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0689B1 - 바닥 몰탈 및 콘크리트 슬래브용 시멘트계 균열보수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바닥 몰탈 및 콘크리트 슬래브용 시멘트계 균열보수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0689B1
KR100230689B1 KR1019970038782A KR19970038782A KR100230689B1 KR 100230689 B1 KR100230689 B1 KR 100230689B1 KR 1019970038782 A KR1019970038782 A KR 1019970038782A KR 19970038782 A KR19970038782 A KR 19970038782A KR 100230689 B1 KR100230689 B1 KR 100230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ment
cracks
concrete
weight
mor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8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9942A (ko
Inventor
김두진
Original Assignee
노영민
동양시멘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영민, 동양시멘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영민
Priority to KR1019970038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0689B1/ko
Publication of KR970069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9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6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093Alumi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2Elements
    • C04B22/04Metals, e.g. aluminium used as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4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sulfur in the anion, e.g. sulfides
    • C04B22/142Sulfates
    • C04B22/143Calcium-sulf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4Flow impr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4Thickening, gelling or viscosity increa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60Flooring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현장에서 단지 물만 가하여 혼합한 다음 시공함으로써 주택 방바닥 몰탈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래브에 발생한 균열을 간단하게 보수할 수 있는 바닥 몰탈 및 콘크리트 슬래브용 시멘트계 균열보수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바닥 몰탈 및 콘크리트 슬래브의 균열을 보수하는 방법인 균열부 표면처리방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침투성이 좋으며 보수두께를 얇게 하여도 박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몰탈이나 콘크리트와의 열팽창계수의 차이가 작으며 난방에 의한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시멘트를 사용하되, 일반적인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80~90 중량% 첨가하고, 팽창에 의해 시공한지 오래된 몰탈이나 콘크리트와 새로이 시공하는 시멘트 사이의 부착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팽창재(아윈(CSA, Calcium-Sulfur Aluminate) : 석고 : 알루미늄 분말=1 : 2 : 1)를 8~10 중량% 첨가한 다음, 유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동화제로 멜라민설폰산 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을 0.5~3 중량%, 재료가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점도를 일정이상 유지시켜 주기 위한 증점제로써 메틸셀룰로오즈 에테르를 0.5~3 중량%로 첨가하여 균질하게 혼합함으로써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몰탈 및 콘크리트 슬래브용 시멘트계 균열보수재의 제조방법.

Description

바닥 몰탈 및 콘크리트 슬래브용 시멘트계 균열보수재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시멘트에 광물질 미분말 및 팽창재와 분말상 유기혼화제를 첨가하여 혼합한 시멘트계 균열보수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공현장에서 단지 물만 가하여 혼합한 다음 시공함으로써 주택 방바닥 몰탈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래브에 발생한 균열을 간단하게 보수할 수 있는 바닥몰탈 및 콘크리트 슬래브용 시멘트계 균열보수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택 방바닥 몰탈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래브에서 나타나는 균열에는 크게 시공후 경화전이나 타설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균열과 경화후 양생기간 동안 발생하는 균열로 나눌 수 있다.
경화전이나 타설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균열은 주로 소성수축에 의해 발생하는데, 타설후 초기에 바람이 심하게 불거나 고온, 저습한 기상조건으로 인한 표면의 급격한 수분증발로 표면의 수축현상이 일어나며, 내부는 상대적으로 수축이 작게되므로 표면에 인장응력이 발생하여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주택 방바닥 몰탈의 경우 난방용 배관위에 타설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난방용 배관파이프의 구속효과(난방용 배관파이프가 몰탈이 수축되는 것을 억제하는 현상)에 의해 배관을 따라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타설후 수일에서 3개월 이상에 걸쳐 발생하는 균열은 주로 건조수축에 의해 발생하는데, 벽체 모서리 부분, 바닥 중앙부분 등에 주로 발생하고, 타설면적이 넓을수록 그리고 가로세로비가 클수록 발생빈도가 높다. 특히, 아파트 등의 공동주거지에 있어서는 주로 벽체 모서리 사이, 거실 또는 주방을 가로 질러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써, 경화후 몰탈이나 콘크리트 내부 공극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모세관 장력이 발생하여 수축되며, 인장응력으로 인해 균열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균열들은 일단 발생하면 폭이 넓어지거나 계속 전파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균열은 공기나 수분이 경화체 내부로 침투하는 경로가 됨으로써 콘크리트의 중성화 및 철근의 부식을 초래하고, 주택 방바닥 몰탈의 경우에는 난방시의 열이 균열을 통해 급속하게 전달됨으로써 균열부를 따라 바닥 장판지가 변색되거나 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적당한 보수재료를 선정하여 발생한 균열을 조기에 보수할 필요가 있다.
