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900B1 - 자동화이트밸런스 및 자동블랙밸런스 공용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화이트밸런스 및 자동블랙밸런스 공용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900B1
KR930006900B1 KR1019890020745A KR890020745A KR930006900B1 KR 930006900 B1 KR930006900 B1 KR 930006900B1 KR 1019890020745 A KR1019890020745 A KR 1019890020745A KR 890020745 A KR890020745 A KR 890020745A KR 930006900 B1 KR930006900 B1 KR 930006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ntrol
microcomputer
comparator
logic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20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947A (ko
Inventor
전병관
엄영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20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900B1/ko
Priority to US07/636,249 priority patent/US5164820A/en
Priority to DE69028383T priority patent/DE69028383T2/de
Priority to EP90403812A priority patent/EP0436442B1/en
Publication of KR910013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23/88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lour balance, e.g. white-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화이트밸런스 및 자동블랙밸런스 공용회로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콤 20 : 색신호치리부
30,40 : 제1,2비교수단 31,32 : 제1,2샘플링기
41,42 : 제1,2적분기 50 : 중계수단
51∼54 : 제1∼4제어용스위치 55,56 : 제1,2완충기
60 : 출력수단 61 : D-A 변환기
62 : 멀티플렉서 70 : 키보드
80 : 수직동기신호발생기 A1, A2 : 제1,2비교기
Q1∼Q6 : 트랜지스터 C1∼C4 : 콘덴서
R1∼R6 : 저항
본 발명은 비디오카메라(Video Camera)에 있어서 피사체를 촬영할시 피사체를 비춰주는 조명조건에 따라 화질이 열화되고 주위온도에 따라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색신호들의 레벨균형을 자동을 조절하는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카메라는 피사체의 광학상을 전기적인 신호형태의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전기적인 신호형태의 영상신호는 삼원색인 녹색(Green; 이하 G라함)신호, 적색(Red; 이하 R이라함)신호 및 청색(Blue ; 이하 B라함) 신호들을 포함하며, 상기 삼원색 신호들은 프리즘에 의해 분리되어 촬상소자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신호들이다. 삼원색신호들은 피사체의 조명조건에 따라 백색을 화면에 나타내기 위한 레벨(이하 "백레벨"이라함) 균형이 틀어지며, 이로 인하여 색이 제대로 재현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 피사체의 조명조건에 따라 틀어진 삼원색들의 백레벨 균형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것을 자동화이트 밸런스(Auto White Balence ; 이하 "AWB"라함) 조정이라 한다.
그리고, 삼원색신호들에는 암전류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암전류는 회로특성에 의해 변동한다. 상기 암전류의 변화는 화면에 촬상하지 않는 상태의 레벨을 나타내기 위한 삼원색신호들의 규정레벨(이하 "페디스탈레벨(Pedestal Level)"이라 함)을 변화시키며 삼원색신호들의 페디스탈레벨 균형을 깨뜨린다. 주위온도에 의해 깨어진 삼원색들의 폐디스탈레벨균형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자동블랙밸런스(Auto Black Balence ; 이하 ABB라함) 조정이라 한다.
근본적으로, AWB와 ABB조정은 비교동작에 의해 삼원색들의 레벨균형을 조절하는 방법은 같지만, ABB 조정은 광신호가 있는 상태에서 G신호의 평균값과 R,B 신호의 평균값이 같도록 조절하고 AWB 조정은 광신호가 있는 상태에서 G신호가 평균값과 R,B 신호의 평균값이 같도록 조절하기 때문에 AWB 회로 및 ABB 회로는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AWB 회로 및 ABB회로는 보통 G신호에 R신호와 B신호를 각각 비교하기 위해 두개의 비교기를 포함하거나, 또는 G신호에 B신호와 R신호를 순차적으로 비교하기 위한 하나의 비교기와 삼원색신호들의 레벨이 어느 정도인가를 나타내주기 위하여 G신호를 아날로그-디지탈(Analog-Digital ; 이하 A-D라함) 변환하는 A-D 변환기를 필요로 포함했다.
또한, 최근에는 ABB 조정의 경우 단순히 색신호들이 페디스탈레벨균형을 조절하는 단계에서 블랙셋(Black Set) 까지 수행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AWB 회로와 ABB 회로의 공용화는 더욱 어렵게 되었다. 참고로 블랙셋에 대하여 설명하면, 정상(Normal)상태에서의 색신호들의 페디스탈레벨고 18dB정도의 이득 상향시의 색신호들의 페디스탈레벨을 동일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상호 밀접한 관계에 있어서 정상시에나 18dB 이득 상향시에 페디스탈레벨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점으로 남아있다. 