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3012B1 -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3012B1
KR100323012B1 KR1019990024144A KR19990024144A KR100323012B1 KR 100323012 B1 KR100323012 B1 KR 100323012B1 KR 1019990024144 A KR1019990024144 A KR 1019990024144A KR 19990024144 A KR19990024144 A KR 19990024144A KR 100323012 B1 KR100323012 B1 KR 100323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signal
circuit
rgb
white ba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4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445A (ko
Inventor
오사와이꾸오
벳뿌다께미
나까지마겐이찌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18063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23186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18238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23187A/ja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00006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0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3Colour balance circuits, e.g. white 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테스트용 백(白) 신호와 흑(黑) 신호를 발생시키는 테스트 신호원(13); RGB의 각 원색 신호를 증폭하는 3개의 구동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를 전압 변환하는 제1 임피던스 수단(1); 상기 제1 임피던스 수단에 대해 병렬로 접속되는 제2 임피던스 수단(5); 상기 제2 임피던스 수단에 전류를 흘려보낼지 여부를 전환하는 스위치(6); 컷 오프(cut-off) 조정에 따라 제1 기준 전압을 발생하고 드라이브(drive) 조정에 따라 제2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는 기준 전원(7); 상기 제1 및/또는 제2 임피던스 수단으로 전압 변환된 전압과 상기 기준 전원의 기준 전압과의 레벨 비교를 행하는 비교기(8); 및 상기 비교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화이트 밸런스 조정용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RGB의 각 원색 신호의 직류 레벨 및 교류 레벨을 조정하는 마이크로 컴퓨터(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DEVICE FOR CONTROLLING WHITE BALANCE}
본 발명은, 브라운관을 사용한 텔레비젼 수상기나 컴퓨터 디스플레이에서 휘도 신호를 정확히 표시하기 위한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IC화에 적합한 동시에 제조 라인에서 간단히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행할 수 있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 수상기나 컴퓨터 디스플레이에서는 제조 라인 내에서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행한다. 그 방법으로는, 희미하게 빛나는 어두운 레벨(흑 신호)에서 RGB(적색, 녹색, 청색)의 밸런스 조정을 행하는 컷 오프 조정과, 강하게 빛나는 밝은 레벨(백 신호)에서의 RGB의 밸런스 조정을 행하는 드라이브 조정이 있다.
여기서, 컷 오프 조정은 RGB 출력 신호의 직류 레벨(바이어스)의 조정을 의미한다. 드라이브 조정은 RGB 출력 신호의 교류 레벨(이득)의 조정을 의미한다.
한편, 이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간이적(簡易的)으로 행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GB를 단독으로 빛나게 하고, 각각의 빔 전류(IK)를 검출하여 각각의 조정을 행할수도 있다. 빔 전류(IK)는 RGB의 각 원색 신호의 캐소드 전류를 가리킨다.
이 때에도 컷 오프 조정과 드라이브 조정을 행하지만, 컷 오프 조정과 드라이브 조정에서는 빔 전류(IK)의 값이 크게 달라진다. 예를 들면, 컷 오프 조정시에 흐르는 빔 전류는 25 ㎂이고, 한편 드라이브 조정시에 흐르는 빔 전류는 3.5 ㎃ 정도이다.
따라서, 컷 오프 조정과 드라이브 조정에서는 각각 전용의 입력 회로 및 판별 회로가 요구된다.
그러나, 컷 오프 조정과 드라이브 조정에서, 각각 전용의 입력 회로 및 판별 회로를 사용하는 것은 소자수의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입력 회로는, 정밀도가 우수한 저항값을 얻기 위해 IC의 외부에 개별 소자를 배치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IC 내부에 배치되는 판별 회로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서는 IC 핀이 별도로 1핀 필요해진다. 그 핀이 2핀이 되는 문제도 생긴다.
