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451B1 - 바이 패스 통로 카본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바이 패스 통로 카본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451B1
KR0181451B1 KR1019960043925A KR19960043925A KR0181451B1 KR 0181451 B1 KR0181451 B1 KR 0181451B1 KR 1019960043925 A KR1019960043925 A KR 1019960043925A KR 19960043925 A KR19960043925 A KR 19960043925A KR 0181451 B1 KR0181451 B1 KR 0181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ypass passage
air
valve
carbon
rp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5695A (ko
Inventor
박태광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43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1451B1/ko
Publication of KR19980025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4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8Air cleaners with means for removing dust, particles or liquids from cleaners; with means for indicating clogging; with by-pass means; Regeneration of cleaners
    • F02M35/084Dust collection chambers or discharge sockets, e.g. chambers fed by gravity or closed by a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8Air cleaners with means for removing dust, particles or liquids from cleaners; with means for indicating clogging; with by-pass means; Regeneration of cleaners
    • F02M35/086Dust removal by flushing, blasting, pulsating or aspirating flow, washing or the like; Mechanical dust removal, e.g. by using scra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2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induction conduits
    • F02D2009/0201Arrangements; Control features; Details thereof
    • F02D2009/023Engine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 패스 통로가 설치된 스로틀 바디가 엔진을 장시간 사용할 겅우 상기 바이 패스 통로에 카본이 침적되어 단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바이 패스 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량이 현저히 줄게 되고 무부하 상태의 운전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바이 패스 통로의 입구부에 설치되어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사기와, 상기 공기 분사기에 연결되어 공기를 압축하는 컴프레서와, 상기 바이 패스 통로의 입구 및 출구에 각각 설치된 밸브와, 엔진 rpm을 체크하는 rpm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공전 상태가 불안정할 경우 공기 분사기로 바이 패스 통로의 입구에 고압의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카본을 제거함으로써 바이 패스 통로의 유효 단면적을 확보하여 공전 rpm을 지속적으로 안정시킬 수 있는 바이 패스 통로 카본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이 패스 통로 카본 제거 장치
제1도는 바이 패스 통로가 설치된 스로틀 바디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바이 패스 통로 카본 제거 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공기 분사기 52 : 컴프레서
53 : 밸브 53c : 제3밸브
54 : 밸브 구동 장치 55 : ECU
56 : rpm 센서 61 : 스로틀 밸브
62 : 스로틀 바디 64 : 바이 패스 통로
64a : 입구 64b : 출구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공회전 상태에서 사용되는 바이 패스 통로에서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이 패스 통로에 고압의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침적된 카본을 제거함으로써 공전 rpm을 지속적으로 안정시킬 수 있는 바이 패스 통로 카본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자동차는 대부분 흡입되는 공기량에 따라 연료를 분사하는 전자 제어 엔진을 사용하는데, 전자 제어 엔진에서의 출력은 흡입되는 공기량에 따라 결정된다.
전자 제어 엔진에는 ECU라고 하는 컴퓨터와, 흡입되는 공기량을 계측하는 에어 플로 미터가 있어. 에어 플로 미터에서 계측된 공기량에 따라 ECU가 인젝터에서 연료가 분사되는 시간을 제어하여 적정 공연비로 연소가 일어나도록 한다.
제 1도에 도시된 도면은 바이 패스 통로가 설치된 스로틀 바디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으로서, 전자 제어 엔진에서 사용되는 흡기 시스템의 일부이다. 바이 패스 통로가 설치된 스로틀 바디는 실린더로 흡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스로틀 밸브(11)와, 상기 스로틀 밸브(11)가 내부에 설치되는 스로틀 바디(12)와, 상기 스로틀 바디(12)를 통과한 흡입 공기가 일시 저장되어 흡기 맥동을 저감시키는 서지 탱크(13)와, 상기 스로틀 바디(12)의 측면에 설치되어 스로틀 밸브(11)의 개도가 작을 때 흡입 공기가 바이 패스되는 통로인 바이 패스 통로(1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바이 패스 통로가 설치된 스로틀 바디에서는 흡입 공기가 스로틀 밸브(11)를 통과하거나 바이 패스 통로(14)을 통과하여 서지 탱크(13)로 전해지고, 서지 탱크(13)는 흡기 매니 폴드를 통해 각 실린더에 공기를 분배하게 된다.
