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9889B1 - 무선전화기의 통화전환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의 통화전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9889B1
KR100229889B1 KR1019920006963A KR920006963A KR100229889B1 KR 100229889 B1 KR100229889 B1 KR 100229889B1 KR 1019920006963 A KR1019920006963 A KR 1019920006963A KR 920006963 A KR920006963 A KR 920006963A KR 100229889 B1 KR100229889 B1 KR 100229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voice
line
trunk lin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6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2780A (ko
Inventor
김재곤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20006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9889B1/ko
Publication of KR930022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2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9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9889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제1장치와 제2장치로 이루어지며 음성 자동 응답수단을 구비하는 무선전화기에서 통화 서비스 수행시 통화진행 절차에 따른 음성안내 메세지를 서비스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국선통화중인 제1장치로부터 전환키 발생시 음성 응답수단을 제어하여 국선측으로 통화전환 안내용 음성 메세지를 송출하고 제2장치로 호출음을 공급한다. 그리고 제1장치는 제2장치로 호출음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각 장치의 통화상태를 검사한다. 먼저 제1장치가 온-훅크상태이고 제2장치가 오프 훅크상태이면 제1장치는 국선을 제2장치로 연결하여 국선통화 전환을 수행한다. 두번째로 제1시간이 경과하도록 제1 및 제2장치가 온-훅크상태이면 제1장치는 제2장치로 공급되는 호출음을 단절하고 다시 제1장치로 호출음을 공급하여 국선 통화를 재시도한다. 세번째로 국선통화 재시도 과정에서 제2시간이 경과하도록 제1장치가 온-훅크 상태이면 음성 자동 응답수단을 제어하여 국선측으로 통화전화 실패용 음성 메세지를 송출하고 통화로를 단절한다.

Description

무선전화기의 통화 전환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전화기의 블럭구성도
제2도는 고정장치에서의 통화전화 흐름도
제3도는 휴대장치에서의 통화전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제어부 111: 키보드부
112: 링검출부 113: 정류부
114: 루프스위치 115: 메세지 차단부
116: 송수분리부 117: DTMF발생부
118: 통화부 119: DTMF검출부
120: 제1메세지부 121: 제2메세지부
122: 무선송신부 123: 주파수합성부
124: 무선수신부 125: RF분리부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의 통화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자동응답 전화기의 통화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전화기는 고정장치(base unit)가 전화라인을 통해 교환기와 연결되어 유선통신을 수행하고, 또한 상기 고정장치와 휴대장치(handset unit)간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휴대장치와 무선으로 데이타 통신을 수행하여 통화 채널을 형성한 후 통화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또한 상기 교환기와 유선으로 통환진행 절차를 수행한 후 통화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선 전화기에서는 음성안내 기능이 없어 사용자가 통화기능을 수행할시 해당 기능의 진행절차를 알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전화기에 음성안내 기능을 부가하여 임의 통화기능 수행시 해당 통화기능의 수행상태를 음성 메세지로 안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무선 응답 전화기에서 통화전환 상태를 음성 메세지로 안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무선 자동 응답 시스템의 고정장치 구성도로서, 제어부(110)는 고정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휴대장치와 무선 통신기능을 제어하고, 모드 지정에 따라 자동 응답기능을 제어한다. 키보드(11)는 상기 제어부(10)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0)로 다이알링 신호 및 자동 응답기능을 포함하는 각종 기능의 명령어를 발생한다. 링검출부(112)는 상기 제어부(110)와 전화라인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전화라인으로부터 수신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10)의 링검출단(RING DET)으로 이를 알린다. 정류부(113)는 상기 전화라인과 연결되어 고정장치와 상기 교환기간의 신호를 인터페이싱하여 상기 교환기로부터 발생되는 교류신호를 정류한다. 루프 스위치(loop switch)(14)는 상기 정류부(113)과 송수분리부(116)사이에 연결되는 동시에 제어단자가 상기 제어부(110)와 루프제어단(LOOP CTL)으로 연결된다. 