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9054B1 - 전자 및 합성제품에 사용되는 기판용 유리 - Google Patents

전자 및 합성제품에 사용되는 기판용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9054B1
KR100229054B1 KR1019920011910A KR920011910A KR100229054B1 KR 100229054 B1 KR100229054 B1 KR 100229054B1 KR 1019920011910 A KR1019920011910 A KR 1019920011910A KR 920011910 A KR920011910 A KR 920011910A KR 100229054 B1 KR100229054 B1 KR 100229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cao
substrate
glass substrate
s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1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2259A (ko
Inventor
크리스틴퐁띠유
드니쁘띠메르
디디에주쓰
파스칼푸르니에
Original Assignee
르 바게레즈 에스.
생-고뱅 비뜨라지 엥떼르나시오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 바게레즈 에스., 생-고뱅 비뜨라지 엥떼르나시오날 filed Critical 르 바게레즈 에스.
Publication of KR930002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9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90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9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91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62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 C03C3/06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기판을 형성하기 위한 유리 성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는 다음과 같은 양이온 비율로 표현되는 수치로 구성되는 성분을 구비한다.
SiO2+ B2O357 내지 67 %
B2O35 내지 20 %
Al2O314 내지 18 %
RO(CaO+Mg+Ba+SrO) 18 내지 25 %
여기서 CaO/RO0.7와 CaO18%
Na2O + K2O 0 내지 0.5 %
TiO20 내지 2.5 %
Fe2O3 0.5 %
F20 내지 3 %
(여기서 F2는 양이온으로 간주됨)
본 발명은 활성 매트릭스 스크린의 제조에도 적용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유리기판
본 발명은 소정 형태로 전단될 때 그 위에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기판으로 사용되거나 액정 스크린과 같은 스크린의 제조에 사용되는 시트(sheet)로 변환 가능한 유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분야에 사용되는 공지의 유리는 다양하며 대부분 알루미노보로실리케이트 유리의 큰 집단에 속하며 이들은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 유리를 포함한다.
상기 유리는 기판이 가지고 있는 물리 화학적 특성에 따라 선택된다. 실제로 유리 기판이 박막 트랜지스터의 네트웍을 그 표면상에 갖는 경우, 상기 박막은 다수의 작업후에 얻어지며 작업동안에 유리는 상대적으로 고온을 받게된다. 유리는 작업중에는 변형되지 않으며 따라서 가능한 가장 높은 변형점을 갖는다. 또한 기판을 형성하는 유리의 열팽창 계수는 그 표면상에 침착된 막의 열팽창 계수와 양립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유리는 형성된 막내로 이동되어 트랜지스터의 네트웍 특성을 저하시키게 하는 성분을 포함하지 않아야 하며 특히 알칼리의 경우 포함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유리는 그 두께 및 표면이 가능한 균일한 유리 시트를 제조하는데 선택되는 공정에 적용되는 점도 및 불투명성(devitrification)을 가져야 한다.
상기 유리는 산매질, 특히 불화수소산에 기초한 용액에 대해 양호한 내화학성을 가져야 한다.
사용된 처리법중의 하나는 하방으로 수렴하면서 배수로(spillway)로 작용하는 장치의 측벽의 상부로 용탕 유리를 이동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유리는 측벽을 따라 유동함으로 평면 시트의 형태로 수직으로 아래로 배출되기전, 장치의 꼭대기에서 결합하는 두 흐름을 혀성한다. 이런 과정은 액상선 온도에서 적어도 2내지 3 x 105포이스와 같은 점성을 가진 유리를 요구한다. 이런 유리는 예를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 4,824,808호에 설명되어 있다.
다른 공정은 종래 부유 유리 기술에 따라 용융 주석의 욕위에 용융 유리를 퍼뜨림으로서 구성된다. 편평 스크린을 형성하기 위한 기판으로써 사용하기 위한 부유되는 유리 조성물은 특허출원 제WO 89/02877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이들 유리는 고함량의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을 가지는 알루미노보로실리케이트의 패밀리에 속한다. 반면 이들 유리는 이를 고려한 출원에 대해서 양호한 물리 화학적 특성을 소유하며, 이들 조성물은 B2O3, SrO 와 BaO와 같은 고가의 산화물을 고비율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 일예로 판단한다면 조성물은 부유 유리 공정용으로 상당히 점성이 있다. 사실상, logη = 4에 대응하는 온도는 1,150℃심지어 1,200℃이상이다. 보통 부유 유리(실리그 소다 칼크성 유리)용 동일한 점성에 대응하는 온도가 1,000 내지 1,050℃사이에 놓여지는 것을 상기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활성 매트릭스 스크린의 기판에 필요한 물리 화학적 특성을 소유하고 경제적인면에서 관심있는 부유하는데 적합한 유리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유리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주석욕(tin bath)의 표면에 퍼지는 유리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싼 구성요소의 제한된 양을 포함하는 유리 조성물이다.