또한,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제조 라인 내에서 행할 때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는 제조 라인에 측정 및 조정용 컴퓨터를 배치하고, 제조 라인으로 이송되는 IC 하나하나에 대해 배선 처리하여 조정하였다. 또한, 화이트 밸런스 조정시에는 백 신호와 흑 신호를 공급할 필요가 있지만, 종래에는 테스트 신호 발생 장치를 제조 라인에 배치하고, 외부로부터 IC에 인가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제조 라인의 작업량이 증가하여 시간이 걸렸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현된 것으로, 제조 라인 내에서, 컷 오프 조정 및 드라이브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에 따르면, RGB의 각 원색 신호의 컷 오프 조정 및 드라이브 조정을 행하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 회로로서, RGB의 각 원색 신호의 직류 레벨 및 교류 레벨을 조정하는 3개의 직류 조정 회로 및 교류 조정 회로, 상기 RGB의 각 원색 신호를 증폭하고 화상 표시부를 구동하는 3개의 구동 트랜지스터 회로,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 접속되고 적어도 2개의 저항값을 취할 수있도록 구성된 가변 임피던스 수단, 상기 가변 임피던스 수단의 저항값을 전환하는 전환 수단, 컷 오프 조정시에 제1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드라이브 조정시에 제2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는 기준 전원, 상기 가변 임피던스 수단의 단자 전압과 상기 기준 전원의 기준 전압과의 레벨 비교를 행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화이트 밸런스 조정용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직류 조정 회로 및 교류 조정 회로에 의해 RGB의 각 원색 신호의 직류 레벨 및 교류 레벨을 조정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신호 레벨이 크게 다른 컷 오프 조정 및 드라이브 조정을 하나의 입력 회로 및 판별 회로로 처리할 수 있어, 소자수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에서, 또한 드라이브 조정용 신호와 컷 오프 조정용 신호를 발생시키는 테스트 신호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장치에 의해, 테스트 라인에서 신호원이 필요없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양상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에서, 상기 기준 전원의 값은 영상 신호의 레벨을 일정하게 갖추기 위한 클램프 회로의 기준 전원의 값으로 연동(連動)하여 변화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클램프 회로의 기준 전원의 값이 변화하면, 비교기의 기준 전원도 이것에 연동하여 변화하기 때문에, 정확한 테스트용 신호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4 양상에 따르면, 청구항 3에 기재된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에서, 상기 임피던스 수단은 제1 저항 소자와 상기 제1 저항 소자보다도 작은 저항값을 갖는 제2 저항 소자를 병렬 접속하고,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제2 저항 소자를 온/오프하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스위치의 전환만으로, 신호 레벨을 컷 오프 조정용과 드라이브 조정으로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5 양상에 따르면, 청구항 2에 기재된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에서, 상기 제2 저항 소자는 외부에 배치된 개별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2 저항 소자가 외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준 전원의 값을 조정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이러한 장치에 따르면 기준 전원을 조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준 전원을 IC 내부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6 양상에 따르면, 청구항 2에 기재된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에서, 상기 직류 조정 회로 및 교류 조정 회로, 상기 비교기 수단, 상기 제어 회로, 및 상기 테스트 신호원은, 동일 기판 상에 집적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핀수를 저감시킬 수 있고,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7 양상에 따르면, 청구항 2에 기재된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에서, 상기 테스트 신호원은 외장 회로로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8 양상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에서, 상기 제어 회로는 외장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조정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제9 