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6827B1 - 투사형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투사형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6827B1
KR100226827B1 KR1019960045274A KR19960045274A KR100226827B1 KR 100226827 B1 KR100226827 B1 KR 100226827B1 KR 1019960045274 A KR1019960045274 A KR 1019960045274A KR 19960045274 A KR19960045274 A KR 19960045274A KR 100226827 B1 KR100226827 B1 KR 100226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display
display means
sub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5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6734A (ko
Inventor
구희술
김한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45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6827B1/ko
Publication of KR19980026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6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6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8Scale or resolution adjus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5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for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부화면을 표시하는 투사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2개의 LCD 패널 3을 제 1, 제 2 화상표시수단으로 이용하거나, 1개의 LCD 패널을 제 1, 제 2 화상표시영역으로 구분하고, 문자정보가 포함된 입력정보로부터 분리된 주화상정보는 제 1 화상표시수단(또는 제 1 화상표시영역)에 표시하고 부화상정보는 제 2 화상표시수단(또는 제 2 화상표시영역)에 표시함으로써, 부화상정보의 판독이 용이해지고, 또한, 소스가 다른 2 개의 입력정보중 하나는 제 1 화상표시수단(또는 제 1 화상표시영역)에 표시하고 다른 하나는 제 2 화상표시수단(또는 제 2 화상표시영역)에 표시함으로써, 멀티미디어 환경에서의 소스가 다른 2개의 입력정보를 서로 다른 영역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투사형 표시장치
본 발명은 투사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화상정보를 표시하는 투사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화면(Large screen)을 이용한 표시기술이 발전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화상을 대화면에 투시하여 스크린에 표시하는 투사형 표시장치가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투사형 표시장치는 투사 표시할 화상정보를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 LCD) 패널 등과 같은 화상표시수단에 표시하고, LCD 패널에 표시된 화상을 광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확대 투사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인 투사형 표시장치는 표시할 화상정보가 텔레비젼과 같이 방송수신신호, 비데오 카셋트 레코더(VCR)등의 정보재생장치로부터 제공된다.
이러한 정보들은 대개 여러가지 문자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텔레텍스트(Teletext), 영화 등의 자막,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장치 자체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 OSD)(사용 모드 표시등)등이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문자 정보는 텔레비젼은 물론 투사형 표시장치에서 통상 주화상에 중첩되어 표시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하나의 화면에 화상과 문자 정보가 중첩되어 표시됨으로써, 가시 영역이 작아져 시청감이 떨어지고 문자 정보 등의 판독이 곤란하였다.
특히, 문자 정보의 색상이 주화상과 비슷한 경우는 판독이 더욱 더 곤란하였다.
또한, 멀티미디어 환경에 있어서 2개의 소스를 동시에 표시하여야 하는 필요가 증대되고 있는데 이를 만족시켜주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자 정보 등과 같은 부화상정보의 판독을 쉽게 할 수 있는 투사형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화상정보를 주화상 정보와 별도로 표시할 수 있는 투사형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화상정보가 포함된 입력정보로부터 주화상 정보와 부화상정보를 자동적으로 분리하여 별도로 표시할 수 있는 투사형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리되어 입력되는 2개의 다른 정보를 하나는 주화상 정보로서, 다른 하나는 부화상 정보로서 별도로 표시할 수 있는 투사형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표시장치의 특징은, 광원과, 상기 광원의 광로에 수직으로 위치하고 표시할 주화상정보를 표시하는 제 1 화상표시수단과, 상기 광원의 광로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화상표시수단에 인접 배치되어 표시할 부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화상표시수단과, 상기 광원의 광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제 2 화상표시수단에 표시된 화상을 확대 투사하는 화상투사수단과, 표시할 2개의 입력신호를 상기 제 1, 제 2 화상표시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제 1, 제 2 구동신호로 변환하여 제 1, 제 2 화상표시수단에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광원과, 상기 광원의 광로에 수직으로 위치하고 표시할 주화상을 표시하는 제 1 화상표시수단과, 상기 광원의 광로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화상표시수단에 인접 배치되어 부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화상표시수단과, 상기 광원의 광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제 2 화상표시수단에 표시된 화상을 확대 투사하는 화상투사수단과, 표시할 입력화상신호를 주화상 정보와 부화상 