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9745B1 -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핸들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9745B1
KR100229745B1 KR1019970061905A KR19970061905A KR100229745B1 KR 100229745 B1 KR100229745 B1 KR 100229745B1 KR 1019970061905 A KR1019970061905 A KR 1019970061905A KR 19970061905 A KR19970061905 A KR 19970061905A KR 100229745 B1 KR100229745 B1 KR 100229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ocking
window lifter
vehicle
lif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1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1324A (ko
Inventor
현석종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70061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9745B1/ko
Publication of KR19990041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9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9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76Transmission of human force
    • E05Y2201/68Handles, cr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핸들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매뉴얼타입을 갖는 윈도우 리프터의 핸들 구조를 변경하여 탑승객의 불편을 줄이고, 자동차 뒷좌석 실내 공간이 상대적으로 넓게 보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핸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윈도우 리프터의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부에서 클러치 케이스를 통하여 돌출되는 스핀들의 선단부에서 소정 넓이로 형성된 돌기부에, 그 일측 외면에 형성된 걸림부와 스냅 링 및 이스커션을 끼워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매뉴얼 리프터의 핸들에 있어서, 상기 핸들(100)의 본체(110) 내측면 하단에 측면에서 보아 'ㄱ'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가공부(110a)를 형성하고, 상기 가공부(110a) 내면을 관통하는 걸림공(110b)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공(110b)에 착탈되는 걸림편(120)을 형성하되, 상기 걸림편(120)은 소정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서 그 상하 양단에 사각 형상의 제 1걸림돌기(122)(122')가 그 길이 방향으로 각각 일체로 돌출되고, 좌우 양측면 전후에는 정육면체 형상의 제 2걸림돌기(124)(124')가 각각 일체로 돌출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핸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핸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매뉴얼(manual)타입 윈도우 리프터의 핸들 구조를 변경하여 핸들의 외측면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감소시켜 탑승객의 편의를 도모하고, 자동차 뒷좌석 실내 공간이 상대적으로 넓게 보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창문 개폐(開閉)장치를 가리키는 윈도우 리프터(window lifter)는 자동차 메이커에 따라서는 윈도우 레귤레이터(window regulator)라고도 불리우며, 전동 모터를 이용하여 창문의 개폐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파워(power)식 윈도우 리프터와, 손으로 핸들을 조작하여 창문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매뉴얼(manual)식 윈도우 리프터가 있으며, 경차나 소형자동차의 프론트 도어에는 톨 게이트등에서 그 사용의 편의상 파워식 윈도우 리프터가 설치되고, 리어 도어에는 비용 절감상 매뉴얼식 윈도우 리프터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중형급 이상의 자동차에서는 프론트, 리어 도어 모두 파워식 윈도우 리프터가 설치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도 1은 자동차의 도어 및 매뉴얼식 윈도우 리프터의 일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 매뉴얼식 윈도우 리프터의 핸들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매뉴얼식 윈도우 리프터의 구동은 도어(10) 내부에서 윈도우 리프터(20)의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21)와 서브 암 레일(sub arm rail)(22)을 지지시키고, 베이스 플레이트(21) 일측부에서 클러치 케이스(clutch case)(23)를 통하여 돌출되는 스핀들(spindle)(24)의 선단부에서 소정 넓이로 형성된 돌기부에, 핸들(30)의 일측 외면에 형성된 걸림부(31)와 스냅 링(snap ring)(44) 및 이스커션(escutcheon)(46)을 끼워 핸들(30)이 스핀들(2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은 상태에서 상기 핸들(30)을 좌우로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스핀들(24)이 