균열을 보수하는 방법에는 주입방법과 표면처리방법이 있으며, 주입방법은 균열폭이 0.2mm이상의 경우에 채용되는 것으로, 균열부에 주로 수지계의 재료를 주입하여 보수하는 방법이며, 이 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는 시공시기에 알맞는 가사시간 및 균열폭에 대응하는 점도의 재료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주로 에폭시 수지가 보수재료로서 사용되고, 시공방법은 수동 및 기계주입방법, 저속저압 방법 등을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주입방법에 의하면 다량의 수지를 단시간에 주입할 수 있고, 주입용 수지의 점도에 제약을 받지 않으며, 벽·바닥·천정 등의 부위에 따른 제약이 없고, 주입구 1개소에서 넓은 면적을 주입할 수 있으며, 들뜸이 매우 적은 부위, 모재와 접착되어 있지 않은 부위, 박리 직전의 부위에도 주입이 가능하고, 주입량을 정확하게 알 수 있으며, 주입압이나 주입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균열 폭 0.5mm이하의 경우에는 주입이 매우 곤란하고, 공극부에 압력이 가해지며, 주입시 압력 펌프를 필요로 하고, 경우에 따라 압착양생을 필요로 하며 주입조작, 기기취급시 숙련도가 요구되어 관리상의 문제점이 있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가장 큰 단점으로는 재료 자체가 고가이며, 콘크리트의 표층 상부에만 존재하는 균열 또는 망상균열 같은 다분기성 균열, 균열길이가 짧고 불연속적으로 분산된 균열 등 주로 몰탈 바닥이나 콘크리트 슬래브에 발생하는 균열에 대해서는 적용이 곤란한 점이 있다.
표면처리방법은 몰탈 바닥이나 콘크리트 슬래브 표면의 표면 전체를 어느 정도 넓은 범위로 피복하는 전면처리방법과 균열을 따라 표면에 피막층을 만드는 균열부 표면처리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전면처리방법은 주로 표면의 내구성, 방수성, 미관을 확보하기 위해 채용되는 방법으로써, 구조 성능을 회복할 목적으로는 효과가 없고, 균열 내부의 처리가 불가능하며, 균열이 계속 진행되는 경우, 균열의 움직임을 추적하기 어렵다는 등의 결점을 가지고 있으며, 균열부 표면처리방법은 비교적 폭이 큰 균열부터 미세한 균열까지 방수성, 내구성, 내투기성을 확보할 목적으로 실시되는 방법으로써, 콘크리트의 표층 상부에만 존재하는 균열 또는 망상균열 같은 다분기성 균열, 균열 길이가 짧고 불연속적으로 분산된 균열 등 주로 몰탈 바닥이나 콘크리트 슬래브에 발생하는 균열의 보수에 효과가 있으며, 이때 사용하는 보수 재료는 보수 목적과 그 구조물의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도막 탄성방수재, 폴리머 시멘트 페이스트 등이 있고, 우선 균열 중심을 따라 표면을 브레이커로 V 혹은 U자 형태로 커팅하여 틈을 수지로 메워주고 피복하여 시공하며, 이 방법에서 사용하는 수지계 재료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또는 몰탈과는 열팽창계수에 있어 차이가 크므로, 특히 주택 바닥 몰탈의 경우 난방에 의해 열이 전달될 때 박리가 일어날 수 있으며, 시공시 수지의 안정제, 경화제로 사용하는 각종 