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2704B1 - 제한된 수의 키를 이용한 효율적인 한글 입력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제한된 수의 키를 이용한 효율적인 한글 입력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704B1
KR100222704B1 KR1019970040315A KR19970040315A KR100222704B1 KR 100222704 B1 KR100222704 B1 KR 100222704B1 KR 1019970040315 A KR1019970040315 A KR 1019970040315A KR 19970040315 A KR19970040315 A KR 19970040315A KR 100222704 B1 KR100222704 B1 KR 100222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s
hangul
limited number
input
st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401A (ko
Inventor
강재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0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2704B1/ko
Publication of KR19990017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제한된 수의 키를 가지는 전자기기에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제한된 수의 키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한글을 입력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제한된 수의 키에 자소를 중복적으로 할당하고 키를 한번만 눌러서 입력시키고 이때 발생되는 여러 가지 문자열에 대해서는 언어학적인 정보를 이용하여 가장 사용 가능성이 높은 문자열부터 화면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제한된 수의 키를 가지는 전자기기에서 한글 입력시 이용한다.

Description

제한된 수의 키를 이용한 효율적인 한글 입력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제한된 수의 키를 가지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한된 수의 키들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인터넷 텔레비젼이나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이하 "PDA"라함) 등과 같은 전자기기는 기기의 특성상 제한된 수의 키입력장치를 가지거나 아예 키입력장치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키들은 필요에 따라 한글 입력을 위해 사용되는데 종래의 인터넷 텔레비젼의 경우에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표시되는 키보드 화면을 보면서 텔레비젼 또는 텔레비젼 리모콘에 구비되는 방향키를 이용하여 키보드 화면상의 커서를 이동하면서 한글을 입력시키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한된 키에 여러 개의 자소가 중복할당되어 있는 경우에는 한글입력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키를 여러번 중복적으로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제한된 키를 가지는 전자기기에서 한글을 입력시키려고 할 때 키를 여러번 중복해서 눌러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한된 수의 키를 가지는 전자기기에서 효율적으로 한글을 입력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텔레비젼의 블록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 입력을 위한 키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처리 흐름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한된 수의 키에 자소를 중복적으로 할당하고 키를 한번만 눌러서 입력시키고 이때 발생되는 여러 가지 해석 가능한 문자열에 대해서는 언어학적인 정보를 이용하여 가장 사용 가능성이 높은 문자열부터 화면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이 인터넷 텔레비젼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텔레비젼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메모리부(102)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TV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부(102)는 제어부(100)의 동작 프로그램 및 언어 정보에 대한 각종 참조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00)의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리모콘(104)은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를 가지며 키입력에 따른 키데이터를 IR(Infrared) 수신부(106)를 통해 제어부(100)에 인가한다. TV 수상기(108)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TV 방송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필요할 경우에는 키보드 화면을 TV 수상기(108)표시한다. IR 수신부(106)는 리모콘(104)으로부터 전송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00)에 인가한다.
제2도는 한글의 입력을 위해 제한된 수의 키에 한글의 자소가 할당된 예를 도시한 것으로, 1,2,3,
Figure kpo00002
, 0,*,
Figure kpo00003
의 각 키에 모양이 비슷한 자소가 중복할당되었으며 괄호 안의 자소는 같은 키를 두 번 연속 누른 경우에 해당된다. 특히 상기 제2도에서와 같이 10개의 키에 중복으로 할당된 21개의 기본 자소는 가능한 한 중의적인 해석의 여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말뭉치에서 각 자소간의 경쟁도를 구하여서 서로 경쟁을 하는 자소는 다른 키에 할당되도록 하였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도에서 보여진 자소가 할당된 제한된 수의 키를 이용해서 한글을 입력시키는 처리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3도의 흐름도에 따른 동작은 상기 제1도의 제어부(100)에 의해 수행되도록 메모리부(102)에 프로그램한다. 이제 상기 제1도와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중 한글 입력과정은 상기 제2도와 같이 한글의 자소가 할당된 키를 구비한 리모콘(104)에 의해서 또는 상기 제2도와 같은 한글의 자소가 할당된 키의 배열이 TV 수상기(108)에 표시되어서 종래와 같이 리모콘(104)에 구비된 방향키에 의해 선택되어 입력될 수도 있다.
먼저 제어부(100)는 제3도의 (300)단계에서 새어절 시작을 초기화하고, (30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한글 입력을 위한 키를 입력받는다. 이어 제어부(100)는 (304)단계에서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자소를 이용하여 모든 가능한 문자열을 생성한다. 이때 만일 예를들어 상기(302)단계에서 7,3,8,8,6,6,2,2,0,8 번키가 입력되었다면 각 키에 해당하는 자소는 아래 표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으므로 모든 가능한 문자열은
Figure kpo00004
등등이 될 수 있다.
