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7397B1 - 내충격성 사출 폴리아미드 성분 - Google Patents

내충격성 사출 폴리아미드 성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7397B1
KR100227397B1 KR1019970013826A KR19970013826A KR100227397B1 KR 100227397 B1 KR100227397 B1 KR 100227397B1 KR 1019970013826 A KR1019970013826 A KR 1019970013826A KR 19970013826 A KR19970013826 A KR 19970013826A KR 100227397 B1 KR100227397 B1 KR 100227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meth
acrylate
ethylen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3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0107A (ko
Inventor
빠뜨리스 뻬레
알랭 부일루
Original Assignee
니일 앙리
엘프 아토켐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일 앙리, 엘프 아토켐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니일 앙리
Publication of KR970070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0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3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poxy Res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수지 (A) 및 에틸렌과 불포화 에폭시드의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 (B) 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출 성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공중합체 (B) 는 상기 에폭시드를 공중합시키거나 또는 그라프트화시킴으로써 수득되고, 유리하게는 상기 공중합체 (B) 는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이며, 상기 (A) 와 (B) 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용융 흐름 지수는 (A) 의 용융 흐름 지수 대 (B) 의 중량% 의 0.175 배의 비 보다 크다.

Description

내충격성 사출 폴리아미드 성분 {IMPACT-RESISTANT INJECTED POLYAMIDE COMPONENTS}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수지 (A) 및 에틸렌과 불포화 에폭시드의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 (B) 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출 성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공중합체 (B) 는 상기 에폭시드를 공중합시키거나 또는 그라프트화시킴으로써 수득된다.
폴리아미드의 내충격성은 통상적으로 탄성중합체 성질을 나타내는 충격 개질제, 및 상기 폴리아미드 매트릭스중의 작용기들과 반응할 수 있는 반응성 작용기 (예 : 아크릴산, 말레인산 무수물 등) 를 분산 상 형태로 혼입시킴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반응성은 탄성중합체의 미세하며 균일한 분산, 및 결절성 매트릭스 계면에서의 양호한 접착을 보장하나, 유동성의 막대한 저하를 야기한다. 이러한 점도의 커다란 변화는 특히 미세 또는 커다란 사출 성분에 사용시 손상을 입힌다.
본 출원인은 폴리아미드 수지 및 에틸렌과 불포화 에폭시드의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조성물의 사출을 가능하게 하는 충격 강도와 양호한 유동성을 모두 수득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폴리아미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내충격성 조성물들은 이미 종래 기술에 개시되어 있다.
유럽 특허 제 96,264 호에는 에틸렌/C2-8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불포화 산 또는 무수물 공중합체에 의해 보강된 2.5 내지 5 의 점도를 가지며, 아크릴레이트 20 내지 40 중량% 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가 개시되어 있다.
유럽 특허 제 2,761 호에는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과 (메트)아크릴산 또는 이것의 유도체 또는 말레인산 무수물 및 선택적으로 폴리에틸렌과의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의해 보강된 폴리아미드가 개시되어 있다.
유럽 특허 제 52,796 호에는 (i) α-올레핀/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 (ii) α-올레핀/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알킬 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iii) 금속 화합물에 의해 보강된 폴리아미드가 개시되어 있다.
프랑스 특허 제 2,292,016 호에는 α-올레핀과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또는 이것의 유도체와의 공중합체들의 혼합물에 의해 보강된 폴리아미드가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5,070,145 호에는 (i)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ii)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말레인산 무수물 공중합체의 혼합물에 의해 보강된 폴리아미드가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4,174,358 호에는 특정 모듈러스를 갖는 1 ㎛ 이하의 단괴가 분산되어 있는 폴리아미드 매트릭스 형태로 제공되는 보강된 폴리아미드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단괴의 모듈러스는 또한 상기 폴리아미드의 모듈러스의 극히 일부이어야 한다. 다수의 보강제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중 일부는 에폭시드 작용기를 가진다. 이들의 대다수는 중성 무수물 또는 산 작용기를 갖는 중합체이거나, 또는 EPDM 을 주성분으로 하는 혼합물이다. 에폭시드 작용기를 함유하는 중합체에 관한 예들은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이들 모든 보강제는 등가체로서 존재한다.
