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4399B1 - 자동차의 타이어교체작업용 잭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타이어교체작업용 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4399B1
KR100224399B1 KR1019960059351A KR19960059351A KR100224399B1 KR 100224399 B1 KR100224399 B1 KR 100224399B1 KR 1019960059351 A KR1019960059351 A KR 1019960059351A KR 19960059351 A KR19960059351 A KR 19960059351A KR 100224399 B1 KR100224399 B1 KR 100224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
intake
exhaust
tir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9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0207A (ko
Inventor
문수동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59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4399B1/ko
Publication of KR19980040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0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3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47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pneumat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1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타이어 교체용 잭(Jack)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승, 하강을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의 운행중 타이어의 교체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타이어교체작업용 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엔진(1)의 서지탱크(2)와 배기관(3)에 각각 연통되도록 설치되면서 선단에 연결용 커넥터(6, 6')를 갖춘 흡기관로(4) 및 배기관로(5)와 ; 이 연결용 커넥터(6, 6')에 각각 연결되는 유연한 재질의 관로(10, 10')상에 설치되어 관로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항시 폐쇄형의 흡기/배기용 전자밸브(7, 8) ; 상기 관로(10, 10')와 연통되는 흡기구(13)와 배기구(14)를 갖추고서 내부에 피스톤(15)을 수용하는 하우징(12) ; 상기 피스톤(15)과 로드(16)를 매개로 연결되어 하우징(12)의 외부로 노출된 받침대(17) 및 ; 상기 흡기/배기용 전자밸브(7, 8)와 연결되어 전원공급부(22)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작동시 흡기/배기용 전자밸브(7, 8)중 어느 한 곳으로만 선택적으로 인가시키는 작동스위치(21)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타이어교체작업시 정비하는 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스위치의 조작 만으로 차체의 상승 및 하강운동을 가능 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등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타이어 교체작업용 잭
본 발명은 자동차의 타이어 교체용 잭(Jack)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승, 하강을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의 운행중 타이어의 교체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타이어교체작업용 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의 차량은 주행중 타이어의 교체작업시 차량의 차체를 들어주어 타이어의 교체를 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대부분의 자동차는 차체를 들어주는 도구인 타이어교체작업용 잭을 상시로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잭은 여러 가지의 종류가 있으나, 일 예로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레드바(101; thread bar), 상하부의 지지대(102, 103) 및, 받침대(104)로 구성된 것을 들 수 있다.
그 작동상태를 보면 정비자가 스레드바(101)에 공구를 끼워 회전시키면 스레드바(101)와 기어체결된 상하부의 지지대(102, 103)는 안 쪽으로 오므려지면서 상하측으로 늘어나도록 운동하여 상부의 받침대(104)를 상승시키게 된다.
그외에 유압을 이용한 것, 래크및 피니언으로 구성된 것 등이 있으나 어느 것이나 정비자가 직접 힘을 들여 사용해야 하므로 불편하였다.
더구나 최근 여성운전자의 증가로 운행중 긴급사태로 타이어를 직접교체해야 할 경우가 많아져서, 이러한 작업을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쉽게 행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요구에 따른 것으로, 차량의 타이어를 교체작업하기 쉽도록 차량의 엔진의 서지탱크내 저장된 고압의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구성한 자동차의 타이어 교체작업용 잭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교체작업용 잭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타이어 교체작업용 잭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3은 종래의 자동차의 타이어교체작업용 잭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 2 : 서지탱크
3 : 배기관 4 : 흡기관로
5 : 배기관로 6, 6' : 연결용 커넥터
7 : 흡기용 전자밸브 8 : 배기용 전자밸브
9 : 관로길이조정기 10, 10' : 관로
11 : 잭 본체 12 : 하우징
