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0642B1 - 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 및 그 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 및 그 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0642B1
KR100230642B1 KR1019970036923A KR19970036923A KR100230642B1 KR 100230642 B1 KR100230642 B1 KR 100230642B1 KR 1019970036923 A KR1019970036923 A KR 1019970036923A KR 19970036923 A KR19970036923 A KR 19970036923A KR 100230642 B1 KR100230642 B1 KR 100230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dioxide
beta
salt
prep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6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5039A (ko
Inventor
김영희
김민환
기인서
유지욱
Original Assignee
유현식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현식,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현식
Priority to KR1019970036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0642B1/ko
Publication of KR19990015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6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4-thia-1-azabicyclo [3.2.0] hep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penicillins, penem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 ring
    • C07D499/04Preparation
    • C07D499/14Preparation of sal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타-락타메이즈 억제제이며 베타-락탐 항생물질의 효과를 증진시키는 하기 일반식(I)의 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 및 그 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본 발명은 6-브로모페니실란산을 산화반응시켜 6-브로모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6-브로모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를 질소로써 제1차 퍼지(purge)시키고, 상기 퍼지된 6-브로보페니실란산을 탈브롬화 반응시키고, 상기 결과물을 여과, 충분리 및 추출하고 그리고 상기 추출물을 질소로써 제2차 퍼지(purge)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의 제조방법 및 상기 2차 퍼지된 결과물에 2-에틸헥사노에이트 염을 반응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 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페니실란산 1, 1-디옥시드 및 그 염의 제조방법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페니실란산 1, 1-디옥시드 및 그 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베타-락타메이즈 억제제이며 베타-락탐 항생물질의 효과를 증진시키는 페니실란산 1, 1-디옥시드 및 그 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현재 잘 알려져 있고 널리 사용되는 항박테리아 화합물질 중의 하나는 베타-락탐 항생물질이며, 이 화합물들은 티아졸리딘링 또는 디하이드로-1, 3-티아진링에 융합된 2-아제티디논(베타-락탐)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티아졸리딘링을 함유한 화합물은 페니실린이라고 하며, 디하이드로티아진링을 함유한 화합물은 세팔로스포린이다. 현재 사용되는 대표적인 페니실린은 페니실린 G, 페니실린 V, 암피실린 및 카베니실린이며, 세팔로스포린의 예로는 세팔로틴, 세팔렉신 및 세파졸린이 있다.
그러나 이들 베타-락탐 항생물질이 널리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특정한 박테리아에 대해서는 활성이 없어 내성이 생기는 것이 주요한 단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 베타-락탐 항생물질에 대한 내성은 미생물이 베타-락타마제라는 효소를 생성하기 때문이며, 이는 베타-락탐링을 개환시켜 항균 활성이 없는 생성물로 만들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베타-락타마제를 억제하는 능력이 있는 베타-락타마제 억제물질과 베타-락탐 항생물질인 페니실린 또는 세파로스포린의 복합체를 사용하므로 항균 효과를 증대시킬 수가 있었으며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몇종의 화합물들이 발견되었다. 페니실란산 1, 1-디옥시드 염을 제조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인 디-브로모페니실란산 또는 모노-브로모페니실란산을 제조하는 방법은 대한민국 특허 제931호, 미국 특허 제3,206,469호 및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27, 2668(1962)에 기술되어 있고, 유럽특허 출원 제83,200,541호와 대한민국 특허 제1104호에서는 6, 6-디브로모페니실란산 1, 1-디옥시드와 6-알파-브로모페니실란산 1, 1-디옥시드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2678호에서는 6-아미노페니실란산을 산화에 의해 6-아미노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681호 및 제1105호에는 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로부터 여러 가지 수 난용성염들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네델란드 특허출원 제8,001,285호 및 미국 특허 제4,234,579호에는 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 방법은 6-아미노페니실란산을 디아조화와 브롬화를 수행하여 6,6-디브로모페니실란산을 생성시킨 다음 산화 