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0970B1 - 무선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0970B1
KR100230970B1 KR1019960011388A KR19960011388A KR100230970B1 KR 100230970 B1 KR100230970 B1 KR 100230970B1 KR 1019960011388 A KR1019960011388 A KR 1019960011388A KR 19960011388 A KR19960011388 A KR 19960011388A KR 100230970 B1 KR100230970 B1 KR 100230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model
signal
contro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1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8687A (ko
Inventor
노부미츠 가네츠나
사토시 이노코시
마사히로 아라이
Original Assignee
노부미츠 가네츠나
후다바 덴시 교교 가뷰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4133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80912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4132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809127B2/ja
Application filed by 노부미츠 가네츠나, 후다바 덴시 교교 가뷰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노부미츠 가네츠나
Publication of KR960038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8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9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제어할 수 없을 때에 선회비행시킨다.
전파가 닿지 않을 때는, 에러검출회로가 이것을 검출하여 제1스위치(SW1) 내지 제3스위치(SW3)를 전환한다. 이로써, VR1~VR3의 설정전압신호가 전압-펄스폭 변환회로(15)를 통하여 서보회로에 공급된다. 이 경우, SW1 및 SW2로부터는 비행기가 수평으로 비행하는 에일론 및 엘리베이터의 제어용 신호가 출력되고, SW3으로부터는 비행기가 선회하는 러더의 제어용 신호가 출력된다. 이때, 센서(3)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비행기는 피드백제어되어서 안정적으로 선회하도록 된다.
센서(3)는 유선형 또는 가늘고 긴 형상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무선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센서를 구비하는 무선제어장치의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2축 센서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2축 센서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2축 센서를 비행기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어부 2 : 수신기
3 : 센서 10 : 펄스폭-전압 변환회로
11 : 에러검출회로 12, 13 : 가산기
14 : 펄스트리거회로 15 : 전압-펄스폭 변환회로
16 : 연산회로 31 : 기부(基部)
32 : 센서부 31-1~32-4 : 광센서
33 : 플러그 34 : 각인(刻印)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비행체를 무선제어(radio conrol) 하는 무선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공중용 모형인 비행기나 헬리콥터의 조종은 요잉축, 롤링축, 피칭축의 3축 제어를 동시에 행할 필요가 있고, 또 기체의 자세가 변화한 경우 등에 있어서는, 상기 3축의 제어를 행하여 조종자가 기체를 원래대로 복귀시키는 조작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고, 제어의 난이도가 높아 초심자가 입문자의 장애로 되고 있었다.
그래서, 최근 이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보조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 1 예를 들면, 롤링축 및 피칭축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비례(P) 제어만을 행하도록 한 제어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제어장치는 항상 기체를 기준자세(뉴트럴)로 복귀시키는 동작을 행한다.
따라서, 모형이 조종자의 의도에 반하여 자세가 무너져도 스틱(조종레버)를 기준자세로 복귀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모형도 기준자세 상태로 복귀하여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단순한 조작에 의해 선회동작이나 직선비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만일 모형이 무선제어송신기로부터의 전파의 도달거리를 초과하고 말았을 때에는, 상기한 자동제어기능에 의해 기준자세 상태로 되고, 안정된 자세인 채로 연료가 떨어질 때까지 직진비행을 계속하게 된다.
이 비행거리는 모든 조건에 의해 달라지나, 10km를 초과할 우려도 있다.