액셀러레이트(미 도시)를 밟아 스로틀 밸브(11)의 개도가 클 경우에는 흡입 공기는 바이 패스 통로(14)를 거치지 않고 스로틀 밸브(11)를 곧바로 통과하여 상기 서지 탱크(13)로 유입되고, 스로틀 밸브(11)의 개도가 작을 경우에는 흡입 공기가 스로틀 밸브(11)를 통과하면서 바이 패스 통로(14)로도 동시에 유입되어 서지 탱크(13)로 전해지게 된다.
특히, 공회전 상태로 운전할 경우에는 스로틀 밸브(11)의 개도가 0(ZERO)이 되므로 흡입 공기는 전체가 바이 패스 통로(14)를 통해 서지 탱크(13)에 전해지게 된다. 따라서, 바이 패스 통로(14)를 통해 바이 패스되는 흡입 공기의 양은 엔진이 작동 상태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정도면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바이 패스 통로가 설치된 스로틀 바디는 엔진을 장시간 사용할 경우 상기 바이 패스 통로(14)에 카본이 침적되어 단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바이 패스 통로(1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량이 현저히 줄게 되고 공회전 상태의 운전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바이 패스 통로의 입구에 공기 분사기를 설치하고 공전 rpm을 체크하여 공전상태가 불안정할 경우 고압의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바이 패스 통로에 침적된 카본을 제거함으로써, 바이 패스 통로의 유효 단면적을 확보하여 공전 rpm을 지속적으로 안정시킬 수 있는 바이 패스 통로 카본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로틀 밸브가 내부에 설치되는 스로틀 바디와, 상기 스로틀 바디의 측면에 설치되어 스로틀 밸브의 개도가 작을 때 흡입 공기가 바이 패스 되는 통로인 바이 패스 통로와, 상기 바이 패스 통로의 입구부에 설치되어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사기와, 상기 공기 분사기에 연결되어 공기를 압축하는 컴프레서와, 상기 바이 패스 통로의 입구 및 출구에 각각 설치된 밸브와, 상기 밸브를 개폐시키는 밸브구동 장치와, 상기 컴프레서 및 밸브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ECU와, 공전 rpm을 체크하여 ECU로 신호를 보내는 rpm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바이 패스 통로 카본 제거 장치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로틀 밸브(61)가 내부에 설치되는 스로틀 바디(62)와, 상기 스로틀 바디(62)의 측면에 설치되어 스로틀 밸브(61)의 개도가 작을 때 흡입 공기가 바이 패스되는 통로인 바이 패스 통로(64)와, 상기 바이 패스 통로(64)의 입구부(64a)에 설치되어 압출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사기(51)와, 상기 공기 분사기(51)에 연결되어 공기를 압축하는 컴프레서(52)와, 상기 바이 패스 통로(64)의 입구(64a) 및 출구(64b)에 각각 설치된 밸브(53)와, 상기 밸브(53)를 개폐시키는 밸브 구동 장치(54)와, 상기 컴프레서(52) 및 밸브 구동 장치(54)를 제어하는 ECU(55)와, 공전 rpm을 체크하여 ECU(55)로 신호를 보내는 rpm 센서(5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바이 패스 통로(64)의 출구부 (64b)에 설치되어 제거된 카본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제3밸브(53c)와, 역시 ECU(55)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3밸브(53c)를 개폐시키는 별도의 밸브 구동 장치(54c)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3밸브 (53c)의 출구부에 제거된 카본을 포집할 수 있는 카본 캐니스터(미 도시)가 설치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공전 주행시 차량이 흔들리고 공전 rpm의 변화가 심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바이 패스 통로(64)에 카본이 침적되어 바이 패스 되는 공기량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전 rpm의 변화를 체크하면 카본의 침적 여부를 쉽게 알 수 있다.
상기 rpm센서(56)가 엔진의 공전 rpm을 체크하되 공전 rpm이 큰폭으로 변화하여 공전 상태가 불안정하게 되면 ECU(55)에 신호를 보내게 된다. ECU(55)는 rpm센서(56)의 신호를 받은 후, 밸브 구동 장치(54a,54b)에 신호를 보내 바이 패스 통로(64)에 설치된 제1밸브(53a)와 제2밸브(53b)를 닫게 된다. 이와 동시에 다른 밸브 구동 장치(54c)에 신호를 보내 제3밸브(53c)를 열게 된다.
