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485B1 -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시멘트 분체와 이를 이용한경량기포 콘크리트 - Google Patents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시멘트 분체와 이를 이용한경량기포 콘크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485B1
KR100960485B1 KR20080075171A KR20080075171A KR100960485B1 KR 100960485 B1 KR100960485 B1 KR 100960485B1 KR 20080075171 A KR20080075171 A KR 20080075171A KR 20080075171 A KR20080075171 A KR 20080075171A KR 100960485 B1 KR100960485 B1 KR 100960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ed concrete
lightweight foamed
cement
weight
light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75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3582A (ko
Inventor
김민호
이경애
김기철
한천구
정광복
김성수
황인성
김기훈
김승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건설
(주)원건축사사무소
한천구
정광복
아세아시멘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건설, (주)원건축사사무소, 한천구, 정광복, 아세아시멘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건설
Priority to KR20080075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485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1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using foaming agents or by using mechanical means, e.g. adding preformed foa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C04B18/162Cement kiln dust; Lime kiln dus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16Sulfur-containing compounds
    • C04B24/20Sulfonated aromatic compounds
    • C04B24/22Condensation or polymerisation products thereof
    • C04B24/226Sulfonated naphtalene-formaldehyde condensation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8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C04B24/383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1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using foaming agents or by using mechanical means, e.g. adding preformed foam
    • C04B38/106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using foaming agents or by using mechanical means, e.g. adding preformed foam by adding preformed fo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40Porous or lightweight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시멘트 분체와 이를 이용한 경량기포 콘크리트에 관한 것으로, 시멘트킬른더스트(CKD) 5 ∼ 40중량%, 샌드 더스트(Sand Dust) 2 ∼ 10중량%, 메틸셀룰로오즈 0.001 ∼ 0.05중량%, 나프탈렌 설폰산 포름알데히드의 고축합물 나트륨염 0.01 ∼ 0.1중량% 및 잔량의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를 혼합한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시멘트 분체와 물을 중량비(W/B)가 0.5 ∼ 0.7 : 1이 되도록 상기 분체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한 다음, 상기 슬러리 30 ∼ 35부피%와 동물성 또는 식물성 계면활성제를 물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조한 기포 70 ∼ 65부피%를 혼합하여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제조함으로써 침하깊이 감소, 제조 원가 절감 효과를 얻고, 재료 분리없이 우수한 유동성을 갖는 고품질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었다.
저침하, 경량 기포 콘크리트, 시멘트 분체

Description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시멘트 분체와 이를 이용한 경량기포 콘크리트{The cement powder having the lower sinking characteristic for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and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being used that}
본 발명은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시멘트 분체와 이를 이용한 경량기포 콘크리트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시멘트킬른더스트(CKD) 5 ∼ 40중량%, 샌드 더스트(Sand Dust) 2 ∼ 10중량%, 메틸셀룰로오즈 0.001 ∼ 0.05중량%, 나프탈렌 설폰산 포름알데히드의 고축합물 나트륨염 0.01 ∼ 0.1중량% 및 잔량의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를 혼합한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시멘트 분체와 물을 중량비(W/B)가 0.5 ∼ 0.7 : 1이 되도록 상기 분체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한 다음, 상기 슬러리 30 ∼ 35부피%와 동물성 또는 식물성 계면활성제를 물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조한 기포 