정보로 분리하는 신호분리수단과, 상기 분리된 주화상 정보와 부화상 정보를 상기 제 1, 제 2 화상표시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제 1, 제 2 구동신호로 변환하여 제 1, 제 2 화상표시수단에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화상표시수단에 표시된 화상은 동일한 투사렌즈그룹을 통하여 스크린에 투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광원과, 상기 광원의 광로에 수직으로 위치하고 주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제 1 화상표시영역, 부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화상표시영역으로 구분된 화상표시수단과, 상기 광원의 광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제 2 화상표시영역에 표시된 화상을 확대 투사하는 화상투사수단과, 표시할 2개의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표시수단의 제 1 화상표시영역과 제 2 화상표시영역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광원과, 상기 광원의 광로에 수직으로 위치하고 표시할 주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제 1 화상표시영역과, 부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화상표시영역으로 구분된 화상표시수단과, 상기 광원의 광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제 2 화상표시영역에 표시된 화상을 확대 투사하는 화상투사수단과, 표시할 입력화상신호를 주화상 정보와 부화상 정보로 분리하는 신호분리수단과, 상기 분리된 주화상 정보와 부화상 정보를 상기 화상표시수단의 제 1, 제 2 화상표시영역을 구동하기 위한 제 1, 제 2 구동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화상표시영역에 표시된 화상은 동일한 투사렌즈그룹을 통하여 스크린에 투사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표시장치의 광학계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표시장치에서 2개의 액정패널을 사용하는 경우의 신호 처리를 나타낸 구성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표시장치에서 1개의 액정패널을 제1, 제2 화상표시영역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경우의 신호처리를 나타낸 구성블럭도
제4a도는 도2 의 제1, 제2 화상표시수단을 상하로 배치하는 경우의 예시도
제4b도는 도2 의 제1, 제2 화상표시수단을 좌우로 배치하는 경우의 예시도
제5a도는 제5b도는 제3도의 화상표시수단의 제1, 제2 화상표시영역을 상하로 분할한 경우의 예시도
제6a도 내지 제6c도는 제3도의 화상표시수단의 제1, 제2 화상표시영역을 좌우로 분할한 경우의 예시도
제7a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표시영역을 상하로 구분한 경우의 스크린에 표시된 화면 예시도
제7b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표시영역을 좌우로 구분한 경우의 스크린에 표시된 화면 예시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표시장치의 액정 패널을 3판식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는 구성블럭도
제9a도 내지 제9d도는 제4a의 제1, 제2 화상표시수단 구동신호를 나타낸 타이밍도
제10a도, 제10b도 제3도의 제1, 제2 화상표시영역의 구동신호를 나타낸 타이밍도
제11a도 내지 제11c도는 제5a도의 제1, 제2 화상표시영역의 구동신호를 나타낸 타이밍도
제12a도, 제12b도는 제6a도의 제1, 제2 화상표시영역의 구동신호를 나타낸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광원 12 : 리플렉터
13 : 집광렌즈 14 : 액정(LCD) 패널
14a : 제 1 화상표시수단 14b : 제 2 화상표시수단
15 : 투사렌즈 그룹 16 : 스크린
16a : 주화상 영역 16b : 부화상 영역
20 : 제어부 21 : 신호분리부
22 : 화상표시수단 구동부 22-1 : 데이타 공급부
22-2 : 타이밍 제어부 22-3 : 데이타 변환 및 공급부
23 : 제 1 화상표시영역 24 : 제 2 화상표시영역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병에 따른 투사형 표시장치의 광학계 구성도로서, 백색광을 출사하는 광원(11)과, 상기 광원(11)의 빛은 일정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Reflector)(12)와, 상기 광원(11)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리플렉터(12)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반사된 빛을 평행광으로 접속시키는 집광렌즈(13)와, 상기 집광렌즈(13)에서 집속투과된 빛의 광량을 제어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LCD 패널(14)과, 상기 LCD 패널(14)에서 영사된 광을 스크린(16)에 투사시키는 투사렌즈그룹(1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LCD 패널(14)은 2개로 분리될 수도 있고,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LCD 패널이 2개로 분리된다면 주화상정보를 표시하는 제 1 화상표시수단(14a)과 부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화상표시수단(14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화상표시수단(14a)에는 주로 영상이 표시되고, 제 2 화상표시수단(14b)에는 주로 문자정보가 표시되며, 필요에 따라서 제 1 화상표시수단(14a)에는 문자 정보가, 제 2 화상표시수단(14b)에는 영상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제 2 화상표시수단(14a, 14b)에 문자정보만 또는 영상만 표시될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 1, 제 2 화상표시수단(14a, 14b)은 고해상도 LCD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제 2 화상표시수단에 표시되는 부화상 정보가 문자정보일 경우, 상기 제 1 화상표시수단(14a)은 고해상도 LCD 패널을 사용하고, 상기 제 2 화상표시수단(14b)은 상기 제 1 화상표시수단(14a)과 같은 타입으로 사용하되 저해상도 LCD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화상표시수단(14a)은 고해상도 LCD 패널을 사용하고 제 2 화상표시수단(14b)은 매트릭스 타입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LCD 패널(14)이 한개로 이루어진다면 제 1 화상표시영역과 제 2 화상표시영역으로 구분되고, 제 1 화상표시영역에는 주화상 정보가, 제 2 화상표시영역에는 부화상 정보 즉, 문자정보가 주로 표시된다.
