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1636B1 - 장식용 성형 부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장식용 성형 부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1636B1
KR100231636B1 KR1019950700734A KR19950700734A KR100231636B1 KR 100231636 B1 KR100231636 B1 KR 100231636B1 KR 1019950700734 A KR1019950700734 A KR 1019950700734A KR 19950700734 A KR19950700734 A KR 19950700734A KR 100231636 B1 KR100231636 B1 KR 100231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layer
decorative
layer
support film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0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2913A (ko
Inventor
펠저 헬무트
Original Assignee
펠저 헬무트
에이치피-케미 펠저 리서치 앤 디벨로프멘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펠저 헬무트, 에이치피-케미 펠저 리서치 앤 디벨로프멘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펠저 헬무트
Publication of KR950702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2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1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16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827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using a transfer foil detachable from th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25Applying surface layers, e.g. coatings, decorative layers, printed layers, to articles during shaping, e.g. in-mould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4Pressing or stamping ornamental designs on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4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 B44C3/046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using a modelling surface, e.g. plate
    • B44C3/048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using a modelling surface, e.g. plate applying an additional decorative element, e.g. pi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25Applying surface layers, e.g. coatings, decorative layers, printed layers, to articles during shaping, e.g. in-mould printing
    • B29C37/0028In-mould coating, e.g. by introducing the coating material into the mould after forming the article
    • B29C2037/0042In-mould coating, e.g. by introducing the coating material into the mould after forming the article the coating being applied in solid sheet form, e.g. as meltable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3/18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preformed layer being a lining, e.g. shaped in the mould before compression moulding, or a preformed shell adapted to the shape of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3/18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preformed layer being a lining, e.g. shaped in the mould before compression moulding, or a preformed shell adapted to the shape of the mould
    • B29C43/184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preformed layer being a lining, e.g. shaped in the mould before compression moulding, or a preformed shell adapted to the shape of the mould shaped by the compression of the material during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ompres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7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joining, lining o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3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printing or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2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Paper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장식용 성형 부품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비건조 또는 비경화된 평평한 장식층 또는 라커층의 후면에서 압출가능한 열가소성 재료를 사출 또는 압연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장식층 또는 라커층을 분말 피복시키고, 지지체 필름, 라커층 및 열가소성 재료를 함께 공압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잡한 기하학적 모양을 가진 장식용 성형 부품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식용 성형 부품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압출가능한 플라스틱 재료로 이뤄진 장식용 성형 부품, 특히 자동차의 내장 및 외장용, 전시용의 장비품 및 장식품용의 성형 부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매우 상이한 종류의 자동차의 흙받이 또는 덮개와 같은 광학 표면 디자인이 중요한 성형 부품은 일반적으로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이어서 이렇게 제조된 성형 부품에 직물, 장식용 피복 또는 착색용 피복을 입힌다. 자동차 분야에서 색채 표면 디자인 또는 플라스틱 재료는 최근에 이르기까지 예컨대 차량 지붕, 측면부, 문 또는 흙받이와 같은 성형부품을 제조하는 데에 난점이 있어 왔기 때문에 금속을 사용하였으며 이후 이를 도장하였다. 그 이유는, 문제점이 많은 도장 과정을 거치게 되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성형 부품의 사출 성형법은 비교적 값비싸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경우에 도료는 매우 양호한 방법으로 보호되어야 하며, 또한 플라스틱이 변형되기 때문에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성형 부품이 비틀어지거나 변형되는 경우에도 표면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유연성을 지녀야 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이른바 "과분사"는 통상의 도장 공정에서 발생되며,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방법을 이용하여야만 한다.
"Rompp Chemie Lexikon, 9판, 3681 페이지, 1982" 문헌에 따르면, 예컨대 분말도료, 특히 분말 피복물이 공지되며 있으며, 이에 의하면 금속 및 플라스틱 표면의 피복은 열경화성 분말의 피복 및 공정및 이어지는 소결 공정에 의하여 수행된다. 이들은 용사, 플라스틱-용사 또는 금속-분사 공정(정전 분말 분사)에 의하여 방적 또는 응집 공정에서 피복될 수 있다. 열가소제가 유동상 피복에 적당하다.