상기 루프 스위치(114)는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출력되는 루프제어신호의 논리상태에 따라 상기 교환기와의 통화루프 형성을 제어한다. 메세지 차단부(115)는 상기 루프 스위치(114)와 제어부(110)의 메세지 인터럽트단(MSG INT)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메세지 차단부(115)는 고정장치와 병렬 연결된 전화기가 훅크 오프될 시 상기 전화라인으로 발생되는 전압레벨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10)로 메세지 차단 신호를 발생함으로서, 자동 응답기능을 해제시킨다. 송수분리부(116)은 상기 루프스위치(114)와 통화부(118)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전화라인으로 부터 발생되는 신호레벨과 통화부(118)로 부터 발생되는 신호레벨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전화라인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클시 수신신호(이하 'RX신호'라 칭함)로 하여 출력하고, 수신되는 송신신호(이하 'TX신호'라 칭함)가 더 클시 상기 TX신호를 전화라인상으로 출력한다. DTMF발생부(117)는 상기 송수분리부(116)의 TX단과 제어부(110)의 DTMF인에블단(DTMF EN)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10)의 데이타 버스로 출력되는 데이타를 DTMF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송수분리부(116)의 TX단으로 출력한다. 통화부(118)는 상기 송수분리부(116)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스위칭되어 수신되는 RX신호를 스피커(SPK)측으로 송출하고, 송출되는 TX신호를 송수분리부(16)의 TX측으로 송출한다. DTMF검출부(119)는 상기 통화부(118)의 RX측과 제어부(110)사이에 연결되며, 수신되는 DTMF신호를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10)의 데이타 버스로 출력한다. 제1메세지부(120)는 상기 통화부(118)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상기 통화부(118)로부터 발생되는 OGM메세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중인 OGM메세지를 합성하여 상기 통화부(118)의 TX단측으로 출력한다. 제2메세지부(121)는 상기 통화부(18)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수신되는 호출 가입자의 음성 메세지를 저장하고, 또한 저장중인 음성 메세지를 재생하여 상기 통화부(118)로 송출한다. 무선송신부(122)는 상기 송수분리부(116)의 RX단 및 제어부(110)의 TX단(TX DATA)에 공통 접속되며, 수신되는 신호를 변조 및 부호화하여 RF신호로 변환 출력한다. 무선수신부(124)는 상기 송수분리부(116)의 TX단 및 상기 제어부(110)의 RX단(RX DATA)과 공통 접속되며, 수신되는 RF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여 본래의 신호로 변환 출력한다. 주파수 합성부(123)는 상기 무선송신부(122) 및 무선수신부(123)과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채널지정 및 RF신호레벨을 조정한다. RF분리부(125)는 안테나와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부로 부터 수신되는 RF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무선수신부(124)로 인가하고, 상기 무선송신부(122)로부터 수신되는 RF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안테나로 인가한다.
상기 제1도의 구성은 고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휴대장치는 상기 고정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무선송신부, 무선수신부, 주파수 합성부, RF분리부, 제어부 및 송수화부 등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전환을 수행하는 흐름도로서, 고정장치와 통화중이던 국선을 휴대장치로 전환시키는 흐름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전환을 수행하는 흐름도로서, 휴대장치가 통화중이던 국선을 고정장치로 전환시키는 흐름도이다.
상술한 제1도의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제2도 및 제3도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도와 같은 무선응답 전화기의 상세구성 및 동작은 본원 출원인에 선출원된 1992년 특허 제 *** 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제1메세지부(120)는 음성합성부(Voice Synthesizer)와 음성메모리( Voice Memory)로 이루어지며, 상기 음성 메모리에는 필요한 메세지들이 음편단위로 코딩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음성합성부는 상기 통화부를 통해 수신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한 후 코딩하여 상기 음성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음성메모리에 저장된 코딩 데이타를 디코딩한후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화부(118)로 송출한다. 이때 상기 음성 메모리에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등록 성공 메세지와 해제성공 메세지 및 시외통화 기능이 등록된 상태에서 시외호 시도시 이를 안내하기 위한 음성메세지 등이 있다.
먼저 제2도를 참조하여 고정장치가 휴대장치로 국선호를 전환시키는 과정을 살펴본다.
