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7649B1 - 회전커넥터 - Google Patents

회전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7649B1
KR100227649B1 KR1019970015752A KR19970015752A KR100227649B1 KR 100227649 B1 KR100227649 B1 KR 100227649B1 KR 1019970015752 A KR1019970015752 A KR 1019970015752A KR 19970015752 A KR19970015752 A KR 19970015752A KR 100227649 B1 KR100227649 B1 KR 100227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ousings
lock member
arm
arm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5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2565A (ko
Inventor
겐이치로 니시키기
요시로 혼다
노부오 마츠자키
히데시 사사키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970072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2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01R35/025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having a flexible conductor wound around a rotation axi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로크부재의 장착중에는 양 하우징간의 자유로운 회동을 확실하게 로크할 수 있고, 로크를 해제할 때에는 로크부재를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에 의하여 용이하게 파단할 수 있게 한 회전커넥터의 제공.
(해결수단) 고정측 하우징(1)의 외측원통부(5)에 슬롯(6a)을 가지는 유지벽(6)을 일체로 성형함과 아울러 가동측 하우징(2)의 윗면(8)에 돌기(8a)를 형성한다. 합성수지제의 로크부재(4)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암부(4a)와 이 암부(4a)의 일단측에 연속하는 환형상의 손잡이부(4b)와 암부(4a)의 타단측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4c)를 일체로 성형하고, 또한 암부(4a)와 고정부(4c)와의 경계부에 쐐기형상의 절결부(11)를 형성하여 다른 부위에 비해 기계적 강도를 낮게 한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4d)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로크부재(4)의 고정부(4c)를 슬롯(6a)에 스냅결합시킴과 동시에 이 로크부재(4)의 암부(4a)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12)에 돌기(8a)를 걸어맞춰서 양 하우징(1,2)간의 자유로운 회동을 로크상태로 유지하고, 로크부재(4)의 이탈시에는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4d)을 지지점으로 하여 손잡이부(4b)와 암부(4a)를 들어올림으로써 암부(4a)와 고정부(4c)를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4d)에서 분리시키고, 분리된 고정부(4c)가 슬롯(6a)에 스냅결합된 상태로 남게 하였다.

Description

회전커넥터
본 발명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한쌍의 하우징간의 전기적 접속을 가요성 케이블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회전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커넥터를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장착할 때에 양 하우징을 회전의 중립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로크기구에 관한 것이다.
회전커넥터는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한쌍의 하우징과 이 양 하우징간에 구획되는 환형상 수납부내에 권취된 상태로 수납되는 가요성 케이블로 대략 구성되며, 이 가요성 케이블의 양단은 양 하우징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의 전원에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가동축 하우징을 고정측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시키면, 그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가요성 케이블이 수납부내에서 감겨 조여지거나 혹은 되감기게 되는데, 이러한 모든 상태에서도 양 하우징간의 전기적 접속이 가요성 케이블을 통하여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회전커넥터는 스티어링장치의 스테이터부재인 콤비네이션 스위치등에 고정측 하우징이 부착되고 스티어링장치의 로터부재인 핸들에 가동측 하우징이 각각 부착되어, 핸들에 장착된 에어 백 인프레이터나 혼 스위치 등의 전기적 접속수단으로서 사용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회전커넥터는 핸들의 회전중립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정ㆍ역방향으로 거의 동일한 회전량으로 회전할 수 있어야 하므로, 회전커넥터를 스티어링장치에 설치할 때까지 회전커넥터에 장착된 로크부재에 의해서 양 하우징이 회전중립위치에 유지되도록 한 로크기구를 구비한 회전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로크기구를 구비한 회전커넥터의 종래예로서, 합성수지제의 로크부재에 고정부와 손잡이부 및 걸림편을 일체로 성형함과 아울러 고정부와 손잡이부 사이에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을 형성하고, 이 로크부재를 이용하여 양 하우징의 자유로운 회전을 로크하도록 한 회전커넥터가 있다. 즉, 회전중립위치에 위치결정된 양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로크부재의 고정부를 일측 하우징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에 끼워 유지시킴과 동시에 걸림편을 타측 하우징에 형성된 회전규제부에 걸어맞추면, 양 하우징의 자유로운 회전이 이 로크부재에 의해서 로크된다. 이러한 로크상태는 회전커넥터를 스티어링장치에 설치하기 직전까지 유지된다.