"Ul 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y, 5판, 볼륨 B1, chapter 8-66 및 볼륨 A9, 558 및 559 페이지" 문헌에 성형품의 분말 피복법이 공지되어 있다.
분말 피복법은 당업계에서 성공적인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바, 그 이유는 어느 정도는 과분사가 없고, 용매의 방출이 관찰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동차 분야에서는 도료가 균일하게 분포되는 데에서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는 표면 도장의 광학적 품질이 고도일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플라스틱 재료로 된 성형 부품, 특히 사출 성형 부품의 도장 피복이 중요한 문제이다.
사출 성형 부품의 도장 피복의 또 다른 문제점을 도료 피복물과 지지체사이의 접착이 통상 불량하다는 것이다.
이른바 "금형내" 또는 "주입"방법은 당업계에 제시되어 있으며, 특히, 경화 및 건조 도료(디자인,모티브)가 시이트로부터 ABS - 필름으로 전환되는 소비재의 제조용으로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복합재는 침교 성형 및 펀치된다. ABS - 필름에 대한 표면 접착에 의하여만 접착된 도료의 경화로 인하여 구조 성분의 일부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예비 성형체를 목적물의 후면에 있는 사출용 압출 다이에 위치 시키고, 예비 성형체의 후면에서 열가소제를 사출시킨다. 이러한 시이트는 성형 부품의 성분으로 잔류하게 된다. "금형내"방법에서는, 특히 개질된 고온 스탬핑 시이트를 압출 다이를 통해 코어로부터 전도한다.
사출성형법에서는, 압력 및 열의 영향으로 도료가 지지체 시이트로부터 방출되며, 사출된 지지체와의 결합에 의해 함께 견고하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자동차 공업용의 압출가능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장식용 성형 부품의 단순화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압출가능한 지지 재료 및 피복 도료간의 접착성을 당업계의 현재 수준보다 매우 향상시킨, 특히 자동차 공업용의 성형 부품의 제조 방법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더욱이, 본 방법은 현재의 환경적인 측면에 적합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의해 이른바 과분사를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표면 피복의 광학적 품질도 동등하게 매우 중요하다.
장식용 성형 부품, 특히 자동차 공업용의 성형 부품에 추가로 필요한 요구 조건은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성형 부품상에 나무조각, 도형 기호 또는 문자등의 영구 장식물을 부착할 수 있는 가능성뿐만 아니라 총 면적에 걸쳐 균일한 도료를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이다. 더욱이 얻어진 성형 부품은 가능한 한 재활용하여야 한다.
진술된 목적은 비건조 또는 비경화된 평평한 장식층 또는 도료층의 후면에서 압출가능한 열가소성 재료를 사출 또는 압연하여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장식용 성형 부품, 특히 자동차 공업용의 성형 부품을 제조하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형된 플라스틱 부품은 외부 피복 도장으로부터 성형된 부품순으로 제조된다.
분말 도료 상품은 광범위한 온도에서 열가소성이며, 이 온도 범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경우 이들은 경화된다. 이러한 도료는 경화 온도 이하에서 상당히 변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출 또는 압연하기 전이나 수행중에, 장식층 또는 도료층 및 열가소성 재료로 된 적층제를 고온 용융계의 용융 범위 이상의 온도, 즉 매우 높은 전환율을 얻을 수 있는 온도로 올리고 결합이 견고하게 된 후, 이를 냉각시킨다. 이에 의하여 적어도 경계면에서 두가지 성분으로 이뤄진 용융체가 형성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장식층 또는 도료층과 압출된 플라스틱 재료와의 부분 혼합물이 합체에 의해 혼합물을 형성한다. 동시에, 장식층 또는 도료층의 용융 범위는 경화 및 듀로플라스틱 범위로의 전이에 의하여 증가된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대통령과 같은 사항이 포함된다.