및 탈브롬화하여 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를 제조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1300호에는 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를 제조하는 다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탈브롬화 반응은 6,6-디브로모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에 마그네슘과 산을 함께 사용하여 반응시켜 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미국 특허 제4,468,351호에서 개시된 팔라듐 촉매 존재하에서 수소로 환원시키는 탈브롬화 반응과는 현저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네델란드 특허출원 제8,001,285호, 미국 특허 제4,234,579호와 4,468,351호 및 대한민국 특허 제1300호의 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 및 그 염의 제조방법들은 각각 단계별로 생성물을 정제 및 분리를 한다는 큰 단점이 있으므로 공정상으로 어려움과 복잡함이 있으며, 부수적으로 많은 비용이 들어가므로 비경제적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6-브로모페니실란산을 출발물질로 하여 산화반응으로 연결한 후 곧 바로 정제와 분리 없이 이 생성물을 탈브롬화시켜 하기 일반식 (I)을 얻은 다음 상기의 용액을 정제 및 분리 없이 질소로 염산을 제거시키고 소디움 2-에틸헥사노에이트(ethylhexanoate)와 반응시켜 약리적으로 허용이 되는 염을 얻는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공업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 및 그 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제 및 분리공정을 거치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페니실란산 1, 1-디옥시드 및 그 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총체적 수율이 향상된 페니실란산 1, 1-디옥시드 및 그 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반응기 안에서 반응을 연속적으로 간단히 수행할 수 있는 페니실란산 1, 1-디옥시드 및 그 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제 단계를 거치지 않아 정제단게에서 필요한 용매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서 부수적으로 들어가는 경비를 절약할 수 있는 페닐실란산 1,1-디옥시드 및 그 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타-락타메이즈 억제제이며 베타-락탐 항생물질의 효과를 증진시키는 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 및 그 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6-브로모페니실란산을 산화반응시켜 6-브로모페니실란산 1, 1-디옥시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6-브로모페니실란산 1, 1-디옥시드를 질소로써 제1차 퍼지(purge)시키고, 상기 퍼지된 6-브로모페니실란산 1, 1-디옥시드를 탈브롬화 반응시키고, 상기 결과물을 여과, 층분리 및 추출하고, 그리고 상기 추출물을 질소로써 제2차 퍼지(purge)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니실란산 1, 1-디옥시드의 제조방법 및 상기 2차 퍼지된 결과물에 2-에틸헥사노에이트 염을 반응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니실란산 1, 1-디옥시드 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현재 잘 알려져 있고 널리 사용되는 항박테리아 화합물질 중의 하나는 베타-락탐 항생물질이며, 이 화합물들은 티아졸리딘링 또는 디하이드로 1-1, 3-티아진링에 융합된 2-아제티디논(베타-락탐)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티아졸리딘링을 함유한 화합물은 페니실린이라고 하며, 디하이드로티아진링을 함유한 화합물은 세팔로스포린이다. 현재 사용되는 대표적인 페니실린은 페니실린 G, 페니실린 V, 암피실린 및 카베니실린이며, 세팔로스포린의 예로는 세팔로틴, 세팔렉신 및 세파졸린이 있다.
그러나 이들 베타-락탐 항생물질이 널리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특정한 박테리아에 대해서는 활성이 없어 내성이 생기는 것이 주요한 단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 베타-락탐 항생물질에 대한 내성은 미생물이 베타-락타마제라는 효소를 생성하기 때문이며, 이는 베타-락탐링을 개환시켜 항균 활성이 없는 생성물로 만들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베타-락타마제를 억제하는 능력이 있는 베타-락타마제 억제물질과 베타-락탐 항생물질인 페니실린 또는 세파로스포린의 복합체를 사용하므로 항균 효과를 증대시킬 수가 있었으며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몇종의 화합물들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은 베타-락타메이즈 억제제이며 베타-락탐 항생물질의 효과를 증진시키는 하기 일반식(I)의 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 및 그 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2
상기 일반식(I)에서 R은 수소 원자 및 생체내에서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는 Na 또는 K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페니실란산 1, 1-디옥시드 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어진다. 6-아미노페니실란산을 디아조화 및 브롬화하여 하기 일반식(II)의 6, 6-디브로모페니실란산 또는 하기 일반식(III)의 6-브로모페니실란산을 생성시키고,
Figure kpo00003
상기의 생성물을 산화시켜 6,6-디브로모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 또는 하기 일반식(IV)의 6-브로모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를 생성한 후 탈브롬화하여 페니실란 1,1-디옥시드를 생성하고 더 나아가서는 염을 제조하는 것이다.