70 ∼ 65부피%를 혼합하여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제조함으로써 침하깊이 감소, 제조 원가 절감 효과를 얻고, 재료 분리없이 우수한 유동성을 갖는 고품질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용이하게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시멘트 분체와 이를 이용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는 시멘트와 물의 수화반응으로 경화체를 형성하는 다상의 무기계 복합체로서 단위체적질량이 크다는 약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무잔골재 콘크리트, 경량골재 콘크리트 및 경량 기포 콘크리트 등과 같은 경량 콘크리트 공법이 알려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경량화에 가장 유리한 방법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이다. 경량 기포 콘크리트란 시멘트의 슬러리속에 미리 생성된 기포를 혼합시켜 양생한 콘크리트로써, 동일한 체적의 보통 콘크리트에 비해 대폭적으로 가볍게 만든 것으로서 비구조용인 주거용 건축물의 방바닥 단열, 차음 및 높이차 조정 등의 목적으로 아파트 건설공사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경량기포 콘크리트는 기포의 제조와 도입 순서에 따라 기포제를 교반하여 미리 기포를 만들어 두고 시멘트 슬러리에 혼입하는 프리폼(Pre-Foaming)법과 시멘트 페이스트 또는 모르타르 제조시에 기포제를 첨가하여 반죽하는 중에 기포를 생성시키는 믹스폼(Mix-Foaming)법 및 굳지 않은 슬러리에 발포제(알루미늄 분말)의 화학반응을 통하여 양생 과정 중 발포시키는 포스트폼(Post-Foaming)법 등이 있는데, 일반 건설 공사에서는 상기중 비교적 기포량의 조절이 손쉽고, 현장적용성이 양호한 프리폼법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가 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는 종전의 경우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이하 "OPC"라 칭함)만을 주원료로 하여 제조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내구성 및 경제성 확보를 위하여 플라이애시 등 혼화재를 첨가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저렴한 혼화재 사용으로 경제성은 성취될 수 있었지만, 아직도 플라이애시 중 미연소탄분에 의한 기포제 흡착작용 등에 의하여 기포율 저감 및 침하에 따른 균열발생 등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현장 작업시에는 기계화 시공이 가능하도록 높은 유동성을 요구하는데, 이와 같은 요구를 만족하도록 제조된 경량 기포 콘크리트는 재료 분리가 많이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뒤따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침하깊이 감소, 제조 원가 절감 효과를 얻고, 재료 분리없이 우수한 유동성을 갖는 고품질의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시멘트 분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의 시멘트 분체를 이용한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들의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시멘트 분체 및 이를 이용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들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표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들을 용이하게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시멘트킬른더스트(CKD) 5 ∼ 40중량%, 샌드 더스트(Sand Dust) 2 ∼ 10중량%, 메틸셀룰로오즈 0.001 ∼ 0.05중량%, 나프탈렌 설폰산 포름알데히드의 고축합물 나트륨염 0.01 ∼ 0.1중량% 및 잔량의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를 혼합한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시멘트 분체와 물을 중량비(W/B)가 0.5 ∼ 0.7 : 1이 되도록 상기 분체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한 다음, 상기 슬러리 30 ∼ 35부피%와 동물성 또는 식물성 계면활성제를 물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조한 기포 70 ∼ 65부피%를 혼합하여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제조함으로써 침하깊이 감소, 제조 원가 절감 효과를 얻고, 재료 분리없이 우수한 유동성을 갖는 고품질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시멘트 분체를 이용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제조함으로써 침하깊이 감소, 제조 원가 절감 효과를 얻고, 재료 분리없이 우수한 유동성을 갖는 고품질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시멘트 분체는 시멘트킬른더스트(CKD) 5 ∼ 40중량%, 샌드 더스트(Sand Dust) 2 ∼ 10중량%, 메틸셀룰로오즈 0.001 ∼ 0.05중량%, 나프탈렌 설폰산 포름알데히드의 고축합물 나트륨염 0.01 ∼ 0.1중량% 및 잔량의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를 혼합한 것으로 특징지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는 시멘트킬른더스트(CKD) 5 ∼ 40중량%, 샌드 더스트(Sand Dust) 2 ∼ 10중량%, 메틸셀룰로오즈 0.001 ∼ 0.05중량%, 나프탈렌 설폰산 포름알데히드의 고축합물 나트륨염 0.01 ∼ 0.1중량% 및 잔량의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를 혼합한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시멘트 분체와 물을 중량비(W/B)가 0.5 ∼ 0.7 : 1이 되도록 상기 분체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한 다음, 상기 슬러리 30 ∼ 35부피%와 동물성 또는 식물성 계면활성제를 물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조한 기포 70 ∼ 65부피%를 혼합한 것으로 특징지워진다.