상기 로크부재는 회전커넥터를 스티어링장치에 설치할 때에 손잡이부에 손가락이나 지그(jig)를 걸고서 잡아당김으로써, 손잡이부와 걸림편이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에서 파단(破斷)되어 하우징에서 제거되기 때문에 로크부재에 의한 양 하우징의 로크동작이 해제된다. 이 로크동작이 해제된 상태, 즉 잠겨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고정부가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에 의해서 로크부재로부터 파단되어 일측 하우징의 걸어맞춤구멍내에 남기 때문에, 로크부재가 불필요하게 이탈된 것을 고정부의 존재여부에 의해서 체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회전커넥터에서는 로크부재의 손잡이부와 고정부가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손잡이부의 인출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을 간단히 끊어뜨릴 수 있을 정도의 기계적 강도로 설정하면, 로크상태시에 로크부재나 하우징에 작용하는 외력으로 인하여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이 불필요하게 파단되어 버릴 우려가 있고, 반대로 로크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면, 로크상태를 해제할 때에 로크부재의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을 쉽게 파단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회전커넥터와 로크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상기 로크부재의 장착동작을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상기 회전커넥터가 상기 로크부재에 의해서 로크된 상태 및 로크해제동작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4는 로크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관한 회전커넥터와 로크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로크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 1 하우징 2 : 제 2 하우징
3 : 가요성 케이블 4 : 로크부재
4a : 암(arm)부 4b : 손잡이부
4c : 고정부 4d :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
4f : 잠금부 5 : 외측원통부
6 : 유지벽 6a : 슬롯(걸림부)
6b : 끝부 8 : 윗면
8a : 돌기(회전규제부) 10 : 내측원통부
11 : 절결부 12 : 걸어맞춤구멍
13 : 스냅편 14 : 윗판
15 : 멈춤부(회전규제부) 16 : 슬롯(걸림부)
본 발명은 로크부재에 암부와 이 암부의 일단측에 연속하는 손잡이부와 암부의 타단측에서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 로크부재의 고정부를 제 1 하우징의 걸림부에 유지시킴과 동시에 이 로크부재의 암부를 제 2 하우징의 회전규제부에 걸어맞춤으로써 양 하우징간의 자유로운 회동이 저지되는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같이 로크부재의 손잡이부와 고정부 사이에 이 고정부에 거의 직교하는 암부를 형성하면, 손잡이부를 잡아당겨서 로크상태를 해제할 때에 지레대 원리에 의하여 암부가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암부를 고정부로부터 용이하게 파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및 제 2 하우징과 이들 양 하우징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가요성 케이블과 상기 양 하우징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고 그 장착시에 양 하우징간의 자유로운 회동을 저지하는 로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부재에 암부와 이 암부의 일단측에 연속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암부의 타단측에서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양 하우징간의 자유로운 회동이 저지되는 로크시에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 1 하우징의 걸림부에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 암부가 상기 제 2 하우징의 회전규제부에 걸어맞춰지고,
상기 양 하우징간이 회동가능하게 되는 비로크시에는 상기 암부가 상기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에서 파단되어 상기 고정부로부터 분리되고, 이 고정부가 상기 걸림부에 보류(保留)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걸림부는 예를들면 제 1 하우징에 형성된 슬롯이고, 이 경우 로크부재의 고정부는 슬롯에 스냅결합되는 스냅편을 가진다.
