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7069B1 - 박스팰릿 - Google Patents

박스팰릿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7069B1
KR100227069B1 KR1019950703992A KR19950703992A KR100227069B1 KR 100227069 B1 KR100227069 B1 KR 100227069B1 KR 1019950703992 A KR1019950703992 A KR 1019950703992A KR 19950703992 A KR19950703992 A KR 19950703992A KR 100227069 B1 KR100227069 B1 KR 100227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box pallet
arm
movemen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3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2411A (ko
Inventor
아키토시 나가타
Original Assignee
아키토시 나가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2227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2048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549149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0403A/ja
Priority claimed from JP1549159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0404A/ja
Application filed by 아키토시 나가타 filed Critical 아키토시 나가타
Priority claimed from PCT/JP1995/000037 external-priority patent/WO1996000690A1/ja
Publication of KR960702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2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0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2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vices facilitating empt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2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vices facilitating emptying
    • B65F1/125Features allowing the receptacle to be lifted and emptied by its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이 발명에서는, 상부를 개방하고 또한 4주 및 저부를 측판 및 저판으로 둘러싸고, 그 저판을 2분할함과 아울러 아래방향으로 개폐 움직임이 가능하게 짜맞추어진 박스팰릿에 있어서, 측판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경사이동이 가능하게 지승된 작동아암과, 이 작동아암과 상기한 2분할된 저판과 그 저판 각각의 개폐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연계한 연계부재와, 상기한 작동아암의 경사이동궤적상과 동일한 경사이동궤적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의 위치변위 가능하게 옆으로 걸게하고, 또한 그 작동아암과 계탈가능한 작동로드로 이루어지고, 그 작동로드는 상기한 작동아암과의 걸어맞춘 상태에서는 상기한 저판의 폐상태가 유지되고, 또한 걸어맞추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 저판의 개상태(열림상태)를 허용하도록 구성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박스팰릿 내에 수납한 폐기물 등의 물품을 끄집어냄을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극히 안전하고, 또한 간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박스팰릿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이 발명은 예컨대 산업폐기물의 각종의 물품을 수납하고, 또한 그 물품을 꺼낼수 있는 박스팰릿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 이 종류의 박스팰릿에 있어서는, 상부가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되어서 그 속에 적절한 폐기물 등의 물품을 수납하는 것이며, 그리고 수납한 폐기물 등의 물품을 그 박스팰릿으로부터 꺼내는 경우, 박스팰릿은 폐기물 등의 물품을 포함해서 상당한 중량물로 되기 때문에 포오크리프트 등의 들어올리는 수단에 의하여 그 박스팰릿자체를 들어 올려서 소정의 부위까지 운반한 후, 이 박스팰릿자체를 별도의 수단, 예컨대 와이어 등에 의해 매달아서 경사 이동시키면서 그 상부의 개방부위로부터 취출(물품을 꺼냄)을 행하고 있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 박스팰릿의 측판 혹은 저판의 일부를 개폐하는 구조로 하여 폐기물 등의 물품을 비교적 꺼내기 쉽게한 것이 안출되고 있다.
그러나, 이 종래의 것에 있어서는 수납한 폐기물 등의 물품의 취출작업(끄집어내는 작업에 있어서, 박스팰릿자체를 별도의 수단 예컨대 와이어 등에 의해 매달아 바꾸어서 경사 이동시키는 것이므로, 실제로 와이어 등을 매달아 바꾸는 작업자와, 포오크리프트(지게차)등의 들어올림 수단에 의해서 박스팰릿을 들어 올리는 조작을 하는 작업자의 적어도 두 사람의 인원을 필요로 하고 그 연계작업에 지장등을 가져오면 그마다는 작업은 대단히 위험한 작업이 되어 때로는 작업자가 박스팰릿의 모서리나 와이어 등에 의해서 큰 부상을 당하는 폐해가 있었다.
또, 박스팰릿의 측판을 개방하는 것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측판을 개방한 후에만, 박스팰릿 내의 폐기물 등의 물품을 끄집어 내지 않으면 아니되어 대단히 번거롭고 이것을 단번에 끄집어 냄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박스팰릿자체를 매달아서(또는 들어올려서) 행하지 않으면 아니되고 그 작업의 위험성을 면할 수가 없었다.
또한, 박스팰릿의 저판을 개방하는 것에 있어서는, 상기한 문제점은 해결할 수 있지만, 그 개폐수단의 구성이 크게되어 실용적으로는 맞지 않는 것이었다.
[발명의 개시]
그래서 본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박스팰릿 내에 수납한 폐기물 등의 물품의 취출을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극히 안전하고 또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박스팰릿을 제안한다.
(1) 제1의 발명은 상부를 개방하고 또한 4주 및 저부를 측판 및 저판으로 둘러싸고 그 저판을 2분할함과 아울러 아래방향으로 개폐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짜맞추어진 박스팰릿으로서 측판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의 경사 이동이 가능하게 지승(支承)된 작동아암과, 이 작동아암과 상기한 2분할된 저판을 그 저판의 개폐 등을 허용하도록 연계한 연계부재와 상기한 작동아암의 경사 이동 궤적상과 동일한 경사 이동 궤적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의 위치변위 가능하게 옆으로 걸고 또한 그아암과 계탈 가능한 작동로드로 이루어지고 그 작동로드는 상기한 작동아암과 걸어맞추는 상태에서는 상기한 저판의 폐상태(닫힘상태)가 유지되고 또한 걸어맞추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 저판의 열림상태를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팰릿이다.
이 박스팰릿에 의하면, 박스팰릿을 포오크리프트 등의 매달아올리는(들어올리는)수단에 의해서 들어 올린 상태에 있어서, 작동로드를 작동아암의 경사이동궤적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위치 편위하여서 그 작동아암과 걸어 맞춤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서 그 작동아암 및 이것에 연계된 연계수단에 의해서 저판의 각각의 열림상태를 허용해서 그 저판을 열어 이동하기 때문에 박스팰릿 내에 수납되어 있는 폐기물 등의 물품을 다른 위치로 간이하게 끄집어 낼 수가 있다.
(2) 상기 제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연계수단을 일당부가 2분할된 저판에 각각 추착되고 또한 타단부가 작동아암에 대하여 동축상에 추착된 작동링크수단에 의해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박스팰릿에 의하면, 저판과 작동아암이 기계적으로 연계되기 때문에 저판의 개폐 움직임을 적극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고, 또 저판의 닫힘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작동로드의 걸어 맞춤작동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3) 상기 제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로드에 대하여 그 작동로드를 입력에 의해 위치를 변위시키기 위한 제1의 조작수단을 설치하고, 이것과는 별도의 동력으로 그 작동로드를 위치변위시키는 제2의 조작수단을 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박스팰릿에 의하면 작동로드를 두개의 다른 조작수단에 의해 위치변위시키는것이므로, 그 작업상황에 따라서 각각 선택하여 조작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한쪽의 조작수단을 자동화해서 작동로드의 위치변위동작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 종류의 작업의 안전성을 대폭적으로 향상할 수 있다.
(4) 상기 제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작동아암이 그 상경상태로 작동로드와 걸어 맞춤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박스팰릿에 의하면 저판의 닫힘상태에 있어서, 작동아암과 작동로드의 걸어 맞춤부위에 작용하는 힘 예컨대 박스팰릿 내에 수납한 폐기물 등의 중량이 그대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동일한 작동아암과 작동로드와 걸어 맞춤 및 걸어 맞추지 않은 동작의 원활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5) 상기 제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박스팰릿의 대략 네모서리의 하부에는 소망하는 높이의 각부(다리부)를 설치하고, 상기한 개폐 움직임이 가능한 일방축의 저판에 대하여 브라켓을 연결하여 안내륜(안내바퀴)의 내측에 대향하는 안내륜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승하고, 상기한 양 안내륜을 상기한 각부의 높이 내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박스팰릿에 의하면, 2분할된 저판이 개폐시에 있어 그 양 저판에 설치된 각각의 안내륜에 의해 규제안내 되면서 그 저판을 개폐 움직임이 가능할 수 있고, 2분할된 저판이 개폐 움직임을 원활하고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6) 상기한 양 안내륜을 장설한 브라켓을 상기한 저판의 폐색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각부와 동일한 높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박스팰릿에 의하면, 브라켓을 각부로서 기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양 저판의 폐쇄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7) 제2의 발명은 상부를 개방하고 또한 4주 및 저부를 축판 및 저판으로 둘러싸고 그 저판을 2분할 함과 아울러 개폐 움직임이 가능하게 짜맞추어진 박스팰릿으로서 그 축판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의 경사이동이 가능하게 지승된 작동아암과, 그 작동아암과 상기한 2분할된 저판을 그 저판의 각각의 개폐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연계한 연계부재와 , 상기한 작동아암의 경사이동 궤적상과 동일한 경사이동 궤적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위치변위해서 그 작동아암과 계탈가능하게 옆으로 걸고 또한 작동아암과의 걸어 맞춤상태에서는 상기한 저판의 닫힘상태를 유지하고 걸어 맞추지 않은 상태에서는 저판의 열림상태를 허용하는 작동로드와, 상기한 측판에 경사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한 작동로드와 연계해서 그 작동로드의 위치변위를 제어하는 조작부재와, 상기한 측판에 대하어 경사이동이 가능하게 지승되어 상기한 조작부재와는 별도의 수단에 의해서 경사이동되는 경사이동레버와 이 경사이동레버의 경사이동동작을 상기한 조작부재의 경사이동동작으로서 전달하는 연계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이 연계수단은 상기한 조작부재에 대하여 상기한 경사이동레버의 경사이동각도가 조정가능하케 연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팰릿이다.