13 : 흡기구 14 : 배기구
15 : 피스톤 16 : 로드
17 : 받침대 21 : 작동스위치
22 : 전원공급부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구현하기 위해, 엔진의 서지탱크와 배기관에 각각 연통되도록 설치되면서 선단에 연결용 커넥터를 갖춘 흡기관로 및 배기관로와 ; 이 연결용 커넥터에 각각 연결되는 유연한 재질의 관로상에 설치되어 관로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항시 폐쇄형의 흡기/배기용 전자밸브 ; 상기 관로와 연통되는 흡기구와 배기구를 갖추고서 내부에 피스톤을 수용하는 하우징 ; 상기 피스톤과 로드를 매개로 연결되어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받침대 및 ; 상기 흡기/배기용 전자밸브와 연결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작동시 흡기/배기용 전자밸브중 어느 한 곳으로만 선택적으로 인가시키는 작동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교체작업용 잭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타이어 교체작업용 잭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타이어 교체작업용 잭 본체(1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엔진(1)의 흡기측의 서지탱크(2)와 연결되면서 타단이 상기 엔진(1)의 배기측의 배기관(3)과 연결되어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바, 이를 위해 상기 엔진(1)측에는 서지탱크(2)측과 연장되어 연결되는 흡기관로(4)와, 상기 엔진(1)의 배기측과 연장되어 연결되는 배기관로(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흡기관로(4)와 배기관로(5)의 선단에는 각각 연결용 커넥터(6, 6')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연결용 커넥터(6, 6')에는 각각 상기 잭 본체(11)와의 선택적인 교통을 허용하는 항시 폐쇄형(normally closed type)의 전자밸브(7, 8)가 관로길이조정기(9)를 매개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관로길이조정기(9)는 연결용 커넥터(6, 6')로부터 각각 잭 본체(11)와 연결되는 관로(10, 10')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압력호스와 같이 유연한 부재로 이루어진 길이가 긴 호스를 감아서 필요시 연장시켜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한편, 상시 항시 폐쇄형의 흡기용 전자밸브(7)와 항시 폐쇄형의 배기용 전자밸브(8)는 각각 차량에 탑재된 전원인 배터리(도시안됨)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부(22 ; 예컨대 시가라이터잭에 결합되는 전원을 공급받는 커넥터형태임)와 작동스위치(21)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 작동스위치(21)는 항상 상기 항시 폐쇄형의 흡기용 전자밸브(7)와 항시 폐쇄형의 배기용 전자밸브(8)에 번갈아 가면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절환스위치의 형태로서, 상기 항시 폐쇄형의 흡기용 전자밸브(7)와 항시 폐쇄형의 배기용 전자밸브(8)는 작동스위치(21)의 동작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항시 폐쇄형의 흡기용 전자밸브(7)와 항시 폐쇄형의 배기용 전자밸브(8)는 작동스위치(21)의 동작시 각각 한쪽이 개방되면 반대쪽은 항상 닫혀진 상태가 되거나, 작동스위치(21)가 동작을 하지 않을 때에는 둘다 전원을 공급받지 않게 되어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잭 본체(11)는 하우징(12)내에 엔진(1)의 서지탱크(2)와 연결된 흡기관로(4)측에 장착된 연결용 커넥터(6)와 연결되는 관로(10)와 연통되는 흡기구(13)와, 상기 엔진(1)의 배기관(3)과 연결되는 배기관로(5)측에 장착된 연결용 커넥터(6')와 연결되는 관로(10')와 연통되는 배기구(14)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는 서지탱크(2)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압축공기에 의한 승강되는 피스톤(15)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 피스톤(15)은 하우징(12)의 외부로 노출된 받침대(17)와 로드(16)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는 피스톤(15)이 흡기구(13)와 배기구(14)의 이하로 하강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18)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타이어의 파손시에는 상기 엔진(1)의 서지탱크(2)측과 연결된 흡기관로(4)의 선단에 설치된 연결용 커넥터(6)와, 상기 엔진(1)의 배기관(3)측과 연결된 배기관로(5)의 선단에 설치된 연결용 커넥터(6')에 각각 관로(10)를 연결시키고서, 상기 관로길이조정기(9)를 매개로 관로(10)의 길이를 연장되도록 조절하여 잭 본체(11)를 교체하고자 하는 차륜측으로 이동시켜 받침대(17)를 차체의 하부측으로 설치한 다음, 상기 작동스위치(21)를 절환시키게 되면, 상기 전원공급부(22)를 통한 차체의 전원이 먼저 엔진(1)의 흡기관로(4)측과 연결된 관로(10)상에 설치된 항시 폐쇄형의 흡기용 전자밸브(7)에 인가되어 잭 본체(11)의 흡기구(13)가 흡기관로(4)와 연통된다.
이때, 차량의 가속페달을 밟아 엔진(1)의 회전수를 증가시키게 되면, 상기 서지탱크(2)내에 고압의 압축공기가 공급되고, 이 고압의 압축공기는 서지탱크(2)와 연결된 흡기관로(4)와 연결용 커넥터(6) 및 관로(10)를 거쳐 잭 본체(11)의 하우징(12)에 형성된 흡기구(13)를 통해 하우징(12)의 내부로 공급되며, 이 하우징(12)의 내부로 공급된 고압의 압축공기는 피스톤(15)을 상승시켜 로드(16)를 매개로 연결된 받침대(17)가 상승하여 차체를 상승시키게 되는데, 이때 차체가 받침대(17)에 의해 타이어의 교체에 필요한 높이까지 상승하게 되면, 다시 상기 작동스위치(21)를 오프시켜 흡기관로(4)와 관로(10) 사이를 교통시키는 항시 폐쇄형의 흡기용 전자밸브(7)를 닫아 잭 본체(11)의 하우징(12)의 내부로 더 이상의 고압의 압축공기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고서 타이어를 교체시키면 된다.