상기 모든 종래 기술은 산 또는 산 무수물 작용기나 EPDM 을 갖는 보강제의 예만을 제공하고 있으며, 상기 보강된 폴리아미드의 점도에 관하여는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비교예를 보면, 종래 기술의 개질제의 작용은 본 발명의 개질제의 작용과는 아무런 관계도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유럽 특허 제 564,338 호에는 (i)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선택적으로는 (ii) 폴리에틸렌, 에틸렌/알킬 (메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공중합체에 의해 보강된 폴리아미드가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은 충격 강도와만 관계가 있으며, 점도와는 아무런 관계도 없다. 실시예들 (실시예 6) 의 표로부터, 커다란 충격 강도를 부여하나 점도에는 해로운, 분산 상의 가교 결합을 유도하기 위하여, 에폭시드 작용기를 갖는 보강제와 무수물 작용기를 갖는 보강제를 혼합하는 것은 불리하다는 것을 명백히 알 수 있다. 이 테스트는 4×10×80 ㎣ 의 크기를 갖는 사출 성형 테스트 샘플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상기 크기와 관련하여, 실험 조건하에서, 점도는 중요하지 않다.
미세 또는 커다란 성분 또는 대안적으로, 복잡한 모양을 갖는 성분과 같이 완전히 상이한 경우, 이들 성분은 산업적 산출 속도로 제조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충격 강도와 점도를 절충시킨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상이한 생성물들의 혼합물 대신, 단일 생성물을 폴리아미드 수지에 첨가하기에 충분하다는 이점도 가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사출 장치를 공급하는 압출기에 에틸렌과 불포화 에폭시드의 공중합체를 첨가하기에 충분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 첨가는 폴리아미드 압출기상의 과립 계수 장치 또는 측면 압출기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폴리아미드 수지와 강도 향상제의 혼합물을 미리 제조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수지 (A) 및 에틸렌과 불포화 에폭시드의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 (B) 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출 성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사출 성분에 사용되는 조성물들중 일부는 신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미드는 아미노카프로산, 7-아미노헵탄산, 11-아미노운데칸산 및 12-도데칸산과 같은 하나 또는 다수의 아미노산, 또는 카프로락탐, 오에난토락탐 및 라우릴락탐과 같은 하나 또는 다수의 락탐의 축합 생성물 ; 헥사메틸렌디아민, 도데카메틸렌디아민, 메타-크실릴렌디아민, 비스-p-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및 트리메틸 헥사메틸렌디아민과 같은 하나 또는 다수의 디아민염 또는 디아민의 혼합물과,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수베르산, 세바산 및 도데칸디카르복실산과 같은 이(二)산의 축합 생성물 ; 또는 코폴리아미드를 산출하는 상기 단량체들중 일부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카프로락탐과 라우릴락탐의 축합은 PA-12 를 산출한다. 본 발명은 유리하게는 PA-6 (폴리카프로락탐), PA-6,6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프아미드)), PA-11 (폴리(아미노운데칸산)), PA-12 (폴리라우릴락탐) 및 PA-6/12 에 관한 것이다. 이중, PA-6 과 PA-6,6 이 특히 유용하다.
에틸렌과 불포화 에폭시드의 공중합체는 상기 에틸렌과 불포화 에폭시드를 공중합시키거나, 또는 상기 불포화 에폭시드를 폴리에틸렌상에 그라프트화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상기 그라프트화는 과산화물 존재하에, 용매상중에서 또는 용융 폴리에틸렌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그라프트화 기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에틸렌과 불포화 에폭시드의 공중합에는, 통상적으로 200 내지 2,500 bar 의 압력에서 수행되는 라디칼 중합 공정으로서 공지된 공정들을 사용할 수 있다.
