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3117B1 - 가스백 구속 모듈 - Google Patents

가스백 구속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3117B1
KR100223117B1 KR1019960036267A KR19960036267A KR100223117B1 KR 100223117 B1 KR100223117 B1 KR 100223117B1 KR 1019960036267 A KR1019960036267 A KR 1019960036267A KR 19960036267 A KR19960036267 A KR 19960036267A KR 100223117 B1 KR100223117 B1 KR 100223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ompressed gas
air bag
gas contain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6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273A (ko
Inventor
루츠 요아킴
Original Assignee
한스 위르겐 코흐
테에르베 오커판트 레스트레인트 시스템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스 위르겐 코흐, 테에르베 오커판트 레스트레인트 시스템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한스 위르겐 코흐
Publication of KR970015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3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31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1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specially adapted for elongated cylindrical or bottle-like inflators with a symmetry axis perpendicular to the main direction of bag deployment, e.g. extruded reaction cani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1Packaging straps or envelopes for inflatabl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하우징(10)과, 그 하우징(10)에 배치되어 작동후 소정 체적의 압축 가스를 공급하는 팽창기와, 하우징(10)에 장착되고 팽창 구멍을 둘러싸는 부착부를 갖는 접힌 에어백(50)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에어백 구속 모듈에서, 팽창기는 평형상의 압축 가스 컨테이녀(12)를 구비하고, 에어백(50)의 부착부는 부착 프레임(40)을 구비하고, 하우징(l0)은 압축 가스 컨테이너(12)가 축방향으로 삽입되어 들어가는 대략 원통형의 수납부(11)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그 수납부(11)로 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2개의 축방향 연장 부착 스트립(14)을 구비하며, 그 스트립 사이에 부착 프레임(40)이 수용되며 수납부는 하나 이상의 관통 경로(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백 구속 모듈
본 발명은 하우징과, 하우징에 배치되어 작동후 소정 체적의 압축 가스를 제공하는 팽창기와, 하우징에 장착되어 팽창 구멍을 둘러싸는 부착부를 갖는 접힌 에어백을 구비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에 관한 것이다.
그와 같은 에어백 구속 모듈은 차량 탑숭자 안전 시스템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것이다. 통상, 발화용 충전물을 구비한 소위 가스 발생기가 팽창기로서 사용되는데, 이와 같은 발화용 충전물은 일단 활성화되면 짧은 시간 동안 소정량의 가스를 방출한다. 그러나, 그와 같은 발화용 충전물을 사용하는 것은 특히 환경적인 적합성에 있어 문제가 되기 때문에 훨씬 소량의 발화용 충전물로 작동하는 에어백 구속모듈을 개발하는 노력이 증대되어왔다.
본 발명은, 압축 가스 컨테이너를 갖는 팽창기, 특히 가열가스 팽창기와 같은 유형을 사용하기에 적합한 서두에 언급된 에어백 구속 모듈을 제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구속 모듈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압축 가스 컨테이너가 삽입된 하우징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라인 Ⅱ-Ⅱ를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라인 Ⅲ-Ⅲ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하우징의 제 1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제1도의 라인 Ⅲ-Ⅲ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하우징의 제 2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제5도는 부착 프레임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6도는 부착부를 구비한 에어백의 개략적인 관통 단면도.
제7도는 제 1 변형예에 따른 접힌 에어백의 사시도.
제8도는 제 2 변형예에 따른 접힌 에어백의 사시도.
제9도는 압축 가스 컨테이너가 배치되고 에어백이 없이 부착 프레임이 조립된 하우징의 제 1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10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에어백 구속 모듈의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
제11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에어백 구속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
제12도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구속 모듈의 하우징의 제 1 변형예의 개략적인 종방향 관통 단면도.
제13도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구속 모듈의 하우징의 제 2 변형예의 개략적인 관통 단면도.
제14도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구속 모듈의 하우징의 제 3 변형예의 개략적인 관통 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에 도시된 하우징의 세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제16도는 제15도에 도시된 세부의 정면도.
제17도는 제 4 변형예에 따른 하우징을 구비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구속 모듈의 전개도.
제18도는 제17도에 도시된 세부의 사시도.
