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0797Y1 - 필터 회로 - Google Patents

필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797Y1
KR900010797Y1 KR2019880005935U KR880005935U KR900010797Y1 KR 900010797 Y1 KR900010797 Y1 KR 900010797Y1 KR 2019880005935 U KR2019880005935 U KR 2019880005935U KR 880005935 U KR880005935 U KR 880005935U KR 900010797 Y1 KR900010797 Y1 KR 9000107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ilter
circuit
level
notch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59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20709U (ko
Inventor
히사또시 후꾸다
Original Assignee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이노우에 도시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이노우에 도시야 filed Critical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207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207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7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7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1/00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 H03H11/02Multiple-port networks
    • H03H11/04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 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필터 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필터회로의 한 실시예 블럭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하는 블럭구성도면의 구체적 회로도.
제3a도 내지 e도는 제1도면에 도시하는 블럭구성의 각 구성부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파형도.
제4a도 내지 c도는 제1도면에 도시하는 블럭구성의 각 구성부분의 특성도.
제5도는 종래의 노치필터의 회로도.
제6도 및 제7도는 제5도 도시의 노치필터의 동작 설명용 신호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력단자 2 : 비선형 고역신장회로
3 : 노치필터 4 : 제어신호 입력단자
5 : 비선형 고역압축회로 6 : 출력단자
본 고안은 필터회로에 관계하며 여컨대, 영상 신호 처리회로에 쓰이며, Yc분리후의 휘도신호(이하 y신호로 기술하기로 한다)를 제거하며 또한, 필터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억압하는 필터회로에 관한다.
종래, 필터와 비선형 고역신장회로와 비선형 고역압축회로로 구성된 필터회로는 없었다. 그래서, 필터만을 갖춘 종래의 필터회로의 동작을 제5도 내지 제7도와 더불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한 예로서 필터에 노치필터를 적용했다. 제5도는 종래의 노치 필터의 회로도, 제6도 및 제7도는 제5도 도시인 노치 필터의 동작설명용 신호파형도면이다.
종래부터, YC분리후 y신호중에 불요신호성분으로서 잔존하는 C신호를 제거하기 위해서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노치필터가 쓰이고 있었다. 이 노치필터는 제4b도에 도시하는 것같은 특성을 가지며 제어신호SC가 로우레벨일때에는 입력신호를 그대로 출력하며 제어신호 SC가 하이레벨일 경우에는 C신호 중심주파수성분 fsC를 중심으로 소정의 고역주파수성분(성분신호성분)으로 감쇄(트랩특성)을 부여한다.
이 제어신호 SC는 yC분리후의 y신호중에 잔존하는 C신호를 검출하는 검출회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며 잔존하는 C신호가 소정량보다 많을때에는 하이레벨이 되며, 소정량보다 작을때에는 로우레벨이 된다. 이 같이 제어신호로 특성이 시간축 방향에서 변화하는 필터를 시변필터라고 부른다.
이 시변필터인 노치필터에 제6도(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yc분리후의 y신호중에 불요신호성분으로써 잔존하는 c신호에 상당하는 입력신호 Sa(주파수 성분 fsc)가 입래한다. 이때, 노치필터는 제6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제어신호 SC에 의해서 제6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출력신호 Sf를 출력한다. 이 출력신호 Sf에는 제어신호 Se의 절환시에 발생하는 제6c도에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은 잡음(불요 린깅그리치노이즈 등)이 중첩되어 있다.
또, 제어신호 Se의 하이레벨로부터 로우레벨로의 절환시에도 마찬가지 잡음이 중첩되어 있었다.
또한, 제7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신호인 입력신호 Sg가 노치필터에 입래해도 제어신호 Sc의 절환시에 제7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h가 가끔 출력되어 있었다.
상술과 같이 종래의 필터회로에서는 필터통과시에 잡음이 전송신호에 중첩되며 그 중첩된 잡음을 억압하지 않고 출력하고 있었으므로 전송신호의 품질이 열화되어 있었다.
