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2303B1 - 사진현상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사진현상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303B1
KR100222303B1 KR1019950033175A KR19950033175A KR100222303B1 KR 100222303 B1 KR100222303 B1 KR 100222303B1 KR 1019950033175 A KR1019950033175 A KR 1019950033175A KR 19950033175 A KR19950033175 A KR 19950033175A KR 100222303 B1 KR100222303 B1 KR 100222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eet
rotating
sheet paper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3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5071A (ko
Inventor
카즈노부 시마
유지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니시모토 칸이치
노리츠 고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모토 칸이치, 노리츠 고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모토 칸이치
Publication of KR960015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3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3/00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 G03D3/08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having progressive mechanical movement of exposed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13/00Processing apparatu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covered by groups G11B3/00 - G11B11/00
    • G03D13/003Film feed or extraction in development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52Details
    • G03B27/58Baseboards, masking frames, or other holders for the sensitive material
    • G03B27/585Handling cut photosensitive she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13/00Processing apparatu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covered by groups G11B3/00 - G11B11/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 Photographic Processing Devices Using Wet Methods (AREA)
  • Projection-Type Copiers In General (AREA)

Abstract

소부처리능력 및 현상처리능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장치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가 있는 사진현상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매거진에서 인출되는 로울상 페이퍼를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고, 이 절단된 시-트페이퍼를 소부처리부에서 소부하여 현사처리부에서 현사처리하는 사진현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소부처리부에서 현사처리부에 시-트페이퍼를 반송하는 반송로의 도중에, 방향전환수단을 배열설치하고, 이 방향전환수단은 소부처리부에서 보내진 시-트페이퍼를 수평면내에서 회전시켜서 70도에서 110도까지의 범위 또는 250도에서 290도까지의 범위에서 시-트페이퍼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진현상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진현상처리장치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개략도.
제2도는 시-트페이퍼(sheet paper)의 반송방향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3도는 시-트페이퍼의 반송방향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4도는 시-트페이퍼의 반송방향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5도는 실시예 1의 방향전환수단(方向轉換手段)의 개략도.
제6도는 동실시예의 방향전환수단의 정면도.
제7도는 동실시예의 방향전환수단의 전동기구를 나타내는 그림.
제8도는 동실시예의 방향전환수단의 분해사시도.
제9도는 동실시예의 방향전환수단의 제어수단을 나타내는 블록그림.
제10도는 동실시예의 방향전환수단의 동작설명도.
제11도는 동실시예의 방향전환수단의 동작설명도.
제12도는 동실시예의 방향전환수단의 동작설명도.
제13도는 동실시예의 방향전환수단의 동작설명도.
제14도는 동실시예의 방향전환수단의 제어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그림.
제15도는 본 발명의 사진현상처리장치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16도는 동실시예의 방향전환수단의 정면도.
제17도는 동실시예의 방향전환수단의 동작설명도.
제18도는 동실시예의 방향전환수단의 동작설명도.
제19도는 동실시예의 방향전환수단의 동작설명도.
제20도는 동실시예의 방향전환수단의 동작설명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사진현상처리장치의 실시예 3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22도는 동실시예의 방향전환수단의 동작설명도.
제23도는 동실시예의 방향전환수단의 동작설명도.
제24도는 동실시예의 방향전환수단의 동작설명도.
제25도는 본 발명의 사진현상처리장치의 실시예 4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26도는 동실시예의 방향전환수단의 상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27도는 동실시예의 방향전환수단의 정면도.
제28도는 시-트페이퍼의 회전각도의 범위를 나타내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로울상(狀) 페이퍼 (인화지) 3 : 소부처리부(燒付處理部)
4 : 현상처리부(現象處理部) 5 : 반송부(搬送部)
6 : 방향전환수단(方向轉換手段)
본 발명은 사진현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부처리한 시-트페이퍼를 반송방향에 대해 방향전환시켜서 현상처리부에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진현상처리장치에 있어서 현상처리하는 경우, 소부처리부에서 소부된 시-트페이퍼의 짧은 변방향(短邊方向)을 방송방향으로 하여 현상처리부에 공급하는 편이 현상처리능력이 향상된다.
