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0424B1 -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한 컷-오프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한 컷-오프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0424B1
KR100230424B1 KR1019970016811A KR19970016811A KR100230424B1 KR 100230424 B1 KR100230424 B1 KR 100230424B1 KR 1019970016811 A KR1019970016811 A KR 1019970016811A KR 19970016811 A KR19970016811 A KR 19970016811A KR 100230424 B1 KR100230424 B1 KR 100230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adder
video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6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9136A (ko
Inventor
김용섭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6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0424B1/ko
Priority to JP05104098A priority patent/JP3793635B2/ja
Priority to US09/071,329 priority patent/US6281943B1/en
Publication of KR19980079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3Colour balance circuits, e.g. white 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6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 H04N5/68Circuit details for cathode-ray display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화면 장치의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한 컷-오프 제어 회로가 개시된다.
상기 컷-오프 제어회로는 비디오 입력 신호와 휘도 제어 신호를 입력으로하여 프리앰프시켜 비디오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비디오 프리 앰프와, 상기 비디오 프리앰프의 출력신호를 받아 씨알티를 드라이브하는 드라이브 앰프를 구비하며, 상기 비디오 프리앰프는 직류 커플링 모드 및 교류 커플링 모드중 어느하나를 선택하여 동작하기 위하여 버스 제어회로가 내장된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디오 프리앰프는, 상기 비디오 입력 신호와 클램프 신호를 더하는 제1 가산기와; 상기 제1 가산기의 출력을 증폭하여 상기 비디오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증폭기와; 상기 스위칭 수단의 출력과 상기 휘도 제어 신호를 더하는 제2 가산기와; 상기 제2 가산기의 출력과 상기 증폭기의 출력을 비교하는 비교기와; 클램프 게이트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비교기의 출력을 상기 클램프 신호로써 전달하는 클램프 스위치; 및 버스 제어 블록과, 상기 버스 제어 블록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디지틀/아나로그 변환기, 및 상기 디지틀/아나로그 변환기의 출력을 상기 제2 가산기 또는 컷-오프 신호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어지고 상기 버스 제어 블록의 신호로써 제어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한 컷-오프 제어회로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면 장치의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한 컷-오프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모니터 등과 같은 화면 장치에서는 R, G, B의 3원색을 혼합하여 명암에 관계 없이 똑같은 색 온도로 일정한 백색이 되도록 하는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를 조정해야한다.
만일, 화이트 밸런스가 조정되어 있지 않으면 휘도(Brightness)를 변화시킬 때 라스터에 색이 붙고, 흑백 방송을 수신할 때에 색이 나오며, 컬러방송을 수신할 때에는 색이 변하게 된다. 반면에 화이트 밸런스가 조정되면 흑백방송을 수신할 때나 무신호시 휘도를 올리거나 내려도 라스터에 색이 붙지 않고, 항상 흑백으로만 나타나게 된다.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를 맞추기 위해서는 R, G, B 이득(Gain)과 R, G, B 바이어스(Bias)를 조정해야한다. 이때의 바이어스 조정을 컷-오프(Cut-Off) 조정이라 한다.
상기 이득 조정은 컷-오프 회로가 교류 혹은 직류 커플링모드인지에 영향을 받지 않고 조정 가능하지만, 상기 바이어스 조정은 컷-오프 회로가 교류 커플링 모드인지 혹은 직류 커플링 모드인지에 따라 별개의 집적회로를 사용해야 하는 제한이 있다.
한편, 휘도(Brightness) 조정 방법에는, 집적회로(IC) 제조회사에 따라서 R, G, B 3개의 채널을 집적회로 내부에서 하나로 묶어 집적회로의 하나의 핀에 할당하여 휘도 조정을 하는 방법과 R, G, B 3개의 채널을 집적회로의 각각의 핀에 할당하여 외부에서 하나로 묶어 휘도 조정을 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컷-오프 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R, G, B 채널을 묶은 휘도 제어 단자와 R, G, B 각각의 출력 직류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3개의 컷-오프 제어 단자가 필요하게 된다.