불포화 에폭시드의 예로는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비닐 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시딜 말레이트 및 이타코네이트 또는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지방족 글리시딜 에스테르 및 에테르 ; 및 2-시클로헥센-1-일 글리시딜 에테르, 디글리시딜 시클로헥센-4,5-디카르복실레이트, 글리시딜 시클로헥센-4-카르복실레이트, 글리시딜 2-메틸-5-노르보르넨-2-카르복실레이트 및 디글리시딜 엔도-시스-비시클로[2.2.1]헵트-5-엔-2,3-디카르복실레이트와 같은 지환족 글리시딜 에스테르 및 에테르가 언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틸렌과 불포화 에폭시드의 공중합체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 1-부텐, 헥센 등과 같은 α-올레핀 ;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비닐 프로피오네이트와 같은 포화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 ; 및 (메트)아크릴산 및 알코올의 에스테르와 같은 C24이하의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에서 선택될 수 있는 기타 다른 단량체들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불포화 에폭시드는 폴리에틸렌,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예를 들면 VLDPE (극 저밀도 PE), ULDPE (초 저밀도 PE) 또는 메탈로센 PE 와 같은 폴리에틸렌 ; 에틸렌과 하나 이상의 포화 카르복실산 비닐 에스테르 (예 :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의 공중합체 ; 에틸렌과 하나 이상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예 : C24이하의 (메트)아크릴산 및 알코올의 에스테르) 의 공중합체 ; EPR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또는 EPDM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탄성중합체 ; 및 이들 중합체에서 선택된 중합체들의 혼합물상에 그라프트화될 수 있다.
공중합체 (B) 의 양은 (A) 와 (B) 의 혼합물에 요구되는 성질에 따라서 다양할 수 있으나, (A) + (B) 의 양이 25 중량% 이하인 경우, 상기 공중합체의 양은 10 내지 20 % 인 것이 충분하고 유리하다.
본 출원인은 에폭시드 함량이 동일한 상태에서, 공중합체 (B) 의 양을 10 내지 20 % 범위내에서 변화시키는 경우, 15 % 이상에서 수득되는 이점에 10 내지 15 % 에서 수득되는 이점 보다 훨씬 적은 반면, 용융 흐름 지수는 현저하게 감소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출원인은 또한 공중합체 (B) 의 양이 일정한 경우, 충격 강도는 상기 공중합체 (B) 중의 에폭시드의 양과 절대적으로 비례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에폭시드의 양이 상기 공중합체의 8 중량% 에서 2 중량% 로 감소하는 경우, 충격 강도의 변화율은 약 5 % 이다. PA-6 의 경우, -20 ℃ 및 -40 ℃ 에서의 샤르피 (Charpy) 충격 강도의 변화율은 증가한다.
공중합체 (B) 중의 에폭시드의 양은 다양하며, 상기 공중합체의 10 중량% 이하, 유리하게는 0.1 내지 8 중량% 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폴리아미드 (A) 및 공중합체 (B) 를 포함하는 내충격성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공중합체 (B) 의 양은 상기 조성물의 용융 흐름 지수 (MFI) 가 폴리아미드 (A) 의 용융 흐름 지수 대 공중합체 (B) 의 중량% 의 0.175 배의 비 보다 크도록 하는 정도이다 (MFI(A+B)>MFI(A)/0.175× %(B)).
공중합체 (B) 를 포함하는 상기 수지 (A) 의 용융 흐름 지수는 또한 폴리아미드 (A) 의 용융 흐름 지수 보다 작다.
예를 들면, 공중합체 (B) 15 중량% 를 MFI 가 21 인 PA-6 에 첨가하는 경우, 상기 공중합체 (B) 15 중량% 를 포함하는 PA-6 의 MFI 는 21/(0.175×15)=8 이상이다.
예를 들면, 상기 공중합체 (B) 의 양은 상기 (A) 와 (B) 의 합의 5 내지 25 중량%, 유리하게는 10 내지 20 중량% 이다.
본 발명은 또한 폴리아미드 (A) 및 충분량의 공중합체 (B) 를 포함하는 내충격성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40 ℃ 에서 상기 조성물 (A+B) 의 샤르피 충격 강도는 폴리아미드 (A) 만의 충격 강도의 3 내지 6 배 이며, 공중합체 (B) 중의 에폭시드의 양은 상기 조성물의 용융 흐름 지수가 폴리아미드 (A) 만의 용융 흐름 지수 대 공중합체 (B) 의 중량% 의 0.175 배의 비 보다 크도록 하는 정도이다.