고정장치와 국선간의 통화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통화부(118)를 제어하여 전화라인과 송수화수단인 마이크(MIC) 및 스피커(SPK)를 연결시켜 놓는다. 상기와 같은 국선통화중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10)가 키보드부(111)로부터 전환기 데이타를 수신하게 되면, (202)단계에 이를 인지하고 (203)단계에서 통화부(118), 제1메세지부(120) 및 무선송신부(122)를 제어하여 국선측으로 통화전환을 알리는 제1음성메세지를 송출하고, 휴대장치로 링 데이타를 송출한다. 상기 제1음성메세지의 송출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통화부(118)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제1메세지부(120)와 송수분리부(116)의 TX단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1메세지부(12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저장중인 제1음성데이타를 억세스한 후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화부(118)로 송출한다. 여기서 상기 제1음성메세지는 "전환합니다. 잠시 기다려 주십시요"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음성메세지는 제1메세지부(120)→통화부(118)→송수신분리부(116)→루프스위치(114)→정류부(113)를 통해 전화라인으로 송출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출력되는 링 데이타는 무선송신부(122)로 인가되며, 상기 무선송신부(122)는 상기 수신 링 데이타를 상기 주파수합성부(123)에 의해 지정되는 채널에 RF신호로 변조하여 방사한다. 그러면 상기 휴대장치로는 링 데이타가 공급되어 호출음(링신호)이 발생된다.
상기 제1음성 메세지의 송출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4)단계에서 상기 제1메세지부(120)를 제어하여 제1음성 메세지의 송출을 중지시키고, 상기 전화라인으로 전환대기 시간동안 보류음악(또는 보류톤)을 송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는 (205)단계에서 고정장치가 온-훅크(통화버튼이 대기상태로 위치)했는가 검사하는데, 상기 고정장치가 오프-훅크상태이면 (206)단계에서 휴대장치가 훅크오프 했는가 검사한다. 이때 상기 휴대장치에서 상기 호출음을 듣고 통화번튼을 통화위치에 두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무선수신부(124)로부터 훅크오프 데이타 수신시, (206)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207)단계에서 상기 무선송신부(122)로 공급되던 링데이타의 출력을 중단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장치가 훅크-오프하면,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간에 내선 통화로가 형성되므로, 양 장치간에도 무선으로 인터컴(INTERCOM)기능을 수행하여 통화전환을 알려줄 수 있다. 이후 상기 고정장치가 훅크온하면, 제어부(110)는 (209)단계에서 온-훅크 상태를 인지하고, 국선으로 공급되던 보류음악(or 보류톤)의 출력을 중단한다. 그리고 (213)단계에서 상기 통화부(118)를 제어하여 상기 송신분리부(116)의 TX단을 무선수신부(214)와 연결하고 RX단을 무선송신부(122)와 연결하여 국선을 휴대장치로 전환시킨다. 따라서 고정장치는 통화중이던 국선호를 휴대장치로 전환시키고 대기상태에 들어간다.
그러나 상기(205)단계에서 고정장치가 온-훅크 상태로 천이하면, 제어부(110)는 (205)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무선수신부(124)의 출력을 분석하여 휴대장치의 오프-훅크상태 발생유무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무선수신부(124)로부터 휴대장치의 훅크오프 데이타를 수신하게 되면, (212)단계에서 국선측으로 공급되던 보류음악(or 보류톤)을 중단하고, 휴대장치로 공급되던 호출음을 중단한후, 상기한 바와 같이 (213)단계에서 국선호를 휴대장치로 전환시킨다.
그러나 상기 (211)단계에서 휴대장치가 온후쿠 상태에 있으면, (214)단계에서 상기 휴대장치로 호출음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검사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204)단계로 되돌아가 상기 과정들을 반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시간으 15초로 세트한다. 이때 상기 (214)단계에서 상기 제1시간이 경과되도록 상기 휴대장치가 온-훅크 상태에 있으면, (215)단계에서 상기 휴대장치로 공급되던 호출음을 중단시키고 (216)단계에서 고정장치로 호출음을 공급한다.