제19도는 제17도에 도시된 에어백 구속 모듈의 하우징의 다른 세부를 도시한 종방향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1 : 수납부
12 : 압축 가스 컨테이너 14 : 부착 스트립
16, 42 : 관통 경로 18 : 부착 홀
40 : 부착 프레임 44, 46 : 부착 볼트
50 : 에어백 54 : 장착부
70 : 기판 72 : 유지판
80 : 볼트 홀 98 : 편향판
이와 같은 팽창기에 있어서,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해 고압의 압축 가스 컨테이너에 들어있는 소정량의 고압 가스가 방출된다. 또한, 팽창기 작동시, 압축 가스 컨테이너에 들어있는 가스의 화학 반응이 시작됨으로써, 방출된 가스의 온도가 상승하며, 따라서 그 체적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그와 같은 에어백 구속 모듈은, 팽창기가 병형상의 압축 가스 컨테이너를 구비하고, 에어백의 부착부가 부착 프레임을 구비하고, 하우징은 압축 가스 컨테이너가 축방향으로 삽입되어 들어가는 거의 원통형의 수납부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그 수납부로 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2개의 축방향 연장 부착스트립을 구비하며, 그 스트립 사이에 부착 프레임이 수용되고 수납부는 하나 이상의 관통 경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그와 같은 에어백 구속 모듈은, 팽창기가 병형상의 압축 가스 컨테이너를 구비하고, 에어백의 부착부는 부착 프레임을 구비하고, 하우징은 압축 가스 컨테이너가 축방향으로 삽입되어 들어가는 에어백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전면에 개방되는 거의 트로프형(trough-shaped)의 수납부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그 수납부로 부터 외측으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부착 스트립을 구비하며, 그 스트립 사이에 부착 프레임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에어백 구속 모듈의 구성은 특히 용이하고 안전한 압축 가스 컨테이너 조립을 위한 조건이 된다.
압축 가스 컨테이너를 구비한 하우징과 접힌 에어백을 구비한 부착 프레임이 2개의 예비조립체를 형성하면 바람직하다. 별도로 예비조립될 수 있는 2개의 조립체로 에어백 구속 모듈율 분할하면 조립상의 또다른 잇점을 가져온다.
본 발명의 유리한 구조가 종속청구범위에 제시되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예시된 2개의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을 상제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구속 모듈은 별도로 예비조립된 2개의 조립체로 구성되며, 그중 제 1 조립체는 압축 가스 컨테이너를 구비한 하우징이며, 제 2 조립체는 부착프레임을 구비한 에어백이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구속 모듈의 하우징(10)의 제 1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이러한 하우징(10)은 압축 가스 컨테이너(12)가 축방향으로 삽입되어 들어가는 수납부(11)외에도 그 수납부(11)로 부터 출발하여 축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하는 2개의 부착 스트립(14)을 구비한다. 2개의 관통 경로(16)가 부착스트립(14) 사이의 수납부(11)에 형성된다. 도 3 및 도 4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각 부착 스트립(14)은 이중으로 접혀 도 3 및 도 4에서 상향으로 수직 연장하는 부착 스트립(14)의 구역 사이에 수납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몇몇 부착 홀(18)이 부착 스트립(14)의 구역에 형성되어 수납부(11)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압축 가스 컨테이너(12)는 저압의 가스를 저장하는데, 에어백 구속 모듈을 작동시키기 위해 가스는 발화용 보조 충전물을 사용하여 점화된 후 헤드에 근접한 압축공기 실린더로 부터 유동한다. 또한, 작동시 방출된 가스의 온도를 상숭시키는 압축 가스와의 화학 반응이 시작되며, 따라서 가스 체적이 증대된다.
압축 가스 컨테이너(12)는 압력 끼워맞춤에 의해 수납부(11)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압력 끼워맞춤을 달성하기 위해, 2개의 바람직한 변형예 중 제 1 변형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하우징(10)의 변형예에 따라, 수납부(11)는 다각형 단면을 가지며, 따라서 종방향 중심축과 압축 가스 컨테이너의 벽부로 부터 반경거리가 가장 짧은 수납부(11)의 구역 사이에 압력 끼워맞춤이 형성된다. 수납부(11)와 압축 가스 컨테이너(12) 사이의 접점은 화살표로 표시된다.