그러므로 최근의 ABB 회로는 블랫셋을 조절한 다음 색신호들의 페디스탈레벨균형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블랙셋 조절용 비교검출수단과 색신호들의 페디스탈레벨균형조절용 비교검출수단은 별개로 구성하였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ABB 회로아 AWB 회로는 공용화할 수 없었으며 또한 각각의 회로구성이 복잡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디오카메라에 있어서 화면에 나타나는 백색 및 흑색에 대한 색신호들의 레벨균형을 병행하여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자동화이트 밸런스 및 자동블랙밸런스 공용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회로는 영상신호를 제어처리하기 위한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의 제어하에 색신호들을 가변증폭하고 이를 처리하기 위한 색신호처리부와, AWB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색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색신호들을 비교하는 제1비교수단과, ABB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색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색신호들을 비교하는 제2비교수단고, 상기 제어기의 제어하에 상기 색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색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제1,2비교수단에 공급하고 제1,2비교수단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기쪽으로 전송하는 중계수단고, 상기 제어기에서 처리된 제어용 데이터를 상기 색신호처리부로 출력하는 출력수단고, 사용자가 지정한 명령을 상기 제어기로 전달하는 키입력수단과, 상기 제어기에 수직동기신호를 공급하는 수직동기신호발생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회로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의 방법은 사용자가 AWB 조정을 요구하거나 ABB 조정을 요구하는지 검사하는 키검사과정과, 상기 키검사과정에서 AWB 조정이 요구되었을 경우 격수직동기주기마다 색신호들간의 레벨차를 검출하여 색신호들의 백레벨균형을 조절하는 AWB 조정과정과, 상기 키검사과정에서 ABB조절이 요구되었을 경우 격수직동기 주기마다 색신호별 정상시와 이득상향시 페디스탈레벨의 차를 읽어 색신호별 블랙세트값을 조절하고 격수직동기기간 마다 색신호들의 페디스탈레벨차를 읽어들여 색신호들이 페디스탈레벨균형을 조절하는 ABB 조절과정과, 상기 AWB 조정과정 및 상기 ABB조정과정수행중 격수직동기주기마다 처리되는 제어용데이터를 매 수직동기주기마다 출력하는 정보출력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자동화이트밸런스 및 자동블랙밸런스 회로도이다. 제1도에서 제1∼3입력단자들(90∼92)은 R,G,B색신호를 공급받기 위하여 촬상관에 접속되며, 또한 제1∼3입력단자들(90∼92)은 색신호처리부(20)의 제1∼3입력단자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색신호 처리부(20)의 제1,2입력단자는 제1제어용스위치(51)의 양선택접점들(P1,P2)에 각각 대응접속되어 있다. 색신호 처리부(20)의 제3출력단자는 트랜지스터(Q6) 및 저항(R6)으로 구성된 제2완충수단(56)의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제1제어용스위치(51)의 기준접점(P0)은 트랜지스터(Q5) 및 저항(R5)로 이루어진 제1완충수단(55)의 입력단자와 결합되어 있다. 제1완충수단(55)의 출력단자는 두개의 트랜지스터(Q1,Q2), 저항(R1) 및 콘덴서(C1)로 구성된 제1샘플링수단(31)의 입력단자 및 제2제어용스위치(52)의 한쪽 선택접점(P1)과 결합되어 있다. 제2완충수단(56)의 출력단자는 두개의 트랜지스터(Q3,Q4), 저항(R2) 및 콘덴서(C2)로 구성된 제2샘플링수단(32)의 입력단자 및 제22제어용스위치(52)의 제2선택접점(P2)과 결합되어 있다.
제1샘플링수단(31)의 출력단자는 제1비교기(A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결합되어 있다. 제2샘플링수단(32)의 출력단자는 제1비교기(A1)의 반전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제2제어용스위치(52)의 기준접점(P0)은 제3제어용스위치(53)의 기준접점(P0)에 접속되어 있다. 제3제어용스위치(53)의 양선택접점들(P1,P2)은 각각 저항(R3) 및 콘덴서(C3)로 구성된 제1적분기(41)의 입력단자와 저항(R4) 및 콘덴서(C4)로 구성된 제2적분기(42)의 입력단자에 대응접속되어 있다. 제1,2적분기(41,42)의 출력단자들은 각각 제2비교기(A2)의 비반전입력단자 및 반전입력단자와 대응결합되어 있다. 제1,제2비교기(A1,A2)의 출력단자는 각각 제4제어용스위치(54)의 제1,2선택접점(P1,P2)와 대응결합되어 있다. 제4제어용스위치(54)의 기준접점(P0)은 제어기로 사용된 마이크모콤퓨터(Micro Computer ; 이하 "마이콤" 이라함)(10)의 입력단자(I1)에 결합되어 있다. 제1∼제4제어용스위치를(51∼54)의 제어단자들(P4)은 각각 마이콤(10)의 제1∼4제어단자들(CP1∼CP4)과 대응접속되어 있다. 제1,2샘플링기(31,32)의 제어단자들은 마이콤(10)의 제5제어단자(CP5)에 공통접속되어 있다. 색신호처리부(20)에 포함된 색증폭기(21)의 제어단자는 마이콤(10)의 제6제어단자(CP6)에 접속되어 있다. 키입력수단으로 사용된 키보드(70)의 출력단자는 마이콤(10)의 제3입력단자(I3)와 결합되어 있다. 수직동기신호발생기(80)의 출력단자는 마이콤(10)의 제2입력단자(I2)에 결합되어 있다. D-A 변환기(61)의 입력포트는 마이콤(10)의 출력포트(OP)와 결합되어 있다. 멀티플렉서(62)의 입력단자는 D-A 변환기(61)의 출력단자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멀티플렉서(62)의 제1∼3선택단자들은 마이콤(10)의 제7∼9제어단자(CP7∼CP9)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멀티플렉서(62)의 출력포트는 색신호처리부(20)의 제어포트에 접속된다.
제1도의 작동에 있어서, 색신호처리부(20)는 멀티플렉서(62)로부터 제어포트로 인가되는 제어데이터들에 의해 제1∼3입력단자들(90∼92)을 통해 유입되는 R, G 및 B신호를 처리하여 제1∼3출력단자를 통해 송출한다. 색신호처리부(20)에는 마이콤(10)의 제6제어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이득제어신호(GCS)의 논리상태에 따라 색신호들을 정상증폭율로 증폭하거나 또는 정상증폭이득보다 18dB정도 큰 증폭율로 색신호들을 증폭한다.