(a) 분리가능한 평평한 장식층 또는 균일한 도료층을 지지체 필름상에 제공하고, (b) 장식층 또는 도료층을 경화 또는 건조시키지 않고, 얻어진 적층체의 후면에서 압출가능한 플라스틱 재료를 사출 또는 압연시키고, (c) 이렇게 얻어진 성형 부품을 금형으로부터 탈형시키고, 이어서 (d) 지지체 필름 및 평평한 장식층 또는 균일한 도료층을 박리시켜 서로 분리한다.
"금형내" 및 "주입" 공정과 관련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도료층과 플라스틱 재료간의 결합이 표면 결합에 의해서만 배타적으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고, 화학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경계층의 이웃면에 접착제를 부가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이는 보통 필요한 것이 아닌바, 그 이유는 비경화 장식층 또는 도료층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플라스틱 재료에 물리적으로만 결합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더욱이, 화학적 결합/혼합은 장식층 또는 도료층 및 플라스틱 재료간에 얻어질수 있다.
지지체 필름과 장식층간의 결합의 박리성 디자인으로 인하여 통상 사용되는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하여 예비 성형된 성형 부품에 피복된 피복물과 적어도 외관면에서 동등한 플리스틱 재료상에 직접 장식용 표면 피복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시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시판용 자동차 피복 도료(아크릴레이트 도료) 또는 분말 도료를 피복시킴으로써 지지체 필름과 장식층 또는 도료층간의 박리성 결합을 얻을 수 있다. 임의로, 피복될 도료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지자체 필름에 화합물을 첨가하여 지지체 필름과 장식층 또는 도료층의 분리를 개선시킨다.
예컨대, 이 경우에 왁스형 재료, 실리콘등을 지지체 필름에 가할 수 있다. 장식층 또는 도료층을 지닌 박리성 지지체 필름은 예컨대 필름 및 분말 도료의 공압출에 의하여 대체 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라 열가소성 재료를 동시에 압출시켜 3층 복합재를 얻을 수 있다.
지지체 필름의 두께는 결정적인 요소는 아니다. 지지체 필름이 30 내지 200㎛, 특히 30 내지 100㎛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압착 성형시의 안정도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된 지지체 필름이 특히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러한 재료는 특히 간단한 방법으로 압출할 수 있으며, 장식층 또는 도료층에 접착하는 경향이 없기 때문이다.
지지체 필름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장식층 또는 도료층의 두께는 결정적인 요소는 아니다. 이는 자동차 피복 도료층의 통상 범위내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에 따르면, 분사 또는 침지에 의해 장식층 또는 도료층을 지지체 필름상에 피복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나이프 코팅 또는 롤링에 의해 장식층 또는 도료층을 지지체 필름상에 도포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로울러 프런팅 방법에 의해 예컨대 원하는 장식을 지지체 필름상에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것은 평평하고 균일한 후자의 성형 부품의 도료 피복에 의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공지의 로울러 프린팅 방법으로 나무로 된 숫자, 문자 또는 조각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 특히 분말 도료를 이용하는 경우 과분사가 관측되지 않으므로 본 방법이 현재의 환경 조건에서 요구되는 특별한 방식에 적합하다. 프린팅에 의해서 평평하고 균일한 층 또는 장식의 피복물을 피복하는 또 다른 방법에 따르면 공지의 분말 피복 방법 예컨대 분말의 정전 침적법에 의해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체 필름의 온도를 도포된 장식층 또는 도료층을 용융시키기에는 충분하나, 이를 경화 또는 건조시키기에는 불충분한 온도로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필름의 열 함량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달리 외부 열처리에 의해서도 고품질의 평평한 표면을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장식층 또는 도료층을 통해 경화 또는 건조가 일어나지 않음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어떠한 지지체에 분말 도료를 피복시키는 다양한 방법이 당 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하더라도 성형 부품을 제조하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부가적인 변형 방법은 압출과정 중에 분말 도료를 예비 열처리하나, 압출 과정을 통해 경화 또는 건조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통상 사용되는 도료 피복 방법과는 상이하다. 