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0272B1 - 자동 이득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자동 이득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0272B1
KR100230272B1 KR1019970001311A KR19970001311A KR100230272B1 KR 100230272 B1 KR100230272 B1 KR 100230272B1 KR 1019970001311 A KR1019970001311 A KR 1019970001311A KR 19970001311 A KR19970001311 A KR 19970001311A KR 100230272 B1 KR100230272 B1 KR 100230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level
video signal
sync
ag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1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6010A (ko
Inventor
배점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01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0272B1/ko
Publication of KR19980066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89Control of digital or coded signals

Landscapes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디지털 영상 처리 시스템에 적합한 자동 이득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AGC회로는 디지털 변환된 비디오 신호에서 싱크 부분의 레벨을 샘플홀드하는 제1샘플홀드부, 디지털 변환된 비디오 신호에서 페데스탈 레벨을 샘플홀드하는 제2샘플홀드부, 상기 제1샘플홀드부에서 제공되는 싱크 레벨
Figure kpo00001
과 제2샘플홀드부에서 제공되는 페데스탈 레벨
Figure kpo00002
을 감산한 결과를 출력하는 감산기, 상기 감산기에서 제공되는 차값
Figure kpo00003
를 정규의 싱크레벨
Figure kpo00004
과 정규의 페데스탈 레벨
Figure kpo00005
과의 차값
Figure kpo00006
으로 나눈 결과를 출력하는 제산기; 상기 제산기에서 제공되는 값
Figure kpo00007
와 정규의 싱크 레벨
Figure kpo00008
를 승산한 결과 AGC계수로서 출력하는 제1승산기; 상기 제1승산기에서 제공되는 AGC계수를 디지털 변환된 비디오 신호에 승산한 결과를 자동 이득 제어된 비디오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2승산기 및 수평 동기 신호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를 입력하여 상기 제1샘플홀드부에 소요되는 싱크 팀 펄스
Figure kpo00011
와 상기 제2샘플홀드부에서 소요되는 AGC 게이트 펄스

