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8669B1 - A/v단자의 입력신호에 대한 노멀화질상태 구현장치 - Google Patents

A/v단자의 입력신호에 대한 노멀화질상태 구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669B1
KR100228669B1 KR1019960043263A KR19960043263A KR100228669B1 KR 100228669 B1 KR100228669 B1 KR 100228669B1 KR 1019960043263 A KR1019960043263 A KR 1019960043263A KR 19960043263 A KR19960043263 A KR 19960043263A KR 100228669 B1 KR100228669 B1 KR 100228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rminal
luminance
video signal
camc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3763A (ko
Inventor
장순종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43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8669B1/ko
Publication of KR19980023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6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Hi8캠코더의 A/V단자로부터 입력된 복합영상신호로 녹화/재생시에 분리된 색신호가 휘도신호에 주는 영향으로 인한 화질저하현상을 방지하여 노멀화질수준으로써의 녹화/재생기능이 가능토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기존 캠코더 시스템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기존 캠코더 시스템에서 휘도/색신호분리단을 삭제하고 3개의 스위치와 두 개의 필터를 추가하여 구성을 이룸으로써 기존 시스템 휘도/색신호분리단의 설계비용에 대한 절감효과와 캠코더의 카메라부가 소형화되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A/V단자의 입력신호에 대한 노멀화질상태 구현장치
본 발명은 캠코더의 A/V단자를 통해 입력된 복합영상신호의 녹화/재생시 노멀화질상태를 구현하기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캠코더와 같은 영상재생장치는 NTSC방식에 따라 A/V단자로 복합영상신호를 입력하여 녹화/재생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그러나, 복합영상신호를 휘도신호(Luminance signal; Y)와 색신호(Chrominance signal; C)로 분리하는 기능이 없는 비데오 Main IC를 이용하여 Hi8캠코더를 개발할 경우 녹화/재생시 색신호가 휘도신호에 영향을 주어서 므와레 비트(Moire Beat)와 같은 화질저하현상이 발생하고, 비데오 Main IC 외부에 Y/C분리단을 별도로 구성하여 복합영상신호를 분리하고 신호처리하였다. 첨부한 도면을 통해서 이에 대해 설명하도록한다.
제1도는 캠코더에서 외부 Y/C분리단을 나타낸 구성블록도이다.
도시한 제1도의 장치는 신호입/출력단(10)과 외부 Y/C분리단(30)으로 구성된다.
신호입/출력단(10)은 회로를 구동시키기위한 구동전원 VDD, A/V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입력부(11), 미도시된 마이콤의 제어에 의한 A/V단자를 통한 녹화신호(REC "H")를 출력하는 녹화신호부(12), 분리되어 출력되는 휘도/색신호에 대한 출력부(13,14), NTSC의 4체배 주파수 4FSC 그리고 접지 GND로 구성된다. 외부 Y/C분리단(30)은 복합영상신호를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하는 Y/C분리부(31), 휘도신호를 1H의 시간동안 지연시키는 1H 지연부(32), 마이콤의 제어신호(REC "H")에 따라 동작하는 스위칭부(33) 그리고 입력신호의 충격 등을 완화하여 출력하는 버퍼부(34)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장치의 동작을 알아보도록 한다.
캠코더의 외부 A/V단자로 복합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이 복합영상신호는 신호입/출력단(10)의 복합영상신호입력부(11)를 통하여 외부 Y/C분리단(30)의 Y/C분리부(31)에 입력된다. Y/C분리부(31)는 입력된 복합영상신호를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한다. 분리된 색신호는 스위칭부(33)에 입력되고, 분리된 휘도신호는 NTSC신호의 시스템상 1H 지연부(32)로 입력된다. 1H 지연부(32)에 입력된 휘도신호는 버퍼부(34)를 거쳐 스위칭부(33)에 입력된다. 스위칭부(33)는 녹화신호부(12)로부터 마이콤의 제어에 의한 A/V단자를 통한 녹화신호(REC "H")를 인가받으면 입력된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휘도신호출력부(13)와 색신호출력부(14)로 각각 출력한다. 이 출력된 휘도신호와 색신호는 비데오 Main IC의 신호처리부(미도시됨)로 입력되어 처리된다.
이렇게 별도의 Y/C분리단을 구성하여 복합영상신호를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하여 신호처리된다.
이와 같이, A/V단자로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를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하는 기능이 없는 비데오 Main IC를 이용한 Hi8캠코더는 원하는 화질을 얻기위해 Y/C분리단을 별도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Y/C분리단을 별도로 갖추기 위해서는 설계비용의 상승현상이 초래되었고, 캠코더의 카메라부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제1도는 외부 Y/C분리단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A/V단자로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로써 노멀화질상태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구성블록도.