그러면, 일반적으로 공중용 모형은 인가가 없는 산 언덕 등의 장소를 선정하여 비행시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택지까지 비행하고 마는 우려가 생기거나, 모형을 잃어버리고 만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모형이 무선제어송신기로부터의 전파의 도달거리를 초과하고만 경우는, 모형을 자동적으로 선회비행시키도록 한 무선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무선제어장치는 모형비행체를 무선제어하는 송신기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게 된 것을 검출하는 에러검출회로와, 제어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비행체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선회비행상태로 되는 선회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발생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무선제어장치에 있어서, 모형비행기의 롤링축과 피칭축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에러검출회로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게 된 것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제어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선회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비행체를 선회상태로 하는 동시에, 상기 센서로부터의 센서신호에 의해 상기 비행기가 선회비행상태를 유지하도록 피드백제어하도록 한 것이고, 그리고 또, 상기 에러검출회로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게 된 것을 검출한 경우에, 모형비행체를 무선제어하는 수신기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대체하여, 상기 선회제어신호를 서보회로에 공급하도록 한 것이고, 그리고 또, 모형비행체를 무선제어하는 송신기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상기 선회제어신호를 가산하여 서보회로에 공급하도록 한 것이고, 그리고 또, 모형비행체를 무선제어하는 송신기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가산되는 상기 선회제어신호의 레벨을,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경우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로 전환되도록 한 것이고, 그리고 또, 상기 센서의 외형을 유선형을 기조로한 가늘고 긴 능형(菱形)으로 하는 동시에, 그 장축방향이 상기 비행체의 동체축에 일치하도록 부착되도록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무선제어장치는 모형비행체를 무선제어하는 송신기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게 된 것을 검출하는 에러검출회로와, 제어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비행체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선회비행상태로 되는 선회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발생수단을 구비한 모형비행체의 제어부를 모형비행체에 탑재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작용]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제어송신기로부터의 전파가, 피제어측의 비행체에 닿지 않게 되어도 피제어측에 있어서는 이 상태를 검출하여 자동적으로 선회동작을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무선제어송신기로부터의 전파의 전반로를 회복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롤링축과 피칭축과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센서에 의해 비행중의 롤링축과 피칭축이 기울지 않도록 피드백제어를 행할 수 있고, 전파가 닿지 않아도 안정적으로 선회비행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안정성을 한층 향상할 수 있다.
또, 모형을 잃는 일이 없어진다.
또, 전파가 모형에 닿지 않게된 상태에 있어서 연료가 떨어졌다고 해도, 모형은 비교적 근방에 낙하하기 때문에, 기체의 회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무선제어장치의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를 제1도에 도시하나, 무선제어되는 피제어체를 비행기로 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본 도면에 있어서 제어부(1)에는 수신기(Rx)(2)로부터의 수신신호 및 2축 센서(3)로부터의 센서신호가 입력되어 있고, 이들의 입력신호에 따라, 제어부(1)는 서보회로(Sx)를 제어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 날개에 구비된 보조날개 에일론(aileron; AIL)을 조작하는 서보회로, 수평꼬리날개의 보조날개 엘리베이터(elevator; ELE)를 조작하는 서보회로, 수직꼬리날개의 보조날개러더(rudder; RUD)를 조작하는 서보회로가 구비되어 있다.
수신기(2)는 도시하지 않은 무선제어송신기에서 송신된 전파를 수신하여 에일론을 제어하는 에일론 제어신호와,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신호와, 러더를 제어하는 러더제어신호와의 3채널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1)에 공급하고 있다.
이 3채널의 복조신호는, 각 채널의 제어량 정보에 따라 펄스폭이 변화하는 펄스폭 변조(PWM) 신호로 되어 있고, 이 PWM신호는 제어부(1) 내의 펄스폭-전압변환회로(10)에 있어서 각 채널의 제어량 정보에 따른 전압신호로 각각 변환된다.
그리고, 전압신호로 변환된 에일론의 제어신호는 제1스위치(SW1)에 입력되고, 전압신호로 변환된 엘리베이터의 제어신호는 제2스위치(SW2)에 입력되고, 전압신호로 변환된 러더의 제어신호는 제3스위치(SW3)에 입력된다.
또 제1스위치(SW1)에는 가변저항(VR1)으로부터의 설정 전압신호가 입력되어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서 출력된다.
또한, 제2스위치(SW2)는 가변저항(VR2)으로부터의 설정전압이 입력되어,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서 출력된다. 그리고 또, 제3스위치(SW3)에는 가변저항(VR3)으로부터의 설정전압신호가 입력되어,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서 출력된다.
이어서, 제1스위치(SW1)의 출력신호는 가산기(12)에 입력되어서, 연산회로(16)로부터의 제1보정신호와 가산된다. 또, 제2스위치(2)의 출력신호는 가산기(13)에 입력되어서, 연산회로(16)로부터의 제2보정신호와 가산된다.