제1∼4제어용스위치들(51∼54)과 제1, 제2완충키(55,56)로 이루어진 중계수단(50)은 G신호와 함께 R신호나 B신호를 선택적으로 제1비교수단(30)에 공급하여, 그리고 제2비교수단(40)에는 R, G 및 B신호중 하나를 선택하여 공급하고, 또한 제1비교수단(30)이나 제2비교수단(40)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마이콤(10)의 제1입력단자(I1)로 전송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제어용스위치(51)는 마이콤(10)의 제1제어단자(CP1)로부터 제어단자(P3)로 인가되는 제1제어신호(W)의 논리상태에 의해 제1선택접점(P1)상의 R신호나 제2선택접점(P2)상의 B신호를 선택하여 기준접점(P0)을 통해 제1완충기(55)의 입력단자에 공급한다. 제1완충기(55)는 제1제어용스위치(51)에 의해 선택된 R신호나 B신호를 버퍼링하여 제1샘플링기(31)의 입력단자 및 제2제어용스위치(52)의 제1선택접점(P1)에 공급한다. 제2완충기(56)는 색신호처리부(20)의 제3출력단자로부터 유입되는 G신호를 버퍼링하여 제2샘플링키(32)의 입력단자 및 제2제어용요스위치(52)의 제2선택접점(P2)에 공급한다. 제2제어용스위치(52)는 마이콤(10)의 제2제어단자(CP2)로 부터 제어단자(P3)로 인가되는 제2제어신호(X)에 의해 제1선택접점(P1)상에 인가되는 버퍼링된 R 또는 B신호나 제2선택접점(P2)상에 인가되는 버퍼링된 G신호를 선택하여 기준접점(P0)을 통해 제3제어용스위치(53)의 기준접점(P0)에 공급한다. 제3제어용스위치(53)는 마이콤(10)의 제3제어단자(CP3)로 부터 제어단자로 인가되는 제어신호(Y)의 논리상태에 의해 제2제어용스위치(52)에 의해 선택된 R신호나 B신호 또는 G신호를 제1선택 접점(P1)을 통해 제1적분기(41)의 입력단자에 공급하거나 제2선택접점(P2)을 통해 제2적분기(42)의 입력단자에 공급한다. 제4제어용스위치(54)는 마이콤(10)의 제4제어단자(CP4)로 부터 제어단자(P3)로 인가되는 제4제어신호(Z)의 논리상태에 의해 제1선택접점(P2)상에 유입되는 제1비교기(A1)의 출력이나 제2선택접점(P2)상에 유입되는 제2비교기(A2)의 출력을 선택하여 기준접점(P0)을 통해 마이콤(10)의 제1입력단자(I1)에 공급한다.
두개의 샘플링기(31,32)와 제1비교기(A1)로 구성된 비교수단(30)은 중계수단(50)을 통해 공급되는 G신호와 R신호 또는 G신호와 B신호를 비교한다. 이의 작동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샘플링기(31)는 마이콤(10)의 제5제어단자로부터 리세트단자(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로 인가되는 하이논리상태의 리세트펄스(RSP)에 의해 초기화된 후 제1완충기(55)로 부터 입력단자(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로 유입되는 버퍼링된 R 또는 B신호를 축적하여 출력단자(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를 통해 제1비교기(A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공급한다. 제2샘플링기(32)는 마이콤(10)의 제5제어단자로부터 리세트단자(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로 인가되는 하이논리상태의 리세트펄스(RSP)의 의해 초기화된 후 제2완충기(56)로 부터 입력단자(트랜지스터(Q3)에 베이스)의 유입되는 버퍼링된 G신호를 축적하여 출력단자(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를 통해 제1비교기(A1)의 반전입력단자에 공급한다. 제1비교기(A1)는 비반전입력단자상에 유기되는 축적된 R 또는 B신호를 반전입력단자상에 유기되는 축적된 G신호를 비교하여 그 결과 제4제어용스위치(54)의 제1선택접점(P1)에 공급한다.
제2비교수단(40)은 중계수단(50)을 통해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다른 두개의 색신호를 비교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1적분기(41)는 제3제어용스위치(53)의 제1선택접점(P1)을 통해 유입되는 색신호를 축적하여 제2비교기(A2)의 반전입력단자에 공급한다. 제2적분기(42)는 제3제어용스위치(53)의 제2선택접점(P2)을 통해 유입되는 색신호를 축적하여 제2비교기(A2)의 비반전입력단자에 공급한다. 제2비교기(A2)는 반전입력단자상에 유기되는 제1적분기(41)의 출력과 비반전입력단자상에 유기되는 제1적분기(41)의 출력과 비반전입력단자상에 유기되는 제2적분기(42)의 출력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제4제어용스위치(54)의 제2선택접점(P2)에 공급한다.
마이콤(10)은 키보드(70)로 부터 유입되는 키데이터를 검사하여 AWB나 ABB 조정요구명령인 경우 제어신호들의 논리상태를 조절하면서 수직동기신호발생부(80)로 부터 인가되는 수직동기신호의 주기에 맞추어 제1비교수단(30)이나 제2비교수단(40)의 출력논리를 검사하여 색신호들의 백레벨균형을 조절하거나 블랙셋값 및 페디스탈레벨균형을 조절하고, 조절된 제어데이터를 출력포트를 통해 D-A 변환기(61) 및 멀티플렉스(62)로 구성된 출력수단(60)을 통해 색신호처리부(20)에 공급한다.
출력수단(60)은 마이콤(10)의 출력포트로 부터 유입되는 제어데이터들을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색신호처리부(20)의 해당제어단자에 공급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D-A 변환기(61)는 마이콤(10)의 출력포트로 부터 입력포트로 유입되는 8비트의 제어데이터를 아날로그 전압신호로 변환하여 멀티플렉서(62)의 입력단자에 공급한다. 멀티플렉서(62)는 입력단자로 유입되는 아날로그전압신호를 마이콤(10)의 제7∼9제어단자들(CP7∼CP9)로 부터 제1∼3선택단자로 인가되는 선택데이터의 논리값에 해당하는 출력단자를 통해 색신호처리부(20)의 해당제어단자로 인가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제1도중 마이콤(10)에 의해 수행된다. 제2도에서 제101단계∼제103단계는 키검사과정에 해당하고, 제104단계∼제117단계는 AWB 조정과정에 해당하며, 제118단계∼제178단계는 ABB 조절과정에 해당하고, 제179단계∼184단계는 정보출력과정에 해당한다.
제2도에 도시된 흐름도를 제1도에 도시된 회로도와 결부시켜 설명한다. 마이콤(10)은 일정주기마다 제3입력 단자를 통해 키보드(70)로 부터 유입되어 자체내의 작업용 버퍼에 저장된 키데이터가 검사한다(제101단계).
제101단계에서 유입된 키데이터가 있을 경우 마이콤(10)은 상기 유입된 키데이터의 논리값을 검사하여 ABB 조정요구키인가 판단한다(제102단계).
