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2483B1 - 신규한 식용유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규한 식용유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2483B1
KR100232483B1 KR1019970020883A KR19970020883A KR100232483B1 KR 100232483 B1 KR100232483 B1 KR 100232483B1 KR 1019970020883 A KR1019970020883 A KR 1019970020883A KR 19970020883 A KR19970020883 A KR 19970020883A KR 100232483 B1 KR100232483 B1 KR 100232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resent
cooking oil
cooking
n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0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2016A (ko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김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수 filed Critical 김진수
Priority to KR1019970020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2483B1/ko
Publication of KR970062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2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6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press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1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 C11B1/106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using ultra-s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olog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페된 용기내에서 산소와 수소를 공급하여 전기 점화시킴으로써 3000-3500℃에서 3초간 초고온 순간가열방식에 의하여 그 구조식이 변경된 (Conformational change)신규한 식용유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구조 불명의 본 발명 식용유는 친수성이 증대되고, 비중, 용해도, 유화도, 투명도 및 비점이 증가된 반면 융점, 산도, 경도 및 점도가 저하되어 있다.
이같은 구조미상의 유지분자는 그 구조의 특이성 때문에 생체내에서 면역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으며 또 그 구조의 특이성 때문에 종래의 버터, 마가린, 쇼트닝 등 고형제품을 액상제품화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Description

신규한 식용유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신규한 구조의 식용유(Edible oil)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압착추출한 유지성분을 등량의 물과 함께 초고온 순간가열처리하여 친수성이 높은 구조가 변경된 신규한 식용유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식용유는 유지종자 예컨대 대두, 유채, 옥수수, 해바라기, 참깨 등의 종자를 압착하여 유지성분의 추출물을 얻고 NaOH등 알칼리 처리를 수행한 후 12시간 정도 방치하여 유지성분과 침전물을 분리한 후 탈취를 수행하는 방식이었다. 이와같은 종래의 식용유제조방법은 알카리의 처리에 의하여 침전되는 왁스와 단백질에는 물이 불규칙한 혼합물의 형태로 존재하게 되어 침전물을 사료로 재활용하고자 하는 경우 이들 혼합물을 산처리후 탈수처리하기가 곤란하고 그에 따른 엄청난 비용이 투입되게 되므로서 결국 재활용이 곤란하여 환경공해물질로 대두되어 왔다. 그 뿐만 아니라 알칼리처리하여 얻은 식용유는 본래의 원료의 산가를 가지지 못하고 원료가 가지고 있는 산가보다 높은 pH값을 가지게 되므로서 순수한 식용유의 향미를 가진 제품을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식용유제조방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공해문제를 해결하고 동시에 잔박을 직접 동물의 사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유지식품원료가 본래 가지고 있는 유지풍미를 그대로 보존된 식용유를 제공함에 있다. 이 밖의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과 효과는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여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유지식품 원료종자를 압착하여 유지성분(oil Component)을 추출하고 밀폐된 용기내에서 초고온 순간가열방식에 의하여 유지와 수분, 왁스, 단백질로 분별 분리되도록 한 후 탈수하여 신규한 구조의 식용유를 얻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대두, 참깨, 해바라기, 유채, 옥수수 등 유지식품원료 종자를 압착하여 유지성분(oil component)을 추출하고 초고온 순간가열방식(본 발명자는 이를 삼원공법이라 부름, 이하 삼원공법이라 한다)에 의거 3000℃이상에서 3초간 초고온으로 순간가열처리하므로서 밀폐된 용기내에서 상층부로부터 기름(oil), 물(H2O) Wax, 단백질등으로 유지식품 원료성분별로 분별분리시킨 다음 탈수하여 식용유(Edible oil)를 얻는다. 본 발명에서 삼원공법에 적용되는 가열탱크는 상부에 수소(H2)와 산소(O2)를 공급하는 공급관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수소와 산소가 유입되는 지점에 순간적으로 점화시키기 위한 전기 점화기가 도입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지식품원료는 상기 열거한 것외에 살구씨, 복숭아씨 호두씨 어느 것이든 관계없다. 유지식품 원료종자를 압착추출하는 방법은 기계식 압착 추출기가 좋으나 수율과 우수한 식용유 생산을 위해서는 초음파 처리기이면 더욱 좋다.
본 발명에서 신규한 구조식(Conformational form)을 가지는 식용유를 얻기 위하여 채용되는 삼원공법이라함은 상기 기름(oil)과 물(H2O)에 불을 적용하는 공법을 말한다.