상기 회전규제부는 예를들면 제 2 하우징에 형성된 돌기이고, 이 경우 로크부재의 암부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걸어맞춤구멍을 가진다. 또한, 이것과 반대로 제 2 하우징에 회전규제부로서의 걸어맞춤구멍을 형성하고, 이 걸어맞춤구멍에 삽입되는 돌기를 로크부재의 암부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 근방에 쐐기형상의 절결부를 형성하면,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의 기계적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서도 암부를 고정부로부터 용이하게 파단할 수 있다.
또, 상기 양 하우징중 어느 일측을 고정체로 하고 타측을 가동체로 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제 1 하우징을 고정체로 하고 제 2 하우징을 가동체로 하여 사용하면, 비로크시에 고정부가 고정측 하우징에 보류되기 때문에 사용중에 고정부가 걸림부로부터 쉽게 탈락하지 않게 되므로, 탈락한 고정부에 기인하는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커넥터는 제 1 하우징으로서의 고정측 하우징(1)과 제 2 하우징으로서의 가동측 하우징(2)과 이들 양 하우징(1,2)내부에 권취된 상태로 수납되는 가요성 케이블(3)(도 3 참조)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회전커넥터에 대하여 로크부재(4)가 착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합성수재제의 고정측 하우징(1)은 링형상의 외측원통부(5)를 가지는 유저형상(有低形狀:바닥부를 가지는 형상)으로 성형되며, 외측원통부(5)의 외측둘레면에는 유지벽(6)과 다이렉트 커넥터(7)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벽(6)은 걸림부로서의 슬롯(6a)을 가지며, 이 슬롯(6a)의 양 내측벽에는 끝부(6b)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유지벽(6)을 통(筒)형상으로 형성하여 슬롯(6a)의 상하 양단을 개방하였으나, 슬롯(6a)의 적어도 상단이 개방되는 것이라면 유지벽(6)을 유저형상이나 기타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가동측 하우징(2)도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이 가동측 하우징(2)은 고정측 하우징(1)의 개방면을 덮도록 이 고정측 하우징(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가동측 하우징(2)의 윗면(8)에는 회전규제부로서의 돌기(8a)와 다이렉트 커넥터(9)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이 윗면(8)의 중앙에는 내측원통부(10)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하우징(1,2)내부에 형성된 환형상 수납부에는 상기한 가요성 케이블(3)이 와상(渦狀)으로 권취되어 있으며, 이 가요성 케이블(3)의 양단은 양 하우징(1,2)에 고정된 후, 상기 다이렉트 커넥터(7,9)를 통하여 외부의 전원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로크부재(4)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암부(4a)와 이 암부(4a)의 일단측에 연속되는 환형상 손잡이부(4b)와 암부(4a)의 타단측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4c)를 가지며, 이것들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암부(4a)와 고정부(4c)는 거의 직교하도록 연속되어 있는데, 양자의 경계부위에는 쐐기형상의 절결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부위가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4d)이 된다. 또, 암부(4a)에는 걸어맞춤구멍(12)이 형성되고, 이 암부(4a)의 윗면에서 손잡이부(4b)에 걸쳐서 보강용 리브(4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4c)에는 2갈래의 스냅편(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회전커넥터는 스티어링장치의 스테이터부재에 고정측 하우징(1)을 부착하고 스티어링장치의 로터부재인 핸들을 가동측 하우징(2)에 부착함으로써, 핸들에 장착된 에어 백 인프레이터나 혼 스위치 등의 접속수단으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회전커넥터를 설치할 때에는 가동측 하우징(2)이 핸들의 회전중립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정ㆍ역방향으로 거의 동일한 회전량으로 회전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회전커넥터의 제조단계에서는,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측 하우징(1)에 대하여 가동측 하우징(2)을 회전중립위치에 위치결정한 후, 로크부재(4)의 고정부(4c)를 고정측 하우징(1)의 슬롯(6a)내에 삽입한다. 로크부재(4)를 더 밀어 넣으면, 도 3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부재(4)의 스냅편(13)이 유지벽(6)의 끝부(6b)에 걸어맞춰짐과 동시에 암부(4a)의 걸어맞춤구멍(12)내에 가동측 하우징(2)의 돌기(8a)가 삽입되므로, 이 결과 가동측 하우징(2)의 회전이 로크부재(4)에 의해서 저지된다. 따라서, 회전커넥터의 반송시 등에 있어서, 고정측 하우징(1)에 대하여 가동측 하우징(2)이 제멋대로 회전하는 일 없이 그대로의 상태를 스티어링장치에 설치하기 직전까지 유지할 수 있다.