이러한 목적은 아연 산화물을 포함하지 않는 유리 조성물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는 하기 주어진 한계내에서 양이온 퍼센트로 표현되는 하기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SiO2+ B2O357 내지 67 %
B2O35 내지 20 %
Al2O314 내지 18 %
RO(CaO+Mg+Ba+SrO) 18 내지 25 %
여기서 CaO/RO0.7와 CaO18%
Na2O + K2O 0 내지 0.5 %
TiO20 내지 2.5 %
Fe2O3 0.5 %
F20 내지 3 %
(여기서 F2는 양이온으로 간주됨)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조성물은 이를 포함하는 유리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이 용탕 주석욕과 이 욕위에 존재하는 감소된 대기압과의 접촉으로 부분적으로 감소되기 때문에 아연 산화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유리 밴드 또는 리본의 표면 조성물은 하부 유리 조성물과는 전혀 다르다. 이는 상기 밴드의 평행성(planeity)이 결여된다.
SiO2및 B2O3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의 투명 네트웍을 형성하고 그 안정성에 필수적인 두개의 주요 산화물이다.
상기 두 산화물이 합이 57%미만인 경우 유리의 화학 저항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다른 구성요소의 너무 많은 양의 존재에 결부된 불투명성 현상의 악화의 관찰이 감소된다.
이들 두 산화물의 합이 67%를 초과하고 B2O3함량이 낮은 경우 유리의 용융이 어렵게 되며, 그 점성이 현저하게 증가하고, 실리카에 근거한 결정체 타입 형성의 불투명성이 금속히 증가한다.
이러한 관계에서, B2O3함유량은 수용 가능한 한계치내에서 불투명성을 유지하기 위해 5%보다 적지 않아야만 한다. 더우기, 이러한 산화물은 불화수소산에 대하여 현저한 유리의 내화학성을 향상시키고 그 용융을 용이하게 하며 그 점성과 팽창계수를 감축하는데 필요하다. B2O3가 20%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의 내화학성의 향상에 더욱 기여하지 않으며 변형점을 낮춘다. 더우기, 이러한 산화물의 고함량은 유리화할 수 있는 혼합물의 비용을 증가시키고, 유리의 균일성에 해로운 영향을 주는 용융 동안에 물질의 증발 문제를 악화시킨다.
더욱 특정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는 유리 조성물은 양호하게 42내지 53%의 SiO2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Al2O3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안정화 역활을 수행한다. 그리고, 변형점을 상승시키고 어느정도로 유리의 내화학성을 증가시킨다. 대략 14%미만 또는 대략 18%이상의 Al2O3함유량은 불투명성의 증가를 야기한다.
또한, 알카리 토금속 산화물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에서 매우 중요한 역활을 수행한다. 즉, 이들은 유리의 용융을 도와주고 그 점성을 감소시킨다.
이들 산화물 중에서, CaO는 특별한 역활을 수행한다. CaO는 유리의 용융이 보다 용이하게 되도록 함과 동시에 그 점성 및 액상선 온도가 감축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산화물은 팽창계수를 과잉으로 증가시키지 않고 변형점이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에서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CaO의 양이온은 적어도 18%이어야만 한다. 더우기, CaO의 양이온은 유리 내로 유입되는 전체의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의 양이온의 합의 적어도 70%를 나타내며, 이러한 합은 18 내지 25%정도가 된다.
이러한 합이 18%이하일 때에 고온에서의 유리의 점도의 저하는 불충분하다. 이러한 합이 25%보다 크면, 불투명성의 경향이 현저하게 증가하고, 팽창계수가 또한 증가하고, 이는 BaO와 SrO의 함유량이 상승할때 더욱 빠르게 발생한다.
보다 정밀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조성물은 0내지 5%의 MgO, 0내지 4%의 BaO 및 0내지 4% SrO를 함유한다.
MgO의 유입은 유리의 점성과 그 팽창계수가 감축하게 되며, 그 내화학성이 증가하게 된다. 5% 이상에서는 유리 불투명성이 촉진되며 매우 높은 온도에서 발생된다.
BaO 및/또는 SrO의 유입은 고온에서 유리의 점성 저하를 증진하는데 즉, 이들 산화물은 또한 불투명성 위험성이 저하하게 된다.
이들이 꽤 많은 양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리내로 유입되면 열팽창 계수가 증가한다.