온도는 예컨대 압출중에는 100 내지 130℃의 범위이어야 사출 또는 압연 중에 또는 분리 작업 과정에서 예컨대 160 내지 210℃의 온도 범위에서 분말 도료가 경화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압출가능한 플라스틱 재료에 대한 양호한 화학적 결합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듀로플라스틱 또는 열가소성 재료로부터 분말 도료의 재료를 선택할 수 있으나, 이들은 압출 가능한 플라스틱으로 적층하기 전에 완전히 경화 또는 건조되지 않아야 한다. 경화는 과정의 후반 상태 예컨대 적층체가 원하는 상태로 변형된 후에 실행되어야 한다. 이상적인 경우는 고온의 압출가능한 플라스틱 재료의 열 용량이 분말 도료를 경화 또는 가교결합시키는 데에 충분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된 분말 도료는 당업계에 공지된 것이다. 이러한 방법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분말 도료는 특히 폴리올레핀, 폴리이미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폭시드 및 이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특히 바람직한 열가소성-듀로플라스틱 분말 도료는 정전 분사 또는 기타 방법에 의해 통상 표면에 도포된 에폭시드 수지를 함유한다. 고형 가교결합제, 예컨대 디시아노디아미드, 페놀계 경화제 또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에 의해 고온에서 경화된 비스페놀 A (800 내지 2000 EEM)를 기재로한 고형 에폭시드 수지가 본 발명에 따르는 특히 바람직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듀로플라스틱은 전술한 공압출의 저온 범위에서 열가소성이며, 차후 가공 단계에서 고온에서 경화된다. 화학적 관점에서 보면 이들 성분은 기능성 또는 장식용 분말 피복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시아노디아미드대신 이미다졸을 사용하고, 특히, 실온에서 고체인 가교결합제대신 말레산 무수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 온도 범위에서 이른바 폴리에스테르-TGIC-수지 또는 열가소성 에폭시드 폴리에스테르 하이브리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Ul lmanm's Encyclopedia에 기재되어 있다. 분말 도료 피복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층 및 장식층 또는 도료층을 사용하는 것을 폐물질을 재사용하거나 재순환시킬 때 열가소성 재료의 화합물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성형 부품의 장식층 또는 도료층을 완전히 가교결합 또는 경화시키기 위해 예컨대 0.5 분 내지 120분 특히, 1분 내지 30분간, 160 내지 240℃, 특히 160 내지 210℃의 고온에서 사출한 후, 동일물을 가열하는 것이 필요하다. 분말 도료의 불충분한 가열뿐 아니라 짧은 경화 시간은 열가소성 재료상에 분말 도료가 불충분하게 접착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더욱이 분말 도료가 완전하게 충분히 경화되지 않으면 외부적인 영향 예컨대 기후적인 요소에 대한 영구적인 내성이 적당하지 못한 결과를 가져온다. 상한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말 도료 피복물이 미리 분해되는 경향이 있게 된다. 열가소성 재료 자체도 또한 이러한 고온에 견딜수 없다.
도료 디자인에 요구되는 조건은 각각의 성형 부품에 요구되는 조건, 예컨대 자동차 분야의 도료 디자인, 전시용 장비품 및 장식물에 요구되는 통상 조건과 같다.
성형 부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열가소성 재료의 선택은 결정적인 요소는 아니다. 그러나, 플라스틱이 압출가능하고, 장식층 또는 도료층, 특히 분말 도료의 용융 범위에 해당되는 온도 범위에서 이들이 용용되어야하는 것은 필수조건이다.
열가소성 재료의 고온 용융 범위는, 성형 부품의 고온을 필요로 하는 바, 도료를 경화시키는 데에 필요한 온도는 도료 피복을 냉각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열적으로 불안정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양호한 방법으로 특히 증가된 온도에서 압출시킬 수는 없다. 그러므로 성형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열가소성 재료는 압출가능한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화합물, 특히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폭시드, 폴리우레탄, 이오노머, 및 이의 혼합물, 특히 ABS/PC-중합체에서 선택된다.
압출 가능한 플라스틱의 유형은 성형 부품의 원하는 용도와 관계가 있다.
예컨대, 자동차 분야에서 높은 파쇄 내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르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중합체 (AB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올레핀, 특히 활석과 같은 충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 및 ABC/PC-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쇄 내성을 높일 필요가 그리 크지 않을 경우에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스티렌을 예컨대 모터 장치의 덮개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도료의 스크래치 내성, 내광성(un-Florida시험) 및 내후성은 자동차 분야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울러 프린팅 방법으로 자동차 분야에서 공지된 도료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도료의 사용에 의해 바람직한 요구 조건이 만족되어진다.