회전커넥터를 스티어링장치에 설치할 경우에는, 도 3의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부재(4)의 손잡이부(4b)에 손가락이나 지그를 걸고서 들어 올림으로써 로크부재(4)를 회전커넥터에서 이탈시킨다. 이 때, 고정측 하우징(1)의 슬롯(6a)에 고정부(4c)가 스냅결합되어 있고 이 고정부(4c)와 손잡이부(4b) 사이에 암부(4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부(4b)와 암부(4a)는 지레대의 원리에 의해서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4d)을 지지점으로 하여 들어 올려지게 되므로 다른 부분에 비해 기계적 강도가 낮은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4d)이 용이하게 파단된다. 이 결과, 암부(4a)가 상기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4d)의 파단에 의해서 고정부(4c)로부터 분리됨으로써 고정부(4c)가 슬롯(6a)내에 스냅결합된 채로 고정측 하우징(1)에 남게 되고 손잡이부(4b)와 암부(4a)는 로크부재(4)와 함께 제거된다. 따라서, 로크해제후에 고정부(4c)의 파단상태를 주시함으로써 로크부재(4)를 한번 장착한 후에 있어서의 재장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로크부재(4)에 형성되는 절결부(11)의 방향을 상기한 실시예에 대하여 90˚달리하여 암부(4a)의 선단과 고정부(4c)의 상단과의 경계부분에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4d)을 형성하고 있다.
도 5와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의 관계가 반대로 되어 있으며, 고정측 하우징(1)의 외측원통부(5)에 환형상의 저판(도시생략)과 윗판(14)을 일체화하고, 이 윗판(14)에 회전규제부로서의 멈춤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판과 윗판(14)의 중앙에는 가동측 하우징(2)의 내측원통부(1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이 내측원통부(10)의 윗면에 걸림부로서의 슬롯(1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로크부재(4)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암부(4a)와 이 암부(4a)의 일단측에 연속하는 "ㄷ"자상의 손잡이부(4b)와 암부(4a)의 타단측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4c)가 일체로 성형되고, 암부(4a)의 선단에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잠금부(4f)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커넥터는 그 제조단계에서 고정측 하우징(1)에 대하여 가동측 하우징(2)을 회전중립위치에 위치결정한 후, 로크부재(4)의 고정부(4c)를 가동측 하우징(2)의 슬롯(16)내에 삽입한다. 로크부재(4)를 더 밀어 넣으면, 이 로크부재(4)의 스냅편(13)이 슬롯(16)내의 도시하지 않은 끝부에 걸어맞춰짐과 동시에 암부(4a)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잠금부(4f)가 고정측 하우징(1)의 멈춤부(15)에 의해서 둘러싸인 부위에 삽입되므로, 이 결과 가동측 하우징(2)의 회전이 로크부재(4)에 의해서 저지된다. 또, 회전커넥터를 스티어링장치에 설치할 경우에는 로크부재(4)의 손잡이부(4b)에 손가락이나 지그를 걸고서 들어 올리면, 암부(4a)가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4d)에 의해서 고정부(4c)로부터 분리됨으로써 고정부(4c)가 슬롯(16)내에 스냅결합된 채로 가동측 하우징(2)에 남게 되고 손잡이부(4b)와 암부(4a) 및 잠금부(4f)는 로크부재(4)와 함께 제거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되는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로크부재에 암부와 이 암부의 일단측에 연속하는 손잡이부와 암부의 타단측에서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 로크부재의 고정부를 제 1 하우징의 걸림부에 유지시킴 동시에 이 로크부재의 암부를 제 2 하우징의 회전규제부에 걸어맞춰서 양 하우징간의 자유로운 회동을 저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손잡이부를 잡아당겨서 로크를 해제할 때에 지레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암부를 고정부로부터 용이하게 파단할 수 있다.