도 4에 도시된 하우징(10)의 형상은 제 2 변형예이다. 본 예에 따라, 수납부(11)는 필연적으로 원형 단면을 구비하며, 따라서 압축 가스 컨테이너(12)의 넒은 표면적을 따라 수납부(11)의 벽부와 압축 가스 컨테이너 벽부 사이에서 접촉이 있을 수 있다. 이 도면에서도 수납부(11)와 압축 가스 컨테이너(12) 사이의 점점은 화살표로 표시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수납부(11)의 두 변형예에서, 수납부(11)에 조립하기 위해 압축 가스 컨테이너(12)를 수납부(11)로 가압 삽입함으로써 두번째 변형예의 치수는 압축 가스 컨테이너(12)의 치수에 맞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압축 가스 컨테이너(12)의 헤드 단부로 부터 삽입함으로써 압축 가스 컨테이너(12)의 헤드와 그 케이싱 표면 사이의 매끈한 전이부가 삽입의 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압축 가스 컨테이너(12) 삽입중 발생된 압력 끼워맞춤은 수납부(11) 내에 압축 가스 컨테이너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압축 가스 컨테이너(12)가 일단 하우징(10)내에 결합되면, 제 1 조립체가 예비조립된 것이다.
도 5는 에어백(50)을 하우징(10)에 부착하도록 제공된 부착 프레임(4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통상, 부착 프레임(40)은 장방형이며 그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2개의 관통 경로(42)를 구비한다. 부착 프레임(40)의 둘레 연부를 따라 부착 볼트(44, 46)가 제공되며, 몇몇 볼트(44)는 도 5의 투영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다른 볼트(46)는 도면의 투영면에 배치된다. 부착 볼트는 에어백(50)의 팽창 구멍을 둘러싸는 부착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에어백으로 연장함으로써 부착 프레임(40)은 부착 볼트(44, 46)와 함께 에어백(5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부착 프레임(40)은 에어백(50)에 관하여 정확하게 장착된다. 장착된 후 에어백(50)은 컴팩트한 형상이 되고 부착 프레임(40)의 외측 연부를 지나 측방향으로 약간 돌출하여 부착 프레임(40) 위로 접힌다. 이와 같이 접힌 상태의 에어백(50)은, 에어백(50)과 부착 프레임(40)으로 구성되는 조립체를 부가적으로 조작하는 동안 에어백이 다시 펼쳐질 수 없게 장착된다. 도 6은 접힌 에어백(50)과 그에 상응하는 부착 프레임(40)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은 접힌 형상의 에어백을 장착하는 두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에어백은 장방형 장착부(54)를 구비하는데, 그중 긴 일측면은 에어백(50)에 영구적으로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에어백(50)에 꿰매어진다. 장착부(54)의 다른 긴 측면은 개구부(58)가 배치된 돌출부(56)를 구비한다. 2개의 긴 측면 사이에 배치된 장착부(54)의 중간 부분에는 천공 라인(60)이 있다. 에어백이 요구되는 형상, 즉 컴팩트한 형상으로 접히면, 장착부는 에어백 위로 접히고 돌출부(56)의 개구부(58)는 부착 볼트(44)에 끼워짐으로써 에어백(50)이 장착된다. 다공부(60)는 파단선을 제공하며, 에어백 구속 모듈이 에어백을 해제하면서 작동할때 장착부(54)는 그 파단선을 따라 파열된다. 에어백(50)이 이와 같이 장착되면, 에어백과 부착 프레임(40)으로 구성되는 조립체는 특히 예비조립된 하우징에 장착이 용이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변형예의 경우, 에어백(50)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밴더롤(bandero1e)(65)에 의해 접혀 컴팩트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밴더롤(65)은 플라스틱제 또는 텍스타일 직물과 같은 다른 적절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최종적으로, 도 9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구속 모듈이 도시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하우징(10)과 압축 가스 컨테이너(12)로 구성된 조립체는 에어백(50)과 부착 프레임(40)으로 구성되는 조립체에 연결된다. 