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2593B1 - 파인더 - Google Patents

파인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593B1
KR100222593B1 KR1019960053621A KR19960053621A KR100222593B1 KR 100222593 B1 KR100222593 B1 KR 100222593B1 KR 1019960053621 A KR1019960053621 A KR 1019960053621A KR 19960053621 A KR19960053621 A KR 19960053621A KR 100222593 B1 KR100222593 B1 KR 100222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finder
eyepiece
imag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3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5302A (ko
Inventor
강형원
Original Assignee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무성
Priority to KR1019960053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2593B1/ko
Priority to US08/967,905 priority patent/US5911087A/en
Priority to GB9723923A priority patent/GB2319354B/en
Priority to CN97122841A priority patent/CN1096623C/zh
Publication of KR19980035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5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14Viewfind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 Viewfinders (AREA)

Abstract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변배 및 물체의 상을 1차 결상시키는 대물 렌즈계와, 상기 대물 렌즈계에 의해 형성된 물체상을 반전시키는 상반전 광학계와, 카메라의 전원의 온, 오프에 따라 조출하며, 상기 상반전 광학계에 의해 반전된 물체상을 관찰하기 위한 접안 렌즈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카메라 전원 온시 파인더의 접안 렌즈부를 카메라의 몸체측 반대편으로 조출시키고, 카메라 전원 오프시 파인더의 접안 렌즈부를 카메라의 몸쪽에 수납함으로써, 카메라 촬영시 신체부위의 간섭없이 촬영구도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고, 비촬영시 카메라의 컴팩트화를 실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인더
이 발명은 파인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파인더의 접안 렌즈부가 촬영자의 눈측으로 조출 가능한 파인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촬영자는 파인더를 통해 피사체의 위치와 구도를 결정하게 되며, 상기 결정된 피사체의 구도와 위치는 필름면에 찍히는 피사체의 범위가 된다.
상기 파인더는 촬영하는 범위와 피사체의 위치를 보기 위한 뷰(view) 파인더와, 카메라의 파인더 시스템 안에 거리계를 장착함으로써 시야를 결정함과 아울러 초점까지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거리계 연동식 파인더와, 카메라 촬영 렌즈 뒤에 45°각도로 반사경을 설치하여 촬영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상측에 마련된 초점 글라스에 비치도록 하여 촬영 범위를 확인하고 초점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일안리플렉스 파인더로 대별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파인더는 카메라의 일정부위에 고정 설치되어 촬영자로 하여금 피사체의 구도 범위를 결정하도록 하며, 현재의 카메라 컴팩트화의 추세에 따라 소형화되고, 촬영자에게 피사체의 구도 범위를 결정하면서 선명한 피사체상이 보이도록 하기 위해 촬영자의 눈과 상기 파인더의 접안 렌즈 끝면까지의 거리 즉, 아이릴리프(eye relie f)를 유지한다.
그리고, 파인더는 광각단에서 망원단까지의 정해진 범위에서 초점거리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원하는 크기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줌 렌즈를 채용한 줌 카메라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촬영렌즈 변화에 연동해서 변배부가 변화하여 파인더의 배율이 변화되도록 하는데 이때 파인더의 접안부는 고정되고, 아이릴리프도 줌밍에 따라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촬영자가 종래의 컴팩트 카메라의 파인더를 통해 눈거리를 유지하면서 피사체의 구도를 잡기 위해서는 촬영자의 신체 일부인 코가 카메라의 뒷덮개에 접촉되며, 안경을 쓴 촬영자인 경우에는 안경이 뒷덮개에 접촉되어 촬영구도를 잡을 때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의 문제점은 피사체의 구도를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포착하는 것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시키게 된다.
촬영 구도를 잡았더라도 신체의 일부가 카메라의 뒷덮개에 간섭을 받아 부자연스러운 촬영이 이루어짐으로써, 원하는 촬영 구도 범위를 벗어나게 되고, 간섭을 피하기 위해 눈거리를 임의로 띄우면 파인더를 통해 관찰하는 피사체의 시야가 좁아져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상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 발명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카메라 촬영을 위해 전원을 온시키면, 파인더의 접안 렌즈부가 촬영자의 눈측으로 조출되고,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휴대시에는 파인더 접안 렌즈부를 카메라의 몸체 안쪽으로 수납되는 파인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인더(finder)의 렌즈 구성도이고,
제2도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인더의 렌즈 구성도이고,
제3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인더의 접안 렌즈가 조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제4(a)~(c)도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각단에서의 구면수차, 비점수차, 왜곡수차를 나타낸 수차도이고,
제5(a)~(c)도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간단에서의 구면수차, 비점수차, 왜곡수차를 나타낸 수차도이고,
제6(a)~(c)도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망원단에서의 구면수차, 비점수차, 왜곡수차를 나타낸 수차도이고,
제7(a)~(c)도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각단에서의 구면수차, 비점수차, 왜곡수차를 나타낸 수차도이고,
제8(a)~(c)도는 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간단에서의 구면수차, 비점수차, 왜곡수차를 나타낸 수차도이고,
제9(a)~(c)도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망원단에서의 구면수차, 비점수차, 왜곡수차를 나타낸 수차도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이 발명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변배 및 물체의 상을 1차 결상시키는 대물 렌즈계와; 상기 대물 렌즈계에 의해 형성된 물체상을 반전시키는 상반전 광학계와; 카메라의 전원의 온, 오프에 따라 조출하며, 상기 상반전 광학계에 의해 반전된 물체상을 관찰하기 위한 접안 렌즈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다음의 식을 만족한다.