또, 상기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 근방에 쐐기형상의 절결부를 형성하면,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의 기계적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서도 암부를 고정부로부터 용이하게 파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하우징을 고정체로 하고 상기 제 2 하우징을 가동체로서 이용하면, 비로크시에 고정부가 고정측 하우징에 보류되기 때문에 사용중에 고정부가 걸림부로부터 쉽게 탈락하지 않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탈락한 고정부에 기인하는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5)

  1.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및 제 2 하우징과 이들 양 하우징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가요성 케이블과 상기 양 하우징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고 그 장착시에 양 하우징간의 자유로운 회동을 저지하는 로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부재에 암부와 이 암부의 일단측에 연속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암부의 타단측에서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양 하우징간의 자유로운 회동이 저지되는 로크시에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 1 하우징의 걸림부에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 암부가 상기 제 2 하우징의 회전규제부에 걸어맞춰지고,
    상기 양 하우징간이 회동가능하게 되는 비로크시에는 상기 암부가 상기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에서 파단되어 상기 고정부로부터 분리되고, 이 고정부가 상기 걸림부에 보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은 상기 로크부재에 형성된 쐐기형상의 절결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고정체이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가동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고정체이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가동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항우징은 가동체이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고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가동체이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고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암부에서 연장되는 방향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로크부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암부에서 연장되는 방향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로크부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암부에서 연장되는 방향과 거의 직각인 방향으로 로크부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암부에서 연장되는 방향과 거의 직각인 방향으로 로크부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1.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및 제 2 하우징과 이들 양 하우징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가요성 케이블과 상기 양 하우징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고 그 장착시에 양 하우징간의 자유로운 회동을 저지하는 로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부재에 암부와 이 암부의 일단측에 연속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암부의 타단측에서 쐐기형상의 절결부에 의하여 형성된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양 하우징간의 자유로운 회동이 저지되는 로크시에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 1 항우징의 걸림부에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 암부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회전규제부에 걸어맞춰지고,
    상기 양 하우징간이 회동가능하게 되는 비로크시에는 상기 암부가 상기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에서 파단되어 상기 고정부로부터 분리되고, 이 고정부가 상기 걸림부에 보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이 고정체이고 상기 제 2 하우징이 가동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이 가동체이고 상기 제 2 하우징이 고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암부에서 연장되는 방향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로크부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암부에서 연장되는 방향과 거의 직각인 방향으로 로크부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KR1019970015752A 1996-04-26 1997-04-26 회전커넥터 KR1002276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07664 1996-04-26
JP107664 1996-04-26
JP10766496A JP3273426B2 (ja) 1996-04-26 1996-04-26 回転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2565A KR970072565A (ko) 1997-11-07
KR100227649B1 true KR100227649B1 (ko) 1999-11-01

Family

ID=14464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5752A KR100227649B1 (ko) 1996-04-26 1997-04-26 회전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71366A (ko)
JP (1) JP3273426B2 (ko)