그러나, 파노라마 사이즈의 시-트페이퍼의 경우, 짧은 변방향을 방송방향으로 하여 현상처리부에 공급하는 경우에는, 현상처리부에 있어서 장치의 폭이 대단히 커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파노라마 사이즈의 시-트페이퍼에 대해서는, 소부처리부에서 시-트페이퍼를 교환하여 네가필름의 이송방향을 전환시켜서 소부처리하는 장치와, 네가필름을 방향전환시키지 않는 대신에 소부처리완료의 서비스 사이즈의 시-트페이퍼를 소부처리부에서 방향전환시켜서 현상처리부에 공급하는 장치가 제안됨에 이르렀다. 그 대표적인 예로서는 미국특허 제 5,307114호의 기술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전자의 장치에 있어서는, ① 파노라마 프린트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페이퍼교환등의 작업이 필요하므로 작업효율이 저하하고, ② 또한, 파노라마혼재(混再) 네가필름을 자동처리하므로, 여러종류의 페이퍼 자동교환기구와 필름회전기구가 필요케 되고, 장치가 복잡하여 가격이 상승하고, ③ 더욱이, 네가필름의 회전처리중에는 소부부에 위치되어 있는 시-트의 소부 및 방향전환이 끝날 때까지는 다음의 소부처리를 할 수 없으므로 소부처리능력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후자의 장치에 있어서는, 시-트페이퍼의 회전완료까지는 다음의 시-트페이퍼의 소부처리를 할 수 없으므로, 소부처리능력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되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점은 소부처리능력 및 현상처리능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장치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는 사진현상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청구항 1의 사진현상처리장치는, 매거진(또는 카트리지)에서 인출된 로울상 페이퍼를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고, 이 절단된 시-트페이퍼를 소부처리부에서 소부하여 현상처리부에서 현상처리하는 사진현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소부처리부에서 현상처리부에 시-트페이퍼를 반송하는 반송로 도중에, 방향전환수단을 배열설치하고, 이 방향전환수단은 소부처리부로부터 내보내진 시-트페이퍼를 회전시켜 70도에서 110도까지의 범위 또는 250도에서 290도까지의 범위에서 시-트페이퍼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의 사진현상처리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한 사진현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시-트페이퍼의 사이즈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방향전환수단을 작동시킬지 어떨지의 판단을 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3의 사진현상처리장치는, 청구항 2에 기재한 사진현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시-트페이퍼가 파노라마 사이즈의 경우는, 상기 방향전환수단을 작동시키지 않고 시-트페이퍼의 긴 변방향을 방송방향으로 한 채로 반송하도록 상기 방향전환수단을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4의 사진현상처리장치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한 사진현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시-트페이퍼의 치수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이 검출부에서 출력된 검출신호를 판정하여 방향전환수단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판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5의 사진현상처리장치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한 사진현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로울상 페이퍼의 절단치수지령신호를 치수정보로써 기억하는 기억부와, 이 기억부에서 출력되는 치수정보를 판정하여 방향전환수단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판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6의 사진현상처리장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기재한 사진현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수단은, 시-트페이퍼를 압착협지(壓着挾持)하는 상하 한쌍의 회전반과, 이 상하 한쌍의 회전반을 회전시켜서 시-트페이퍼의 방향을 바꾸는 회전수단과, 회전중에는 반송수단을 해제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7의 사진현상처리장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기재한 사진현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수단은, 시-트페이퍼를 흡인하는 흡인수단과, 이 흡인수단을 회전시켜서 시-트페이퍼의 방향을 바꾸는 회전수단과 이 흡인수단 및 회전수단과 아울러 시-트페이퍼를 반송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8의 사진현상처리장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기재한 사진현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수단은, 시-트페이퍼를 반송하는 상하 한쌍의 구동 및 압착롤-러와, 이 상하 한쌍의 구동 및 압착롤-러를 회전시켜서 시-트페이퍼의 방향을 바꾸는 회전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사진현상처리장치에 의하면, 우선, 매거진에서 인출된 로울상 페이퍼를 원하는 길이로 절단한 후, 시-트페이퍼를 소부처리부에서 소부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소부완료의 시-트페이퍼중에서 서비스사이즈에 대해서는, 시-트페이퍼를 회전시켜서 시트페이퍼의 방향을 70도에서 110도까지의 범위 또는 250도에서 290도까지의 범위에서 전환한다.
이에 따라, 페이퍼 반송방향에 대해 시트페이퍼가 기울어 시-트페이퍼의 선단에서 후단까지의 길이가 시-트페이퍼의 긴 변방향보다도 짧게 된 상태에서 현상처리부로 반송한다.
한편, 소부완료의 시-트페이퍼중에서 파노라마 사이즈에 대해서는, 방향전환수단을 작동시키지 않고 시-트페이퍼의 긴 변방향을 반송방향으로 한 채로 현상처리부로 공급하여 현상처리를 행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제1도는 사진현상처리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으로, 로울상 페이퍼(인화지)를 수납한 카트리지 2과, 소부처리부 3과, 현상처리부 4와, 소부처리부 3와 현상처리부 4 사이의 반송로 5의 도중에 배열설치되는 방향전환수단 6을 구비되어 있다.
매거진 2에서 인출되는 로울상 페이퍼 1는, 소부처리부 3에 반입되기 전에 원하는 사이즈로 절단되고, 이 절단된 시-트페이퍼 1A의 긴 변 방향을 반입 방향으로 하여 소부처리부 3로 반입된다.
시-트페이퍼 1A에는 서비스사이즈와 파노라마사이즈가 있고, 서비스사이즈의 시-트페이퍼 1A의 경우에는, 예를들어 로울상 페이퍼 P의 폭이 120, 127, 152라고 하면, 각각 82, 89, 102의 길이치수로 절단되고, 로울상 페이퍼 1의 폭이 82, 89, 102라고 하면, 각각 120, 127, 152의 길이치수로 절단된다. 또한 파노라마사이즈의 시-트페이퍼 1A의 경우에는, 예를들어 로울상 페이퍼 1의 폭이 89, 102, 127라고 하면, 각각 254, 305, 350의 길이치수로 절단된다.
방향전환수단 6은, 소부처리부 3에서 보내진 소부처리완료의 시-트페이퍼 1A를 90도 회전시켜서 시-트페이퍼 1A를 횡이송의 상태로 현상처리부 4에 공급하는 것이고, 방향전환수단 6은, 상하 한쌍의 회전반 61, 62과 이 상하 한쌍의 회전반 61, 62을 회전시켜서 시-트페이퍼 1A의 방향을 바꾸는 회전수단 63으로 이루어진다(제5도제7도).
방향전환수단 6은, 후술하는 제어수단 7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다.
방향전환수단 6에는 시-트페이퍼 1A를 소부처리부 3로부터 수취하기 위한 구동롤-러 8b와 압착롤-러 8a로 구성되는 롤-러 한쌍 8과, 시트페이퍼 1A를 현상처리부 4에 공급하기 위한 구동롤-러 9b와 압착롤-러 9a로 구성되는 롤-러한쌍 9이 구비되어 있다(제5도 및 제6도).
회전반 61, 62은 반송로 5를 사이에 두고 대치하여 배치되어 있고, 회전반 62은 축받이로 지지된 회전축 62a에 설치되어 있고, 회전반 61은 회전수단 63의 조작축 63e의 하단에 취부되며, 회전반 61, 62의 각 회전중심은 동일 연직선상에 위치하고 있다(제6도).
