushion corrected deflection circuit
DE3436304A1 (de) * 1984-10-03 1986-04-10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Fernsehanlage
JPH0646783B2 (ja) * 1984-10-15 1994-06-15 ソニー株式会社 マルチ走査形テレビジヨン受像機
JPH0646786B2 (ja) * 1985-04-19 1994-06-15 ソニー株式会社 マルチ走査形テレビジヨン受像機の水平偏向回路
US4660084A (en) * 1985-09-25 1987-04-21 Rca Corporation Television receiver with selectable video input signals
US4686430A (en) * 1985-12-05 1987-08-11 Rca Corporation Drive circuit for pincushion corrector
US4737691A (en) * 1986-04-11 1988-04-12 Rca Corporation Television apparatus for generating a phase modulated deflection current
GB8630921D0 (en) * 1986-12-24 1987-02-04 Rca Corp Vertical sawtooth generator
US5287043A (en) * 1988-03-31 1994-02-15 Brag Johan O Apparatu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correct CRT display regardless of timing signals
JP2535395B2 (ja) * 1988-12-23 1996-09-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表示装置
JPH02266691A (ja) * 1989-04-06 1990-10-31 Sharp Corp 垂直偏向回路
JPH04150579A (ja) * 1990-10-12 1992-05-25 Mitsubishi Electric Corp リトレースキャパシタ切換回路
JPH04334271A (ja) * 1991-05-10 1992-11-20 Toshiba Corp 垂直偏向回路
US5270821A (en) * 1991-11-22 1993-12-14 Acer Incorporated Video display adjustment and on-screen menu system
JP2544858B2 (ja) * 1991-12-04 1996-10-1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高電圧発生回路
US5198731A (en) * 1992-06-15 1993-03-30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S.A. Linearization of vertical reference ramp
US5410222A (en) * 1993-08-31 1995-04-25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Sample pulse generator for automatic kinescope bias system
JPH0799590A (ja) * 1993-09-27 1995-04-11 Toshiba Corp 字幕表示機能を有する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677183B2 (ja) * 1993-12-10 1997-11-17 日本電気株式会社 撮像表示システム及びその撮像カメラと表示装置
DE4432755A1 (de) * 1994-04-04 1995-10-05 Hitachi Ltd Einstellbare Bildröhren-Anzeigevorrichtung und phasensynchrone Schaltung zur Verwendung in einer Anzeigevorrichtung
JPH09219801A (ja) * 1996-02-09 1997-08-19 Sanyo Electric Co Ltd 垂直偏向回路並びに該回路に用いるチャージポンプ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233363A (ja) 1997-09-05
KR970064229A (ko) 1997-09-12
DE69726325D1 (de) 2004-01-08
CN1113500C (zh) 2003-07-02
CN1162228A (zh) 1997-10-15
TW348924U (en) 1998-12-21
EP0792064B1 (en) 2003-11-26
JP3683969B2 (ja) 2005-08-17
EP0792064A3 (en) 1999-02-03
DE69726325T2 (de) 2004-09-30
US5936680A (en) 1999-08-10
EP0792064A2 (en) 1997-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9091A (en) Multiple scanning type television receiver
EP0199542B1 (en) Multiple scanning type television receivers
KR920004563B1 (ko) 영상 재생 장치에 의해 유입된 전류를 변화시키는 장치
KR100202345B1 (ko) 텔레비젼온-스크린 문자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0233892B1 (ko) 멀티미디어 텔레비전 수상장치
US5206728A (en) Television system having an ultrablack video signal blanking level for an on-screen character display
KR840002200Y1 (ko) 서어비스 스위치 장치
US4118729A (en) Set-up arrangement for a color television receiver
US4549218A (en) On-screen display
KR100211797B1 (ko) 비디오 신호 전환회로 및 방법
KR920007153B1 (ko) 비데오 표시장치용 주파수 제어회로
EP0512332B1 (en) A television system having an ultrablack video signal blanking level for an on-screen character display
US6208093B1 (en) Selectable clampers for an S-shaping voltage of a video display
US6274989B1 (en) Dynamic damping clamper arrangement associated with s-shaping capacitor
US2799799A (en) Cathode ray deflection systems
JPH06141252A (ja) モニタ装置
JPH0119495Y2 (ko)
KR100220347B1 (ko) 편향 ic의 전원입력장치
JP3057681B2 (ja) 水平s字補正容量の切換回路
KR820000861B1 (ko) 칼라텔레비젼 수상기용 조정장치
JPH077630A (ja) ワイドテレビジョン受信機の偏向回路
JPH06197276A (ja) 画像表示装置
JPH08154184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9980053594A (ko) 텔레비전 수상기의 전원오프시 스포트제거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