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2371B1 -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371B1
KR100222371B1 KR1019960000784A KR19960000784A KR100222371B1 KR 100222371 B1 KR100222371 B1 KR 100222371B1 KR 1019960000784 A KR1019960000784 A KR 1019960000784A KR 19960000784 A KR19960000784 A KR 19960000784A KR 100222371 B1 KR100222371 B1 KR 100222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ackaging
package
heater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0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1286A (ko
Inventor
마모루 야스마츠
하루오 사사키
시게하루 고치
Original Assignee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키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키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미쯔이 고오헤이
Publication of KR960031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1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3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48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folding a wrapper, e.g. a pocketed wrapper, and securing its opposed free margins to enclos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2Packag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ts
    • B65B25/04Packaging fruit or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2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Abstract

피포장물(A)이 통과가능한 개구부(2a)가 형성된 포장대(2)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피포장물을 떨어뜨려 넣으면, 이 개구부의 가장자리에서 포장시트(1)가 죄여져서 피포장물이 포장시트에 싸서 넣어지도록 구성하고, 지지대에 유지된 상기 피포장물(A)를 포위하는 포장시트의 상단부(1a)를 협지가능한 협지기구(14, 16)와, 상기 협지기구를 상기 포장시트의 윗측부분을 협지하는 협지위치와, 상기 윗측부분으로부터 이간하는 퇴피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제1구동기구(28)와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을 끼워넣어 가열하여 용착시켜서 봉함하는 한쌍의 히터(9) 및 상기 한쌍의 히터(9)를 상기 피포장물쪽에 접근하는 제1위치와 이간하는 제2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운동하도록 구동하는 제2구동기구(3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협지기구가 상기 퇴피위치로부터 상기 협지위치에 이동하고, 상기 히터가 상기 제1위치쪽에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기구를 작동하는 제1제어수단과, 상기 히터를 상기 제2위치에 이동하고, 그 후, 상기 협지기구를 퇴피위치에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기구를 작동하는 제2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포장장치.

Description

포장장치
제1도는 제1 및 제2협지부재, 히터 등의 이동구동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제1 및 제2협지부재, 협지아암, 히터의 이동구동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제1 및 제2협지부재등을 끼워 넣기 위치에 이동 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4도는 제1 및 제2협지부재, 협지아암, 히터의 이동구동구조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
제5도는 포장시트의 인출기구 및 포장대부근의 종단측면도.
제6도는 피포장물을 포장대의 개구부에 밀어 넣고, 지지대에 떨어뜨려 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지지대부근의 정면도.
제7도는 제6도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한 쌍의 유지아암을 폐쇄조작하고, 지지대를 제1 및 제2협지부재의 아래 측까지 하강 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8도는 제1 및 제2협지부재, 히터를 끼워 넣기 위치측에 이동 조작했을 때에 있어서 제1 및 제2협지부재가 포장시트의 윗측부분을 끼워 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히터가 포장시트의 윗측부분을 끼워 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한 상태 후에 포장시트의 윗측부분이 인출기구의 제거판에 의해 제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한 상태 후에 제1 및 제2협지부재, 히터가 퇴피위치측에 이동 조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12도는 포장전체의 전반에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제13도는 포장전체의 후반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제14도는 포장장치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5(a)도는 포장수순을 조작하는 제어장치를 간략화한 설명도.
제15(b)도는 다른 실시예의 포장수순을 조작하는 제어장치를 간략화한 설명도.
제16(a)도는 제8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히터가 포장시트의 윗측부분을 끼워 넣는 다른 실시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16(b)도는 제16(a)도에 도시한 과장을 거쳐 포장된 피포장물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제17(a)도는 제11도에 도시한 히터 및 제1 및 제2협지부재가 퇴피위치측에 이동 조작된 후에 포장시트의 용착단부를 가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17(b)도는 제16(a)도에 도시한 과정을 거쳐 포장된 피포장물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포장시트 1a : 포장시트의 윗측부분
2 : 포장대 2a : 포장대의 개구부
3 : 지지대 9 : 히터
14, 16 : 협지부재 35 : 인출기구
34 : 절단기구 52 : 제거부재, 제거기구
55 : 제거기구 A : 피포장물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피포장물(예컨대 양상치나 양배추 등의 야채, 또는 멜론이나 사과 등의 과실)을 포장시트로 포장하는 농작물용의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상기와 같은 포장장치의 1예가 일본국 특개평 3-13371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포장장치에서는 피포장물이 떨어져 들어가는 개구부 (상기 공보의 제1도 중의 8)를 설치한 포장대 (상기 공보의 제1도 중의 4)를 구비하며, 이 포장대에 포장시트(상기 공보의 제1도 중의 F)를 두고, 윗쪽으로부터 개구부내에 피포장물(상기 공보의 제1도 중의 A)을 작업자가 손으로 밀어 넣어서 떨어뜨려 넣는다. 이것에 의해, 개구부의 외부가장자리에서 포장시트가 죄여져서, 피포장물이 포장시트에 싸이면서 아래측의 지지대(상기 공보의 제1도 및 제4도 중의 58)에 지지된다.
이로써, 포장대의 아래측의 한 쌍의 협지부재(상기 공보의 제4도 및 제5도 중의 12, 16)가, 횡방향으로부터 피포장물측에 진행해와서 포장시트의 윗측부분이 끼워 넣어지고, 한 쌍의 히터(상기 공보의 제4도 및 제5도 중의 20)에 의해 포장시트의 윗측부분이 끼워 넣어져서 가열되어 용착되고, 피포장물을 싼 포장시트가 열리지 않도록 봉함된다.