기판 표면을 덮는 막내로 원소의 이동현상을 피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리는 알칼리성 산화물의 극소량 또는 이를 함유하지 않아야 한다. 이들 산화물의 최대 함유량은 양이온으로서 대략 0.5%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는, 유리의 내화학성을 향상하는 TiO2유리의 용융을 촉진하고 그 점성을 감소시키고 석회로 대체할 때 그 내화학성을 증가시키는 불소와, 산화철과 같은 그외의 다른 성분을 함유할 수도 있다. Fe2O3의 형태로 표현되는 전체 철량은 양이온으로 대략 0.5%이하로 남는다.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유리 조성물은 양이온으로서 표현되는 하기의 한계치내에서 다음의 성분을 함유한다.
SiO242 내지 53 %
B2O35 내지 20 %
Al2O314 내지 18 %
CaO 18 내지 22 %
MgO 0 내지 5 %
BaO 0 내지 4 %
SrO 0 내지 4 %
Na2O + K2O 0 내지 0.5 %
TiO 0 내지 2.5 %
Fe2O3 0.5 %
F20 내지 3 %
여기서, SiO2와 B2O3의 합은 57 및 67%사이에 유지되고;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RO)의 합은 CaO/RO0.7상태로 18 및 25%사이에서 유지된다.
본원에 적용되는 물리 화학적 특성에 역효과를 주지않고, 본 발명에 따르는 유리 조성물의 비용을 최소로 유지하기 위해서 양호하게 스트론티늄과 바륨의 산화물의 퍼센테이지의 합은 6%와 같거나 또는 그 이하이다.
상술된 조성물을 가진 유리 시트로 형성된 기판의 표면위에 침착된 막내로 원소의 이동을 방지할 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리는 양호하게 대략 0.2% 보다 적은 Na2O의 비율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에 의해 제공되는 장점은 첨부된 표에 나타나 있는 예로부터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나타내는 유리의 열특성과 불투명성 및 점성은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그 내화학성은 산성용액에 담근 후 양면을 연마한 15 x 30 x 6mm의 유리판 시편에 의해 수행된 무게 손실을 측정함으로써 평가된다. 상기 손실은 mg/cm2로 나타낸다. 플루오르화 수소산(RHF)에 대한 저항은 플루오르화 암모늄과 플루오르화 수소산의 수용액의 대기온도에서 7시간 동안 담근후 측정된다. 상기 부식(attack)용액은 50%의 플루오르화 수소산과 40%의 플루오르화 암모늄을 1대 7의 무게비로 섞어 만든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는 천연적이고 적어도 약간의 불순물을 가지는 유리화할 수 있는 원료로 부터 준비된다.
그러므로 예 1에 상응하는 100g의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유리화할 수 있는 혼합물은 다음과 같다.
롱스보산 모래 : 55.327g
수산화 알루미나(프로라보) : 21.760g
쌩-제르벵산 석회석 : 37.712g
마그네슘 카본에이트 : 0.782g
붕산 : 15.793g
석고 : 0.295g
본 예에서, 황산칼슘은 정제제로써 사용된다. 염화칼슘과 염화바륨 및 황산 암모늄 또는 비소 무수물과 같은 다른 물질들은 본 발명의 유리의 생산에 상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리는 630℃이상의 변형점 및 대략 55 x 10-7/℃이하의 열팽창 계수와 플루오르화 수소의 부식에 대한 양호한 내식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는 고온에서 그 점성의 상당한 감소를 특징으로 한다. 실제로 log η=3.5에서의 온도는 1.180℃이하이고 그에 상응하는 유리를 위한 log η=4에서의 온도는 1,120℃이하이다. 이런 다양한 특성은 본 발명의 유리를 용융 주석 욕의 표면위에 쉽게 퍼지게 하여 부유유리기술에 의해 유리 리본을 얻을 수 있으며 그 두께는 엄격히 제어된다. 그와 같은 리본으로 부터 기판으로써 사용되는 유리는 절단 작업으로 만들어 진다.
본 발명의 유리는 또한 매우 낮은 최대 불투명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성은 1230℃에 도달하는 액상선 온도에도 불구하고 형성하는 동안에 유리의 불투명성의 위험을 무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는 기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기판위에는 미세한 박막 트랜지스터 네트웍(TFT)을 생산하기 위해, 주로 규소, SiOX, 인듐 주석(ITO) 또는 알루미늄으로 된 다양한 기본막 또는 코팅이 침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는 또한 채색된 필터의 구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유리는 Cr 또는 NiCr의 막으로 덮힌후 포토리소그라피에 의해 인쇄된다. 색(빨강, 녹색, 파란색)의 포장은 색의 침착과 포토리쏘그라피에 의해 만들어진다. 그 전체는 박막 폴리이미드의 막으로 덮여지고 그 다음 ITO로 덮여진다.