좌우로 회동하며, 상기 스핀들(24)과 연결된 피니언 기어(미도시)가 윈도우 리프터(20)의 섹터 기어(sector gear)(26)와 치합되면서 회동함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guide rail)(27)의 좌우 양단이 연결되는 도어글래스바텀채널(door glass bottom chnl)(12)의 상단에 취부되는 도어글래스(14)가 도어글래스런(16)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 창문이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와 같은 종래 윈도우 리프터(20)의 핸들(30)구조에서는 상기 핸들(30)의 일측 외면에서 돌출되어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는 돌출부(30b)가 핸들(30)의 본체(30a)로부터 그 외면을 향하여 항상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돌출부(30b)에 탑승자의 무릎이 부딪히게 되고, 특히 경차나 소형 자동차의 뒷좌석에 상기 매뉴얼식 윈도우 리프터가 설치되었을 경우, 상기 튀어나온 돌출부(30b)에 의하여 뒷좌석의 공간이 더욱 좁아보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매뉴얼타입을 갖는 윈도우 리프터의 핸들 구조를 변경하여 탑승객의 불편을 줄이고, 자동차 뒷좌석 실내 공간이 상대적으로 넓게 보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핸들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윈도우 리프터의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부에서 클러치 케이스를 통하여 돌출되는 스핀들의 선단부에서 소정 넓이로 형성된 돌기부에, 그 일측 외면에 형성된 걸림부와 스냅 링 및 이스커션을 끼워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매뉴얼 리프터의 핸들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본체 내측면 하단에 측면에서 보아 'ㄱ'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가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공부 내면을 관통하는 걸림공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공에 착탈되는 걸림편을 형성하되, 상기 걸림편은 소정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서 그 상하 양단에 사각 형상의 제 1걸림돌기가 그 길이 방향으로 각각 일체로 돌출되고, 좌우 양측면 전후에는 정육면체 형상의 제 2걸림돌기가 각각 일체로 돌출되도록 한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핸들이 제공된다.
도 1은 자동차의 도어 및 매뉴얼식 윈도우 리프터의 일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 매뉴얼 타입 윈도우 리프터 핸들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의 핸들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일측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타측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핸들, 110:본체,
110a:가공부, 110b:걸림공,
112,112':제 1걸림홈, 114,114':제 2걸림홈,
120:걸림편, 122,122':제 1걸림돌기,
124,124':제 2걸림돌기.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핸들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의 핸들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일측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타측사시도로서, 이에 따른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핸들은 윈도우 리프터의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부에서 클러치 케이스를 통하여 돌출되는 스핀들의 선단부에서 소정 넓이로 형성된 돌기부에, 그 일측 외면에 형성된 걸림부와 스냅 링 및 이스커션을 끼워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매뉴얼 리프터의 핸들에 있어서, 상기 핸들(100)의 본체(110) 내측면 하단에 측면에서 보아 'ㄱ'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가공부(110a)를 형성하고, 상기 가공부(110a) 내면을 관통하는 걸림공(110b)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공(110b)에 착탈되는 걸림편(120)을 형성하되, 상기 걸림편(120)은 소정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서 그 상하 양단에 사각 형상의 제 1걸림돌기(122)(122')가 그 길이 방향으로 각각 일체로 돌출되고, 좌우 양측면 전후에는 정육면체 형상의 제 2걸림돌기(124)(124')가 각각 일체로 돌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핸들(100)의 본체(110)는 가공부(110a) 내면에 형성된 걸림공(110b)이 좌우로 신축이 용이하도록 탄력성 있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편(120)은 탄력성 있는 재질로 형성된 상기 본체(110)의 가공부(110a) 내면에 형성된 걸림공(110b)에 착탈되어지는 바, 핸들(100)을 사용하지 않을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편(120)은 그 상하 양단에 형성된 제 1걸림돌기(122)(122')가 상기 제 1걸림홈(112)(112')에 각각 취부되고, 이때 일측 제 2걸림돌기(124')는 상기 걸림공(110b)의 후부측 제 2걸림홈(114')에 취부된 상태가 된다.