상기 고정장치의 스피커(SPK)로 호출음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217)단계에서 고정장치가 훅크오프 했을까 검사하며, 훅크오프된 상태이면 전환하고자 했던 국선호와 다시 통화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222)단계에서 국선으로 공급되고 있는 보류음악을 중단하는 동시에 호출음을 단절한 후 상기(201)단계로 되돌아 간다. 그러나 상기(218)단계에서 제2시간이 경과하도록 고정장치가 훅크오프하지 않으면, (219)단계에서 국선으로 공급되던 보류음 및 고정장치로 공급되던 호출음을 중단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시간은 상기 제1시간의 2배인 30초로 세트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국선으로 통화 전환의 실패를 통보하기 위해 상기 통화부(118) 및 제1메세지부(120)를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통화부(118)는 상기 전화라인과 제1메세지부(120)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1메세지부(120)는 제2음성 메세지를 재생하여 상기 통화부(118)로 출력한다. 상기 제2음성 메세지는 "연결이 안됐습니다. 다시 전화하여 주십시요"라고 발생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는 (221)단계에서 루프스위치(114)를 오프하여 통화로 단절하고 종료한다.
두번째로 상기 휴대장치가 국선 통화중 상태에서 국선호를 고정장치측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상기 휴대장치는 국선통화중 상태에서 전환키가 수신되면, 무선송신부를 통해 전환키 데이타를 RF신호로 변환 출력하고 통화대기 상태로 천이한다. 그러면 상기 고정장치는 (302)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303)단계에서 통화부(118) 및 제1메세지부(120)를 제어하여 상기 국선측으로 상기 제1음성 메세지를 송출하고, 스피커(SPK)측으로 호출음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1음성 메세지의 송출이 종료되면, (304)단계에서 상기 국선으로 보류음악을 송출하고, (305)단계에서 고정장치의 훅크오프 발생유무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305)단계에 고정장치의 훅크오프상태 발생을 감지하면, (306)단계에서 국선으로 송출중이던 보류음악의 송출을 중단하고, 고정장치로 공급되던 호출음을 중단한다. 그리고 (307)단계에서 상기 통화부(118)를 제어하여 고정장치의 송수화 수단과 전화라인간의 통화로를 형성하여 전환통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308)단계에서 상기 제1시간이 경과하도록 고정장치가 훅크오프하지 않으면, (309)단계에서 고정장치의 스피커(SPK)로 공급되던 호출음을 중지시키고, (310)단계에서 휴대장치로 호출음을 재공급한다. 이후 (311)단계에서 휴대장치의 훅크-오프 발생유무를 검사하며, 훅크-오프일시 국선 보류음악 및 휴대장치의 호출음 공급을 중단시키고, 상기 (301)단계로 되돌아가 재통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313)단계에서 상기 제2시간이 경과하도록 휴대장치의 훅크오프가 감지되지 않으면, (314)단계에서 공급중인 보류음악 및 호출음을 중단하고, (315)단계에서 통화부(118) 및 제1메세지부(120)을 제어하여 국선측으로 제2메세지를 송출한 후, (316)단계에서 상기 루프스위치(114)를 오프하여 통화로를 단절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전화기의 음성안내 기능을 부가하여, 통화전환시 국선측으로 통화전환시에 발생되는 각종 상황을 음성으로 안내 서비스할 수 있어 통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음성 자동 응답수단을 구비하는 무선전화기의 통화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국선통화중인 제1장치로부터 전환키 발생시 상기 음성 응답 수단을 제어하여 국선측으로 통화전화 안내용 음성 메세지를 송출하고 제2장치로 호출음을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제2장치로 호출음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각 장치의 통화상태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과정에서 제1장치가 온-훅크 상태이고 제2장치가 오프-훅크상태일시 국선을 제2장치로 연결하여 국선 통화전환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과정에서 제1시간이 경과하도록 제 1 및 제2장치가 온-훅크상태일시 상기 제2장치로 공급되는 호출음을 단절하고 상기 제1장치로 호출음을 공급하여 상기 제1장치와 국선 재통화를 시도하는 과정과, 상기 국선 재통화 과정에서 제2시간이 경과하도록 상기 제1장치가 온-훅크 상태일시 상기 음성 자동 응답 수단을 제어하여 국선측으로 통화전환 실패용 음성 메세지를 송출하고 통화를 단절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국선전환 통화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치가 고정장치이고 상기 제2장치가 휴대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국선전환 통화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치가 휴대장치이고 상기 제2장치가 고정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국선전환 통화 서비스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간이 상기 제1시간의 2배 주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국선전환 통화 서비스 방법.