도 1a는 모니터의 비디오 부분으로서 종래기술의 직류 커플링 모드의 컷-오프 제어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초단의 RGB 비디오 프리앰프(Preamp:101)와 씨알티(CRT:Cathode Ray Tube)를 드라이브 하기위한 RGB 드라이브 앰프(102)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컷-오프 조정은 R, G, B 각각의 씨알티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VA)을 조정하는 것이다. 휘도(Brightness) 조정은 이와는 다르게 RGB 비디오 프리앰프(Preamp:101)의 출력 직류를 하나로 묶어 조정하는 것이다. 실제로는 R, G, B 3개의 채널로 구성되어 있으나 간략화를 위해 도면에서는 1 개의 채널 만을 도시하였다.
비디오 피드백 입력 전압(Vf)은 휘도조절 전압(Vbright)과 동일 조정 되게끔 네거티브 피드백(Negative Feed Back)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컷-오프 제어 신호(Vcutoff)로 상기 비디오 피드백 입력전압(Vf)를 미세 조정하여 씨알티(CRT)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VA)를 조정한다. 여기서 씨알티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VA)은 다음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식 1]
VA = Vf*(R1 + R2)/R2 + lc * R1
식 1에서 보듯이 상기 CRT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VA)은 제어 전류(lc)의 변화에 의해 가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제어 전류(lc)의 조정은 컷-오프 제어신호(Vcutoff)에 의해 조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의 비디오 프리앰프(101)의 회로도로서 외장 피드백 휘도 제어 방식으로 되어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종래의 비디오 프리앰프(101)는 가산기(101a)와, 드라이브 앰프(101b)와, 비교기(101d)와, 스위치(101c)를 구비한다.
도 2a는 종래 기술의 교류 커플링 모드의 컷-오프 제어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비디오 프리앰프(201)와 드라이브 앰프(202)와 커플링 커패시터(203) 및 비교기(204)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컷-오프 조정은 씨알티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VA)을 조절하여 조정하게 된다. 이 방식은 종래의 비디오 프리앰프(201)를 적용하여 내장 피드백 휘도 제어 방식으로 교류 커플링 모드의 컷-오프 제어 조정을 하고 있다. 도 2a에서 드라이브 앰프(202)의 출력은 커플링 커패시터(C2)에 의해 교류 성분만 통과하고 직류 성분은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 씨알티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VA)은 다음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식 2]
VA=Vref*(R3 + R4 + R5)/(R3*R5) - Vcutoff* R4/R5
식 2에서 보듯이 캐소드 바이어스 직류 전압(VA)은 컷-오프 제어전압(Vcutoff)의 변화에 의해 가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제어전류(lc)의 조정은 컷-오프 제어전압(Vcutoff)에 의해 조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종래의 비디오 프리앰프의 회로도로서 내장 피드백 휘도 제어 방식으로 되어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종래의 비디오 프리앰프(201)는 가산기(201a)와, 드라이브 앰프(201b)와, 비교기(201d)와, 스위치(201c)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컷-오프 제어회로에서는, 별도의 집적회로를 사용하여 직류 커플링 방식과 교류 커플링 방식이 구성되므로 커플링 방식에 따라 집적회로를 바꾸어야 되고 외부 부품을 추가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나의 집적회로로 직류 커플링 모드 및 교류 커플링 모드의 두가지 방식을 모두 수용하고 컷-오프 조정을 쉽게 할 수 있는 컷-오프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의 직류 커플링 모드의 컷-오프 제어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의 비디오 프리앰프의 회로도이다.
도 2a는 종래 기술의 교류 커플링 모드의 컷-오프 제어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종래의 비디오 프리앰프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프리앰프를 이용한 직류 커플링 모드의 컷-오프 제어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프리앰프를 이용한 교류 커플링 모드의 컷-오프 제어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프리앰프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프리앰프의 회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컷-오프 제어회로의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디오 입력 신호와 휘도 제어 신호를 입력으로하여 프리앰프시켜 비디오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비디오 프리앰프와, 상기 비디오 프리앰프의 출력신호를 받아 씨알티를 드라이브하는 드라이브 앰프를 구비하며, 상기 비디오 프리앰프는 직류 커플링 모드 및 교류 커플링 모드중 어느하나를 선택하여 동작하기 위하여 버스 제어 회로가 내장된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오프 제어회로를 제공한다.