제102단계에서 ABB 조정요구키가 아닌 경우 마이콤(10)은 상기 유입된 키데이터의 논리값을 검사하여 AWB 조정요구키인가 판단하고, AWB 조정요구키가 아닌 경우 메인루틴으로 되돌아간다(제103단계).
제103단계에서 유입된 키데이터가 AWB 조정요구키로 판단된 경우 마이콤(10)은 자체내에 내장된 레지스터중에 할당한 AWB 모드플래그를 세트하여 AWB 조정모드를 설정하고, R신호의 백레벨조절모드플래그(이하 "RW 조정모드플래그"라함)를 세트하여 R신호조정모드를 설정하며, 하이논리상태의 제1제어신호(W) 및 하이논리상태의 제4제어신호(Z)를 제1,4제어단자(CP1,CP4)를 통해 송출하여 제1제어용스위치(51)가 R신호를 선택하게 하고 제4제어용 스위치(54)도 제1비교기(A1)의 출력을 선택하게 한다(제104단계). 이때 제1비교기(A1)에는 G신호와 R신호가 공급된다.
제104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제4제어용스위치(54) 및 제1입력단자(I1)를 통해 제1비교기(A1)로 부터 유입되어 자체내의 작업용버퍼에 저장된 제1비교기(A1)의 출력 논리상태가 하이논리상태인가 검사한다(제105단계).
제105단계에서 제1비교기(A1)의 출력논리상태가 하이논리상태일 경우 마이콤(10)은 RW 조절모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가 검사하여 RW 조절모드인가 판단한다(제106단계).
제106단계에서 RW 조절모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을 경우 마이콤(10)은 자체내의 내장된 램(RAM)상에 저장된 R신호의 백레벨을 일정값 증가시킨다(제107단계).
제106단계에서 RW조절모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 마이콤(10)은 자체내의 내장된 램상에 저장된 B신호의 백레벨을 일정값만큼 증가시킨다(제108단계).
제105단계에서 제1비교기(A1)의 출력논리상태가 하이논리상태가 아닌 경우 마이콤(10)은 RW 조절모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가 검사하여 RW 조절모드인가 판단한다(제109단계).
제109단계에서 RW 조절모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 마이콤(10)은 자체내의 램상에 저장된 R신호의 백레벨을 일정값 만콤 감소시킨다(제110단계).
제109단계에서 RW 조절모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 마이콤(10)은 자체내의 램상에 저장된 B신호의 백레벨을 일정값 만큼 감소시킨다(제111단계).
상기 제108단계나 제107단계 또는 제110단계나 제111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자체내의 램상에 저장된 이전의 제1비교기(A1)의 출력논리상태와 작업용버퍼상에 유입된 현재의 제1비교기(A1)의 출력논리상태가 동일한가 검사한다(제112단계).
제112단계에서 제1비교기(A1)의 이전의 출력논리와 현재의 출력논리가 다른 경우 마이콤(10)은 자체내의 레지스터중에 할당한 비교값 변동횟수 카운터의 값을 1가산한다(제113단계).
제113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상기 비교값 변동횟수 카운터의 값이 예정된 값인 5인가 검사한다(제114단계).
제114단계에서 상기 비교값변동횟수카운터의 값이 5인 경우 마이콤(10)은 RW 조절모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가 검사한다(제115단계).
제115단계에서 RW 조절모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 마이콤(10)은 RW 조절모드플래그를 리세트하고, 하이논리상태의 제1제어신호(W)를 반전시켜 제1제어단자(CP1)를 통해 송출하며, 또한 비교값 변동횟수카운터를 초기화시킨 다음 제105단계로 되돌아간다(제116단계).
제115단계에서 RW 조절모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 마이콤(10)은 RWB 조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AWB 모드플래그를 초기화하고, 비교값 변동횟수 카운터를 초기화한 다음 메인루틴으로 되돌아간다(제117단계).
제102단계에서 유입된 키데이터가 ABB 조정요구키로 판단된 경우 마이콤(10)은 자체내의 레지스터중에 할당한 ABB 모드플래그를 세트하여 ABB 조정모드를 설정하고 자체내의 레지스터중에 할당한 G신호블랙셋조절모드플래그(이하·"GBS 조절모드플래그"라함)를 세트하여 G신호블랙셋 조절모드를 설정하며 또한 로우논리상태의 제4제어신호(Z)를 제4제어단자(CP4)를 통해 송출하여 제4제어용스위치(54)로 하여금 제2비교기(A2)의 출력을 선택하게 한다(제118단계).
제118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GBS 조절모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가 검사한다(제119단계).
제119단계에서 GBS 조절모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 마이콤(10)은 수직동기신호발생기(80)로 부터 수직 주사기간을 나타내는 수직주사펄스가 유입될때 까지 대기한다(제120단계).
제120단계에서 수직주사펄스가 유입될 때 마이콤(10)은 하이논리상태의 이득제어신호(GCS)를 제6제어단자(CP6)를 송출하여 색신호처리부(20)에서 출력되는 색신호들을 정상시보다 18dB만큼 증폭되도록 제어하고, 하이논리상태의 제2,3제어신호(X,Y)를 제2,3제어단자(CP2,CP3)를 통해 송출하여 제2,3제어용스위치(52,53)가 각각 제1선택접점(P1)을 선택하도록 제어한다(제121단계). 이때 제2비교기(A2)의 반전입력단자에는 제2완충기(56), 제2,3제어용스위치(52,53) 및 제1적분기(41)를 통해 정상시보다 18dB만큼 증가 증폭된 G신호가 유입된다.
제212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수직동기신호발생기(80)로 부터 수직주사펄스가 다시 유입될 때까지 대기한다(122단계).
제122단계에서 수직주사펄스가 유입될 때 마이콤(10)은 하이논리상태의 이득조절신호(GCS) 및 제3제어신호(Y)를 로우논리상태로 반전시켜 색신호처리부(20)의 출력인 색신호들이 정상이득을 갖게 하고 그리고 제3제어용스위치(53)가 제2선택단자(P2)를 선택하게 한다(제123단계). 이때 제2비교기(A2)의 비반전입력단자에는 제2완충기(55), 제2,3제어용스위치(52,53) 및 제2적분기(42)를 통해 정상이득을 갖는 G신호가 유입된다.