  5. 음성 자동 응답수단을 갖는 고정장치 및 휴대장치로 이루어지는 무선전화기의 통화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가 국선통화중 상태에서 전환키 수신시 상기 음성 응답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국선을 국선통화 전환용 음성안내 메세지를 송출하고 상기 휴대장치로 호출음을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고정장치와 휴대장치의 통화스위치 상태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과정에서 상기 고정장치가 오프 훅크 상태이며 상기 휴대장치가 오프 훅크 상태일시 두 장치들간에 인터컴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고정장치 온 훅크상태로 천이하면 상기 국선을 상기 휴대장치로 연결하여 국선통화를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과정에서 상기 고정장치가 온 훅크 상태이며 상기 휴대장치가 오프 훅크 상태일시 상기 국선을 상기 휴대장치로 연결하여 국선통화를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과정에서 제1시간 주기이상 상기 고정장치 및 휴대장치가 온 훅크 상태일시 상기 휴대장치로의 호출음을 단절하고 상기 고정장치로 호출음을 공급하여 국선통화를 재시도하는 과정과, 상기 국선통화 개시도 과정에서 제2시간 주기이상 상기 고정장치가 온-훅크 상태일시 상기 음성 응답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국선으로 국선전환 실패용 음성안내 휴대장치를 송출하고 통화로를 단절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통화 서비스 방법.
KR1019920006963A 1992-04-24 1992-04-24 무선전화기의 통화전환방법 KR100229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6963A KR100229889B1 (ko) 1992-04-24 1992-04-24 무선전화기의 통화전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6963A KR100229889B1 (ko) 1992-04-24 1992-04-24 무선전화기의 통화전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780A KR930022780A (ko) 1993-11-24
KR100229889B1 true KR100229889B1 (ko) 1999-11-15

Family

ID=19332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6963A KR100229889B1 (ko) 1992-04-24 1992-04-24 무선전화기의 통화전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988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958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ystem
KR910008402B1 (ko) 무선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738744B2 (ja) 無線電話装置
EP0690600B1 (en) Cellular telephone with wire connection function
JPH0278348A (ja) 無線電話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010041539A1 (en) A wireless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KR100229889B1 (ko) 무선전화기의 통화전환방법
US9860375B2 (en) CTI system and CTI control method
JP3052568B2 (ja) 無線電話装置
JP3354966B2 (ja) 電話機システム
KR950010480B1 (ko) 키폰 시스팀과 전화기와의 접속 장치 및 방법
JP2984678B1 (ja) リンガ故障通知回路及びリンガ故障通知方法
KR100229863B1 (ko) 전화기의 음성안내 방법
JP2826105B2 (ja) 回線切換装置
KR100197058B1 (ko) 전화기의 통화로 자동전환장치
KR100424615B1 (ko) 무선전화기 및 무선전화기를 구비한 복합기기에있어서 휴대장치 통화중 고정장치로의 통화절환 및 통화해제방법
JP3022526B2 (ja) 電話装置
JP2000023259A (ja) 通信装置
KR20010069233A (ko) 유무선전화기를 이용한 휴대폰 통화시스템
KR19990000164A (ko) 자동응답 전화기를 이용한 메시지 전달장치 및 방법
JPH05300262A (ja) ホームテレホンの制御装置
JPH07322316A (ja) 電話交換装置
KR19980038328A (ko) 무선전화기에서 자동 통화 구현에 따른 안내메세지 송출방법
KR19980039828A (ko) 자동응답전화기에서 대기 호 안내방법
JPH06244985A (ja) 通信接続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