상기 비디오 프리앰프의 제1 실시예는, 상기 비디오 입력 신호와 클램프 신호를 더하는 제1 가산기와; 상기 제1 가산기의 출력을 증폭하여 상기 비디오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증폭기와; 상기 스위칭 수단의 출력과 상기 휘도 제어 신호를 더하는 제2 가산기와; 상기 제2 가산기의 출력과 상기 증폭기의 출력을 비교하는 비교기와; 클램프 게이트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비교기의 출력을 상기 클램프 신호로써 전달하는 클램프 스위치; 및 버스 제어 블록과, 상기 버스 제어 블록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디지틀/아나로그 변환기, 및 상기 디지틀/아나로그 변환기의 출력을 상기 제2 가산기 또는 컷-오프 신호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어지고 상기 버스 제어 블록의 신호로써 제어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버스 제어 회로를 내장하여 별도의 외부 부품 추가없이 한 개의 집적회로로 교류 커플링 모드 및 직류 커플링 모드로 컷-오프 제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컷-오프 조정도 쉽게할 수 있게 하였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프리앰프를 이용한 직류 커플링 모드의 컷-오프 제어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직류 커플링 모드의 컷-오프 제어회로는 비디오 입력 신호(Vinput)와 휘도 제어 신호(Vbright)를 입력으로하여 프리앰프시켜 비디오 출력신호(Vo)를 발생하는 비디오 프리 앰프(300)와 상기 출력신호(Vo)를 입력으로하여 씨알티를 구동하는 드라이브 앰프(3500)를 구비한다.
상기 비디오 프리 앰프(300)는 비디오 입력 신호(Vinput)와 클램프 신호를 더하는 제1 가산기(301)와; 상기 제1 가산기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고 상기 비디오 신호(Vo)를 출력하는 증폭기(302)와; 스위칭 수단(304)의 출력과 휘도 제어 신호(Vbright)를 더하는 제2 가산기(303)와; 상기 제2 가산기의 출력과 상기 증폭기의 출력을 비교하는 비교기(305)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을 클램프하기 위해 클램프 커패시터(C1)와 클램프 게이트 펄스(CGPulse)로 개폐하는 스위치(306)로 구성된 클램핑 수단(C1, 306); 및 버스 제어 블록(304a)과, 상기 버스 제어 블록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디지틀/아나로그 변환기(304b), 및 상기 디지틀/아나로그 변환기의 출력을 상기 제2 가산기(303) 또는 컷-오프 신호(Vcutoff)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어지고 상기 버스 제어 블록의 신호로써 제어되는 스위치(304c)를 구비하는 스위칭 수단(304)을 구비한다.
직류 커플링 모드시의 비디오 프리앰프(300)는 버스 제어 블록(304a)과 디지틀/아날로그 변환기(304b) 및 상기 버스 제어 블록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304c)를 갖는 스위칭 수단(304)이 직류 커플링 모드를 선택함을 보이고 있다.
그 동작을 살펴보면, 버스 제어에 의해 스위치(304c)를 내부 모드로 선택하여 증폭기(302)의 피드백 전압(Vf)이 제어 전압(Vc)과 동일하게 조정 되게끔 내부네거티브 피드 백(Negative Feed Back)으로 구성하여 직류 비디오 출력(Vo)을 맞춘다.
이때의 비디오 출력전압(Vo)의 수식 관계는 다음 식과 같다.
[식 3]
Vo=Vc, Vo=Vbright + Vda
여기서, Vbright는 휘도 제어 전압을, Vda는 스위칭 수단의 디지틀/아날로그의 출력 전압을, Vc는 제2 가산기 출력(303)으로 제어 전압을 나타낸다.
위 조건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버스 제어에 의한 Vda 전압으로 컷-오프 제어를 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컷-오프 제어회로 및 그에 내장된 비디오 프리앰프의 교류 커플링 모드시의 회로도이다.