상기 제 1, 제 2 화상표시영역의 LCD 구조는 상기 제 1, 제 2 화상표시수단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 1 의 광원(11)에서 출사된 빛은 리플렉러(12)에 의하여 반사되고 접속렌즈(13)에 의해 평행광으로 집속되어 LCD 패널(14)에 적절한 빛 분포를 이루며 조사된다.
상기 LCD 패널(14)에는 입력되는 신호와 제 1, 제 2 화상표시수단(14a, 14b)의 LCD 타입에 따라 주화상 정보와 부화상 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LCD 패널(14)은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화상을 표시하고 있으므로 제 1, 제 2 화상표시수단(14a, 14b)에 구현된 화상은 투사렌즈그룹(15)에 의해서 스크린(16)에 확대 투사된다.
즉, 상기 스크린(16)은 투사렌즈그룹(15)에 의하여 투사된 빛을 반사 또는 투과하여 화상을 결상시킨다.
이때, 투영 사이즈의 결정은 투사렌즈그룹(15)의 초점 거리 및 투영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스크린(16)은 제 1 화상표시수단(14a)에 표시된 주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16a)과 제 2 화상표시수단(14b)에 표시된 부화상 정보(또는 문자정보)를 표시하는 영역(16b)으로 구분된다.
도 2 는 LCD 패널(14)이 2개로 분리된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표시장치의 신호처리를 나타낸 구성블럭도이다.
도 2 를 보면, 시스템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입력신호를 주화상 정보와 부화상 정보로 분리하는 신호분리부(21), 상기 신호분리부(21)에서 분리된 주화상 정보를 제 1 화상표시수단(14a)에 표시 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데이타 공급부(22-1), 상기 신호분리부(21)에서 분리된 부화상 정보를 제 2 화상표시수단(14b)에 표시 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데이타 변환 및 공급부(22-3), 상기 데이타 공급부(22-1)와 데이타 변환 및 공급부(22-3)에 타이밍 신호를 제공하는 타이밍 제어부(22-2) 및 제 1, 제 2 화상표시수단(14a, 14b)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데이타 공급부(22-1), 타이밍 제어부(22-2), 및 데이타 변환 및 공급부(22-3)는 화상표시수단 구동부(22)이고, 데이타 변환 및 공급부(22-3)는 부화상 정보가 텍스트일 경우 영상 데이타로 변환한 후 타이밍 제어부(22-2)에서 제공되는 타이밍 신호에 따라 제 2 화상표시수단(14b)에 표시 가능한 신호로 처리한다.
이때, 상기 제 1, 제 2 화상표시수단(14a, 14b)이 도 4a 에서와 같이 상하로 배치된 경우 제 1 화상표시수단(14a)은 데이타 구동부(X1), 어드레스 구동부(Y1), 및 제 1 화상표시영역(23)으로 이루어지고, 제 2 화상표시수단(14b)은 데이타 구동부(X2), 어드레스 구동부(Y2), 및 제 2 화상표시영역(2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22-2)는 상기 데이타 구동부(X1, X2)와 어드레스 구동부(Y1, Y2)의 구동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제 2 화상표시수단(14a, 14b)이 도 4b 에서와 같이 좌우로 배치된 경우 제 1, 제 2 화상표시수단(14a, 14b)의 데이타 구동부(X1, X2)는 다르나 어드레스 구동부(Y1)는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 2에서 신호분리부(21)는 텔레비전 방송신호, VCR의 재생신호등 입력신호가 제공되면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주화상 정보와 부화상 정보를 분리한다.
상기 입력신호는 문자정보가 포함된 영상신호일 수도 있고, 2개의 분리된 소스일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신호분리부(21)는 입력신호가 문자정보가 포함된 영상신호이면 영상신호를 주화상 정보로, 문자신호를 부화상 정보로 분리한다.
또한, 입력신호가 2개의 분리된 소스라면 상기 신호분리부(21)는 한 소스는 주화상 정보, 다른 한 소스를 부화상 정보로 하여, 주화상 정보는 데이타 공급부(22-1)로, 부화상 정보는 데이타 변환 및 공급부(22-3)로 출력한다.