본래 기름과 물은 혼합되지 않는다. 이것은 기름을 구성하는 성분중 글리세롤은 수산기(OH)를 저급지방산은 카아복실기(COOH)등 친수기를 갖고 있어 다같이 물에 잘 녹는 용해성이 있으나 이들이 결합된 기름은 친수기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수용성이 없을 뿐 아니라 알코올과 같은 유기용매에도 용해되지 않는다. 더욱이 탄소수가 많은 스테아린산(Stearic acid)과 같은 지방산을 많이 함유한 지방은 알킬기와 같은 소수기(疎水基)를 많이 함유하여 물에 녹지 않으며 에테르나 벤졸등에 의하여만 용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삼원공법에 의하여 물과 기름(oil)을 3000℃-3500℃에서 3초간 초고온순간 가열시키면 장치내부의 온도가 순간적으로 초고온이 되면서 장치 내부 하층부에 존재하고 있는 물이 그 상부에 존재하는 오일성분의 구조를 물리적으로 뚫고 상기 장치내에서 상부로 순간 이동하였다가 다시 하강한다. 이때 오일성분의 구조는 그 변경이 있게 된다. 이와같이하여 오일성분의 화학구조식이 변경된 오일의 구조에 대하여는 그 구조결정이 필요하고 현재로서는 친수기인 수산기와 카아복실기가 더 추가된 구조로 생각되고 있다.
본 발명의 삼원공법을 이용하여 유지제품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는 식물성 유지제품 또는 동물성 유지제품을 불문한다. 예컨대 시판되고 있는 마가린은 식물성유지를 이용하여 다른 부성분과 함께 제조된 고상제품(Soild form)이지만 본 발명의 삼원공법을 적용하여 제조되는 마가린은 고상이 아닌 액상제품(Liguid form)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에 의해 제조된 어떤 유지(Oil and fats)라도 액상제품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고형의 버터를 액상버터로 제조한다든지 고형 쇼트닝을 액상쇼트닝으로 그리고 고형 마가린을 액상마가린으로 하는 것이 그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 삼원공법의 원리를 이용하면 그 유래가 어떤 종류라하더라도 종래의 고상제품을 액상제품화할 수 있다. 이와같이 기존 고상의 유지제품과 다른 차별화된 액상 유지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이유는 본 발명 삼원공법에 의하여 제조된 유지는 친수기가 부가된 새로운 구조로 인하여 종래 알카리 침전공법에 의해 제조된 유지에 비하여 융점(M.P)과 산도(pH)가 낮아지고 비중(0.95이상), 용해도, 유화도, 투명도가 각각 증대되기 때문이다.
이밖에도 본 발명의 삼원공법에 의하여 제조된 유지나 유지제품은 유지분자의 구조변경(Conformational Change)에 의한 이화학적 특성(physico-chemical property)의 변화로 인하여 그의 경도와 점도가 낮아지며 비등점(B.P)은 도리어 상승한다.
이하, 본 발명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와 실험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1-실시예 9는 구조미상의 다양한 식물성유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
잘 정선된 대두 5kg을 세척하여 착유기를 투입한 다음 대두유를 압착추출하였다. 이 대두유 원료를 동량의 물과 함께 본 발명 삼원공법장치에 넣고 수소와 산소를 3초간 공급하면서 전기 점화시켜 순간적으로 장치 내부온도를 3000℃를 유지시켰다. 이때 장치내부하부에 적층된 물이 기름성분을 뚫고 상승하였다가 다시 하강하였다. 탈취후 물층을 제거하고 순수한 기름성분을 수득하여 새로운 화학구조식(구조미상)을 갖는 대두유 980㎖를 얻었다.
[실시예 2]
대두 대신 검은 참깨 3kg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구조미상의 참깨기름 865㎖를 얻었다.
[실시예 3]
대두 대신 유채종자 3kg를 사용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구조미상의 유채기름 798㎖를 얻었다.
[실시예 4]
대두 대신 옥수수 배아 3kg을 사용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구조미상의 옥수수기름 1070㎖를 얻었다.
[실시예 5]
대두 대신 해바라기씨 속알 2kg을 사용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구조미상의 해바라기 기름 580㎖를 얻었다.
[실시예 6]
대두 대신 살구씨 속알 2kg을 사용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구조미상의 살구씨기름 720㎖를 얻었다.
[실시예 7]
대두 대신 복숭아씨 속알 2kg을 사용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구조미상의 복숭아씨 기름 575㎖를 얻었다.