회전수단 63은, 캠(cam)기구부(캠 63b, 63c, 63d)에 의해 조작축 63e을 승강 및 회전시킨다.
조작축 63e의 중간부로부터 양측방향에는 수평축 630e가 돌설되고, 이 수평축 630e의 선단에는 굴림대 631e가 설치되어 있다(제6도, 제8도).
조작축 63e의 굴림대 631e는 탄성체(도시생략)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부세(彈性府勢)되어 있다.
또한, 조작축 63e의 중간부에 조작판 632e이 부착되어 있다(제6도).
위치결정용 캠 63b은 링(ring)부 631b의 밑가장자리측에 둘레방향으로 90도의 간격으로 4개의 위치결정용 캠 63b을 설치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위치결정용 캠 63b은, 지지프레임(frame, 도시생락)에 고정되므로써 회전이 규제된다.
승강용 캠 63c은 링부 633c의 밑가장자리측에 둘레방향으로 180도의 간격으로 2개의 캠홈 630c을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 캠홈 630c은 가장 깊은 최심부 631c의 양측에 캠면 632c을 설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승강용 캠 63c의 링부 633c의 윗가장자리부분에는 홈을 낸 풀리(pulley) 634c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용 캠 63d은 링부 633d의 윗가장자리부분에 둘레방향으로 180도의 간격으로 2개의 캠홈 630d을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 캠홈 630d의 직경은 승강용 캠 63c의 링부 633의 직경과 같은 치수로 한다.
회전용 캠 63d의 캠홈 630d 중에서 회전방향의 뒤쪽에는 굴림대계지부(係止部) 631d가 형성되어 있고, 이 캠홈 630d의 폭치수는 승강용 캠 63c의 캠홈 630c의 폭칫수보다도 회전방향으로 30도 정도 길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회전용 캠 63d의 180도의 간격으로 2개의 캠홈 630c을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 캠홈 630c은 가장 깊은 최심부 631c의 양측에 캠면 632c을 설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승강용 캠 63c의 링부 633d의 밑가장자리부분에는 홈을 낸 풀리(pulley) 634d가 형성되어 있다.
63a는 롤-러해제용 캠이고, 조작축 63e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체 630a의 양측에 좌우방향으로 요동자재로 설치되어 있고, 롤-러해제용 캠 63a의 선단에는 압착롤-러 8b, 9b가 취부되고, 승강체 630a는 탄성체(도시생략)로 상방으로 탄성부세(彈性付勢) 되어 조작축 63e의 조작판 632e의 하면에 탄접(彈接)하고 있다.
그리고, 승강체 630a가 탄성부세에 의해 상승한 상태에서는, 캠 63a으로 압착롤-러 8b, 9b가 하강하여 압착롤-러 8b, 9b와 구동롤-러 8a, 9a로 시-트페이퍼 1A를 협지(挾持)한다.
한편, 조작축 63e의 조작판 632e에 의해 승강체 630a가 탄성부세에 대항하여 내려간 상태에서는, 롤-러해제용 캠 63a으로 압착롤-러 8b, 8b가 상승하여 시-트페이퍼 1A의 협지를 해제한다.
제7도는 캠 63c, 63d를 연동시키는 회전기구부를 나타내고, 이 회전기구브는 홈을 낸 풀리(pulley) 634c, 634d, 631i, 631f, 631g 및 이들 풀리 사이에 걸쳐놓여진 타이밍벨트 600a, 600b로 구성되며, 이 회전기구부 및 모-터 M에 의해 캠 63c, 63d를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회전용 캠 63d를 승강용 캠 63c의 3배의 속도로 회전시킨다.
또한 홈을 낸 풀리 631f, 631g 축받이(도시생략)로 지지되는 회전축 631h의 양 끝에 취부되어 있다.
제어수단 7은, 시-트페이퍼 1A의 칫를 검출하는 검출부 7A와, 이 검출부 7A에서 출력되는 검출신호를 판정하여 방향전환수단 6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판정부 7B로 구성되어 있다(제9도).
검출부 7A는, 시-트페이퍼 1A의 이송길이를 검출하여 회전을 결정하는 것이다. 즉,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페이퍼 1A의 선단을 페이퍼센서 S로 검출하고 나서 시-트페이퍼 1A의 후단을 검출할 때까지의 구동롤-러 8b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므로써 시-트페이퍼 1A의 이송길이를 환산하고, 긴 변방향 또는 짧은 변방향의 어느쪽이 반송방향인가를 판단한다.
그리고, 환산한 이송길이가 102이하라면, 제2도에 나타내는 서비스사이즈의 시-트페이퍼 1A이고, 또한 시-트페이퍼 1A의 짧은 변방향을 반송방향으로 하여 반송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방향전환수단 7에 의한 시-트페이퍼 1A의 방향전환을 행하지 않고 시-트페이퍼 1A를 현상처리부 4로 반송한다.
또한, 환산한 이송길이가 103이상 153이하라면, 제3도에 나타내는 서비스사이즈의 시-트페이퍼 1A이고, 또한 시-트페이퍼 1A의 긴 변방향을 반송방향으로 하여 반송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방향전환수단 6의 구동회로에 작동지령신호를 출력하고, 방향전환수단 6으로 시-트페이퍼 1A를 회전시켜서 90도 방향을 바꿈으로써, 시-트페이퍼 1A의 짧은 변방향을 반송방향으로 하여 현상처리부로 반송한다.
또한, 환산한 이송길이가 154이상이라면, 제4도에 나타내는 파노라마사이즈의 시-트페이퍼 1A라고 판단하고, 방향전환수단 7에 의한 시-트페이퍼 1A의 방향전환을 행하지 않고 시-트페이퍼 1A를 현상처리부 4로 반송한다.