[수학식 1]
상기 수학식 1에서 D는 접안 렌즈계가 조출한 상태에서의 상반전 광학계의 끝면에서 접안 광학계의 첫면까지 거리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제1도를 참조로 한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결상과 변배를 하는 대물 렌즈부(1)와; 1차 결상된 상을 반전시키는 상반전부(2)와; 정의 굴절력을 가진 렌즈로 이루어져 있으며, 카메라의 전원이 온되면 카메라의 몸측 반대편으로 이동하고, 카메라의 전원이 오프되면 카메라의 몸쪽으로 이동하여 카메라에 수납되는 접안 렌즈부(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첨부한 제2도를 참조로 한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결상과 변배를 하는 대물 렌즈부(10)와; 1차 결상된 상을 반전시키는 상반전부(20)와; 정의 굴절력을 가진 렌즈로 이루어져 있으며, 카메라의 전원이 온되면 카메라의 몸체 반대편으로 이동하고, 카메라의 전원이 오프되면 카메라의 몸체쪽으로 이동하여 카메라에 수납되는 접안 렌즈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안 렌즈부(3, 30)의 조출 동작을 첨부한 제3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첨부한 제3도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렌즈 구성도인 제1도와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렌즈 구성도인 제2도를 블록화한 도면이다.
촬영자가 촬영을 하기 위해 카메라의 전원을 온 시키면, 접안 렌즈부(3, 30)는 카메라의 몸측 반대편 방향인 "A"의 위치로 조출하여 촬영자가 카메라의 간섭없이 피사체의 구도를 잡을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촬영자가 촬영을 끝내기 위해 카메라의 전원을 오프 시키면, 상기 접안 렌즈부(3, 30)는 원위치로 수납되어 "B"의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접안 렌즈부(3, 30)가 "B"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파인더로서의 성능은 무시하고 단지 외관적인 측면에서 컴팩트한 카메라를 유지해 주며, 상기 접안 렌즈부(3, 30)가 "A"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비로소 파인더로서의 성능을 하게 된다.
상기에서 접안 렌즈부(3, 30)가 "A"의 위치에 있을 때의 상반전부(2, 20)와, 접안 렌즈부(3, 30) 사이의 간격은 상기 수학식 1을 만족해야 한다.
상기 수학식 1에서 접안 렌즈부(3, 30)가 조출한 상태에서의 상반전부(2, 20)의 끝면에서 접안 렌즈부(3, 30)의 첫 면까지의 거리(D)는 10mm이하가 되면, 이 발명의 목적에 따른 효과가 없게 되고, 22mm 이상이면, 수차 특성이 나빠지고 배율이 작아지게 되어 파인더 설계가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조출량이 너무 커서 의미가 없다.
상기한 조건을 만족하여 이루어지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중 비구면 렌즈의 형상은 다음 수학식에 의하여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2]
r은 굴절면의 곡률 반경, d는 렌즈의 두께 또는 렌즈간의 거리, nd는 렌즈의 d-line굴절률, v는 렌즈의 아베수이며, 제1 실시예에서의 화각은 49.3°~ 16.7°이고, 배율은 -0.26×-0.76×이다.
상기 표 1에 있어서, '*' 표시된 면은 비구면을 나타내며, 해당하는 비구면 계수의 값은 다음의 표 3과 같다.
그리고, d2, d4, d6은 변배시 가변되는 렌즈간의 간격이며, 해당하는 값은 다음의 표 2와 같다.
이 발명의 파인더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실시예값은 표 4과 같으며, 화각의 범위는 53.3°~ 28.4°이고, 배율은 -0.27×~ -0.48×이다.