Figure kpo00004
본 발명은 6-브로모페니실란산(III)을 산화반응시켜 6-브로모페니실란산 1, 1-디옥시드(IV)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6-브로모페니실란산 1, 1-디옥시드(IV)를 질소로써 제1차 퍼지(purge)시키고, 상기 퍼지된 6-브로모페니실란산 1, 1-디옥시드(IV)를 탈브롬화 반응시키고, 상기 결과물을 여과, 층분리 및 추출하고, 그리고 상기 추출물을 질소로써 제2차 퍼지(purge)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니실란산 1, 1-디옥시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페니실란산 1, 1-디옥시드에 2-에틸헥사노에이트 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페니실란산 1, 1-디옥시드 염(I)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5
상기 산화반응 단계는 6-브로모페니실란산(III)을 용해시켜 층분리하고, 상기 층분리된 수용액 층을 과망간산 칼륨과 인산의 현탁액에 적가하고, 상기 용액의 pH를 1.25∼1.45범위가 되도록 조절하고, 그리고 상기 용액을 층분리하여 그 수용액을 추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탈브롬화 반응단계는 제1차 퍼지된 6-브로모페니실란산 1, 1-디옥시드(IV)를 물과 마그네슘 분말로써 반응시키고, 그리고 상기 반응물을 6N-염산용액으로 3.5∼4.0범위의 pH를 유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페니실란 1,1-디옥시드 염(I)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에틸헥사노에이트 염은 2-에틸헥사노에이트나트륨 염 또는 2-에틸헥사노에이트칼륨 염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할 경우 상기의 특허들에서 이루어졌던 각각의 단계인 브롬화, 산화, 탈브롬화 및 염제조 단계에서의 정제 및 분리를 거치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반응시간은 물론 정제 단계에서 필요한 여러 가지 용매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서 부수적으로 들어가는 경비를 절약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더 나아가서는, 공지 방법에 의해서 합성되어진 페니실란산 1, 1-디옥시드의 수율에 비하여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합성되어진 페니실란산 1, 1-디옥시드의 총체적 수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방법의 또 다른 장점은 여러 개의 반응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하나의 반응기 안에서 반응을 연속적으로 간단히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매우 가치가 있고 각각의 단계에서 정제 및 분리를 하지 않으므로 과정이 용이해져서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상당히 순수한 최종 제품을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화될 것이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공지의 방법인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27. p2668, 1962에 의해 합성된 6-브로모페니실란산을 디클로로에틸에서 용해시킨 후, 이 반응혼합물에 50ml의 물을 더한 후 이 혼합물의 pH가 7로 되기까지 포화 소디움카보네이트를 약 27ml 첨가하고, 이후에 층분리를 한다. 25.0g의 과망간산 칼륨과 8.0ml의 진한 인산을 물 50ml에 혼합한 현탁액을 교반하면서 상기의 수용액층을 10 내지 15℃ 온도하에서 120분간에 걸쳐 가한다. 이 반응혼합물에 100ml의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고, 6 N-염산용액을 가하여 pH를 1.3으로 조절한다. 과량의 과망간산 칼륨은 20g의 소디움 바이설파이트를 가하여 제거하며, 6 N-염산용액을 부가하여 pH를 1.25에서 1.45 사이로 조절한다. 그 후 층분리를 한 후 수용액층을 100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이들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을 합하여 120분에 걸쳐 질소로 퍼지(purge)시켰다.
이 반응혼합물에 50ml의 물을 가한 후, 교반시키며 5℃로 냉각시킨다. 이 반응 혼합물을 5 내지 10℃에서 충분히 교반하면서 10g의 마그네슘 분말을 소량씩 20분에 걸쳐 첨가하고 반응 pH는 6 N-염산 용액을 사용하여 3.5 내지 4.0로 유지한다. 상기의 pH 및 반응 온도를 유지하면서 120분 동안더 교반한다.
반응 완료후, 과량의 마그네슘 분말은 여과하여 제거한다. 상기 여과액을 6N-염산 용액을 pH를 1.0 내지 1.5로 조정한 후 층상을 분리시킨다. 수용액층을 100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이들 유기층을 합한 후 질소로 120분에 걸쳐 퍼지(purge)시켰다.