양상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에서, RGB 신호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직류 조정 회로와 교류 조정 회로, 및 각 구동 수단의 구동 트랜지스터는 시계열적(時系列的)으로 동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RGB의 각 원색 신호의 컷 오프 조정 및 드라이브 조정을 시계열적으로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하나의 가변 임피던스 수단과 하나의 비교기에 의해 조정할 수 있고, 동시에 조정하는 경우에 비해 회로 소자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양상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에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비교기로부터의 RGB 용의 3개의 판별 출력을 래치하는 래치 회로, 상기 래치 회로의 래치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상기 래치 회로의 출력에 기초하여 화이트 밸런스 조정용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화이트 밸런스 조정의 자동 조정 루프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라인에서 측정 및 조정용 컴퓨터가 불필요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테스트 신호원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 임피던스 수단
5 : 제2 임피던스 수단
6 : 스위치
7 : 기준 전원
8 : 비교기
13 : 테스트 신호원
75 : 마이크로 컴퓨터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의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RGB의 각 원색 신호의 컷 오프 조정 및 드라이브 조정을 행하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RGB의 각 원색 신호의 직류 레벨 및 교류 레벨을 조정하는 3개의 직류 조정 회로(15, 16, 17)와 교류 조정 회로(18, 19, 20); 상기 RGB의 각 원색 신호를 증폭하고 화상 표시부를 구동하는 3개의 구동 트랜지스터 회로(2, 3, 4);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 접속되어 RGB의 각 원색 신호들을 증폭시키는 3개의 구동 트랜지스터(2, 3, 4)에 흐르는 전류를 전압 변환하는 임피던스 수단으로서 동작하는 제1 저항(1) 및 상기 제1 저항(1)에 대해 병렬로 접속되는 임피던스 수단으로서 동작하는 제2 저항(5)을, 제2 저항(5)에 직렬 접속되어 전류가 흐르는지의 여부를 전환하는 스위치(6)에 의해 전환하여, 2개의 저항값을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가변 임피던스 수단; 컷 오프 조정시에 제1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드라이브 조정시에 제2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는 기준 전원(7); 상기 가변 임피던스 수단인 제1 또는 제2 저항의 단자 전압과 상기 기준 전원의 기준 전압과의 레벨 비교를 행하는 비교기(8); 및 상기 비교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화이트 밸런스 조정용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직류 조정 회로 및 교류 조정 회로에 의해 RGB의 각 원색 신호의 직류 레벨 및 교류 레벨을 조정하는 제어 회로로서의 마이크로 컴퓨터(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비교기(7)는, 컷 오프 조정에 따라 제1 기준 전압 Vref1을 발생시키고, 드라이브 조정에 따라 제2 기준 전압 Vref2를 발생시키는 기준 전원, 참조 번호(8)는 상기 제1 및/또는 제2 저항에서 전압 변환된 전압과 상기 발생 전압과의 레벨 비교를 행한다. 그리고 또한 이 장치에서는, 브라운관(9)에 표시하는 영상 신호를 신호 처리하는 영상 신호 처리 IC(11) 내와, 비교기(8)로부터의 RGB 용 3개의 판별 출력을 래치하는 R 래치 회로(71), G 래치 회로(72) 및 B 래치 회로(73)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R 래치 회로(70), G 래치 회로(71) 및 B 래치 회로(72)는, 타이밍 컨트롤러(73)에 의해 래치 타이밍을 제어하고 있다. 또한, R 래치 회로(70), G 래치 회로(71), B 래치 회로(72)로부터의 래치 신호는, 버스 인터페이스 회로(74)를 통해, 이 버스 인터페이스 회로(74)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화이트 밸런스 조정용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RGB의 각 원색 신호의 직류 레벨 및 교류 레벨을 조정하는 마이크로 컴퓨터(75)에 입력된다. 여기서, 참조 번호 (76)는 버스 인터페이스 회로, 참조 번호 (77)는 D/A 컨버터이다.
또한, 브라운관(9)의 구동 회로(50)는, 구동 트랜지스터(2), 트랜지스터(51), 트랜지스터(52), 저항(53)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구동 회로(54)와 구동 회로(55)는, 구동 회로(50)와 동일한 회로 구성을 갖는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75)는, 원래 TV 수상기의 선국이나 버스 라인을 사용한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것으로, 그 기능을 이용하여 화이트 밸런스 조정에 사용하고 있다.