부착 볼트(44)가 부착 스트립(14)에 배치된 개구부(18)를 통해 돌출함으로써, 에어백(50)과 함께 부착 프레임(40)은 하우징에 위치된다. 넛이 부착 볼트(44)의 각 자유 단부에 조여진다. 압축 가스 컨테이너(12)의 바닥부와 대향하는 수납부(11)의 단부는 부착 볼트(44)가 통과하는 개구부를 구비한 기판(70)에 의해 밀봉된다. 압축가스 컨테이너(12)의 헤드와 대향하는 수납부(11)의 단부는 또한 부착 볼트가 돌출하는 개구부를 구비한 유지판(72)에 의해 밀봉된다. 넛이 부착 볼트(46)의 각 자유 단부에 고정되는데, 이들 넛은 부착 볼트(44)에 고정되는 넛과 같은 유형의 넛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부착 프레임에 가압된 리테이닝 넛이 외부로 부터 그 넛내로 고정되는 부착 볼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유지판(72)은 헤드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는 유지부를 구비한다. 또한, 유지부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그 개구부내로 압축 가스 컨테이너(12)의 헤드에 있는 러그(lug)가 결합된다. 이는 특히 도 10에서 두드러진다. 기판(70)과 유지판(72)은 차량에 에어백 구속 모듈을 장착하도록 제공된 천공 홀(76)을 갖는 플랜지(74)를 각각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구속 모듈의 형상은 각 부품의 제조 및 조립과 관련하여 다양한 잇점을 가져온다. 하우징(10)은 압출 단면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조를 특히 간단하게 하는데, 부착 스트립(14)에 천공 홀(18)을 형성하고 압출 단면을 소정 길이로 잘라내는 것과는 별도로, 가공이 전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수납부(11)와 압축 가스 컨테이너(l2) 사이의 압력 끼워맞춤은 압축 가스 컨테이너가 하우징(10)에 상당히 간단하게 고정된 것을 의미한다. 사실, 압축 가스 컨테이너를 정위치에 고정시키는데 필요한 추가의 수단이 없어도, 기판(70)과 유지판(70)이 압축 가스 컨테이너상의 지지부의 안전성을 강화한다. 또한, 하우징(10)의 외측이 밀봉되지 않았을 경우, 기판(70)과 유지판(72)이 하우징(10)의 밀봉부로서 작용하여 압축 가스 공급원으로 부터 압축 가스가 흘러들어갈 수 있는 밀폐공간을 형성한다. 부착 프레임(40)에 장작된 부착 볼트(44, 46)는 하우징(10)에 부착 프레임, 기판(70), 및 유지판(72)을 부착할 뿐만 아니라 에어백(10)을 장착하는데 사용된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구속 모듈은 조작중 추가 안전장치의 필요없이 조작하기에 매우 용이한 2개의 다른 조립체로 예비조립된다.
도 12 내지 도 1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구속 모듈의 제 2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는 수납부(11)가 트로프형이고 에어백 방향으로 전면에 개방되는 정도까지만 제 1 실시예와 필연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관통 경로(16)는 하우징(10)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구속 모듈의 부품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부품에 상응하는한 동일 참조 부호가 사용되며, 이와 같은 구조적 요소의 설명에 관해서는 도 1 내지 도 11의 부호를 참조로 한다.
수납부(11)의 트로프형 설계로 인해 하우징은 탄성적이며, 따라서 부착 스트립(14)에 부착된 2개의 다리부가 서로에 관해 이동할 수 있다. 압축 가스 컨테이너(12)와 수납부(11)의 치수는 서로 맞도록 되어 있어 부착 스트립(14)이 도 12에 점선으로 도시된 초기 위치로 부터 이동될 때 압축 가스 컨테이너가 수납부(11)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압축 가스 컨테이너(12)가 일단 수납부(11)내로 유입되면, 부착 스트립(14)은 다시 해제되어 하우징(10) 재료의 탄성때문에 그 초기 위치로 복귀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는 도 12에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압축 가스 컨테이너(12)의 외경은 초기 위치에서 수납부(11) 내경보다 크며 그에 따른 초하중(pretension)때문에 압축 가스 컨테이너(12)는 수납부(1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로써 제 1 조립체가 완성된다.