화공약품이 휘발하여 실내오염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박리현상을 억제하기 위해서 시공 두께가 어느정도 이상 확보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평활한 보수 표면이 생성되지 않아 바닥 마감재(장판등) 시공후에 미관상 문제가 생기게 되므로 오히려 전면처리공법보다 품질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주택 바닥 몰탈이나 콘크리트 슬래브 표면에 발생하는 균열 또는 망상균열 같은 다분기성 균열, 균열 길이가 짧고 불연속적으로 분산된 균열 등의 보수에는 균열부 표면처리방법이 가장 적합하지만, 이를 위한 수지계 보수재료는 점도가 크므로 미세한 균열부위를 충진시키기 곤란하여 부착력이 떨어지게 되고, 부착력의 향상을 위해서 균열부를 커팅해야 하고 열팽창계수의 차이에 의해 보수후 박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미세한 균열 틈새를 커팅작업없이 충진시킬 수 있도록 침투성이 좋으며 보수두께를 얇게 하여도 박리가 일어나지 않고 몰탈이나 콘크리트와 열팽창계수의 차이가 작은 보수재료를 채용할 필요가 절실하다.
따라서, 주택 바닥 몰탈이나 콘크리트 슬래브 표면에 발생하는 균열 또는 망상균열 같은 다분기성 균열, 균열 길이가 짧고 불연속적으로 분산된 균열을 균열부 표면처리방법에 의해 손쉽게 보수할 수 있도록 침투성과 유동성이 우수하며 얇게 도포하여도 균열이나 박리가 없는 보수재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택 바닥 몰탈이나 콘크리트 슬래브 표면에 발생하는 균열 또는 망상균열 같은 다분기성 균열, 균열 길이가 짧고 불연속적으로 분산된 균열을 균열부 표면처리방법에 의해 손쉽게 보수할 수 있도록 침투성과 유동성이 우수하며 얇게 도포하여도 균열이나 박리가 없는 보수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멘트에 유동성과 재료분리저항성 및 팽창성을 부여할 수 있는 여러 혼화재료를 배합함에 의해 구성되어진다.
보수재료는 보수작업 뿐만아니라 보수후 물성이 더욱 중요하며, 특히 주택바닥 몰탈의 균열을 보수하는 경우 우리나라의 독특한 난방방식인 바닥 난방에 의해 몰탈이 열팽창을 반복하면서 보수재료가 떨어지거나 열화되는 경향이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보수후 난방에 의한 열화를 최대한 억제하는 방안으로 바닥 시멘트 몰탈(모재)과 유사한 열팽창 특성을 갖도록 시멘트를 보수재의 기본재료로 사용하게 되나, 시멘트는 물과 반죽하여 작업할 때 유동성, 재료 분리 저항성, 수축성 등의 단점을 필연적으로 갖고 있어서 이러한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첨가재료가 필요하다.
즉, 미세한 균열 틈새로의 침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유동성이 뛰어나야 하는데 시멘트를 물과 혼합하였을 때는 유동성이 떨어지므로 적절한 분산제를 첨가하여 유동성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분산제는 나프탈렌 설폰산 포름알데히드계, 혹은 멜라민설폰산 포름알데히드계의 유동화제가 적합하다.