도 4는 교류 커플링 모드시의 컷-오프 제어회로를 도면화하여 나타낸 것으로 비디오 프리앰프(400)의 구성은 도 3의 비디오 프리앰프와 같다. 다만, 버스 제어 블록과 디지틀/아날로그 변환기 및 상기 버스 제어 블록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를 갖는 스위칭 수단(404)이 교류 커플링 모드를 선택함을 보이고 있다.
교류 커플링 모드시의 컷-오프 회로는 버스제어에 의해 동작하고 교류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드라이브 앰프(100) 출력에 연결된 커패시터(112)와, 전원 Vb와 상기 커패시터 사이에 저항 R1(114)과, 상기 제1 저항과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수단에 의해 게이팅 되는 트랜지스터(116), 및 상기 트랜지스터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저항 R2(118)를 더 포함한다.
교류 커플링 모드시의 컷-오프 회로의 동작을 살펴보면, 버스 제어에 의해 스위치(404)를 외부모드로 선택하여 교류 커플링 회로를 구현한 도면으로 제2 가산기(403)으로의 합성되는 Vda 직류 전압은 없게 된다.
이때의 비디오 출력 전압(Vo)과 씨알티 캐소드 바이어스 VA의 수식 관계는 다음 식과 같다.
[식 4]
Vo = Vbright + Vda, 제2 가산기(404)에 합성되는 Vda=0이므로 Vo = Vbright
VA = Vb - R1/R2* (Vda - Vbe1)
여기서, Vbright는 휘도 제어 전압을, Vda는 스위칭 수단의 디지틀/아날로그 변환기의 출력 전압을, Vc는 제2 가산기 출력으로 제어 전압을, Vb는 전원 전압을, Vbe1은 컷-오프 제어되는 트랜지스터 내부 전압을, R1과 R2는 회로상 저항값을 나타낸다.
식 4에서 보듯이 VA 직류 전압은 Vda 전압에 의해 가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또한, Vda의 조정은 버스 제어 디지틀/아날로그 변환기 출력에 의해 조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프리앰프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디지틀/아날로그 변환기 출력으로 피드백되는 직류를 조정하여 컷-오프 제어를 보여 주는 비디오 프리앰프의 제2 실시예로서,
비디오 입력 신호(Vinput)와 클램프 신호를 더하는 제1 가산기(501)와; 상기 제1 가산기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고 비디오 출력 신호(Vo)를 발생하는 증폭기(502)와; 상기 스위칭 수단(504)의 출력과 상기 증폭기(502)의 출력 신호를 더하는 제2 가산기(503)와; 상기 제2 가산기(503)의 출력과 휘도 제어 신호(Vbright)를 비교하는 비교기(505)와, 클램프 게이트 펄스(CGPulse)에 응답하여 상기 비교기의 출력을 상기 클램프 신호로써 전달하는 클램핑 스위치(506); 및 버스 제어 블록(504a)과, 상기 버스 제어 블록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디지틀/아나로그 변환기(504b), 및 상기 디지틀/아나로그 변환기의 출력을 상기 제2 가산기(503) 또는 컷-오프 신호(Vcutoff)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어지고 상기 버스 제어 블록의 신호로써 제어되는 스위치(504c)를 구비하는 스위칭 수단(504)을 구비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프리앰프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비디오 입력 클램프(601)에서 일정하게 유지되고 출력 되는 직류 레벨을 디지틀/아날로그 변환기(604b)로 조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비디오 프리앰프의 제3 실시예로서, 비디오 입력 클램프 수단(601)과; 상기 비디오 입력 클램프 수단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는 증폭기(602)와;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와 제2 가산기(605) 출력신호를 더하여 비디오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제1 가산기(603)와; 스위칭 수단(604)의 출력 신호와 휘도 제어 신호를 더하여 상기 제1 가산기(603)에 출력하는 제2 가산기(605); 및 버스 제어 블록(604a)과, 상기 버스 제어 블록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디지틀/아나로그 변환기(504b), 및 상기 디지틀/아나로그 변환기의 출력을 상기 제2 가산기(605) 또는 컷-오프 신호(Vcutoff)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어지고 상기 버스 제어 블록의 신호로써 제어되는 스위치(604c)를 구비하는 스위칭 수단(604)을 구비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의한 컷-오프 제어회로의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도 4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보여준 것으로 디지틀/아날로그의 데이터를 스윕(Sweep)하여 씨알티 캐소드에 인가되는 최종 출력을 보여 주고 있다.