이때 전술한 형상과는 다른 형상의 제 2 조립체가 제 1 조립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2개의 조립체를 서로 장착하는데 있어, 제 2 조립체가 제 1 조립체에 볼트로 결합될 때 상대적인 2 조립체의 치수때문에 2개의 부착 스트립(14)을 초기 위치에 밀접하게 하는 클램핑압이 발생된다. 이는 압축 가스 컨테이너(l2)에 클램핑 효과를 발생시키며, 그 효과는 도 13에 화살표로 표시된다. 파이프 클립과 같이 제 2 조립체는 제 1 조립체와 상호작용하며, 그 내측에서 압축 가스 컨테이너(12)는 고정된다. 수납부(11)의 다각형 단면 및 부착 프레임(40)의 형상으로 인해, 부착 프레임은 압축 가스 공급원에 직접적인 압력을 전혀 주지 않는다. 수납부(11)와 압축 가스 컨테이너(12)사이에서 요구되는 클램핑 시스템의 유형에 따라, 다면체 수납부(11)가 될 수 있어, 부착 프레임(40)이 압축 가스 공급원과 접촉할 수 있으며, 수납부(11) 또는 원형 단면과 함께 그 접촉을 견고하게 유지하여 한편으로는 수납부(11)와, 다른 한면으로는 압축 가스 공급원과 부착 프레임(40) 사이에서 클램핑 효과가 넓은 면적에 걸쳐 달성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구속 모듈에서 도 12에 도시된 하우징(10)의 제 1 변형예는 하우징의 외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2개의 볼트 홀(80)을 구비한다. 이는 하우징(10)이 압출면으로 제작될 경우 특히 유리하다. 기판(70) 및 유지판(72)의 조립후, 자동 태핑 나사가 볼트 홀(80)내로 삽입되어 부착 볼트와 함께 기판(70)과 유지판(72)을 고정시킨다. 도 12에 도시된 하우징(10)은 압축 가스 컨테이너(12)를 정확하게 배치하여 고정시키는 3개의 인접면(83)을 구비한다. 도 13에 도시된 하우징(10)의 제 2 변형예는 하우징(10)의 내측에 배치된 2개의 볼트 홀(80)을 구비한다.
도 14 내지 도 16은 하우징(10)의 제 2 변형예를 구비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구속 모듈을 도시한다. 하우징(10)은 곡판 부품으로 제작된다. 압출면에 비해 개선된 곡판 부품의 변형성 및 절삭성으로 인해 수납부(11)와 압축 가스 공급원 사이에 인장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기판(70) 및 유지판(72)을 부착하는 구조적 옵션이 추가된다. 이와 같은 하우징(10)의 변형예에서, 수납부(11)는 기능에 있어 도 13에 도시된 볼트 홀(80)의 기능과 상응하는 버팀벽(90)을 구비한다. 각 버팀벽은 원 부분을 나타내는 2개의 판상 재료부(92, 94)로 형성된다; 나사 방향으로 부터 보아 버팀벽은 앞뒤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방향에 관하여 재료면으로 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져 나온다.
도 17 내지 도 19에는 하우징(10)의 제 3 변형예를 구비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구속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 3 변형예에서는 하우징(10)도 곡판 부품으로 제작된다. 수납부(11)는 비드(81)로 조립되며, 그 비드는 하우징(10)에 고정된 압축 가스 공급원과 접촉하게 된다. 하우징에 판하여 압축 가스 공급원을 정위치시키기 위해, 스페이서 와셔(spacer washer)(82)가 압축 가스 공급원의 헤드 단부에 배치되는데, 이 와셔는 수납부(11)에 관하여 정확한 각도로 정위치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클램핑 효과에 의해 압축 가스 공급원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스페이서 와셔는 수납부(11)를 안정시켜 부착 프레임(40)에 대한 에어백 장착을 강화하고 그 장착되는 쪽의 압축 가스 공급원에 밀봉부를 제공한다.
기판(70)과 유지판(72)을 부착하기 위해 볼트를 사용하는 대신, 곡판(96)을 사용할수 있다; 수납부(11)의 전면에 설치된 곡판은 기판(70)과 유지판(72)에 형성된 개구부(97)를 통과하여 기판(70)과 유지판(72)의 외측면상에서 구부러짐으로써 정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제 1 조립체에 제 2 조립체를 장착할 때, 편향판(98)은 압축 가스 공급원의 헤드단부 구역에 있는 부착 프레임(40)과 수납부(11)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편향판(98)은 압축 가스 공급원으로 부터 방출된 압축 가스의 직접적인 유동에 의해 에어백(5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에어백 구속 모듈의 구성은 특히 용이하고 안전한 압축 가스 컨테이너 조립을 위한 조건이 된다.