그러나, 시멘트에 미분말들은 혼합하게 되면 시멘트와 비중이나 입자 크기의 차이로 인하여 제품의 혼합 과정에서 분리가 일어나 균질한 혼합물을 얻기 곤란한 점이 있으며, 이러한 점은 유동화제를 첨가하는 경우 더욱 심하고, 이러한 재료의 분리 경향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혼합물 반죽의 점도를 일정 이상 유지시켜야 할 필요가 있으며, 점도를 일정이상 유지시켜줄 수 있는 재료로는 메틸 혹은 에틸 셀룰로오즈에테르와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이 있으며 둘 다 시멘트와 혼합하였을 때 시멘트 반죽의 점도를 증가시켜서 재료분리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점도의 증가는 필수적으로 유동성의 감소를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유동성과 재료분리 저항성이 최대가 되는 최적점을 선정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멜라민설폰산 포름알데히드계 유동화제와 고점도를 나타내는 메틸셀룰로오즈 에테르를 적량 배합하여 유동성과 분리저항성을 동시에 충족시켜서 우수한 침투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시멘트계 재료를 사용함에 있어 해결해야 할 문제점으로는 이미 시공한지 오래된 몰탈이나 콘크리트와 새로이 시공하는 시멘트 사이의 부착성 문제로써, 이것은 이미 시공된 몰탈이나 콘크리트는 건조수축이 상당히 진행되어 체적 변화가 거의 없는데 비해 새로 시공한 시멘트는 경화과정에서 건조수축이 일어나므로 계면에서 미세한 파괴가 일어나 부착성이 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부착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새로 시공하는 시멘트의 건조수축을 억제하거나 약간의 팽창이 일어나도록 유도하여 팽창에 의해 부착력을 증진시키는 방법이 있으며, 이러한 팽창재로는 무수석고, 생석회, 알루미늄 분말, 아윈(CSA, Calcium-Sulfur Aluminate)계 광물이 알려져 있는데 무수석고는 시멘트와 반응하여 팽창성물질인 에트링자이트를 생성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조건에서는 강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생석회는 소석회로 소화되면서 다공질 물질화되면서 팽창하는 것으로 팽창력은 우수하나 일반적으로 생석회에는 돌로마이트계 광물이 혼입되는 경우가 있어 불순물로 존재하는 마그네시아의 과대팽창에 의해 오히려 균열이나 부풀음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반면 아윈계 광물은 자체적으로 물과 반응하여 팽창성 물질인 에트링자이트를 단시간내에 생성하고 이 반응이 시멘트의 공극에서 일어나면서 공극을 치밀하게 해주므로 건조수축이 저감되면서 강도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아윈계 광물이 포함되는 것이 가장 적합한 팽창재료이다.
시멘트에 미분말로 실리카퓸을 첨가하고 유동화제와 증점제를 적량배합하면서 팽창재를 첨가하여 제조한 본 발명의 보수재료는 침투성과 부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표면이 매끈하고 단단하여 균열부 표면처리뿐만 아니라 전면처리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좀 더 구체화된다.
[실시예]
균열부 표면처리방법을 이용할 수 있도록 침투성이 좋으며 보수 두께를 얇게 하여도 박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몰탈이나 콘크리트와의 열팽창계수의 차이가 작으며 난방에 의한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시멘트를 사용하되, 일반적인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80~90 중량% 첨가하고, 팽창에 의해 시공한지 오래된 몰탈이나 콘크리트와 새로이 시공하는 시멘트 사이의 부착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팽창재(아윈(CSA, Calcium-Sulfur Aluminate) : 석고 : 알루미늄 분말=1 : 2 : 1)를 8~10중량% 첨가한 다음, 유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동화제로 멜라민설폰산 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을 0.5~3중량%, 재료가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점도를 일정이상 유지시켜 주기 위한 증점제로써 메틸셀룰로오즈 에테르를 0.5~3중량%로 첨가하여 균질하게 혼합함으로써 보수재료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배합례는 아래와 같고, 상기의 메틸셀룰로오즈 에테르는 에틸셀룰로오즈 에테르를 사용하여도 된다.
Figure kpo00001
본 발명에 의한 보수재료의 물성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2
이것은 다음의 사용예에 의해서 더욱 구체화된다.