14.0g의 소디움 에틸헥사노에이트(ethylhexanoate)를 60ml의 에틸아세태이트에 용해시킨 용액을 상기의 반응혼합물에 교반하면서 상온(25℃)에서 첨가한다. 첨가 완료후 3분 이내에 현탁액이 되며 이 현탁액을 90분간 상온에서 교반한 다음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회수한다. 회수한 상기 고상물을 공기중에 잘 건조하면 소디움 페니실란 1,1-디옥시드를 16.1g 즉 전체수율의 63%를 얻는다(순도는 HPLC로 측정하여 97.2%임).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을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2)

  1. 6-브로모페니실란산을 산화반응시켜 하기 식(I)의 6-브로모페니실란산 1,1-디옥시들 생성하고;
    Figure kpo00006
    상기 생성된 6-브로모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를 질소로써 퍼지(purge)시키고; 상기 퍼지된 6-브로모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를 탈브롬화 반응시키고; 상기 결과물을 여과, 층분리 및 추출하고; 그리고 상기 추출물을 질소로써 제2차 퍼지(purge)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II)의 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07
  2. 6-브로모페니실란산을 산화반응시켜 하기 일반식(I)의 6-브로모페니실란산 1, 1-디옥시드를 생성하고;
    Figure kpo00008
    상기 생성된 6-브로모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를 질소로써 퍼지(purge)시키고; 상기 퍼지된 6-브로모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를 탈브롬화 반응시키고; 상기 결과물을 여과, 층분리 및 추출하고; 상기 추출물을 질소로써 제2차 퍼지(purge)시키고; 그리고 상기 2차 퍼지된 결과물에 2-에틸헥사노에이트나트륨염 또는 2-에틸헥사노에이트칼륨염을 반응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III)의 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 염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09
    상기식에서 R은 Na 또는 K임.
KR1019970036923A 1997-08-01 1997-08-01 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 및 그 염의 제조방법 KR100230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6923A KR100230642B1 (ko) 1997-08-01 1997-08-01 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 및 그 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6923A KR100230642B1 (ko) 1997-08-01 1997-08-01 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 및 그 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039A KR19990015039A (ko) 1999-03-05
KR100230642B1 true KR100230642B1 (ko) 1999-11-15

Family

ID=19516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6923A KR100230642B1 (ko) 1997-08-01 1997-08-01 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 및 그 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06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039A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178988A (ja) 6β‐ヒドロキシメチルペニシラン酸誘導体の製法
EP1686131A2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penam derivatives
JPS61286331A (ja) 第4級カルバペネム誘導体の製造方法
US6936711B2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penam derivatives from cepham derivatives
KR870000310B1 (ko) 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 및 염의 제조방법
EP1253147B1 (en) Process for preparing piperonal
JPS60214792A (ja) ペナム酸エステル誘導体
KR100230642B1 (ko) 페니실란산 1,1-디옥시드 및 그 염의 제조방법
HU183212B (en) Process for preparing 2beta-acetoxymethyl-2alpha-methyl-penam-3alpha-carboxylic acid-1,1-dioxyde
FI70024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penicillansyra-1,1-dioxid och dess estrar
JP2003513983A (ja) 高純度セフポドキシムプロキセチルの製造方法
US4079180A (en) Process for preparing 7-aminocephalosporanic acid derivatives
DE2429166A1 (de) Verfahren zur selektiven spaltung der amidsaeurefunktion eines 7-(amidsaeure)cephalosporins
US4847266A (en) Method for preparing 6-β-halopenicillanic acids
FI75164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ren 6,6-dijodpenicillansyra.
EP0213685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6-amino penicillanic acid 1,1 dioxide by oxidation of 6-amino penicillanic acid
JPS62198687A (ja) 2β−置換チオメチルペニシリン誘導体
DE3006916A1 (de) Ungesaettigte 3-heterocyclische-thiomethyl-7 alpha -methoxy-7 beta -acylamido-3-cephem-4-carbonsaeure-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sie enthaltende pharmazeutische und veterinaermedizinische zubereitungen
US4183850A (en) Process for preparing 2-acyloxymethylpenams and 3-acyloxycephams
PL85296B1 (en) Production of antibacterial agents[gb1314758a]
JPS5995291A (ja) ペニシリン誘導体
KR100238645B1 (ko) 세팔로스포린 유도체의 새로운 에스테르화 방법
KR100537385B1 (ko) 소듐 티오퓨로에이트의 제조방법
EP0002927A1 (en) Penicillanic acid derivative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DE2436772A1 (de) Verfahren zur extraktion von nblockierten aminosaeu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