이 박스팰릿에 의하면, 2분할된 저판의 개폐 움직임에 있어, 조작부재의 경사이동조작에 의해서 저판의 개폐 움직임을 행함과 아울러, 이 조작부재의 경사이동동작을 별도의 수단에 의해서 경사이동되는 경사이동레버로서 행할 수 있고, 또 조작 부재에 대하여 연계수단에 의해서 경사이동레버의 경사이동각도의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사이동레버의 경사이동동작을 자동화해서 저판의 개폐 등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 종류의 작업이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8) 상기 제2의 발명에 있어서, 조작부재에 연결로드를 돌출하도록 설치하고 연계수단에는 그 연결로드에 계탈하는 복수개의 계지홈을 형성하고, 이 계지홈은 상기한 연결로드에 걸어 맞춤한 상태에 있어서 적어도 경사이동레버의 경사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와 경사이동을 허용하는 위치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박스팰릿에 의하면 연계수단에 있어서의 복수개의 계지홈에 의해서 적어도 그 경사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와 경사이동을 허용하는 위치에 설정해서 이 경사이동레버의 경사이동상태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경사이동각도가 조절된 경사이동레버에 의해서 조작부재의 원격조작으로서의 자동조작수단을 여러가지 상태로 설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 종류의 작업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9) 상기 제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아암이 그 상경상태에서 작동로드와 걸어 맞춤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박스팰릿에 의하면 저판의 닫힘상태에 있어서, 작동아암과 작동로드의 걸어맞춤부위에 작용하는 힘, 예컨대 박스팰릿 내에 수납한 폐기물 등의 중량이 그대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동일한 작동아암과 작동로드의 걸어맞춤 및 걸어맞추지 않은 동작의 원활화를 도모할 수 있다.
(10) 상기 제2의 발명에 있어서, 박스팰릿의 대략 부(네모서리)의 하부에는 소망하는 높이의 각부(다리부)를 설치하여 상기한 개폐 움직임이 가능한 한쪽축의 저판에 대하여 브라켓을 연결하여 안내륜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승함과 아울러, 타방축의 저판에는 브라켓을 연결하여 상기한 안내륜의 내측에 대향하는 안내륜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승하여 상기한 양 안내륜을 상기한 각부의 높이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박스팰릿에 의하면, 2분할된 저판이 개폐시에 있어, 그 양저판에 설치된 각각의 안내륜에 의해 규제안내 되면서 그 저판을 개폐움직임이 가능하고, 2분할된 저판의 개폐 움직임을 원할하고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11) 상기한 양 안내륜을 장설한 브라켓을 상기한 저판의 닫힘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각부와 동일한 높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박스팰릿에 의하면 브라켓을 각부로서 기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양저판의 폐쇄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 1 도는, 본발명의 제1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박스팰릿의 사시도이다.
제 2 도는, 제1도의 P시선의 사시도이다.
제 3 도는, 정면도이다.
제 4 도는, 평면도이다.
제 5 도는, 본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박스팰릿의 정면도이다.
제 6 도는, 측면도이다.
제 7 도는, 평면도이다.
제 8 도(a)는, 부착판과 작동로드 제1의 조작수단의 관계를 표시하는 확대단면도이다.
제 8 도(b)는, 작동로드 및 제1의 조작수단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확대단면도이다.
제 9 도는, 제1의 조작수단 및 제2의 조작수단의 관련구성을 표시하는 일부상략의 사시도이다.
제 10 도는, 본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박스팰릿의 정면도이다.
제 11 도는, 측면도이다.
제 12 도는, 평면도이다.
제 13 도(a)는, 작동로드 및 제1의 조작수단의 관계를 표시하는 확대단면도이다.
제 13 도(b)는, 작동로드 및 제1의 조작수단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확대단면도이다.
제 14 도는, 제1의 조작수단 및 제2의 조작수단의 관련구성을 표시하는 일부생략의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발명을 구제화한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4도에 따라서 상술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박스팰릿의 전체를 표시하고 그 박스팰릿(1)은 4주(네둘레)를 측판(2A),(2B),(2C),(2D)로 또한 저부를 대략 중앙부에서 2분할된 저판(3A),(3B)로 상부를 개방한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저판(3A),(3B)은 분할가장자리의 반대단연(끝가장자리)이 상기한 서로 대향하는 측판(2A),(2B)의 하부에 경첩 등의 회동수단을 연결하여 개폐 움직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분할가장자리에 따라서 지지봉(4A),(4B)이 옆으로 걸게하고, 이 지지봉(4B),(4B)의 양단부는 저판(3A),(3B)의 측연으로부터 약간 돌출해서 그 지지봉(4B),(4B)보다 큰 완충을 겸한 안내부재(5),(5)가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한 측판(2A),(2B)의 상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포오크리프트 등의 포오크가 삽입되는 대략 문형상의 받음금구(6),(6)가 장착되고 또한 하부에는 비교적 짧은 지각(支脚)(7), (7)이 4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그 측판(2A), (2B)에는 저판(3A),(3B)의 열림상태 시의 완충을 하는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완충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저판(3A),(3B)의 분할면과 직교하는 측의 측판(2C),(2D)의 대략 중앙부에는 보스부(8a)를 연결하여 작동아암(8),(8)이 그 측판(2C),(2D)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의 경사이동이 가능하게 지승되어 있다(다만, 이 후의 설명에 있어서는 한쪽의 측판(2C)측에 대하여 설명하나, 다른 쪽의 측판(2D)측에 대하여도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다). 이 작동아암(8)의 아암부(8b)는 그 상경상태에 있어서 일단부가 그 측판(2C)의 단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하도록 연출되어서 소망의 안내원 호면(8C)이 팽출형성되어 있고, 동(同) 아암부(8b)에는 그 경사이동 지승부위로부터 길이방향에 따라서 안내장공(9)을 형성하는 안내지승부재(10)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이 안내장공(9)내에는 체인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결색(11),(11)을 부착하기 위한 지지링(12)이 아암부(8b)에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연계부재를 구성하는 두개의 체인 등으로 이루어진 연결색(11),(11)은 상단이 지지링(12)에 부착되고, 그 하단이 각각 2분할된 저판(3A),(3B)의 지지봉(4A),(4B)의 돌출단부에 부착되어 있고, 이 연결색(11),(11)은 작동아암(8)의 상경상태에 있어서 지지링(12)이 그 작동아암(8)의 경사이동 지승부(보스부(8a))부근에 위치되어서 저판(3A),(3B)을 닫힘상태를 유지하여 박스팰릿(1)의 저부를 닫고 또한 작동아암(8)의 하경상태에 있어서 지지링(12)이 그 작동아암(8)의 경사이동 지승부(보스부(8a))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위치되어서 저판(3A),(3B)을 열림상태를 허용해서 박스팰릿(1)의 저부를 개방하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작동아암(8)의 아암부(8b)에는 상기한 안내장공(홈)(9)내에 있어서 지지링(12)이 단계적으로 이동하도록 톱날형상의 조정부재(13)가 장착되고 또 안내지승부재(10)상에는 후술하는 와이어 등의 작동색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측판(2C)에 직교하는 한쪽의 측판(2A)에는 그 대략 상부 양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지브라켓(14),(14)이 경사상태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양 지지브라켓(14),(14)에는 사상안내장구(홈)(15),(15)가 각각 관설되고 이 지지브라켓(14),(14)의 사상안내장구(홈)(15),(15)내에 걸쳐서 장척의 작동로드(16)가 그 사상안내장구(홈)(15),(15)에 따라서 그 측판(2A)으로부터 퇴피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옆으로 걸게 되어 있다. 그리고 작동로드(16)는 그 양단부가 상기한 측판(2A)의 측단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설치되어서 사상안내장구(15),(15)의 최하위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한 작동아암(8)의 단부를 승재계지하여 그 작동아암(8)의 상경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그 사상안내장구(홈)(15),(15)에 따라서 비스듬하게 상방(측판(2A)로부터 퇴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사상안내장구(홈)(15),(15)의 최상위에 위치함에 따라서 상기한 작동아암(8)의 단부의 상기 계지상태를 해리하여 그 작동아암(8)의 하경상태를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작동로드(16)에는 상기한 사상안내장구(홈)(15),(15)에 대하여 그 길이방향(로드의 축방향)에 편위하지 않도록 지지부라켓(14),(14)에 맞닿아 접촉하는 위치규제플랜지(17)가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한 한쪽의 측판(3A)의 상부 대략 중앙부에는 브라켓(18)을 연결하여 제1의 조작수단을 구성하는 판형상의 조작부제(19)가 경사이동 가능하게 지승되어있고, 그 상단부는 한쪽의 측판(2A)의 상단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되고 하단부는 상기한 작동로드(16)의 측부로 대향 하도록 면하고 있다. 그리하여 조작부재(19)는 제1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경사이동하는 것에 의해 작동로드(16)를 사상안내장구(홈)(15),(15)의 최하위의 위치에서 비스듬하게 상방(측판(2A)으로부터 퇴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사상안내장구(홈)(15),(15)의 최상위에 위치하도록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부재(19)는 제1도에 있어서, 항상 반시계방향으로의 경사이동이 그 경사이동축부에 감기 등을 한 감김스프링 등(미도시)의 수단에 의해서 밀게 되어 있다.