Figure kpo00005
그리고 제어부(100)는 (3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304)단계에서 생성된 문자열들 중에서 완성형 코드가 없는 문자가 있는 문자열을 삭제한다. 이에 따라
Figure kpo00006
등 완성형 코드가 있는 문자를 가진 문자열만이 남게된다. 이어 제어부(100)는 (3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306)단계에서 삭제되지않고 남은 문자열들의 각 문자에 대한 위치별 빈도수를 검사하고 위치별 빈도수가 높은 문자열을 우선 순위로 정열 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306)단계에서 삭제되지 않고 남아있는 문자열들이 문자의 빈도수에 따라 '발명은', '발명을','판명은','반령승','팬명은',
Figure kpo00007
등과 같이 정열 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상기 (308)단계에서 우선 순위로 정열된 문자열들에 대해 철자검사를 하여 철자가 틀린 문자열을 삭제한다. 이에 따라 철자가 틀린 문자열은 삭제되고 '발명은, '발명을', '판명은'
Figure kpo00008
등이 남게된다. 이어 제어부(100)는 (31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310)단계에서 철자검사 후에 남아있는 문자열들중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문자열을 입력된 문자열로 화면에 표시하고, 나머지 문자열들은 후보 문자열로 입력된 문자열 화면 아래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발명은'의 문자열이 입력된 문자열로 화면에 표시되고 '발명을', '판명은'
Figure kpo00009
등이 후보 문자열로써 '발명은'의 문자열 아래의 화면에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문자열로 화면에 표시된 '발명은'이 원하는 문자열이 아닌 경우에는 후보 문자열중에서 원하는 다른 문자열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만일 사용자에 의해 입력 문자열 변경을 위한 키입력을 인식하면 제어부(100)는 (314)단계에서 (316)단계로 진행하여 후보 문자열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새로이 선택된 문자열을 입력 문자열로 화면에 표시한다. 이와 달리 입력 문자열 변경을 위한 키입력을 인식하지 못하면 제어부(100)는 (318)단계로 진행하여 한글 입력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만일 '
Figure kpo00010
'키를 한글 입력종료를 위한 키로 미리 설정해 놓았다면 제어부(100)는 '
Figure kpo00011
'키의 입력을 인식하면 한글 입력이 종료되는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
Figure kpo00012
'키의 입력을 인식하지 못하면 상기 (302)단계로 돌아가서 다시 상기 (302)~(318)단계를 수행하고, 이와 달리 '
Figure kpo00013
'키의 입력을 인식하면 한글 입력 수행을 종료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글의 자소가 중복 할당된 키를 한번씩만 눌러서 한글을 입력시키면 입력된 키에 다른 문자열이 언어학적인 정보에 의해 가장 가능성이 많은 문자열부터 화면에 표시되므로 한글 입력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정확도를 높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한된 수의 키를 가지는 전자기기중 인터넷 텔레비젼에 적용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제한된 수의 키를 가지는 전자기기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른 생성 가능한 문자열들중 완성형 코드가 없는 문자가 있는 문자열과 철자가 틀린 문자열을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한 예를 보였으나 상기 완성형 코드가 없는 문자가 있는 문자열과 철자가 틀린 문자열을 삭제하는 과정은 필요에 따라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특허 청구의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글의 자소가 중복 할당된 키를 한번씩만 눌러서 한글을 입력시키면 입력된 키에 다른 문자열이 언어학적인 정보에 의해 가장 가능성이 많은 문자열부터 화면에 표시되므로 한글 입력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정확도를 높일 수도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제한된 수의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에 있어서, 자소의 입력에 사용하며 각각 한글의 자소에 대응되는 키와 상기 자소의 입력이 종료됨을 나타내기 위한 키로 구성된 상기 제한된 수의 키를 가지는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각 키에 대응되는 한글의 자소를 인식하여 모든 가능한 문자열을 생성하고 상기 문자열들중 각 문자의 위치별 빈도수가 높은 문자열을 우선 순위로 정열시킨 후 표시부를 제어하여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문자열을 입력된 문자열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된 수의 키를 이용한 효율적인 한글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소의 입력에 사용되는 키에 각각 'ㄱ,ㅋ,ㄲ', 'ㅅ,ㅇ,ㅆ', 'ㅏ,ㅐ,ㅑ,ㅒ', 'ㄷ,ㅌ,ㄸ', 'ㅈ,ㅊ,ㅎ,ㅉ', 'ㅓ,ㅔ,ㅕ,ㅖ', 'ㅂ,ㅍ,ㅃ', 'ㄴ,ㄹ,ㅁ', 'ㅗ,ㅜ,ㅛ,ㅠ', 'ㅡ,ㅣ'의 한글 자소가 대응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된 수의 키를 이용한 효율적인 한글 입력장치.