시멘트킬른더스트(CKD)는 시멘트 제조 공정 중 클링커 소성시에 예열기 상부로부터 비산 분진을 백필터로 집진한 미세 입자로 주성분은 탄산칼슘으로 구성되어 있고, 밀도 2.67g/㎤, 분말도 8,200㎠/g이며, SiO2 9.65%, Al2O3 3.70%, Fe2O3 1.54%, CaO 43.6%, MgO 1.40%, SO3 0.77%, K2O 0.35%, Na2O 0.06% 및 기타 미량 성분 38.93%로 구성되어 있다. CKD의 발생량은 시멘트 생산량의 약 7 ~ 15%정도로써, 백필터가 설치되기 이전에는 대기 중으로 방출되어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기도 하였다. 현재는 대부분 시멘트 공장의 경우 이러한 CKD를 집진한 후 킬른에 재투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CKD는 시멘트 생산공정을 반복하여 순환함으로써 시멘트 생산효율 감소 및 킬른관 내부에 스케일을 발생시켜 제조 설비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시멘트 제조과정 중 CKD를 부분적으로 배출 제거함으로써 공정 효율성 및 시멘트 생산성 향상과 아울러 산업부산물의 재활용에 따른 경제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CKD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에 있어서 소포에 의한 체적 감소 및 제조 원가 절감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전체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시멘트 분체 중량에 대하여 5 ∼ 4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량이 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첨가 효과가 미약하고, 4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샌드 더스트(Sand dust)는 드라이 몰탈 공장에서 모래를 건조시키는 과정 중 부산물로 생산되는 미세한 먼지들을 집진한 것으로, 높은 분말도인 CKD와 시멘트 사이의 입도 분포를 연속 입도 분포상태로 유지시켜 압축강도 상승과 동시에 제조원가의 절감을 가져오게 한다.
샌드 더스트는 보통 포틀랜드 전체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시멘트 분체 중량에 대하여 2 ∼ 1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량이 2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첨가 효과가 미약하고, 1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단점인 기포의 소포현상 및 재료분리 문제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혼화제로 메틸셀룰로오스를 사용하였다. 메틸셀룰로오스는 저렴한 가격으로 정치 중에는 어느 정도 네트워크(Network)구조를 이루어 약간의 점성을 형성하고 있다가 전단력을 가하면 네트워크구조가 깨져서 점도가 떨어지고, 다시 전단력을 제거하면 다시 네트워크구조를 형성하여 점도가 증가하는 슈도우 플라스틱(Pseudo Plastic)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 제조시 혼입할 경우 기포의 소포현상 및 재료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고품질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메틸셀룰로오스는 전체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시멘트 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0.05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량이 0.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첨가 효과가 미약하고, 0.00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첨가 상승 효과가 미약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일반적으로 각종 시멘트 분체 재료가 혼합된 경량 기포 콘크리트는 미립분 및 점성의 증가로 인하여 유동성의 저하라는 단점을 가져오게 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일반식 (1)로 표현되는 나프탈렌 설폰산 포름알데히드의 고축합물 나트륨염을 사용하였다. 나프탈렌 설폰산 포름알데히드의 고축합물 나트륨염은 전체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시멘트 분체 중량에 대하여 0.01 ∼ 0.1중량%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사용량이 0.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첨가 효과가 미약하고, 0.00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첨가 상승 효과가 미약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Figure 112008055454915-pat00001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시멘트 분체와 물을 중량비(W/B)가 0.5 ∼ 0.7 : 1이 되도록 상기 분체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한 다음, 상기 슬러리 30 ∼ 35부피%와 동물성 또는 식물성 계면활성제를 물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조한 기포 70 ∼ 65부피%를 혼합하여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제조한다.
기포제 즉, 동물성 또는 식물성 계면활성제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포제가 모두 사용될 수 있고, 기포가 65부피% 미만일 경우에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로서의 효능이 미약한 단점이 있고, 70부피%를 초과할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강도가 만족스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다음의 실시예 및 비고예는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 72.92중량%, 시멘트킬른더스트(CKD) 18중량%, 샌드 더스트(Sand Dust) 9중량%, 메틸셀룰로오즈 0.03중량% 및 나프탈렌 설폰산 포름알데히드의 고축합물 나트륨염 0.05중량%를 혼합하여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시멘트 분체를 제조하고, 시멘트분체와 물의 중량비(W/B)가 0.6 :1, 단위용적질량 0.6t/㎥(KS F4039 규격의 0.5품)가 되도록 상기 분체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한 다음, 상기 슬러리 30부피%와 기포제(액상의 미백색 식물성 계면활성제 : 밀도 1.04g/㎤)를 물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조한 기포 70부피%를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은 현장 타설용 기포 콘크리트의 KS 규격 품질 규정치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겉보기밀도
(g/㎤)
플로값
(mm)
침하깊이
(mm)
7일 압축강도
(N/㎟)
28일 압축강도
(N/㎟)
열전도율
{W/(mk)}
0.4품 0.30 이상
0.40 미만
180 이상 15 이하 0.5 이상 0.8 이상 0.130 이하
0.5품 0.40 이상
0.50 미만
180 이상 10 이하 0.9 이상 1.4 이상 0.160 이하
0.6품 0.50 이상
0.70 미만
180 이상 6 이하 1.5 이상 2.0 이상 0.190 이하