우선, 밸런스 조정의 설명에 앞서, 통상의 화상 표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영상 신호 처리 IC(11)의 입력 단자(12)에는 휘도 신호가 인가된다. 테스트 신호원(13)으로부터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에 제공하는 흑 신호와 백 신호가 발생한다. 이 경우에는 스위치(14)는, 도시된 바와 반대로 a 측으로 전환한다. 휘도 신호는, R 원색 신호용 직류 조정 회로(15), G 원색 신호용 직류 조정 회로(16) 및 B 원색 신호용 직류 조정 회로(17)에 인가되고, 그 직류 레벨이 조정된다. 직류 조정 회로(15, 16, 17)의 출력 신호는, 각각 교류 조정 회로(18, 19, 20)에 인가되는 교류 이득으로 증폭된다.
이와 같이, RGB의 3개의 원색 신호의 직류 레벨과 교류 레벨이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목적으로 하여 제어되어 있다. 그리고, RGB의 3개의 원색 신호는, 구동 트랜지스터(2, 3, 4)의 베이스에 인가되고, 구동 트랜지스터(2, 3, 4)는 각각 대응하는 브라운관(9)의 캐소드 전극을 구동한다.
이어서, 화이트 밸런스 조정시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스위치(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b 측으로 전환한다. 테스트 신호원(13)으로부터는 컷 오프 조정시에는 테스트용 흑 신호를 발생시키고, 드라이브 조정시에는 테스트용 백 신호를 발생시킨다.
우선, 컷 오프 조정을 행한다고 하면, 흑 신호가 직류 조정 회로(15, 16, 17)에 인가된다. 컷 오프 조정은, RGB의 3색을 시계열로 조정한다. 즉, 최초로 R 원색 신호를 조정한다고 하면, 직류 조정 회로(15), 교류 조정 회로(18), 구동 트랜지스터(2)의 신호로(信號路)만을 동작시키고, 다른 G 원색 신호, B 원색 신호의 신호로에는 귀선 소거 신호(blanking signal)를 가하여, 비동작 상태로 한다. 단자(20, 21, 22)에는 귀선 소거 신호가 가해진다. 이 경우에는 단자(21, 22)에 귀선 소거 신호가 가해지고, 구동 트랜지스터(3, 4)는 오프한다.
그런데, 직류 조정 회로(15, 16, 17)와 교류 조정 회로(18, 19, 20)의 초기값은, 마이크로 컴퓨터(75)에 의해 설정된다. 마이크로 컴퓨터(75)로부터 적당한 값이 버스 인터페이스 회로(76) 및 D/A 컨버터(77)를 통해 직류 조정 회로(15, 16, 17)와 교류 조정 회로(18, 19, 20)에 인가된다. 이 신호의 인가 타이밍은, 예를 들면 수직 동기 신호의 귀선 기간 중의 라인(17) (수직 동기 신호로부터 17 수평라인째), 라인(18) 및 라인(19)을 사용하여 행한다. 마이크로 컴퓨터(75)로부터의 조정용 디지탈 데이터는, 버스 인터페이스 회로(76)를 통해 D/A 컨버터(77)에 인가된다. 버스 인터페이스 회로(76)와 D/A 컨버터(77)는, 영상 신호 처리 IC(11)에 내장해도 된다.
D/A 컨버터(77)는, 6개의 D/A 컨버터를 내장하고, 각각 이 직류 조정 회로(15, 16, 17)와 교류 조정 회로(18, 19, 20)에 대응한다. 라인(17), 라인(18), 라인(19)을 사용하여 시계열로 직류 조정 회로(15, 16, 17)와 교류 조정 회로(18, 19, 20)의 초기값이 설정된다. 이 라인(17), 라인(18), 라인(19)은, 일반적으로 영상 신호 처리 IC(11)에 내장되는 수직 카운트 다운 회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간단히 얻을 수 있다. 수직 카운트 다운 회로는, 수평 동기 신호를 수직 동기 신호를 리셋트 신호로서 분주하는 분주기와, 그 분주 출력을 논리 합성하는 논리 회로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구동 트랜지스터(2)의 컬렉터·에미터 선로에 흐르는 전류는 제1 저항(1)으로 흘러서 전압 변환된다. 컷 오프 조정시의 전류는 미세하므로, 전압 변환하기 위해서는 증가하는 임피던스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스위치(6)는 개방되고, 미소 전류로부터 판별에 지장이 없는 원하는 레벨로 전압 변환된다. 한편, 기준 전원(7)은 미소한 전압을 판별하는데 알맞은 제1 기준 전압 Vref1을 선택하여 발생시킨다.