이 경우, 한 쌍의 히터에 의한 가열에 의해 포장시트의 용착이 행해짐과 동시에 포장시트의 윗측부분이 용착의 부분에서 용해되어 제거된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상기한 포장장치에서는 히터가 협지부재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공보 (일본국 특개평 3-133710호)의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지부재 및 히터로 포장시트의 윗측부분을 끼워 넣어서 가열한 후, 협지부재가 지면좌우로 이격되면, 협지부재와 함께 히터도 포장시트의 윗측부분으로부터 이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협지부재와 함께 히터를 포장시트로부터 이간시키면, 히터가 떨어지고 나서 포장시트의 가열된 부분(윗측부분)이 아직 냉각되어 있지 않음에도, 협지부재가 포장시트의 윗측부분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므로, 포장시트의 용착이 불충분한 것으로 될 우려가 생긴다. 그 결과 포장의 종료 후에 포장시트가 열리고 마는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한 쌍의 히터에 의해 포장시트의 윗측부분을 끼워 넣어서 가열하고 용착시켜서 포장시트를 봉함하도록 구성된 포장장치에 있어서, 포장시트의 용착이 충분히 행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특징은 이상과 같은 포장장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에 있다.
[1]
포장시트 얹어놓기용으로, 또한 피포장물이 통과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된 포장대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피포장물을 떨어뜨려 넣으면, 이 개구부의 가장자리에서 포장시트가 죄여져서 피포장물이 포장시트에 싸여지도록 구성하고, 아래쪽으로 낙하하는 상기 피포장물을 아래측으로부터 유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유지된 상기 피포장물의 외주를 포위하는 상기 포장시트의 상단부를 협지 가능한 협지기구와, 상기 지지대상의 피포장물에 있어서의 포장시트의 윗측부분을 횡방향으로부터 끼워 넣고, 가열하여 용착시켜서 봉함하는 한 쌍의 히터와, 상기 협지기구와 상기 한 쌍의 히터를 구동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 구동기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기구가 상기 협지기구를 상기 포장시트의 윗측부분을 협지하는 협지위치와 상기 포장시트의 윗측부분으로부터 이간하는 퇴피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제1기구와, 상기 한 쌍의 히터를 상기 협지기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피포장물쪽으로 접근하는 제1위치 및 상기 포장시트의 윗측부분으로부터 이간하는 제2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운동을 허용하는 제2기구와를 구비하는 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협지기구는 상기 한 쌍의 히터의 하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협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포장시트를 맞닿음 유지하기 위한 협지부재를 갖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피포장물이 상기 포장시트에 포장되고, 상기 지지대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재가 상기 퇴피위치로부터 상기 협지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히터가 상기 제1위치 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기구를 조작하고, 그후, 상기 협지부재를 상기 협지위치에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히터를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협지부재를 퇴피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기구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2]
전향[1]의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협지부재를 상기 협지 위치에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히터를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1기구와 제2기구의 양쪽을 설정시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작용]
[Ⅰ]
전항[1]과 같이 구성하면 예컨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2a)로부터 지지대(3)에 피포장물(A)을 떨어뜨려 넣으면 예를 들면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협지부재(14, 16) 및 한 쌍의 히터(9)가 퇴피위치로부터 끼워 넣기 위치(또는 협지위치)에 이동 조작되어서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이 끼워 넣어지고, 히터(9)에 의해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이 가열되어서 용착된다.
히터(9)에 의한 가열이 종료되면, 전항[1]의 구성에서는 예들면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한 쌍의 히터(9)가 끼워 넣기 위치로부터 퇴피위치측에 이동되어서 히터(9)가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으로부터 이간되고, 다음에 제11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협지부재(14, 16)가 끼워넣기위치로부터 퇴피위치측에 이송 조작된다.
이것에 의해, 히터(9)에 의한 가열후에 히터(9)가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으로부터 이간되었으나, 한 쌍의 협지부재(14, 16)가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을 끼워 넣고 있다고 하는 상태가 "어느 일정 시간" 발생하므로 이 사이에 히터(9)에 의해 가열된 부분이 냉각되어서 포장시트의 용착이 충분한 것으로 된다.
[Ⅱ]
전항[2]와 같이 구성하면, 히터(9)에 의한 가열이 종료하여 예들면 제9도에서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히터(9)가 협지위치로부터 퇴피위치측에 이동 조작되어서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으로부터 이간되면, 끼워넣기위치에 있는 한 쌍의 협지부재(14, 16)가 곧바로 퇴피위치측에 이동되는 것은 아니며, 설정시간(T2) 그 상태를 유지하므로 이 사이에 히터(9)에 의해 가열된 부분이 보다 확실히 냉각되어서, 포장시트의 용착이 더욱 충분한 것으로 된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과 같이 구성하면, 협지부재 및 히터에 의해 포장시트의 윗측부분을 끼워넣어서 가열하여 용착시켜서 포장시트를 봉함하도록 구성된 포장장치에 있어서, 히터에 의한 가열 후에 히터가 포장시트의 윗측부분으로부터 이간되었으나, 한 쌍의 협지부재가 포장시트의 윗측부분을 끼워 넣고 있다고 하는 상태를 나타내므로 포장시트의 용착을 충분한 것으로 할 수 있었다.