그리고, 가산회로(12)의 출력전압신호, 가산회로(13)의 출력전압신호, 및 제3스위치(SW3)의 출력전압신호는 각각 전압-펄스폭 변환회로(15)에 입력되어서, 입력되는 전압의 레벨에 따른 펄스폭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이 경우, 펄스폭 변조되어 있는 에일론 제어신호가 동기신호로서 공급되어 있는 펄스 트리거 회로(14)로부터 발생되는 트리거 펄스의 타이밍으로, 전압-펄스폭변환회로(15)는 펄스폭 신호를 출력하고 있다.
전압-펄스폭변환회로(15)로부터는 3채널의 펄스폭 신호는 각각 에일론용 서보회로, 엘리베이터용 서보회로, 러더용 서보회로에 공급된다.
또, 2축 센서(3)는 비행기의 하부면 혹은 상부면에 부착되어 있고, 롤링축과 피칭축의 기울기를 검출하고 있다. 검출된 롤링축과 피칭축의 기울기 신호는 제어부(1) 내의 연산회로(16)에 입력되어서 롤링축의 기울기와 피칭축의 기울기를 없애는 신호가 연산되고, 제1보정신호 및 제2보정신호로서 상기한 가산기(12) 및 가산기(13)에 공급되고 있다.
제1보정신호 및 제2보정신호의 기능상태는 이 연산회로(16)에 공급되어 있는 감도조정용 가변저항(VR4)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되고 있다.
그런데, 제어부(1) 내의 에러검출회로(11)는 비행기 등의 무선제어송신기로부터의 전파의 도달거리를 초과하고만 이상한 상태를 검출하는 회로이고, 예컨대 에일론 제어신호가 소실 혹은 현저하게 저하된 상태를 검출하고 있다. 그리고, 에러검출회로(11)에 있어서 이 이상상태가 검출되면, 제1스위치(SW1) 내지 제3스위치(SW3)가 전환되게 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무선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무선제어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전파를 수신기(2)가 수신함으로써, 무선제어송신기에 구비된 조종레버의 조작량에 따른 각 제어신호가 PWM 신호로 복조되어서 제어부(1)에 공급된다.
제어부(1)에 있어서는 각 제어신호는 펄스폭-전압 변환회로(10)에 있어서 전압신호로 변환되나, 이 경우는 수신기(2)가 전파를 수신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제1스위치(SW1) 내지 제3스위치(SW3)가 펄스폭-전압 변환회로(10)측으로 전환되어서, 변환된 에일론 제어용 전압신호가 가산기(12)에, 변환된 엘리베이터 제어용 전압신호가 가산기(13)에, 변환된 러더 제어용 전압신호가 전압-펄스폭변환회로(15)에 입력된다.
그리고, 변환된 에일론 제어용 전압신호에, 연산회로(16)로부터의 제1보정신호가 가산기(12)에 있어서 가산되고, 변환된 엘리베이터 제어용 전압신호에, 연산회로(16)로부터의 제2보정신호가 가산기(13)에 있어서 가산된다.
이 가산기(12) 및 가산기(13)로부터 출력되는 보정신호의 가산된 에일론 제어용 혹은 엘리베이터 제어용 전압신호는 전압-펄스폭변환회로(15)에 있어서, 펄스폭신호로 변환된다. 이 변환되는 타이밍은 상기한 바와 같이, 펄스 트리거 회로(14)로부터 출력되는 트리거 펄스의 인가 타이밍으로 된다.
이 전압-펄스폭변환회로(15)에 있어서, 재차 펄스폭 신호로 변환된 에일론 제어신호, 엘리베이터 제어신호 및 러더제어신호는, 제어부(1)로부터 출력되어서 대응하는 각 서보회로에 공급됨으로써, 제어신호의 펄스폭에 따라 각 서보회로가 제어되도록 된다.
이로써, 무선제어송신기의 조정레버의 조작에 따라, 예컨대 수신기(2) 및 제어부(1)등이 적재되어 있는 비행기를 조종할 수 있다.