Description

자동 이득 제어회로
본 발명은 영상 신호의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자동 이득 제어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영상 처리 시스템에 적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 이득 제어 회로(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이하 AGC라 함)는 신호 전파가 강하게 들어올 때는 자동적으로 이득을 낮추고 신호 전파가 약하게 들어올 때는 자동적으로 이득을 높여서 항상 안정되고 균일한 화면이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AGC 회로는 아날로그 회로로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디지털 영상 처리 시스템을 꾸밀 때에도 별도의 아날로그 회로인 AGC회로를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 구성이 어렵고, 시스템의 가격 상승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디지털 영상 처리 시스템에 적합한 디지털 로직에 의해 구현되는 AGC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득 제어 회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타이밍 발생부에서 발생된 싱크 팀 펄스
Figure kpo00013
및 AGC 게이트 펄스
Figure kpo00014
의 타이밍을 보이는 도면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AGC회로는 비디오 신호의 싱크 팁 기간을 나타내는 싱크 팀 펄스
Figure kpo00015
에 응답하여 디지털 변환된 비디오 신호에서 싱크 부분의 레벨을 샘플홀드하는 제1샘플홀드부, 비디오 신호의 페데스탈 기간을 나타내는 AGC 게이트 펄스
Figure kpo00016
에 응답하여 디지털 변환된 비디오 신호에서 페데스탈 레벨을 샘플홀드하는 제2샘플홀드부, 상기 제1샘플홀드부에서 제공되는 싱크 레벨
Figure kpo00017
과 제2샘플홀드부에서 제공되는 페데스탈 레벨
Figure kpo00018
을 감산한 결과를 출력하는 감산기, 상기 감산기에서 제공되는 차값
Figure kpo00019
를 정규의 싱크레벨
Figure kpo00020
과 정규의 페데스탈 레벨
Figure kpo00021
과의 차값
Figure kpo00022
으로 나눈 결과를 출력하는 제산기, 상기 제산기에서 제공되는 값
Figure kpo00023
와 정규의 싱크 레벨
Figure kpo00024
를 승산한 결과 AGC계수로서 출력하는 제1승산기, 상기 제1승산기에서 제공되는 AGC계수를 디지털 변환된 비디오 신호에 승산한 결과를 자동 이득 제어된 비디오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2승산기 및 수평 동기 신호
Figure kpo00025
Figure kpo00026
를 입력하여 상기 제1샘플홀드부에 소요되는 싱크 팀 펄스
Figure kpo00027
와 상기 제2샘플홀드부에서 소요되는 AGC 게이트 펄스
Figure kpo00028
를 발생하는 타이밍 발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AGC회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장치는 제1샘플홀드부(10), 제2샘플홀드부(12), 감산기(14), 제산기(16), 제1승산기(18), 기준 싱크레벨 설정부(20), 제2승산기(22), 타이밍 발생부(24)를 포함한다.
제1샘플홀드부(10)는 디지털 변환된 영상 신호에서 싱크 부분의 레벨을 샘플홀드한다. 제2샘플홀드부(12)는 디지털 변환된 영상 신호에서 페데스탈(pedestal)부분의 레벨을 샘플홀드한다.
감산기(14)는 제1샘플홀드부(10)에서 제공되는 싱크 레벨
Figure kpo00029
과 제2샘플홀드부(12)에서 제공되는 페데스탈 레벨
Figure kpo00030
을 감산한 결과를 출력한다.
제산기(16)는 감산기(14)에서 제공되는 차값
Figure kpo00031
를 정규의 싱크레벨
Figure kpo00032
과 정규의 페데스탈 레벨
Figure kpo00033
과의 차값
Figure kpo00034
으로 나눈다. 여기서, 정규의 싱크레벨
Figure kpo00035
및 정규의 페데스탈 레벨
Figure kpo00036
은 예를 들면 EIA RS-170A에 준거한 표준 방식 규격을 말한다. 참고로 EIA RS-170A에 있어서 정규의 페데스탈 레벨
Figure kpo00037
은 0 IRE(0.286V)이고, 정규의 싱크레벨
Figure kpo00038
은 -40 IRE(0V)이다.
제1승산기(18)는 제산기(16)에서 제공되는 값
Figure kpo00039
와 기준 싱크레벨 설정부(20)에서 설정된 정규의 싱크 레벨
Figure kpo00040
를 승산한 결과 AGC계수로서 출력한다.
제2승산기(22)는 제1승산기(18)에서 제공되는 AGC계수를 디지털 변환된 영상 신호에 승산한 결과를 출력한다.
타이밍 발생부(24)는 수평 동기 신호
Figure kpo00041
Figure kpo00042
를 입력하여 제1샘플홀드부(10)에 소요되는 싱크 팀 펄스
Figure kpo00043
와 제2샘플홀드부(12)에서 소요되는 AGC 게이트 펄스
Figure kpo00044
를 발생한다. 여기서, 싱크 팀 펄스
Figure kpo00045
는 싱크 팁 기간을 나타내는 펄스 신호이고, AGC 게이트 펄스
Figure kpo00046
는 버스트 신호와 비디오 사이의 기간을 나타내는 펄스 신호이다.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입력되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6)에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된다. 또한, 타이밍 발생부(24)는 수평 동기 신호
Figure kpo00047
를 입력하여 제1샘플홀드부(10)에 소요되는 싱크 팀 펄스
Figure kpo00049
와 제2샘플홀드부(12)에서 소요되는 AGC 게이트 펄스
Figure kpo00050
를 발생한다.
도 2는 타이밍 발생부(24)에서 발생되는 싱크 팀 펄스
Figure kpo00051
및 AGC 게이트 펄스
Figure kpo00052
의 타이밍을 보이는 것이다.
제1샘플홀드부(10)는 싱크 팀 펄스
Figure kpo00053
에 의해 인에이블되는 동안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6)에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샘플홀드한다. 즉, 비디오 신호의 싱크 레벨을 샘플홀드한다. 여기서, 제1샘플홀드부(10)는 싱크 팀 펄스
Figure kpo00054
에 의해 인에이블되는 동안 복수의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이들의 평균값을 홀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드된 싱크 레벨
Figure kpo00055
은 다음의 싱크 팀 펄스
Figure kpo00056
가 인가될 때까지 유지된다.
제2샘플홀드부(12)는 AGC 게이트 펄스
Figure kpo00057
에 의해 인에이블되는 동안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6)에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샘플홀드한다. 즉, 비디오 신호의 페데스탈 레벨
Figure kpo00058
을 샘플홀드한다. 여기서, 제2샘플홀드부(12)는 AGC 게이트 펄스
Figure kpo00059
에 의해 인에이블되는 동안 복수의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이들의 평균값을 홀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드된 페데스탈 레벨
Figure kpo00060
은 다음의 AGC 게이트 펄스
Figure kpo00061
가 인가될 때까지 유지된다.
제1샘플홀드부(10)에 의해 샘플링된 싱크 레벨
Figure kpo00062
과 제2샘플홀드부(12)에 의해 샘플링된 페데스탈 레벨
Figure kpo00063
를 감산한 값
Figure kpo00064
는 싱크 팁부터 페데스탈까지의 값이 된다.
Figure kpo00065
에 의해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Figure kpo00066
가 정규의 값
Figure kpo00067
보다 작으면 시스템의 어느 부분 혹은 전송되는 과정에서 이득이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로부터 검출된
Figure kpo00068
와 정규의
Figure kpo00069
와의 비
Figure kpo00070
를 구하고, 여기서, 정규의 싱크 레벨
Figure kpo00071
를 곱하면 AGC 게수가 얻어진다.
이 AGC 계수를 원래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에 곱하면 자동 이득 조정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정규의 싱크 레벨
Figure kpo00072
을 설정하는 방법을 보면 다음과 같다.
NTSC신호를 8비트로 샘플링하면 표준 신호의 싱크 팁은 다음과 같다.
255(8비트의 최대값) : IRE = x : 40 IRE
∴ x = 72.85
따라서, NTSC신호를 8비트로 처리하는 시스템의 경우에는 기준 싱크레벨 설정부(20)는 정규의 싱크 레벨
Figure kpo00073
을 72로 설정한다. PAL신호를 처리하는 시스템의 경우에도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정규의 싱크 레벨
Figure kpo00074
을 설정한다.
싱크 팀이 크면 AGC계수는 작은 값이 되어 비디오 신호의 이득이 적어지고, 싱크 팁이 작으면 AGC계수는 큰 값이 되어 비디오 신호의 이득이 커진다.
도 1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26)의 최저 레벨(bottom level)에 비디오 신호의 싱크 팁을 클램프(clamp)한다면 싱크 팀의 값이 00h이므로 제2샘플홀드부(12) 및 감산기(14)가 필요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AGC회로는 디지털 로직으로 구현되어 간단하게 집적회로화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간소화 및 경비 절감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한다.

