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5920B1 - 무단변속기 - Google Patents

무단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5920B1
KR100225920B1 KR1019960064271A KR19960064271A KR100225920B1 KR 100225920 B1 KR100225920 B1 KR 100225920B1 KR 1019960064271 A KR1019960064271 A KR 1019960064271A KR 19960064271 A KR19960064271 A KR 19960064271A KR 100225920 B1 KR100225920 B1 KR 100225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e
transmission
face
gea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4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6262A (ko
Inventor
요시아키 츠카다
가즈히코 나카무라
히로아키 가야마
미츠루 사이토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970046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6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5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59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21Guidance of lubricant on or within the casing, e.g. shields or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tubes, pipes, grooves, chann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86Measures for reducing size of gearbox, e.g. for creating a more compact transmission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iction Gea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단변속기의 변속기 입력기어가 오일을 불필요하게 교반하여 동력손실이 발생하는 단점을 특별한 오일저지부재를 배설하지 않고도 회피하는 무단변속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무단변속기(T)는 변속기 주축(21)의 외주에 지지한 드라이브 페이스(29) 및 드리븐 페이스(30)와, 콘 홀더(31,56)에 지지되어 상기 양 페이스(29,30)에 맞닿는 다수의 더블 콘(39)을 구비하고 있으며, 원심기구(51)에 의해 콘 홀더(31,56)를 축방향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더블 콘(39)과 상기 양 페이스(29,30)의 당접점을 변화시켜서 변속비를 제어한다. 드라이브 페이스(29)와 일체의 변속기 입력기어(25)는 오일이 침입하기 어려운 콘 홀더(31,56)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으며, 상기 콘 홀더(31,56)에 형성한 윈도우 구멍(312)을 통해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에 배치한 한 기어(12)에 맞물린다.

Description

무단변속기
본 발명은 드라이브 페이스가 맞닿는 제1 콘 및 드리븐 페이스가 맞닿는 제2 콘으로 구성된 더블 콘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제1콘 및 제2 콘에 대한 드라이브 페이스 및 드리븐 페이스의 당접점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변속비를 변경하는 무단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무단변속기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공소47-44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미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무단변속기는 변속기 주축을 케이싱으로부터 외부로 연장시켜서 엔진의 구동력을 입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축방향의 치수가 대형화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변속기 주축의 축방향 중앙부에 배설한 드리븐 기어를 크랭크 샤프트에 배설한 드라이브 기어에 의해 구동하는 것이 고려되는데, 이렇게 하면 상기 드리븐 기어가 변속기의 케이싱 저부에 고인 오일을 불필요하게 교반하여 버리고, 그 교반저항으로 인해 동력손실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피하기 위해서는 상기 드리븐 기어의 하부를 오일저지부재로 덮어서 오일의 불필요한 교반을 방지하면 되는데, 이렇게 하면 상기 오일저지부재를 배설함으로써 부품수가 증가한다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특별한 오일저지부재를 부가하지 않고 변속기 입력 기어에 의한 오일의 불필요한 교반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차량용 파워 유닛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요부확대도.
제3도는 제2도의 3-3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4-4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변속기 주축 25: 드리븐 기어(변속기 입력 기어)
29 : 드라이브 페이스 30 : 드리븐 페이스
31 : 제1 콘 홀더(콘 홀더) 312: 윈도우 구멍
37 : 더블 콘 지지축 39 : 더블 콘
40 : 제1콘 41 : 제2콘
51 : 원심기구 56 : 제2 콘 홀더(콘 홀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변속기 주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드라이브 페이스와, 변속기 주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드라이브 페이스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변속기 입력기어와, 변속기 주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드리븐 페이스와, 변속기 주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콘 홀더와, 변속기 주축을 중심선으로 하는 원추모선을 따르도록 콘 홀더에 지지된 더블 콘 지지축과, 저면을 공유하는 제1 콘 및 제2 콘으로 구성되어 상기 더블 콘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1 콘이 드라이브 페이스에 맞닿음과 동시에 제2 콘이 드리븐 페이스에 맞닿는 더블 콘을 구비한 무단변속기에 있어서, 변속기 주축을 덮도록 형성한 콘 홀더의 내부에 드라이브 페이스 및 변속기 입력기어를 수납하고, 콘 홀더에 형성한 윈도우 구멍에 변속기 입력기어의 톱니면을 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의 구성에 추가해서 변속기 입력기어를 사이에 두고 변속기 주축의 축방향 한쪽에 드라이브 페이스를 배치함과 동시에 다른쪽에 원심기구를 배치하여, 원심기구의 작동에 의해 콘 홀더를 변속기 주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1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1은 차량용 파워 유닛의 종단면도, 도2는 도1의 요부확대도, 도3은 도2의 3-3선 단면도, 도4는 도2의 4-4선 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파워 유닛(P)은 자동2륜차에 탑재된 것으로, 엔진(E) 및 무단변속기(T)를 수납하는 케이싱(1)을 구비한다.