또한, 제2도제4도 중의 화살표는, 소부처리부 3에서 반출되는 소부처리완료의 시-트페이퍼 1A의 반출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 방향전환수단 6에 의한 시-트페이퍼 1A의 회전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1) 우선, 소부처리완료의 시-트페이퍼 1A를 페이퍼센서 S로 검출하고, 제어수단 7의 검출부 7A에 의해 시-트페이퍼 1A의 방향전환을 결정한 경우에는, 구동롤-러 8b의 회전각도제어에 의하고, 시-트페이퍼 1A의 중심이 방향전환수단 6의 회전원반 61, 62의 회전중심과 일치하는 위치까지 시-트페이퍼 1A를 롤-러 한쌍 8, 9으로 반송한다.
(2) 제어수단 7의 검출부 7A에 의해 작동지령신호에 따라 모-터 M를 구동시키면, 승강캠 63c과 회전캠 63d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우선, 조작축 63e의 굴림대 631e가 캠 63c에 의해 아랫쪽으로 이동하고, 압축롤-러 8b, 9b에 의한 압축상태가 해제됨과 아울러, 회전원반 61이 강하하여 회전원반 61, 62으로 시-트페이퍼 1A를 압착협지한다(제11도).
또한, 제10도는 동작개시전의 캠 63b, 63c, 63d의 위치관게를 나타내고 있고, 회전캠 63d의 회전속도는 승강캠 63c의 회전속도의 3배인 것을 고려하여, 회전캠 63d은 승강캠 63c보다도 120도 정도 뒤쪽으로 비켜져 있다.
(3) 다음에, 굴림대 631e는 회전캠 63d의 캠홈 630d에서 계지된 상태로 회전캠 63d과 함께 회전한다(제12도).
이 때, 회전캠 63d은 승강캠 63c의 3배의 속도로 회전하므로, 회전캠 63d의 캠홈 630d은 승강캠 63c의 캠홈 630c을 앞지르고, 굴림대 631e는 승강캠 63c의 캠홈 630c의 최심부 631c보다도 먼저 인접하는 위치결정용 캠 63b의 위치결정홈 630b에 도달한다.
(4) 다음에, 승강캠 63c의 캠홈 630c의 최심부 631c가 굴림대 631e에 따라 붙으면, 굴림대 631e는 인접하는 위치결정용 캠 63b의 위치결정홈 630b에 꽉 끼워진다.
이와같이 회전반 61, 62는 90도 회전한 시점에서 위치결정되므로, 시-트페이퍼 1A의 방향을 90도 바꿀 수가 있다.
시-트페이퍼 1A의 방향이 90도 바뀐 후는 회전반 61이 상승하므로, 회전반 61, 62에 의한 시-트페이퍼 1A의 협지상태가 해제됨과 아울러, 시-트페이퍼 1A는 롤-러 한쌍 8, 9으로 압착협지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롤-러 8a, 9a를 구동시키면, 시-트페이퍼 1A는 횡이송의 상태에서 현상처리부 4에 공급된다.
제14도는 제어수단의 다른 에를 나타내고 있고, 로울상 페이퍼 1을 커터 71로 절단시키기 위한 절단치수지령신호를 치수정보로써 기억하는 기억부 72와, 이 기억부 72에서 순차출력되는 1화편(駒)마다의 치수정보를 판정하여 방향전환수단 6의 구동회로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판정부 7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절단치수지령신호는 로울상 감광재료의 폭이 선택신호와 로울상 감광재료의 절단 길이의 지정신호로 이루어지고, 스캐너 등의 치수지령부 74에서 출력된다.
[실시예 2]
사진소부장치는, 매거진, 소부처리부 및 현상처리부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이 채용되어 있고, 소부처리부와 현상처리부 사이의 반송경로중에 설치되는 방향전환수단 6은, 회전수단 63 이외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또한, 방향전환수단 6은, 실시예 1과 같은 상태로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된다.
제15도 및 제16도는 회전수단 63을 나타내고, 이 회전수단 63은 캠기구부(캠 63b, 63c)에 의해 조작축 63e을 승강 및 회전시킨다.
위치결정용 캠 63b는, 링부 631b의 밑가장자리측에 둘레방향으로 90도의 간격에서 4개의 위치결정홈 630b을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위치결정용 캠 63b은, 지지프레임(frame, 도시생락)에 고정되므로써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승강용 캠 63c은 링부 633c의 둘레방향에 180도의 간격으로 2개의 캠홈 630c을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 캠홈 630c은 링부 633c의 밑가장자리측에서 비스듬한 윗쪽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고, 캠홈 630c의 하측에는 굴림대게지부 635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승강용 캠 63c의 링부 633c의 윗가장자리부분에는 홈을 낸 풀리 634c가 형성되어 있다.
승강용 캠 63c의 회전기구부는, 제1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용 캠 63c의 홈을 낸 풀리 634c, 모터 M측에 홈을 낸 풀리 631i 및 풀리 634c, 631i 사이에 걸쳐 놓여지는 벨트 600a로 구성되어 있고, 이 회전기구부 및 모터 M의 정전(正轉)역전(逆轉)에 의해 승강용 캠 63c을 정전역전시킨다.
다음에, 방향전환수단 6에 의한 시-트페이퍼 1A의 회전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우선,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부처리완료의 시-트페이퍼를 페이퍼센서로 검출하고, 제어수단의 검출부에 의해 시-트페이퍼의 방향전환을 결정한 경우에는, 구동롤-러의 회전각도제어에 의하고, 시-트페이퍼의 중심이 방향전환수단의 회전원반의 회전중심과 일치하는 위치까지 시-트페이퍼를 롤-러 한쌍으로 반송한다.