제123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제4제어용스위치(54)를 통해 제2비교기(A2)로 부터 유입되어 자체내의 작업용버퍼에 저장된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상태가 하이논리상태인가 검사한다(제124단계).
제124단계에서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상태가 하이논리상태인 경우 마이콤(10)은 자체내의 램상에 저장된 G신호의 블랙셋값(이하 "GBS값"이라함)을 일정레벨 증가시킨다(제125단계).
제124단계에서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상태가 하이논리상태인가 아닌 경우 마이콤(10)은 상기 GBS값을 일정 레벨 감소시킨다(제126단계).
제125단계나 제126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자체내의 램상에 저장된 이전의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상태와 작업용버퍼상에 유입된 현재의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상태가 동일한 검사한다(제127단계).
제127단계에서 제2비교기(A2)의 이전의 출력논리상태와 현재의 출력논리상태가 다른 경우 마이콤(10)은 자체내의 비교값변동횟수카운터의 값을 1가산한다(제128단계).
제128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비교값변동횟수 카운터의 값이 예정된 값인 5인가 검사한다(제129단계).
제129단계 비교값변동카운터의 값이 5인 경우 마이콤(10)은 GBS조절모드플래그 대신 R신호블랙셋조절모드플래그(이하 "RBS조절모드플래그"라함)를 세트하여 R신호블랙셋조절모드를 설정하고 비교값변동횟수카운터를 초기화한 다음 제199단계로 되돌아간다(제130단계). 그리고 제127단계에서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 상태가 달라지지 않은 경우와 제129단계에서 비교값변동 횟수카운터의 값이 5가 아닌 경우에 마이콤(10)은 제199단계로 되돌아간다.
제119단계에서 GBS조절모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 마이콤(10)은 RBS 조절모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가 검사한다(제131단계).
제131단계에서 RBS조절모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 마이콤(10)은 수직동기신호발생기(80)로 부터 수직주사기간을 나타내는 수직주사펄스가 유입될때 까지 대기한다(제132단계).
제132단계에서 수직주사펄스가 유입될 때 마이콤(10)은 하이논리상태의 이득제어신호(GCS)를 제6제어단자(CP6)을 송출하여 색신호처리부(20)에서 출력되는 색신호들을 정상시보다 18dB만큼 증폭되도록 제어하고, 하이논리상태의 제1,2,3제어신호(W,X,Y)를 제1,2,3제어단자(CP2,CP3)를 통해 송출하여 제1,2,3제어용스위치(51.52.53)가 각각 제1선택접점(P1)을 선택하도록 제어한다(제133단계). 이때 제2비교기(A2)의 반전입력단자에는 제1제어용스위치(51), 제1완충기(55), 제2,3제어용스위치(52,53) 및 제1적분기(41)를 통해 정상시보다 18dB만큼 증가 증폭된 R신호가 유입된다.
제133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수직동기신호발생기(80)로 부터 수직주사펄스가 다시 유입될 때까지 대기한다(제134단계).
제134단계에서 수직주사펄프가 유입될 때 마이콤(10)은 하이논리상태의 이득조절신호(GCS) 및 제3제어신호(Y)를 로우논리상태로 반전시켜 색신호처리부(20)의 출력인 색신호들이 정상이득을 갖게 하고 그리고 제3제어용스위치(53)가 제2선택단자(P2)를 선택하게 된다(제135단계). 이때 제2비교기(A2)의 비반전입력단자에는 제1제어용스위치(51), 제1완충기(55), 제2,3제어용스위치(52,53) 및 제2적분기(42)를 통해 정상이득을 갖는 R신호가 유입된다.
제135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제4제어용스위치(54)를 통해 제2비교기(A2)로 부터 유입되아 자체내의 작업용버퍼와 저장된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상태가 하이논리상태인가 검사한다(제136단계).
제136단계에서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상태가 하이논리상태인 경우 마이콤(10)은 자체내의 램상에 저장된 R신호의 블랙셋값(이하 "RBS값" 이라함)을 일정레벨 증가시킨다(제137단계).
제124단계에서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상태가 하이논리상태인가 아닌 경우 마이콤(10)은 상기 RBS값을 일정레벨 감소시킨다(제138단계).
제137단계나 제138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자체내의 램상에 저장된 이전의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상태와 작업용버퍼상에 유입된 현재의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상태가 동일한가 검사한다(제139단계).
제139단계에서 제2비교기(A2)의 이전의 출력논리상태와 현재의 출력논리상태가 다른 경우 마이콤(10)은 자체내의 비교값변동횟수카운터의 값을 1가산한다(제140단계).
제140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비교값번동횟수카운터의 값이 예정된 값인 5인가 검사한다(제141단계).
제141단계에서 비교값변동횟수카운터의 값이 5인 경우 마이콤(10)은 RBS조절모드플래그 대신 B신호블랙셋조절모드플래그(이하"BBS조절모드플래그"라함)를 세트하여 B신호블랙셋조절모드를 설정하고 비교값변동횟수카운터를 초기화한 다음 제119단계로 되돌아간다(제142단계).
그리고 제139단계에서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상태가 달라지지 않은 경우와 제141단계에서 비교값변동횟수카운터의 값이 5가 아닌 경우에 마이콤(10)은 제119단계로 되돌아간다.
제131단계에서 RBS조절모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는 경우 마이콤(10)은 BBS조절모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가 검사한다(제143단계).
제143단계에서 BBS조절모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 마이콤(10)은 수직동기신호발생기(80)로 부터 수직주사기간을 나타내는 수직주사펄수가 유입될 때까지 대기한다(제144단계).