  3. 제한된 수의 키를 구비하고 각 키의 입력에 한글의 자소를 대응시켜 자소의 조합에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각 키에 대응되는 한글의 자소를 인식하여 모든 가능한 문자열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열들을 각 문자의 위치별 빈도수가 높은 문자열을 우선 순위로 정열 시키는 과정과, 상기 우선 순위로 정열된 문자열들중 가능 우선 순위가 높은 문자열을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된 수의 키를 이용한 효율적인 한글 입력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된 수의 키가 12개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된 수의 키를 이용한 효율적인 한글 입력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2개의 키에 'ㄱ,ㅋ,ㄲ', 'ㅅ,ㅇ,ㅆ', 'ㅏ,ㅐ,ㅑ,ㅒ', 'ㄷ,ㅌ,ㄸ', 'ㅈ,ㅊ,ㅎ,ㅉ', 'ㅓ,ㅔ,ㅕ,ㅖ', 'ㅂ,ㅍ,ㅃ', 'ㄴ,ㄹ,ㅁ', 'ㅗ,ㅜ,ㅛ,ㅠ', 'ㅡ,ㅣ'의 한글 자소가 각각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된 수의 키를 이용한 효율적인 한글 입력방법.
  6. 제한된 수의 키를 구비하고 각 키의 입력에 한글의 자소를 대응시켜 자소의 조합에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각 키에 대응되는 한글의 자소를 인식하여 모든 가능한 문자열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문자열들 중에서 완성형 코드가 없는 문자가 있는 문자열을 삭제하는 과정과, 상기 완성형 코드가 있는 문자로만 이루어진 문자열들을 각 문자의 위치별 빈도수가 높은 문자열을 우선 순위로 정열 시키는 과정과, 상기 정열된 문자열들에 대해 철자검사를 하여 철자가 틀린 문자열을 삭제하는 과정과, 상기 철자검사에서 삭제되지 않은 문자열들을 우선 순위로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된 수의 키를 이용한 효율적인 한글 입력방법.
KR1019970040315A 1997-08-22 1997-08-22 제한된 수의 키를 이용한 효율적인 한글 입력장치 및 방법 KR100222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315A KR100222704B1 (ko) 1997-08-22 1997-08-22 제한된 수의 키를 이용한 효율적인 한글 입력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315A KR100222704B1 (ko) 1997-08-22 1997-08-22 제한된 수의 키를 이용한 효율적인 한글 입력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401A KR19990017401A (ko) 1999-03-15
KR100222704B1 true KR100222704B1 (ko) 1999-10-01

Family

ID=19518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315A KR100222704B1 (ko) 1997-08-22 1997-08-22 제한된 수의 키를 이용한 효율적인 한글 입력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27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848B1 (ko) * 1999-04-01 2002-02-02 정상모 무종성 한글단어 입력 처리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401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06118C2 (ru) Система устранения неоднозначности с уменьшенной клавиатурой
KR100891358B1 (ko) 사용자의 다음 문자열 입력을 예측하는 글자 입력 시스템및 그 글자 입력 방법
JPH08506444A (ja) 統合辞書ベースで、ありそうな文字列の手書き認識方法
JP2001500646A (ja) 高速タイプ装置と方法
JP2000508093A (ja) 減少型キーボード曖昧さ除去システム
WO2008106729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entering text on a computing device
CN112269475A (zh) 文字显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0566204B1 (ko) 성조가 표기된 한어 병음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222704B1 (ko) 제한된 수의 키를 이용한 효율적인 한글 입력장치 및 방법
WO1990002992A1 (en) Symbol definition apparatus
KR100397509B1 (ko) 전화기자판이부착된한글입력장치및그방법
JPS63128468A (ja) キヤラクタ入力装置
KR20020086449A (ko) 한자 입력 방법
JPH02144763A (ja) 仮名漢字変換装置
KR20040036972A (ko) 문자 입력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정보 처리 시스템
KR101365855B1 (ko) 문자를 예측하여 표시하기 위한 동적으로 생성된 키패드
JP2004199356A (ja) キーボードを用いた文字予測付きアルファベット入力システムと該システムを備えた電子機器
KR20050004683A (ko) 문자 입력 코드 발생 장치의 입력 키 충돌 해소 방법
KR20030057000A (ko)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WO2004107211A1 (ja) 電子辞書
JPH0895970A (ja) 文書作成装置及びかな漢字変換方法
JPH08171568A (ja) 複数言語入力方法
KR20060018565A (ko) 정보통신기기용 자판장치의 문자입력 방법
KR20020012089A (ko) 한/영 오입력 자동 변환기능을 갖는 키입력 제어장치 및방법
JPS6162137A (ja) 単語検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