압축 가스 컨테이너를 구비한 하우징과 접힌 에어백을 구비한 부착 프레임이 2개의 예비조립체를 형성하면 바람직하다. 별도로 예비조립될 수 있는 2개의 조립체로 에어백 구속 모듈을 분할하면 조립상의 또다른 잇점을 가져온다.

Claims (49)

  1.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배치되고 작동후 소정 체적의 압축 가스를 공급하는 팽창기와,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되어 팽창 구멍을 둘러싸는 부착부를 갖는 접힌 에어백(50)을 구비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는 병형상의 압축 가스 컨테이너(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백(50)의 부착부는 부착 프레임(40)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10)은 압축 가스 컨테이너가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대략 원통형의 수납부(11)와, 또한 상기 수납부(11)로 부터 외측으로 축방향으로 연장하여 그 사이에 부착 프레임(40)을 수용하는 2개의 부착 스트립(14)을 구비하며, 상기 수납부는 하나 이상의 관통 경로(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2.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배치되고 작동후 다량의 압축 가스를 공급하는 팽창기와,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되어 팽창 구멍을 둘러싸는 부착부를 갖는 접힌 에어백(50)을 구비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는 병형상의 압축 가스 컨테이너(12)를 구비하며;
    상기 에어백(50)의 부착부는 부착 프레임(40)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10)은 에어백 방향으로 개방되어 적어도 하나의 정면으로 향하여 압축 가스 컨테이너가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대략 트로프 형상의 수납부를 구비하며, 또한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수납부(11)의 외측으로 연장하여 그 사이에 부착 프레임(40)을 수용하는 2개의 부착 스트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1)는 원형 단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1)는 다각형 단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가스 컨테이너(12)는 원형 단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가스 컨테이너(12)와 수납부(11)는 압력 끼워 맞춤에 의해 상기 수납부(11)내에 상기 압축 가스 컨테이너(12)가 고정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가스 컨테이너(12)가 상기 수납부(11)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클램핑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수납부(11) 및 상기 부착 프레임(40)은 상기 압축 가스 컨테이너(12)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압축 가스 컨테이너와, 반대로 상기 부착 프레임(40)은 접힌 에어백(50)과 2개의 예비조립된 조립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가스 컨테이너(12)의 바닥면과 대향하는 상기 수납부(11)의 단부는 기판(70)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가스 컨테이너(12)의 헤드와 대향하는 상기 수납부(11)의 단부는 상기 압축 가스 컨테이너(12)의 헤드 형상에 적합한 유지부를 구비한 유지판(72)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1)의 전방 단부를 밀봉하는 기판(70) 또는 유지판(72)은 상기 수납부(11)에 볼트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1)의 전방 단부를 밀봉하는 기판(70) 또는 유지판(72)은 상기 수납부(11)에 볼트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13.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70)과 상기 유지판(72)은 상기 에어백 구속 모듈을 부착하기 위한 플랜지(7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압출면으로 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1)는 하나 이상의 일체로 성형된 자동 태핑 나사용 볼트 홀(8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박판 금속부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1)는 그 내부로 돌출한 비드(81)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1)는 자동 태핑 나사용으로 원형 부분을 나타내는 2개의 판상 재료부(92, 94)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버팀벽(90)을 구비하며, 상기 판상 재료부는 나사 방향으로 앞뒤로 배치되어 상기 방향에 관하여 상기 재료부의 평면으로 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1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1)는 전면에 곡판(96)을 구비하며, 상기 기판(70)에 형성된 개구부(97)를 통과하는 상기 곡판은 상기 유지판(72)의 외측면상에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2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전면에 곡판(96)을 구비하며, 상기 곡판은 상기 유지판(72)에 형성된 개구부(97)를 통과하여 상기 유지판(72)의 외측상에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2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프레임(40)은 상기 기판(70)과 유지판(72)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과하는 부착 볼트(4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2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프레임(40)은 상기 기판(70)과 유지판(72)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과하는 부착 볼트(4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프레임(40)은 상기 에어백(50)의 부착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과하는 부착 볼트(4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50)은 필연적으로 장방형 장착부(54)를 구비하는데, 상기 장착부의 긴 측면중 하나는 상기 부착부의 구역에서 에어백(50)에 영구적으로 연결되며, 그 중간부는 상기 긴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접힌 에어백(50) 위로 지나며, 상기 중간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의 긴 측면에 대향한 제 2 의 긴 측면은 돌출부(56)에 의해 상기 부착 프레임(40)에 장착되며 상기 돌출부(56)는 상기 제 2 의 긴 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부착 볼트(44)의 일부가 돌출하는 개구부(58)를 구비하며, 상기 중간부는 에어백(50)이 펴질때 그 에어백(5)에 의해 파열되는 