프린팅 색상(장식) 또는 도료층 및 압출가능한 플라스틱 재료사이의 접착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른 로울러를 임의로 사용하여 공지의 접착제로 후면 사출 시키기 전에 장식층 또는 도료층 및 지지체 필름으로 구성된 적층체를 어려움없이 피복시킬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환형 정지체를 (stop), 강화 직물, 강화 비직물 등을 혼입시켜 장식층 또는 도료층 및 플라스틱 재료간의 샌드위치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되는 재료는 통상의 플라스틱 기술 분야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것이다. 공압출물의 낮은 상대점도로 인하여 강화재가 분말 도료 피복 및 열가소성 재료로 투과되는 것이 예견된다. 이에 의하면 도료 피복과 열가소성 재료간의 강한 결합을 얻을 수 있다.
후면 사출 방법을 이용하여 압착 금형내의 잔류 부피가 열가소성 재료에 의하여 채워지면 장식층 또는 도료층과 플라스틱 사이에 매우 양호한 결합이 형성되는데, 이는 양 경계면이 용융에 의해 다른 면과 결합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열가소성 재료의 매우 양호한 강도를 얻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요구 조건에 부합되기 위해서는 열가소성 재료의 기계적인 강도를 추가로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 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라 강성 또는 연성 강화제, 예컨대 강화 섬유, 예컨대, 유리 섬유, 탄소 섬유, 고내성 유기 섬유, 금속 섬유 또는 세라믹 섬유를 예컨대 열가소성 재료의 공압출중에 플라스틱 재료에 배합할 수 있다.
공압출에 필요한 온도 때문에 공압출물은 압출 다이를 떠난 후, 다소 고온일수 있다. 이제 적층체를 압연하여 층간의 결합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공정에서 분말 도료를 완전히 경화 시킬 필요는 없다. 임의로, 적층체의 온도를 냉각시켜 원하는 온도로 만들 필요가 있다.
장식층 또는 도료층의 피복 또는 공압출에 이어서 얻어진 적층체의 성형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당업계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가능성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시이트형 성형 부품의 제조중에 성형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성형 과정이 필요한 경우, 예컨대 얻어진 적층체를 압착 금형에 도입하여 장식층 또는 평평하고, 균일한 도료층을 피복 시킨 후, 이 적층체를 침교 성형시켜 증가된 온도에서, 임의로 감소된 압력하에서, 원하는 기하학적 모양에 따라 원하는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용되는 온도와 압력은 자동차 공업분야, 특히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성형 부품의 제조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이 범위는 통상 80 내지 130℃이다. 이 경우에 온도를 높이면 분말 도료가 경화된다.
이렇게 얻어진 성형 부품은 어려움없이 냉각후 금형으로부터 탈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투명한 도료층을 지지체 필름과 장식층 또는 도료층사이에 혼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성형 부품의 성분이 되는 투명한 도료층으로부터 지지체 필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장식층 또는 도료층을 피복시키는 전술한 방법에 의하여 투명한 도료층을 지지체 필름 상에 도포할 수 있다. 자동차 분야에서 투명한 도료층으로서 특히 일반적인 공지의 아크릴레이트 도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층의 두께는 1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에 장식층 또는 도료층과의 결합은 용융에 의해 적어도 경계면에서 이루어진다.
열가소성 재료, 분말 도료, 지지체 필름 및 임의의 투명한 도료층으로 만들어진 적층체의 각 층의 두께는 이들이 사용되는 특정 유형에 적합한 경우에 그리 결정적인 요소는 아니다. 층의 두께는 특히 압출성 및 각 층의 바람직한 성질에 의존한다. 어떤 지지적 성질을 지녀야만 하는 성형 부품은 일반적으로 장식 목적만의 성형부품보다 층 두께가 더 커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열가소성 재료를 0.2 내지 10cm, 특히 0.5 내지 5cm의 두께로 압출하거나 후면 사출방법에 의하여 이를 제조할 수 있다.