즉, 상기 신호분리부(21)에서 주화상 정보가 영상신호이고, 부화상 정보가 문자정보라고 가정할 경우, 주화상 정보는 데이타 공급부(22-1)로 출력되고, 부화상 정보는 데이타 변환 및 공급부(22-3)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신호분리부(21)는 동기신호등을 타이밍 제어부(22-2)로 출력하고 타이밍 제어부(22-2)는 이 신호들을 타이밍 신호 발생의 기준으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신호분리부(21)는 버퍼나 더미 메모리를 내장하고 언더플로우(Underflow) 또는 무신호시 더미 데이타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때의 제 2 화상표시영역(24)은 마스킹 처리되어 블랙으로 나타난다.
한편, 상기 데이타 공급부(22-1)은 타이밍 제어부(22-2)에서 제공되는 클럭과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주화상 정보를 데이타 구동부(X1)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타 변환 및 공급부(22-3)는 부화상 정보가 영상신호가 아닌 텍스트, 코드등일수도 있으므로 부화상 정보가 영상신호가 아니라면, 상기 부화상 정보를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제 2 화상표시수단(14b)에 맞는 데이타 형태로 변환한 후 타이밍 제어부(22-2)에서 제공되는 클럭에 맞춰 데이타 구동부(X2)로 출력한다.
이때, 제 1, 제 2 화상표시수단(14a, 14b)이 도 4b에서와 같이 상하로 배치되는 경우 제 1 화상영역(23)에는 타이밍 제어부(22-2)의 제어에 따라 도 9b와 같이 데이타 구동부(X1)를 통해 공급되는 데이타와 도 9a와 같이 어드레스 구동부(Y1)를 통해 제공되는 어드레스에 따라 주화상이 표시된다.
즉, 데이타 구동부(X1)를 통해 데이타가 입력되면 어드레스 구동부(Y1)에 의해 해당열의 어드레스가 온되어 주화상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제 2 화상영역(24)에는 타이밍 제어부(22-2)에 따라 도 9b와 같이 데이타 구동부(X2)를 통해 공급되는 데이타와 도 9c와 같이 어드레스 구동부(Y2)를 통해 제공되는 어드레스에 따라 부화상 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부화상 정보는 주화상 정보보다 늦게 표시되므로 어드레스 구동부(Y1, Y2)에 대해서 수직동기신호는 똑같다.
한편, 제 1, 제 2 화상표시수단(14a, 14b)이 도 4b에서와 같이 좌우로 배치되는 경우, 데이타 구동부(X1)를 통해서 주화상 정보가 제 1 화상표시영역으로 입력되고, 데이타 구동부(X2)를 통해서 부화상 정보 데이타가 제 2 화상표시영역으로 입력되면, 어드레스 구동부(Y1)는 제 1, 제 2 화상표시영역의 해당열의 어드레스를 동시에 온시킨다.
이것은 타이밍 제어부(22-2)의 타이밍 신호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제 2 화상표시수단(14a, 14b)에 표시된 화상은 하나의 동일한 투사렌즈그룹(15)을 통하여 스크린(16)의 주화상 영역(16a)과 부화상 영역(16b)에 확대 투사된다.
즉, 상기 스크린(16)은 투사렌즈그룹(15)에 의하여 투사된 빛을 반사 또는 투과하여 화상을 결상시킨다.
이때, 투영 사이즈의 결정은 투사렌즈그룹(15)의 초점 거리 및 투영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도 3 은 LCD 패널(14)이 1개로 구성되면서 제 1 화상표시영역과 제 2 화상표시영역으로 분리되는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표시장치의 신호처리를 나타낸 구성블럭도로서, 한개의 LCD 패널에 동일 데이타 전극을 사용하고 셀을 나누어서 제 1, 제 2 화상표시영역으로 구분한다.
도 3 을 보면, 시스템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0),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입력신호를 주화상 정보와 부화상 정보로 분리하는 신호분리부(31),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분리부(31)에서 분리된 주화상 정보와 부화상 정보를 선택 출력하는 멀티플렉서(32-1), 상기 멀티플렉서(32-1)를 통해 출력되는 주화상 정보 또는 부화상 정보를 제 1 화상표시영역(34) 또는 제 2 화상표시영역(35)에 표시 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데이타 공급부(32-2), 상기 멀티플렉서(32-1)로 선택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데이타 공급부(32-2)로 클럭을 제공하는 타이밍 제어부(32-3), 및 화상표시수단(3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멀티플렉서(32-1), 데이타 공급부(32-2), 및 타이밍 제어부(32-3)는 화상표시수단 구동부(32)이고, 화상표시수단(33)은 1개의 LCD 패널로 이루어지고 제 1 화상표시영역(34)과 제 2 화상표시영역(35)으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제 1, 제 2 화상표시영역(34, 35)은 고해상도 화상표시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부화상 정보가 문자정보일 경우 상기 제 1 화상표시영역(34)은 고해상도 화상표시수단을 사용하고, 상기 제 2 화상표시영역(35)은 상기 제 1 화상표시영역(34)과 같은 타입으로 사용하되 저해상도 화상표시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데이타 공급부(32-2)는 부화상 정보가 텍스트와 같이 영상신호가 아닐 경우 제 2 화상표시영역(35)에 표시 가능한 데이타 형태로 변환한 후 타이밍 제어부(32-3)에서 제공되는 클럭에 맞춰 데이타를 출력한다.