[실시예 8]
대두 대신 호두씨 속알 2kg사용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구조미상의 호두씨 기름 685㎖을 얻었다.
실시예 1-실시예 8에서 얻은 구조불명의 식용유지(기름)의 친수성, 융점(M.P), 산도(pH), 비중, 용해도, 유화도, 투명도, 경도, 점도, 비등점 등 이화학적 성질을 시판되는 기존제품과 비교실험한 결과, 유지식품 원료종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융점(M.P), 산도(pH), 경도, 점도는 각각 저하되었고 반면 비중이 0.95이상으로 증대되고 기름의 용해도, 유화도, 투명도 및 끓는점(B.P)이 각각 상승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과 같이 수행하여 대두유를 얻은 다음 나머지 침전물은 알카리(NaOH)처리가 되지 않은 것이므로 직접 소, 돼지, 닭등의 단미사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과 같이 처리하여 대두유를 얻은 다음 나머지 침전물을 알칼리 처리하여 색소, 향을 첨가하여 세탁비누와 세수비누를 제조하였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건강보조식품용 혼합식용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1]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하기 위해 검은 참깨 2kg, 살구씨 2kg, 복숭아씨 1kg를 각각 수세정선하고 초음파기를 사용하여 기름 성분 595㎖를 추출하여 동량의 물과 함께 삼원공법 장치에 투입한 다음 산소와 수소 공급관을 통하여 이들을 3초간 공급하면서 전기 점화시켜 3500℃에서 순간 가열시켰다. 이때 얻은 신규한 건강보조용 식물성혼합식용유를 위암, 간암, 간염, 간경화 및 백혈병 환자에게 1일 3회 5㎖씩 경구투여용으로 사용하였다. 원인불명의 virus성 종창이 있는 환자의 피부 종창부위로 1일 수시 바르도록 하였다. 본 발명 구조미상의 식물성 혼합식용유는 친수성이어서 피부에 잘 흡착되었다.
[실시예 12]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검은 참깨 1.5kg, 살구씨 2kg, 호두씨 1.5kg을 수세 정선하여 사용한 것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식물성 혼합식용유를 얻었다. 이때 얻은 신규한 건강보조식품용 식용유를 고혈압, 당뇨, 중풍, 심장병등 현대 성인병 환자에게 1일 3회 5㎖씩 경구투여용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3]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검은참깨 2kg, 살구씨 2kg를 수세정선하여 사용한 것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식물성 혼합 식용유를 얻었다. 이때 얻은 신규한 건강보조식품용 식용유를 위염, 장염, 폐염 등 소화·순환기질환 환자에게 1일 3회 5㎖씩 경구투여하였다.
실시예 10-실시예 12에서 본 발명 신규의 식물성 혼합식용유를 경구투여한 결과 상당수 환자의 치료효과가 인정되어 본 발명 제품은 구조미상의 유지분자의 항균작용에 의하여 항암성, 항바이러스성, 항세균성, 항에이즈성 물질로 확인되었다. 이와같은 결과는 본 발명 구조미상의 유지분자가 생체내에서 면역구조에 관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하에는 신규한 액상유지제품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 14]
액상 마가린을 제조하기 위하여 통상의 마가린원료를 본 발명 삼원공법실시에 적합한 장치에 투입하여 3500℃에 3초간 노출시켜 액상 마가린을 제조한 후 튜브에 충진제품화하였다.
[실시예 15]
액상버터를 제조하기 위하여 통상의 버터원료를 삼원공법실시에 적합한 장치에 투입하여 3500℃에 3초간 노출시켜 액상버터를 제조한 후 튜브에 충진 제품화하였다.
[실시예 16]
액상 쇼트닝을 제조하기 위하여 통상의 쇼트닝 원료를 본 발명 삼원공법장치에 투입하고 3200℃에서 3초간 노출시켜 액상쇼트닝을 제조한 후 튜브에 충진 제품화하였다.