[사용예]
본 발명에 의한 보수재료를 적용하여 공동 주택 바닥마감용 몰탈에 발생한 균열을 보수할 때에는, 먼저 보수하고자 하는 바닥 균열 세대의 먼지, 오염물질 등을 깨끗이 청소하고, 몰탈 균열 부위로부터의 공기의 배출이나 수분의 이동을 차단하여 평활한 보수면을 얻기 위하여 프라이머를 사용하되, 프라이머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계 고분자 현탁액을 에멀젼 : 물을 2 : 8 정도로 희석하여 균열 부위에 얇게 도포하며, 프라이머 도포후 1~2시간후 본 발명에 의한 보수재료를 물과 혼합하여 얻은 반죽을 5cm 폭의 주걱칼로 균열 부위를 중심으로 얇게 칠하되, 보수재료와 물의 혼합비(W/RM)는 0.25~0.3 사이에서 주걱칼로 반죽을 떳을 경우 칼에서 흐르지만 반죽이 서로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조정함으로써, 균열부위로 침투하지만 보수재료 상호간의 분리는 일어나지 않도록 하며, 1차 도포후 1~3시간 후 10cm 폭의 주걱칼로 도포면을 눌러서 바닥에서 올라오는 공기에 의한 표면의 기포 현상이나 부풀음을 평탄하게 마무리하여 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보수재료는 시멘트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시멘트계 재료이므로 종래의 에폭시계 보수재료의 시공시 용매의 휘발과정에서 발생하는 화공약품 냄새가 발행하지 않아 작업자들의 악취 호소가 전혀 없었으며, 본 발명에 의한 보수재료를 시공한지 30일 후 바닥 장판지를 도배하였을 때 장판지의 변색이나 부풀음이 기존의 고분자 수지재료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거의 없었으며, 난방 후 기존 보수재료는 고열에 의해 열화되어 떨어지거나 변형되는 경우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한 보수재료는 고열에 의해 열화되어 떨어지거나 변형되는 일이 관찰되지 않았다.

Claims (1)

  1. 포틀랜드 시멘트 80~90중량%에 아윈, 석고 및 알루미늄 분말이 1 : 2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팽창제 8~10중량%를 첨가한 다음, 유동화제로서 멜라민설폰산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0.5~3중량%와 증점제로서 메틸셀룰로오즈 에테르 0.5~3중량%를 첨가한 후 균질하게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몰탈 및 콘크리트 슬래브용 시멘트계 균열보수재의 제조방법.
KR1019970038782A 1997-08-14 1997-08-14 바닥 몰탈 및 콘크리트 슬래브용 시멘트계 균열보수재의 제조방법 KR100230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782A KR100230689B1 (ko) 1997-08-14 1997-08-14 바닥 몰탈 및 콘크리트 슬래브용 시멘트계 균열보수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782A KR100230689B1 (ko) 1997-08-14 1997-08-14 바닥 몰탈 및 콘크리트 슬래브용 시멘트계 균열보수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942A KR970069942A (ko) 1997-11-07
KR100230689B1 true KR100230689B1 (ko) 1999-12-01

Family

ID=19517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8782A KR100230689B1 (ko) 1997-08-14 1997-08-14 바닥 몰탈 및 콘크리트 슬래브용 시멘트계 균열보수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068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493B1 (ko) * 2001-09-12 2005-07-25 주식회사 동방포루마 고무아스팔트 몰탈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517870B1 (ko) * 2002-02-19 2005-10-06 홍영완 콘크리트벽면 기본바탕 조성용 몰탈
KR100960485B1 (ko) 2008-07-31 2010-06-01 주식회사 원건설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시멘트 분체와 이를 이용한경량기포 콘크리트
KR101086018B1 (ko) 2011-09-05 2011-12-01 주식회사 드림이앤씨 무기질계 균열주입제 및 이를 이용한 균열 콘크리트 보수공법
CN105884299A (zh) * 2016-04-13 2016-08-24 郑州大学 一种超自愈合尺度开裂混凝土高渗透结晶修复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699037A (zh) * 2016-12-30 2017-05-24 成都嘉新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地聚合物灌浆料
KR102148810B1 (ko) 2020-04-29 2020-08-28 최무근 우레탄 변성 에폭시계 유무기 융합 난연성 바닥 마감용 보수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291B1 (ko) * 1999-09-28 2002-06-12 정환진 고강도 무수축 시멘트 조성물