케이싱(1)은 센터 케이싱(2)과, 센터 케이싱(2)의 좌측면에 결합되는 좌측 케이싱(3)과, 센터 케이싱(2)의 우측면에 결합되는 우측 케이싱(4)으로 3분할된다. 센터 케이싱(2) 및 좌측케이싱(3)에 한쌍의 볼 베어링(5,5)을 통해 지지된 크랭크 샤프트(6)는 마찬가지로 센터 케이싱(2) 및 좌측 케이싱(3)에 지지된 실린더블록(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춘 피스톤(8)에 커넥팅 로드(9)를 통해 연접된다.
크랭크 샤프트(6)의 좌측단에는 발전기(10)가 배설되어 있으며, 이 발전기(10)는 좌측 케이싱(3)의 좌측면에 결합된 발전기 커버(11)로 덮여진다. 우측 케이싱(4)의 내부로 연장된 크랭크 샤프트(6)의 우측단 외주에는 드라이브 기어(12)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드라이브 기어(12)는 크랭크 샤프트(6)의 우측단에 배설한 자동원심 클러치(13)에 의해 상기 크랭크 샤프트(6)에 결합가능하다.
도2를 함께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무단변속기(T)의 변속기 주축(21)은 내측 출력축(22)과, 이 출력축(22) 외주에 니들 베어링(24)을 통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춘 슬리브 형상의 입력축(2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출력축(22)의 양단이 좌측케이싱(3) 및 우측케이싱(4) 사이에 가설된다. 입력축(23)에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12)에 맞물리는 드리븐 기어(25)가 고정된다. 드리븐 기어(25)는 입력축(23)에 스플라인 결합된 내측기어반체(26)와 이 내측기어반체(26)에 다수개의 고무댐퍼(28...)를 통해 간신히 상대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상기 드라이브 기어(12)에 맞물린 외측기어반체(27)로 구성된다. 드라이브 기어(12)로부터 드리븐 기어(25)를 거쳐 입력축(23)에 전달되는 엔진 토크가 변동되었을 때, 상기 고무댐퍼(28...)의 변형으로 인해 쇼크 발생이 경감된다.
입력축(23) 외주에는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는 환형상 당접부(291)를 구비한 드라이브 페이스(29)가 스플라인 결합됨과 동시에, 출력축(22) 외주에는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는 환형상의 당접부(301)를 구비한 드리븐 페이스(30)가 상대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대략 원추형상으로 형성된 제1 콘 홀더(31)가 드리븐 페이스(30)의 보스부(302) 외주에 니들 베어링(32)을 통해 상대회전 가능하고, 또 축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3을 함께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제1 콘홀더(31)를 케이싱(1)에 대해 회전저지하는 토크 캠기구(33)는 제1 콘홀더(31)의 외주에 반경방향으로 배치한 핀(34)과, 이핀(34)에 볼 베어링(35)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롤러(36)와, 이 롤러(36)를 안내하기 위해 우측 케이싱(4)의 내벽면에 형성된 가이드홈(41)으로 구성된다. 가이드홈(41)의 방향은 변속기 주축(21)의 축선(L)에 대해 각도 α만큼 기울어져 있다.
제1 콘 홀더(31)에 형성된 다수의 윈도우 구멍(311..)을 가로지르듯이 다수의 더블 콘 지지축(37...)이 가설되어 있으며, 각 더블 콘 지지축(37)에는 니들 베어링(38,38)을 통해 콘 (39)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더블 콘 지지축(37...)은 변속기 주축(21)의 축선(L)을 중심선으로 하는 원추 모선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드라이브 페이스(29)의 당접부(291)와 드리븐 페이스(30)의 당접부(301) 사이를 가로지르고 있다.