예를 들면, 상기 공중합체 (B) 의 양은 상기 (A) 와 (B) 의 합의 25 중량% 이하, 유리하게는 10 내지 20 중량% 이다.
공중합체 (B) 중의 에폭시드의 양은 상기 공중합체 (B) 의 0.1 내지 10 중량%, 유리하게는 0.1 내지 8 중량%, 및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중량% 이다.
본 발명의 사출 성분중의 공중합체 (B) 및 상기 2 가지 내충격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중의 공중합체 (B) 는 유리하게는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불포화 에폭시드의 공중합체이다.
이것은 유리하게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40 중량% 이하와 불포화 에폭시드 1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 중량% 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드는 유리하게는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유리하게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된다.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양은 유리하게는 20 내지 35 % 이다.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단량체들을 라디칼 중합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무기 충진제 (예 : 칼크, CaCO3, 카올린 등), 보강제 (예 : 유리 섬유, 무기 섬유, 탄소 섬유 등), 안정화제 (예 : 열 및 UV 안정화제), 난연제 및 염료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 들면 압출 또는 2 축 혼합기와 같은 종래의 열가소성 기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테스트의 수행
- 배합
기체 제거 시스템과 압출 스트링 커터가 장착되어 있는 2 축 압출기인 Werner 40 (L/D 40) 상에서, 40 kg/시의 처리량 및 150 회전/분의 속도로 조성물들을 배합하여 수득하였다. 사용된 온도 프로필은 다음과 같다 :
PA-6 베이스 240/240/240/240 ℃
PA-6,6 베이스 260/265/265/265 ℃
과립중의 성분들을 건조 혼합한 후, 공급 호퍼에 주입하였다.
- 샘플의 성형
과립들을 감압하에 80 ℃ 의 온도에서 건조시킨 후, 다음과 같은 조건하에서 Krauss-Maffei B1 유형의 사출 프레스 (60 t 밀폐기) 상에 사출시켜 성형시켰다 :
PA-6 베이스 - 물질 온도 240-260 ℃, 성형 50 ℃
- 사출 압력 45 bar
PA-6,6 베이스 - 물질 온도 260-280 ℃, 성형 80 ℃
- 사출 압력 70 bar
상기와 같이 수득한 표준 테스트 샘플 (80×10×4 ㎣) 을 23 ℃ 및 50 % 상대 습도하에서 14 일간 조건화시켰다.
평가
- ISO 표준 178 에 의한 굴곡 모듈러스.
- ISO 표준 179-82 에 의한 Charpy 유형 및 ISO 표준 180 에 의한 Izod 유형의 사전-노치한 테스트 샘플들에 대한, 상이한 온도 (23 ℃, -20 ℃, -40 ℃) 에서의 충격 강도. 크랙을 샘플 노치 바닥에서 두께의 90 % 이하로 통과시킬 때, 아무런 값도 측정되지 않으며, 참조 부호 N.B. (파괴 없음) 가 기록됨.
- 2.16 kg 의 중량 및 235 ℃ 와 275 ℃ 의 온도하에서, PA-6 및 PA-6,6 각각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들에 대한, ISO 표준 1133 에 의한 용융 흐름 지수 (MFI).
출발 물질
테스트한 폴리아미드는 참조 부호 Ultramid B 3 및 A 3 의 폴리아미드-6 및 폴리아미드-6,6 (company BASF) 이다.
테스트한 삼중합체는 다음과 같다 :
Terpo 1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말레인산 무수물 삼중합체, 68.5/30/1.5 중량%, MFI (190 ℃, 2.16 kg) = 7
Terpo 2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말레인산 무수물 삼중합체, 64.1/35/0.9 중량%, MFI (190 ℃, 2.16 kg) = 7
Terpo 3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말레인산 무수물 삼중합체, 68.5/30/1.5 중량%, MFI (190 ℃, 2.16 kg) = 5
Terpo 4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GMA 삼중합체, 68/24/8 중량%, MFI (190 ℃, 2.16 kg) = 6 (GMA 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임)
Terpo 5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GMA 삼중합체, 68/30/2 중량%, MFI (190 ℃, 2.16 kg) = 6.