KR100362089B1 (ko) * 1999-12-01 2002-11-23 한일시멘트 (주) 조립식 건축용 패널의 접합모르타르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20050032359A (ko) * 2003-10-01 2005-04-07 (주)태광씨엔피 단면 주입용 저수축 그라우트 몰탈 조성물
KR101879269B1 (ko) * 2016-07-20 2018-07-17 아주산업 주식회사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시멘트 모르타르용 팽창성 수축저감형 균열방지 조성물 및 시멘트 모르타르용 팽창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510B1 (ko) * 1991-08-07 1994-09-22 쌍용양회공업 주식회사 시멘트계 자기평탄성 상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510B1 (ko) * 1991-08-07 1994-09-22 쌍용양회공업 주식회사 시멘트계 자기평탄성 상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493B1 (ko) * 2001-09-12 2005-07-25 주식회사 동방포루마 고무아스팔트 몰탈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517870B1 (ko) * 2002-02-19 2005-10-06 홍영완 콘크리트벽면 기본바탕 조성용 몰탈
KR100960485B1 (ko) 2008-07-31 2010-06-01 주식회사 원건설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시멘트 분체와 이를 이용한경량기포 콘크리트
KR101086018B1 (ko) 2011-09-05 2011-12-01 주식회사 드림이앤씨 무기질계 균열주입제 및 이를 이용한 균열 콘크리트 보수공법
CN105884299A (zh) * 2016-04-13 2016-08-24 郑州大学 一种超自愈合尺度开裂混凝土高渗透结晶修复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699037A (zh) * 2016-12-30 2017-05-24 成都嘉新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地聚合物灌浆料
KR102148810B1 (ko) 2020-04-29 2020-08-28 최무근 우레탄 변성 에폭시계 유무기 융합 난연성 바닥 마감용 보수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942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504B1 (ko) 내구성능이 개선된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유지 보수 공법
US4849018A (en) Utilization of latexes with aluminous cement and gypsum composition
US4746365A (en) Utilization of latexes with hydraulic cement and gypsum compositions
JP4787187B2 (ja) 急硬補修モルタル及びそれを用いた補修方法
JP6223813B2 (ja) モルタル組成物
JP6647885B2 (ja) 耐食性モルタル組成物
KR101400065B1 (ko) 침투식 액체 방수제를 사용하는 방수공법
JP2012503119A (ja) 外部断熱用途のためのコンポジット構造体
KR100230689B1 (ko) 바닥 몰탈 및 콘크리트 슬래브용 시멘트계 균열보수재의 제조방법
KR10228400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속경성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시공법
KR100623423B1 (ko) 콘크리트의 표면 마감용으로서 방수와 내식성을 갖는폴리머 시멘트 모르터 조성물
JP5957944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方法
KR101862594B1 (ko) 벽면 미장용 시멘트계 모르타르 조성물.
JP5792056B2 (ja) 塗りモルタル
JP6641083B2 (ja) タイル施工方法及び外壁タイル張り構造
KR100398074B1 (ko) 건축물의 온돌바닥 난방용 자기수평성을 갖는시멘트계모르타르조성물
KR101859113B1 (ko) 기능성 방통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통 모르타르 시공방법
JP2002201057A (ja) 断熱性モルタル
CA1244489A (en) Utilization of latexes with hydraulic cement and gypsum compositions
JP2000290055A (ja) 下地調整用セメントモルタル組成物およびその施工方法
RU2181705C2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сухая цементная композиция
JP4762654B2 (ja) ひび割れ防止方法
JP2000119073A (ja) 耐酸性雨性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564193B2 (ja) 左官用モルタル組成物
JPH1171157A (ja) 水硬性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