주화상 정보 또는 부화상 정보가 영상신호이면 데이타를 변환할 필요가 없다.
이때, 상기 화상표시수단(33)은 상하로 분할된 제 1, 제 2 화상표시영역(34, 35), 단일 데이타 구동부(X1), 및 단일 어드레스 구동부(Y1)로 구성된다.
또는, 상기 화상표시수단(33)은 도 5a 에서와 같이 상하로 분할된 제 1, 제 2 화상표시영역, 단일 데이타 구동부(X1), 및 각각의 어드레스 구동부(Y1, Y2)로 구성된다.
또는, 상기 화상표시수단(33)은 도 5b에서와 같이 상하로 분할된 제 1, 제 2 화상표시영역, 각각의 데이타 구동부(X1, X2), 및 각각의 어드레스 구동부(Y1, Y2)로 구성된다.
또는, 상기 화상표시수단(33)은 도 6a에서와 같이 좌우로 분할된 제 1, 제 2 화상표시영역, 단일 데이타 구동부(X1), 및 단일 어드레스 구동부(Y1)로 구성된다.
또는, 상기 화상표시수단(33)은 도 6b에서와 같이 좌우로 분할된 제 1, 제 2 화상표시영역, 각각의 데이타 구동부(X1, X2), 및 단일 어드레스 구동부(Y1)로 구성된다.
또는, 상기 화상표시수단(33)은 도 6c에서와 같이 좌우로 분할된 제 1, 제 2 화상표시영역, 각각의 데이타 구동부(X1, X2), 및 각각의 어드레스 구동부(Y1, Y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 3에서 신호분리부(31)는 텔레비젼 방송신호, VCR의 재생신호등과 같은 입력신호가 제공되면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주화상 정보와 부화상 정보를 분리한다.
상기 입력신호는 문자정보가 포함된 영상신호일 수도 있고, 2개의 분리된 소스일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신호분리부(31)는 입력신호가 문자정보가 포함된 영상신호이면 영상신호를 주화상 정보로, 문자신호를 부화상 정보로 분리하여 멀티플렉서(32-1)로 출력한다.
또한, 입력신호가 2개의 분리된 소스라면 상기 신호분리부(31)는 한 소스는 주화상정보, 다른 한 소스를 부화상정보로 하여 멀티플렉서(32-1)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분리부(31)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제 2 화상표시영역(35)에 대한 부화상 정보의 데이타량도 조절한다.
또한, 버퍼나 더미 메모리를 내장하여 부화상정보가 언더플로우 또는 무신호시 더미(Dummy) 데이타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때의 제 2 화상표시영역(35)은 마스킹 처리되어 해당부분이 블랙으로 나타난다.
또한, 상기 신호분리부(31)는 동기신호등을 타이밍 제어부(32-3)로 출력하고 타이밍 제어부(32-3)는 이 신호를 타이밍 신호 발생의 기준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멀티플렉서(32-1)는 타이밍 제어부(32-3)의 제어에 따라 주화상 정보와 부화상 정보를 선택 출력한다.
즉, 상기 멀티플렉서(32-1)는 타이밍 제어부(32-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주화상 정보 디스플레이 타임동안은 주화상 정보를 선택하여 데이타 공급부(32-2)로 출력하고, 부화상 정보 디스플레이 타임 동안은 부화상 정보를 선택하여 데이타 공급부(32-2)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타 공급부(32-2)는 주화상 정보가 영상신호일 경우 데이타 형태는 변환하지 않고 타이밍 제어부(32-3)에서 출력되는 클럭에 맞춰 주화상 정보를 데이타 구동부(X1)로 출력한다.
한편, 데이타 공급부(32-2)는 부화상 정보가 문자, 코드 등과 같이 영상신호가 아닐 경우, 이 부화상 정보를 제 2 화상표시영역(35)에 표시가능한 데이타 형태로 변환한 후 타이밍 제어부(32-3)에서 출력되는 클럭에 맞춰 데이타 구동부(X1)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타 공급부(32-2)를 통해 주화상 정보와 부화상 정보가 정상적으로 제공되고 있다면, 데이타 구동부(X1)는 타이밍 제어부(32-3)의 클럭에 따라 도 10b에서와 같이 주화상 정보 디스플레이 타임동안은 주화상 정보를 제 1 화상표시영역(34)으로 출력하고 부화상 정보 디스플레이 타임동안은 부화상 정보를 제 2 화상표시영역(35)으로 출력한다.