제3도는 제2도의 장치에 대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호입/출력단 20 : 모드선택신호부
21, 23, 27 : 스위치 22 : 카메라부
24 : 메인비데오신호처리부 25 : BPF
26 : LPF 30 : 외부 Y/C분리단
31 : Y/C분리부 32 : 1H지연부
33 : 스위칭부 34 : 버퍼부
40 : 신호입력부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캠코더의 기존 시스템을 최대한 활용하고, 기존의 외부 Y/C분리단을 삭제하면서 A/V단자로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를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하여 화질저하현상을 방지하기위한 3개의 스위치와 2개의 필터를 추가하여 S단자를 통한 녹화/재생시에는 슈퍼(Super)화질상태를 구현토록하고, A/V단자를 통한 녹화/재생시에는 노멀화질상태를 갖도록하는 것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A/V단자로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로써 노멀화질상태를 구현하기위한 장치에 대한 구성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도의 장치는 기존 캠코더의 시스템에서 외부 Y/C분리단(전술한 제1도에 도시되었음)을 삭제하고,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가능한 동작을 진행토록 하는 3개의 스위치와 특정 대역의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밴드패스필터(Band-Pass Filter; BPF), 그리고 낮은 대역의 주파수는 감쇠없이 통과시키고 높은 대역의 주파수에 대해서는 큰 감쇠를 주는 로우패스필터(Low-Pass Filter; LPF)를 포함시켜 그 구성을 형성한다.
이제 제2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캠코더에서 A/V단자로 신호입력을 통한 녹화모드가 선택되면 모드선택신호부(20)에서는 미도시된 마이콤의 제어하에 그 선택신호(A/V REC "H")를 제1스위치(21)에 인가한다. 한편, 신호입력부(40)에는 A/V단자로부터 복합영상신호(Composite Signal; Com. S.)가 입력되어 제1스위치(21)로 인가된다. 제1스위치(21)는 모드선택신호부(20)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인식하여 인가된 복합영상신호를 카메라부(22)로 출력한다. 카메라부(22)는 입력된 복합영상신호를 1H의 시간동안 지연시키며 노이즈처리 등을 한다. 카메라부(22)에서 처리된 복합영상신호는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되어 출력된다. 출력된 색신호는 제2스위치(23)에 인가되어 메인비데오신호처리부(Main Video Signal Processor)(24)로 입력된다. 출력된 휘도신호는 카메라부(22) 출력단의 BPF(25) 동작에 의해 휘도신호에 실려있는 색신호의 잔여성분이 제거되고, LPF(26)의 동작에 의해 고역신호가 컷트(Cut)되어 제3스위치(27)로 인가된다. 제3스위치(27)에 인가된 휘도신호는 메인비데오신호처리부(24)로 입력된다. 메인비데오신호처리부(24)는 인가된 휘도/색신호를 신호처리한다.
이렇게하여 A/V단자로 입력된 복합영상신호가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되어 화질저하현상이 방지되고 노멀화질수준으로써 녹화/재생기능이 구현된다.
다음으로, 캠코더에서 S단자를 통한 녹화모드가 선택되면 모드선택신호부(20)에서는 미도시된 마이콤의 제어하에 그 선택신호(S REC "H")를 제2스위치(23)와 제3스위치(27)에 인가한다. 그리고, 신호입력부(40)에는 S단자로부터 입력되는 휘도신호가 입력되어 제3스위치(27)에 인가되고, 또한 S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색신호가 제2스위치(23)에 인가된다. 제3스위치(27)는 모드선택신호부(20)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인식하여 입력된 휘도신호를 메인비데오신호처리부(24)로 출력한다. 또한, 제2스위치(23)도 모드선택신호부(20)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인식하여 입력된 색신호를 메인비데오신호처리부(24)로 출력한다. 메인비데오신호처리부(24)는 인가된 휘도/색신호를 신호처리한다. 이렇게하여 S단자로 입력된 신호는 메인비데오신호처리부(24)에서 신호처리되어 슈퍼화질로써 녹화/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A/V단자의 신호입력을 통한 녹화/재생시에 캠코더 모드선택신호부(20)에서 비데오메인 IC CTL용 시리얼데이타(Serial Data)신호는 카메라녹화모드 데이터로써 메인비데오신호처리부(24)로 입력된다.
제3도는 제2도의 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회로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한다.
캠코더에서 A/V단자로 신호입력을 통한 녹화모드가 선택되면 모드선택신호부(20)로부터 미도시된 마이콤의 제어하에 그 선택신호(A/V REC "H")가 트랜지스터 Q3, Q5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 Q3, Q5는 동작상태가 된다. 트랜지스터 Q3이 동작상태가 되어 트랜지스터 Q1도 또한 동작상태가 된다. 그래서, 트랜지스터 Q1을 통해서 A/V단자로부터 신호입력부(40)에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는 카메라부(22)로 인가된다. 카메라부(22)는 인가된 복합영상신호를 1H의 시간동안 지연시키며 노이즈처리 등을 한다. 카메라부(22)에서 처리된 복합영상신호는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되어 출력된다. 출력된 색신호는 제2스위치(23)로 인가되어 메인비데오신호처리부(24)로 입력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 Q5가 동작상태에 있으므로 리액턴스 L1, 콘덴서 C5, 저항 R8로 이루어진 BPF(25)와 리액턴스 L2, 콘덴서 C6로 이루어진 LPF(26)도 동작하게 된다. 그래서 카메라부(22)로부터 출력된 휘도신호는 BPF(25)의 동작에 의해 휘도신호에 실려있는 색신호의 잔여성분이 제거되고, LPF(26)의 동작에 의해 고역신호가 컷트되어 제3스위치(27)에 인가된다. 제3스위치(27)에 인가된 휘도신호는 메인비데오신호처리부(24)로 입력된다. 메인비데오신호처리부(24)는 인가된 분리 휘도/색신호를 신호처리한다.