여기서, 제1 저항(1)과 제2 저항(5)은, 미소한 전류를 전압 변환하므로 정밀도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IC의 내부에서 저항을 작성하면, 그 저항치는 온도 상승등으로 변동하기 쉽다. 그에 대해, IC 외부에 개별 소자(디스크리트 소자)로 저항을 배치하면, 온도 변동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제1 저항(1)과 제2 저항(5)을 개별 소자로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정확한 전압값을 얻을 수 있다. 검출되는 전압이 정확하면, 그것의 비교 기준이 되는 기준 전원(7) 값을 조정할 필요가 없어진다. 기준 전원(7) 값을 조정할 필요가 없어지면, 제1 기준 전압 Vref1과 제2기준 전압 Vref2를 고정의 기준 전원으로 구성할 수 있다. 고정의 기준 전원이면 재조정이 불필요하니까 IC에 내장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기준 전원(7)을 영상 신호 처리 IC(11)에 내장할 수 있고, IC의 외장 부품을 삭감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비교기(8)는 올바른 판별을 행할 수 있고, 「H」 레벨 또는 「L」레벨의 판별 출력 신호를 발생시킨다. R 원색 신호 선택시의 판별 출력 신호는 라인(17)의 타이밍이고, R 래치 회로(70)에 래치된다. 마찬가지로, G 원색 신호 선택시의 판별 출력 신호는 라인(18)의 타이밍이고, G 래치 회로(71)에 래치된다. B 원색 신호 선택시의 판별 출력 신호는 라인(19)의 타이밍이고, B 래치 회로(72)에 래치된다. 이 래치 타이밍은, 타이밍 컨트롤러(73)가 동작 전환을 행한다.
지금, RGB의 3색 모두 구동 트랜지스터(2)의 컬렉터·에미터 선로에 흐르는 전류가 적고, 기준 전원(7)의 제1 기준 전압 Vef1보다 작다고 하면, R 래치 회로(70), G 래치 회로(71), B 래치 회로(72)에 「L, L, L」이 래치된다. 이 데이터 「L, L, L」은, 마이크로 컴퓨터(75)에 버스 인터페이스 회로(74)를 통해 인가된다. 마이크로 컴퓨터(75)는 RGB의 3색 모두 구동 트랜지스터(2)의 컬렉터·에미터 선로에 흐르는 전류가 적다고 판정하고, 전류량을 증가시킨 디지탈 신호를 버스 인터페이스 회로(76)를 통해 D/A 컨버터(77)에 인가한다. D/A 컨버터(77)는, 라인(17), 라인(18), 라인(19)을 사용하여 시계열로 직류 조정 회로(15, 16, 17)의 직류 레벨을 조정한다.
그리고, 이번은 DC 조정 후의 전류가 구동 트랜지스터(2)에 흐르고, 이 값에 따라 상술된 동작이 행해진다. 그래서, 비교기(8)의 출력이 RGB 모두 「H, H, H」가 되면, 이 데이터가 마이크로 컴퓨터(75)에 인가되면, 마이크로 컴퓨터(75)에서 조정을 완료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RGB의 각 원색 신호의 컷 오프 조정이 행해진다.
또한, G 원색 신호를 조정할 때에는, 직류 조정 회로(16), 교류 조정 회로(19), 구동 트랜지스터(3)만을 동작시키고, 다른 R 원색 신호, B 원색 신호의 신호로에는 귀선 소거 신호를 가하여, 비동작 상태로 한다. 단자(20, 22)에는 귀선 소거 신호가 가해진다.