각 더블 콘(39)은 저면을 공유하는 제1 콘(40) 및 제2 콘(41)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 콘(40)에 드라이브 페이스(29)의 당접부(291)가 맞닿음과 동시에, 제2 콘(41)에는 드리븐 페이스(30)의 당접부(301)가 맞닿는다.
크랭크 샤프트(6)에 대향하는 제1 콘 홀더(31)의 상부에 1개의 윈도우 구멍(312)이 형성된다. 제1 콘 홀더(31)의 내부에 수납된 드리븐 기어(25)의 톱니면은 상기 윈도우 구멍(312)에 면하고 있으며, 이 윈도우 구멍(312)을 통해 드라이브 기어(12)와 드리븐 기어(25)가 맞물린다.
드리븐 기어(25)의 우측에는 입력축(23)의 회전수에 따라 제1 콘 홀더(31)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무단변속기(T)의 변속비를 변경하는 원심기구(51)가 배치된다. 원심기구(51)는 입력축(23) 외주에 고정된 슬리브(52)와, 부시(53)를 통해 슬리브(52) 외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춘 캠부재(54)와, 드리븐 기어(25)의 내측기어반체(26)의 우측면에 형성한 고정캠면(261) 및 캠부재(54)의 좌측면에 형성한 가동 캠면(541)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원심 웨이트(55...)로 구성된다. 제1 콘 홀더(31)의 우측단에는 원심기구(51)를 덮는 제2 콘 홀더(56)의 외주가 클립(57)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 제2 콘 홀더(56)의 내주는 볼베어링(58)을 통해 캠부재(54)에 지지된다.
제1 콘 홀더(31)와 제2 콘 홀더(56)는 협동하여 변속기 주축(21)을 둘러싼 공간을 구획하고 있으며, 그 내부에 드리븐 기어(25), 드라이브 페이스(29) 및 원심기구(51)가 수납된다. 상기 공간은 드리븐 기어(25)의 톱니면이 면하는 1개의 윈도우 구멍(312...)과 더블 콘(39...)을 지지하는 윈도우 구멍(311...)을 통해 케이싱(1)의 내부공간에 연통한다.
상기 슬리브(52)의 우측단에 끼워맞춘 계단형 칼라(59)는 볼 베어링(60)을 통해 출력축(22)의 우측단 외주에 지지되어 있으며, 이 볼 베어링(60)의 우측면은 코터(61)에 의해 출력축(22)에 고정된다. 출력축(22) 및 입력축(23)으로 이루어진 변속기 주축(21)은 입력축(23) 외주에 끼워맞춘 볼 베어링(62)을 통해 우측케이싱(4)에 지지된다. 상기 볼 베어링(62)에 지지된 스프링 리테이너(63)와 제2 콘 홀더(56) 사이에는 스프링(64)이 배설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64)의 탄발력으로 제2 콘 홀더(56) 및 제1 콘 홀더(31)가 좌측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그러나, 입력축(23)의 회전수가 증가하면 원심력에 의해 원심웨이트(55...)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양 캠면(261541)을 가압하기 때문에 캠부재(54)가 스프링(64)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며, 이 캠부재(54)에 볼 베어링(58)을 통해 접속된 제2 콘 홀더(56) 및 제1 콘 홀더(31)는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출력축(22)의 좌측단에는 스플라인 결합되어 코터(65)로 고정된 출력기어(66)의 우측단과, 상기 드리븐 페이스(30)의 좌측단 사이에 압력조절 캠 기구(67)가 배치된다 도4에서 알 수 있듯이, 압력조절 캠기구(67)는 출력기어(66)의 우측단에 형성한 다수의 오목부(661...)와 드리븐 페이스(30)의 좌측단에 형성한 다수의 오목부(303...) 사이에 볼 (68...)을 끼운 것이며, 출력기어(66)와 드리븐 페이스(30) 사이에는 드리븐 페이스(30)를 우측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예하중을 주도록 쟁반스프링(69)이 삽입된다. 