열가소성 플라스틱 층에 상응하는 이론적인 층의 두께가 압출 가능한 두께이어야 한다고 하더라도, 분말 도료 피복의 층 두께를 0.1 내지 5mm, 특히 0.02 내지 0.1mm 또는 0.1 내지 0.5mm로 조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분말 도료층의 두께는 피복의 비용에 직접 비례한다. 따라서,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이의 성능과 관련된 제한을 수용하지 않고, 분말 도료 피복을 가능한한 얇게 도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예컨대 장식층 또는 도료층 및 압출가능한 플라스틱 재료사이에 강화재를 사용할 때, 층 두께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시용 장식 및 장비품용, 자동차의 내장용 및 외장용의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성형 부품을 제조할 수 있다.
자동차 분야에서는 차체의 부품, 흙받이, 엔진 후드, 트렁크 뚜껑, 휠캡, 범퍼, 케이퍼 후드(cape hood) 덮개, 방풍막, 내부 클래딩(cladding), 후면경 케이스, 모터 덮개, 장식물 및/ 또는 문 덮개 또는 이들의 부품을 본 발명에 따라 특히 바람직하게 제조한다.

Claims (24)

  1. 압출가능한 열가소성 재료가 비건조 또는 비경화된 평평한 장식층 또는 도료층의 후면에서 사출 또는 압연되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장식용 성형부품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a) 분리가능한 평평한 장식층 또는 도료층을 지지체 필름에 공급하고, (b) 얻어진 적층체의 후면에서 장식층 또는 도료층을 예비 건조 또는 경화시키지 않고 압출가능한 열가소성 재료를 사출 또는 압연하고, (c) 얻어진 성형 부품를 금형으로부터 탈형시키고, (d) 지지체 필름 및 평평한 장식층 또는 도료층을 박리시켜 서로 분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지체 필름, 임의적인 투명한 도료층, 장식층 또는 도료층 및 열가소성 재료를 공압출시켜 샌드위치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지체 필름의 두께가 30 내지 200㎛, 특히 30 내지 100㎛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필름, 특히 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된 플라스틱 필름을 지지체 필름으로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로울러 프린팅법 또는 정전 분말 피복에 의해 장식층 또는 평평하고 균일한 도료층을 지지체 필름상에 도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또는 열가소성-듀로플라스틱(duroplastic)재료, 특히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폭시드 및 이의 혼합물으로부터 분말 피복물을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비스페놀 A, 특히, 디시아노디아미드, 페놀계 경화제, 이미다졸 및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특히 말레산 무수물으로부터 선택된, 실온에서 고체인 가교제로부터 폴리에폭시드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르복실산) 및 트리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의 혼합물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장식층 또는 균일한 도료층을 도포시키기 전에 지지체 필름을 성형, 특히 침교 성형(deep-draw) 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예비 성형된 지지체 필름상에 분말 도료를 분사시켜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지체 필름 및 장식층 또는 도료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체를 압착 금형에 위치시키고, 임의로 감소된 압력하에서, 증가된 온도로 이것을 성형, 특히 침교 성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지체 필름, 장식층 또는 도료층 및 압출가능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적층체를 압착 금형에 위치시키고, 임의로 감소된 압력하에서, 증가된 온도로 이것을 성형, 특히 침교 성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화합물,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에폭시드, 폴리우레탄, 이오노머 및 이의 혼합물, 특히 충전재를 임의로 함유할 수 있는 ABS/PC-중합체로부터 플라스틱 재료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재료가 강화 섬유, 특히 유리 섬유, 탄소 섬유, 고내성 유기 섬유, 금속 섬유 또는 세라믹 섬유로부터 선택된 강화 재료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지체 필름과 장식층 또는 도료층 사이에 투명한 도료층을 혼입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투명한 도료층, 특히 상업용 자동차 투명 도료층의 두께가 10 내지 50㎛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지지체 필름에 분사, 침지 또는 로울러 프린팅하여 투명한 도료층을 공급하고, 임의로 이를 건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결합제 또는 강화제, 특히, 환형 정지체(stop), 강화직물 및/ 또는 강화 부직물을 열가소성 재료와 분말 피복물 사이에 혼입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130 내지 240℃, 특히 180 내지 200℃ 온도 범위에서, 0.5 내지 120분, 특히 1 내지 30분간 장식층 또는 도료층을 경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말 도료의 두께를 0.1 내지 5mm, 특히 0.02 내지 0.1mm 또는 0.1 내지 0.5mm로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내장 또는 외장용, 장비품용 및 전시용 장식품으로서 성형부품을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차체의 부품, 흙받이, 엔진후드, 트렁크 뚜껑, 휠캡, 범퍼, 케이프 후드(cape hood) 덮개, 방풍막, 내부 클래딩(cladding), 후면경 케이스, 모터 덮개, 장식물, 문 덮개 또는 이들의 부품을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1항에서 청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성형 부품.