또, 불요신호성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지하기 위해서 필터의 신호감쇄량을 크게 하면 보다 큰 잡음이 발생하며 또한 이 필터를 본래 통과해야할 필요한 신호 성분까지도 제거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공급되는 신호를 대역 수준 신장해서 출력하는 비선형 고역신장회로와 이 비선형 고역신장회로의 출력신호가 공급되며 제어신호에 의해서 특성이 시간축 방향에서 변화하는 필터와 이 필터의 출력신호가 공급되며, 그 신호를 대역레벨 압축해서 출력하는 비선형 고역 압축회로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필터회로의 실시예 제1도 내지 제4도를 써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필터회로의 한 실시예 블럭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하는 블럭구성도의 구체적 회로도, 제3도(a) 내지 (e)는 제1도에 도시하는 블럭구성의 각 구성부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파형도, 제4도(a) 내지 (c)는 제1도에 도시하는 블럭구성의 각 구성부분의 투성도이다.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단자(1)에 입래하는 신호는 비선형 고역신장회로(2)를 거쳐서 노치필터(3)에 공급된다. 노치필터(3)는 제어신호 입력단자(4)를 가지며 이 입력단자(4)에 공급되는 제어신호로 온.오프된다. 노치필터(3)의 출력신호는 비선형 고역압축회로(5)를 거쳐서 출력단자(6)에 공급된다. 제2도에 도시하는 각 회로구성은 각각 종래의 회로구성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제1도에 도시하는 본 고안에 의한 필터회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4도중 fL은 고역신장회로(2) 및 고역압축회로(5)에 공통인 저역변곡점, fH는 고역신장회로(2) 및 고역압축회로(5)에 공통인 고역변곡점이다.
입력단자(1)에 입래하는 신호는 제3도(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yc분리후의 y신호중에 불요신호 성분으로서 잔존하는 c신호에 상당하는 입력신호 Sa(주파수 성분은 fsc, 진폭은 -30dB)이다. 이 입력신호 Sa는 제4도(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특성을 가지고 고역신장회로(2)에 공급된다. 여기에서 입력레벨 -30dB인 입력신호 Sa는 10dB레벨 신장되며 제3b도 도시하는 바와 같은 신장신호 Sb(-20dB)로서 출력되며 다음 단계의 노치필터(3)에 공급된다.
노치필터(3)는 제4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트랩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 인가된 신장신호 Sb는 제3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제어신호 Sc가 하이레벨일때, 6dB 트랩되며, 제3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제어신호 Sc가 하이레벨일때 6dB트랩되며, 제3d도에 도시하는 것같은 필터 출력신호(Sd)로서 고역압축회로(5)에 공급된다. 이 필터출력신호 Sd에는 제어신호 Sc의 절환시에 발생하는 제3d도에 점선으로 도시하는 것같은 잡음이 중첩되어 있다.
고역압축회로(5)는 제4c도에 도시하는 것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20dB의 입력신호를 10dB레벨압축하고 또, -26dB의 입력신호를 14dB레벨 압축하는 특성을 가지는 회로이다. 따라서, 고역압축회로(5)는 입래한 필터출력신호 Sd를 여기에서 레벨 압축해서 제3e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압축신호 Se를 출력단자(6)에 공급한다.
상술과 같이 6dB트랩의 노치필터(3)를 가지는 제1도 도시의 본 실시예의 필터회로는 그 노치필터(3)가 온시(제어신호 Sc가 하이레벨시), 입력레벨 -30dB의 입력신호 Sa를 10dB레벨 압축해서 신호레벨 -40dB의 압축신호 Se로서 여기에서 출력할 수 있다. 이것은 종래 6dB 트랩의 노치필터(3)로부터는 6dB의 감쇄밖에는 얻을 수 없었음에 대해서 상술한 제1도에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 이것을 사용하므로서 불요신호성분을 10dB감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종래의 것과 비교해서 감쇄량을 4dB 확대할 수 있다는 현저한 효과가 생긴다.
또한, 상술한 구성으로 제어신호 절환시에 노치 필터(3)에서 발생하는 잡음은 고역의 소레벨 신호성분임으로 고역압축회로(5)로 효과적으로 압축된다. 즉, 제3d도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잡음레벨이 제3e도에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은 잡음레벨까지 억압된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노치필터(3)가 가지는 트랩양보다 큰 신호감쇄량을 회로전체로서 얻어진다. 따라서, 종래의 노치필터의 트랩양보다 작은 트랩양을 가지는 노치필터(3)를 사용해도 종래와 동등한 불요신호성분 제거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입래하는 신호의 불요신호성분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필요한 신호성분을 제거하지 않고 입래시의 파형을 유지해서 출력된다.
또한, 상술한 구성은 노치필터를 쓰고있는데 이것에 한정됨이 없고 이 대신으로 저역통과필터를 사용해도 되며 또, 제어신호로 특성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필터를 써도 된다.
또, 상술한 고역신장회로 및 고역압축회로는 각각 대역신장회로 및 대역압축회로여도 된다. 또한, 주지의 자기기록재생장치(VTR)등에는 그 신호처리계에 본 실시예와 마찬가지인 고역신장회로 및 고역압축회로를 갖춘것이 있으며 이 고역신장회로 및 고역압축회로를 본실시예의 필터회로와 공용한다면 저원가로 효율있게 본 실시예를 실현 할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필터회로를 구성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하의 효과를 가진다.
1. 시변필터 특성의 변화시에 발생하는 불요린깅, 그리치노이즈등의 잡음을 대폭으로 억압할 수 있다.
2. 작은 신호 감쇄량을 가지는 시변필터를 써도 회로 전체로서 큰 신호압축량이 얻어지므로 입래하는 신호의 불요신호성분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필요한 신호성분을 품질열화하지 않고 출력할 수 있다.
3. 작은 신호감쇄량을 가지는 시변필터를 쓸 수 있으므로 시변필터 특성의 변화시에 급격한 신호감쇄에 기인해서 발생하는 불요링깅등의 잡음을 저감할 수 있다.