드리븐 페이스(30)에 토크가 작용하여 출력기어(66) 사이에 상대회전이 발생하면, 압력조절 캠 기구(67)에 의해 드리븐 페이스(30)가 출력기어(66)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우측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도1로 돌아가서, 좌측케이싱(3)에 볼 베어링(70)을 통해 제3감속기어(7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제3감속기어(71)에 니들 베어링(72) 및 볼 베어링(73)을 통해 출력축(22)의 좌측단이 동축에 지지된다. 좌측케이싱(3) 및 중앙케이싱(2)에 한쌍의 볼 베어링(74,74)을 통해 감속축(75)이 지지되어 있으며, 감속축(75)에 배설한 제1감속기어(76) 및 제2감속기어(77)는 각각 상기 출력기어(66) 및 제3감속기어(71)에 맞물린다. 좌측케이싱(4)에서 외부로 돌출된 제3감속기어(71)의 축부 선단에 무단체인(78)을 감은 구동 스프로킷(79)이 배설된다. 따라서, 출력축(22)의 회전은 출력기어(66), 제1감속기어(76), 제2감속기어(77), 제3감속기어(71), 구동 스프로킷(79) 및 무단체인(78)을 통해 구동륜에 전달된다
우측케이싱(4)의 내부에 형성된 오일 통로(42)는 출력축(22)의 내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오일 통로(221)에 연통되어 있으며, 이 오일통로(221)에서 제1 콘 홀더(31) 및 제2 콘 홀더(56)의 내부 공간에 공급된 오일에 의해 무단변속기(T)의 각 부는 윤활된다.
다음에 상술한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기 주축(21)의 축선(L)에서 측정한 드라이브 페이스(29)의 당접부(291)의 거리(A)는 일정치가 되며, 더블 콘 지지축(37)에서 측정한 드라이브 페이스(29)의 당접부(291)의 거리(B)는 가변치(BL,Bτ)가 된다. 또한 더블 콘 지지축(37)에서 측정한 드리븐 페이스(30)의 당접부(301)의 거리(c)는 가변치(CL,Cτ)가 되고, 변속기 주축(21)의 축선(L)에서 측정한 드리븐 페이스(30)의 당접부(301)의 거리(D)는 일정치가 된다.
드라이브 페이스(29)의 회전수를 NDR이라 하고, 드리븐 페이스(30)의 회전수를 NDN이라 하여, 변속비(R)를 R=NDR/NDN으로 정의하면 변속비(R)는,
R=NDR/NDN=(B/A) × (D/C)
에 의해 주어진다.
그러나, 도2의 상반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E)의 저속회전시에는 드라이브 기어(12)에 의해 구동되는 드리븐 기어(25)의 회전수가 낮기 때문에, 원심기구(51)의 원심웨이트(55..)에 작용하는 원심력도 작아지며, 제2 콘 홀더(56) 및 제1 콘 홀더(31)는 스프링(64)의 탄발력에 의해 좌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콘 홀더(31)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 드라이브 페이스(29)의 당접부 (291)가 더블 콘 (39)의 제1 콘(40)의 저면쪽으로 이동하여 거리(B)는 최대치(BL)로 증가함과 동시에, 드리븐 페이스(30)의 당접부(301)가 더블 콘(39)의 제2 콘(41)의 정점쪽으로 이동하여 거리(C)는 최소치(CL)로 감소한다.
이때, 상기 거리(A,D)는 일정치이기 때문에 거리(B)는 최대치(BL)로 증가하며, 거리(C)가 최소치(CL)로 감소하면 상기 변속비(R)가 커져서 LOW 레시오로 변속된다.
한편, 도2의 하반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E)의 고속회전시에는 드라이브 기어(12)에 의해 구동되는 드리븐 기어(25)의 회전수가 높기 때문에 원심기구(51)의 원심웨이트(55...)에 작용하는 원심력도 커지며, 제2 콘 홀더(56) 및 제1 콘 홀더(31)는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원심웨이트(55....)의 작용으로 스프링(64)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콘 홀더(13)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 드라이브 페이스(29)의 당접부(291)가 더블 콘 (39)의 제1 콘(40)의 정점쪽으로 이동하여 거리(B)는 최소치(Bτ)로 감소함과 동시에, 드리븐 페이스(30)의 당접부(301)가 더블 콘 (39)의 제2 콘(41)의 저면쪽으로 이동하여 거리(C)는 최대치(Cr)로 증가한다.