비교예 1 ∼ 4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 100중량%(비교예 1),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 82중량%와 시멘트킬른더스트(CKD) 18중량%(비교예 2),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 81.97중량%와 시멘트킬른더스트(CKD) 18중량% 및 메틸셀룰로오즈 0.03중량%(비교예 3),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 72.97중량%, 시멘트킬른더스트(CKD) 18중량%, 샌드 더스트(Sand Dust) 9중량% 및 메틸셀룰로오즈 0.03중량%(비교예 4)를 혼합하여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시멘트 분체를 제조하고, 시멘트분체와 물을 중량비(W/B)가 0.6 : 1, 단위용적질량 0.6t/㎥(KS F4039 규격의 0.5품)가 되도록 상기 분체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한 다름, 상기 슬러리 30부피%와 기포제(액상의 미백색 식물성 계면활성제 : 밀도 1.04g/㎤)를 물레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조한 기포 70부피%를 혼합하여 비교예 1 내지 4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겉보기 밀도를 KS F 2459의 시험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겉보기 밀도는 KS규격의 겉보기밀도 범위에서 약간의 변화가 나타났으나, 모두 KS규격 범위를 만족하였다.
실험예 2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플로우치를 KS F 4039의 시험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2 내지 4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플로우치는 비교예 1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낮은 값을 나타냈다. 이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에서 미립분의 증가 및 증점제의 혼입으로 인하여 점성이 증가함으로써 나타난 현상으로, 특히 실시예 1의 경우는 플로우치가 180mm를 상회하여 KS규격의 기준범위를 만족하면서 재료 분리없이 양호한 시공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침하깊이를 KS F 4039의 시험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2 내지 4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침하깊이는 비교예 1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감소하였으며, 실시예 1의 경우는 비교예 1에 비하여 7.5mm 정도(70%)의 침하깊이 감소가 나타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는 KS규격을 충분히 만족하여, 침하깊이의 감소 측면에서 매우 탁월한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7일 및 28일 압축강도를 KS F 2459의 시험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2 내지 4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비교예 1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시예 1의 경우에는 KS규격을 충분히 만족하였다.
실험예 5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열전도율을 KS L 9016의 시험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열전도율은 비교예 1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낮게 나타나 단열성이 KS규격을 충분히 만족시키면서도 단열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하였다.
실험예 6 :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목합 ( Mock - Up ) 실험에 의한 비교
본 발명에 의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와 시멘트만을 사용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대조군)의 성능 비교를 위한 실험으로써, W/B는 60%의 1수준에 대하여, 단위용적질량은 0.6t/㎥(KS규격 0.5품)로 하고, 목표 플로우는 240±20mm로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와 시멘트만을 사용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배합 비율은 표 2와 같다.
본 발명에 의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와 시멘트만을 사용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굳지않은 콘크리트 및 경화 콘크리트의 분석으로써 실험예 1내지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침하깊이, 균열크기, 압축강도, 열 전도율 실험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와 시멘트만을 사용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열 전도율의 경우 도 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KS규격 0.5품의 범위를 모두 만족하였으며, 본 발명에 의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경우 도 6과 같이 균열크기가 시멘트만을 사용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에 비하여 매우 미세하게 나타났으며,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침하깊이에서도 100mm부재에서 시멘트만을 사용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에 비하여 40% 전후의 침하깊이 감소가 나타났다.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경우, KS규격의 현장 타설용 기포 콘크리트의 품질 기준을 모두 만족함과 동시에 종래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보다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B
(%)
단위용적질량
(t/㎥)
구분 기포율
(%)
시멘트
(ℓ/㎥)

(ℓ/㎥)
CKD
(ℓ/㎥)
샌드더스트
(ℓ/㎥)
메틸셀룰로오즈 1*
60 0.6 대조군 66.9 112 212 0 0 0 0
60 0.6 본발명 66.3 83 216 24.5 13.1 0.064 0.18
1* :나프탈렌 설폰산 포름알데히드의 고축합물 나트륨염
도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겉보기 밀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플로우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3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침하깊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7일 및 28일 압축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5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열전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와 시멘트만을 사용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균열크기를 촬영한 사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와 시멘트만을 사용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침하깊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8는 본 발명에 의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와 시멘트만을 사용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열전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2)

  1. 시멘트킬른더스트(CKD) 5 ∼ 40중량%, 샌드 더스트(Sand Dust) 2 ∼ 10중량%, 메틸셀룰로오즈 0.001 ∼ 0.05중량%, 나프탈렌 설폰산 포름알데히드의 고축합물 나트륨염 0.01 ∼ 0.1중량% 및 잔량의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시멘트 분체.