상기한 양 작동아암(8),(8)의 안내지승부재(10)상에는 대략 문형상의 받음부(20)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이 받음부(20)에는 저판(3A),(3B)을 닫힘상태로 하기 위한 와이어 등의 작동색(21)의 단부가 상기한 작동로드(16)를 회피해서 부착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 작동색(21)은 포오크리프트 등에 의한 포오크에 걸려서 매달아 올라가는 것에 의해 저판(3A),(3B)을 닫힘상태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작동색(21)은 받음부(20)에 거는 구조의 별개의 부제로 하여도 좋다.
또, 박스팰릿(1)의 상면의 대략 네모서리부에는 아이볼트형상의 걸어맞춤부재(22),(22)가 설치되어 있고, 이 걸어맞춤부재(22),(22)에 와이어 등의 견인색(미도시)을 걸리게 하는 것에 의해 크레인 등의 매달아 올림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박스팰릿(1)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것이며, 2분할된 저판(3A),(3B)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 그 박스팰릿(1)내에 상방으로부터 소망의 폐기물등의 물품을 넣어서 수납하는 것이다.
그래서, 수납한 폐기물 등의 물품을 박스팰릿(1)내에 끄집어내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포오크리프트 등의 포오크를 받음금구(6),(6)에 삽입하여 동포오크리프트 등에 의해 박스팰릿전체(1)를 들어 올려서 소정의 부위 예컨대 폐기물등의 물품을 운반하는 트럭의 하대 등 상방에 위치시킨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에의해 조작부재(19)를 스프링(미도시)의 부세력에 항거해서 도시한 시계방향으로 경사이동하면 그 경사이동에 따라서 작동로드(16)가 지지브라켓(14),(14)의 사상안내장구(홈)(15),(15)의 최하위의 위치에서 그 사상안내장구(홈)(15),(15)에 따라서 비스듬한 방향(측판(2A)로부터 퇴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동 사상 안내장구(홈)(15),(15)의 최상위에 위치된다.
이 작동로드(16)는 사상 안내장구(홈)(15),(15)의 최상위에 위치함에 따라 지금까지 작동아암(8)의 단부를 승재계지하여 상태를 자동적으로 해리하여 그 작동아암(8)의 하경상태를 허용한다. 그러면, 작동아암(8)은 그 자중에 의해 하경(측판(C)에 따라서 아래 방향으로 경사이동)되어 그에 따라서 연결색(11),(11)을 부착하고 있는 지지링(12)이 안내장구(홈)(9)내를 조정부재(13)의 각 톱날 형상부분을 뛰어 넘으면서 그 작동아암(8)의 경사이동 지승부(보스부(8a))로부터 가장 먼 부근으로 향해서 이동되어 그 연결색(11),(11)자체에 각각의 저판(3A),(3B)의 걸어 맞춤부 위치에 뒤틀림을 일으켜서 그 저판(3A),(3B)의 각각의 열림상태를 허용한다.
그리고, 지지링(12)이 안내장구(홈)(9)내에 있어서의 조정부재(B)의 각 톱날형상 부분에 걸어맞춤되는 것에 의해 그 지지링(12)의 이동이 속도를 완화함과 아울러, 작동아암의(8)의 하경상태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며, 이 경우는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작동아암(8)을 일시적으로 보전지지하는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작동로드(16)과 작동아암(8)의 걸어맞춘 상태가 해리된 후는 조작부재(19)에 대한 경사이동력을 풀면 그 조작부재(19)는 스프링(미도시)의 미는 힘에 항거해서 도시한 반시계방향으로 자동적으로 경사이동해서 원래의 상태로 복귀됨과 아울러, 작동로드(16)도 그 자중에 의해서 사상안내장구(홈)(15),(15)의 최하위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저판(3A),(3B)은 그 자중 및 수납되어 있는 폐기물 등의 물품의 중량에 의해서 측판(12A),(2B)에 대하여 경첩 등의 회동수단의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방향으로 열어서 박스팰릿(1)자체의 저부를 개방하는 것이며, 이에 의해서 박스팰릿(1)내에 수납되어 있는 폐기물 등의 물품을 끄집어 내는 것이다.
이 경우, 저판(3A),(3B)의 열림상태에 있어서는 세력 좋게 개(開)동작한 경우에는 고무등으로 이루어지는 완충부재에 의해서 측판(2A),(2B)에 대한 층격을 완화할 수가 있고, 또 박스팰릿(1)자체의 들어올림 높이가 부족하여 예컨대 트럭의 하대(짐받이)등에 맞닿아 접촉한 경우에는 지지봉(4A),(4B)에 부착한 완충을 겸한 안내부재(5),(5)에 의해 그 충격을 완화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박스팰릿(1)내에 수납되어 있는 폐기물 등의 물품의 취출을 종료한 상태에 있어서, 작동색(21)을 별도의 들어올림수단에 걸어서 상방으로 매달아 올리면 작동아암(8)이 적극적으로 상경(측판(C)에 따라서 상방향으로 경사이동)되고 그에 따라서 연결색(11),(11)을 부착하고 있는 지지링(12) 안내장구(홈)(9)내를 조정부재(13)의 톱날형상부분을 뛰어넘으면서 그 작동아암(8)의 경사이동 지승부(보스부(8a))부근으로 향해서 이동되고 그 연결색(11),(11) 자체는 각각의 저판(3A),(3B)의 결합부위간에 항상 긴장한 상태가 유지되어서 그저판(3A),(3B)을 각각의 닫힘상태로 끌어 올리는 동작(폐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동작이 속행되어서 작동아암(8)의 단부가 그 안내원호면(8C)에 의해 상기한 사상안내장구(홈)(15),(15)의 최하위에 위치된 작동로드(16)를 그 사상안내장구(홈)(15),(15)에 따라서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밀어올려 그 작동로드(16)를 회피함과 아울러, 재차 작동로드(16)가 사상안내장구(15),(15)의 최하위에 위치로 복귀이동이 되어서 작동아암(8)의 단부를 자동적으로 승재계지하여 그 작동아암(8)의 상경상태를 유지한다.
이 동작에 맞추어서 2분할된 각각의 저판(3A),(3B)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닫힘상태로 인상동작(폐동작)되어서 완전하게 폐상태(닫힘상태)로 되어 박스팰릿(1)자체의 저부를 폐색하는 것이다.