PA-6,6 및 PA-6 을 주성분으로 하는 다수의 조성물들로 수득한 결과를 하기 표 1 및 2 에 제시하였다.
비교예 1 내지 6 및 12 내지 17
- 실시예 1 과 2 및 12 와 13 PA-6,6 및 PA-6 각각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들에 대한 삼중합체중의 MAH 함량의 영향 (MAH 는 말레인산 무수물임)
- 실시예 1 내지 3 및 12 내지 14 PA-6,6 및 PA-6 각각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들에 대한 삼중합체중의 아크릴에스테르의 특성의 영향
PA-6 또는 PA-6,6 폴리아미드에 충격 개질제로서 혼입되는 삼중합체중의 아크릴 에스테르의 특성이 어떠하든지 그리고 MAH 의 함량이 얼마이든 간에, 참고용의 순수한 폴리아미드에 비하여, (실온 및 저온에서) 두드러지게 향상된 충격 강도를 관측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조성물의 유동성은 순수한 물질인 PA-6,6 및 PA-6 에 비하여 상당히 감소한다. MAH 반응성 기의 함량 감소 (Terpo 2 w/r 대 Terpo 1) 는 단지 유동성의 약간의 감소를 초래한다.
실시예 4 내지 6 및 15 내지 17 PA-6,6 및 PA-6 각각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들중의 E/AE/MAH 삼중합체 함량의 영향
상기 조성물들내에서 E/아크릴 에스테르/MAH 유형의 충격 개질제의 접촉이 증가하는 경우, 충격 강도는 충분히 향상되는 반면, 유동성은 상당히 감소한다. 이것은 양호한 유동성을 나타내는 초 충격성 PA 조성물의 개발의 어려움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실시예 10 과 11 및 21 과 22 PA-6,6 및 PA-6 각각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들중의 E/아크릴 에스테르/GMA 유형의 개질제의 특성의 영향
개질제의 함량이 동일한 경우 (20 %), GMA 8 % 를 함유하는 Terpo 4 삼중합체 (실시예 10 및 21) 는 E/아크릴 에스테르/MAH 유형의 삼중합체 (실시예 1 내지 3 및 12 내지 14) 에 비하여, 비슷한 충격 강도 (PA-6,6 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에 대해서는 다소 작으며, PA-6 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에 대하여는 상당히 큼), 비슷한 탄성 모듈러스 및 보다 큰 유동성을 수득할 수 있다.
PA-6,6 또는 PA-6 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및 GMA 작용기를 함유하는 상기 삼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들은 결과적으로 MAH 작용기를 함유하는 삼중합체에 비하여, 두드러지게 향상된 충격 강도/유동성 절충을 나타낸다.
Terpo 5 에서 GMA 함량의 감소 (2 % GMA) 는 상기 조성물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면서 (실시예 11 내지 22 와 실시예 10 내지 21 비교), 양호한 충격 강도를 수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양호한 충격 강도/유동성 절충을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 7 내지 9 및 18 내지 20 PA-6,6 및 PA-6 각각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들중의 E/아크릴 에스테르/GMA 삼중합체 함량의 영향
E/아크릴 에스테르/MAH 삼중합체 (실시예 4 내지 6 및 15 내지 17) 와 비교하여, E/아크릴 에스테르/GMA 삼중합체는 주입되는 개질제의 함량 (10-15-20 %) 에 관계 없이, PA-6,6 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의 경우, (실온 및 저온에서) 비슷한 충격 강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조성물의 유동성을 보다 크게 하며, 또한 PA-6 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의 경우에도, 충격 강도를 보다 크게 한다.
또한, 상기 모든 PA-E/아크릴 에스테르/GMA Terpo 제제는 PA-E/아크릴 에스테르/MAH Terpo 조성물에 비하여, 양호한 충격 강도/유동성 절충을 나타낸다.