이 경우, 롤링축 및 피칭축의 기울기를 검출하고 있는 센서(3)로부터의 신호가 연산회로(16)를 통하여 가산기(12) 및 가산기(13)에 있어서 가산되고, 비행기가 기울었을 경우에, 원래로 복귀되도록 피드백제어되어 있다.
이 때문에, 무선제어송신기의 조종레버로부터 손을 떼어 기준자세 위치로 한 경우, 비행기는 수평의 안정된 비행상태로 된다.
이로써, 초심자나 입문자 등이 조종조작을 잘못한 경우에 조종레버로부터 손을 떼는 것만으로 비행기를 바른 자세로 조정할 수 있고, 조종자가 패닉상태에 빠져도 쉽게 안정된 비행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연산회로(16)로부터의 보정신호는 조종하고 싶은 방향과는 반대방향의 신호로 되므로, 정상적으로 조종할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연산회로(16)의 감도를 낮게 설정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그런데, 수신기(2)가 무선제어송신기로부터의 전파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는, 이 사실을 에러검출회로(11)가 검출하여 제1스위치(SW1) 내지 제3스위치(SW3)를 가변저항(VR1) 내지 가변저항(VR3) 측으로 전환하고 있다.
그러면, 제1스위치(SW1)로부터는 가변저항(VR1)으로부터의 설정전압신호가 출력되고, 제2스위치(SW2)로부터는 가변저항(VR2)으로부터의 설정전압신호가 출력되고, 제3스위치(SW3)로부터는 가변저항(VR3)으로부터의 설정전압신호가 출력된다.
이 경우, 가변저항(VR1) 및 가변저항(VR2)에 의해 설정되는 전압은 에일론 및 엘리베이터의 서보회로에 공급되었을 때에, 비행기가 수평으로 비행하는 것과 같은 기준자세 상태로 되는 설정전압신호로 설정되어 있고, 가변저항(VR3)에 의해 설정되는 전압은 러더의 서보회로에 공급되었을 때에, 비행기가 선회하는 것과 같은 설정전압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로부터 출력되는 설정전압신호에, 연산회로(16)로부터 출력되는 제1보정신호 및 제2보정신호가 가산기(12) 및 가산기(13)에 있어서 가산되어 있다.
이 가산된 전압신호는 전압-펄스폭 변환회로(15)에 의해 펄스폭으로 변환되어서 에일론 및 엘리베이터용 서보회로에 공급된다.
또한 제3스위치(SW3)로 선택된 설정전압회로는 전압-펄스폭 변환회로(15)에 의해 펄스폭 신호를 변환되어서 러더용 서보회로에 공급된다.
이로써, 제1스위치(SW1) 내지 제3스위치(SW3)가 전환되었을 때에는, 비행기는 기준자제 상태로 되어서 일정한 고도를 유지한 채 선행비행을 하도록 된다.
따라서 조종자가 선회비행을 하고 있는 비행기에 접근해 가면, 재차 무선제어송신기로부터의 전파가 비행기에 탑재되어 있는 수신기로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고, 비행기를 재차 조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종불능상태의 경우에, 비행기는 고도를 유지한 채 선회비행상태로 되도록 미리 가변저항(VR1 내지 VR3)을 조정하고 있으나, 바람 등의 영향에 의해 반드시 이 상태인 채로 비행하는 것으로는 되지 않고, 비행기가 기울어져 추락할 우려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행기에 센서(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센서(3)에 의해 검출된 롤링축 및 피칭축의 기울기에 따른 신호가, 연산회로(16)에 있어서 연산되어 있다. 이 연산회로(16)로부터는 비행기의 기울기를 원래로 복귀되도록 하는 제1보정신호 및 제2보정신호가 피드백신호로서 생성되게 된다.
이로써, 비행기가 기울었을 경우, 센서(3)가 이것을 검출하여 원래로 복귀되도록 하는 신호가 가산기(12) 및 가산기(13)에 가산되기 때문에, 바람 등에 의해 비행기가 기울어져도 곧바로 원래로 복귀되고, 비행기는 안정적으로 선회비행을 계속할 수 있게 된다.