제144단계에서 수직주사펄스가 유입될 때 마이콤(10)은 하이논리상태의 이득제어신호(GCS)를 제6제어단자(CP6)를 송출하여 색신호처리부(20)에서 출력되는 색신호들을 정상시보다 18dB만큼 증폭되도록 제어하고, 로우논리상태의 제1제어신호(W) 및 하이논리상태의 제2,3제어신호(X,Y)를 제1,2,3제어단자(CP1,CP2,CP3)를 통해 송출하여 제1제어용스위치(51)가 제2선택접점(P2)를 선택하도록 제어하고 그리고 제2,3제어용스위치(52,53)가 각각 제1선택접점(P1)을 선택하도록 제어한다(제145단계). 이때 제2비교기(A2)의 반전입력단자에는 제1제어용스위치(51), 제1완충기(56), 제2,3제어용스위치(52,53) 및 제1적분기(41)를 통해 정상시보다 18dB만큼 증가 증폭된 B신호가 유입된다.
제145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수직동기신호발생기(80)로 부터 수직주사펄스가 다시 유입될 때까지 대기한다(제146단계).
제146단계에서 수직주사펄스가 유입될 때 마이콤(10)은 하이논리상태의 이득조절신호(GCS) 및 제3제어신호(Y)를 로우논리상태로 반전시켜 색신호처리부(20)의 출력인 색신호들이 정상이득을 갖게 하고 그리고 제3제어용스위치(53)가 제2선택단자(P2)를 선택하게 한다(제147단계). 이때 제2비교기(A2)의 비반전입력단자에는 제1제어용스위치(51), 제1완충기(55), 제2,3제어용스위치(52,53) 및 제2적분기(42)를 통해 정상이득을 갖는 B신호가 유입된다.
제147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제4제어용스위치(54)를 통해 제2비교기(A2)로 부터 유입되어 자체내의 작업용버퍼에 저장된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상태가 하이논리상태인가 검사한다(제148단계).
제148단계에서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상태가 하이논리상태인 경우 마이콤(10)은 자체내의 램상에 저장된 B신호의 블랙셋값(이하 "BBS값"이라함)을 일정레벨 증가시킨다(제149단계).
제149단계에서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상태가 하이논리상태인가 아닌 경우 마이콤(10)은 상기 BBS값을 일정레벨 감소시킨다(제150단계).
제149단계나 제150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자체내의 램상에 저장된 이전의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상태와 작업용버퍼상에 유입된 현재의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상태가 동일한가 검사한다(제151단계).
제151단계에서 제2비교기(A2)의 이전의 출력논리상태와 현재의 출력논리상태가 다른 경우 마이콤(10)은 자체내의 비교값변동횟수카운터의 값을 1가산한다(제152단계).
제152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비교값변동횟수카운터의 값이 예정된 값인 5인가 검사한다(제153단계).
제153단계에서 비교값변동횟수카운터의 값이 5인 경우 마이콤(10)은 BBS조절모드플래그 대신 R신호페디스탈레벨조절모드플래그(이하 "RP조절모드플래그"라함)를 세트하여 R신호페디스탈레벨조절모드를 설정하고 비교값변동횟수카운터를 초기화한 다음 제119단계로 되돌아간다(제154단계). 그리고 제151단계에서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상태가 달라지지 않은 경우와 제153단계에서 비교값변동횟수카운터의 값이 5가 아닌 경우에 마이콤(10)은 제199단계로 되돌아간다.
제143단계에서 BBS조절모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 마이콤(10)은 RP조절모드플레그가 세트되어 있는가 검사한다(제155단계).
제155단계에서 RP조절모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 마이콤(10)은 수직동기신호발생기(80)로부터 수직주사펄스가 유입될 때까지 대기한다(제156단계).
제156단계에서 수직주사펄스가 유입될 때 마이콤(10)은 하이논리상태의 제2,3제어신호를 제2,3,제어단자(CP2,CP3)를 통해 송출하여 제2,3제어용스위치(52,53)가 각각 제1선택접점을 선택하도록 제어한다(제157단계). 이때 제2비교기(A2)의 반전입력단자에는 제2완충기(56), 제2,3제어용스위치(52,53) 및 제1적분기(41)를 통해 G신호가 공급된다.
제157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수직동기신호발생기(80)로 부터 수직주사펄스가 다시 유입될 때까지 대기한다(제158단계).
제158단계에서 수직주사펄스가 재차 유입될 때 마이콤(10)은 하이논리상태의 제1제어신호(W) 및 로우논리상태의 제2,3제어신호(X, Y)를 제1∼3제어단자(CP1∼CP3)를 통해 송출하여 제1제어용스위치(51)가 제1선택접점(P1)을 선택하도록 제어하고 그리고 제2,3제어용스위치(52,53)가 각각 제2선택접점(P2)을 선택하도록 제어한다(제159단계). 이때 제2비교기(A2)의 비반전입력단자에는 제1제어용스위치(51), 제1완충기(55), 제2,3제어용스위치(52,53) 및 제2적분기(42)를 통해 R신호가 공급된다.
제159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제4제어용스위치(54)를 통해 유입되어 자체내의 작업용버퍼에 저장된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상태가 하이논리상태인가 검사한다(제160단계).
제160단계에서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상태가 하이논리상태인 경우 마이콤(10)은 자체내의 램상에 저장된 R신호의 페디스탈레벨값(이하 "RP값"이라함)을 일정레벨 증가시킨다(제161단계).
제160단계에서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상태가 하이논리상태인가 아니 경우 마이콤(10)은 상기 RP값을 일정레벨 감소시킨다(제162단계).
제161단계나 제162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자체내의 램상에 저장된 이전의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상태와 작업용버퍼상에 유입된 현재의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상태가 동일한가 검사한다(제163단계).
제163단계에서 제2비교기(A2)의 이전의 출력논리상태와 현재의 출력논리상태가 다른 경우 마이콤(10)은 자체내의 비교값변동횟수카운터의 값을 1가산한다(제164단계).
제164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비교값변동횟수카운터의 값이 예정된 값인 5인가 검사한다(제165단계).