상기 조성물중의 충격 개질제가 25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 개질제와 매트릭스간의 반응 규모는, 상기 조성물이 미세 또는 커다란 성분의 주입에 의해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에는 점도가 너무 높게 되도록 하는 정도이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충격 강도와 점도를 절충시키고, 상이한 생성물들의 혼합물 대신에 단일 생성물을 폴리아미드에 첨가하기에 충분하며, 에틸렌과 불포화 에폭시드의 공중합체를 압출기에 첨가하기에도 충분하고, 상기 첨가는 폴리아미드 압출기상의 과립 계수 장치나 측면 압출기를 통해 수행됨으로써, 폴리아미드와 강도 향상제의 혼합물을 미리 제조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12)

  1. 폴리아미드 수지 (A) 및 에틸렌과 불포화 에폭시드의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 (B) 를 주성분으로 하며, 상기 공중합체 (B) 는 상기 에폭시드를 공중합시키거나 또는 그라프트화시킴으로써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는 상기 (A) + (B) 의 25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B) 중의 에폭시드의 양은 상기 (B) 의 10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분.
  4. 폴리아미드 (A) 및 에틸렌과 불포화 에폭시드의 공중합체 (B) 를 포함하며, 상기 공중합체 (B) 의 양은 상기 조성물의 용융 흐름 지수가 폴리아미드 (A) 의 용융 흐름 지수 대 공중합체 (B) 의 중량% 의 0.175 배의 비 보다 크도록 하는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5. 폴리아미드 (A) 및 에틸렌과 불포화 에폭시드의 공중합체 (B) 충분량을 포함하고, -40 ℃ 에서 상기 조성물의 샤르피 충격 강도는 폴리아미드 (A) 만의 충격 강도의 3 내지 6 배 이며, 상기 공중합체 (B) 중의 에폭시드의 양은 상기 조성물의 용융 흐름 지수가 폴리아미드 (A) 의 용융 흐름 지수 대 공중합체 (B) 의 중량% 의 0.175 배의 비 보다 크도록 하는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B) 는 (메트) 아크릴레이트 40 중량% 이하와 불포화 에폭시드 10 중량% 이하를 함유할 수 있는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불포화 에폭시드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B) 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20 내지 35 중량% 와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0.1 내지 8 중량% 를 함유하는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분.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B) 는 (메트) 아크릴레이트 40 중량% 이하와 불포화 에폭시드 10 중량% 이하를 함유할 수 있는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불포화 에폭시드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분.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B) 는 (메트) 아크릴레이트 40 중량% 이하와 불포화 에폭시드 10 중량% 이하를 함유할 수 있는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불포화 에폭시드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B) 는 (메트) 아크릴레이트 40 중량% 이하와 불포화 에폭시드 10 중량% 이하를 함유할 수 있는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불포화 에폭시드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 는 상기 (A) + (B) 의 10 내지 2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분.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B) 중의 에폭시드의 양은 상기 (B) 의 0.1 내지 8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분.