이 때, 상기 거리(A,D)는 일정치이기 때문에 거리(B)가 최소치(Br)로 감소하고, 거리(C)가 최대치(Cr)로 증가하면 상기 변속비(R)가 작아져서 TOP 레시오로 변속된다.
그러나, 엔진(E)의 회전수에 따라 무단변속기(T)의 변속비를 LOW와 TOP쪽 사이에서 무단계로 변화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변속비 제어는 원심기구(51)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케이싱(1) 외부에서 수동으로 변속조작을 하는 변속제어장치를 배설하는 경우나, 전자적인 변속제어 장치를 배설한 경우에 비해 구조의 간략화로 인한 코스트 삭감과 무단변속기(T)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라이브 페이스(29)의 회전은 더블 콘(39...)을 통해 드리븐 페이스(30)에 소정의 변속비(R)로 전달되며, 또 드리븐 페이스(30)의 회전은 압력조절 캠 기구(67)를 통해 출력기어(66)에 전달된다. 이 때, 드리븐 페이스(30)에 작용하는 토크에 의해 출력기어(66)사이에 상대회전이 발생하면 압력조절 캠 기구(67)에 의해 드리븐 페이스(30)가 출력기어(66)에서 이반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이 부세력은 쟁반스프링(69)에 의한 부세력과 협동하여 드라이브 페이스(29)의 당접부(291)를 더블 콘(39)의 제1 콘(40)에 압접하는 면압과, 드리븐 페이스(30)의 당접부(301)를 더블 콘(39)의 제2 콘(41)에 압접하는 면압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상기 압력조절 캠 기구(67)에 의한 부세력은 출력기어(66)를 좌측방향으로 가압하지만, 출력기어(66)의 좌측단은 코터(65)에 의해 출력축(22)의 좌측단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좌측방향의 가압력은 출력축(22)에 전달된다. 또 상기 압력조절 캠 기구(67)에 의한 부세력은 드리븐 페이스(30)를 우측방향으로 가압하지만, 그 가압력은 드리븐 페이스(30)로부터 더블 콘(39...), 드라이브 페이스(29), 내측기어반체(26), 슬리브(52), 볼 베어링(62), 칼라(59), 볼 베어링(60) 및 코터(61)를 통해 출력축(22)의 우측단에 전달된다.
따라서, 압력조절 캠 기구(67)가 출력기어(66) 및 드리븐 페이스(30)를 좌우방향으로 가압하는 하중은 출력축(22)의 인장하중으로 작용하며, 그 인장하중은 출력축(22)의 내부응력에 의해 캔슬되게 되어 압력조절 캠 기구(67)의 가압하중이 케이싱(1)에 전달되는 경우는 없다.
이에 따라 케이싱(1)의 강도를 상기 가압하중에 견디도록 강화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무단변속기(T)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압력조절 캠 기구(67)에 의해 드라이브 페이스(29) 및 드리븐 페이스(30)의 양쪽으로 힘을 가하고 있으므로. 드라이브 페이스(29) 및 드리븐 페이스(30)를 각각 별개의 압력조절 캠 기구(67)로 가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수 및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또, 무단변속기(T)가 변속을 하고 있을 때, 제1 콘 홀더(31)는 드라이브 페이스(29)의 전달토크반력에 의해 변속기 주축(21) 주변으로 회전하려고 하는데. 그 전달토크반력은 제1 콘 홀더(31)에 지지한 토크 캠 기구(33)의 롤러(36)가 우측케이싱(4)에 형성된 가이드홈(41)에 계합됨으로써 막아지므로, 제1 콘 홀더(31)는 회전하지 않고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의 주행중에 급가속하고자 하여 엔진 토크를 급증시켰을 경우, 상기 엔진 토크의 급증에 따라 제1 콘 홀더(31)에 작용하는 전달토크반력도 증대한다. 그 결과,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36)가 경사진 가이드 홈(41)의 벽면에 하중(F)으로 인해 압접되며, 그 하중(F)의 가이드 홈(41) 방향의 성분(F1)에 의해 제1 콘 홀더(31)는 도2의 좌측(LOW 레시오측)으로 힘을 받는다. 즉, 토크 캠 기구(33)의 작용에 의해 변속비가 자동적으로 LOW 레시오쪽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소위 킥다운 효과가 발휘되어 차량을 효과적으로 가속할 수 있다.