그러한 후, 박스팰릿(1)자체의 원래의 소정의 자리에 되돌리고 포오크리프 등의 포오크를 받음금구(6)∼(6)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저판(3A),(3B)을 조작부재(19)의 회동조작에 따르는 작동로드(16)의 걸어맞춤, 걸어맞추지 않은 상태에 의해서 개폐제어하는 작동아암(8)과 그 저판(3A),(3B)을 체인 등의 연결색(11)에 의해 연계한 것에 의해 그 저판(3A),(3B)의 개폐움직임을 그 작동아암의 하경, 상경의 경사이동에 의해서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실시예에 있어서는 포오크리프트 등의 포오크를 받음금구(6),(6)에 삽입해서 동일한 포오크리프트 등에 의해 박스팰릿(1) 전체를 들어올린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박스팰릿(1)의 상면의 대략 네모서리에 설치한 아이볼트 형상의 걸어맞춤부재(22),(22)에 와이어 등의 견인색(미도시)을 거는 것에 의해 그 포오크리프트 등의 포오크 혹은 크레인 등의 매달아 올림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며, 크레인 등에 의한 매달아 올린경우는 상기한 조작부(19)에 원격조작용의 로우프 혹은 와이어 등의 인장색(미도시)을 설치하여 이 인장색의 끌어당김 동작에 의해 그조작부재(19)를 경사이동 동작시켜도 좋고, 이 경우는 모두 원격조작으로 박스팰릿(1)의 들어올림(매달아 올림)및 저판(3A),(3B)의 개폐 움직임을 행할 수 있고, 안정성 및 생력화를 더욱 높일 수가 있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5도 내지 제9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특히 작동아암(8)과 저판(3A),(3B)의 연계수단을 전술한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결색(11)에 대신해서 작동링크수단을 사용하고, 또 2분할된 저판(3A),(3B)의 개폐조작을 작업자의 수동조작 외에 자동적으로 행하는 자동조작수단을 설치한 경우로서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각 부재에 대하여는 도면 중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즉, 저판(3A),(3B)의 분할연과 직교하는 측의 측판(2C),(2D)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하방측에는 작동아암(8), (8)이 그 측판(2C), (2D)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경사이동이 가능하게 지승(8a)되어 있다. 이 작동아암(8a)의 아암부(8b)는 그 상경상태에 있어서 일단부가 그 측판(2C)의 단연으로부터 약간 돌출하도록 연출되어서 소망하는 안내원호면(8C)이 팽출형성되어 있고, 동단부부근에는 길이를 달리한 연계부재를 구성하는 2개의 작동링크(30),(30)가 동일의 축지된(31)에 의해 동측판(2C),(2D)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경사이동이 가능하게 사설되어 있다. 이 두개의 작동링크(30),(30)의 하단부는 각각 상기한 2분할된 저판(3A),(3B)의 분할부분측부에 대하여 브라켓(32),(32)을 개재하여 축지판(33),(33)에 의해 경사이동을 허용하도록 축착되어 있다.
상기한 쪽의 축판(2A)의 대략 상부양측부에는 지지브라켓(14),(14)이 사상으로 돌출되어 있고 양 지지브라켓(14),(14)에는 사상안내장구(홈)(15),(15)가 각각 관설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브라켓(14),(14)의 사상 안내장구(홈)(15),(15)내에 걸쳐 장척의 작동로드(16)가 옆으로 걸게 되어 있고, 그 작동로드(16)는 그 양단부가 그 사상안내장구(홈)(15),(15)에 대하여 동일한 사상안내장구(홈)(15),(15)에 따라서 그 측판(2A)로부터 퇴피하는 방향 즉, 상기한 작동아암(8)의 단부에 있어서의 경사이동궤적상 및 같은 경사이동궤적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됨과 아울러, 바깥쪽으로 돌출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측판(2C)에 직교하는 한쪽의 측판(2A)의 대략 상부 양측부에는소정의 간격을 두고 부착브라켓(34),(34)을 개재하여 대략 3각형상의 부착판(35),(35)이 그 상부의 한쪽의 구석각부를 회동핀(36),(36)으로 회동가능하게 축지되고 이 부착판(35),(35)의 하부의 구석각부에는 작동로드(16)를 삽통하는 대략 가로방향 U자형상의 걸어 맞춤홈(35a),(35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부착판(35),(35)의 상부의 다른쪽의 구석각부에는 부착로드(37)가 옆으로 걸고되고, 그 부착로드(37)에는 제1의 조작수단을 구성하는 문형상의 조작부재(38)가 그 상단을 박스팰릿(1)의 상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된 상태로 사상(비스듬한 상태)으로 부착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한 작동로드(16)는 조작부재(38)를 측판(2A)측에 회동하는 것에의해 부착판(35),(35)이 회동핀(36),(36)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되므로 이 회동에 따라서 걸어맞춤홈(35a),(35a)에 삽통한 그 양단부가 그 사상안내장구(홈)(15),(15)에 따라서 그 측판으로부터 퇴피하는 방향 즉, 상기한 작동아암(8)의 단부에 있어서의 경사이동궤적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또, 조작부재(38)를 측판(2A)측으로부터 퇴피하는 방향으로 자중에 의해서 회동하는 것에 의해 부착판(35),(35)이 회동핀(36),(36)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되므로, 이 회동에 따라서 그 양단부가 그 사상 안내장구(홈)(15),(15)에 따라서 그 측판(2A)측으로 향하는 방향, 즉, 상기한 작동아암(8)의 단부에 있어서의 경사이동궤적상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서, 그 양단부가 상기한 측판(2A)의 측단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서 사상안내장구(홈)(15),(15)의 최하위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한 작동아암(8)의 단부의 경사이동궤적상에 있어서 동단부를 승재계지해서 그 작동아암(8)의 상경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그 사상안내장구(홈)(15),(15)에 따라서 경사상방(측판(2A)로부터 퇴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사상안내장구(홈)(15),(15)의 최상위에 위치함에 따라서 상기한 작동아암(8)의 단부의 경사이동궤적으로부터 벗어나서 동단부의 상재계지 계지상태를 해리하여 그 작동아암(8)의 하경상태를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박스팰릿(1)의 하부의 양구석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포오크리프트등의 포오크가 삽입되는 중공의 단면 대략 3각형상의 제1의 포오크 삽입구(39),(39)가 상기한 측판(2C)에 직교하는 측판(2A),(2B)간에 걸쳐 배치설계되고, 또 동제1의 포오크 삽입구(39),(39)의 대략 상부에는 동일하게 소정의 간격으로 제2의 포오크 삽입구(40),(40)가 배치설계되며, 이 포오크 삽입구(39),(39),(40),(40)내에 포오크리프트 등의 포오크를 삽입해서 박스팰릿(1) 전체를 들어 올리던가 내리던가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2분할된 저판(2A),(2B)의 하면 양측면부에는 각각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썰매형상의 다리(41),(41)가 수설되며, 또, 일방측의 저판(2A)하면에는 1개의 회전가능한 안내차륜(42)이 장설되어 있다. 이 안내차륜(42)은 외주의 설치부위가 상기한 다리(41)의 하면과 동일 또는 약간 안쪽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그 분할된 저판(3A),(3B)의 개폐조작을 자동적으로 행하기 위한 제2의 조작수단을 구성하는 자동조작수단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양측판(2C),(2D)의 한쪽측면에 따라서 경사이동레버(42),(42)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 경사이동레버(43),(43)의 대략 중앙부가 그 측판(2C), (2D)에 대하여 지지판(44)을 개재하여 경사이동가능하게 지승되고, 상단부가 박스팰릿(1)의 대략 상부에 면하고, 또한 하단부가 그 박스팰릿(1)의 하부 즉 제1의 포오크 삽입구(39),(39)로부터 하방에 면하고, 이 하부간에는 다른쪽의 측판(2B)에 따라서 위치하는 장판(45)이 옆으로 걸어 연결하도록 되어있다. 또, 그 양측판(2C),(2D)의 대략 상부에는 동측판(2C),(2D)에 따라서 연결아암(46),(46)이 가로방향으로 배설되어 있고, 이 연결아암(46),(46)의 일단은 상기한 경사이동레버(42),(42)의 상단부에 대하여 지지핀(47),(47)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지되고 또한 타단은 상기한 조작부재(38)측에 연결되어 있다.
즉, 조작부재(38)의 양측으로부터 측판(2C),(2D)측으로 향해서 각각 연결로드(48),(48)가 돌설되고 이 연결로드(48),(48)에 상기한 연결아암(46),(46)의 타단이 연결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연결로드(48),(48)는 상기한 부착판(35),(35)의 상부로부터 연설된 보강부재에 의해 그 돌출하여 설치된 상태가 보강되고 있다.