천공라인(6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가스 컨테이너(12)의 헤드에 대향하는 측면상에서 편향판(98)은 부착 프레임(40)과 수납부(1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2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판(72)과 상기 압축 가스 공급원 사이에 스페이서 와셔(82)가 배치되며, 상기 와셔는 상기 수납부(11)에 관하여 정확한 각도로 정위치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2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1)는 원형 단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2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1)는 다각형 단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2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가스 컨테이너(12)는 원형 단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3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가스 컨테이너(12)와 수납부(11)는 압력 끼워 맞춤에 의해 상기 수납부(11)내에 상기 압축 가스 컨테이너(12)가 고정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3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압축 가스 컨테이너와, 반대로 상기 부착 프레임(40)은 접힌 에어백(50)과 2개의 예비조립된 조럽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3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가스 컨테이너(12)의 바닥면과 대향하는 상기 수납부(11)의 단부는 기판(70)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3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가스 컨테이너(12)의 헤드와 대향하는 상기 수납부(11)의 단부는 상기 압축 가스 컨테이너(12)의 헤드 형상에 적합한 유지부를 구비한 유지판(72)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3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압출면으로 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3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박판 금속부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3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프레임(40)은 상기 에어백(50)의 부착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과하는 부착 볼트(4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3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가스 컨테이너(12)의 헤드에 대향하는 측면상에서 편향판(98)은 부착 프레임(40)과 수납부(1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38.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1)의 전방 단부를 밀봉하는 기판(70) 또는 유지판(72)은 상기 수납부(11)에 볼트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39.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1)의 전방 단부를 밀봉하는 기판(70) 또는 유지판(72)은 상기 수납부(11)에 볼트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40. 제 32 항 또는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70)과 상기 유지판(72)은 상기 에어백 구속 모듈을 부착하기 위한 플랜지(7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41.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1)는 하나 이상의 일체로 성형된 자동 태핑 나사용 볼트 홀(8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42.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1)는 그 내부로 돌출한 비드(81)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43.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1)는 자동 태핑 나사용으로 원형 부분을 나타내는 2개의 판상 재료부(92, 94)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버팀벽(90)을 구비하며, 상기 판상 재료부는 나사 방향으로 앞뒤로 배치되어 상기 방향에 관하여 상기 재료부의 평면으로 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4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1)는 전면에 곡판(96)을 구비하며, 상기 기판(70)에 형성된 개구부(97)를 통과하는 상기 곡판은 상기 유지판(72)의 외측면상에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4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전면에 곡판(96)을 구비하며, 상기 곡판은 상기 유지판(72)에 형성된 개구부(97)를 통과하여 상기 유지판(72)의 외측상에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46.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프레임(40)은 상기 기판(70)과 유지판(72)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과하는 부착 볼트(4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4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프레임(40)은 상기 기판(70)과 유지판(72)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과하는 부착 볼트(4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4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50)은 필연적으로 장방형 장착부(54)를 구비하는데, 상기 장착부의 긴 측면중 하나는 상기 부착부의 구역에서 에어백(50)에 영구적으로 연결되며, 그 중간부는 상기 긴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접힌 에어백(50) 위로 지나며, 상기 중간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의 긴 측면에 대향한 제 2 의 긴 측면은 돌출부(56)에 의해 상기 부착 프레임(40)에 장착되며 상기 돌출부(56)는 상기 제 2 의 긴 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부착 볼트(44)의 일부가 돌출하는 개구부(58)를 구비하며, 상기 중간부는 에어백(50)이 펴질때 그 에어백(5)에 의해 파열되는 천공라인(6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49.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판(72)과 상기 압축 가스 공급원 사이에 스페이서 와셔(82)가 배치되며, 상기 와셔는 상기 수납부(11)에 관하여 정확한 각도로 정위치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속 모듈.