이것에 의해, 포장시트의 용착이 불충분한 것에 의해, 포장종료후에 포장시트가 열리고 만다고 하는 사태를 적게 할 수 있어서, 포장장치의 포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청구항 7과 같이 구성하면, 청구항 1과 같이 구성된 경우와 같이 상기한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를 구비하고 있다. 그 효과에 더하여, 히터에 의한 가열후 히터가 포장시트의 윗측부분으로부터 이간하였으나, 한 쌍의 협지부재가 포장시트의 윗측부분을 끼워 넣고 있다고 하는 상태를 설정시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으므로, 포장시트의 용착을 한층 충분한 것으로 할 수 있어서, 포장장치의 포장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제14도에 포장장치의 전체를 도시하고 있고, 중앙에 개구부(2a)를 구비한 포장대(2)의 한쪽에 롤형상으로 감긴 포장시트(1)가 한 쌍의 지지롤러(33)에 의해 자유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지지롤러(33)와 포장대(2) 사이에, 포장시트(1)의 커터(도시않음)를 내장한 절단기구(34)가 배치되어 있다. 포장대(2)의 반대측에 포장시트(1)의 인출기구(35)가 배치되어 있고, 인출기구(35)는 제14도에 도시된 인출위치와 절단기구(34)의 협지위치에 걸쳐 이동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포장대(2)의 개구부(2a)의 아래측에 제6도 및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피포장물(A)의 지지대(3) 및 제1협지부재(14)등이 배치되어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포장대(2)의 개구부(2a) 아래측에 배치된 지지대(3)부근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대(2)의 개구부(2a) 아래측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가이드레일(5)에 상하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제1지지부재(6)가 장착되고, 제1지지부재(6)의 상부에 고정된 제2지지부재(17)에 지지대(3)가 횡축심(P1)주위에 횡넘어짐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대(3)는, 평면에서 보아 십(+)자 형상의 평판의 4변을 윗쪽으로 절곡하여 구성되어 있고, 외부면에 스폰지나 부드러운 고무 등의 탄성재(4)가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레일(5)의 옆에 상하 한 쌍의 스프로켓(7)이 설치되고, 양 스프로켓(7)에 체인(8)이 감겨져서 제1지지부재(6)의 브래킷(6a)이 체인(8)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 인해, 모터(도시않음)로 스프로켓(7) 및 체인(8)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지지대(3)를 승강조작한다.
제2지지부재(17)의 좌우양단의 횡축심(P3)주위에 한 쌍의 유지아암(18)이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서 유지아암(18)의 상단에 옆으로 긴 스폰지부재(18a)가 장착되어 있고, 좌우의 유지아암(18)을 중앙의 지지대(3)측에 요동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19)이 설치되어 있다. 제1지지부재(6)에 모터(20)에 의해 제6도에 도시하는 상하자세와 제7도에 도시하는 좌우자세로 전환 조작되는 조작아암(21)이 구비되어 있고, 조작아암(21)의 양단과 좌우의 유지아암(18)의 하단이 연계링크(2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실시예 3]
다음에, 포장대(2)의 개구부(2a) 아래측에 배치된 판형상의 한 쌍의 제1협지부재(14)(협지부재에 상당) 및, 제2협지부재(16) (협지부재에 상당), 히터(9) 등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제1, 2,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2a)의 양측에 있어서의 포장대(2)의 아래측에, 환봉형상의 제1가이드레일(23)과 판형상의 제2가이드레일(24)이 배치되어 있고, 개구부(2a)의 한편측에 안내판(12)이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판(13)의 한 끝에 보스부(13a)가 고정되고, 보스부(13a)가 제1가이드레일(23)에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바깥끼움되어서, 지지판(13)의 반대측에 구비된 롤러(13b)가 제2가이드레일(24)에 얹혀져 있다. 이것에 의해 한쌍의 지지판(13)이 제1도 및 제2도의 지면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지지되며, 한 쌍의 지지판(13)의 각각에 히터(9)가 고정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28) (제1기구에 상당한다)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조작아암(28a)이 구비되어 있고, 한쪽의 지지판(13)의 보스부(13a)에 고정된 브래킷(25)과 조작아암(28a)이 연계로드(2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고정부의 세로축심(P4)주위에 천칭아암(27)이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서, 천칭아암(27)의 한끝의 롤러(27a)가 브래킷의 오목부에 삽입되어 있고, 천칭아암(27)의 다른 끝과 다른 쪽의 지지판(13)의 보스부(13a)에 걸쳐, 연계로드(29)가 연결되어 있다.