도 7a는 디지틀/아날로그 데이터 스윕에 대한 컷-오프 제어 전류인 Ic와 저항 전류인 It의 합 전류인 Ir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b와 도 7c는 각각 디지틀/아날로그 데이터 스윕에 대한 Ir의 전류 파형과 Ic의 변화 전류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마지막으로, 도 7d는 버스 제어 컷-오프 조정에 의한 디지틀/아날로그 데이터 스윕에 대한 씨알티 캐소드 직류 전압 변화의 VA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버스 제어를 내장하여 한 개의 집적회로로 교류/직류 커플링 모드 모두 컷-오프 조정을 용이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외부 부품의 추가 없이 컷-오프 제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외부 부품의 감소 및 생산 비용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명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 제어 회로를 내장하여 별도의 외부 부품 추가없이 한 개의 집적회로로 교류 커플링 모드 및 직류 커플링 모드로 컷-오프 제어가 가능할 뿐만아니라 컷-오프 조정도 쉽게할 수 있게 한다.

Claims (5)

  1. 비디오 입력 신호와 휘도 제어 신호를 입력으로하여 프리앰프시켜 비디오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비디오 프리 앰프와, 상기 비디오 프리앰프의 출력신호를 받아 씨알티를 드라이브하는 드라이브 앰프를 구비하며, 상기 비디오 프리앰프는 직류 커플링 모드 및 교류 커플링 모드중 어느하나를 선택하여 동작하기 위하여 버스 제어 회로가 내장된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오프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컷-오프 제어회로는 교류 커플링 모드로 동작하기 위하여 상기 드라이브 앰프의 출력단에 일단이 연결된 커패시터와, 전원과 상기 커패시터의 타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저항과, 상기 제1 저항과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수단에 의해 게이팅 되는 트랜지스터, 및 상기 트랜지스터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2 저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오프 제어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프리앰프는, 상기 비디오 입력 신호와 클램프 신호를 더하는 제1 가산기;
    상기 제1 가산기의 출력을 증폭하여 상기 비디오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증폭기;
    상기 스위칭 수단의 출력과 상기 휘도 제어 신호를 더하는 제2 가산기;
    상기 제2 가산기의 출력과 상기 증폭기의 출력을 비교하는 비교기;
    클램프 게이트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비교기의 출력을 상기 클램프 신호로써 전달하는 클램프 스위치; 및
    버스 제어 블록과, 상기 버스 제어 블록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디지틀/아나로그 변환기, 및 상기 디지틀/아나로그 변환기의 출력을 상기 제2 가산기 또는 컷-오프 신호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어지고 상기 버스 제어 블록의 신호로써 제어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오프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프리앰프는, 상기 비디오 입력 신호와 클램프 신호를 더하는 제1 가산기;
    상기 제1 가산기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고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증폭기;
    상기 스위칭 수단의 출력과 상기 증폭기 출력 신호를 더하는 제2 가산기;
    상기 제2 가산기의 출력과 휘도 제어 신호를 비교하는 비교기;
    클램프 게이트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비교기의 출력을 상기 클램프 신호로써 전달하는 클램프 스위치; 및
    버스 제어 블록과, 상기 버스 제어 블록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디지틀/아나로그 변환기, 및 상기 디지틀/아나로그 변환기의 출력을 상기 제2 가산기 또는 컷-오프 신호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어지고 상기 버스 제어 블록의 신호로써 제어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오프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프리앰프는 비디오 입력 클램프 수단;
    상기 비디오 입력 클램프 수단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의 출력 신호와 제2 가산기 출력신호를 더하여 비디오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제1 가산기;
    상기 스위칭 수단의 출력 신호와 휘도 제어 신호를 더하여 상기 제1 가산기에 출력하는 제2 가산기; 및
    버스 제어 블록과, 상기 버스 제어 블록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디지틀/아나로그 변환기, 및 상기 디지틀/아나로그 변환기의 출력을 상기 제2 가산기 또는 컷-오프 신호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어지고 상기 버스 제어 블록의 신호로써 제어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오프 회로.