또한, 제17도는 동작개시전의 캠 63b, 63c의 위치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2) 제어수단의 검출부에 의해 작동지령신호에 따라 모-터 M를 정전구동(正轉驅動)시켜서 승강캠 63c을 90도 회전시키면, 조작축의 굴림대 631e가 승강캠 63c의 캠홈 630c을 따라 강하(降下)로 이동하고(제18도), 압축롤-러로부터 시-트페이퍼가 해방됨과 아울러 시-트페이퍼가 회전원반으로 압착협지된다.
(3) 더욱기, 승강캠 63c를 90도 회전시키면, 조작축의 굴림대 631e가 승강캠 63c의 캠홈 630c의 캠홈 630c의 굴림대계지부 635c에 게지되어 90도 이동하고(제19도), 회전원반으로 압착협지된 시-트페이퍼가 90도 회전한다.
(4) 다음에, 승강캠 63c을 90도 역전시키면, 조작축의 굴림대 631e은 승강캠 63c의 캠홈 630에 의해 상승하여 동작개시 전에 감합하고 있던 위치결정용 캠 63b의 위치결정홈 630b와 인접하는 위치결정홈 630b에 감합한다(제20도).
이에 의해, 실시예 1과 같은 상태로 회전반에 의한 시-트페이퍼의 협지상태가 해제됨과 아울러, 시-트페이퍼는 롤-러 한쌍으로 압착협지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롤-러를 구동시키면, 시-트페이퍼 1A는 횡이송의 상태에서 현상처리부 4로 공급된다.
이와같이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에서 채용되고 있던 회전용 캠 63d을 없애고, 승강용 캠 63c의 캠홈 630c의 형상을 변경하고, 또한 승강용 캠 63c의 역전 동작을 추가함으로써, 시-트페이퍼의 회전수단의 구조가 실시예 1에 비교하여 간략화되어 있다.
[실시예 3]
사진소부장치는, 매거진, 소부처리부 및 현상처리부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이 채용되어 있고, 소부처리부와 현상처리부 사이의 반송경로중에 설치되는 방향전환수단 6은 제21도 내지 제24도에 나타낸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제21도는 방향전환수단 6의 평면도, 제22도 내지 제24도는 방향전환수단 6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방향전환수단 6은, 흡인수단 61을 회전시켜서 시-트페이퍼 1A의 방향을 90도 바꾸기 위한 회전수단 62과, 시-트페이퍼 1A를 흡인보지하는 흡인수단 61과, 회전수단 62을 소부처리완료의 방향전환수단의 수취측 6A에서 현상처리부 4로 공급측 6B에 공급하기 위한 평행이동수단 63으로 구성되어 있다.
흡인수단 61은, 다수의 흡인구 61a가 천설(穿設)된 흡인판 61b을 흡인헤드 61c에 취부함과 아울러 흡인헤드 61c를 흡인덕트(duct) 61d의 선단부에 취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흡인덕트 61d는 신축자재로 구성디어 있어, 후술하는 수취측 6A과 공급측 6B와의 사이에서 왕복이동하는 흡인헤드 61c의 변위(變位)에 추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흡인덕트 61d의 기단부에는 모터 61f 및 모터 61f의 구동축에 취부된 흡인팬 61e이 장착되어 있다.
평행이동수단 63은, 수취측 6A 및 공급측 6B에 위치하는 폴리 63a, 63b 사이에 무단(無端)벨트 63c를 놓아 구성되고 있다.
무단벨트 63c는, 흡인덕트 61d가 수취측 6A과 공급측 6B과의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폴리 63a, 63b의 구동모터 2M가 후술하는 제어수단으로 제어된다.
회전수단 62은, 후술하는 제어수단으로 제어되는 모터 1M로 흡인헤드 61c를 회전시킨다. 흡인헤드 61c는 회전대 62a의 상면에 회전자재로 설치되어 있고, 흡인헤드 61c의 회전중심은 회전대 62a의 중심과 일치하고 있다.
62b는 회전대 62a를 무단벨트 63c에 취부하기 위한 취부플레이트(plate)로서, 이 취부플레이트 62b의 중앙에는 회전대 62a가 설치되고, 취부플레이트 62b의 일단부에는 모터 1M가 설치되며, 취부플레이트 62b의 타단부는 무단벨트 63c에 연결되어 있다.
62c는 흡인헤드 61c와 모터 1M의 구동축과의 사이에 걸쳐놓아지는 전동벨트이다.
또한, 회전대 62a 및 취부플레이트 62b에는 관통구멍 62d이 설치되어 있고, 흡인헤드 61c는 이 관통구멍 62d을 사이에 두고 흡인헤드 61c에 접속되어 있다.
방향전환수단 6에는, 시-트페이퍼 1A를 소부처리부 3로부터 수취하기 위한 구동롤-러 64b와 압착롤-러 64a로 구성되는 롤-러 한쌍 64과, 시-트페이퍼 1A를 현상처리부 4에 공급하기 위한 구동롤-러 65b와 압착롤-러 65a로 구성되는 롤-러 한쌍 65가 구비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구성되는 방향전환수단 6의 제어수단에 대해서는, 제9도 또는 제14도에 나타낸 제어수단의 어떤 한 쪽의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또한, 제22도 중의 S는 시-트페이퍼 1A의 선단 및 후단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다음에, 방향전환수단 6에 의한 시-트페이퍼 1A의 회전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우선, 소부처리완료의 시-트페이퍼 1A를 페이퍼센서 S로 검출하고, 제어수단의 검출부 7A에 의해 시-트페이퍼 1A의 방향전환을 결정한 경우에는, 구동롤-러 64b의 회전각도제어에 의해 시-트페이퍼 1A의 중심이 방향전환수단 6의 흡인헤드 61C의 회전중심과 일치하는 위치까지 롤-러 한쌍 64로 반송한다.