Claims (1)

  1. 공급되는 신호를 대역레벨 신장해서 출력하는 비선형 고역신장회로와 이 비선형 고역신장회로의 출력신호가 공급되며 제어신호에 의해서 특성이 시간축 방향에서 변화하는 필터와 이 필터의 출력신호가 공급되며 그 신호를 대역레벨 압축해서 출력하는 비선형 고역압축 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회로.
KR2019880005935U 1987-04-28 1988-04-27 필터 회로 KR90001079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4637 1987-04-28
JP1987064637U JPH0537545Y2 (ko) 1987-04-28 1987-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709U KR880020709U (ko) 1988-11-30
KR900010797Y1 true KR900010797Y1 (ko) 1990-11-30

Family

ID=30900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5935U KR900010797Y1 (ko) 1987-04-28 1988-04-27 필터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37545Y2 (ko)
KR (1) KR900010797Y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7309A (en) * 1978-01-18 1979-08-01 Onkyo Kk Noise suppres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171025U (ko) 1988-11-08
JPH0537545Y2 (ko) 1993-09-22
KR880020709U (ko) 1988-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3472B1 (ko) 빗살형 필터 회로
US5047840A (en) Luminance signal/chrominance signal separating circuit and a noise reduction circuit using a 3 line logical comb filter
KR900010797Y1 (ko) 필터 회로
KR0136232B1 (ko) 휘도 신호/컬러 신호 분리 회로
KR930010356B1 (ko) 동적응재생회로
US5014118A (en) Luminance signal processing circuit using 3 line logical comb filter
KR930001131A (ko) 영상 기록 장치
US5021884A (en) Noise reducer circuit for video signal
US4607284A (en) Movement-adaptive transversal-recursive noise suppression circuit for a television signal
US20080088745A1 (en) Signal separator
KR19980079061A (ko) 휘도 및 색 신호 분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휘도 및 색 신호 분리 회로
KR100200684B1 (ko) 잡음 제거 회로
KR100228669B1 (ko) A/v단자의 입력신호에 대한 노멀화질상태 구현장치
KR920002444Y1 (ko) Pal/secam 방식의 휘도 신호 처리회로
KR100286278B1 (ko) 인접신호의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KR900003078B1 (ko) 영상신호의 잡음저감회로
JPS58141088A (ja) 映像増幅回路
KR0141679B1 (ko) 디지탈 콤필터의 고역 보상회로
JP2647652B2 (ja) クロマ信号処理回路
JPH0580867B2 (ko)
KR970004200B1 (ko) 멀티 시스템의 휘도 신호 분리회로
SU1626458A1 (ru) Устройство разделени сигналов ркости и цветности
KR950006599Y1 (ko) 복합 티브이 방송의 영상/음성 검파 입력회로
KR0136505Y1 (ko) 음성복조회로
JPH04320194A (ja) 映像信号処理回路及び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9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