KR1019970016811A 1997-04-30 1997-04-30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한 컷-오프 제어회로 KR100230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6811A KR100230424B1 (ko) 1997-04-30 1997-04-30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한 컷-오프 제어회로
JP05104098A JP3793635B2 (ja) 1997-04-30 1998-03-03 ビデオプリアンプおよびカットオフ制御回路
US09/071,329 US6281943B1 (en) 1997-04-30 1998-04-30 Cut-off control circuit for adjusting white bal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6811A KR100230424B1 (ko) 1997-04-30 1997-04-30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한 컷-오프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136A KR19980079136A (ko) 1998-11-25
KR100230424B1 true KR100230424B1 (ko) 1999-11-15

Family

ID=19504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6811A KR100230424B1 (ko) 1997-04-30 1997-04-30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한 컷-오프 제어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81943B1 (ko)
JP (1) JP3793635B2 (ko)
KR (1) KR1002304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0821B1 (en) * 1998-06-26 2004-03-23 Sanyo Electric Co., Ltd. White balance adjusting apparatus
US6556254B1 (en) * 1998-08-27 2003-04-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lack and white level stabilization
JP2002135798A (ja) * 2000-10-25 2002-05-10 Mitsubishi Electric Corp Crt表示装置およびカットオフ調整方法
US7184097B2 (en) * 2000-12-20 2007-02-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n-screen display apparatus
FR2889003A1 (fr) * 2005-07-22 2007-01-26 St Microelectronics Sa Adaptation automatique d'une source video a un recepteu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1721B2 (ja) * 1990-10-19 2001-04-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増幅回路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TW269766B (ko) * 1993-02-05 1996-02-01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US5726540A (en) * 1995-12-22 1998-03-10 Sony Corporation Transient enhancement circuit for CRT ampl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136A (ko) 1998-11-25
JP3793635B2 (ja) 2006-07-05
JPH10322572A (ja) 1998-12-04
US6281943B1 (en) 2001-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0424B1 (ko)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한 컷-오프 제어회로
US6650371B1 (en) Multiplexed video signal interface signal, system and method
JPH0229169A (ja) 広帯域ab級crt陰極ドライブ回路
US6208094B1 (en) Multiplexed video interface system
US6369527B1 (en) Vertical blanking circuit and bias clamp boost supply
EP0074081B1 (en) Signal processing unit
KR100323012B1 (ko)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
KR970060893A (ko) 신호혼성장치
KR100307572B1 (ko) 핫스타트플레쉬현상을방지하기위한자동키네스코프바이어스장치
US7184099B1 (en) Controllable signal baseline and frequency emphasis circuit
JP2784803B2 (ja) 折れ線信号発生回路
KR100442856B1 (ko) 비디오 증폭기
US5657098A (en) Control circuit for use with a cut-off adjusting circuit and a drive adjusting circuit
US5815011A (en) Circuit for adjusting the coring threshold of a signal
JP3360216B2 (ja) 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
FI78589B (fi) Videosignalbehandlingssystem.
US6260085B1 (en) Changeover device which uses both analog and digital signals as input signals and supplies an analog output signal
KR0123834B1 (ko) Rgb신호의 선택적강조회로
KR0138676B1 (ko) 모니터의 알지비 밝기신호의 디씨 레벨 제어회로
KR910005932Y1 (ko) 휘도 및 콘트라스트 조정회로
JPH0738823A (ja) 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装置
JP2000023187A (ja)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
JP2000023186A (ja)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
JPH10108084A (ja) 映像信号出力装置
JPH02137591A (ja) カラービデオモニ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