KR1019950700734A 1992-08-25 1993-08-18 장식용 성형 부품의 제조방법 KR1002316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228194.6 1992-08-25
DE4228194A DE4228194A1 (de) 1992-08-25 1992-08-25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ekorfähigen Formteilen
PCT/EP1993/002201 WO1994004358A1 (de) 1992-08-25 1993-08-18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ekorfähigen formteil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2913A KR950702913A (ko) 1995-08-23
KR100231636B1 true KR100231636B1 (ko) 1999-11-15

Family

ID=6466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0734A KR100231636B1 (ko) 1992-08-25 1993-08-18 장식용 성형 부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658141B1 (ko)
JP (1) JP3347732B2 (ko)
KR (1) KR100231636B1 (ko)
AT (1) ATE149918T1 (ko)
BR (1) BR9306960A (ko)
CZ (1) CZ287719B6 (ko)
DE (2) DE4228194A1 (ko)
ES (1) ES2101338T3 (ko)
WO (1) WO19940043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8956A (en) * 1994-03-15 1997-05-13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manufacturing a rubber article
DE19546685C2 (de) * 1994-12-20 2003-10-23 Volkswagen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spritzgussteils
US6254712B1 (en) 1998-12-08 2001-07-03 Avery Dennison Corporation Extrusion coating process for making high transparency protective and decorative films
US6296732B1 (en) 1995-06-07 2001-10-02 Avery Dennison Corporation Extrusion process for protective coatings for outdoor siding panels and the like
ZA964731B (en) 1995-06-07 1997-01-07 Avery Dennison Corp A Legal Bo Extrusion coating process for making protective and decorative films
DE19654918B4 (de) * 1996-07-18 2004-08-12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ackfolie
GB9708151D0 (en) * 1996-12-04 1997-06-11 Robobond Ltd Method of forming ornamented plastics articles
GB9625192D0 (en) * 1996-12-04 1997-01-22 Robobond Ltd Method of forming ornamented plastics articles
DE19720474C2 (de) * 1997-05-15 2000-12-07 Hohe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mit einem Dekor versehener und farbiger Kunststoffteile
DE19823426A1 (de) * 1998-05-26 1999-12-02 Degussa Elektrostatische Pulverlacke auf Basis von Polyamiden und Polyolefinen
US6284183B1 (en) 1998-06-08 2001-09-04 Avery Dennison Corporation Thick sheet laminating process for making exterior automotive body panels
DE29812705U1 (de) * 1998-07-16 1999-02-11 Saarpor Klaus Eckhardt Gmbh Ne Zierleistenelement
JP3594516B2 (ja) 1999-03-29 2004-12-02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不織布調意匠用樹脂組成物
DE19927549A1 (de) * 1999-06-16 2000-12-21 Targor Gmbh Schichtverbundmaterial mit einer Zwischenlage aus einem thermoplastischen Kunststoff
DE19946566A1 (de) * 1999-09-29 2001-04-05 Peter Willrich Türschwellen-, Fensterbank- oder Rolladenprofil
FR2830483B1 (fr) * 2001-10-05 2004-11-26 Knauf Snc Procede de marquage d'une piece en matiere plastique et piece obtenue
DE102005019720A1 (de) * 2005-04-25 2007-04-12 Decoma (Germany) Gmbh Bauteil
DE102005039586B4 (de) * 2005-08-19 2011-06-22 Daimler AG, 70327 Verfahren zum Aufbringen einer Antennenstruktur auf ein Beplankungsteil einer Fahrzeugkarosserie und eine integrierte Antennenstruktur
DE202006003298U1 (de) * 2006-03-02 2007-01-18 Grote, Carsten Kunststoffspritzling, insbesondere Türöffnungshebel für Personenkraftwagen
DE102009022542A1 (de) * 2009-05-25 2010-12-09 Leonhard Kurz Stiftung & Co. Kg Mehrschichtfolie