제1, 2,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13)에 지지된 롤러(13c)에 판형상의 제1협지부재(14)가 긴 구멍(14a)의 범위 내에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지지되고, 지지판(13)과, 제1협지부재(14)에 걸쳐서 한 쌍의 인장스프링(32)(제2기구에 상당한다)이 접속되어 있다. 제1협지부재(14)에 하향으로 고정된 한 쌍의 지지핀(14b)에, 판형상의 제2협지부재(16)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제1기구 및 제2기구는 모터(28)에 의해 구동력을 얻고, 그 회전운동을 협지부재(14, 16) 및 지지판(13) (또는 히터 9)의 직선 방향의 운동(또는 편위)으로 변환하기 위한 모든 부재를 그 구성요소로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1기구는 제1협지부재(14) (또는 재2협지부재 16)의 포장장치에 대한 수평방향에의 편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모터(28)로부터 협지부재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부재를 그 구성요소로 한다. 또한 제2기구는 지지판(13) (또는 히터 9)의 상기 협지부재(14, 16)에 대한 상대위치를 출현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며, 상기 긴 구멍(14a), 지지판(13)에 지지된 롤러(13c), 한 쌍의 인장스프링(3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기구 및 상기 제2기구는 후술하는 제어장치(제15돔)의 제1제어수단 및 제2제어수단에 의해 조작된다.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판(12)과는 반대측의 지지판(13)아래측에 지지판(13)의 슬라이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한 쌍의 협지아암(30)을 구비하고 있다. 협지아암(30)은 지지판(13)의 아래측에 있어서 고정부의 세로축심(P2)주위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서 긴 구멍(30a)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판(13)의 뒷면에 설치된 한 쌍의 롤러(13d)가 긴 구멍(30a)에 삽입되고, 협지아암(30)이 하향으로 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가이드판(10)이 양쪽의 롤러(13d)에 걸쳐서 가설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제2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아암(28a)이 제1제어수단에 의해 180° 회전 구동되면 지면우측의 지지판(13)이 지면좌측으로 슬라이드 조작되어 가고 , 이 지지판(13)과 함께 제1 및 제2협지부재(14, 16)도 지면좌측으로 슬라이드 조작되어 간다. 이 동작에 연동하여 천칭아암(27)이 시계방향으로 요동하고, 연계로드(29)가 지면우측으로 당김조작되어서 지면좌측의 지지판(13), 제1 및 제2협지부재(14, 16)가 지면우측으로 슬라이드 조작된다.
이상과 같이하여 제2도의 지면우측의 지지판(13)이 지면좌측으로 슬라이드 조작되면, 이 지지판(13)의 롤러(13d)진행에 연동하여 지면 상하로 열려 있던 한 쌍의 협지아암(30)이 서로 접근하도록 요동조작된다. 이와 같이 조작아암(28a)이 제1제어수단에 의해 180°회전구동되면, 제1 및 제2협지부재(14, 16), 협지아암(30)에 의해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이 죄여져서 끼워 넣어진다.
[실시예 4]
다음의 포장용으로서 롤형상으로 감긴 포장시트(1)로부터 포장시트(1)를 자동적으로 인출하는 인출기구(35)에 대해 설명한다.
제5(a),(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대(2) 좌우의 가이드레일(2b)에 따라, 한 쌍의 지지판(36)이 롤러(36a)에 의해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지지판(36)에 걸쳐 1개의 지지축(37)이 가설되고, 지지축(37)에 5개의 조작아암(38)이 각각 독립적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바깥끼움되어 있다. 좌우의 지지판(36)의 상단에 걸쳐 천장판(39)가 가설 연결되어서, 각각의 유지아암(38)을 천장판(39)으로의 요동측에 가압하는 스프링(40)이 구비되어 인출기구(35)가 구성되어 있다.
지지축(37)은 지지판(36)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지지축(37)의 좌우에 한 쌍의 아암(37a) 이 고정되어, 좌우의 아암(37a)에 걸쳐 1개의 로드(37b)가 가설 고정되어 있다. 한쪽의 지지판(36)의 롤러(36a)의 지지축에 요동이 자유롭게 부채형 기어(41)가 지지되고, 부채형 기어(41)와 한쪽의 아암(37a)에 걸쳐 링크(42)가 가설되어 있고, 부채형 기어(41)를 요동 구동하는 모터(43)가 설치되어 있다.
제5(a)도에 도시한 상태는 모터(43)를 구동하여 로드(37b)를 밀어 올려서 각각의 유지아암(38)을 천장판(39)으로부터 끌어내리고 있는 상태이며,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43)를 반대로 구동하여 로드(37b)를 끌어내리면, 스프링(40)의 가압력으로 각 유지아암(38)이 천장판(39)측에 상승하여 포장시트(1)의 끝부를 협지한다.
제5(a),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대(2)의 한쪽의 끝부에 1개의 구동축(44)이 배치되며, 구동축(44)의 양끝에 한 쌍의 구동 스프로켓(45)이 고정되어 있고, 구동축(44)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46)가 구비되어 있다. 포장대(2)가 반대측의 끝부에 1개의 종동축(47)이 배치되고, 종동축(47)의 양끝에 종동 스프로켓(48)이 고정되어 있다. 좌우의 구동 스프로켓(45) 및 종동 스프로켓(48)에 걸쳐 좌우한 쌍의 체인(49)이 감겨져서, 좌우의 체인(49)이 인출기구(35)의 좌우지지판(36)에 연결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모터(46)로 구동 스프로켓(45)을 정역으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인출기구(35)를 포장대(2)의 가이드레일(2b)에 따라 이동시킨다.
[실시예 5]
다음에, 이 포장장치에 있어서의 전체의 흐름에 대하여 제12도 및 제13도에 의해 설명한다.
[실시예 5-1]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길이로 절단된 한 장의 포장시트(1)가 포장대(2)에 얹혀진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가 손으로 피포장물(A)을 포장대(2)의 개구부(2a)에 떨어뜨려 넣고,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포장물(A)을 포장시트(1)에 어느 정도 포장하면서 지지대(3)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작업자는 제14도에 도시한 좌우의 기동 스위치(50)(제14도)를 양손으로 동시에 가압조작한다 (스텝S1).