한편, 통상의 윈도우 리프터 핸들은 그 돌출부가 도어 트림(door trim)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이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도 5에 도시된 걸림편(120)은 도어 트림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이때 걸림편(120)이 본체(110)의 외측면으로 소정 길이만 노출되므로 상기 걸림편(120)이 뒷좌석 탑승객의 무릎 등에 닿아서 불편을 주는 일이 없게 되며, 상대적으로 뒷좌석 실내 공간이 넓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 상기 핸들(100)을 사용하여 윈도우 리프터를 조작, 창문을 개폐하고자 할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편(120)의 제 1걸림돌기(122)(122')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걸림홈(112)(112')에 각각 취부되고, 타측 제 2걸림돌기(124)는 상기 걸림공(110b)의 전부측 제 2걸림홈(114)에 취부된 상태로서 걸리게 되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걸림편(120)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핸들(100)의 걸림부(116)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핀들(24)의 돌기부와 맞물려 회동됨에 의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의 창문이 개폐되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핸들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상기 걸림편을 핸들 본체 내외부로 착탈시켜서 사용함에 의하여 뒷좌석 탑승자에게 종래 돌출부에 의한 무릎간섭 등의 불편을 줄이고, 경차나 소형 자동차의 뒷좌석 실내 공간이 다소나마 넓어질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윈도우 리프터의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부에서 클러치 케이스를 통하여 돌출되는 스핀들의 선단부에서 소정 넓이로 형성된 돌기부에, 그 일측 외면에 형성된 걸림부와 스냅 링 및 이스커션을 끼워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매뉴얼 리프터의 핸들에 있어서,
    상기 핸들(100)의 본체(110) 내측면 하단에 측면에서 보아 'ㄱ'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가공부(110a)를 형성하고, 상기 가공부(110a) 내면을 관통하는 걸림공(110b)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공(110b)에 착탈되는 걸림편(120)을 형성하되, 상기 걸림편(120)은 소정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서 그 상하 양단에 사각 형상의 제 1걸림돌기(122)(122')가 그 길이 방향으로 각각 일체로 돌출되고, 좌우 양측면 전후에는 정육면체 형상의 제 2걸림돌기(124)(124')가 각각 일체로 돌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핸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공(110b)의 상하 양단에는 상기 걸림편(120)의 제 1걸림돌기(122)(122')가 삽입되는 제 1걸림홈(112)(112')이 각각 절개, 형성되고, 그 좌우 양측면 전후에는 상기 걸림편(120)의 제 2걸림돌기(124)(124')가 삽입되는 제 2걸림홈(114)(114')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핸들.
KR1019970061905A 1997-11-21 1997-11-21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핸들 KR100229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1905A KR100229745B1 (ko) 1997-11-21 1997-11-21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1905A KR100229745B1 (ko) 1997-11-21 1997-11-21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324A KR19990041324A (ko) 1999-06-15
KR100229745B1 true KR100229745B1 (ko) 1999-11-15

Family

ID=19525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1905A KR100229745B1 (ko) 1997-11-21 1997-11-21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97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324A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9745B1 (ko)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핸들
KR100206433B1 (ko) 자동차 매뉴얼식 윈도우 리프터의 핸들
KR200147491Y1 (ko) 자동차의 윈도우 리프터 핸들취부구조
JPH0348048B2 (ko)
KR100203496B1 (ko) 승합차의 도어 자동개폐장치
JPS5914377B2 (ja) ハツチバツク式リヤゲ−トドアのウインドシ−ルドワイパ−装置
KR0133578Y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아암 구조
KR200201698Y1 (ko) 자동차후진경
KR0130673Y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가이드 레일 구조
KR19980027309A (ko) 외장형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
KR0180833B1 (ko) 자동차 도어의 윈도우 핸들 탈,장착 구조
KR100219367B1 (ko) 자동차 윈도우 작동 핸들의 구조
KR200158569Y1 (ko) 도어체크링크의 유동방지구조
KR100513685B1 (ko) 승합차량의 리어스포일러 일체형 후미경
KR920004864Y1 (ko) 자동차용 도아윈도우 조작 핸들
KR0138431B1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로딩장치
KR200175407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inner handle lock in a vehicle door)
KR20040051755A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트림의 자동 열림 장치
ES2202767T3 (es) Cerradura electrica controlada por un interruptor que puede ser inhibio.
KR200198624Y1 (ko) 엔진룸내의 소음 및 먼지의 차실내 유입 차단구조
JPH0235564Y2 (ko)
KR980008411U (ko) 자동차의 리어 도어용 어린이 보호잠금장치
KR19980054730U (ko) 조명구가 장착된 도어 인사이드핸들
KR19980031587A (ko) 자동차의 윈도우 잠금장치
KR19980031512U (ko) 자동차의 수동 도어 레귤레이터용 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