그리하여, 상기 자동조작수단은 경사이동레버(43),(43)의 장판(45)을 측판(2B)측으로 압동되면 그 경사이동레버(43),(43)가 지지핀(44),(44)을 중심으로 하여 도시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그 상단이 측판(2C)측단면측으로 회동변위된다. 이에 의하여 연결아암(46),(46)이 도시한 우방향으로 끌려진 상태로 직선형상으로 평행이동되고 이것과 연결로드(48),(48)를 개재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된 조작부재(38)가 측판(2A)측으로 회동되어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하여 작동로드(16)와 작동아암(8)단부의 상재계지상태를 해리하여 그 작동아암(8)의 하경상태를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연결아암(46),(46)은 그 대략 중앙부 및 대략 타단부가 상기한 측판(2C),(2D)에 고착된 단면 그자형상의 안내부재(49),(49)에 의하여 그 평행이동이 안내되고, 대략 중앙부에 위치된 안내부재(49)에는 계지공(50)이 판설되고, 이에 대응하는 연결아암(46)에는 도시우방향으로 끌어 당겨져서 직선형상으로 평행이동하기전의 상태(조작부재(38)가 측판(2A)측으로 회동되기전의 상태 즉, 2분할된 저판(3A),(3B)의 폐상태)의 위치에 있어서 그 계지공(50)에 대응하는 계지공(51)이 관설되고 이 안내부재(49)의 계지공(50)및 연결아암(46)의 계지공(51)에는 동계지공(50),(51)에 걸쳐서 박탈 가능한 스톱퍼핀(52)이 끼워지고, 이 스톱퍼핀(52)은 그 안내부재(49)에 대하여 체인 등의 연결색(53)에 의해 매달아지고 있다.
그리하여 스톱퍼핀(52)이 안내부재(49)의 계지공(50)및 연결아암(46)의 계지공(51)에 걸쳐서 끼운 상태에서는 연결아암(46)의 도시우방향의 직선형상의 평행이동을 저지하고, 그 계지공(50),(51)으로부터 박탈된 상태에서는 연결아암(46)의 도시우(圖示右)방향의 직선형상의 평행이동을 허용한다. 즉, 자동조작수단의 안전수단 또는 조작부재(19)의 불의의 회동동작을 저지하는 안전수단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는 상기한바와 같이 구성된 것이며, 이하 그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먼저 안내부재(49)의 계지공(50)및 연결아암(46)의 계지공(51)에 걸쳐서 끼운 스톱퍼(52)를 그 계지공(50),(51)으로부터 빼어내어 두고 포오크리프트 등의 포오크를 받음금구(6),(6) 또는 박스팰릿(1)의 대략 하부에 위치되는 제1의 포오크 삽입구(39),(39) 혹은 제2의 포오크 삽입구(40),(40)내에 삽입하여 동포오크리프트 등에 의해 박스팰릿(1) 전체를 들어 올려서 소정의 부위, 예컨대 폐기물 등의 물품을 운반하는 트럭의 하대(짐받이)등 상방에 위치시킨다.
그래서 작업자에 의해 조작부재(38)를 측판(2A)측으로 회동하던가 혹은 자동조작수단에 의해 조작부재(38)를 측판(2A)측으로 회동한다.
이 자동조작수단에 의하여 조작부재(38)를 측판(2A)측으로 회동함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박스팰릿(1)전체를 트럭의 측판(미도시)상부보다 약간 하방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그 트럭의 측판측으로 끌고, 자동조작수단을 구성하는 경사이동레버(43),(43)의 장판(45)을 트럭의 측판에 대하여 박스팰릿(1)에 있어서의 측판(2B)측으로 압동하면, 그 경사이동레버(43),(43)가 지지핀(44),(44)을 중심으로 하여 도시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그 상단이 측판(2C)의 측단면측으로 회동변위 된다. 이에 의해서 연결아암(46),(46)이 도시한 우방향으로 끌어 당겨진 상태로 안내부재(49),(49)에 따라서 직선형상으로 평행이동되고 이것과 연결로드(48),(48)를 개재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된 조작부재(38)가 측판(2A)측으로 회동된다.
상기와 같이 해서 조작부재(38)가 측판(2A)측으로 회동되면 부착판(35),(35)이 회동핀(36),(36)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되므로 이 회동에 따라서 걸어맞춤홈(35a),(35a)에 삽통하는 작동로드(16)가 지지브라켓(14),(14)의 사상안내장구(홈)(15),(15)의 최하위의 위치에서 그 사상안내장구(홈)(15),(15)에 따라서 경사상방(측판(2A)로부터 퇴피하는 방향)즉, 작동아암(48)의 단부의 경사이동궤적 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동 사상안내장구(긴홈)(15),(15)의 최상위에 위치된다.
이 작동로드(16)가 사상안내장구(긴홈)(15),(15)의 최상위에 위치함에 따라 지금까지 작동아암(8)의 단부를 승재계지하여 상태를 자동적으로 해리하여 그 작동아암(8)의 하경상태를 허용한다. 그러면, 작동아암(8)은 그 자중동에 의해 하경(측판(C)에 따라서 아래방향으로 경사이동)상태로 경사이동(도시한 반시계방향으로 경사이동)되어 이것과 연동해서 작동링크(30),(30)가 순차하방으로 변위하는 상태로 동작되어서 그 저판(3A),(3B)을 각각 적극적으로 열림상태로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저판(3A),(3B)은 작동링크(30),(30)에 의하여 그 자중 및 수납되어 있는 폐기물 등의 물품의 중량에 의한 상승동작에 의해 측판(2A),(2B)에 대하여 경첩 등의 회동수단의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방향으로 개동(열림)되어서 박스팰릿(1)자체의 저부를 개방하는 것이며, 이에 의해서 박스팰릿(1)내에 수납되어 있는 폐기물 등의 물품을 끄집어 내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박스팰릿(1)내에 수납되어있는 폐기물 등의 물품의 취출을 종료한 상태에 있어서, 저판(3A),(3B)의 썰매모양의 다리(41)가 설치면에 당접된 대로의 상태로 그 박스팰릿(1)전체를 하강시키면, 그 하강에 따라서 저판(3A),(3B)의 쌜매모양의 다리(41)가 설치면에 대한 당접상태를 유지하면서 폐방향으로 적극적으로 회동되어서 박스팰릿(1)의 저면을 폐상태를 한다. 이 경우, 한쪽의 저판(3A)측에 설치한 안내차륜(42)에 의해 그 저판(3A),(3B)의 회동상태가 원활하게 행하여지는 것을 조장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저판(3A),(3B)의 폐방향으로의 적극 회동에 의해서 작동링크(30),(30)가 상방으로 변위해서 작동아암(8)을 도시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의해서 그 작동아암(8)의 단부가 그 안내원호면(8C)에 의해 상기한 사상안내장구(긴홈)(15),(15)의 최하위의 위치된 작동로드(16)를 그 사상안내장구(15),(15)에 따라서 경사상방으로 밀어올려 그 작동로드(16)를 회피함과 아울러, 재차작동로드(16)가 사상안내장구(긴홈)(15),(15)의 최하위의 위치로 복귀동되어서 작동아암(8)의 단부를 자동적으로 승재계지 하여 그 작동아암(8)의 상경상태를 유지한다.
이 동작에 때맞추어서 2분할된 각각의 저판(3A),(3B)은 완전하게 폐상태로 되어 박스팰릿(1)자체의 저부를 폐색하는 것이다.