또한, 어드레스 구동부(Y1)는 타이밍 제어부(32-3) 에서 발생되는 클럭에 따라 도 10a에서와 같이 순차적으로 제 1, 제 2 화상표시영역(34, 35)에 어드레스를 발생한다.
즉, 상기 제 1, 제 2 화상표시영역(34, 35)이 상하로 분할되고, 단일 데이타 구동부(X1), 및 단일 어드레스 구동부(Y1)로 된 도 3과 같은 화상표시수단(33)은 동일 데이타 전극과 동일 어드레스 전극을 사용하므로 어드레스는 하나로 제어되고 데이타도 순차적으로 제공받아 주화상 정보와 부화상 정보를 표시힌다.
이때, 주화상 정보의 수직 주기동안 주화상 정보와 부화상 정보가 모두 데이타 구동부(X1)를 통해 출력되므로 주화상 정보가 압축되어 있다.
한편, 상기 화상표시수단(33)이 도 5a에서와 같이 상하로 분할된 제 1, 제 2 화상표시영역, 단일 데이타 구동부(X1), 및 각각의 어드레스 구동부(Y1, Y2)로 구성된다면, 동일 데이타 전극을 사용하지만 어드레스 전극은 분리되므로 부화상 정보 즉, 자막을 안 볼 경우나 부화상 정보가 표시되지 않을 경우 제 2 어드레스 전극은 오프시키면 되므로 전력 절감에 도움이 된다.
이때, 데이타 구동부(X1)를 통해 도 11c와 같은 주화상 정보가 출력되면 어드레스 구동부(Y1)에서 도 11a와 같이 제 1 화상표시영역의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주화상 정보의 표시가 끝나고 데이타 구동부(X1)를 통해 부화상 정보가 출력되면 어드레스 구동부(Y2)에서 도 11b와 같이 제 2 화상표시영역의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주화상 정보와 부화상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화상표시수단(33)이 도 5b에서와 같이 상하로 분할된 제 1, 제 2 화상표시영역, 각각의 데이타 구동부(X1, X2), 및 각각의 어드레스 구동부(Y1, Y2)로 구성된다면, 상기 도 9a 내지 도 9d에서와 같이 데이타도 따로 공급하고 어드레스도 따로 인가한다.
이때, 제 1 화상표시영역의 어드레스(Y1)와 제 2 화상표시영역의 어드레스(Y2)에 대해서 수직동기신호는 똑같다.
또한, 상기 화상표시수단(33)이 도 6a에서와 같이 좌우로 분할된 제 1, 제 2화상표시영역, 단일 데이타 구동부(X1), 및 단일 어드레스 구동부(Y1)로 구성된다면, 멀티플렉서(32-1)는 라인별로 주화상 정보와 부화상 정보의 데이타를 합성하여 출력한다.
즉, 어드레스 구동부(Y1)에서 도 12a와 같이 수평 주기로 어드레스가 출력될 때, 데이타 구동부(X1)는 1 수평주기동안 주화상 정보와 부화상 정보를 함께 출력한다.
또한, 상기 화상표시수단(33)이 도 6b에서와 같이 좌우로 분할된 제 1, 제 2화상표시영역, 각각의 데이타 구동부(X1, X2), 및 단일 어드레스 구동부(Y1)로 구성된다면, 주화상 정보는 데이타 구동부(X1)를 통해 제 1 화상표시영역에 공급되고, 부화상 정보는 데이타 구동부(X2)를 통해 제 2 화상표시영역에 공급된다.
그리고, 주화상 정보와 부화상 정보에 대해 동일 어드레스 전극을 사용하는 어드레스 구동부(Y1)에서는 주화상 정보 어드레스와 부화상 정보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제 1, 제 2 화상표시영역(34, 35)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화상표시수단(33)이 도 6c에서와 같이 좌우로 분할된 제 1, 제 2 화상표시영역, 각각의 데이타 구동부(X1, X2), 및 각각의 어드레스 구동부(Y1, Y2)로 구성된다면, 제 1 화상표시영역은 데이타 구동부(X1)를 통해 공급되는 주화상 정보의 데이타와 어드레스 구동부(Y1)를 통해 공급되는 어드레스에 따라 주화상을 표시하고, 제 2 화상표시영역은 데이타 구동부(X2)를 통해 공급되는 부화상 정보의 데이타와 어드레스 구동부(Y2)를 통해 공급되는 어드레스에 따라 부화상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제 2 화상표시영역(34, 35)에 표시된 주화상 및 부화상은 하나의 동일한 투사렌즈그룹(15)을 통하여 스크린(16)의 주화상 영역(16a)와 부화상 영역(16b)에 확대 투사된다.