KR1019970013826A 1996-04-16 1997-04-15 내충격성 사출 폴리아미드 성분 KR1002273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64718 1996-04-16
FR9604718A FR2747391B1 (fr) 1996-04-16 1996-04-16 Pieces injectees en polyamide et resistant au cho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107A KR970070107A (ko) 1997-11-07
KR100227397B1 true KR100227397B1 (ko) 1999-11-01

Family

ID=9491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3826A KR100227397B1 (ko) 1996-04-16 1997-04-15 내충격성 사출 폴리아미드 성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077905A (ko)
EP (1) EP0802226B1 (ko)
JP (1) JPH1060264A (ko)
KR (1) KR100227397B1 (ko)
CN (1) CN1168313A (ko)
CA (1) CA2202786A1 (ko)
DE (1) DE69731680T2 (ko)
FR (1) FR27473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32449C (zh) * 2006-03-20 2009-08-26 深圳市丹邦投资有限公司 一种柔性印制电路覆盖膜及其制备方法
FR2907125B1 (fr) 2006-10-12 2012-09-21 Arkema France Composition resistant au choc a base de resine polyamide et d'un melange d'au moins un copolymere greffe a blocs polyamides et de polymere ethylenique basse densite
FR2913023B1 (fr) 2007-02-23 2009-04-10 Rhodia Operations Sas Composition polymere thermoplastique a base de polyamide
FR2937041B1 (fr) * 2008-10-09 2012-07-20 Arkema France Composition semi-conductrice pour cables electriques
TW201811976A (zh) 2016-08-08 2018-04-01 美商堤康那責任有限公司 用於散熱器之導熱聚合物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9504A (en) * 1967-03-10 1974-11-19 Minnesota Mining & Mfg Perfluoropolyethers and process for making
US4131726A (en) * 1974-08-08 1978-12-26 Trw Inc. Perfluoroelastomers from hydrofluoroelastomers
DE2454770C2 (de) * 1974-11-19 1985-10-03 Basf Ag, 6700 Ludwigshafen Thermoplastische Formmassen mit erhöhter Schlagzähigkeit
US4174358A (en) * 1975-05-23 1979-11-1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ough thermoplastic nylon compositions
EP0002761B1 (de) * 1977-12-29 1982-09-01 Bayer Ag Schlagzähe Polyamidformmassen
US4335223A (en) * 1978-06-12 1982-06-15 Allied Corporation High impact molding compositions
DE3220380A1 (de) * 1982-05-29 1983-12-01 Basf Ag, 6700 Ludwigshafen Schlagzaehe polyamid-formmassen
KR900007874B1 (ko) * 1985-02-26 1990-10-22 몬테디손 에스. 페. 아. 브롬화된 말단기 및 조절된 분자량을 갖는 이작용성 및 단작용성 과플루오로폴리에테르의 제조방법
FR2580656B1 (fr) * 1985-04-23 1987-09-11 Charbonnages Ste Chimique Compositions thermoplastiques multiphases et articles obtenus
FR2689514B1 (fr) * 1992-04-03 1994-05-20 Elf Atochem Sa Composition thermoplastique multiphase a base de resine polyamide contenant un polymere d'ethylene a fonction epoxyde.
WO1995022579A1 (en) * 1994-02-16 1995-08-24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ow temperature toughened polyami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107A (ko) 1997-11-07
JPH1060264A (ja) 1998-03-03
EP0802226B1 (fr) 2004-11-24
US6077905A (en) 2000-06-20
DE69731680T2 (de) 2005-12-22
EP0802226A1 (fr) 1997-10-22
FR2747391B1 (fr) 1998-05-22
CA2202786A1 (fr) 1997-10-16
FR2747391A1 (fr) 1997-10-17
DE69731680D1 (de) 2004-12-30
CN1168313A (zh) 1997-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05181A (en) Impact modified high melt flow polycarbonamide
EP0564338B1 (fr) Composition thermoplastique multiphase à base de résine polyamide contenant un polymère d'éthylène à fonction époxyde
JPH047361A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
US5112908A (en) Tough polyamide compositions having high melt flow for complex moldings
US4381371A (en) Polymer mixtures
US8410216B2 (en) Impact-resistant composition based on a polyamide resin and on a blend of at least one graft copolymer with polyamide blocks and a low-density ethylene polymer
CA1319457C (en) Tough high melt flow polyamides
US5919865A (en) Compositions based on a high-impact polyamide
KR100227397B1 (ko) 내충격성 사출 폴리아미드 성분
AU644640B2 (en) Polyketone polymer compositions
US5061757A (en) High impact strength polyamide blends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US6136920A (en) Multiphase thermoplastic compositions
EP0457374A2 (en) Polyketone polymer blends comprising a linear alternating polymer of carbon monoxide and ethylenically unsaturated compounds
EP0464561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5965668A (en) Polyamide injection mouldings which include an impact strength modifier that has a particular distribution in the polyamide
AU649616B2 (en) Impact resistant polyamide composition
US6407164B1 (en) Multiphase thermoplastic compositions
US6221951B1 (en) Ketone polymer/fiber compositions
EP0734422B1 (en) 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production process
JPH09241503A (ja) ポリアミドおよびポリオレフィンを基材とする高屈曲性組成物
KR19980084808A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JPH0457847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