[표 a]
[표 b]
[표 c]

Claims (9)

  1. 전자 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유리 기판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양이온 비율로 하기에 나타낸 범위내의 성분으로 구성되며,
    SiO2+ B2O357 내지 67 %
    B2O35 내지 20 %
    Al2O314 내지 18 %
    RO(CaO+Mg+Ba+SrO) 약 18 내지 25 %
    여기서 CaO/RO0.7와 CaO18%
    Na2O + K2O 0 내지 0.5 %
    TiO20 내지 2.5 %
    Fe2O3 0.5 %
    F20 내지 3 %
    여기서 F2는 양이온이며, 상기 유리 기판은 630℃이상의 변형점과 약 55 x 10-7이하의 열팽창지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유리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양이온 비율로 나타낸 SiO2의함량은 약 42내지 53%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기판
  3. 제1항에 있어서,
    양이온 비율로 나타낸 CaO가 아닌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의 함량은 다음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
    MgO 약 0 내지 5%
    BaO 약 0 내지 4%
    SrO 약 0 내지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은 하기와 같은 구성성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기판
    SiO242 내지 53 %
    B2O35 내지 20 %
    Al2O314 내지 18 %
    CaO 18 내지 22 %
    MgO 0 내지 5 %
    BaO 0 내지 4 %
    SrO 0 내지 4 %
    Na2O + K2O 0 내지 0.5 %
    TiO 0 내지 2.5 %
    Fe2O3 0.5 %
    F20 내지 3 %
  5. 제4항에 있어서,
    BaO와 SrO의 양이온 비율의 합은 6%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Na2O의 양이온 비율은 0.2%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
  7. 용융 유리를 용융 주석 욕의 표면위로 퍼짐으로써 형성된 유리 밴드를 절단하여 제조되는 유리 시트에 있어서,
    상기 유리시트를 구성하는 유리 조성물은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의해서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시트.
  8. 기판위에 박막 트랜지스터의 네트웍을 형성하는 유리 기판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은 제7항에서 규정된 바와 같이 유리 시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
  9. 기판위에 칼라 필터를 제조할 수 있는 다양한 필름이 침착된 유리 기판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은 제7항에서 규정된 바와 같은 유리 시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기판.
KR1019920011910A 1991-07-02 1992-07-02 전자 및 합성제품에 사용되는 기판용 유리 KR1002290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108201A FR2678604B1 (fr) 1991-07-02 1991-07-02 Composition de verre trouvant application dans le domaine de l'electronique.
FR9108201 1991-07-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259A KR930002259A (ko) 1993-02-22
KR100229054B1 true KR100229054B1 (ko) 1999-11-01

Family

ID=9414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1910A KR100229054B1 (ko) 1991-07-02 1992-07-02 전자 및 합성제품에 사용되는 기판용 유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387560A (ko)
EP (1) EP0526272B1 (ko)
JP (1) JP3179577B2 (ko)
KR (1) KR100229054B1 (ko)
CA (1) CA2072826C (ko)
CZ (1) CZ285653B6 (ko)
DE (1) DE69223874T2 (ko)
ES (1) ES2113417T3 (ko)
FI (1) FI103405B (ko)
FR (1) FR2678604B1 (ko)
PL (1) PL168761B1 (ko)
TW (1) TW2030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92883B1 (fr) * 1992-06-25 1994-12-02 Saint Gobain Vitrage Int Verres thermiquement stables et chimiquement résistants.
