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4338B1 - 강제 흡기 장치가 장착된 흡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강제 흡기 장치가 장착된 흡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4338B1
KR100224338B1 KR1019960048328A KR19960048328A KR100224338B1 KR 100224338 B1 KR100224338 B1 KR 100224338B1 KR 1019960048328 A KR1019960048328 A KR 1019960048328A KR 19960048328 A KR19960048328 A KR 19960048328A KR 100224338 B1 KR100224338 B1 KR 100224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take
engine
throttle body
for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8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9087A (ko
Inventor
오부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48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4338B1/ko
Publication of KR19980029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3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3/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for charging or scavenging
    • F02B33/32Engines with pumps other than of reciprocating-piston type
    • F02B33/34Engines with pumps other than of reciprocating-piston type with rotary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7/00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67/04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 F02B67/06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driven by means of chains, belts, or like endless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Characterised By The Charging Evacu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흡기 시스템이 실린더의 부압에 의해서만 공기의 흡입량이 결정되어 급가속시나 급출발시에 압축 효율이 일시적으로 떨어져 엔진 출력이 저감되고 갑자기 많은 양의 공기가 흡입됨에 따라 급격한 공기량의 변화로 흡기 소음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에어 플로미터와 스로틀 바디 사이에 엔진의 회전 속도에 따라 공기를 가압하는 강제 흡기 장치가 설치됨으로써, 엔진의 부압에 의해 공기가 실린더로 흡입될 뿐 아니라 강제 흡기 장치가 엔진의 회전 속도에 따라 흡입 공기를 가압하게 되므로 급가속시나 급변속시에 적정한 공기량으로 즉시 공급되므로 흡기 소음이 저감되고, 강제 흡기 장치가 흡입 공기를 가압하여 엔진에 공급하므로 동일한 부압에도 더 많은 공기가 공급되어 압축 효율이 상승되고 엔진 출력이 향상되는 강제 흡기 장치가 장착된 흡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강제 흡기 장치가 장착된 흡기 시스템
제1도는 종래의 흡기 시스템이 도시된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강제 흡기 장치가 장착된 흡기 시스템이 도시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에어 클리너 52 : 에어 플로미터
53 : 스로틀 바디 53' : 스로틀 밸브
54 : 서지 탱크 55 : 흡기 매니폴드
56 : 엔진 60 : 강제 흡기 장치
61 : 구동 풀리 62 : 종동 풀리
63 : 종동축 64 : 프로펠러 샤프트
65 : 프로펠러 66 : 구동 벨트
본 발명은 외부의 공기를 엔진의 실린더 내에 공급하는 흡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엔진의 회전 속도에 따라 흡입 공기에 압력을 가하여 공기가 강제로 흡입되도록 구성되어 출력이 향상되고 급가속시 흡기 소음이 저감되는 강제 흡기 장치가 장착된 흡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흡기 시스템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중의 먼지 등 이물질을 제거해 주는 에어 클리너(11)와, 상기 에어 클리너(11)를 통과한 공기의 양을 체크하는 에어 플로미터(12)와, 가속 페달(미 도시)에 의해 그 개도량이 제어되는 스로틀 밸브(13')가 설치된 스로틀 바디(13)와, 상기 스로틀 바디(13)를 통과한 공기가 일시 저장되어 흡기 맥동을 감소시키게 하는 서지 탱크(14)와, 상기 서지 탱크(14)와 엔진(16)을 연결하여 상기 서지 탱크(14)내의 흡입 공기를 엔진(16)으로 공급하는 흡기 매니폴드(1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흡기 시스템에서는 상기 에어 클리너(11)를 통과한 공기가 에어 플로미터(12)와 스로틀 바디(13)를 통해 서지 탱크(14)에 일시 저장된 후, 흡기 매니폴드(15)를 통해 엔진(16)에 전해지도록 되어 있다.
공기가 일단 유입되면 상기 에어 클리너(11)에서 그 내부의 먼지 등 불순물이 제거되고, 에어 클리너(11)를 통과한 공기는 에어 플로미터(12)를 통과하면서 그 양이 계측되어 ECU(미 도시)로 전달되고 스로틀 바디(13)에 전해진다.