  2. 시멘트킬른더스트(CKD) 5 ∼ 40중량%, 샌드 더스트(Sand Dust) 2 ∼ 10중량%, 메틸셀룰로오즈 0.001 ∼ 0.05중량%, 나프탈렌 설폰산 포름알데히드의 고축합물 나트륨염 0.01 ∼ 0.1중량% 및 잔량의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를 혼합한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시멘트 분체와 물을 중량비(W/B)가 0.5 ∼ 0.7 : 1이 되도록 상기 분체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한 다음, 상기 슬러리 30 ∼ 35부피%와 동물성 또는 식물성 계면활성제를 물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조한 기포 70 ∼ 65부피%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
KR20080075171A 2008-07-31 2008-07-31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시멘트 분체와 이를 이용한경량기포 콘크리트 KR100960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5171A KR100960485B1 (ko) 2008-07-31 2008-07-31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시멘트 분체와 이를 이용한경량기포 콘크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5171A KR100960485B1 (ko) 2008-07-31 2008-07-31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시멘트 분체와 이를 이용한경량기포 콘크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582A KR20100013582A (ko) 2010-02-10
KR100960485B1 true KR100960485B1 (ko) 2010-06-01

Family

ID=42087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75171A KR100960485B1 (ko) 2008-07-31 2008-07-31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시멘트 분체와 이를 이용한경량기포 콘크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4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689B1 (ko) 1997-08-14 1999-12-01 노영민 바닥 몰탈 및 콘크리트 슬래브용 시멘트계 균열보수재의 제조방법
KR100777940B1 (ko) 2005-12-30 2007-11-28 (주)지오씨엔엠 시멘트 무기질계 지반 주입재 조성물 및 사용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689B1 (ko) 1997-08-14 1999-12-01 노영민 바닥 몰탈 및 콘크리트 슬래브용 시멘트계 균열보수재의 제조방법
KR100777940B1 (ko) 2005-12-30 2007-11-28 (주)지오씨엔엠 시멘트 무기질계 지반 주입재 조성물 및 사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582A (ko)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505B1 (ko) 콘크리트 조강 촉진형 혼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US20020117086A1 (en) Low shrinkage, high strength cellular lightweight concrete
CN110776334B (zh) 一种大空心率超高韧性水泥基墙板及其制备方法
RU2502709C2 (ru) Легкий фибробетон
RU2649996C1 (ru) Мелкозернистая бетонная смесь
KR101654568B1 (ko) 조강형 숏크리트 조성물
CN113800864B (zh) 一种高稳定性超轻泵送泡沫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13831074A (zh) 含有聚氨酯颗粒的轻质隔音地坪浆料、制备方法及轻质隔音地坪
CN108892451B (zh) 轻质混凝土、轻质混凝土预制件及其制备方法和建筑材料
KR19980065526A (ko) 다기능성 고성능몰탈의 조성물
US20080223259A1 (en) Compressive Strength Improvement of Cement and Gypsum Products
KR100867250B1 (ko) 비소성 결합재를 포함하는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KR101086980B1 (ko) 고강도 경량콘크리트
CN108546048A (zh) 一种泡沫混凝土复合墙板芯材及其制备方法
KR102637810B1 (ko) 경량기포콘크리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량기포콘크리트 제조 방법
RU2378228C1 (ru) Ячеистый бетон автоклавного твердения
CN114507042B (zh) 一种再生高强轻质混凝土及其制备方法
RU2525565C1 (ru) Бетонная смесь
KR101314799B1 (ko) 강도발현의 극대화를 위한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관리방법
KR100960485B1 (ko) 저침하형 경량 기포 콘크리트용 시멘트 분체와 이를 이용한경량기포 콘크리트
RU2539450C2 (ru) Бетонная смесь
JP2004002203A (ja) シラスを用いた低強度モルタル充填材
RU2452714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бетонной смеси на пористом заполнителе
JP6163317B2 (ja) 高炉スラグ含有コンクリート
KR100290502B1 (ko) 장석을 이용한 경량기포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