Claims (2)

  1. 비디오 신호의 싱크 팁 기간을 나타내는 싱크 팀 펄스
    Figure kpo00075
    에 응답하여 디지털 변환된 비디오 신호에서 싱크 부분의 레벨을 샘플홀드하는 제1샘플홀드부, 비디오 신호의 페데스탈 기간을 나타내는 AGC 게이트 펄스
    Figure kpo00076
    에 응답하여 디지털 변환된 비디오 신호에서 페데스탈 레벨을 샘플홀드하는 제2샘플홀드부, 상기 제1샘플홀드부에서 제공되는 싱크 레벨
    Figure kpo00077
    과 제2샘플홀드부에서 제공되는 페데스탈 레벨
    Figure kpo00078
    을 감산한 결과를 출력하는 감산기, 상기 감산기에서 제공되는 차값
    Figure kpo00079
    를 정규의 싱크레벨
    Figure kpo00080
    과 정규의 페데스탈 레벨
    Figure kpo00081
    과의 차값
    Figure kpo00082
    으로 나눈 결과를 출력하는 제산기, 상기 제산기에서 제공되는 값
    Figure kpo00083
    와 정규의 싱크 레벨
    Figure kpo00084
    를 승산한 결과 AGC계수로서 출력하는 제1승산기, 상기 제1승산기에서 제공되는 AGC계수를 디지털 변환된 비디오 신호에 승산한 결과를 자동 이득 제어된 비디오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2승산기 및 수평 동기 신호
    Figure kpo00085
    Figure kpo00086
    를 입력하여 상기 제1샘플홀드부에 소요되는 싱크 팀 펄스
    Figure kpo00087
    와 상기 제2샘플홀드부에서 소요되는 AGC 게이트 펄스
    Figure kpo00088
    를 발생하는 타이밍 발생부를 포함하는 자동 이득 제어 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샘플홀드부 및 제2샘플홀드부는 각각 복수의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그들의 평균치를 홀드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득 제어 회로.
KR1019970001311A 1997-01-17 1997-01-17 자동 이득 제어회로 KR100230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311A KR100230272B1 (ko) 1997-01-17 1997-01-17 자동 이득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311A KR100230272B1 (ko) 1997-01-17 1997-01-17 자동 이득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010A KR19980066010A (ko) 1998-10-15
KR100230272B1 true KR100230272B1 (ko) 1999-11-15

Family

ID=19494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311A KR100230272B1 (ko) 1997-01-17 1997-01-17 자동 이득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02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883B1 (ko) * 2007-03-16 2012-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신호 게인 조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010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2906B1 (ko) 윤곽 보정회로
KR840006741A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아나로그/디지탈 변환용 장치
KR100207713B1 (ko)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의 top 전압을 이용한 agc 회로
JPH02223869A (ja) 雑音測定装置
KR950011820B1 (ko) 디지탈 비데오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의 고주파수 부분을 피킹하는 장치
US4651213A (en) Clamping apparatus for a video signal
KR100230272B1 (ko) 자동 이득 제어회로
KR930011971B1 (ko) 색신호 경계면 보정장치
KR850008086A (ko) 빔 전류 저감장치
US6441871B1 (en) Method for correcting amplitude of synchronizing signal of composite video signal and device therefor
EP1071281B1 (en) Automatic luminance adjustment device and method
JPH0434871B2 (ko)
KR0119485Y1 (ko) 비디오카메라시스템에 있어서 감마보정회로
KR950005599B1 (ko) 신호 오프셋 회로
KR100213223B1 (ko) 고체 촬상 소자를 이용한 카메라 시스템의 신호 처리 장치
JPS6211392A (ja) キ−イング信号発生回路
JP2606375Y2 (ja) 輝度信号処理回路
JP2776052B2 (ja) ブランキング処理回路
JPH06252756A (ja) A/dサンプリング装置
JP2894247B2 (ja) ディジタルテレビジョン映像信号のブランキング処理回路
JPS6058634B2 (ja) デイジタル映像信号レベルコントロ−ル回路
JPH0657052B2 (ja) 同期信号除去装置
JP3758230B2 (ja) 撮像装置
JP2692697B2 (ja) 映像信号の特殊効果回路
JPH0690385A (ja) 波形等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