또, 상기 킥 다운시의 변속비 제어는 특별한 변속제어장치를 배설하지 않고 토크 캠 기구(33)가 엔진 토크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행하기 때문에, 구조의 간략화에 따른 코스트 삭감과 무단변속기(T)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토크 캠 기구(33)의 가이드 홈(41)형상을 변화시키는 것만으로 변속비의 변화특성을 쉽게 조정할 수 있다.
또, 무단변속기(T)의 제1 콘 홀더(31) 및 제2 콘 홀더(56)의 하부는 케이싱(1)의 저부에 고인 오일에 잠겨 있으나. 더블 콘(39...)을 지지하는 윈도우 구멍(311...) 및 드리븐 기어(25)의 톱니면이 면하는 윈도우 구멍(322)은 오일의 유면(OL)보다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도2 참조), 제1 콘 홀더(31) 및 제2 콘 홀더(56)의 내부공간에 케이싱(1)의 저부에서 다량의 오일이 침수되는 일은 없다. 또한, 출력축(22)의 내부를 관통하는 오일 통로(221)로부터 제1 콘 홀더(31) 및 제2 콘 홀더(56)의 내부공간에 윤활용 오일이 공급되어도 그 오일은 드리븐 기어(25)의 회전으로 인한 원심력에의해 외부로 떨어져 나가기 때문에, 제1 콘 홀더(31) 및 제2 콘 홀더(56)의 내부공간에는 윤활에 필요한 최소한의 오일만이 유지된다.
그러나, 드리븐 기어(25)는 소량의 오일을 교반하는 것만으로 불필요한 오일 교반에 의한 동력손실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콘 홀더로(31) 및 제2 콘 홀더(56)에 의해 오일을 저지하고 있으므로, 특별한 오일저지부재를 배설할 필요가 없어져서 부품수가 삭감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콘 홀더(31) 및 제2 콘 홀더(56)에 의해 구획된 공간내에 드리븐 기어(25)를 배치함으로써 그 드리븐 기어(25)를 상기 공간외에 배치한 경우에 비해 오일교반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드리븐 기어(25)의 좌우 양측에 드라이브 페이스(29) 및 원심기구(51)를 나누어서 배치했으므로, 상기 공간의 용적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무단변속기(T)를 콤팩트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했으나,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설계변경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실시예에서는 콘 홀더를 제1 콘 홀더(31) 및 제2 콘 홀더(56)로 2분할하고, 제1 콘 홀더(31)에 드리븐 기어(25)의 톱니면이 면하는 윈도우 구멍(312)을 형성하고 있으나, 콘 홀더의 형상, 부재의 분할, 윈도우 구멍의 위치 등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변속기 주축을 덮도록 형성한 콘 홀더의 내부에 드라이브 페이스 및 변속기 입력기어를 수납하고, 콘 홀더에 형성한 윈도우 구멍에 변속기 입력기어의 톱니면을 면하게 했으므로, 변속기 입력 기어를 콘 홀더의 외부에 배설하는 경우에 비해 무단변속기의 축방향 치수를 콤팩트화하는 것이 가능해질 뿐만아니라, 변속기 입력 기어가 오일에 잠기는 것을 콘 홀더로 저지하여 오일교반저항의 증가를 회피하면서, 특별한 오일저지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아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변속기 입력기어를 사이에 두고 변속기 주축의 축방향 한쪽에 드라이브 페이스를 배치함과 동시에 다른쪽에 원심기구를 배치하고, 원심기구의 작동에 의해 콘 홀더를 변속기 주축을 따라 이동시키므로, 변속비를 변속기의 외부에서 조정하는 제어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아 변속비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게다가 변속기를 콤팩트화할 수 있다.