이상의 실시예 1-15 및 실험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 삼원공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식용유는 구조식이 변경된 신규한 유지분자(oil molecule)로서 그 이화학적 특성에 의하여 인체내에서 항암, 항바이러스, 항세균, 항 AIDS성이 있을 뿐만아니라, 그 이화학적 특성에 의하여 지금까지 고상으로 제조되어 왔던 마가린, 버터, 쇼트닝 등의 유지제품의 물성을 액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사용효과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을 의약산업 및 식품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종래와는 달리 알카릴 처리를 하지 않고 직접 초고온 순간가열방식을 채용하므로서 식용유제조시 침전된 Wax나 단백질이 알카리를 함유하고 있지 않고 탈수가 용이하므로 직접 사료로 사용하거나 통상의 비누제조방법을 적용하여 세탁비누나 세수비누로 이용할 수 있어 사료산업 및 환경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압착 또는 초음파 추출한 식용유를 밀폐된 용기내에서 등량의 물과 함께 혼합 후 3000-3500℃에서 3초간 초고온 순간가열처리하여 탈수후 분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한 식용유 제조방법.
  2. 제1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식용유가 통상의 식용유에 비하여 침수성, 비중,용해도, 유화도, 투명도 및 비점이 증가된 반면 융점(MP), 산도(pH), 경도 및 점도는 저하된 이화학적 성질을 갖는 구조미상의 신규한 식용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유가 기존의 유지제품원료에 첨가된 액상(Liguid forml)제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분리후 신규한 식용유를 얻은 다음 나머지 침전물은 사료 또는 비누로 사용하는 방법.
KR1019970020883A 1997-05-27 1997-05-27 신규한 식용유 및 그 제조방법 KR100232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883A KR100232483B1 (ko) 1997-05-27 1997-05-27 신규한 식용유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883A KR100232483B1 (ko) 1997-05-27 1997-05-27 신규한 식용유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016A KR970062016A (ko) 1997-09-12
KR100232483B1 true KR100232483B1 (ko) 1999-12-01

Family

ID=19507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0883A KR100232483B1 (ko) 1997-05-27 1997-05-27 신규한 식용유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24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853A (ko) * 2014-07-04 2016-01-21 김진수 해독 기능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7851A (ko) * 2014-07-04 2016-01-21 김진수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40040853A (ko) 2022-09-22 2024-03-29 명진생활건강기술 주식회사 식용유 산패 및 열화 방지 처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853A (ko) * 2014-07-04 2016-01-21 김진수 해독 기능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7851A (ko) * 2014-07-04 2016-01-21 김진수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75629B1 (ko) 2014-07-04 2016-11-11 김진수 해독 기능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96022B1 (ko) 2014-07-04 2017-01-12 김진수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40040853A (ko) 2022-09-22 2024-03-29 명진생활건강기술 주식회사 식용유 산패 및 열화 방지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016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alid et al. A comprehensive characterisation of safflower oil for its potential applications as a bioactive food ingredient-A review
TWI242438B (en) Process for the selective extraction of furanic lipid compounds and polyhydroxylated fatty alcohols of avocado
CN102100260B (zh) 酵母油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2143690A (zh) 来自生物质的含有一种或多种长链多不饱和脂肪酸磷脂的油
CN1307452A (zh) 从蛋黄中选择性取得磷脂的湿式提取方法
Srikaeo Organic rice bran oils in health
CN102648271A (zh) 从可再生的原材料中提取不皂化物的方法
KR20100038029A (ko) 초임계 추출에 의하여 크릴 오일을 생산하는 방법 및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이 높은 크일 오일 조성물
CN111187660B (zh) 一种从磷虾中提取高品质磷虾油的方法
KR100232483B1 (ko) 신규한 식용유 및 그 제조방법
US7122216B2 (en) Vegetable oil extraction methods
WO2015021631A1 (zh) 一种黄芪籽粗油、精制油及制备方法与应用
CN106912952B (zh) 一种具有降血脂功能的药物组合物及其胶囊制剂的制备方法
CN104629901A (zh) 一种乌风蛇油的制备方法
KR101045397B1 (ko)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이 높은 정제 오징어유의 제조방법
Arias et al. Quality of red tilapia viscera oil (Oreochromis sp.) as a function of extraction methods
CN102533434B (zh) 对叶大戟果实油脂及衍生物的制备方法和用途
JP4191420B2 (ja) 甘草疎水性抽出物を含有してなる食用油脂組成物
CN104666370A (zh) 一种深海鱼油软胶囊及其制备方法
CN111713565A (zh) 一种含有猴头菇的食用油及其制备方法
RU2188563C2 (ru)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добавка к пище
CN103053906B (zh) 猕猴桃籽油口服乳液的制备方法
JPH05255367A (ja) カンタリジン誘導体組成物の製造法及びそれを含む抗ウイルス剤
CN108850200A (zh) 一种具有健脑功效的复合食用油及其制备方法
CN1566298A (zh) 微生物油脂的超临界二氧化碳萃取的提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