즉, 상기 스크린(16)은 투사렌즈그룹(15)에 의하여 투사된 빛을 반사 또는 투과하여 화상을 결상시킨다.
이때, 투영 사이즈의 결정은 투사렌즈그룹(15)의 초점 거리 및 투영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제 1, 제 2 화상표시영역을 상하로 분할하면(도 4a, 도 3, 도 5a, 도 5b 참조), 스크린(16)에는 역상으로 결상되므로 도 7a에서와 같이 자막 등과 같은 부화상 정보가 스크린 상측에 표시되고, 주화상 정보가 스크린 하측에 표시된다.
또한, 제 1, 제 2 화상표시영역을 좌우로 분할하면(도 4b, 도 6a 내지 도 6c 참조), 스크린(16)에는 마찬가지로 역상으로 결상되므로 도 7b에서와 같이 자막 등과 같은 부화상 정보 화상이 스크린 좌측에 표시되고, 주화상 정보 화상이 스크린 우측에 표시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제 1, 제 2 화상표시영역 분할과 데이타 구동부 및 어드레스 구동부를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패널을 3판식 투사형 표시장치에 적용한 경우의 단면도로서, 제 1 분리부(82)는 광원(81)으로부터 투사된 적, 녹, 청의 3색광중 녹색 광은 투과시키고 적, 청색 광은 반사시키며, 제 1 반사부(83)는 상기 제 1 분리부(82)를 투과한 녹색광을 경로로 수평방향에서 직각으로 반사시킨다.
녹색 액정패널(84)은 상기 제 1 반사부(83)에서 반사된 녹색광을 화상으로 변조하여 제 1 합성부(87)로 출력한다.
또한, 제 2 분리부(85)는 상기 제 1 분리부(82)에서 반사된 적, 청색광 중 청색광은 투과시키고 적색광은 반사시키며, 적색 액정패널(86)은 상기 제 2 분리부(85)에서 반사된 적색광을 화상으로 변조하여 제 1 합성부(87)로 출력한다.
상기 제 1 합성부(87)는 상기 녹, 적색 액정패널(84, 86)에서 표시된 녹, 적색 영상광을 합성하여 제 2 합성부(90)로 출력한다.
한편, 청색 액정패널(88)은 상기 제 2 분리부(85)에서 투과된 청색광을 화상으로 변조하고, 제 2 반사부(89)는 상기 청색 액정패널(88)에서 표시된 화상을 제 2 합성부(90)로 반사시킨다.
상기 제 2 합성부(90)는 상기 적, 녹, 청색 액정패널(84, 86, 88)로부터의 각 영상광을 합성하여 칼라 영상을 재생하여 투사렌즈그룹(91)으로 출력하고, 투사렌즈그룹(91)은 합성된 칼라영상 광을 스크린에 확대 투사시킨다.
이때, 녹색 액정패널(84)은 주화상정보를 표시하는 제 1 화상표시수단과, 부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화상표시수단으로 구분된다.
즉, 문자정보는 칼라표시가 꼭 필요하지는 않으므로 적, 녹, 청색 액정패널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든 액정패널을 제 1, 제 2 화상표시수단(또는 제 1, 제 2 화상표시영역)으로 구분하고 주화상 정보와 부화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LCD 패널이 2개 이상 사용되는 투사형 표시장치에서는 상기 다른 광로상 어느 하나의 광로 또는 모든 광로에 위치한 LCD 패널에 본 발명의 개념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실시예를 변경하여 실시(구현)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예를 들면, 화상 표시 수단으로 LCD 패널을 예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디지탈 미러 디바이스, CRT 등과 같은 다른 소자로 대체할 수 있으며,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표시장치는 2개의 LCD 패널을 제 1, 제 2 화상표시수단으로 이용하고, 문자정보가 포함된 입력정보로부터 분리된 주화상 정보는 제 1 화상표시수단에 표시하고 부화상 정보 예컨대, 문자정보는 제 2 화상표시수단에 표시함으로써, 가시영역이 넓어져 시청감이 좋고 부화상 정보의 판독이 용이해진다.