이에 의해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3)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유지아암(18)이 피포장물(A) 측으로 요동 조작되고, 유지아암(18)에 의해 피포장물(A)이 지지대(3)에 유지되어서 (스텝 S2), 지지대(3)의 하강조작이 개시되며(스텝 S3), 타이머(도시않음)가 설정시간(T1)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스텝 S4).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협지부재(14)의 윗측에 발광기 및 수광기로 구성된 광센서(31)가 배치되어서, 발광기의 검출광이 포장대(2)의 개구부(2a)의 바로 밑을 통과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타이머에 의한 설정시간 (T1)의 카운트 종료 후에 (스텝 S5), 광센서(31)의 수광기가 발광기로부터의 검출광을 수광하면 (스텝 S6), 지지대(3)가 그 위치에서 정지 조작된다(제7도에 도시한 위치 참조) (스텝 S7).
이 경우 고무판 형상의 복수의 보조 싸매는 부재(11)가 개구부(2a) 아래 측에 피포장물(A)을 에워싸도록 설치되어 있고, 지지대(3)의 하강조작에 따라 보조 싸매는 부재(11)에 의해 포장시트(1)가 양호하게 죄여진다.
[실시예 5-2]
이상과 같이 하여 지지대(3)가 제7도에 도시하는 위치에서 정지하면, 한 쌍의 지지아암(18)이 약간만 개방 조작되고 (스텝 S8), 제 1, 2, 4도로부터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판(13)이 지지대(3)측에 슬라이드 조작된다 (스텝 S9).
이 경우, 제4도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 지지판(13) 및 히터(9), 제 1 및 제2협지부재(14, 16)는 퇴피위치에 위치해 있고, 이 퇴피위치에 있어서 인장스프링(32) 및 지지판(13)의 롤러(13c)에 의해, 히터(9)의 선단보다도 지지대(3) 측에 제1협지부재(14)의 선단이 위치하고, 제1협지부재(14)의 선단보다도 지지대(3)측에 제2협지부재(16)의 선단이 위치하고 있다.
이상의 상태에서 제2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28)에 의해 지지판(13)이 지지대(3)측에 슬라이드 조작되면,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아래 측의 제2협지부재(16) 및 협지아암(30)이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을 끼워 넣는다.
제1 및 제2협지부재(14, 16)는 지지핀(14b)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제2협지부재(16)의 선단보다도 제1협지부재(14)의 선단이 후퇴하고 있으므로, 아래 측의 제2협지부재(16)가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을 끼워 넣어서 정지한 경우,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측의 제1협지부재(14)는 포장시트의 윗측부분(1a)으로부터 약간만 떨어져서, 이 윗측부분(1a)을 가볍게 끼워 넣는 상태로 된다. 여기서, 제1협지부재(14) 및 제2협지부재(16)가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을 끼워 넣는 상태를 제1 및 제2협지부재(14, 16)의 끼워 넣기 위치 또는 협지위치라 칭한다. 이와 같이 하여 포장시트(1)에 피포장물(A)이 포장된다. 또한, 이와 같이 제1 및 제2협지부재(14, 16)의 작동은 제1제어수단에 의해 실행된다.
다음에, 제8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지지판(13)이 다시 지지대(3)측에 슬라이드 조작되면,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32)이 당겨 늘여져서, 제1 및 제2협지부재(14, 16)가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의 끼워넣기측에 강하게 가압조작되면서, 지지판(13)에 고정된 히터(9)가, 제1 및 제2협지부재(14, 16)간에 있어서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을 끼워 넣는다 (히터 (9)의 끼워넣기위치 또는 제1위치에 상당). 이와 같이 상기 제1제어수단에 의해 제1협지부재(14) 및 제2협지부재(16)의 협지위치으로의 이송조작, 다시 히터(9)의 제1위치으로의 이송조작이 실행된다.
제1 및 제2협지부재(14, 16), 협지아암(30)으로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을 끼워 넣는 경우,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워 넣기에 수반하여 포장시트(1)가 전체적으로 윗쪽으로 인상되고, 피포장물(A) 자체도 포장시트(1)와 함께 인상되어서 부상하고, 포장시트(1)에 의해 피포장물(A)이 죄여지는 상태로 되어서, 포장시트(1)의 주름이 전체적으로 늘여져서 아름다운 포장이 기대된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유지아암(18)을 약간 개방조작하고 (스텝 S8), 유지아암(18)의 스폰지부재(18a)를 피포장물(A) 및 포장시트(1)로부터 이격한 상태로, 제1 및 제2협지부재(14, 16), 협지아암(30)을 끼워넣기위치로 진행시키면 포장시트(1) 및 피포장물(A)의 인상이 유지아암(18)의 스폰지부재(18a)로 방해받는일이 없고, 유지아암(18)의 스폰지부재(18a)와 피포장물(A)이 마찰되지 않으므로 피포장물(A)이 손상되는 일도 없다.
[실시예 5-3]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의 끼워 넣기에 따라, 피포장물(A)이 지지대(3)로부터 부상하면, 지지대(3)가 약간만 상승 조작되어서, 피포장물(A)이 제2협지부재(16) 및 협지아암(30)의 뒷면에 가볍게 가압된다 (스텝 S10). 다음에 히터(9)에 의해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이 가열되어 윗측부분(1a)이 용착되며, 용착부분에서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이 분리되기 쉬운 상태로 된다 (스텝 S11).