Claims (2)

  1. 변속기 주축(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드라이브 페이스(29)와, 변속기 주축(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드라이브 페이스(29)에 구동력은 전달하는 변속기 입력기어(25)와, 변속기 주축(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드리븐 페이스(30)와, 변속기 주축(21)을 따라 이동 가능한 콘 홀더(31,56)와, 변속기 주축(21)을 중심선으로 하는 원추 모선을 따르도록 콘 홀더(31,56)에 지지된 더블 콘 지지축(37)과, 저면을 공유하는 제1 콘(40) 및 제2 콘(41)으로 구성되어 상기 더블 콘 지지축(3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1 콘(40)이 드라이브 페이스(29)에 맞닿음과 동시에, 제2콘(41)은 드리븐 페이스(30)에 맞닿는 더블 콘(39)을 구비한 무단변속기에 있어서, 변속기 주축(21)을 덮도록 형성한 콘 홀더(31,56)의 내부에 드라이브 페이스(29) 및 변속기 입력기어(25)를 수납하고, 콘 홀더(31,56)에 형성한 윈도우 구멍(312)에 변속기 입력기어(25)의 톱니면을 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변속기 입력기어(25)를 사이에 두고 변속기 주축(21)의 축방향 한 쪽에 드라이브 페이스(29)를 배치함과 동시에 다른쪽에 원심기구(51)를 배치하여 원심기구(51)의 작동에 의해 콘 홀더(31,56)를 변속기 주축(21)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기.
KR1019960064271A 1995-12-28 1996-12-11 무단변속기 KR100225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332295A JP3497312B2 (ja) 1995-12-28 1995-12-28 無段変速機
JP95-343322 1995-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262A KR970046262A (ko) 1997-07-26
KR100225920B1 true KR100225920B1 (ko) 1999-10-15

Family

ID=18360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4271A KR100225920B1 (ko) 1995-12-28 1996-12-11 무단변속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497312B2 (ko)
KR (1) KR100225920B1 (ko)
CN (1) CN1054675C (ko)
IT (1) IT12896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3963B2 (ja) 1998-03-20 2006-12-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パワーユニット
JP2007085514A (ja) * 2005-09-26 2007-04-05 Nidec-Shimpo Corp 無段変速機
CN102562980A (zh) * 2012-02-24 2012-07-11 北京理工大学 一种液压加紧式牵引传动装置
CN102635677A (zh) * 2012-05-09 2012-08-15 北京理工大学 一种牵引传动无级变速器
CN102635676A (zh) * 2012-05-09 2012-08-15 北京理工大学 双圆锥液压加紧式牵引传动装置
CN107289082B (zh) * 2016-03-30 2021-11-30 罗伯特·博世有限公司 锥环式无级变速箱
CN107606093B (zh) * 2016-07-11 2022-04-29 罗伯特·博世有限公司 变速箱、用于电动车辆的驱动系统以及电动车辆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301646A (nl) * 1993-09-23 1995-04-18 Doornes Transmissie Bv Traploos instelbare transmissie.
US5746676A (en) * 1994-05-31 1998-05-05 Ntn Corporation Friction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380A (zh) 1997-08-20
ITTO960941A1 (it) 1997-02-21
JPH09177919A (ja) 1997-07-11
CN1054675C (zh) 2000-07-19
JP3497312B2 (ja) 2004-02-16
IT1289673B1 (it) 1998-10-16
KR970046262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0063B1 (ko) 무단변속기
JP3853963B2 (ja) パワーユニット
DE60131822T2 (de) Kühl- und Schmiermittelfördereinrichtung eines stufenlosen Toroidgetriebes
US5094652A (en) Belt driv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6749530B2 (en) Belt-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GB2177169A (en) Continuously variable v-belt transmission
US6494806B2 (en) Lubricating oil supply system for infinitely variable transmission
KR100225920B1 (ko) 무단변속기
US6715379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of all terrain vehicle and all terrain vehicle
US4677868A (en) Transmission vibration viscous damper
US4864891A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US6007448A (en) Lubrication structure for planetary gear assembly
KR100225921B1 (ko) 무단변속기
JP3715055B2 (ja) 無段変速機
KR100231018B1 (ko) 무단변속기
KR100278195B1 (ko) 무단변속기
KR100483939B1 (ko) 무단 변속기 부착 동력 전달장치
JPH10184839A (ja) 無段変速機
JP3853964B2 (ja) パワーユニットにおける無段変速機の潤滑構造
JPS6213854A (ja) Vベルト式無段変速機
JP3585684B2 (ja) 無段変速機
JPH05340452A (ja) ベルト式無段変速装置
JPH1151133A (ja) シフト装置
KR19980037005U (ko) 자동변속기용 유성기어 세트
JPH0828666A (ja) 無段変速機の潤滑用ケースリ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