그러한 후, 박스팰릿(1)자체를 원래의 소정자리에 되돌리고, 포오크리프트 등의 포오크를 받음금구(6),(6),(39),(39)로부터 이탈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것이며, 그 경사이동레버(43),(43), 장판(45), 연결아암(46),(46), 연결로드(48),(48) 등에 의해 구성되는자동조작수단에 의하여 조작부재(38)를 수동에 의한 회동조작이외에도 자동적으로 회동해서 박스팰릿(1)의 2분할된 저판(3A),(3B)을 자동적재 동작을 할 수가 있고, 또, 저판(3A),(3B)을 조작부재(8)의 회동동작에 따른 작동로드(16)의 걸어맞춤상태에 의해서 개폐제어하는 작동아암(8)과 그 저판(3A),(3B)을 작동링크(30),(30)에 의해 연계한 것에 의해 그 저판(3A),(3B)의 개폐 움직임 및 작동아암(8)과 작동로드(16)의 걸어맞춤동작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본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제10도 내지 제14도에 따라서 상술한다. 도면에 있어서,(101)은 박스팰릿의 전체를 표시하고, 그 박스팰릿(101)은 4주를 축판(102A),(102B),(102C),(102D)로 또한 저부를 대략 중앙부에서 2분할된 저판(103A),(103B)로 상부를 개방한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저판(103A),(103B)은 분할연의 반대 단연이 상기한 서로 대향하는 측판(102A),(102B)의 하부에 경첩 등의 회동수단을 개재하여 개폐 등 가능하게 설치되고, 분할연에 의하면 따라서 지지부재(104),(104)가 각각 옆으로 걸게 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104),(104)는 저판(103A),(103B)의 측연으로부터 약간 돌출하고 있다. 또, 상기한 측판(102A),(102B)의 상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포오크리프트등의 포오크가 삽입되는 대략 문형상의 받음금구(105),(105)가 장설되고 또한 하부의 4 모서리부는 소망의 길이로 또한 그 하부를 완(椀)형상으로 한 각부(다리부)(106),(106)가 연출되어 있다.
상기한 저판(103A),(103B)의 분할연과 직교하는 측의 측판(102C),(102D)의 대략 중앙부보다 하방측에는 작동아암(107),(107)이 그 일단부를 지승핀(107a)에 의해 그 측판(102C),(102D)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의 경사이동이 가능하게 지승되어 있다. 이 작동아암(107)의 아암부(107b)는 그 상경상태에 있어서 타단부가 그 측판(102C)의 단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하도록 연출되어서 소망의 안내사면(107C)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작동아암(107)의 대략 중앙부에는 길이를 달리한 연계부재를 구성하는 두개의 작동링크(108),(108)가 동일한 축지핀(109)에 의해 동측판(102C),(102D)에 라서 상하방향으로 경사이동이 가능하게 상설되어 있다. 이 두개의 작동링크(108),(108)의 하단부는 각각 상기한 2분할된 저판(103A),(103B)의 분할면의 하면에 따라서 연재하는 지지부재(104),(104)의 단부에 브라켓(110), (110)을 연결하여 축지핀(111),(111)에 의해 그 경사이동을 허용하도록 추착되어있다.
상기한 한쪽의 측판(102A)의 대략 상부 양측부에는 지지브라켓(112),(112)이 사상으로 돌출하여 설치되고 양지지브라켓(112),(112)간에 걸쳐 장척의 작동로드(113)가 옆으로 걸게 되어 있고, 그 작동로드(113)는 같은 지지브라켓(112),(112)상에 따라서 그 측판(102A)로부터 퇴피하는 방향 즉, 상기한 작동아암(107)의 단부에 있어서의 경사이동궤적상 및 동일한 경사이동궤적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다시 설치됨과 아울러, 외방으로 돌출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측판(102C)으로 직교하는 한쪽의 측판(102A)의 대략 상부 양측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부착브라켓(114),(114)을 개재하여 대략 3각형의 레버형상의 부판판(115),(115)이 그 중앙구속각부를 회동핀(116),(116)으로 회동가능하게 축지되고, 이 부착판(115),(115)의 하부의 구석각부에는 사상의 장공(117),(117)이 관설되고, 이 장공(117),(117)내에 상기한 작동로드(113)가 유삽지지되어 있다. 또, 부착판(115),(115)의 상부에는 제1의 조작수단을 구성하는 문형상의 조작부제(118)가 사상으로 부착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한 작동로드(113)는 조작부재(118)를 측판(102A)측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부착판(115),(115)이 회동핀(116),(116)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되므로, 이 회동에 따라서 지지브라켓(112),(112)상에 따라서 그 측판(102A)로부터 퇴피하는 방향, 즉, 상기한 작동아암(107)의 단부에 있어서의 경사이동궤적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또 조작부재(118)를 측판(102A)측으로부터 퇴피하는 방향으로 자중에 의해 회동하는 것에 의해, 부착판(115),(115)이 회동핀(116),(116)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되므로, 이 회동에 따라서 그 지지브라켓(112),(112)상에 따라서 측판(102A)측으로 향하는 방향, 즉, 상기한 작동아암(108)의 단부에 있어서의 경사이동궤적상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서, 그 양단부가 상기한 측판(102A)의 측단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서 지지브라켓(112),(112)의 최하위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한 작동아암(107)의 단부의 경사이동궤적상에 있어서 동단부를 승재계지하여 그 작동아암(107)의 상경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그 지지브라켓(112),(112)상에 따라서 경사상방(측판(102A)로부터 퇴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그 최상위에 위치함에 따라서 상기한 작동아암(107)의 하경상태를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박스팰릿(101)의 하부의 양구석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포오크리프트등의 포오크(미도시)가 삽입되는 중공의 단면의 포오크 삽입구(119),(119)가 상기한 측판(102C)에 직교하는 측판(102A),(102B)간에 걸쳐 저판(103A),(103B)의 상면에 위치하여 배치되어 있고, 이 포오크 삽입구(119),(119)내에 포오크리포트 등의 포오크를 삽입하여 박스팰릿(101)전체를 들어올리던가, 내리던가 하는 것이다. 상기한 2분할된 저판(103A),(103B)에 있어서, 한 쪽의 저판(103B)측에는 상기한 지지부재(104)의 양단에는 구형형상의 부착브라켓(120),(120)이 설치되고, 이 부착브라켓(120),(120)의 일부측에는 아암(121),(121)을 연결하여 안내륜(122),(122)이 회전자재하게 각각 지승되고, 다른쪽의 저판(103B)측에는 상기한 지지부재(104)의 양단에는 구형형상의 부착브라켓(123),(123)이 설치되고, 이 부착브라켓(123),(123)에는 아암(124)(124)을 연결하여 안내륜(125),(125)이 상기한 안내륜(122),(122)의 내측에 대향위치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승되어 있다.
그리고, 저판(103A),(103B)의 폐색 상태에 있어서, 이 양 안내륜(122),(125)의 외주의 설치부위 상기한 각부(106)의 하면과 동일 또는 약간 안쪽, 즉, 2각부(106)의 높이 내에 위치하도록 설정되고, 또, 양 부착브라켓(120),(123)은 각부(106)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2분할된 저판(103A),(103B)의 개폐조작을 자동적으로 행하기 위한 별개의 조작 수단을 구성하는 자동조작 수단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양측판(102C),(102D)의 한 쪽 측면에 따라서 경사이동레버(126),(126)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서, 이 경사이동레버(126),(126)의 대략중앙부가 2축판(102C),(102D)에 대하여 지지된 (126a)를 연결하여 경사이동이 가능하게 지승되고, 상단부가 박스팰릿(101)의 대략상부에 면해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고, 또한 하단부가 박스팰릿(101)의 하부, 즉, 상기한 포오크 삽입구(119),(119)보다 하방으로 면하고, 이 하부 사이에는 다른 쪽의 측판(102B)에 따라서 위치하는 강판(127)이 옆으로 걸게 되어 있다. 또, 그 양측판(102C),(102D)의 대략 상부에는 동측판(162C),(162D)에 따라서 연결아암(128),(128)이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연결아암(128),(128)의 일단은 상기한 경사이동레버(126),(126)의 상단부의 절곡펀(126b),(126b)에 대하여 지지된 (129),(129)에 의해 회동이 가능하게 축저되고, 또한 타단은, 상기한 조작부재(118)측의 작동링크(130),(130)의 단부에 지지된 (131),(131)에 의해 경사이동이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아암(128),(128)의 작동링크(130),(130)내에 상기한 측판(102C),(102C)으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된 가이드핀(132),(132)이 유삽되는 것에 의해, 그 연결아암(128),(128)의 이동이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작동링크(130),(130)는 그 전단에 복수개(도면에서 3개 )의 계지홈(133A),(133B),(133C)(제1∼제3의 게지홈)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이 계지홈(133A),(133B),(133C)은 상기한 조작부재(118)의 양측에 돌출하여설치된 연결로드(134),(134)에 계탈 가능하게 대향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한 자동조작수단은 경사이동레버(126),(126)의 강판(127)을 측판(102s)측에 압동되면, 그 경사이동레버(126),(126)가 지지된 (126a),(126a)것을 중심으로 하여 도시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그 상단부의 절곡편(126b),(126b)이 측판(102C)의 측단면측에 따라서 회동변위된다.