이 때, 흡인수단 61은 수취측 6A에 위치하고 있다(제22도).
(2) 다음에, 흡인수단 61의 흡인동작을 개시하여 시-트페이퍼 1A를 흡인판 61B에 흡인시킨다.
(3) 다음에, 시-트페이퍼 1A를 흡인보지한 흡인수단 61을 롤-러 한쌍 64, 65의 반송동작과 동기(同期)시키면서, 무단벨트 63c로 공급측 6b에 이동시킨다.
시-트페이퍼 1A의 후단이 롤-러 한쌍 64으로부터 떨어진 시점에서 롤-러 한쌍 64에 의한 반송동작을 정지하고 흡인수단 61을 회전수단 62으로 회전시킨다(제23도).
(4) 다음에, 흡인수단 61을 공급측 6b으로 이동시켜서 시-트페이퍼 1A의 선단을 공급측 6b의 롤-러 한쌍 65에 인도한 후, 흡인을 정지하여 흡인수단 61에 의한 시-트페이퍼 1A의 흡인보지를 해제하고, 공급측 6b의 롤-러 한 쌍 65에 의해 시-트페이퍼 1A를 현상처리부에 공급한다(제24도).
시-트페이퍼 1A를 현상처리부를 향해서 공급한 후, 흡인수단 61을 수취측 6a으로 돌려보낸다.
또한, 방향전환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술의 요령으로 흡인보지한 시-트페이퍼 1A를 회전시키지 않고, 시-트페이퍼 1A를 공급측 6b으로 이동시켜서 롤-러 한쌍 65에 인도한다.
[실시예 4]
사진소부장치는, 매거진, 소부처리부 및 현상처리부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이 채용되어 있고, 소부처리부와 현상처리부 사이의 반송경로 5중에 설치되는 방향전환수단 6은, 제25도 내지 제27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25도는 방향전환수단 6의 정면도, 제26도는 방향전환수단 6의 상부의 정면도, 제27도는 방향전환수단 6의 평면도이다.
방향전환수단 6은, 시-트페이퍼 1A의 회전중심의 주위부에 둘레방향에 등간격으로 배열설치되는 4쌍의 롤-러쌍 61, 62, 63, 64와, 캠기구부 65와 롤-러 회전수단 66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롤-러쌍 61, 62, 63, 64는, 반송로 5를 끼워 대치하여 배열설치되고 있는 압착롤-러 61a, 62a, 63a, 64a와 구동롤-러 61b, 62b, 63b, 64b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롤-러 61b64b는, 동일 모터(도시생략)에 의해 같은 속도로 회전한다.
롤-러회전수단 66은, 반송로 5를 끼워 대치하여 배열설치되는 상하 한쌍의 회전플레이트 66a, 66b를 회전기구부 66c에서 90도의 각도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하 한쌍의 회전플레이트 66a, 66b의 회전중심은 동일 연직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상부 회전플레이트 66a의 상면중앙에는 축받이(도시생략)로 지지되는 회전축 661a이 설치되고, 상부 회전플레이트 66a의 주위부에는 둘레방향에 등간격으로 4대의 샤프트(shaft)삽통구멍 662a이 관설(貫設)되어 있고, 각 샤프트삽통구멍 662a에는 슬라이드(slide)축받이 664a가 장착되어 있다.
하부 회전플레이트 66b의 하면중앙에는 축받이(도시생략)로 지지되는 회전축 61b가 설치되고, 하부 회전플레이트 66b의 주위부에는 둘레방향에 등간격으로 구동롤-러 61b64b가 장착되어 있다.
회전기구부 66c와 회전축 661a, 661b에 취부되는 홈을 낸 풀리 661c, 662c와 중간풀리 663c, 664c와 구동풀리 665c와 이들 풀리 사이에 놓여지는 벨트 666c, 667c로 구성되어 있고, 구동풀리 665c는 모터 M의 구동축 M1에 취부되며, 중간풀리 663c, 664c는 축받이(도시생략)로 지지되는 회전축 669c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다.
캠기구부 65는 4쌍의 종동(從動)샤프트 651, 652, 653, 654와, 캠 65A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한쌍의 종동샤프트 651654의 하단사이에는 압축롤-러 61a64a가 회전자재로 설치되어 있고, 각 한쌍의 종동샤프트 651654의 상단사이에는 연결재 651a654a로 연결되어 있고, 각 연결재 651a654a의 중간부에는 굴림대 651b654b가 설치되어 있다.
각 한쌍의 종동샤프트 651654는 롤-러 회전수단 66의 상부 회전플레이트 66a의 삽통구멍(揷通孔) 662a에 슬라이드자재로 삽통되어 있고, 종동샤프트 651654는 스프링 600로 아랫쪽에 탄력부세되어 있다.
캠 65A의 캠본체 65a는 원반상에 형성되고, 이 캠본체 65a의 중앙에는 삽통구멍 65b이 형성되고, 삽통구멍 65b의 둘레가장자리에는 보스(boss)부 65c가 설치되어 있다. 삽통구멍 65b에는 축받이 655b가 설치되어 있다.
캠 65A의 삽통구멍 65b에는 상부 회전플레이트 66a의회전축 661a이 삽통되어 있다.
캠본체 65a의 상면에는 캠면 65d이 형성되고, 이 캠면 65d은 한쌍의 폭이 좁은 돌융면(突隆面) 651d과 한쌍의 폭이 넓은 평탄면 652d으로 구성되어, 돌융면 651d과 평탄면 652d은 캠본체 65a의 둘레방향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캠 65A의 보스(boss)부 65c의 캠 지지프레임 650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여 구성되는 캠 65A은, 상부 회전플레이트 66a와 종동샤프트 651654의 연결재 651a654a와의 사이에 배열설치되어 있다.