제9도에 도시한 상태로 히터(9)에 의한 가열이 종료되면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13) 및 히터(9)가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으로부터 약간만 이격조작되어서 정지한다 (스텝 S12). 이 경우, 제9도의 상태로 길게 늘려져 있던 인장스프링(32)이 제10도에 도시한 원 상태로 복귀할 뿐이며, 제1 및 제2협지부재(14, 16)에 의해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을 끼워 넣은 상태는 유지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협지부재(14, 16)에 의해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을 끼워 넣은 상태로, 히터를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으로부터 약간만 이격조작한 상태(히터(9)의 제2위치)가, 설정시간(T2)의 동안만 유지되며 (스텝 S12), 이 설정시간(T2) 동안에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에 있어서 히터(9)에 의해 가열된 부분이 냉각되어 용착이 충분한 것으로 된다. 그리고 상기한 설정시간(T2)을 예컨대 0초, 1초, 2초라고 하는 것처럼 복수단계로 임의로 설정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제어수단에 의해 히터(9)를 제2위치에 이송시킨 후에, 제1협지부재(14) 및 제2협지부재(16)를 설정시간(T2)동안, 협지위치에 유지된다.
이와 같이 제15(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제어수단과 제2제어수단에 의해 제1, 제2협지부재(14, 16) 및 히터(9)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신호가 제1기구(28) 및 제2기구(32)에 부여된다.
이상의 제10도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 제14도에 도시한 인출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인출기구(35)가 지면 좌측으로 이동하여 절단기구(34)의 협지위치에 도달하고, 인출기구(35)의 천장판(39) 및 유지아암(38)에 의해, 포장시트(1)의 끝부가 협지된다 (스텝 S17). 이 경우, 제5(a),(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출기구(35)의 좌우의 지지판(36)의 하부에 걸쳐 지지축(51)이 가설되고, 지지축(51)의 중앙에 제거판(52) (제거부재 또는 제거기구에 상당)가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협지부재(14, 16)에 의해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을 끼워 넣고, 히터(9)를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으로부터 약간만 이격조작한 상태로 정지하고 있는 설정시간(T2)동안에, 인출기구(35)가 절단기구(34)의 협지위치측에 이동하면, 인출기구(35)의 제거판(52)이 제1협지부재(14)의 윗면에 따라 이동하고, 제거판(52)에 의해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이 피포장물(A)로부터 제거되어서 절단기구(34)측으로 운반된다.
이 경우, 포장시트(1)의 용착부분의 상하를 제1 및 제2협지부재(14, 16)에 의해 끼워 넣어서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이 제거되어도 용착부분이 파열되는 일은 없다.
스텝(S12)에 있어서의 설정시간(T2)이 경과하면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13) 및 히터(9), 제1 및 제2협지부재(14, 16)가 퇴피위치로 슬라이드 조작된다 (스텝 S13). 다음에, 유지아암(18)이 원위치까지 좌우로 개방 조작되고 (스텝 S14), 지지대(3)가 더욱 하강 조작되어 횡쓰러짐 조작되며, 피포장물(A)이 미끄럼대(15) (제14도 참조)로 방출되어서 회수된다 (스텝 S15). 이상과 같이 하여 하나의 피포장물(A)의 포장이 완료되며, 이 이후에 지지대(3)가 다시 제6도에 도시하는 원위치까지 상승 조작되어서 정지한다 (스텝 S16).
[실시예 5-4]
이상의 스텝(S12-S16)에 있어서 피포장물(A)의 포장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상기와 같이 인출기구(35)가 제14도에 도시한 인출위치로부터 절단기구(34)의 협지위치에 이동하고 (이 사이에,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을 제거한다), 제5(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형상의 포장시트(1)의 끝부를 협지하고 (스텝 S17),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차 인출기구(35)가 제14도의 지면우측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여, 포장시트(1)의 인출조작이 개시된다 (스텝 S18).
인출기구(35)가 협지위치에 도달하여 롤형상의 포장시트(1)의 끝부를 협지했을 때, 인출기구(35)의 제거판(52)에 타고 있는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의 하단이 제1협지부재(14)의 끝부에 당겨 걸리게 되므로, 인출기구(35)가 협지위치로부터 제14도의 지면우측 쪽으로 이동하면,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으로부터 인출기구(35)의 제거판(52)이 당겨 이격되어서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은 제1협지부재(14)의 끝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떨어진다.
포장시트(1)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마크(1b)가 인쇄되어 있고, 인출기구(35)에 의해 포장시트(1)가 소정길이 인출되면,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시트(1)에 인쇄되어 있는 마크(1b)도 인출되고, 광센서(53)에 의해 마크(1b)가 검출되어서 인출기구(35)가 일시 정지하며 (스텝 S19), 이 상태로 절단기구(34)에 의해 포장시트(1)가 절단된다 (스텝 S20).
이상과 같이 하여 포장시트(1)가 소정길이로 절단되면, 인출기구(35)가 재차 제14도의 지면우측 쪽으로 이동을 시작하고, 소정길이로 절단된 포장시트(1)를 지면우측 쪽으로 이동시키며,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길이로 절단된 포장시트(1)의 중앙이 포장대(2)의 개구부(2a)에 도달하면, 인출기구(35)가 이 인출위치에서 정지하고, 인출기구(35)의 천장판(39) 및 유지아암(38)으로부터 포장시트의 끝부가 이격된다 (스텝 S21). 이에 의해, 소정길이로 절단된 한 장의 포장시트(1)가 포장대(2)에 얹혀진다.