또한, 2개의 LCD 패널을 제 1, 제 2 화상표시수단으로 이용하고, 소스가 다른 2 개의 입력정보중 하나는 제 1 화상표시수단에 표시하고 다른 하나는 제 2 화상표시수단에 표시함으로써, 멀티미디어 환경에서의 소스가 다른 2개의 입력정보를 서로 다른 영역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LCD 패널을 제 1, 제 2 화상표시영역으로 분리하여 그에 따른 데이타 및 어드레스를 제공하여, 문자정보가 포함된 입력정보로부터 분리된 주화상 정보는 제 1 화상표시영역에 표시하고 부화상 정보 예컨대, 문자정보는 제 2 화상표시수단에 표시함으로써, 가시영역이 넓어져 시청감이 좋고 부화상 정보의 판독이 용이해진다.
또한, 하나의 LCD 패널을 제 1, 제 2 화상표시영역으로 분리하여 그에 따른 데이타 및 어드레스를 제공하여, 소스가 다른 2개의 입력정보중 하나는 제 1 화상표시영역에 표시하고 다른 하나는 제 2 화상표시영역에 표시함으로써, 멀티미디어 환경에서의 소스가 다른 2개의 입력정보를 서로 다른 영역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Claims (8)

  1. (정정) 광원과 ; 상기 광원의 광로에 수직으로 위치하고 표시할 주화상정보를 표시하는 제1 화상표시수단과; 상기 광원의 광로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화상표시수단에 인접 배치되어 부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화상표시수단과; 상기 광원의 광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제2 화상표시수단에 표시된 화상을 확대 투사하는 화상투사수단과; 상기 주화상 정보와 부화상 정보를 제1, 제2 구동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제2 화상표시수단에 공급하는 화상표시수단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장치.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투사수단은, 제1, 제2 화상표시수단에 표시된 화상을 확대 투사하는 단일의 투사렌즈그룹임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장치.
  3.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투사수단은, 확대 투사되는 제1, 제2 투사화상이 구분되어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장치.
  4.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상 정보는 상기 표시수단 자체에서 제공하는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장치.
  5.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상 정보는 문자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장치.
  6.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수단 구동부는, 제2 화상표시수단에 표시되는 부화상 정보가 영상신호가 이닐 경우 부화상 정보를 제2 화상표시수단에 표시할 수 있는 영상신호로 변환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장치.
  7.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수단 구동부는, 부화상 정보가 언더 플로우이거나 무신호시 더미 데이타를 발생하여 제2 화상표시수단을 마스킹 처리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장치.
  8. (정정) 광원과; 상기 광원의 광로에 수직으로 위치하고 주화상을 표시하는 제1 화상표시영역과; 부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화상표시영역을 갖는 화상표시수단; 상기 광원의 광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제2 화상표시영역에 표시된 화상을 확대 투사하는 화상투사수단과; 상기 주화상 정보와 부화상 정보를 제1, 제2 구동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공급하는 화상표시수단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장치.
KR1019960045274A 1996-10-11 1996-10-11 투사형 표시장치 KR100226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274A KR100226827B1 (ko) 1996-10-11 1996-10-11 투사형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274A KR100226827B1 (ko) 1996-10-11 1996-10-11 투사형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734A KR19980026734A (ko) 1998-07-15
KR100226827B1 true KR100226827B1 (ko) 1999-10-15

Family

ID=19477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274A KR100226827B1 (ko) 1996-10-11 1996-10-11 투사형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682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734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3273B2 (en) Overlay of plural images
KR20050118664A (ko) Osd 합성화상 복호장치, osd 합성화상 복호방법, 프로그램, 기록매체
JPH1075430A (ja) ビデオ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ビデオデータ表示装置
KR100192688B1 (ko) 다화면 텔레비젼 수상기
US6091459A (en) On-screen-display circuit
GB2262407A (en) Television display apparatus for screen and video signals with different aspect ratios
KR100226827B1 (ko) 투사형 표시장치
JPH07212729A (ja) 文字多重放送デコーダ内蔵機器
EP0806875B1 (en) Video image projector
JP2685432B2 (ja) 2画面表示機能付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H03159487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0145914B1 (ko) 화상표시장치의 의사동기신호 생성회로
JP3548271B2 (ja) プロンプターの画像表示処理装置
JPH11177884A (ja) マルチ画面表示装置
JPH0730812A (ja) ズームモードの字幕生成装置
JPH08314408A (ja) 液晶表示装置用画像出力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5268838A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制御装置
JP2005136704A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装置
KR0150535B1 (ko) 화상표시 장치의 의사동기신호 생성회로
JP2993460B2 (ja) 2画面表示機能付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S61208981A (ja) 2画面表示機能付高画質テレビジヨン受信機
JP3218792B2 (ja) 投写型画像表示装置
JP2708986B2 (ja) 多画面表示装置
JPH02127882A (ja) ビデオプロジェクタ
JPH0657057B2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