US5508237A (en) * 1994-03-14 1996-04-16 Corning Incorporated Flat panel display
DE69508706T2 (de) 1994-11-30 1999-12-02 Asahi Glass Co Ltd Alkalifreies Glas und Flachbildschirm
US6236391B1 (en) * 1995-01-24 2001-05-22 Elo Touchsystems, Inc. Acoustic touch position sensor using a low acoustic loss transparent substrate
US5885914A (en) * 1995-07-28 1999-03-23 Asahi Glass Company Ltd. Alkali-free glass and display substrate
FR2747119B1 (fr) * 1996-04-05 1998-05-07 Saint Gobain Vitrage Procede de fabrication de verre en feuille par flottage
FR2774085B3 (fr) 1998-01-26 2000-02-25 Saint Gobain Vitrage Procede de fusion et d'affinage de matieres vitrifiables
JP2003519884A (ja) 2000-01-05 2003-06-24 ショット、グラス、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磁気媒体用ガラス基材及びそのようなガラス基材に基く磁気媒体
DE10133963B4 (de) * 2001-07-17 2006-12-28 Schott Ag Boroalkalisilicatglas und seine Verwendungen
JP4715258B2 (ja) * 2005-03-22 2011-07-06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およびガラス製造方法
FR2886288B1 (fr) * 2005-05-27 2007-07-06 Saint Gobain Substrats de verre pour ecrans plats
CN104250066A (zh) * 2005-08-15 2014-12-31 安瀚视特股份有限公司 玻璃组合物以及玻璃组合物的制造方法
JP5483821B2 (ja) * 2007-02-27 2014-05-07 AvanStrate株式会社 表示装置用ガラス基板および表示装置
CN109896740B (zh) * 2019-04-24 2022-04-22 成都光明光电股份有限公司 光学玻璃及光学元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6747A (en) * 1977-10-13 1979-09-04 Ppg Industries, Inc. Glass fiber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2748A (ja) * 1983-12-06 1985-07-01 Nippon Sheet Glass Co Ltd アルミノシリケ−トガラス
JPS61106437A (ja) * 1984-10-26 1986-05-24 Asahi Glass Co Ltd 多孔質ガラス用組成物及び多孔質ガラスの製造法
JPS62113758A (ja) * 1985-10-25 1987-05-25 株式会社住友金属セラミックス 低温焼成セラミツクス
DE3882039T2 (de) * 1987-10-01 1994-02-03 Asahi Glass Co Ltd Alkalifreies glas.
US4824808A (en) * 1987-11-09 1989-04-25 Corning Glass Works Substrate glass for liquid crystal display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6747A (en) * 1977-10-13 1979-09-04 Ppg Industries, Inc. Glass fiber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13417T3 (es) 1998-05-01
PL168761B1 (pl) 1996-04-30
CA2072826A1 (fr) 1993-01-03
FR2678604B1 (fr) 1993-11-12
JP3179577B2 (ja) 2001-06-25
EP0526272A1 (fr) 1993-02-03
CZ206592A3 (en) 1993-01-13
DE69223874T2 (de) 1998-08-13
FI923051A0 (fi) 1992-07-01
JPH05201744A (ja) 1993-08-10
CZ285653B6 (cs) 1999-10-13
KR930002259A (ko) 1993-02-22
FI103405B1 (fi) 1999-06-30
FI923051A (fi) 1993-01-03
US5387560A (en) 1995-02-07
DE69223874D1 (de) 1998-02-12
FI103405B (fi) 1999-06-30
FR2678604A1 (fr) 1993-01-08
EP0526272B1 (fr) 1998-01-07
PL295071A1 (en) 1993-05-17
TW203035B (ko) 1993-04-01
CA2072826C (fr) 2002-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71163B2 (ja) 無アルカリガラス
US5599754A (en) Glass composition for a substrate, and substrate for plasma display made thereof
KR960000032B1 (ko) 무알칼리 유리
US5348916A (en) Alkali free glass
KR100229054B1 (ko) 전자 및 합성제품에 사용되는 기판용 유리
CA1250324A (en) Strontium aluminosilicate glass substrates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s
JP2686788B2 (ja) 液晶表示装置の基体用ガラス
US5244847A (en) Alkali free glass
DE69916683T2 (de) Glassubstrat für Bildschirme
US5811361A (en) Alkali-free glass substrate
KR100378525B1 (ko) 플랫판넬디스플레이용알루미노실리케이트글라스판넬및이의제조방법
US5801109A (en) Alkali-free glass and flat panel display
US5326730A (en) Barium aluminosilicate glasses
US4994415A (en) SiO2 -Al2 O3 -BaO glass substrates with improved chemical resistance for use in display panels and others having thin films
US8071494B2 (en) Glass substrate for flat panel display,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display panel employing the same
US4640900A (en) Low expansion glass
JP3400018B2 (ja) 熱安定性の耐薬品性ガラス組成物
KR20010096555A (ko) 알칼리없는 규산 붕소 알루미늄 유리, 및 이 유리의 이용
JPH05193980A (ja) 高アルミナ、アルカリ土類ホウケイ酸塩ガラスを含むフラットパネル表示装置
KR20010089898A (ko) 알칼리없는 규산 붕소 알루미늄 유리, 및 이 유리의 이용
JPH05213627A (ja)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ー装置
US5885914A (en) Alkali-free glass and display substrate
JP2000159541A (ja) 無アルカリ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707625B2 (ja) ディスプレイ基板用無アルカリガラス
US4666868A (en) Strontium aluminosilicate glass substrates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