이상과 같이, 스텝(S12-S16)에 있어서 피포장물(A)의 포장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이것과 병행하여 다음 포장용의 포장시트(1)의 인출, 소정길이에서의 절단 및 포장대(2)에의 적재를 행한다. 이에 의해, 스텝(S16)에 있어서 빈 지지대(3)가 원위치까지 상승조작 되었을 때, 이미 다음 포장용의 포장시트(1)가 포장대(2)에 얹혀져 있다고 하는 상태로 되므로, 1회의 포장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1)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제4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9)의 윗측에 한 쌍의 제1협지부재(14), 아래측에 한 쌍의 제2협지부재(16)를 구비하고 있으나, 윗측의 제1협지부재(14)를 폐지하여 히터(9)의 아래측에만 한 쌍의 제2협지부재(16) ( 및 협지아암 30)을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무방하다.
2)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제5 (a),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시트(1)를 자동적으로 인출하는 인출기구(35) 및 절단기구(34)를 구비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인출기구(35) 및 절단기구(34)를 폐지하여, 소정길이로 절단된 포장시트(1)를 다수 겹쳐 쌓은 상태로 포장대(2)옆에 놓아두고, 작업자가 포장시트(1)를 한 장씩 끄집어내어 포장대(2)에 두고가도록 구성해도 무방하다.
3)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장장치는 제15(a)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장치(제어수단)를 구비하고, 이 제어장치는 제1협지부재 및 제2협지부재의 작동 상태와 그것과 연계 조작되는 히터의 작동을 조작하는 제1제어수단 및 제2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이들 제1제어수단 및 제2제어수단에 더하여 제1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제어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제3제어수단에 의해 모터(46)의 작동, 모터(43)의 작동, 절단기구(34)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협지부재(14), 제2협지부재(16) 및 히터(9)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제어수단 및 제2제어수단과 연동하여, 모터(46)의 작동을 제어하고, 제거기구(52)를 적절한 타이밍으로 포장시트의 상부(1a)에 맞닿도록 작동하고, 그 후, 롤형상의 포장시트(1) 끝부를 협지하는 위치까지 인출기구(35)를 이송시켜서, 그 협지위치에 있어서, 인출기구(35)가 포장시트(1)의 끝부를 협지하도록 모터(43)를 작동시키고, 그 후, 인출기구를 제14도에 도시한 인출위치까지 이송되도록 모터(46)를 작동시키고, 그 인출위치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로 인출된 포장시트를 절단하도록 절단기구(34)를 작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어장치에 제1제어수단 및 제2제어수단에 더하여, 다시 제3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이들을 적절하게 연대 조작하도록 조정함으로써 작업자는 피포장물(A)을 소정의 개구부(2a)에 떨어뜨리는 조작을 하는 것만으로, 나중에는 자동조작단추(50)를 누름으로써, 제12도 및 제13도로 도시한 포장수순을 모두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4) 또한, 상기한 자동포장의 조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협지부재(14, 16), 히터(9), 모터(46), 모터(43), 절단기구(34)의 각각에 그 작동상태 또는 그 상대위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 (제15(a)도, 제15(b)도의 14S, 9S, 46S, 43S, 34S)를 설치하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 주지의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피한다.
5) 또한, 상기한 제12도 및 제13도에 의거한 과정에 있어서, 상단부가 용융절단되어 제거된 후의 피포장물(A)을 포위한 포장시트(1)의 용착부(1b)가 냉각되어서 경화된다.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되어서 경화된 용착부(1b)는, 나중에 피포장물(A)이 복수개 수납되는 케이스에 포장될 때에, 용착부(1b)가 그 윗쪽에 배치되는 피포장물(A)을 덮는 포장시트(1)의 아래면에 손상을 입힌다고 하는 위험성이 있다. 이 위험성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상기 용착부(1b)가 윗쪽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즉 횡방향으로 조금이라도 경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용착부(1b)가 횡방향으로 경사 되고, 윗쪽으로 예리한 돌출끝부를 향하게 하지 않도록 이하의 개량이 가능하다.
그 하나의 방법으로서는, 제10도의 상태에 있어서 히터(9)가 포장시트의 윗측부분으로부터 이간된 후에, 제2협지부재(16)의 협지상태를 유지하면서, 협지기구전체를 도면에서 좌우방향의 어느 한쪽으로 약간 이동하도록 과정을 설정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협지기구가 미소량 이동함으로써, 제16(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협지부재(16)에 협지된 피포장물(1)의 용착부(1b)를 횡방향으로 경사된 상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6(b)도에 이 추가과정을 경유하여 포장된 피포장물의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시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1도로 도시한 과정 직후에, 피포장물(A)의 용착부(1b)를 윗쪽으로부터 가압하는 가압기구(80)를 설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기구(8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탄성부재(81), 수평면내에서 회동가능한 아암부재(82), 상기 탄성부재(81)의 구동기구(84), 상기 아암부재(82)의 구동기구(83) 및 상기 구동기구(84) 및 상기 구동기구(83)의 작동타이밍을 제어하는 부제어장치(85)에 의해 구성된다. 여기서 부제어장치(85)는, 상기 실시예의 제어장치와 연동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부제어장치(85)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81)를 가압하는 타이밍에 관해서는, 상기 협지기구가 이간하는 타이밍과 연동하도록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있다. 단, 여기서는 부제어장치의 제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의 항에 도면과의 대조를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부호를 기입하나, 이 기입에 의해 본 발명은 첨부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7)