KR1019960036267A 1995-09-05 1996-08-29 가스백 구속 모듈 KR100223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32768A DE19532768A1 (de) 1995-09-05 1995-09-05 Gassack-Rückhaltemodul
DE19532768.3 1995-09-05
DE29604345.1 1996-03-08
DE29604345U DE29604345U1 (de) 1995-09-05 1996-03-08 Gassack-Rückhaltemodu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273A KR970015273A (ko) 1997-04-28
KR100223117B1 true KR100223117B1 (ko) 1999-10-15

Family

ID=7771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6267A KR100223117B1 (ko) 1995-09-05 1996-08-29 가스백 구속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022196B1 (ko)
KR (1) KR100223117B1 (ko)
DE (4) DE19532768A1 (ko)
TW (1) TW3361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94091B1 (de) * 1996-03-08 2001-05-16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Gassack-Rückhaltemodul
DE29612777U1 (de) * 1996-07-23 1996-11-21 Trw Repa Gmbh Gassack-Modul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DE29701063U1 (de) * 1997-01-22 1997-05-22 Trw Repa Gmbh Gassack-Modul
DE19928696B4 (de) * 1999-06-23 2005-06-16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anordnung mit einem Biegeflächen aufweisenden Container
DE20112313U1 (de) * 2001-07-26 2001-11-29 Trw Repa Gmbh Baugruppe aus zylindrischem Gasgenerator, Gehäuse und Halteteil
DE102004007415B4 (de) * 2004-02-16 2006-02-09 Key Safety Systems, Inc.(n.d.Ges.d.Staates Delaware), Sterling Heights Befestigung für einen Gassack
DE202006006903U1 (de) * 2006-04-26 2007-09-06 Autoliv Development Ab Banderole und Airbageinheit mit Banderol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8919A (en) * 1990-06-15 1991-10-22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construction and assembly technique
US5332256A (en) * 1992-02-24 1994-07-26 Morton International, Inc. Continuous circumference diffuser reaction canister
US5263739A (en) * 1992-12-28 1993-11-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DE69410870T3 (de) * 1993-04-12 2001-05-23 Autoliv Asp Inc Reaktionsgehäuse eines aufblasbaren Rückhaltesystems
WO1994025313A1 (en) * 1993-04-30 1994-11-10 Alliedsignal Inc. Air bag module with extruded hou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532768A1 (de) 1997-03-06
DE59610546D1 (de) 2003-07-24
KR970015273A (ko) 1997-04-28
EP1022196B1 (de) 2003-06-18
EP1022196A3 (de) 2000-10-11
TW336198B (en) 1998-07-11
EP1022196A2 (de) 2000-07-26
DE59607992D1 (de) 2001-11-29
DE29604345U1 (de)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0278B1 (ko) 에어백 구속 모듈
JP3086420B2 (ja) ガスバッグ拘束モジュール
US5639112A (en) Air bag module
US6692021B2 (en) Airbag apparatus
US4191392A (en) Occupant restraint cushion system
US5803486A (en) Air bag module with mounting and diffuser bracket
CA2108590A1 (en) Diffuser device and incorporation thereof in an inflatable restraint system
US20070001439A1 (en) Gas generator for air bag
US6250665B1 (en) Retainer structure for a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KR100223117B1 (ko) 가스백 구속 모듈
JP2010520838A (ja) 車両乗員拘束装置用のエアバッグ装置
JPH09323612A (ja) ガスバッグ拘束モジュール
KR20010040565A (ko) 에어백 모듈
JP2005528267A (ja) エアバッグを固定するための保持要素及び支持要素を備えるエアバッグユニット
US6164684A (en) Fastening structure for interconnecting parts of a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US6705637B1 (en) Inflator
JP2003054345A (ja) エアバッグ装置
JPH09169253A (ja) エアバッグ装置
KR980008873A (ko)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용 가스백 모듈
JP5243788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7731234B2 (en) Air bag module with diffuser
JP3503492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6106001A (en) Gas bag module
JP3807261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214175B1 (ko) 에어백용 인프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