그리고, 타이어의 교체작업이 완료된 다음, 다시 상기 작동스위치(21)를 역으로 절환시키게 되면, 상기 전원공급부(22)를 통한 차체의 전원이 먼저 엔진(1)의 배기관로(5)측과 연결된 관로(10')상에 설치된 항시 폐쇄형의 배기용 전자밸브(8)에 인가되어 잭 본체(11)의 배기구(14)가 배기관로(5)와 연통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잭 본체(11)의 하우징(12)내에 잔류되어 있던 고압의 압축공기는 배기구(14)와 관로(10')를 배기관로(5)로 배출되며, 이 배기관로(5)로 배출된 고압의 압축공기는 배기관(3)을 거쳐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잭 본체(11)의 하우징(12)내에 잔류된 고압의 압축공기가 배기관(3)을 통해 배출되면, 상기 하우징(12)내에서 상승하였던 피스톤(15)은 다시 원래의 상태대로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15)과 로드(16)를 매개로 연결된 받침대(17)도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잭 본체(11)의 받침대(17)가 하강하여 교체된 타이어가 지면과 닿게 되면, 상기 작동스위치(21)를 오프시켜 항시 폐쇄형의 배기용 전자밸브(8)의 동작을 중단시키면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타이어의 교체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흡기관로(4)와 배기관로(5)의 선단에 각각 설치된 연결용 커넥터(6, 6')와 접속되어 있던 관로(10)를 연결용 커넥터(6, 6')로부터 탈거시키고서 관로길이조정기(9)를 통해 권취시키고서 잭 본체(11)를 철거시키면 된다.
전술한 구성의 자동차의 타이어교체작업용 잭의 제공으로 종래의 타이어 교체작업시 정비하는 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스위치의 조작만으로 차체의 상승 및 하강운동을 가능 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 등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3)

  1. 엔진(1)의 서지탱크(2)와 배기관(3)에 각각 연통되도록 설치되면서 선단에 연결용 커넥터(6, 6')를 갖춘 흡기관로(4) 및 배기관로(5)와 ; 이 연결용 커넥터(6, 6')에 각각 연결되는 유연한 재질의 관로(10, 10')상에 설치되어 관로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항시 폐쇄형의 흡기/배기용 전자밸브(7, 8) ; 상기 관로(10, 10')와 연통되는 흡기구(13)와 배기구(14)를 갖추고서 내부에 피스톤(15)을 수용하는 하우징(12) ; 상기 피스톤(15)과 로드(16)를 매개로 연결되어 하우징(12)의 외부로 노출된 받침대(17) 및 ; 상기 흡기/배기용 전자밸브(7, 8)와 연결되어 전원공급부(22)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작동시 흡기/배기용 전자밸브(7, 8)중 어느 한 곳으로만 선택적으로 인가시키는 작동스위치(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타이어교체용 잭.
  2. 제1항에 이어서, 상기 연결용 커넥터(6, 6')로부터 하우징(12)의 흡기구913)와 배기구(14) 사이에 연결된 관로(10, 10')상에는 관로(10, 10')의 전체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도록 관로(10, 10')를 권취하는 관로길이조정기(9)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타이어교체용 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는 피스톤(15)이 흡기구(13)와 배기구(14)의 이하로 하강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1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타이어교체용 잭.
KR1019960059351A 1996-11-29 1996-11-29 자동차의 타이어교체작업용 잭 KR100224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9351A KR100224399B1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의 타이어교체작업용 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9351A KR100224399B1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의 타이어교체작업용 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207A KR19980040207A (ko) 1998-08-17
KR100224399B1 true KR100224399B1 (ko) 1999-10-15

Family

ID=19484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9351A KR100224399B1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의 타이어교체작업용 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439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207A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4359B1 (ko) 압력릴리프밸브
EP0982207A3 (en) Apparatus for increasing brake cylinder pressure by controlling pump motor and reducing the pressure by controlling electric energy applied to control valve
US68772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tire repair or replacement
KR100224399B1 (ko) 자동차의 타이어교체작업용 잭
EP1193211A3 (de) Hydraulische Hubvorrichtung
US4553734A (en) Finger pressure actuable dump control system for dump vehicles
US2574624A (en) Control valve mechanism
KR0132939Y1 (ko) 자동차의 잭업장치
CN2665428Y (zh) 自卸车用液压控制阀
EP0219293B1 (en) Pneumatic control system for vehicles
SU64587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ъема кузова самосвала
KR200175781Y1 (ko) 잭겸용 쇽업소버
KR970004076Y1 (ko) 차량용 승강기
RU17160U1 (ru) Наконечник для накачки пневматических шин
KR101585243B1 (ko) 에어 현가 공압 회로
SU76316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прокидывани кузова самосваль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H0714232Y2 (ja) 液体タンクの底弁開閉装置
JPS6238832Y2 (ko)
KR19980022437A (ko) 대형차량용 리프팅 잭
JPH0646960Y2 (ja) 油圧リフト装置
US4420936A (en) Drive control circuit for dental treatment table
KR20020036315A (ko) 버스의 도어 개폐장치
JPS6332055Y2 (ko)
JP2535267Y2 (ja) 油圧ジャッキ制御用の油圧ポンプユニット
KR19980061211A (ko) 자동차의 내장형 타이어교체작업 보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