또한, 종동샤프트 651654는 아랫쪽에 탄력부세됨으로써, 종동샤프트 651654의 굴림대 651b654b는 캠 65A의 캠면 65d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상하 한쌍의 회전플레이트 66a, 66b를 회전시키면, 굴림대 651b654b는 캠면 65d의 돌융면 651d과 평탄면 652d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압착롤-러 61a, 62, 63, 64a를 승강시킨다.
그리고, 굴림대 651b654b가 편탄면 652d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압착롤-러 61a64a는 압착동작을 하고, 굴림대 651b654b가 돌융면 651d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압착롤-러 61a64a의 압착동작은 해제된다.
제어수단에 대해서는, 제9도 또는 제14도에 나타내는 제어수단의 어떤 한쪽의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또한, 제25도 중의 S는 시-트페이퍼 1A의 선단 및 후단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다음에, 방향전환수단 6에 의한 시-트페이퍼 1A의 회전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우선, 소부처리완료의 시-트페이퍼 1A를 페이퍼센서 S로 검출하고, 제어수단의 검출부에 의해 시-트페이퍼 1A의 방향전환을 결정한 경우에는 구동롤-러 61b의 회전각도제어에 의해 시-트페이퍼 1A의 중심이 방향전환수단 6의 상하 한쌍의 회전플레이트 66a, 66b의 회전중심과 일치하는 위치까지 롤-러 한쌍 61, 62으로 반송한 후 구동롤-러 61b, 62b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또한, 시-트페이퍼 1A를 받아들일 때에는 반송로 5의 중심선상에 위치하는 압착롤-러 61a, 62a는 구동롤-러 61b, 62b에 압착하고, 반송로 5의 양측에 위치하는 압착롤-러 63a, 64a의 압착은 해제된다.
(2) 제어수단 7의 검출부 7A에 의해 작동지령신호에 따라 모터 M를 구동시키면, 상하 한쌍의 회전플레이트 66a, 66b를 90도 회전시켜서 시-트페이퍼 1A의 방향을 90도 바꾼다.
또한, 회전플레이트 66a, 66b가 회전을 개시한 단계에서는 2개의 롤-러쌍 61, 62만으로 회전플레이트를 압착협지(壓着挾持)하고, 회전종료시 및 회전종료직전에서는 2개의 롤-러쌍 63, 64만으로 시-트페이퍼 1A를 압착협지하며, 그 이외의 회전중에는 4개의 롤-러쌍 61, 62, 63, 64에 의해 시-트페이퍼 1A를 압착협지한다.
(3) 이와같이 하여 시-트페이퍼 1A의 방향전환이 종료한 후는, 2개의 롤-러쌍 63, 64으로 시-트페이퍼 1A를 현상처리부 4에 공급한다.
(4) 90도 회전시켜서 시-트페이퍼 1A를 현상처리부 4에 공급한 후는, 이 상태대로, 다음의 시-트페이퍼 1A를 받아들인다.
또한, 방향전환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롤-러 회전수단 66을 작용시키지 않고, 롤-러쌍 61, 62으로 시-트페이퍼 1A를 현상처리부 4에 공급한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 14에서는, 시-트페이퍼 1A의 방향전환각도가 90도로 설정된 방향전환수단 6을 이용하였으나, 시-트페이퍼 1A의 선단에서 후단까지의 길이 L1가 시-트페이퍼 1A의 긴 변방향의 길이치수 L보다도 짧게 된다면, 방향전환의 설정각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L 사이즈의 시-트페이퍼 1A에 대해서는, 방향전환의 설정각도를 70도에서 110도까지의 범위에서 설정하면 L1 < L라고 할 수가 있고, 또한, 250도에서 290도까지의 범위에서 설정해도 L1 < L라고 할 수가 있다(제22(b)도, 제22(c)도).
E 사이즈와 4×6 인치사이즈에 대해서도, 거의 같은 모양의 범위에서 방향전환각도를 설정함으로써 L1 < L라고 할 수가 있다.
이러한 범위에서의 시-트페이퍼 1A의 방향전환은, 예를들어 실시예 3의 사진현상처리장치를 이용하고, 또한 이 장치의 회전수단 62의 흡인헤드 61c의 회전각도를, 이러한 범위의 어느 쪽의 각도에 설정하여 행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도 명확한 것처럼 본 발명의 사진현상처리장치에 의하면, 소부처리와는 독립하여 시-트페이퍼의 방향전환을 행할 수가 있으므로, 소부처리능력이 향상한다.
또한, 서비스사이즈의 시-트페이퍼에 대해서는, 시-트페이퍼를 방향전환함으로써, 시-트페이퍼의 선단에서 후단까지의 길이가 시-트페이퍼의 긴 변 방향보다도 짧게 된 상태에서 현상처리부로 반송하므로, 현상처리부로의 시-트페이퍼의 반송능력이 향상하고, 현상처리능력을 높일 수가 있다.
한편, 파노라마사이즈의 시-트페이퍼에 대해서는, 페이퍼의 긴 변방향을 반송방향으로 한 채로 현상퍼리부에 공급하여 현상처리를 행하므로, 장치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파노라마가 혼재된 네가필름이라도 페이퍼의 교환작업과 네가필름을 회전할 필요가 없어 처리의 자동화가 용이하게 되고, 여러 종류 폭의 페이퍼가 불필요하게 되어 페이퍼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Claims (8)

  1. 매거진으로부터 인출되는 로울상 페이퍼를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고, 이 절단된 시-트페이퍼를 소부처리부(燒付處理部)에서 소부하고 현상처리부(現象處理部)에서 현상처리하는 사진현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부처리부에서 현상처리부에 시-트페잎를 반송하는 반송로의 도중에, 방향전환수단(方向轉換手段)을 배열설치하고, 이 방향전환수단은, 소부처리부에서 보내진 시-트페이퍼를 회전시켜서 70도에서 110도까지의 범위 또는 250도에서 290도까지의 범위에서 시-프페이퍼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현상처리장치(寫眞現像處理裝置).