  1. 포장시트(1) 얹어놓기용으로, 또한 피포장물(A)이 통과 가능한 개구부(2a)가 형성된 포장대(2)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2a)를 통과하여 피포장물을 떨어뜨려 넣으면, 이 개구부(2a)의 가장자리에서 포장시트(1)가 죄여져서 피포장물(A)이 포장시트(1)에 싸여지도록 구성하고, 아래쪽으로 낙하하는 상기 피포장물(A)을 하측으로부터 유지하는 지지대(3), 상기 지지대(3)에 유지된 상기 피포장물(A)의 외주를 포위하는 상기 포장시트의 윗측부분(1a)을 협지가능한 협지기구(14, 16), 상기 지지대(3)상의 피포장물(A)에 있어서의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을 횡방향으로부터 끼워 넣고, 가열하여 용착시켜서 봉함하는 한 쌍의 히터(9), 상기 협지기구(14, 16)와 상기 한 쌍의 히터(9)를 구동시키는 구동기구, 상기 구동기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기구가 상기 협지기구(14, 16)를 상기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을 협지하는 협지위치와 상기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으로부터 이간하는 퇴피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제1기구(26, 27, 28), 상기 한 쌍의 히터(9)를 상기 협지기구(14, 1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으로 접근하는 제1위치 및 상기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으로부터 이간하는 제2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운동을 허용하는 제2기구(13c, 14a, 32)를 구비하는 포장장치에서 있어서, 상기 협지기구(14, 16)는 상기 한 쌍의 히터(9)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협지기구(14, 16)가 상기 퇴피위치에서 상기 협지위치로 이동할 때에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에 대해 맞닿고 이것을 상기 횡방향으로부터 가깝게 함과 동시에 상기 횡방향과는 수직방향으로부터 가깝게 하기 위한 에지부분을 갖는 제1협지부재(14), 상기 한 쌍의 히터(9)의 하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협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포장시트(1)를 맞닿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협지부재(14)와 일체로 이동하는 제2협지부재(16)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피포장물(A)이 상기 포장시트(1)에 싸여지고, 상기 지지대(1)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재(16)가 상기 퇴피위치로부터 상기 협지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히터(9)가 상기 제1위치 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기구를 조작하고, 그후, 상기 협지부재(16)를 상기 협지위치에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히터(9)를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켜 여기서 설정시간동안 정지한 후, 상기 협지부재(16)를 퇴피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기구를 작동시키고, 또한 상기 포장대(2)의 횡측부에 배치된 롤형상의 상기 포장시트(1)를 인출하는 인출기구(35)에 구비하여, 상기 히터(9)에 의해 용단된 포장시트(1)의 윗측부분(1a)을, 상기 인출기구(35)의 이동과 함께 제거하는 제거부재(5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기구(14, 16)를 설정시간(T2) 동안, 상기 협지위치에서 유지하고 있는 사이에 상기 포장시트의 윗측부분을 제거하는 제거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기구(14, 16)가 상기 협지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히터(9)를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 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기구를 상기 제어수단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대(2)의 횡측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롤형상의 포장시트(1)의 끝부를 협지하는 협지위치 및 상기 롤형상의 포장시트(1)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포장대(2)에 소정길이만 인출하는 인출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인출기구(35)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거부재는 상기 인출기구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저부재(52)는, 상기 인출기구(35)를 상기 인출위치로부터 상기 협지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히터(9)에 의해 용착된 상기 포장시트의 윗측부분(1a)과 맞닿고, 상기 윗측부분을(1a)을 운반해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시간은 임의로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히터(9)의 아래에 위치하는 협재부재(16) 및 상기 히터(9)의 위에 위치하는 협지부재(14)는 각각 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KR1019960000784A 1995-02-28 1996-01-17 포장장치 KR100222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039554A JPH08230811A (ja) 1995-02-28 1995-02-28 包装装置
JP95-39554 1995-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286A KR960031286A (ko) 1996-09-17
KR100222371B1 true KR100222371B1 (ko) 1999-10-01

Family

ID=12556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0784A KR100222371B1 (ko) 1995-02-28 1996-01-17 포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8230811A (ko)
KR (1) KR1002223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6745B (zh) * 2020-06-18 2022-03-22 长沙师范学院 一种用于包装的智能自动化包装机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230811A (ja) 1996-09-10
KR960031286A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3841A (en) Unwrapping apparatus for stretch-wrapped load and shrink-wrapped load
AU2003230223C1 (en) Device and process for packaging products in a stretchableplastic film
EP0294339A2 (en) A machine for packaging plural types of articles within a stretchable plastic film
JP2008007116A (ja) パック詰め品の包装装置
EP2501618B1 (en) Machine for the automatic packaging of loose products or products placed in trays, with a usually heat-weldable stretch film
KR100222371B1 (ko) 포장장치
US4662149A (en) Table-top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sealing packages
JP3115983B2 (ja) 包装装置
US3546836A (en) Process and equipment for packaging articles
JP3648691B2 (ja) 自動包装機のシール搬出装置
KR20000029482A (ko) 포장장치에있어서필름접어넣기장치
JP3158021B2 (ja) 包装装置
JP3081415B2 (ja) 包装装置
CN114056634B (zh) 一种保鲜膜包装机托盒顶部覆膜装置
JP2707201B2 (ja) 胴巻包装物品の移送装置
JP2667612B2 (ja) 包装装置
JP2660382B2 (ja) フィルム開口端折曲げ装置
JPH07215305A (ja) ストレッチ包装機
JP3976636B2 (ja) 包装装置
JP3742988B2 (ja) 上包み包装方法および装置
JPH09118318A (ja) 包装装置
JP2001294210A (ja) トップシール式包装装置、及びトップシール式包装方法
JP2560583Y2 (ja) 包装装置
JP3431212B2 (ja) 包装装置
JPH0597106A (ja) 球状物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