또, 이때 보정신호의 기능상태를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전파를 수신할 수 없을 때에, 연산회로(16)의 감도를 가변저항(VR4)을 조정하여 높이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파를 수신할 수 없을 때는, 펄스 트리거 회로(14)는 트리거를 발생할 수 없기 때문에, 에러검출회로(11)의 출력에 의해, 펄스 트리거 회로(14)를 자기발진하도록 제어하고, 소정의 타이밍으로 발생된 펄스를 전압-펄스폭 변환회로(15)에 인가하고 있다.
또한, 전파를 수신할 수 없을 때에 한하여, 연산회로(16)로부터의 보정신호를 가산기(12,13)에 공급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다음에, 센서(3)의 일예의 외관을 제2a도에 도시하나, 2축 센서(3)는 센서가 수납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센서부(32)와 센서를 부착하기 위한 기부(31)로 구성되어 있다. 원통형상의 센서부(32)에는 동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광센서(32-1~32-4)가 직교하는 선상에 각각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고, 이 4개의 광센서(32-1~32-4)에 의해 롤링축 및 피칭축의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신호는 기부(31)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라인으로부터 출력되고, 그 선단의 플러그(33)를 접속함으로써, 다른 회로에서 검출신호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2축 센서(3)는 검출의 방향성을 가지고 있고, 그를 위한 각인(34)이 센서부(32)의 외부표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 각인(34)의 방향은 동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은 A방향 혹은 B방향으로 되어 있고, 비행기에 센서(3)를 부착하는 경우는, A방향 혹은 B방향과 기체의 동체의 축을 일치하도록 부착하지 않으면 감도에 영향이 미치게 된다.
그러나, 2축 센서(3)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원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방향을 알기 어려운 동시에, 비행체에 탑재한 경우 공기저항이 커 비행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축 센서(3)의 형상을 유선형을 기조로 하여 가늘고 긴 능형의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3a도는 센서(3)의 상면도이고, 동도(b)는 측면도이다.
이와 같이 2축 센서(3)를 가늘고 긴 형상으로 하면, 그 장축방향을 부착하는 방향으로 할 수 있고, 부착방향을 쉽게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센서(3)의 공기저항도 감소하므로 공기저항이 작게되어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어진다. 그리고, 이 2축 센서(3)를 비행기의 하부면에 부착한 경우는 제4도에 도시하고 있다.
이상에 있어서는, 비행기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비행기에 한하지 않고 글라이더나 헬리콥터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 선회비행을 시키는 경우에, 러더 뿐만이 아니라 에일론 혹은 엘리베이터, 또는 그들을 편성하여 제어하도록 하여 선회성을 향상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무선제어송신기로부터의 전파가 피제어측의 비행체에 닿지 않게 되어도, 피제어측에 있어서는 이 상태를 검출하여 자동적으로 선회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되고, 무선제어송신기로부터의 전파의 전반로를 회복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 롤링축과 피칭축과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센서에 의해, 롤링축과 피칭축이 기울지 않도록 피드백제어를 행할 수 있고, 바람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선회비행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안정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모형을 잃고 마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전파가 모형에 도달하지 않게된 상태에 있어서 연료가 떨어졌다고 해도, 모형은 비교적 근방에 낙하하기 때문에 기체의 회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Claims (7)

  1. 모형비행체를 무선제어하는 송신기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않게 된 것을 검출하는 에러검출회로와,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비행체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선회비행상태로 되는 선회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발생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비행체의 무선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모형비행기의 롤링축과 피칭축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에러검출회로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게 된 것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제어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선회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비행체를 선회상태로 하는 동시에, 상기 센서로부터의 센서신호에 의해, 상기 비행기가 선회비행상태를 유지하도록 피드백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비행체의 무선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검출회로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게 된 것을 검출한 경우에, 모형비행체를 무선제어하는 송신기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대체하여, 상기 선회제어신호를 서보회로에 공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비행체의 무선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모형비행체를 무선제어하는 송신기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상기 선회제어신호를 가산하여 서보회로에 공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비행체의 무선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모형비행체를 무선제어하는 송신기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가산되는 상기 선회제어신호의 레벨을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경우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로 전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비행체의 무선제어장치.