이렇게 BPF(25)와 LPF(26)의 동작에 의해서 휘도신호의 잔여 색신호를 제거하고 또한, 고역신호를 컷트함으로써 사이드 이펙트(Side Effect)로 인한 화질 역효과발생이 방지되어 노멀화질수준으로써 녹화/재생기능이 구현된다.
캠코더의 S단자 신호입력을 통한 녹화모드가 선택될 때와 시리얼데이터에 대한 신호동작은 전술한 제2도의 장치에서의 동작과 동일하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기존의 캠코더 시스템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3개 스위치와 BPF 그리고 LPF를 추가로 구성하여 A/V단자를 통한 복합영상신호로써 녹화/재생시에 노멀화질수준으로써의 녹화/재생기능이 가능토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종래 구성된 Y/C분리단을 삭제하여 구현되므로 부품들로 인한 비용절감효과가 있으며, 캠코더의 비데오부가 소형화되는 잇점도 있다.
본 발명은 캠코더의 A/V단자 입력신호에 대한 노멀(Normal)화질상태 구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Claims (4)

  1. 캠코더에 있어서, AV단자에 의한 녹화모드선택시 A/V단자로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를 인가받아 카메라부로 출력하는 제1스위치; 상기 카메라부에서 출력되는 색신호를 인가받아 메인비데오신호처리부로 출력하는 제2스위치; 상기 카메라부에서 출력되는 휘도신호에서 색신호의 잔여성분과 고역의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를 거쳐 처리된 휘도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메인비데오신호처리부로 출력하는 제3스위치를 포함하는 A/V단자의 입력신호에 대한 노멀(Normal)화질상태 구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휘도신호에서 색신호의 잔여성분을 제거하는 밴드패스필터(Band-Pass Filter; BPF); 및 상기 휘도신호에서 고역의 신호를 컷트(Cut)하는 로우패스필터(Low-Pass Filter; LPF)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A/V단자의 입력신호에 대한 노멀화질상태 구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치는 S단자에 의한 녹화모드선택시 S단자로 입력되는 색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메인비데오신호처리부로 출력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A/V단자의 입력신호에 대한 노멀화질상태 구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스위치는 S단자에 의한 녹화모드선택시 S단자로 입력되는 휘도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메인비데오신호처리부로 출력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A/V단자의 입력신호에 대한 노멀화질상태 구현장치.
KR1019960043263A 1996-09-30 1996-09-30 A/v단자의 입력신호에 대한 노멀화질상태 구현장치 KR100228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263A KR100228669B1 (ko) 1996-09-30 1996-09-30 A/v단자의 입력신호에 대한 노멀화질상태 구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263A KR100228669B1 (ko) 1996-09-30 1996-09-30 A/v단자의 입력신호에 대한 노멀화질상태 구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763A KR19980023763A (ko) 1998-07-06
KR100228669B1 true KR100228669B1 (ko) 1999-11-01

Family

ID=19475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263A KR100228669B1 (ko) 1996-09-30 1996-09-30 A/v단자의 입력신호에 대한 노멀화질상태 구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86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763A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7840A (en) Luminance signal/chrominance signal separating circuit and a noise reduction circuit using a 3 line logical comb filter
KR100228669B1 (ko) A/v단자의 입력신호에 대한 노멀화질상태 구현장치
US5060056A (en) Luminance signal/color signal separating circuit and noise reduction circuit using a comb filter
KR930010356B1 (ko) 동적응재생회로
KR100387454B1 (ko) 비디오신호처리장치
US6421496B1 (en) Camcorder signal processor having superimposition capability and dual PLL
JPS58141088A (ja) 映像増幅回路
JPH05103231A (ja) ノイズリダクシヨン回路
KR920002444Y1 (ko) Pal/secam 방식의 휘도 신호 처리회로
KR930005151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녹음재생회로
JP3131903B2 (ja) 接続切換装置
KR940005013Y1 (ko) 흑백 신호의 기록 및 재생시 고주파 소멸 방지회로
JP2788916B2 (ja) 画像処理装置
JP2722447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900010797Y1 (ko) 필터 회로
KR940000967Y1 (ko) 멀티 영상 처리 시스템의 색신호 절환회로
US5122867A (en)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having a band pass filter following a delay circuit in a comb filter arrangement
JP2815580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3386692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H075738Y2 (ja) テレビ一体型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2508528B2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H05236508A (ja) 撮像記録システム及び記録装置
JPS5813092A (ja) 帰還形くし形フイルタ
JPH0290794A (ja) くし形フィルタ回路
EP0608935A2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and processing a video signal and circuit arrangement for such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