DE102010037022B4 (de) * 2010-08-17 2021-04-01 Novem Car Interior Design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ormteils mit dreidimensional strukturierter Oberfläche
JP2013543800A (ja) 2010-10-25 2013-12-09 エボニック レーム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着色層を有する積層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22105006A1 (de) 2022-03-03 2023-09-07 Leonhard Kurz Stiftung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rtikels, ein Artikel und Verwendung des Artikel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0739A (en) * 1979-07-30 1982-09-21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Molded plastic part
JPS6157322A (ja) * 1984-08-29 1986-03-24 Sumitomo Bakelite Co Ltd 防眩フイルムの製造方法
US4810540A (en) * 1986-10-28 1989-03-07 Rexham Corporation Decorative sheet material simulating the appearance of a base coat/clear coat paint finish
DE3916099A1 (de) * 1989-05-17 1990-11-29 Roemmler H Resopal Werk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ekorativen schichtpressstoffplatten
US4983247A (en) * 1989-08-07 1991-01-0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resin rich surface layer on composite thermoplastic material
US5215826A (en) * 1990-09-25 1993-06-01 Rexham Industries Corp. Surfacing film with thermoformable carrier layer
ZA92471B (en) * 1991-09-13 1992-10-28 William Plail David Board manufa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500539A (ja) 1996-01-23
JP3347732B2 (ja) 2002-11-20
EP0658141B1 (de) 1997-03-12
ES2101338T3 (es) 1997-07-01
ATE149918T1 (de) 1997-03-15
EP0658141A1 (de) 1995-06-21
CZ287719B6 (en) 2001-01-17
WO1994004358A1 (de) 1994-03-03
KR950702913A (ko) 1995-08-23
DE59305798D1 (de) 1997-04-17
DE4228194A1 (de) 1994-03-03
BR9306960A (pt) 1999-01-12
CZ49695A3 (en) 1995-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1636B1 (ko) 장식용 성형 부품의 제조방법
US6019923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decorable moulded parts
US6083335A (en) Paint film assembly with masking film and method of making same
EP0551409B1 (en) Surfacing film with thermoformable carrier layer
US6602591B1 (en) Automotive trim with clear top coa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062451B2 (en) Post molding application of an extruded film to an injection molded part
KR100310931B1 (ko) 디자인 옵션을 가진 필름 마무리 시스템
US20040183229A1 (en) Process for film insert molding of decorated films
DE69909521D1 (de) Extrusionsbeschichtungsverfahren zum herstellen von mit hoher durchsichtigkeit schutz- und dekorbeschichtungen
PL192849B1 (pl) Sposób wytwarzania wyrobu z tworzywa sztucznego
US6416866B1 (en) Molded article and surface covering sheet therefor
EP1955840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ormkörpers
JPH11245261A (ja) アクリルフィルムインサート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KR950701566A (ko) 열성형성 전도성 라미네이트 및 방법
JP2747478B2 (ja) ペイントレスフィルム
JPH04268313A (ja) 耐擦傷性に優れた合成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2780969B2 (ja) 着色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CA1173877A (en) Composite moulding system
JP3033189B2 (ja) 絵付け成形品の製造方法
JP2747478C (ko)
JP2002086626A (ja) 有色原料樹脂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外装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EP1200259A1 (de) Verfahren zum umformen eines flächigen kunststoffteils
JPS62176814A (ja) 着色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H08267688A (ja) 装飾フィルム付き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335322A (ja) 車両外部樹脂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