이 때에도 스위치(6), 기준 전원(7)의 상태는 상술된 바와 동일하다. 이 때문에, 비교기(8)는, 올바른 판별을 행할 수 있고, 「H」레벨 또는 「L」레벨의 판별 출력 신호를 발생시킨다.
마찬가지로 B 원색 신호의 컷 오프 조정도 행해진다.
이어서, 드라이브 조정을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스위치(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b 측에 연결된 상태이다. 드라이브 조정시에는, 테스트 신호원(13)으로부터 드라이브 조정시에는 테스트용 백 신호를 발생시킨다.
백 신호는, 직류 조정 회로(15, 16, 17)에 인가된다. 드라이브 조정도, RGB의 3색을 시계열로 조정한다. 즉, 최초로 R 원색 신호를 조정한다고 하면, 직류 조정 회로(15), 교류 조정 회로(18), 구동 트랜지스터(2)만을 동작시키고, 다른 G 원색 신호, B 원색 신호의 신호로에는 귀선 소거 신호를 가하여, 비동작 상태로 한다. 이 경우에는 단자(21, 22)에 귀선 소거 신호가 가해지고, 구동 트랜지스터(3, 4)는 오프한다.
구동 트랜지스터(2)의 컬렉터·에미터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제1 저항(1)에 흘러 전압 변환된다. 드라이브 조정시의 전류는 크기 때문에, 전압 변환하는 데에는 작은 임피던스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스위치(6)는 닫혀지고, 과대 전류에서 판별에 지장이 없는 소정 레벨로 전압 변환된다. 한편, 기준 전원(7)은 증가하는 전압을 판별하는데 적합한 레벨인 제2 기준 전압 Vref2로 전환한다.
이 때문에, 비교기(8)는, 올바른 판별을 행할 수 있고, 「H」 레벨 또는「L」레벨의 판별 출력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경우에도 컷 오프 조정시와 마찬가지로 래치 회로에 래치되고, 버스 인터페이스 회로(74)를 통해 마이크로 컴퓨터(75)에 인가된다. 마이크로 컴퓨터(75)는 판정을 행하고, 교류 조정 회로(18, 19, 20)의 이득(교류 레벨)을 조정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드라이브 전류가 극단적으로 다른 컷 오프 조정과 드라이브 조정을, 제1 저항(1), 제2 저항(5), 스위치(6), 기준 전원(7), 비교기(8)및 마이크로 컴퓨터(75)를 사용하여 하나의 입력 회로 및 판별 회로로 처리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테스트 신호원(13)과 그 주변 회로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기준 전원(100)은 테스트용 백 신호의 발생원을 나타내고, 기준 전원(101)은 테스트용 흑 신호의 발생원을 나타낸다. 스위치(102)는, 컷 오프 조정시에는 b 측으로 전환하고, 드라이브 조정시에는 a 측으로 전환한다. 클램프 회로(103)는 영상 신호의 페디스탈 레벨(pedestal level)을 일정 레벨로 하는 클램프를 행한다. 그 클램프 레벨은 기준 전원(104)의 전압값에 따라 정해진다.