  2. 제1항에 있어서, 시-트페이퍼의 사이즈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방향전환수단을 작동시킬지 어떨지의 판단을 행하는 제어수단(制御手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현상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시-트페이퍼가 파노라마사이즈의 경우는, 상기 방향전환수단을 작동시키지 않고 시-트페이퍼의 긴 변방향을 반송방향으로 한 채로 반송하도록 상기 방향전환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制御手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현상처리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시-트페이퍼의 치수를 검출하는 검출부(檢出部)와, 이 검출부에서 출력된 검출신호를 판정하여 방향전환수단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판정부(判定部)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현상처리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로울상 페이퍼의 절단치수지령신호를 치수정보로써 기억하는 기억부(記憶部)와, 이 기억부에서 출력되는 치수정보를 판정하여 방향전환수단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판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현상처리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수단은, 시-트페이퍼를 압착협지(壓着挾持)하는 상하 한쌍의 회전반과, 이 상하 한쌍의 회전반을 회전시켜서 시-트페이퍼의 방향을 바꾸는 회전수단과, 회전중에는 반송수단을 해제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현상처리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수단은, 시-트페이퍼를 흡인하는 흡인수단(吸引手段)과, 이 흡인수단을 회전시켜서 시-트페이퍼의 방향을 바꾸는 회전수단과 이 흡인수단 및 회전수단과 아울러 시-트페이퍼를 반송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현상처리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수단은, 시-트페이퍼를 반송하는 상하 한쌍의 구동 및 압착롤-러와, 이 상하 한쌍의 구동 및 압착롤-러를 회전시켜서 시-트페이퍼의 방향을 바꾸는 회전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현상처리장치.
KR1019950033175A 1994-10-19 1995-09-29 사진현상처리장치 KR100222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365994 1994-10-19
JP94-253659 1994-10-19
JP95-002175 1995-01-10
JP217595 1995-01-10
JP95-2175 1995-01-10
JP22924495A JP3293421B2 (ja) 1994-10-19 1995-09-06 写真現像処理装置
JP95-229244 1995-09-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071A KR960015071A (ko) 1996-05-22
KR100222303B1 true KR100222303B1 (ko) 1999-10-01

Family

ID=27275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3175A KR100222303B1 (ko) 1994-10-19 1995-09-29 사진현상처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587758A (ko)
EP (1) EP0708366B1 (ko)
JP (1) JP3293421B2 (ko)
KR (1) KR100222303B1 (ko)
CN (1) CN1076103C (ko)
CA (1) CA2160814C (ko)
DE (1) DE6950666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62602A1 (de) * 1999-12-23 2001-07-05 Agfa Gevaert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srichten von Blättern
EP1928865A1 (en) * 2005-08-17 2008-06-11 Schering Corporation Novel high affinity thiophene-based and furan-based kinase ligand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4418A (en) * 1988-05-09 1993-12-28 Nikon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system
JP2628097B2 (ja) * 1990-06-19 1997-07-09 コニカ株式会社 印画紙焼付装置
DE4126578C2 (de) * 1991-08-12 1996-12-12 Agfa Gevaert Ag Vorrichtung zum Kopieren von fotografischen Aufnahmen
WO1993013454A1 (en) * 1991-12-27 1993-07-08 Noritsu Koki Co., Ltd Automatic printing and developing device for 3d stereoscopic and normal photographs
DE59300234D1 (de) * 1992-09-08 1995-07-06 Bay Ott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lagerichtigen Zufuhr von Blattbogen zu einer Faltmaschine.
KR950033645A (ko) * 1994-03-17 1995-12-26 니시모토 강이치 사진감광재료의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283A (zh) 1996-09-18
EP0708366B1 (en) 1998-12-16
CA2160814A1 (en) 1996-04-20
CN1076103C (zh) 2001-12-12
DE69506666D1 (de) 1999-01-28
US5587758A (en) 1996-12-24
JPH08248608A (ja) 1996-09-27
EP0708366A1 (en) 1996-04-24
JP3293421B2 (ja) 2002-06-17
DE69506666T2 (de) 1999-06-24
CA2160814C (en) 2000-07-04
KR960015071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39789B2 (ko)
JP2003089464A (ja) 用紙後処理装置での用紙積載装置
KR100222303B1 (ko) 사진현상처리장치
JP2893663B2 (ja) シート状物品の搬送方向切換装置
EP1492718B1 (en) System and method for sheet transporting using dual capstan rollers
JPS5999867A (ja) 原稿画像読取装置
US705543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ying material to an imaging drum
US4815723A (en) Photosensitive plate autofeeder
JP3230385B2 (ja) シート処理装置
JP3144212B2 (ja) 写真感光材料の供給装置
US5183241A (en) Sheet feeding device for inverting a sheet
JPH05319679A (ja) 排紙トレイセンサ
US5346201A (en) Sheet feeding device
JP4524516B2 (ja) シート状感光材料搬送機構
JPH067472Y2 (ja) カード処理装置
JP3980275B2 (ja) シート体の回転ドラムへの着脱装置、シート状感光材料への回転ドラム型露光装置及び方法
JPH10329963A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り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4004537A (ja) 記録版又はフィルム装填デバイス
JP2000072249A (ja) ウエハのノッチ揃え機構
JP2002046890A (ja) シート状部材の保持装置
JPH07223762A (ja) フィルム搬送装置
JP2735424B2 (ja) 原稿送り装置
JPH03297674A (ja) 先端位置合せ転写装置
JPS60139486A (ja) 自動ペ−ジめくり装置
JPH0761696A (ja) シート体選別機構および選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