이에 의해서 연결아암(128),(128) 및 작동링크(130),(130)가 그 계지(133A),(133B),(133C)의 어느 것인가의 계지홈과 계지된 연결로드(134),(134)를 연결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된 조작부재(118)가 측판(102A)측으로 회동되어, 상기한 것과 동일하게 하여 작동로드(113)와 작동아암(107) 단부의 상재계지상태를 해리하여 그 작동아암(107)의 하경상태를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만, 이 작동링크(130),(130)의 선단측의 상기한 제1의 계지홈(133A)이 연결로드(134)에 걸어맞춤된 상태는 경사이동레버(126)의 경사이동범위를 없애서 조작부재(118)가 경사이동하지 않는 상태 즉, 상기한 저판(103A),(103B)의 회동을 허용하지 않는 전폐상태를 유지하는 록크상태에 대응하고, 제2의 계지홈(133B)이 연결로드(134)에 걸어맞춘 상태는 경사이동레버(126)의 경사이동범위를 적게(각도를 작게 하여)하여 조작부재(118)를 경사이동하는 상태에 대응하고, 제3의 계지홈(133C)이 연결로드(134)에 걸어맞춘 상태는 경사이동레버(126)의 경사이동범위를 상기한 것보다 많게(각도를 크게 하여)하여 조작부재(118)의 경사이동을 순식간에 행하는 상태에 대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작동링크(130)를 연결아암(128)에 대하여 경사이동해서 어느 계지홈(133A),(133B),(133C)도 상기한 연결로드에 걸어맞추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한 조작부재(118)의 단독의 회동을 허용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박스팰릿(101)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이며, 그 분할된 저판(103A),(103B)의 폐상태에 있어서, 그 박스팰릿(101)내에 상방으로부터 소망하는 폐기물 등의 물품을 넣어서 수납하는 것이다.
그래서, 수납한 폐기물 등의 물품을 박스팰릿(101)내로부터 끄집어 내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먼저, 작동링크(130)의 계지홈(133B),(133C)의 어느 것인가를 연결로드(134)에 걸어맞춘 상태에 있어서, 포오크리프트 등의 포오크를 받음금구(105),(105) 또는 박스팰릿(101)의 대략 하부에 위치되는 포오크 삽입구(119),(119)내에 삽입하에 동포오크리프트 등에 의해 박스팰릿(101) 전체를 들어 올려서 소정의 부위, 예컨대 폐기물 등을 운반하는 트럭의 하대 등 상방에 위치시킨다.
그래서, 작업자에 의해 조작부재(118)를 측판(102A)측으로 회동하던가, 혹은 자동조작수단에 의해 조작부재(118)를 측판(102A)측으로 회동한다. 이 자동조작수단에 의하여 조작부재(118)를 측판(102A)측으로 회동함에는, 박스팰릿(101) 전체를 트럭의 측판(미도시) 상부보다 약간 하방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그 트럭의 측판측에 끌고, 자동조작수단을 구성하는 경사이동레버(126)(126)의 강판(127)을 트럭의 측판에 대에서 박스팰릿(101)에 있어서의 측판(102B)측으로 압동하면, 그 경사이동레버(126),(126)가 지지된(126a),(126a)것을 중심으로 하여 도시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그 상단부의 절곡편(126b),(126b)이 측판(102C)의 측단면측에 따라서 회동변위된다. 이에 의하여 연결아암(128),(128) 및 작동링크(130),(130)가 도시한 우방향으로 끌어 당겨진 상태로 그 지지된(129),(131) 것에 의해 경사이동이 허용된 상태로 이동(작동링크(130),(130)는 장공(130a),(130a)과 이에 유삽된 가이드핀(132),(132)으로 안내)되어, 이 작동링크(130),(130)와 어느 것인가의 계지홈(133B),(133B)에 걸어맞춘 연결로드(134),(134)를 개재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된 조작부재(118)가 측판(102A)측으로 회동된다.
상기와 같이 해서 조작부재(118)가 측판(102A)측으로 회동되면, 부착(115),(115)이 회동된(116),(116) 것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되므로, 이 회동에 따라서 작동로드(113)가 지지브라켓(112),(112)에 따라서 그 최하위의 위치로부터 경사상방(측판(102A)으로부터 퇴피하는 방향) 즉,
작동아암(107)의 단부의 경사이동궤적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동지지브라켓(112),(112)의 최상위에 위치된다.
이 작동로드(113)가 지지브라켓(112),(112)의 최상위에 위치함에 따라 지금까지 작동아암(107)의 단부를 승재계지하에 상태를 자동적으로 해리하여 그 작동아암(107)의 하경상태를 허용한다. 그러면, 작동아암(107)은 그 자중 등에 의해 하경(측판(102C)에 따라서 아래방향으로 경사이동)상태로 경사이동(도시한 반시계방향으로 경사이동)되어, 이것과 연동해서 작동링크(108),(108)가 순차하방으로 변위하는 상태로 동작되어서, 그 저판(103A),(103B)을 각각 적극적으로 개방상태(열림상태)로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저판(103A),(103B)은 작동링크(108),(108)에 의해 그 자중 및 수납되어 있는 폐기물 등의 물품의 중량에 의한 상승동작에 의하여 측판(102A),(102B)에 대하여 경첩 등의 회동수단의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방향으로 개동(열림)되어서 박스팰릿(101) 자체의 저부를 개방하는 것이며, 이에 의해서 박스팰릿(101)내에 수납되어 있는 폐기물 등의 물품을 끄집어 내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박스팰릿(101)내에 수납되어 있는 폐기물 등의 끄집어냄을 종료한 상태에 있어서, 저판(103A),(103B)의 양 안내륜(122),(125)이 설치면에 당접된 채로의 상태로 그 박스팰릿(101) 전체를 하강시키면, 그 하강에 따라서, 저판(103A),(103B)은 각각의 안내륜(122),(125)의 설치면에 대한 당접상태를 유지하면서 폐방향으로 적극적으로 회동되어서 박스팰릿(101)의 저면을 폐상태로 한다.
즉, 실시예에 있어서는, 저판(103A),(103B)의 개폐에 있어 그 양저판(103A), (103B)측에 설치한 안내륜(122),(125)이 그 설치면에 접하면서 회전되어 그 저판(103A),(103B)의 개폐움직임을 안내하는 것이며, 이에 의해서 그 작동아암(107)의 단부가 그 사상면(107C)에 의해 상기한 지지브라켓(112),(112)의 최하위에 위치된 작동로드(113)를 그 지지브라켓(112),(112)에 따라서 경사상방으로 밀어 올려 그 작동로드(113)를 회피함과아울러, 재차작동로드(113)가 지지브라켓(112),(112)의 최하위의 위치에 복귀동 되어서 작동아암(107)의 단부를 자동적으로 승재계지하여, 그 작동아암(107)의 상경상태를 유지한다. 이 동작에 짜맞추어서 그 분할된 각각의 저판(103A),(103B)은 완전히 폐상태로 되고, 박스팰릿(101)자체의 저부를 폐색하는 것이다. 그런 후, 박스팰릿(101)자체를 원래의 장소로 되돌리고, 포오크리프트 등의 포오크를 받음금구(105),(105) 혹은 포오크 삽입구(119),(119)로부터 이탈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이며, 그 경사이동레버(126 ),(126 ), 강판(127 ) , 연결아암(128 ) ,(128 ), 작동링크(130 ), (130 ), 연결로드(134),(134) 등에 의해 구성되는 자동조작 수단을 소망의 수단에 의해 원격조작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조작부재(118)만의 수동에 의한 회동조작에서도 이것을 회동하여 박스팰릿(101)의 2분할된 저판(103A),(103B)을 개동작할 수가 있다.