상기 클램프 레벨이 변화하면, 테스트용 흑 신호, 백 신호를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그래서, 기준 전원(104)은 기준 전원(100, 101)과 상관 관계를 갖게 한다. 기준 전원(104)의 값이 변화하면, 기준 전원(100, 101)의 값도 연동하여 변화시킨다. 이에 의해서, 항상 정확한 테스트용 흑 신호, 백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장치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 및 D/A 컨버터는 영상 신호 처리 IC의 외장 회로로서 배치했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기판 상에 집적시켜도 된다. 이에 따라, 핀수를 한층 더 저감하고자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핀수를 더욱 저감시킬 수 있고, 장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신호원은 내장 회로가 아니라 외장 회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 전류가 극단적으로 다른 컷 오프 조정과 드라이브 조정을, 제1 저항(1), 제2 저항(5), 스위치(6), 기준 전원(7) 및 비교기(8)를 사용하여 하나의 입력 회로 및 판별 회로로 처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입력 회로 및 판별 회로의 소자수를 삭감할 수 있는 동시에 IC의 핀수를 삭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브라운관을 사용한 텔레비젼 수상기나 컴퓨터 디스플레이의 생산을 합리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저항을 IC의 외부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기준 전원의 값을 조정할 필요가 없어지고, 제1 기준 전압 Vef1과 제2 기준 전압 Vef2를 고정의 기준 전원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기준 전원을 영상 신호 처리 IC에 내장할 수 있고, 정밀도를 확보하여 IC의 외장 부품의 삭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래 텔레비젼 수상기나 컴퓨터 디스플레이의 셋트 기판에 탑재되어 있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하여, 화이트 밸런스 조정의 자동 조정 루프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라인에서 측정 및 조정용 컴퓨터가 필요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테스트 신호원(13)을 영상 신호 처리 IC에 내장하고 있으므로, 제조 라인에서의 테스트 신호원이 불필요해지고, 조정 작업이 간단해진다.

Claims (10)

  1. RGB의 각 원색 신호의 컷 오프 조정 및 드라이브 조정을 행하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에 있어서,
    RGB의 각 원색 신호의 직류 레벨 및 교류 레벨을 조정하는 3개의 직류 조정 회로 및 교류 조정 회로,
    상기 RGB의 각 원색 신호를 증폭하여 화상 표시부를 구동하는 3개의 구동 트랜지스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 접속되고, 저항값이 2개의 값을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가변 임피던스 수단,
    컷오프 조정시에 상기 가변 임피던스 수단의 저항값을 작은 값으로 전환하고, 드라이브 조정시에 그 저항값을 큰 값으로 전환하는 전환 수단,
    컷 오프 조정시에 제1 기준 전압을 발생하는 동시에, 드라이브 조정시에 제2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는 기준 전원,
    상기 가변 임피던스 수단에 의해 변환된 전압과 상기 기준 전원의 기준 전압과의 레벨 비교를 행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화이트 밸런스 조정용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직류 조정 회로 및 교류 조정 회로에 의해 RGB의 각 원색 신호의 직류 레벨 및 교류 레벨을 조정하는 제어 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드라이브 조정용 신호와 컷 오프 조정용 신호를 발생하는 테스트 신호원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원의 값은 영상 신호의 레벨을 일정하게 맞추기 위한 클램프 회로의 기준 전원의 값에 연동하여 변화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수단은, 제1 저항 소자와 상기 제1 저항 소자보다도 작은 저항값을 갖는 제2 저항 소자가 병렬 접속되고,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제2 저항 소자를 온/오프하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항 소자는 외부에 배치된 개별(discrete)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조정 회로 및 교류 조정 회로, 상기 비교기 수단, 상기 제어 회로, 및 상기 테스트 신호원은 동일 기판 상에 집적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신호원은, 외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외장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RGB 신호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직류 조정 회로 및 교류 조정 회로, 및 각 구동 수단의 구동 트랜지스터는 시계열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RGB의 각 원색 신호의 컷 오프 조정 및 드라이브 조정을 시계열적으로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비교기로부터의 RGB용 3개의 판별 출력을 래치하는 래치 회로, 상기 래치 회로의 래치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상기래치 회로의 출력에 기초하여 화이트 밸런스 조정용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
KR1019990024144A 1998-06-26 1999-06-25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 KR100323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80630A JP2000023186A (ja) 1998-06-26 1998-06-26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
JP1998-180630 1998-06-26
JP1998-182383 1998-06-29
JP10182383A JP2000023187A (ja) 1998-06-29 1998-06-29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445A KR20000006445A (ko) 2000-01-25
KR100323012B1 true KR100323012B1 (ko) 2002-02-09

Family