제165단계에서 비교값변동횟수카운터의 값이 5인 경우 마이콤(10)은 RP조절모드플래그 대시 B신호페디스탈레벨조절모드를(이하 "BP조절모드플래그"라함)를 세트하여 B신호페디스탈레벨조절모드를 설정하고 비교값변동횟수카운터를 초기화 한 다음 제119단계로 되돌아간다(제166단계). 그리고 제163단계에서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상태가 달라지지 않은 경우와 제165단계에서 비교값변동횟수카운터의 값이 5가 아닌 경우에 마이콤(10)은 제119단계로 되돌아간다.
제155단계에서 RP조절모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 마이콤(10)은 BP조절모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가 검사한다(제167단계).
제167단계에서 BP조절모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 마이콤(10)은 수직동기신호발생기(80)로 부터 수직주사펄스가 유입될 때까지 대기한다(제168단계).
제168단계에서 수직주사펄스가 유입될 때 마이콤(10)은 하이논리상태의 제2,3, 제어신호를 제2,3, 제어단자(CP2,CP3)를 통해 송출하여 제2,3제어용스위치(52,53)가 각각 제1선택접점(P1)을 선택하도록 제어한다(제169단계). 이때 제2비교기(A2)의 반전입력단자에는 제2완충기(56), 제2,3제어용스위치(52,53) 및 제1적분기(41)를 통해 G신호가 공급된다.
제169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수직동기신호발생기(80)로 부터 수직주사펄스가 다시 유입될 때까지 대기한다(제170단계).
제170단계에서 수직주사펄스가 재차 유입될 때 마이콤(10)은 로우논리상태의 제1∼3제어신호(X,Y)를 제1∼3제어단자(CP1∼CP3)를 통해 송출하여 그리고 제1∼3제어용스위치(51∼53)가 각각 제2선택접점(P2)을 선택하도록 제어한다(제171단계). 이때 제2비교기(A2)의 비반전입력단자에는 제1제어용스위치(51), 제1완충기(55), 제2,3제어용스위치(52,53) 및 제2적분기(42)를 통해 B신호가 공급된다.
제171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제4제어용스위치(54)를 통해 유입되어 자체내의 작업용버퍼에 저장된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상태가 하이논리상태인가 검사한다(제172단계).
제172단계에서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상태가 하이논리상태인 경우 마이콤(10)은 자체내의 램상에 저장된 B신호의 페디스탈레벨값(이하 "BP값"이라함)을 일정레벨 증가 시킨다(제173단계).
제172단계에서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상태가 하이논리상태인가 아닌 경우 마이콤(10)은 상기 BP값을 일정레벨 감소시킨다(제174단계).
제173단계나 제174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자체내의 램상에 저장된 이전의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상태와 작업용버퍼상에 유입된 현재의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상태가 동일한가 검사한다(제175단계).
제175단계에서 제2비교기(A2)의 이전의 출력논리상태와 현재의 출력논리상태가 다른 경우 마이콤(10)은 자체내의 비교값변동횟수카운터의 값을 1가산한다(제176단계).
제176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비교값변동횟수카운터의 값이 예정된 값이 5인가 검사한다(제177단계).
제177단계에서 비교값변동횟수카운터의 값이 5인 경우나 제167단계에서 BP조절모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 마이콤(10)은 ABB조정모드플래그 및 비교값변동횟수카운터를 초기화하고 메인루틴으로 되돌아간다(제178단계). 그리고 제175단계에서 제2비교기(A2)의 출력논리상태가 같거나 제177단계에서 비교값변동횟수카운터의 값이 5가 아닌 경우 마이콤(10)은 제199단계로 되돌아간다.
마이콤(10)은 수직동기발생기(80)로 부터 수직귀선기간을 나타내는 수직귀선펄스가 인입될 때마다 제179단계∼제184단계로 이루어지는 인터럽트수순을 수행한다.
수직귀선펄스가 유입될 때 마이콤(10)은 AWB조절모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가를 검사하여 AWB조절모드인가 판단한다(제179단계).
제179단계에서 AWB조절모드가 아닌 경우 마이콤(10)은 ABB조절모드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가 검사하여 ABB조절모드인가 판단한다(제180단계).
제179단계에서 AWB조절모드로 판단되거나 제180단계에서 ABB조절모드로 판단된 경우 마이콤(10)은 자체내의 내장된 레지스터중에 할당한 우수/기수 수직동기신호표시용플래그(이하 "E/O 수직동기표시플래그"라함)가 세트되어 있는가를 검사하여 현재수직동기신호가 우수번재수직동기신호인가 판단한다(제181단계).
제181단계에서 현재 유입된 수직동기신호가 우수번째 수직동기신호인 경우 마이콤(10)은 제4제어용스위치(54)를 통해 자체내의 작업용 버퍼에 유입된 제1비교기(A1)의 출력값이나 제2비교기(A2)의 출력값을 자체내에 내장된 램상에 저장한 다음 다시 제1비교기(A1)나 제2비교기(A2)의 출력값을 상기 작업용 버퍼로 유입한다(제182단계).
제181단계에서 현재 유입된 수직동기신호가 우수번째 수직동기신호가 아닌 경우나 또는 제182단계 수행후 상기 E/O 수직동기표시플래그의 값을 반전시킨다(제183단계).
제183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자체내의 램상에 저장된 조절되고 있는 제어데이터(색신호들의 흑레벨값, 블랙셋값, 페디스탈레벨값중 하나)를 출력수단(60)을 통해 색신호처리부(20)로 인가하여 색신호들의 화이트밸런스 및 블랙밸런스를 조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이트밸런스용 비교수단과 블랙밸런스용 비교수단을 설치하고 양비교수단에 유입되는 색신호들을 적절히 중계함으로 화이트밸런스조절 및 블랙밸런스조절을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회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영상신호를 제어처리하기 위한 제어기구와, 상기 제어기의 제어하에 색신호들을 가변증폭하고 이를 처리하기 위한 색신호처리부와, AWB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색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색신호들을 비교하는 제1비교수단괴, ABB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색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색신호들을 비교하는 제2비교수단과, 상기 제어기의 제어하에 상기 색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색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제1,2비교수단에 공급하고 제1,2비교수단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기쪽으로 전송하는 중계수단과, 상기 제어기에 처리된 제어용 데이터를 상기 색신호처리부로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사용자가 지정한 명령을 상기 제어기로 전달하는 키입력수단과, 상기 제어기에 수직동기신호를 공급하는 수직동기신호발생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이트밸런스 및 자동블랙 밸런스 공용회로.