밸브 제어가 끝나면 ECU(55)는 컴프레서(52)에 신호를 보내 공기를 압축하게 되고, 상기 공기 분사기(51)를 통해 고압의 압축 공기를 상기 바이 패스 통로(64)의 입구(64a)로 분사하게 된다. 분사된 고압 공기는 바이 패스 통로(64)의 내면에 침적된 카본을 분리시켜 출구(64b)쪽의 제3밸브(53c)를 통해 외부로 보내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바이 패스 통로 카본 제거 장치는 공전 상태가 불안정할 경우 공기 분사기로 바이 패스 통로의 입구에 고압의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카본을 제거함으로써 바이 패스 통로의 유효 단면적을 확보하여 공전 rpm을 지속적으로 안정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스로틀 밸브가 내부에 설치되는 스로틀 바디와, 상기 스로틀 바디의 측면에 설치되어 스로틀 밸브의 개도가 작을 때 흡입 공기가 바이 패스되는 통로인 바이 패스 통로와, 상기 바이 패스 통로의 입구부에 설치되어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사기와, 상기 공기 분사기에 연결되어 공기를 압축하는 컴프레서와, 상기 바이 패스 통로의 입구 및 출구에 각각 설치된 밸브와, 상기 밸브를 개폐시키는 밸브 구동 장치와, 상기 컴프레서 및 밸브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ECU와, 공전 rpm을 체크하여 ECU로 신호를 보내는 rpm 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 패스 통로 카본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 패스 통로의 출구부에 설치되어 제거된 카본이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하는 제3밸브와, 역시 ECU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3밸브를 개폐시키는 별도의 밸브 구동 장치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 패스 통로 카본 제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밸브의 출구부에 제거된 카본을 포집할 수 있도록 카본 캐니스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 패스 통로 카본 제거 장치.
KR1019960043925A 1996-10-04 1996-10-04 바이 패스 통로 카본 제거 장치 KR0181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925A KR0181451B1 (ko) 1996-10-04 1996-10-04 바이 패스 통로 카본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925A KR0181451B1 (ko) 1996-10-04 1996-10-04 바이 패스 통로 카본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695A KR19980025695A (ko) 1998-07-15
KR0181451B1 true KR0181451B1 (ko) 1999-03-20

Family

ID=19476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925A KR0181451B1 (ko) 1996-10-04 1996-10-04 바이 패스 통로 카본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145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695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5120A (en) Mixture-compressing internal-combustion engine with secondary-air injection and with air-mass metering in the suction pipe
JP3338644B2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装置
US4705007A (en) Method of controlling tank venting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pparatus therefor
JPS6046258B2 (ja) 多気筒内燃機関の運転方法
US5400759A (en) Fuel vapor purge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of diagnosis thereof
CA2138563C (en) Catalyst deterioration-determining devic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2142396C (en) Misfire-determining control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0181451B1 (ko) 바이 패스 통로 카본 제거 장치
CA2149466C (en) Evaporative fuel discharge-preventing device for engine
KR920003949B1 (ko) 내연기관의 압력취출구
JPS6299651A (ja) 内燃機関の電子制御燃料噴射装置
US5771859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idl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546789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an intake-manifold flap for switching over the intake manifold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481927A (en) Apparatus for supplying fuel in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15443376B (zh) 车辆的异常诊断方法以及车辆的异常诊断装置
JP3533801B2 (ja) 内燃機関の加速時制御装置
JPS61149562A (ja) 燃料蒸発ガスのパ−ジ制御装置
JP3548026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のリーク診断装置
JP3258417B2 (ja) エンジンの燃料ポンプ故障検出装置
JPH06193518A (ja) 蒸発燃料供給装置の故障診断装置
JP2860838B2 (ja) アシストエア供給装置の異常診断装置
JPS6113735Y2 (ko)
JPS6318767Y2 (ko)
JPS59147841A (ja) 車両用内燃機関のアイドル回転速度制御方法
JPH0512643U (ja) 燃料供給装置における燃圧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