ID=26500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4144A KR100323012B1 (ko) 1998-06-26 1999-06-25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710821B1 (ko)
KR (1) KR1003230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172B1 (ko) * 2001-11-09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이트 밸런스 조정 방법
KR100429223B1 (ko) * 2001-11-09 2004-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이트 밸런스 조정 방법
KR100852666B1 (ko) * 2002-01-21 2008-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에 대한 휘도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US7126644B2 (en) * 2003-07-07 2006-10-24 Destiny Technology Corporation Rapid white balance method for color digital imag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3092A (ja) * 1989-10-27 1991-06-18 Nec Home Electron Ltd Crt受像機
JPH05268620A (ja) * 1992-03-19 1993-10-15 Hitachi Ltd 自動白バランス調整回路
JPH06105330A (ja) * 1992-09-18 1994-04-15 Fujitsu General Ltd 白バランス調整回路
JPH09271037A (ja) * 1996-03-29 1997-10-14 Toshiba Microelectron Corp カラー受像機及びカラー受像機の白バランス自己調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4375A (en) * 1976-08-19 1977-08-23 Rca Corporation Brightness control apparatus
JPS59219091A (ja) * 1983-05-27 1984-12-10 Hitachi Ltd 輝度調整回路
JP2897214B2 (ja) * 1988-04-15 1999-05-31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受像機の自動レベル補正装置
KR930006900B1 (ko) * 1989-12-31 1993-07-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동화이트밸런스 및 자동블랙밸런스 공용회로 및 방법
JP3237207B2 (ja) * 1992-07-06 2001-12-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ラー映像表示装置と映像信号処理回路
KR970000851B1 (ko) * 1992-09-01 1997-01-20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영상신호처리장치
KR100230424B1 (ko) * 1997-04-30 1999-11-15 윤종용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한 컷-오프 제어회로
EP0920782B1 (en) * 1997-05-22 2002-02-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White balance contro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3092A (ja) * 1989-10-27 1991-06-18 Nec Home Electron Ltd Crt受像機
JPH05268620A (ja) * 1992-03-19 1993-10-15 Hitachi Ltd 自動白バランス調整回路
JPH06105330A (ja) * 1992-09-18 1994-04-15 Fujitsu General Ltd 白バランス調整回路
JPH09271037A (ja) * 1996-03-29 1997-10-14 Toshiba Microelectron Corp カラー受像機及びカラー受像機の白バランス自己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10821B1 (en) 2004-03-23
KR20000006445A (ko) 200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71403B1 (en) Hdr television set and local dimming method
US5579029A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utomatic adjusting apparatus
US6285344B1 (en) Automatic adjustment of color balance and other display parameters in digital displays
JPH06303648A (ja) カラー・ガマット・エラー測定装置
US5440339A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intensity response of a medical monochrome video monitor
US6191760B1 (en) Video input level control circuit in a video appliance
KR100323012B1 (ko)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
EP0841809A2 (en) Automatic black level stabilizing apparatus
KR100514749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자동 캘리브레이션 장치 및 방법
JP2000023187A (ja)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
TW201602994A (zh) 源極驅動器、顯示驅動電路及顯示裝置
JP2000023186A (ja)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
US20030001976A1 (en) Pedestal level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pedestal level
KR100230424B1 (ko)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한 컷-오프 제어회로
JPH05236500A (ja) 映像表示装置
KR940004434B1 (ko) 화이트 밸런스 자동 조절방법
JP3413740B2 (ja) 自動白バランス補正機能付きマルチ周波数対応ディスプレイ
KR101240909B1 (ko) 자동 휘도 조정 시스템
JPH11341513A (ja)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
US20100020000A1 (en) Image output device, projector, and control method of image output device
KR100451804B1 (ko) 모니터 색상 조정 회로
KR200156516Y1 (ko) 모니터에 있어서 온스크린디스플레이의 콘트라스트 조정회로
JPH08228318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6888575B1 (en) Digital cut-off control loop for TV using speeding and blanking circuits
JP2856462B2 (ja) パターン表示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