상기 표 4에 있어서, '*' 표시된 면은 비구면을 나타내며, 해당하는 비구면의 계수의 값은 다음의 표 6과 같다.
그리고, d2, d4, d6은 변배시 가변되는 렌즈간의 간격이며, 해당하는 값은 다음의 표 5와 같다.
상기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서의 d11의 값에 의해 상기 수학식 1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성립됨을 알 수 있으며, 제1, 제2 실시예의 값에 따른 구면수차값은 표 7 내지 표 9이고, 제1, 제2 실시예의 값에 따른 비점수차와 왜곡수차값은 표 10 내지 표 12와 같다.
이 발명의 파인더는 카메라 전원 온시 파인더의 접안 렌즈부를 카메라의 몸체측 반대편으로 조출시키고, 카메라 전원 오프시 파인더의 접안 렌즈부를 카메라의 몸쪽에 수납함으로써, 카메라 촬영시 신체부위의 간섭없이 촬영구도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고, 비촬영시 카메라의 컴팩트화를 실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다수의 렌즈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변배를 수행하여 물체의 상을 1차 결상시키는 대물 렌즈계와; 상기 대물 렌즈계에 의해 형성된 도립상을 반전시켜 정립시키는 상반전 광학계와; 전원 온시 카메라 외부로 조출하고, 전원 오프시 카메라 내부로 복귀하여 상기 상반전 광학계에 의해 정립된 물체상을 확대시키는 접안 렌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다음의 식을 만족하는 파인더
    상기 수학식 1에서 D는 접안 렌즈가 조출한 상태에서의 상반전 광학계의 끝면에서 접안 렌즈의 첫면까지 거리이다.
KR1019960053621A 1996-11-13 1996-11-13 파인더 KR100222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621A KR100222593B1 (ko) 1996-11-13 1996-11-13 파인더
US08/967,905 US5911087A (en) 1996-11-13 1997-11-12 Camera finder system
GB9723923A GB2319354B (en) 1996-11-13 1997-11-12 Camera finder system
CN97122841A CN1096623C (zh) 1996-11-13 1997-11-13 相机的取景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621A KR100222593B1 (ko) 1996-11-13 1996-11-13 파인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302A KR19980035302A (ko) 1998-08-05
KR100222593B1 true KR100222593B1 (ko) 1999-11-01

Family

ID=19481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3621A KR100222593B1 (ko) 1996-11-13 1996-11-13 파인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11087A (ko)
KR (1) KR100222593B1 (ko)
CN (1) CN1096623C (ko)
GB (1) GB2319354B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00623B1 (fr) * 1993-01-18 1996-05-24 Asahi Optical Co Ltd Viseur du type à image réelle.
JP3311090B2 (ja) * 1993-07-12 2002-08-05 旭光学工業株式会社 実像式ファインダ
JPH08328085A (ja) * 1995-05-31 1996-12-13 Fuji Photo Film Co Ltd ファイン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302A (ko) 1998-08-05
US5911087A (en) 1999-06-08
GB2319354B (en) 1999-07-28
CN1096623C (zh) 2002-12-18
CN1183577A (zh) 1998-06-03
GB9723923D0 (en) 1998-01-07
GB2319354A (en) 1998-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0998B2 (e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image pickup optical system
JP3387524B2 (ja) 変倍ファインダ光学系
JPH05303035A (ja) 内焦超望遠ズームレンズ
JPH05173070A (ja) ズームレンズ
JP3952092B2 (ja) 写真レンズ光学系
JP3429540B2 (ja) 水陸両用カメラの光学系
JP2761920B2 (ja) 小型の広角ズームレンズ
JP3431968B2 (ja) 水陸両用カメラの光学系
JPH0621898B2 (ja) 撮影光学系
KR100354428B1 (ko) 광각변배파인더
JP2780109B2 (ja) 実像式変倍ファインダー
KR100222593B1 (ko) 파인더
JP2503531B2 (ja) 視度調整可能なファインダ―光学系
JPH09152550A (ja) ズームレンズ
KR100189058B1 (ko) 파인더
JP3097919B2 (ja) アタッチメントレンズ
JP4149683B2 (ja) 変倍ファインダアタッチメント
KR100366236B1 (ko) 배율가변식파인더
JPH0387803A (ja) 実像式の変倍フアインダー
JP2621446B2 (ja) 変倍ファインダー
JP2008241795A (ja) ファインダー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2000147378A (ja) クローズアップレンズ及びクローズアップ撮影補助装置
KR0177982B1 (ko) 문서 촬영용 매크로 렌즈
US5953548A (en) Inverted galilean type variable magnification zoom finder
JP2629288B2 (ja) バックフォーカスの長いズーム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