상기 스로틀 바디(13)에서는 가속 페달에 의해 스로틀 밸브(13')의 개도량이 결정됨과 동시에, ECU가 스로틀 밸브(13')의 개도량을 전자 제어하여 엔진(16)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게 된다. 만약, 공연비가 농후하면 스로틀 밸브(13')의 개도량을 키워 공기량을 증가시키고, 공연비가 희박하면 스로틀 밸브(13')의 개도량을 줄여 공기량을 감소시킴으로써 공연비를 제어하게 된다.
즉, 스로틀 밸브(13')의 개도량은 1차적으로 가속 페달에 의해 결정되고, 추가적으로 엔진(16)의 회전수 및 대기의 온도와 압력 등에 따라 ECU에 의해 제어되어 최적의 공연비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스로틀 바디(13)를 통과한 공기는 서지 탱크(14)에 일시 저장되어 스로틀 바디(13)를 통과하면서 발생된 흡기 맥동을 감소시킨 후, 흡기 매니폴드(15)를 통해 엔진(16)에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흡기 시스템은 실린더의 부압에 의해서만 공기의 흡입량이 결정되므로 급가속시나 급출발시에 압축효율이 일시적으로 떨어져 엔진 출력이 저감되고 갑자기 많은 양의 공기가 흡입됨에 따라 급격한 공기량의 변화로 흡기 소음(BOOMING)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플로미터와 스로틀 바디 사이에 엔진의 회전 속도에 따라 공기를 가압하는 강제 흡기 장치를 설치하여 가속시 공기를 가압하여 흡입 공기량을 빠르게 변화시킴으로써 흡기 소음을 저감시키고 흡입 효율을 높여 출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강제 흡기 장치가 장착된 흡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기 중의 먼지 등 이물질을 제거해 주는 에어 클리너와, 에어 클리너를 통과한 공기의 양을 체크하는 에어 플로미터와, 가속 페달에 의해 그 개도량이 제어되는 스로틀 밸브가 설치된 스로틀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된 흡기 시스템에 있어서, 엔진의 캠축에 형성된 구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와 구동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종동 풀리와, 일단이 상기 종동 풀리에 삽입되고 타단에 베벨 기어가 형성된 종동축과, 상기 종동축과 베벨 기어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프로펠러 샤프트와,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스로틀 바디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압하는 프로펠러로 구성되어, 엔진의 회전 속도에 따라 공기를 가압하는 강제 흡기 장치가 상기 에어 플로미터와 스로틀 바디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강제 흡기 장치가 설치된 흡기 시스템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중의 먼지 등 이물질을 제거해 주는 에어 클리너(51)와, 상기 에어 클리너(51)를 통과한 공기의 양을 체크하는 에어 플로미터(52)와, 가속 페달(미 도시)에 의해 그 개도량이 제어되는 스로틀 밸브(53')가 설치된 스로틀 바디(53)와, 상기 스로틀 바디(53)를 통과한 공기가 일시 저장되어 흡기 맥동을 감소시키게 하는 서지 탱크(54)와, 상기 서지 탱크(54)와 엔진(56)을 연결하여 상기 서지 탱크(54)내의 흡입 공기를 엔진(56)으로 공급하는 흡기 매니폴드(55)와, 상기 에어 플로미터(52)와 스로틀 바디(53) 사이에 엔진(56)의 회전 속도에 따라 공기를 가압하는 강제 흡기 장치(60)로 구성된다.
상기 강제 흡기 장치(60)는 엔진(56)의 캠축에 형성된 구동 풀리(61)와, 상기 구동 풀리(61)와 구동 벨트(66)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종동 풀리(62)와, 일단 이 상기 종동 풀리(62)에 삽입되고 타단에 베벨 기어가 형성된 종동축(63)과, 상기 종동축(63)과 베벨 기어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프로펠러 샤프트(64)와,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62)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스로틀 바디(53)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압하는 프로펠러(65)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가 상기 에어 클리너(51)에 유입되어 불순물이 제거되고, 에어 플로미터(52)에서 그 양이 체크된 후 상기 강제 흡기 장치(60)에 의해 가압되어 스로틀 바디(53)로 전해진다.
즉, 엔진(56)의 작동에 따라 캠축이 회전하면 상기 구동 풀리(61)가 구동 벨트(66)를 이용하여 종동 풀리(62)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종동 풀리(62)가 회전되면 종동축(63)이 회전하면서 베벨 기어로 연결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64)를 회전시키게 되고, 프로펠러 샤프트(64)에 설치된 프로펠러(65)가 회전하면 흡입 공기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캠축의 회전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프로펠러(65)도 더 빨리 회전하면서 흡입 공기를 더욱 가압하게 된다.