  2. 사용자가 AWB 조정을 요구하거나 ABB 조정을 요구하는지 검사하는 키검사과정과, 상기 키검사과정에서 AWB 조정이 요구되었을 경우 격 수직동기주기마다 색신호들간의 레벨차를 검출하여 색신호들의 백레벨균형을 조절하는 AWB 조정과정과, 상기 키검사과정에서 ABB 조절이 요구되었을 경우 격수직동기주기마다 색신호별 정상시와 이득향상시 페디스탈레벨의 차를 읽어 색신호별블랙세트값을 조절하고 격수직동기기간 마다 색신호들의 페디스탈레벨차를 읽어들여 색신호들의 페디스탈레벨균형을 조절하는 ABB 조절과정과, 상기 AWB 조정과정 및 상기 ABB 조정과정수행중 격수직동기주기마다 처리되는 제어용 데이터를 매 수직동기주기마다 출력하는 정보출력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이트밸럼스 및 자동블랙 밸런스 공용방법.
KR1019890020745A 1989-12-31 1989-12-31 자동화이트밸런스 및 자동블랙밸런스 공용회로 및 방법 KR930006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20745A KR930006900B1 (ko) 1989-12-31 1989-12-31 자동화이트밸런스 및 자동블랙밸런스 공용회로 및 방법
US07/636,249 US5164820A (en) 1989-12-31 1990-12-31 Compatible circuit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white balance and black balance and the method thereof
DE69028383T DE69028383T2 (de) 1989-12-31 1990-12-31 Schaltung zur automatischen Regelung des Weiss- und Schwarzabgleiches und deren Verfahren
EP90403812A EP0436442B1 (en) 1989-12-31 1990-12-31 Circuit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white balance and black balance and th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20745A KR930006900B1 (ko) 1989-12-31 1989-12-31 자동화이트밸런스 및 자동블랙밸런스 공용회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947A KR910013947A (ko) 1991-08-08
KR930006900B1 true KR930006900B1 (ko) 1993-07-24

Family

ID=19294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20745A KR930006900B1 (ko) 1989-12-31 1989-12-31 자동화이트밸런스 및 자동블랙밸런스 공용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164820A (ko)
EP (1) EP0436442B1 (ko)
KR (1) KR930006900B1 (ko)
DE (1) DE6902838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0365A (en) * 1992-04-02 1995-04-25 Sony Corporation Video camera with coarse analog and fine digital black level adjustment
EP0586204B1 (en) * 1992-09-02 1997-11-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DE19534691C1 (de) * 1995-09-19 1997-03-20 Wolf Gmbh Richar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automatischen Weiß- und Schwarzabgleichs bei Videokameras mit CCD-Bildwandlern
US6710821B1 (en) * 1998-06-26 2004-03-23 Sanyo Electric Co., Ltd. White balance adjusting apparatus
KR100951879B1 (ko) * 2006-02-23 2010-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조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5026A (en) * 1971-09-03 1973-05-22 Columbia Broadcasting Syst Inc Automatic color corrector for a color video signal
US3786177A (en) * 1972-06-19 1974-01-15 Rca Corp Apparatus for automatic color balancing of television camera signals
US4340903A (en) * 1980-08-06 1982-07-20 Sony Corporation Television camera
JPS59185493A (ja) * 1983-04-06 1984-10-22 Sony Corp ビデオカメラ
AU599139B2 (en) * 1986-09-27 1990-07-12 Sony Corporation Luminance signal forming circuit
US4805010A (en) * 1987-05-29 1989-02-14 Eastman Kodak Company Still video camera with common circuit for color balance and exposure control
JPS6489884A (en) * 1987-09-30 1989-04-05 Sony Corp White balance correction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36442B1 (en) 1996-09-04
DE69028383D1 (de) 1996-10-10
EP0436442A2 (en) 1991-07-10
KR910013947A (ko) 1991-08-08
EP0436442A3 (en) 1992-09-16
DE69028383T2 (de) 1997-04-10
US5164820A (en) 199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3238A (en) Televison camera
KR950006234B1 (ko) 비디오 카메라의 흑레벨 보정 회로 및 방법
KR930006900B1 (ko) 자동화이트밸런스 및 자동블랙밸런스 공용회로 및 방법
KR20040004065A (ko) 고체촬상장치 및 그 화소결함 검사방법
US6369850B1 (en) Imaging device
US4488178A (en) CCD Defect correction without defect location memory
JP3183287B2 (ja) 撮像装置
KR20010076835A (ko) 디지털 카메라의 자동 화이트 밸런스 장치 및 방법
KR920008257Y1 (ko) 감도향상회로
JPH0574271B2 (ko)
KR100229806B1 (ko) 고품위 텔레비젼에서의 색상신호 판별장치
KR960007562Y1 (ko) 자동이득제어회로
JPS62186214A (ja) 自動焦点調節装置
JPH01102330A (ja) 赤外線温度測定装置
KR100230379B1 (ko) 모니터 시스템의 전치증폭장치
JPH07123436A (ja) 自動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回路
KR100268758B1 (ko) 감도특성을 개선한 폐쇄회로용 카메라
KR19990054121A (ko) 카메라의 자동 조정검사장치 및 방법
KR960005332Y1 (ko) 자동 보정 조리개 조정장치
JPH0619335B2 (ja) 物体認識装置
JPS62159595A (ja) 自動白バランス装置
JPS62216597A (ja) 輝度センサプロ−ブ
JP2581095Y2 (ja) テレビカメラの逆光補正装置
KR0176918B1 (ko) 신호 왜곡 자동 평가 장치
JPH044323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