이 경우는, 작동링크(130)를 연결아암(128)에 대하여 경사이동해서 어느 것의 계지홈(133A),(133B),(133C)도 상기한 연결로드(134)에 걸어맞추지 않는 상태로 하는 것이다. 또, 작동링크(130),(130)의 제1의 계지홈(133A)을 연결로드(134)에 걸어맞춤의 상태에 있어서는 경사이동레버(126)의 경사이동범위를 없애서 조작부재(118)가 경사이동하지 않는 상태, 즉, 상기한 저판(103A),(103B)이 연결로드(134)에 걸어맞춤된 상태는 경사이동레버(126)의 경사이동각도를 작게하여 연결로드(118)를 통상상의 속도로 경도하는 상태로 하고, 제3의 계지홈(133C)이 연결로드(134)에 걸어맞춘 상태는 경사이동레버(126)의 경사이동범위 각도를 크게 하여 조작부재(118)의 경사이동을 순시에 행할 수 있다. 이것은 조작부재(118)의 원격조작으로서 자동조작 수단을 각종의 상태로 설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그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저판(103A),(103B)을 조작부재(118)의 회동조작에 따라 작동로드(113)에 걸어맞춤, 걸어맞추지 않은 작동아암(107)과 그 저판(103A),(103B)을 작동링크(108),(108)에 의해 연계 한 것에 의해, 그 저판(103A),(103B)의 개폐 움직임 및 작동아암(107)과 작동로드(113)의 걸어맞춤 동작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안내륜(122),(125)에 관한 구성은 상기한 한 제1의 실시예에도 응용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10)

  1. 상부를 개방하고 또한 4주(네둘레) 및 저부를 측판 및 저판으로 둘러싸고, 그 저판을 2분할함과 아울러 아래방향으로 개폐 움직임이 가능하게 짜맞춰진 박스팰릿에 있어서,
    측판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경사이동이 가능하게 지승(지지)된 작동아암과, 그 작동아암과 상기한 2분할된 저판을 그 저판의 각각의 개폐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연계한 연계부재와, 상기한 작동아암의 경사이동궤적상과 동일한 경사이동궤적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의 위치변위 가능하게 옆으로 걸게(가로로 걸쳐짐)하고, 또한 그 작동아암과 계탈 가능한 작동로드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작동로드에 대하여 그 작동로드의 입력에 의해 위치변위시키기 위한 제1의 조작수단을 설치하고, 이것과는 별개의 동력으로 그 작동로드를 위치변위시키는 제2의 조작수단을 부설하고,그 작동로드는 상기한 작동아암과의 걸어맞춘 상태에서는 그 저판의 개상태(열림상태)를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팰릿.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계수단을 일단부가 2분할된 저판에 각각 추착되고, 또한 타단부가 작동아암에 대하여 동 축상에 추착된 작동링크 수단에 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박스팰릿.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작동아암이 그 상경상태에서 작동로드와 걸어맞춤이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팰릿.
  4. 제1항에 있어서,
    저판측의 대략 네모서리부의 하부에는 소망하는 높이의 각부(다리부)를 설치하고, 상기한 개폐 움직임이 되는 일방측의 저판에 대하여 브라켓을 연결하여 상기한 개폐 움직임이 되는 일방측의 저판에 대하여 브라켓을 연결하여 안내륜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승(지지)함과 아울러, 타방측의 저판에는 브라켓을 연결하여 상기한 안내륜의 내측에 대향하는 안내륜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승하고, 상기한 양 안내륜을 상기한 각부의 높이내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팰릿.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양 안내륜을 장설한 브라켓을 상기한 저판의 폐색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각부와 동일한 높이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팰릿.
  6. 상부를 개방하고, 또한 4주 및 저부를 측판 및 저판으로 둘러싸고, 그저판을 2분할함과 아울러 개폐 움직임이 가능하게 짜맞춰진 박스팰릿에 있어서,
    그 측판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의 경사이동이 가능하게 지승된 작동아암과, 그 작동아암과 상기한 2분할된 저판과 그 저판의 각각의 개폐 등을 허용하도록 연계한 연계부재와, 상기한 작동아암의 경사이동궤적상과 동일한 경사이동궤적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위치변위하에 그 작동아암과 계탈가능하게 옆으로 걸게(가로로 걸침)하고, 또한 작동아암과의 걸어맞춘 상태에서는 상기한 저판의 폐상태(닫힘상태)를 유지하고, 걸어맞추지 않은 상태에서는 저판의 개상태(열림상태)를 허용하는 작동로드와, 상기한 측판에 경사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한 작동로드와 연계하여 그 작동로드의 위치변위를 제어하는 조작부재와, 상기한 측판에 대하여 경사이동이 가능하게 지승되고 상기한 조작부재와는 별개의 수단에 의해서 경사이동되는 경사이동레버와, 이 경사이동레버의 경사이동동작을 상기한 조작부재의 경사이동동작으로서 전달하는 연계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이 연계수단은 상기한 조작부재에 대하여 상기한 경사이동레버의 경사이동각도가 조정가능하게 연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팰릿.
  7. 제6항에 있어서,
    조작부재에 연결로드를 돌출되게 설치하고, 연계수단에는 그 연결로드에 계탈하는 복수개의 계지홈을 형성하며, 이 계지홈에는 상기한 연결로드에 걸어맞춘 상태에 있어서 적어도 경사이동레버의 경사이동을 저지하는 위치와 경사이동을 허용하는 위치에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팰릿.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작동아암이, 그 상경상태에서 작동로드와 걸어맞춤이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팰릿.
  9. 제6항에 있어서,
    저판측의 대략 네모서리부의 하부에는 소망하는 높이의 각부(다리부)를 설치하고, 상기한 개폐 움직임이 되는 일방측의 저판에 대하여 브라켓을 연결하여 상기한 안내륜을 회전자재하게 지승함과 아울러, 타방측의 저판에는 브라켓을 연결하여 상기한 안내륜의 내측에 대향하는 안내륜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승하고, 상기한 양안내륜을 상기한 각 부의 높이 내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팰릿.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한 양 안내륜을 설치한 브라켓을 상기한 저판의 폐색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각 부와 동일한 높이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팰릿.
KR1019950703992A 1994-01-20 1995-01-17 박스팰릿 KR100227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4666 1994-01-20
JP466694 1994-01-20
JP5222794A JP3204835B2 (ja) 1994-01-20 1994-03-23 ボックスパレット
JP94-52227 1994-03-23
JP15491494A JPH0820403A (ja) 1994-07-06 1994-07-06 ボックスパレット
JP15491594A JPH0820404A (ja) 1994-07-06 1994-07-06 ボックスパレット
JP94-154914 1994-07-06
JP94-154915 1994-07-06
PCT/JP1995/000037 WO1996000690A1 (fr) 1994-01-20 1995-01-17 Palette-cais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2411A KR960702411A (ko) 1996-04-27
KR100227069B1 true KR100227069B1 (ko) 1999-10-15

Family

ID=51452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3992A KR100227069B1 (ko) 1994-01-20 1995-01-17 박스팰릿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27069B1 (ko)
TW (1) TW26799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010B1 (ko) 2016-12-26 2018-11-08 문태근 내통체 및 외통체로 구비되고 음식물쓰레기에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통
KR101928647B1 (ko) 2017-03-16 2018-12-1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하부 개폐형 음식물 쓰레기통
KR102061890B1 (ko) 2018-07-27 2020-01-02 (주)라이프엔티 음식물 쓰레기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8626B (zh) * 2018-03-17 2020-03-17 刘民佳 一种宠物环保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010B1 (ko) 2016-12-26 2018-11-08 문태근 내통체 및 외통체로 구비되고 음식물쓰레기에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통
KR101928647B1 (ko) 2017-03-16 2018-12-1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하부 개폐형 음식물 쓰레기통
KR102061890B1 (ko) 2018-07-27 2020-01-02 (주)라이프엔티 음식물 쓰레기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2411A (ko) 1996-04-27
TW267990B (ko) 199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10064B2 (ja) ボックス型パレット
US5746463A (en) Box pallet
KR100227069B1 (ko) 박스팰릿
CN111186762B (zh) 焦罐专用吊具
US2803489A (en) Load-lifting device of the self-gripping type
JP2019182569A (ja) フック装置およびカウンタウエイトの搭載方法
KR100440350B1 (ko) 바닥 개방식 컨테이너
JP4454929B2 (ja) 底開き式コンテナ
JP2676060B2 (ja) 自転車用駐車装置
US4685713A (en) Container grab
US5419601A (en) Lifting device
US4579235A (en) Crane boom stowing apparatus
JP3204835B2 (ja) ボックスパレット
KR101596738B1 (ko) 부양식 맨홀 조립체
JPH01299188A (ja) 吊上げフレーム
JP3321145B2 (ja) 底開き式コンテナ
US5000648A (en) Barrier lifter
US20040031953A1 (en) A-coil jacks and method of removing furnaces
JP2006008410A (ja) 荷役用ハンガー
JPH01226427A (ja) バッテリフォークリフト用バッテリケース
US20230356988A1 (en) Double-reeved lifting device with an improved pawl-locking mechanism
JP2510063B2 (ja) ボックス型パレット
JP2572532B2 (ja) ボックス型パレット
CN216997475U (zh) 一种车辆举升机用气动解锁装置
JP2923168B2 (ja) コンテナーのスタッキングコーンの自動解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