  6. 제2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외형을 유선형을 기조로 한 가늘고 긴 능형으로 하는 동시에, 그 장축방향이 상기 비행체의 동체축에 일치하도록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비행체의 무선제어장치.
  7. 모형비행체를 무선제어하는 송신기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게 된 것을 검출하는 에러검출회로와, 제어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비행체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선회비행상태로 되는 선회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발생수단을 구비한 모형비행체의 제어부를 모형비행체에 탑재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제어장치.
KR1019960011388A 1995-04-17 1996-04-16 무선제어장치 KR1002309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413395A JP2809128B2 (ja) 1995-04-17 1995-04-17 ラジオコントロール装置
JP95-114133 1995-04-17
JP11413295A JP2809127B2 (ja) 1995-04-17 1995-04-17 センサを備えるラジオコントロール装置
JP95-114132 1995-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687A KR960038687A (ko) 1996-11-21
KR100230970B1 true KR100230970B1 (ko) 1999-11-15

Family

ID=26452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1388A KR100230970B1 (ko) 1995-04-17 1996-04-16 무선제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230970B1 (ko)
DE (1) DE19614987C2 (ko)
TW (1) TW3127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9861B1 (en) * 2000-07-06 2007-05-22 Spirit International, Inc. Guidance system for radio-controlled aircraft
FR2811961B1 (fr) 2000-07-18 2003-01-31 Aerospatiale Matra Missiles Systeme de stabilisation d'un drone et systeme de pilotage d'un drone utilisant un tel systeme de stabilisation
KR100968871B1 (ko) * 2007-11-23 2010-07-14 김용석 리콜세이프 기능을 갖춘 rc헬기 구동제어장치
JP2013067279A (ja) * 2011-09-22 2013-04-18 Futaba Corp 操縦用通信装置、被操縦体用通信装置及び操縦用通信システム
JP5921864B2 (ja) * 2011-12-06 2016-05-24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操縦用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12758B (ko) 1997-08-11
DE19614987A1 (de) 1996-10-24
DE19614987C2 (de) 2001-10-18
KR960038687A (ko) 199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7332B2 (ja) 航空機の高度及び垂直線に対して直角方向の水平速度の操縦支援システム、及びこれを具備する航空機
US20180039271A1 (en) Fixed-wing drone, in particular of the flying-wing type, with assisted manual piloting and automatic piloting
US7584071B2 (en) Remote-controlled motion apparatus with sensing terrestrial magnetism and remote control apparatus therefor
KR100369690B1 (ko) 항공기비행제어시스템
JP4109767B2 (ja) 無人ヘリコプタの飛行制御システム
GB2315138A (en) Flight control system for an airplane
JP2001209427A (ja) 無人飛行機の遠隔操縦装置
US9551998B2 (en) Remote control device
KR100230970B1 (ko) 무선제어장치
JP2005247008A (ja) 無人ヘリコプタ用制御装置
JP3297830B2 (ja) ヘリコプタの遠隔操縦装置
JP2809127B2 (ja) センサを備えるラジオコントロール装置
JP2809128B2 (ja) ラジオコントロール装置
WO1994014511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posture of radio-controlled helicopter for hobby use
JP2004268737A (ja) 無人ヘリコプタのgps制御方法
JPH07277286A (ja) 航空機用学習型飛行制御装置
JP2009096369A (ja) 無人無線操縦ヘリコプタの操縦支援装置
JPH06152440A (ja) 遠隔操縦用送信機
JP3189027B2 (ja) 飛行体の姿勢制御装置
US9283490B1 (en) Device for stabilising a flying attitude of a remote-controlled fixed-wing aircraft
WO1995030180A1 (en) Stabilisation of radio controlled aircraft
US20040082269A1 (en) Control mechanism for model airplanes
JPH05185993A (ja) グライディングパラシュートの誘導装置
US6678567B1 (en) Pilot input device to control direction, altitude, and speed of aircraft
JPH07246999A (ja) 無人ヘリコプタの姿勢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