KR (1) KR100227649B1 (ko)
DE (1) DE19717625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73127B1 (fr) * 1997-12-30 2000-02-04 Valeo Electronique Contacteur electrique tournant
JP3519013B2 (ja) * 1999-03-17 2004-04-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US6059590A (en) * 1999-04-08 2000-05-09 Methode Electronics, Inc. Clockspring tamper proof external lock
JP3700484B2 (ja) 1999-08-18 2005-09-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2001196146A (ja) * 2000-01-11 2001-07-19 Tokai Rika Co Ltd 車両用ロールコネクタ構造
JP2001338741A (ja) * 2000-05-30 2001-12-07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
JP2002029335A (ja) * 2000-07-13 2002-01-29 Sumitomo Wiring Syst Ltd ケーブルリールにおける回転仮止め構造
JP3681623B2 (ja) * 2000-08-25 2005-08-1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4690945B2 (ja) * 2006-06-01 2011-06-0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US8131370B2 (en) * 2007-01-18 2012-03-06 Medtronic, Inc Methods of manufacturing a hermetic lead connector
EP2106973A1 (fr) * 2008-04-03 2009-10-07 Delphi Technologies, Inc. Module de commande sous volant et méthode d'assemblage associée
DE102008057588A1 (de) * 2008-11-15 2010-05-20 Leopold Kostal Gmbh & Co. Kg Elektrisches Gerät
FR2939738B1 (fr) * 2008-12-12 2010-12-17 Sc2N Sa Contacteur tournant pour vehicule automobile
US9627832B2 (en) * 2014-08-04 2017-04-18 American Furukawa, Inc. Lock member for a rotary connector device
JP6499867B2 (ja) * 2015-01-21 2019-04-10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回転ストップ機構及び回転体ストッパ
US10286861B2 (en) * 2015-07-02 2019-05-14 Honda Motor Co., Ltd. Cable reel
JP7354103B2 (ja) * 2018-06-11 2023-10-0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および回転コネクタ装置の固定体
JP2020141541A (ja) * 2019-03-01 2020-09-03 株式会社タチエス 給電経路付きの軸受構造
US11991846B2 (en) * 2021-08-16 2024-05-21 Lenovo (Singapore) Pte. Ltd. Cable manage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41258A1 (de) * 1980-11-03 1982-06-03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Stromleistungsverbinder fuer gegeneinander drehbare bauteile
DE8508744U1 (de) * 1985-03-23 1985-06-13 Petri Ag, 8750 Aschaffenburg Justiereinrichtung für einen Stromleitungsverbinder von Gassack-Aufprall-Schutzeinrichtungen
US4722690A (en) * 1987-03-17 1988-02-02 Methode Electronics, Inc. Clock spring interconnector
JP2550413Y2 (ja) * 1991-11-26 1997-10-1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DE19508259C2 (de) * 1994-03-09 2001-08-30 Alps Electric Co Ltd Drehverbinder
JPH08138817A (ja) * 1994-11-04 1996-05-31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293576A (ja) 1997-11-11
JP3273426B2 (ja) 2002-04-08
DE19717625C2 (de) 2000-01-20
DE19717625A1 (de) 1997-11-06
US5871366A (en) 1999-02-16
KR970072565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7649B1 (ko) 회전커넥터
KR950031678A (ko) 로크 및 와이어 하니스 조립체를 구비한 투피스 클럭스프링
CA2006506A1 (en) Telephone lock
US6102717A (en) Cam mechanism for attaching and detaching interconnecting structures with a low insertion force
JP4123553B2 (ja) 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JP2524420Y2 (ja) ケーブルリール
JP3511810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の収容箱におけるレバー仮係止構造
JP3338342B2 (ja) 回転コネクタ
KR100198875B1 (ko) 회전커넥터
JP3700484B2 (ja) 回転コネクタ
JP4540778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
US6475006B2 (en) Rotary connector having mechanism for locking pair of housings in relatively rotational relation
JP3301131B2 (ja) 端子装置
JP3126849B2 (ja) 回動嵌合型コネクタ
KR960019868A (ko) 회전 커넥터
JP3258810B2 (ja) 回転コネクタ
JP2004178861A (ja) 回転コネクタ
JP2000090910A (ja) コネクタ
KR0143926B1 (ko) 회전콘넥터
JPS6017799Y2 (ja) 配線器具
JPH11278179A (ja) ステアリング用電気接続装置
JPH0730849Y2 (ja) スイッチ付き錠
JP2000299153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JPH1154206A (ja) コネクタ結合用回転レバー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JP2004146112A (ja) 回転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