스로틀 바디(53)에서는 가속 패달(미 도시)에 의해 스로틀 밸브(53')의 개도가 결정되고 ECU(미 도시가)가 각 센서의 신호를 받아 스로틀 개도를 미소하게 조정하여 최적의 공연비로 엔진(56)이 작동하도록 하게 된다.
스로틀 바디(53)를 통과한 공기는 서지 탱크(54)에서 일시 저장되어 흡기 맥동을 저감시킨 후, 흡기 매니폴드(55)를 통해 엔진(56)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강제 흡기 장치가 장착된 흡기 시스템은 엔진의 부압에 의해 공기가 실린더로 흡입될 뿐 아니라 강제 흡기 장치가 엔진의 회전 속도에 따라 흡입 공기를 가압하게 되므로 급가속시나 급변속시에 적정한 공기량으로 즉시 공급되므로 흡기 소음이 저감되는 잇점이 있다.
또한, 강제 흡기 장치가 흡입 공기를 가압하여 엔진에 공급하므로 동일한 부압에도 더 많은 공기가 공급되어 압축 효율이 상승되고, 따라서 엔진 출력이 향상되는 다른 잇점이 있다.

Claims (2)

  1. (정정)공기 중의 먼지 등 이물질을 제거해 주는 에어 클리너와, 에어 클리너를 통과한 공기의 양을 체크하는 에어 플로미터와, 가속 패달에 의해 그 개도량이 제어되는 스로틀 밸브가 설치된 스로틀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된 흡기 시스템에 있어서, 엔진의 캠축에 형성된 구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와 구동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종동 풀리와, 일단이 상기 종동 풀리에 삽입되고 타단에 베벨 기어가 형성된 종동축과, 상기 종동축과 베벨 기어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프로펠러 샤프트와,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스로틀 바디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압하는 프로펠러로 구성되어, 엔진의 회전 속도에 따라 공기를 가압하는 강제 흡기 장치가 상기 에어 플로미터와 스로틀 바디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흡기 장치가 장착된 흡기 시스템.
  2. (삭제)
KR1019960048328A 1996-10-25 1996-10-25 강제 흡기 장치가 장착된 흡기 시스템 KR100224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328A KR100224338B1 (ko) 1996-10-25 1996-10-25 강제 흡기 장치가 장착된 흡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328A KR100224338B1 (ko) 1996-10-25 1996-10-25 강제 흡기 장치가 장착된 흡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087A KR19980029087A (ko) 1998-07-15
KR100224338B1 true KR100224338B1 (ko) 1999-10-15

Family

ID=19478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8328A KR100224338B1 (ko) 1996-10-25 1996-10-25 강제 흡기 장치가 장착된 흡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43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3232A (ja) * 1984-10-12 1986-05-12 Aisan Ind Co Ltd 内燃機関の吸気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3232A (ja) * 1984-10-12 1986-05-12 Aisan Ind Co Ltd 内燃機関の吸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087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38644B2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装置
EP0659991A3 (en) Air induction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90013965A1 (en) Carburet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911006B2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KR100224338B1 (ko) 강제 흡기 장치가 장착된 흡기 시스템
EP0793008A3 (fr) Dispositif d'admission d'un moteur à combustion interne
JP2000192831A (ja) 多気筒エンジン
US5666935A (en) Fuel injection control for engine
US4481927A (en) Apparatus for supplying fuel in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290398B1 (ko) 터보챠저제어장치
KR200145062Y1 (ko) 자동차의 흡기 매니폴드
KR200191651Y1 (ko) 자동차의 가변용 흡기장치
JPH0560024A (ja) 船外機の吸気装置
KR0181451B1 (ko) 바이 패스 통로 카본 제거 장치
JPH0311384Y2 (ko)
KR100535495B1 (ko) 디젤엔진 크랭크 케이스의 압력 조절장치
JPH0642394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200205826Y1 (ko) 흡기장치
JP2749078B2 (ja) V型エンジン
KR200178174Y1 (ko) 차량용 디이젤 엔진의 흡기 공기량 보상장치
JPS63113135A (ja) 燃料噴射制御装置
KR19980019740U (ko) 흡기 시스템
KR0143622B1 (ko) 자동차용 가변 흡기 장치
JPS6113735Y2 (ko)
JPS59138748A (ja) タ−ボチヤ−ジヤ付エンジンを備えた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